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2754B1 - 종합 정보 제공을 위한 알람 시스템 - Google Patents

종합 정보 제공을 위한 알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2754B1
KR101442754B1 KR1020130040217A KR20130040217A KR101442754B1 KR 101442754 B1 KR101442754 B1 KR 101442754B1 KR 1020130040217 A KR1020130040217 A KR 1020130040217A KR 20130040217 A KR20130040217 A KR 20130040217A KR 101442754 B1 KR101442754 B1 KR 101442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state
icon
color
be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0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호
Original Assignee
한국동서발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동서발전(주) filed Critical 한국동서발전(주)
Priority to KR1020130040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27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4Displays including an emergency or alarm mess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027/002Advertising message recorded in a memory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비의 상태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알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설비의 이름을 표시하는 네임부; 설비의 동작 상태를 컬러로 디스플레이하는 컬러부; 설비의 동작 상태에 따른 비프음을 발생시키는 비프부; 설비의 상태를 수치화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수치부; 설비의 로직을 디스플레이하는 로직 아이콘; 설비에 이상 발생시 설비의 이상에 대한 조치를 안내하는 리페어 아이콘; 시간에 따른 설비의 상태를 그래프로 도시하여, 동작의 추이를 디스플레이하는 트랜드 아이콘; 및 컬러 또는 비프음을 설정하는 인터페이스 아이콘을 포함하되, 로직 아이콘은 설비의 로직에서 이상이 발생한 부분을 확대 또는 점멸하여 표시하여, 설비의 로직에서 이상이 발생한 부분을 강조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종합 정보 제공을 위한 알람 시스템{ALARM SYSTEM FOR PROVIDING CONSOLIDATED INFORMATION}
본 발명은 설비의 상태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알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나 석유 화학 공장 등의 기간 산업 현장에서는 장치 및 설비에 각종 문제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중앙 제어실에서 중앙 모니터를 통하여 감시하게 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종합 정보 제공을 위한 알람 시스템이 적용된, 중앙 모니터의 인터페이스 화면 일부이다.
이러한, 중앙 모니터에서는 다양한 설비들을 하나의 화면에서 동시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단순 바둑판 알람(alarm) 또는 조밀한 문자로 순차적인 알람 정보를 제공하게 되는바, 작업자가 이러한 화면을 모니터링 함에 있어서 각 설비에서 발생하는 비상 상황을 직관적으로 인식하기 힘든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설비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알리는 종래 알람 시스템은 단편적으로 설비의 종류와 설비의 명칭만 나타내며, 설비의 이상 유무를 단순한 텍스트로 알리는 기술인바, 이러한 구조로는 모니터링하는 작업자의 이목을 집중시키기 힘든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는 '디지털 제어용 경보창의 경보 감시방법(공개 번호: 10-2007-0042435, 이하 '종래기술1'이라 한다)'이 있다. 종래기술1은 디지털 분산제어시스템으로 구성된 각종 플랜트나 공정 프로세스 설비의 운전상태를 감시하기 위해 경고음이 울리면서 각각의 화면창의 내용이 강조되어 나타나는 디지털 제어용 경보창의 경보 감시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종래기술1은 현장 설비의 각종 프로세스에 대한 문제가 발생되면, 각종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제어실의 운전 감시화면에 알람이 발생되고, 발생된 알람에 따라 경고음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면서 알람 우선순위 요약화면에 알람의 발생이 표시되고, 경보음 및 알람 발생 표시에 따라 관리자가 해당 우선순위에 해당하는 화면을 클릭하여 경보창 화면을 통해 발생된 알람에 대한 알람 발생 내용을 확인하여, 관련된 데이터 분석을 통해 알람 원인 분석 및 정상화 조치를 취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기술1은 설비의 상황에 따라 감시 모니터 화면에 컬러의 차이를 두고 알람음 역시 차이를 두고 있으나, 이러한 모니터 화면은 이상이 발생한 설비 위주로 작업자의 이목을 끄는 정도에만 그치는 기술에 불과하여, 작업자가 해당 설비의 어느 부분이 문제가 발생하였는지, 어떠한 방법으로 조치를 취할지에 대한 안내가 부족하였으며, 설비의 이상을 수치화하여, 설비 이상의 알람치에 도달하기 전 어 어느 정도 즉, 몇 퍼센트에 도달하였을 때 선행적으로 알람을 발생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종래기술1의 메인 그래픽은 수치값에 따른 우선순위만을 적용한 색으로 현재의 상황에 대한 정보만을 제공하고, 일반적으로 전용 알람 모니터에는 단순한 텍스트를 이용하여 설비의 상태에 대한 정보만을 알릴 수 있는 기술인바, 설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작업자는 중요 설비의 현재 값, 알람 값, 트립(trip) 값 및 기동 조건 등의 정보를 알기 힘든 문제점이 존재하였으며, 전용창의 단순하고 복잡하며 정리되지 않은 알람 정보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작업자 즉, 모니터링하는 운전원의 수행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까지 존재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종합 정보 제공을 위한 알람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가진다.
