KR20120021231A - 섹터 그래프 기반 플랜트 및 건축물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섹터 그래프 기반 플랜트 및 건축물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1231A
KR20120021231A KR1020110086230A KR20110086230A KR20120021231A KR 20120021231 A KR20120021231 A KR 20120021231A KR 1020110086230 A KR1020110086230 A KR 1020110086230A KR 20110086230 A KR20110086230 A KR 20110086230A KR 20120021231 A KR20120021231 A KR 20120021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or
equipment
state
facility
grap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3264B1 (ko
Inventor
이승철
황해석
김선각
Original Assignee
네트인텔리젠스 주식회사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트인텔리젠스 주식회사,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트인텔리젠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21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1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3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3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비 각각의 운영상태를 그에 대응하는 동심원상의 섹터에 반지름의 크기, 색상의 종류 및 농도를 사용하여 부채꼴 그래프로 표시하는 플랜트 및 건축물들의 설비 운영 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설비들의 운영상태를 감시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와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와; 상기 데이터 수집부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설비들의 운영상태를 판단하는 상태 판단부; 및 복수의 동심원 눈금이 표시된 동심원차트(Chart)를 각 설비에 대응하는 부채꼴의 섹터(Sector)로 구분하고 상기 설비 각각의 운영상태를 상기 각 설비에 대응하는 동심원차트 상의 섹터내에 동심원차트의 중심을 원점으로 하여 섹터그래프로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건축물 및 플랜트의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는 길이가 길수록 대응하는 설비의 운영상태가 불안정하거나 성능이 저하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Description

섹터 그래프 기반 플랜트 및 건축물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Plant and Building Facility Monitoring Apparatus and Technique based on Sector Graphs}
본 발명은 각종 플랜트 및 건축물 설비들의 운영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설비 각각의 운영상태를 그에 대응하는 동심원상의 섹터에 반지름의 크기, 색상의 종류 및 농도를 사용하여 부채꼴 그래프로 표시하는 플랜트 및 건축물들의 설비 운영 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 화학공정 플랜트, 각종 제조공장과 같은 플랜트들은 통상 다수의 부속설비(Subsystem)들로 구성되고 이들 부속설비들은 다시 다수의 상세 부속설비나 단위기기들로 구성된다.
예컨대 발전소의 경우 터빈 및 보조기기 시스템, 발전기 및 보조기기 시스템, 보일러 및 보조기기 시스템, 주 급수 시스템, 응축수 시스템, 연료공급 시스템, 냉각수 시스템, 순환수 시스템, 보조증기 시스템과 같은 부속설비들로 구성되고, 터빈 및 보조기기 시스템의 경우는 다시 고압 터빈, 중압 터빈, 저압 터빈, 주 증기 제어밸브 시스템, 주 증기 차단 밸브 시스템, 터빈 속도제어 시스템, 터빈 추기 시스템, 터빈 베아링 윤활유 시스템, 등으로 구성되고, 이들 각 시스템들은 다시 단위 기기나 세부 부속 시스템들로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설비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작동함으로써 전기를 생산한다. 따라서 플랜트가 목적하는 제품을 원하는 품질 수준과 비용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플랜트를 구성하는 상기 부속설비들의 가동 상황을 실시간으로 지속적으로 감시하며 최적의 운영상태와 성능을 유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설비들의 운영상태가 정상에서 벗어나거나 성능이 저하될 경우에는 경보를 울리거나 더 이상 설비를 운영하는 것이 위험한 상태에 이르면 해당 설비 또는 플랜트 전체를 강제 정지(tip) 시킨다.
대형빌딩, 대규모 공공시설, 주상복합아파트 및 대규모 아파트단지와 같은 대형 건축물에는 예컨대 기계설비, 전기설비, 공조설비, 급배수설비, 소방설비, 방송통신설비, 엘리베이터설비, 주차관제설비, 출입관리설비, 조명제어설비 등과 같은 다양한 부대설비(Supporting Facility)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부대설비들은 각각 매우 다양하고 수많은 부속기기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건축물들을 최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상기 부대설비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를 지속적으로 감시하여야 한다.
종래의 설비 감시 시스템은 주로 각 설비의 공급회사가 제공하는 감시 모니터 또는 설비의 축소모형(mimic) 감시반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운영상태 정보를 제공하였다. 주로 상기 설비의 구성도(structural diagram) 또는 흐름도(functional flow diagram)를 모니터 화면에 나타내고, 설비의 주요 운영 파라미터 값을 수치나 막대 그래프 또는 꺾은금 그래프로 나타내고, 이상이 발생하면 해당 설비 부분의 색상을 변화시키거나 깜빡임을 사용하여 표시하고, 부수적으로 상황을 설명하는 간단한 텍스트를 화면상에 출력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각 설비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복수 개의 모니터 또는 감시반을 동시에 감시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감시자가 필요하므로 안정적인 설비 운영을 위해서는 많은 감시 인력이 요구되고 감시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정설비가 점차 비정상상태 또는 고장상황으로 접근해 가는 경우에 있어서도 주요 파라미터 또는 트립의 조건으로 설정해 놓은 파라미터의 조합이 설정해 놓은 한계값(Limit Value)을 초과하여야만 비로소 경보를 울리고 감시자에게 통보하는 경보체계를 주로 사용하고 있어, 감시자가 이상상황을 미리 발견하여 대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더구나 모니터나 감시반에 나타내는 수많은 계측값들에 대한 해석과 판단을 주로 감시자가 내려야 함으로서 감시자들의 오판이나 중요 상황을 간과할 수 있는 가능성이 상존하며, 그에 따른 감시자들의 심리적 부담이 가중되고 자칫 기기나 플랜트의 고장 정지(trip)로 이어져 막대한 손실을 초래하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설비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복수 개의 모니터 또는 감시반을 대신하여 한 개 또는 소수의 모니터에 동심원 눈금을 표시한 원형 차트(chart)를 섹터로 나누어 원점을 공유하는 섹터 그래프와 색상을 사용하여 전체 설비들의 이상 유무와 실시간 성능 상태를 시각화하여 제시함으로 플랜트나 건축물 설비들의 운영상태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관찰하고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설비 운영상태 종합 감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시 방법 및 장치에 있어 감시항목들을 계층구조로 구성하여 최상위 레벨의 차트에서는 감시항목들의 전체 취합 정보들을 나타내고 하위 차트로 내려갈수록 각 감시 항목들의 상세 값이나 세부 상태를 나타냄으로써, 감시할 수 있는 항목수를 자유로이 늘릴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최상위 차트만 관찰해도 플랜트 또는 건물 전체의 운영 상태를 즉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감시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설비의 운영상태가 점차 비정상상태로 접근해 가는 경우, 기 설정된 한계 값을 초과하기 이전에도 사용자가 미리 대처할 수 있도록 비정상상태로의 접근 상황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조기경보 기능을 가진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비나 기기의 트립 조건이 두 개 이상의 계측값이나 리밋 스위치 값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트립 조건에의 접근 상황을 설비 감시 기술자나 관리자들이 즉시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설비의 운영상태 판단을 위한 정보와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부와, 상기 데이터 수집부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설비의 운영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운영상태 판단부, 상태 판단 결과를 동심원 상의 상기 설비에 해당하는 섹터(sector)에 부채꼴 그래프와 트립 띠(stripe)로 나타내기 위한 연산을 수행하고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그래프는 동심원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설비의 운영상태가 정상에서 점차 벗어나는 상태임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동심원은 상기 설비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섹터로 구분되고, 상기 각 설비의 운영 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는 설비에 대응하는 섹터에 부채꼴의 형태로 표시된다.