첫째, 다양한 설비의 상태를 나타내는 알람 시스템의 인터페이스를 작업자의 감시가 효율적으로 진행되도록 하고자 한다.
둘째, 설비의 동작 유무뿐만 아니라 설비의 이상 유무 및 이상의 정도에 따라 다양한 비프음 및 컬러로 작업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는 알람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설비의 이상 발생시 설비의 동작의 최근 추이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알람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넷째, 설비의 이상 발생시 설비의 로직 중에서 어느 로직에 문제가 발생하였는지 알 수 있도록 하는 알람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섯째, 설비의 이상 발생시 설비에 대한 원인, 현상, 조치를 안내할 수 있는 알람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여섯째, 메인 그래픽의 각 설비에 대한 정보 아래에 해당 알람 치, 트립(trip) 치 및 기동 조건 등을 상시 표현하고자 한다.
일곱째, 정형화된 그래픽의 구성을 벗어나 시스템별로 중요한 포인트 그룹으로 영역을 구분하는 화면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종합 정보 제공을 위한 알람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종합 정보 제공을 위한 알람 시스템은 설비의 상태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알람 시스템으로서, 설비의 이름을 표시하는 네임부; 설비의 동작 상태를 소정의 컬러로 디스플레이하는 컬러부; 및 설비의 동작 상태에 따른 소정의 비프음을 발생시키는 비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종합 정보 제공을 위한 알람 시스템의 동작 상태는 설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운행 상태, 설비의 운행이 정지된 정지 상태를 포함하되, 컬러부가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소정의 컬러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종합 정보 제공을 위한 알람 시스템은 동작 상태가 운행 상태인 경우에는 소정의 컬러는 적색이며, 동작 상태가 정지 상태인 경우에는 소정의 컬러는 녹색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종합 정보 제공을 위한 알람 시스템은 설비의 상태를 수치화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수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종합 정보 제공을 위한 알람 시스템의 컬러부는 수치부가 수치화한 설비의 상태에 따라 상이한 컬러를 디스플레이하며, 비프부는 수치부가 수치화한 설비의 상태에 따라 상이한 비프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종합 정보 제공을 위한 알람 시스템은 클릭하면, 설비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으며, 설비의 운행 결과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아이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종합 정보 제공을 위한 알람 시스템의 아이콘은 클릭하면, 설비의 로직을 디스플레이하는 로직 아이콘; 클릭하면, 설비에 이상 발생시 설비의 이상에 대한 조치를 안내하도록 하는 리페어 아이콘; 클릭하면, 시간에 따른 설비의 상태를 그래프로 도시하여, 설비의 동작의 추이를 디스플레이하는 트랜드 아이콘; 및 클릭하면, 설비의 이름, 소정의 컬러 또는 소정의 비프음을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아이콘을 포함하되, 로직 아이콘은 설비의 로직에서 이상이 발생한 부분을 확대 또는 점멸하여 표시하여, 설비의 로직에서 이상이 발생한 부분을 강조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종합 정보 제공을 위한 알람 시스템은 수치부에 의해 설비의 상태를 나타내는 수치의 임계치를 설정하도록 하는 수치 설정부를 더 포함하되, 비프부는 임계치의 각 퍼센트율에 따라 상이한 비프음을 발생시키며, 컬러부는 임계치의 각 퍼센트율에 따라 상이한 컬러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종합 정보 제공을 위한 알람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알람 시스템은 설비의 상태에 따라 정해진 컬러와 정해진 비프음 및 음성을 다양하게 발생시키는바, 복잡한 설비 모니터링 화면을 통해서도 작업자의 감시가 효율적으로 진행되도록 한다.