이때, 상기 설비의 운영상태는 설비의 현 작동상황 또는 성능 및 효율을 포함하며 상기 부채꼴그래프는 정상정지상태, 정상운영상태, 경계운영상태, 비상운영상태, 비상정지상태와 같이 설비의 대표적인 운영상태들을 설정하여 그에 따른 길이를 달리하여 구분하고, 추가로 사용자로 하여금 신속 정확한 상태 파악을 가능토록 하기 위해 설비의 운영상태에 따라 그래프의 색상과 색상의 농도로도 구분하도록 한다. 특히 정상정지 상태는 반지름이 0인 경우에 해당하고 비상 정지 또는 고장 정지 상태는 최대 반지름 길이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동심원은 주요 운영상태간의 경계를 나타내는 주 동심원과 주 동심원 사이에 주 동심원이 나타내는 각 운영상태 내에서의 운영상태의 양호나 불량 정도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기 위한 세부 동심원들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그래프는 해당 설비의 운영상태가 점차 비정상 상태로 변화하는 경우 부채꼴의 원주 가장자리로 갈수록 해당 운영 상태를 나타내는 색상의 기준농도 보다 색농도가 점차 진해지도록 표시되고, 점차 양호한 상태로 변화하는 경우 색농도가 점차 연해지도록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래프는 상기 설비의 운영상태가 불안정하게 진동하는 경우, 현재값 외에도 진동범위에 해당되는 동심원 반지름 구간의 색 농도를 달리하여 진동 범위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섹터그래프에 추가하여 설비나 기기의 트립 조건이 두 개 이상의 계측값이나 리밋 스위치 값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섹터그래프와 트립 띠 및 트립 띠의 색상을 함께 사용하여 트립 조건에의 접근 상황을 설비 감시 기술자나 관리자들이 즉시 파악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운영상태 감시 장치는 감시할 설비의 종류 및 설비의 상세 구성내용, 각 설비의 운영상태 판단의 기준, 상태 판단을 위한 정보 및 데이터의 입력방법 및 주기, 동심원의 수 및 각 설비에 대응하는 섹터의 위치와 중심각, 색농도 표시 기준값, 부채꼴 그래프의 디스플레이 및 여타 상태 정보 입출력 방법을 텍스트기반의 spread sheet, DB, 지식기반(Knowledge-base)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섹터 그래프를 포함한 운영상태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지나간 상황의 변화 경로를 추적하기 위하여 지나간 시간의 상기 동심원 그래프들을 작은 시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동시에 나타내거나 따로 그래프 자료구조 (Graph Data Structure) 를 사용하여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운영상태 관련정보는 필요시 상태판단과 관련된 주요 계측값들의 현재값, 현재값의 추이 정상상태에서의 계측값의 범위, 해당 계측값을 사용하여 경보를 내거나 트립을 시키기 위해 세팅된 상하한 값들을 나타내는 계측값 추이 곡선 창이나 텍스트창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설비 운영상태 감시방법에 있어서 (a) 복수 개의 설비의 운영 상태 판단을 위한 정보와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데이터수집 단계와, (b) 상기 수집한 정보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설비의 운영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상태판단 단계와, (c) 상태판단 결과를 상기 설비 각각에 대응하는 동심원상의 섹터에 부채꼴 그래프로 나타내기 위한 연산을 수행하고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단계를 포함한다.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설비 각각에 대응하는 운영 상태를 원점을 공유하는 섹터에 포함되는 섹터그래프와 트립 띠를 사용하여 나타냄으로서 수많은 설비 상황, 예를 들면 섹터 당 3°씩 할당할 경우 한 차트 당 120개의 설비 상황, 들의 운영 상태를 동시에 일목요연하게 즉시 파악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차트들을 계층구조로 구성하여, 상위 차트에 하위 차트에서 나타낸 설비운영상태 정보의 취합정보를 나타낼 경우, 감시할 수 있는 설비들의 수를 자유로이 확장시켜 나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수많은 감시항목들을 한두 개의 모니터로 동시에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설비의 운영상태 감시를 위한 인력을 절감하고, 감시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각 설비가 점차 비정상상태로 변화하는 경우, 점차 정상상태로 회복하는 경우, 그리고 상태가 불안정하게 진동하는 경우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설비관리자가 변화하는 상황도 신속히 인지하고 미리 대처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설비의 트립로직들의 진행 상황을 즉시 파악할 수 있고 발생한 상황들을 역추적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하나의 고장이 파급되어 다수의 이상 상황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상황 발생의 선후관계와 고장 원인의 추적을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대형사고나 또는 막대한 사회경제적 손실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운영상태 감시자들에게도 계측값들을 해석한 상태판단 결과를 제시해 줌으로서 계측값들을 감시자들이 일일이 해석해서 운영상태를 판단해야하는 부담을 덜어주고 설비운영의 안정도 및 성능 향상을 기할 수 있어 플랜트의 생산성 및 건축물운영의 경제성을 크게 제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플랜트 및 건축물 설비 운영상태 감시 차트의 예시도.
도 2는 POST 또는 FAST 차트의 구성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섹터그래프의 눈금 설정 방법의 예시도.
도 4는 m/n 트립조건 로직으로 묶여있는 섹터들의 그룹 표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4 out of 60(4/60) 트립로직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6은 4 out of 60(4/60) 트립로직을 4개의 섹터로 표시할 경우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 및 플랜트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 및 플랜트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의 감시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플랜트 및 건축물 설비 운영상태 감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설비 운영상태 감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차트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설비 운영상태 감시용 차트는 경보 및 트립에 관련되는 아날로그 계측값들의 현재 상황과 추이, 아날로그 계측값 및 트립 리밋 스위치 신호들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구성하는 트립 로직들의 진행 상황, 그리고 설비의 성능 및 효율관련 지표들의 상황과 같은 운영상태를 섹터 그래프를 포함하는 동심원 차트(Chart)로 나타내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경보 상태는 감시대상 설비나 기기의 운영상태가 정상운영 범위를 벗어나 위험한 상태로 접근해 가거나 성능이 저하되어 가고 있는 경우이며, 트립 상태는 감시대상 설비나 기기가 더 이상 운영할 경우 심각한 손상을 입거나 여타 사고로 파급될 가능성이 있거나 또는 심각하게 성능이 저하되어 설비나 기기의 가동을 중단시키는 상태를 말한다. 다수의 경보 및 트립 관련 아날로그 및 바이너리 계측값들의 상황과 각종 성능지표들의 상황을 집약적이며 동시에 신속한 관측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원점을 공유하는 섹터로 나타내는 그래프 기법을 사용한다. 각 차트 당 포함되는 섹터 수는 각 섹터에 할당하는 중심각의 크기에 따라 조정할 수 있으며, 도 1의 경우 각각 3도씩 할당하여 차트 당 120 개의 섹터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예를 보인다. 또한 제안하는 설비 운영상태 감시 차트는 계층구조로 구성하여 상위의 차트는 주로 하위의 차트들로부터 올라오는 취합정보를 나타내는 섹터들로 구성하고, 하위의 차트로 내려갈수록 하나의 섹터가 특정 계측값 상태를 보다 직접적으로 나타내도록 하여, 나타내어야 할 정보들의 수에 따라 자유로이 확장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한다.
도 2는 본원 발명에서 제안하는 디스플레이 차트의 세부 구성내용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안하는 차트는 크게 섹터그래프(Sector Graph,②) 및 트립 띠(Trip Stripe,③)와 섹터번호 띠(Sector Number Stripe,④)로 구성된 섹터들로 나뉘어진 동심원 차트와 차트의 좌우에 배치된 섹터들의 명칭을 나타내는 섹터 명판(⑧)들로 구성된다.
각 섹터그래프(②)는 설비감시를 위한 계측값의 현재 상황을 나타내며, 감시하는 설비와 해당 계측값의 특성에 따라 섹터그래프의 눈금구성을 위하여 복수개의 주 상태(Main State)와 다시 주 상태를 세분하는 세부 상태(Detailed State)들로 구분한다. 예를 들어 도 2의 예시에서는 다음과 같이 4개의 주 상태와 각 주 상태를 세분하는 세부 상태를 나타내었다. 첫째는 정상상태(N: Normal State)로서 특정 계측값이나 감시하려는 설비의 상태가 정상적인 운전범위 내에 있다고 판정되는 상태이며, 다시 NL(Normal Low), N(Normal), NH(Normal High) 및 NHH(Normal High-High)의 4개 상태로 세분되었고, 이때 섹터 그래프는 초록색(Green)으로 나타내도록 한다. 둘째는 경계상태(A: Alert State)로서 특정 계측값이나 감시하려는 설비의 성능이 경보 한계치(alarm limit value) 세팅값에 근접한 상태이며 다시 AL(Alert-Low), A(Alert), AH(Alert High) 및 AHH(Alert High-High)의 4개 상태로 세분되었고, 이때 섹터그래프는 주황색(Orange)으로 나타내도록 한다. 셋째는 비상상태(E: Emergency State)로서 감시하는 계측값이 경보 한계치 세팅값을 초과하여 경보가 발생했거나 발생해야 할 상황부터 트립 한계치(Trip limit) 세팅값에 이르는 범위 또는 설비의 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된 상태로서 다시 EL(Emergency-Low), E(Emergency), EH(Emergency-High) 및 EHH(Emergency-High-High)로 세분되었고, 이때 섹터 그래프는 적색(Red)으로 나타낸다. 넷째는 트립상태(TS : Trip State)로서 트립관련 계측값이 트립 한계치에 도달하거나 트립로직이 만족되면 해당 섹터 그래프는 EHH까지 즉 섹터 그래프 전체가 적색으로 채워지게 된다. 따라서 본 예시에서 섹터 그래프는 원점으로부터 모두 12개의 동심원 눈금을 가지며 각 상태는 각각의 눈금으로 나타낸다. 예를 들면, AH는 눈금7, E 상태는 눈금 10에 상응하게 된다. 또한 아날로그 측정값이 트립 한계치 세팅값을 초과할 경우에 상태는 EHH로 된다. 각 상태를 더욱 세분할 필요가 있을 경우 추가로 상태를 정의하고 그에 따라 동심원의 눈금수를 조정하도록 한다.
섹터그래프의 눈금은 섹터 그래프가 나타내는 경보 및 트립 항목과 관련된 해당 아날로그 계측값의 정상 운전 기준값, 주의를 요하는 계측값, 해당 계측값의 경보 한계치 세팅 설정값 및 트립 한계치 세팅 설정값과 설비나 기기 운영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여 설정한다. 도 3에 정상 운전 기준값과 경보 세팅 값과 트립 세팅값의 3개 값을 사용하여 각 섹터그래프의 눈금을 결정하는 방법의 예를 도시하였다.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정상 운전값 평균은 동심원 눈금 2로, 경보 한계치 세팅값은 동심원 눈금 8로, 그리고 트립 한계치 세팅값은 동심원 눈금 12로 각각 설정하며, 각 섹터의 해당 트립 한계치의 세팅값과 경보 한계치 세팅값을 4등분하여 동심원 눈금 9, 10, 11에 해당하는 계측값을 산정하고, 정상운전 값 평균과 경보 한계치 세팅값을 6등분하여 동심원 눈금 3, 4, 5, 6, 7에 해당하는 값을 산정하며, 0과 정상운전 평균값 사이를 2등분하여 동심원 눈금 1에 해당하는 값을 산정한다. 실제 계측값이 두 눈금 사이일 경우 섹터 그래프는 하위의 눈금으로 나타낸다. 단 계측값이 0을 초과하고 눈금 1 사이가 될 경우 모두 눈금 1의 값으로 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계측값이 눈금 11이상이고 12미만이면 눈금 값을 11로 한다. 계측값이 트립 세팅값에 도달했거나 초과하는 경우에는 모두 눈금 12로 하고 섹터그래프 전체를 적색으로 채운다. 상기 눈금의 수와 눈금 결정 방법은 감시하려는 설비나 기기의 특성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섹터들은 섹터들이 나타내는 주요 운전 계측값들의 대상 설비나 시스템에 따라 주 그룹(Main Group)으로 분류되고(⑮), 주 그룹 내에서 트립로직 조건을 통해 함께 묶여 있는 계측값들이 있으면 이들을 다시 세부 그룹으로 분류하는 등의 분류를 해 나갈 수 있다(⑨, ⑩, ⑪, ⑫, ⑬, ⑭).