둘째, 작업자는 트랜드 아이콘의 클릭으로 설비의 상태를 알 수 있는바, 설비의 최근 추이를 통하여 설비의 정비주기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셋째, 작업자는 로직 아이콘을 클릭하여, 설비의 이상 발생시 설비의 로직 중에서 어느 로직에 문제가 발생하였는지 알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넷째, 작업자는 리페어 아이콘을 클릭하여, 설비의 이상 발생시 설비에 대한 조치를 즉각적으로 안내받을 수 있는바, 설비를 이상이 발생한 설비에 대해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다섯째, 메인 그래픽 화면 각각의 그래픽 모자이크에 해당 기기 및 값의 보충 정보를 제공해서, 현재 값 대비 알람 값을 비교 분석 판단할 수 있는바, 알람 치, 트립 치 기동 조건에 대한 운영 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종합 정보 제공을 위한 알람 시스템이 적용된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종합 정보 제공을 위한 알람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각 부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합 정보 제공을 위한 알람 시스템을 통해 설비의 동작과 정지 상태를 컬러와 비프음을 통해 알리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합 정보 제공을 위한 알람 시스템을 통해 설비의 상태에 대한 임계치를 설정하고, 임계치에 대한 임의의 백분율에 도달시 컬러와 비프음 등으로 알람을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로직 아이콘, 도 5(b)는 리페어 아이콘, 도 5(c) 및 도 5(d)는 트랜드 아이콘, 그리고, 도 5(e)는 인터페이스 아이콘을 각각 클릭한 경우, 각각 이들 아이콘들의 기능이 실행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종합 정보 제공을 위한 알람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종합 정보 제공을 위한 알람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종합 정보 제공을 위한 알람 시스템이 적용된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종합 정보 제공을 위한 알람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각 부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합 정보 제공을 위한 알람 시스템을 통해 설비의 동작과 정지 상태를 컬러와 비프음을 통해 알리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합 정보 제공을 위한 알람 시스템을 통해 설비의 상태에 대한 임계치를 설정하고, 임계치에 대한 임의의 백분율에 도달시 컬러와 비프음 등으로 알람을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로직 아이콘, 도 5(b)는 리페어 아이콘, 도 5(c) 및 도 5(d)는 트랜드 아이콘, 그리고 도 5(e)는 인터페이스 아이콘을 각각 클릭한 경우, 각각 이들 아이콘들의 기능이 실행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종합 정보 제공을 위한 알람 시스템(10)은 네임부(11); 컬러부(도면 부호 10의 배경 컬러); 및 비프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임부(11)는 해당 시스템(10)이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대상 즉, 설비의 종류를 나타낸다. 네임부(11)는 해당 설비를 이루는 기기, 장치 등의 이름을 영문 또는 국문 등으로 표시하며, 해당 시스템이 표시하는 인터페이스가 어떤 설비를 대상으로 삼고 있는지 표시하게 된다.
도 2와 같이, 네임부(11)는 예시적으로 "Cond. Vac."와 같이 이름을 표시하고 있으며, 이는 해당 설비의 이름을 나타내며, 작업자가 본 발명의 네임부(11)를 통하여 해당 설비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네임부(11)가 시스템(10) 내에서 배치되는 위치나 크기 등에 대해서는 제한이 없으며, 작업자가 모니터링이 편하도록 디스플레이하면 족하다.