그룹과 그룹 및 섹터와 섹터 간의 경계는 주 그룹들간에는 굵은 실선, 세부 그룹들간에는 가는실선, 그리고 세부그룹내의 섹터들간에는 점선을 사용하여 나타낸다. 따라서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보 및 트립 신호 또는 계측값 관련 섹터는 멤버 섹터가 1개인 세부그룹으로 되어 가는 실선으로 경계가 표시된다(⑪, ⑫). m out of n(m/n) 타입의 트립 로직으로 묶여 있는 n개의 트립 관련 계측값 상태를 n개의 섹터를 사용하여 나타낼 경우에는 n개의 섹터를 세부 그룹으로 묶어서 나타낸다. 도 4에 섹터 트립 조건 로직으로 함께 묶여 있는 섹터 세부 그룹들의 표시방법을 나타내었다. n개의 계측값들을 취합하여 설비의 성능을 판단할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2/3 트립 로직으로 묶여있는 3개의 계측값 상태를 3개의 섹터를 사용하여 나타낼 경우, 해당 3개의 섹터를 하나의 세부 그룹으로 묶어서 나타내고 해당 섹터들의 명판의 섹터이름 뒤에 “(2/3)”의 표시를 하여 2/3 트립 로직으로 묶여있는 섹터 중 하나임을 명시하도록 한다(④).
섹터수를 줄여서 나타낼 필요가 있을 경우 1개 이상 n개 미만의 섹터로 묶은 세부 그룹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4/60 트립 조건 로직으로 묶여있는 계측값들의 경우 하위 차트의 60개 섹터들 중에서 가장 상태가 심각한 상위 4개의 섹터값들이 상위 차트로 올려 보내지고, 상위 차트에서는 이들이 4개 섹터의 세부그룹으로 표시되며, 해당 섹터들의 명판의 섹터이름 뒤에 “(4/60)”의 표시를 하여 4/60 트립 로직으로 묶여있는 섹터중 하나임을 명시하도록 한다(⑥).
하위 차트의 여러 섹터 정보를 묶어서 상위 차트에서 1개의 섹터를 사용하여 나타내고자 할 때는 섹터 이름 뒤에 “(1/n)"으로 표시하며, 따라서 m/n에서 m이 1로 될 경우에는 단순히 n개의 섹터의 취합정보를 나타낸다는 의미고 트립 로직과는 무관하다(⑦, ⑧, ⑨, ⑭).
각 섹터가 나타내는 트립 관련 계측값이 트립 한계치를 초과하면 해당 섹터그래프는 EHH(동심원 눈금 12)까지 적색으로 채워지며, m out of n 트립 로직으로 묶여 있는 섹터 그래프들의 트립 띠(Sector Stripe)는 모두 함께 같은 색상으로 트립 상황에의 접근정도(Proximity)를 나타내게 된다. 그 접근 정도에 따라 해당 부속 그룹에 해당하는 트립 띠에 나타내는 색상 표시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트립 조건이 만족된 상황이면 적색(RED), 둘째, 트립 조건에서 1개의 조건이 미달된 상황 또는 동등하게 1개 조건만 더 만족되면 트립 되는 상황이면 핑크(PINK) 색으로, 셋째, 트립 조건에서 2개의 조건이 미달된 상황 또는 동등하게 2개 조건이 더 만족되면 트립 되는 상황이면 주황색(ORANGE) 색으로, 넷째, 트립 조건에서 3개 조건이 미달된 상황 또는 동등하게 3개 조건이 더 만족되면 트립 되는 상황이면 황색(YELLO)으로 한다.
도 5는 4 out of 60(4/60) 즉 60개의 감시 상황 중 4개의 상황이 트립 조건 세팅 설정상황이 되면 해당 설비나 기기를 트립시키는 트립 조건 로직으로 묶여있는 60개의 감시 상황들이 트립으로 접근해 감에 따라 상기 설명에 따라 트립 띠의 색상이 변해가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에서 나타내는 각 Case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Case 0: 60개 값중 어느 값도 트립 세팅 한계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트립 띠는 60개 섹터 함께 흰색).
Case 1: 60개 값중 1개 값이 트립 세팅 한계치에 도달한 경우(트립 띠는 60개 섹터 함께 황색).
Case 2: 60개 값중 2개 값이 트립 세팅 한계치에 도달한 경우(트립 띠는 60개 섹터 함께 주황색).
Case 3: 60개 값중 3개 값이 트립 세팅 한계치에 도달한 경우(트립 띠는 60개 섹터 함께 핑크색).
Case 4: 60개 값중 4개 값이 트립 세팅 한계치에 도달하여 트립 조건이 만족된 경우(트립 띠는 60개 섹터 함께 적색).
도 6은 상기 4/60 트립 조건 로직을 4개의 섹터를 사용하여 나타낼 경우의 예시도이다. 도 6에서 나타내는 각 Case의 의미는 상기 60개의 섹터를 사용하여 나타낼 경우와 동일하다.
따로 바이너리 리밋 스위치를 사용하여 경보 및 트립 신호가 발생되고 해당 파라메터 값을 별도의 아날로그 계측기로 계측할 경우에는 1개의 섹터를 사용하여 섹터 그래프는 아날로그 계측값에 따라 나타내고 트립 띠는 바이너리 리밋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각각 경보 시에는 핑크색으로, 트립 시에는 적색으로 나타낸다. 따라서 섹터 그래프의 표시와 트립 띠의 색상표시에 일관성이 없을 경우에는 아날로그 계측값과 바이너리 리밋 스위치의 작동 값 사이에 에러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아날로그 계측기가 따로 없이 바이너리 리밋 스위치만으로 동작을 하는 경보 및 트립신호의 경우를 섹터로 나타낼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섹터 띠의 색상변화는 앞의 경우와 동일하고 섹터 그래프는 눈금 2의 Normal 상태(녹색), 눈금 8의 Alarm 상태(황색), 눈금 12의 트립 상태(적색)의 3가지 경우만을 나타낸다.
섹터 그래프 끝의 2개 눈금은 그 색상의 농도를 변화시켜 계측값이나 설비 성능변화의 추이를 나타내도록 한다. 예를 들어 계측값의 추이를 안정, 증가, 감소 및 진동의 4가지로 정의할 경우, 먼저 “안정”일 경우 섹터 그래프의 색상을 일정하게 표시하고, “증가”의 경우 섹터 그래프의 끝으로 갈수록 색상의 농도를 점차 진해지도록 하며, “감소”의 경우에는 섹터 그래프의 끝으로 갈 수록 색상의 농도를 점차 연해지도록 하고, “진동”의 경우에는 현재값을 섹터 그래프의 길이로 나타내는 외에도 추가로 진동 범위에 해당하는 구간의 색상의 농도를 달리하여 특정 한계치에 도달하기 전 이라도 이상상황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계측값 자체가 현 플랜트의 운전문맥에 비추어 타당하지 않은 값이 들어올 경우에는 해당 그래프와 명판을 깜빡이게 하여 계측값에 대한 점검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특정 감시 상황의 트립 로직에 트립 조건이 만족되고, 추가로 시간지연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 트립 조건이 만족되면 트립 띠의 색상을 고동색(Brown)으로 바꾸고 최종 트립 신호가 발생되면 적색으로 바꾸도록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섹터마다 해당 섹터가 나타내는 상황 또는 상황을 감시하는데 사용하는 계측값의 명칭을 차트 좌우에 정렬된 섹터 평판을 사용하여 나타낸다. 먼저 섹터 명판 앞부분에는 섹터 번호 띠(Stripe, ④)에 명시된 각 섹터의 해당 번호를 명시한다. 다음에는 섹터 번호에 해당하는 섹터의 명칭을 나타낸다. 섹터 명칭이 같은 섹터들이 있을 경우 구별을 위한 접미어를 추가하여 표시하도록 한다. 다음에는 섹터 명칭에 해당하는 아날로그 계측값이나 성능 지표값이 있을 경우 해당 값을 나타낸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섹터 그래프의 색상은 경계 상태(Alert State)시에 황색, 비상 상태(Emergency State) 시에는 적색으로 변하게 되며, 이 때 해당 명판을 즉시 식별하기 위하여 같은 섹터 번호의 명판은 섹터그래프와 함께 황색 및 적색으로 바꾸어 준다.
섹터 명판을 마우스로 클릭(Click)하면 명판에 해당하는 아날로그 계측값이나 설비의 성능 지표값이 있을 경우 도 1의 우측 상단에 보인바와 같이 해당 계측값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가 나타나도록 한다.
클릭한 섹터가 하위 차트에서 올라온 취합정보를 나타내어 직접적으로 상응하는 계측값이나 성능 지표값이 없을 경우에는 해당 하위 차트를 도 1과 유사한 보조화면에 나타내고, 이때 보조화면에 나타낸 하위 차트에서 해당 섹터를 클릭할 경우 다시 보조화면 옆에 상기와 같이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가 표시되도록 한다.
해당 섹터가 경보 조건만 있을 경우에는 섹터 명칭 끝에 “_alm" 을 추가하여 따로 트립 조건이 없음을 나타낸다.
하나의 섹터로 아날로그 계측값은 섹터 그래프에, 경보 및 트립 용 바이너리 리밋 스위치의 값은 트립 띠를 사용하여 나타낼 경우에는 섹터 명칭 끝부분에 “_3”을 표시하여 해당 섹터 표시에 상기 3개의 센서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서로 독립된 n개의 계측값(바이너리 센서 포함)들의 상태를 묶어서 하나의 섹터로 대표하여 나타낼 경우에는 명칭 뒤에 “1/n"의 표시를 하여 n개의 계측값을 1개의 섹터로 나타내었음을 명시하도록 한다. 이때 섹터 그래프와 트립 띠는 n개의 값 중 가장 큰 섹터 그래프의 값과 가장 상태가 심각한 섹터 띠의 상태로 나타낸다. n개의 계측값 중 어느것이나 경보나 트립 조건이 되면 경보를 울리고 도 1의 우 하단에 보이는 텍스트 창에 경보나 트립조건과 현재값등의 해당 상태를 설명하는 문구를 나타내도록 한다.
도 1의 차트에서 상단 정중앙에 위치한 섹터는 주 섹터(Main Sector)로서(⑤) 주 섹터에는 섹터 번호 0을 부여하고 해당 차트에서 가장 심각한 상태의 섹터를 함께 나타내도록 한다. 단 기기나 설비의 트립조건이 만족되면 실제로 기기나 설비가 트립 되었는지의 여부를 독립적으로 검사하여 트립이 확인되면 주 섹터의 트립 띠의 색을 적색에서 자주색(Purple)으로 바꾸어 주도록 한다. 주 섹터 명판(⑥)은 주 섹터에 나타낸 섹터의 명판의 내용을 나타내준다.
경보 및 트립 조건이 만족되면 해당 섹터 그래프의 색상이 적색으로 바뀌고, 해당 섹터의 명판의 색상도 함께 바뀌며 특히 트립 조건 만족 시에는 해당 명판이 깜빡이게 되고 경보음이 울리게 된다.
경보음이 울릴 경우 확인 단추를 누르면 경보음이 멈추고 깜박임이 있는 경우 깜박임도 멈추게 된다. 리셋 단추를 누르면 경보 및 트립 값들이 초기화 되고 다시 현재의 계측값 상태를 나타내도록 한다.
트립 띠(④)는 설비가 정지 상태일 경우 즉 섹터그래프(②)의 길이가 0일 경우에는 해당 설비가 현재 수리보수상태(Maintenance and Repair State)인지 또는 가동가능상태(Stand-by State)인지를 색상으로 구분하여 나타낸다. 예를 들어 가동가능상태면 초록색으로, 수리 중이면 황색으로 표시한다.