컬러부는 설비의 동작 상태를 소정의 컬러로 디스플레이하는 구성 요소이다. 컬러부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비가 회전 기기(예를 들어, 모터)라면, 회전 기기의 동작이 시작되는 단계에서는 소정의 컬러, 예를 들어, 녹색 동그라미 A가 적색 동그라미 A로 변경되어, 설비 즉, 회전 기기의 동작이 시작되어 진행중에 있음을 컬러를 통하여 모니터링하는 작업자에게 직관적으로 인식시킨다.
물론 여기서 소정의 컬러는 설비의 동작 상태를 컬러로 나타내기 위한 색상을 의미하며, 본 발명을 실시하려는 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도 3(a)에 도시된 것은 회전 기기가 정지된 상태에서 동작이 진행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이에 대한 컬러의 표시는 녹색에서 적색으로 변경하는 것을 작업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정지 상태에 대한 컬러를 적색으로 하고, 동작 상태를 녹색으로 표시해도 무방하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작업자의 직관적 인식을 돕기 위하여, 동작 상태가 불안정한 상태임을 고려하여, 적색으로 표시하고, 정지 상태가 상대적으로 안정된 상태임을 고려하여, 녹색으로 표시하도록 하였다.
반대로, 도 3(b)의 경우는 회전 기기가 동작 상태에서 정지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인데, 전체적으로는 녹색이며 동그라미 A가 적색인 것은 정상적으로 동작 상태임을 의미하다가, 정지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에는 배경 컬러는 적색으로 변경된 뒤, 적색의 모자이크 컬러는 일정 시간 동안 점멸 기능을 수행한 후, 다시 배경 모자이크 컬러는 녹색으로 변경되고, 모니터링하는 작업자의 해당 설비의 동작 상태를 컬러를 통하여, 직관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비프부는 컬러부와 독립적으로 작동하지 않으며 컬러부가 설비의 동작 상태를 소정의 컬러로 디스플레이할 때마다, 설비의 동작 상태에 따른 소정의 비프음을 발생시키게 되어, 모니터링하는 작업자의 청각을 통해 설비의 동작 상태에 대한 직관적 인식을 돕는다.
예를 들어, 도 3(a)의 경우에는 회전 기기가 정지 상태에서 동작 상태로 변할 때에는 소정의 비프음 예를 들어, "삐~"와 같은 비프음을 내며, 컬러부와 연동할 수 있다. 물론 여기서의 소정의 비프음은 설비의 동작 상태를 알리기 위한 효과음으로서 본 발명을 실시하는 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종합 정보 제공을 위한 알람 시스템은 해당값을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수치부(12, 13, 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치부(12, 13, 14)는 설비의 상태 즉, 설비의 값을 수치화하여 디스플레이하는데, 설비의 상태를 수치화하는 것은 설비가 예를 들어 회전 기기라면, 회전 기기의 동작 상태 즉, 회전 속도, 회전 가속도 또는 토크 등을 수치화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온도를 표시한다면 해당 기기의 실시간 온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치부(12)는 예시적으로 회전 속도, 수치부(13)는 트립(trip)치 또는 회전 가속도일 수 있으며, 수치부(14)는 회전 기기의 알람치 또는 토크치 등을 수 있다. 이들 수치부(12, 13, 14)는 도 2에 도시된 예시에 한정할 것은 아니며, 설비의 다양한 동작 상태를 나타내기 위하여 다양한 수치를 도입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수치부(13)는 해당기기의 위험(trip) 치 조건을 운전원에게 제공함으로써, 현재 값(수치부(12))과 실시간으로 비교할 수 있도록 하며, 정상적인 운전 상황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치부(14)는 해당기기의 경보(alarm) 치 조건을 운전원에게 제공함으로써 현재값(수치부(12))과 실시간으로 비교할 수 있도록 한다. 