이하 건축물의 부대설비들의 운영상태를 나타내는 동심원차트를 지칭할 경우에는 FAST(Facility Assessment and Status Tracking)차트, 그리고 플랜트의 부속설비들의 운영상태를 나타내는 동심원 차트를 지칭할 경우에는 POST(Plant Operating State Tracking)차트라 각각 부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플랜트 및 건축물의 운영상태 감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에서 보인바와 같이 설비들의 운영상태를 감시하기 위한 정보와 데이터는 데이터 수집부(100)에 의해 수집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수집부(100)가 수집한 정보와 데이터는 상태판단부(200)에 전달된다. 상기 상태판단부(200)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플랜트 및 건축물의 운영상태를 판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00)는 상기 상태판단부(200)로부터 플랜트 또는 건축물의 운영상태 판단 결과를 통보 받아 상기 동심원 상의 섹터에 부채꼴 모양의 그래프로 나타낸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플랜트 및 건축물의 설비 또는 기기들의 운영상태 감시방법에 따르면, 원점을 공유하는 섹터그래프를 사용하여 동심원 눈금과 색상으로 운영상황을 나타냄으로 인해 다수의 설비나 기기의 운영 상태를 일목요연하고 신속 정확하게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여 설비나 기기들의 이상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여 미리 대처하거나 이미 이상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이를 조기에 발견하여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설비의 안정적인 운영에 크게 도움을 줄 수 있고, 다수의 모니터를 사용하여 따로 감시하던 설비들을 한 두 개의 감시 화면으로 통합하여 감시할 수 있으므로 설비의 운영상태 감시를 위한 인력절감이 가능해 지는 장점이 있다.
도8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설비 운영상태 감시방법을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건축물 및 플랜트 운영상태 감시방법은 건축물 및 플랜트의 각 설비의 운영상태를 판단하고 GUI로 나타내기 위한 기본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로부터 시작된다(S100). 입력받는 기본정보에는 설비구성 정보, 각 설비별 운영상태 판단을 위한 주요 상태 변수의 종류와 변수값의 수집 방법 및 주기, 감시서버가 따로 있는 설비의 경우 해당 서버와의 통신 프로토콜 및 교환가능 정보내용, 각 설비별 상태판단기준, FAST차트 또는 POST차트의 계층구조 및 각 차트의 섹터 구성내용, 각 설비의 운영상태 판단결과를 FAST차트 또는 POST차트상의 해당 부채꼴 그래프의 길이 및 색상의 농도로 변환하는 기준, 디스플레이 윈도우 구성 및 입출력 내용과 방법, 각 설비별 운영상태 판단주기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각 설비의 운영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실시간 설비운영 정보와 데이터를 수집한다.(S110). 운영 정보와 데이터는 현장에 설치된 센서와 계측기들로부터 수집하며 감시서버를 따로 가지고 있는 설비의 경우에는 해당 감시 서버를 통하여도 수집한다.
이어서, 수집한 정보와 데이터를 기초로 기본정보로 입력받은 상태판단 기준에 따라 각 설비의 운영상태를 판단한다(S120). 상태판단은 간단한 경우에는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판단하고 고려해야할 사항이 많은 경우나 수시로 판단 방법이 변동될 수 있을 경우 또는 지식과 경험에 의해 판단하는 경우에는 지식기반 시스템(Knowledge-based system)을 구성하여 판단하도록 한다. 운영상태 판단결과는 FAST차트나 POST차트상에 나타내는 해당설비의 부채꼴 그래프의 길이를 정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며 운전상태가 유동적일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그래프 색상의 농도 표시가 가능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한다.
여기서 각 설비별 운영 정보와 데이터의 수집 및 운영상태의 판단은 처리할 정보의 양과 긴급성에 따라 필요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적으로 병렬 분산처리로 수행 할 수 있다. 즉 하드웨어 적으로는 전체 운영상태 감시 태스크를 관장하는 중앙서버와 각 설비 또는 설비의 그룹을 담당하는 복수의 설비서버가 계층구조로 네트워크로 연결된 시스템으로 구성하고 소프트웨어 적으로는 지능 에이전트를 프로세스(process)나 쓰레드(thread)의 형태로 생성하여 태스크를 분담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각 설비별 운영상태 판단결과를 FAST차트 또는 POST차트상의 해당 섹터내에 부채꼴 그래프로 나타낸다(S130). 이때 사용자 또는 설비 관리자의 신속 정확한 상황판단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시 보조화면이나 윈도우를 이용하여 텍스트 설명, 하위 상세 차트, 해당 설비의 구성도나 흐름도를 추가로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FAST차트나 POST차트의 명판을 클릭(click)하거나 여타 입력 예를 들면 메뉴버튼이나 텍스트 입력을 수행하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S140). 입력이 없으면 다시 단계 110으로 돌아가 루프를 반복한다.