수치부(12, 13, 14)는 도 2에 도시된 것에 한정할 것은 아니며, 다양한 수치를 도입하기 위해 변형 사용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수치부(12, 13, 14)와 컬러부 그리고 비프부는 상호간에 연동되어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수치부(12, 13, 14)가 상술한 바와 같이, 설비의 동작 상태를 수치로 표시하는 경우, 컬러부는 수치부가 수치화한 설비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이한 컬러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또한 비프부는 수치부가 수치화한 설비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이한 비프음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시스템(10)은 수치 설정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는데, 수치 설정부는 수치부(12, 13, 14)에 의해 설비의 상태를 나타내는 수치의 임계치를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비프부는 임계치의 각 퍼센트율에 따라 상이한 비프음을 발생시키며, 컬러부는 임계치의 각 퍼센트율에 따라 상이한 컬러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도 4(a)는 임계치 즉 알람값을 설정한 후, 해당 설비 즉, 회전 기기의, 예를 들어, 회전 속도의 연간 평균치와 회전 속도의 임계치까지의 범위에서 30% 이상을 초과하고 임계치의 100%까지 도달시를 녹색→황색으로 나타내며,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임계치의 퍼센트율에 따라 비프음을 달리하여 발생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회전 기기의 특정 부위의 온도, 예를 들어 연간 해당값(수치부(12))의 최고치와 경보값(수치부(14))까지의 범위에서 30%이상 초과하면 해당 기기의 모자이크 컬러가 황색으로 표시되고 선행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도 4(b)는 임계치 도달시부터 임계치의 170%까지에 대해 황색→적색 점멸을 나타내며, 이에 따라 도 4(a)와 다른 비프음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또한 도 4(b)는 임계치의 170%초과시부터 적색 점멸→적색 유지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4(a), 도 4(b)의 경우와 상이한 비프음을 발생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해당기기의 온도가 실시간 해당값(수치부(12))이 경보값(수치부(12))을 초과하면, 해당기기의 모자이크 컬러가 황/적 색으로 점멸되고 주의 경보음을 발생시킨다.
도 4(c)를 참고하면, 위험(trip)값을 설정한 후, 해당 설비 즉, 회전기기의 특정 부위의 온도 즉 예를 들어 경보값(수치부(14))의 최고치와 위험(trip)값 까지의 범위에서 실시간 해당값(수치부(12))이 70%이상을 초과하면 해당기기의 모자이크 컬러가 적색으로 표시되고 위험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우는 예시적인 것이며, 이들 컬러의 선택과 비프음의 선택은 본 발명을 실시하고자 하는 자의 임의에 따라 변경 가능한 것임은 물론인바, 도4에 예시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에 따른, 종합 정보 제공을 위한 알람 시스템은 아이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이콘(도 2의 L, S, T, t, U)은 클릭하는 경우, 설비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며, 설비의 운행 결과에 대한 데이터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아이콘은 로직 아이콘(L); 리페어 아이콘(S); 트랜드 아이콘(T, t); 및 인터페이스 아이콘(U)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로직 아이콘(L)은 클릭하면, 설비를 구성하고 있는 로직 즉, 회로도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로직 아이콘은 설비의 로직에서 이상이 발생한 부분을 확대 또는 점멸하여 표시하여, 설비의 로직에서 이상이 발생한 부분을 강조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한다.
리페어 아이콘(S)은 클릭하면, 설비에 이상 발생시 설비의 이상에 대한 조치를 안내하도록 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콘 클릭하면, 1. suction 및 discharge GATE W 확인 등에 대한 안내 즉, 운전원으로 하여금 판단 및 대처 방안에 대한 안내가 나오며, 이는, 로직 아이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로직의 확대 또는 점멸 표시된 부분에 대한 안내 조치로서, 리페어 아이콘(S)은 로직 아이콘(L)와 연동된다. 또한 해당값(수치부(12))이 주의 또는 위험값에 도달하게 되면 운전원에게 이에 대한 원인, 현상 및 조치 내용에 대한 것을 알려준다.
트랜드 아이콘(T, t)은 클릭하면, 시간에 따른 설비의 상태를 그래프로 도시하여, 설비의 동작의 추이를 디스플레이한다.