사용자의 입력이 있을 경우 이를 처리한다(S150). 먼저 FAST차트나 POST차트의 명판을 클릭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섹터에 대응하는 설비의 하위 차트가 있을 경우 해당 하위차트가 보조화면에 디스플레이 되고 별도로 해당설비의 운영상태를 보다 상세히 나타내기 위해 도움이 될 경우 운영상태에 대한 텍스트 설명과 해당 설비의 구성도 또는 흐름도 등이 함께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하나의 설비나 기기 고장의 여파로 여러 설비나 기기의 운영상태가 이상상태로 진전 될 경우 상황발생의 선후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인터페이스 상에 마련하는 SOE(Sequence Of Event) 메뉴 button을 클릭하면 지나간 시간을 고장의 선후관계를 파악하기 편리한 시간간격(time slice)으로 나누어 해당시각의 차트들을 보조화면에 축소된 크기로 순차적으로 나타내고 각 차트별로 직전의 차트와 비교하여 변화된 상태와 상태변화 요인을 텍스트로도 나타낸다. 또한 디스플레이 된 축소 차트 중 임의의 차트를 클릭할 경우 해당 차트가 확대되어 디스플레이 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설비 운영상태 감시방법에 따르면, 복수 개의 설비 각각의 운영상태를 동시에 신속 정확히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설비의 운영상태 감시를 위한 인력절감이 가능하고, 감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하나의 설비나 기기의 고장이 파급되어 다수의 설비나 기기 운영상태가 이상상황으로 진전되는 경우에도 상황발생의 선후관계규명이 용이하여 신속한 고장 원인 추적과 대처가 가능하여 플랜트의 경우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고 건축물의 경우는 운영비를 절감하고 보안 및 방재능력을 제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 데이터 수집부
200 : 상태 판단부
30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Claims (13)

  1. 설비들의 운영상태를 감시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와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와;
    상기 데이터 수집부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설비들의 운영상태를 판단하는 상태 판단부; 및
    복수의 동심원 눈금이 표시된 동심원차트(Chart)를 각 설비에 대응하는 부채꼴의 섹터(Sector)로 구분하고 상기 설비 각각의 운영상태를 상기 각 설비에 대응하는 동심원차트 상의 섹터내에 동심원차트의 중심을 원점으로 하여 섹터그래프로 나타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건축물 및 플랜트의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는 길이가 길수록 대응하는 설비의 운영상태가 불안정하거나 성능이 저하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의 운영상태는,
    설비의 정상 운영 기준값, 요 주의 한계값, 경보 세팅값, 트립 세팅값을 기준으로 사용하여, 정상정지상태, 정상운영상태, 경계운영상태, 비상운영상태, 그리고 비상정지상태와 같이 명칭을 부여하여 구분할 수 있고, 각 상태별로 다시 원하는 섹터그래프의 정밀도에 따라 세분할 수 있으며,
    상기 각 섹터그래프는,
    해당 설비의 운영상태에 따라 색상을 지정하여 구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섹터그래프들은,
    최 외곽 동심원 띠(“섹터번호 띠” 라고 칭함.)의 각 섹터 위치를 따라 각각 번호가 부여되고, 해당 번호가 매겨진 각 섹터그래프의 명판을 상기 동심원 차트의 좌우에 배치하며, 설비의 운영상태 변화에 따른 상기 섹터그래프의 색상 변화에 따라 명판의 색상도 함께 변화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섹터그래프는,
    해당 설비의 운영상태가 점차 불안정한 상태로 변화하는 경우, 상기 동심원차트의 원주로 갈수록 색농도가 점차 높아지도록 표시하고, 상기 설비의 운영상태가 점차 양호한 상태로 변화하는 경우, 상기 동심원의 원주로 갈수록 색 농도가 점차 낮아지도록 표시하며, 상기 설비의 운영상태가 불안정한 진동을 반복하는 경우, 현재값을 나타내는 섹터그래프 외에도 진동범위에 해당하는 눈금 사이의 색농도를 구별하여 표시하도록 하며, 설비의 운영상태를 나타내는 계측값이 플랜트의 운전문맥에 비추어 비정상적인 값이 올라올 경우 해당 섹터그래프를 깜빡이게 하여 이상 상황들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심원차트는,
    동심원차트 상의 각 섹터나 섹터의 명판을 마우스로 클릭할 경우 다시 해당섹터가 나타내는 운영상태의 상세 운영 상태를 나타내는 하위의 동심원차트를 나타냄으로서 감시항목 수를 자유로이 증가 시킬 수 있으며, 최상위 동심원차트는 전체설비들의 취합 정보를 나타낼 수 있도록 계층구조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심원차트는,
    최 외곽의 섹터 번호를 나타내는 섹터번호 띠에 인접한 내측 동심원 띠 (“트립상태 표시 띠” 라고 칭함.)를 사용하여 같은 트립 로직 조건으로 함께 묶여 있는 섹터그래프들의 상기 트립상태 표시 띠 부분의 색상을 트립 로직의 진행상황에 해당하는 색상으로 동시에 함께 변화시킴으로서 해당 섹터그래프들이 나타내는 운영상태가 동일한 트립로직으로 함께 묶여 있는 것과 트립조건의 진행상황도 함께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지나간 시간의 설비 운영 상태들의 상세한 관찰을 위해 상기 동심원 차트들을 일정 시간 간격(time slice)으로 순차적으로 동시에 나타내거나, 경보나 트립 조건 리밋(Limit) 값들과 함께 추이를 나타내는 곡선을 동심원차트 옆에 추가하여 상황의 전개 과정 (Sequence of Events)과 이상상황의 원인 추적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8. (a) 복수 개의 설비의 운영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와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와;
    (b) 상기 정보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설비의 운영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설비의 운영상태를 상기 각 설비에 대응하는 동심원차트 상의 섹터내에 동심원차트의 중심을 원점으로 하는 부채꼴의 섹터그래프로 나타내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설비 운영상태 감시방법에 있어서,
    상기 그래프는 설비 운영상태가 불안정하거나 성능 저하가 심할수록 대응하는 그래프의 길이를 길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운영상태 감시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설비의 운영상태는,
    설비의 정상 운영 기준값, 요 주의 한계값, 경보 세팅값, 트립 세팅값 등을 기준으로 사용하여, 정상정지상태, 정상운영상태, 경계운영상태, 비상운영상태, 그리고 비상정지상태와 같이 명칭을 부여하여 구분할 수 있고, 각 상태별로 다시 원하는 섹터그래프의 정밀도에 따라 세분할 수 있으며,
    상기 각 섹터그래프는,
    해당 설비의 운영상태에 따라 색상을 지정하여 구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운영상태 감시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섹터그래프들은,
    각 섹터그래프의 위치에 해당하는 섹터번호 띠를 따라 번호가 부여되고, 해당 번호가 매겨진 각 그래프의 명판을 상기 동심원 차트의 좌우에 배치하며, 상기 그래프의 색상 변화에 따라 명판의 색상도 함께 변화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운영상태 감시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섹터그래프는,
    해당 설비의 운영상태가 점차 불안정한 상태로 변화하는 경우, 상기 동심원의 원주로 갈수록 색상의 농도가 점차 높아지게 표시하고: 상기 설비의 운영상태가 점차 양호한 상태로 변화하는 경우, 상기 동심원의 원주로 갈수록 색상의 농도가 점차 낮아지도록 표시하며; 설비의 운영상태가 불안정한 진동을 반복하는 경우, 현재값을 나타내는 섹터그래프에 중첩하여 진동하는 구간에 해당하는 동심원 사이의 색상농도를 구별하여 표시하도록 하며, 설비의 운영상태를 나타내는 계측값이 플랜트의 운전문맥에 비추어 비 정상적인 값이 올라올 경우 해당 섹터그래프와 명판을 깜빡이게 하여 이상 상황들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운영상태 감시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동심원차트는,
    동심원차트 상의 각 섹터나 섹터의 명판을 마우스로 클릭할 경우 다시 해당섹터가 나타내는 운영상태의 상세 운영 상태를 나타내는 하위의 동심원차트를 나타냄으로서 감시항목 수를 자유로이 증가 시킬 수 있으며, 최상위 동심원차트는 전체설비들의 취합 정보를 나타낼 수 있도록 계층구조로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운영상태 감시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지나간 시간의 설비 운영 상태들의 상세한 관찰을 위해 상기 동심원 차트들을 일정 시간 간격(time slice)으로 순차적으로 동시에 나타내거나, 경보나 트립 조건 리밋(Limit) 값들과 함께 추이를 나타내는 곡선을 POST 차트에 추가하여 상황의 전개 과정 (Sequence of Events)과 이상상황의 원인 추적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운영상태 감시 방법.
KR1020110086230A 2009-08-28 2011-08-29 섹터 그래프 기반 플랜트 및 건축물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12332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638A KR101047325B1 (ko) 2009-08-28 2009-08-28 건축물 및 플랜트의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WOPCT/KR2010/005772 2010-08-27
PCT/KR2010/005772 WO2011025293A2 (ko) 2009-08-28 2010-08-27 섹터 그래프 기반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231A true KR20120021231A (ko) 2012-03-08
KR101233264B1 KR101233264B1 (ko) 2013-02-14

Family

ID=4362862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0638A KR101047325B1 (ko) 2009-08-28 2009-08-28 건축물 및 플랜트의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20110086230A KR101233264B1 (ko) 2009-08-28 2011-08-29 섹터 그래프 기반 플랜트 및 건축물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0638A KR101047325B1 (ko) 2009-08-28 2009-08-28 건축물 및 플랜트의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1047325B1 (ko)
WO (1) WO2011025293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769B1 (ko) * 2012-11-19 2014-07-21 (주)나다에스앤브이 공장 관리 지수를 이용한 공장 상태 관리 시스템
US20140244006A1 (en) * 2013-02-28 2014-08-28 Seung-Chul Lee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operating statuses of facilities on the basis of graphical sector representation
KR101442754B1 (ko) * 2013-04-12 2014-09-25 한국동서발전(주) 종합 정보 제공을 위한 알람 시스템
KR20190043571A (ko) * 2016-10-14 2019-04-26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안내 정보 제시 시스템, 안내 정보 제시 방법,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안내 정보 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325B1 (ko) * 2009-08-28 2011-07-0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축물 및 플랜트의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WO2013123991A1 (en) 2012-02-23 2013-08-29 Abb Research Ltd A method for providing a navigation tool of a user interface for an industrial control system
US20150324106A1 (en) * 2014-05-06 2015-11-12 Brewer Science Inc. User interfa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displaying data
KR102338489B1 (ko) * 2014-10-31 2021-12-1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관제 문제 통보 방법 및 그 장치
KR101949197B1 (ko) * 2017-11-20 2019-02-18 이장묵 살충챔버 원격 모니터링 및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3859B2 (ja) * 1995-02-17 2006-04-05 株式会社東芝 プラント監視装置
KR100395265B1 (ko) * 2000-08-22 2003-08-21 (주)유니엔텍 환경기초시설의 통합운영관리를 위한 방법 및 그에 따르는 공정체계
KR20030021730A (ko) * 2001-09-07 2003-03-15 주식회사 왓츠웹 통신망을 통한 플랜트감시장치 및 방법
JP2007257190A (ja) * 2006-03-22 2007-10-04 Toshiba Corp 総合監視診断装置
KR100842789B1 (ko) * 2006-09-20 2008-07-01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디지털 그래픽 기반의 수배전반 시스템
KR20090001509A (ko) * 2007-04-20 2009-01-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변전소 모니터링 시스템
KR101047325B1 (ko) * 2009-08-28 2011-07-0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축물 및 플랜트의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769B1 (ko) * 2012-11-19 2014-07-21 (주)나다에스앤브이 공장 관리 지수를 이용한 공장 상태 관리 시스템
US20140244006A1 (en) * 2013-02-28 2014-08-28 Seung-Chul Lee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operating statuses of facilities on the basis of graphical sector representation
KR101442754B1 (ko) * 2013-04-12 2014-09-25 한국동서발전(주) 종합 정보 제공을 위한 알람 시스템
KR20190043571A (ko) * 2016-10-14 2019-04-26 미츠비시 히타치 파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안내 정보 제시 시스템, 안내 정보 제시 방법,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안내 정보 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7325B1 (ko) 2011-07-07
KR101233264B1 (ko) 2013-02-14
WO2011025293A2 (ko) 2011-03-03
WO2011025293A3 (ko) 2011-07-21
KR20110023050A (ko) 201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3264B1 (ko) 섹터 그래프 기반 플랜트 및 건축물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JP2014167765A (ja) セクターグラフ基盤設備の運営状態監視装置及びその方法
US9158035B2 (en) System and method of automated acquisition, correlation and display of power distribution grid operational parameters and weather events
EP3270250B1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monitoring of power generation units
KR20140130539A (ko) 원심 압축기들에 대한 실시간 성능 저하 경고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2013250695A (ja) プロセス監視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20266094A1 (en) Monitoring Process Control System
CN103576641A (zh) 用于监视操作过程单元中的资产的系统和方法
CA273191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et condition monitoring in electric power substation equipment
CN112365100A (zh) 基于灾害风险综合评估的电网灾害预警及应对方法
WO2006046251A2 (en) Detection system for rare situation in processes
CN102324066A (zh) 一种电力系统预警与评估指标的雷达图表示方法
CN113516819A (zh) 烟草仓库智能化电气火灾预警系统及方法
CN110209144A (zh) 基于动静协同差异分析的两层实时监测与报警溯源方法
CN115640860B (zh) 一种工业云服务的机电设备远程维护方法及系统
CN115017214B (zh) 水电站辅助设备运行状态分析预警方法、装置及存储介质
WO2024040738A1 (zh) 智慧园区管理方法及管理平台
CN114527717A (zh) 一种化工安全生产预警系统及其安全预警方法
CN114485796A (zh) 箱式变电站的在线状态监测自诊断系统
JP5725825B2 (ja) 管理装置
KR102512805B1 (ko) 상하수 처리 시설의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2543922A (ja) 分布図を通じた機器の予知保全方法
WO2019181572A1 (ja) 異常監視装置、異常監視方法、プログラム、制御装置およびプラント
WO2013079112A1 (en) Processing data of a technical system comprising several assets
CN110990657A (zh) 一种全流程可视化建模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