설비의 상태란, 설비가 회전 기기인 경우에는 회전 속도 등에 대해 일정 시간 동안의 회전 속도 변화의 추이를 나타내도록 할 수 있으며, 이는 도 5(d)와 같이, 5일 이동 평균선, 30일 이동 평균선, 100일 이동평균선 등으로 도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회전 속도의 추이를 도시함으로써 모니터링하는 작업자는 설비의 일반적인 동작 진행중에 어느 시점에서 설비의 이상 유무가 발생하였는지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월별 적산 값을 제공하며, 정비 주기에 대한 자료를 제공한다. 트랜드 아이콘(T, t)은 로직 아이콘(L)과 연동되어 로직 아이콘(L)이 확대 또는 점멸로 표시된 부분의 상태의 추이를 도시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 아이콘(U)은 클릭하면, 임의로 설비의 이름, 소정의 컬러 또는 소정의 비프음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종합 정보 제공을 위한 알람 시스템
11: 네임부
12, 13, 14: 수치부

Claims (8)

  1. 설비의 상태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알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설비의 이름을 표시하는 네임부;
    상기 설비의 동작 상태를 소정의 컬러로 디스플레이하는 컬러부; 및
    상기 설비의 동작 상태에 따른 소정의 비프음을 발생시키는 비프부를 포함하고,
    클릭하면, 상기 설비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설비의 운행 결과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아이콘을 더 포함하며,
    상기 아이콘은,
    클릭하면, 상기 설비의 로직을 디스플레이하는 로직 아이콘;
    클릭하면, 상기 설비에 이상 발생시 상기 설비의 이상에 대한 조치를 안내하도록 하는 리페어 아이콘;
    클릭하면, 시간에 따른 상기 설비의 상태를 그래프로 도시하여, 상기 설비의 동작의 추이를 디스플레이하는 트랜드 아이콘; 및
    클릭하면, 상기 설비의 이름, 상기 소정의 컬러 또는 상기 소정의 비프음을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아이콘을 포함하되,
    상기 로직 아이콘은,
    상기 설비의 로직에서 이상이 발생한 부분을 확대 또는 점멸하여 표시하여, 상기 설비의 로직에서 이상이 발생한 부분을 강조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정보 제공을 위한 알람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상태는,
    상기 설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운행 상태, 상기 설비의 운행이 정지된 정지 상태를 포함하되,
    상기 컬러부가 상기 동작 상태에 대응하는 소정의 컬러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정보 제공을 위한 알람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상태가 운행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컬러는 적색이며,
    상기 동작 상태가 정지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소정의 컬러는 녹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정보 제공을 위한 알람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설비의 상태를 수치화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수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정보 제공을 위한 알람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부는,
    상기 수치부가 수치화한 상기 설비의 상태에 따라 상이한 컬러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비프부는,
    상기 수치부가 수치화한 상기 설비의 상태에 따라 상이한 비프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정보 제공을 위한 알람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수치부에 의해 상기 설비의 상태를 나타내는 수치의 임계치를 설정하도록 하는 수치 설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비프부는,
    상기 임계치의 각 퍼센트율에 따라 상이한 비프음을 발생시키며,
    상기 컬러부는,
    상기 임계치의 각 퍼센트율에 따라 상이한 컬러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정보 제공을 위한 알람 시스템.
KR1020130040217A 2013-04-12 2013-04-12 종합 정보 제공을 위한 알람 시스템 KR101442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217A KR101442754B1 (ko) 2013-04-12 2013-04-12 종합 정보 제공을 위한 알람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217A KR101442754B1 (ko) 2013-04-12 2013-04-12 종합 정보 제공을 위한 알람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2754B1 true KR101442754B1 (ko) 2014-09-25

Family

ID=51760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0217A KR101442754B1 (ko) 2013-04-12 2013-04-12 종합 정보 제공을 위한 알람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27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2435A (ko) * 2006-01-05 2007-04-23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디지털 제어용 경보창의 경보 감시방법
KR101094195B1 (ko) * 2010-08-24 2011-12-14 박기주 2차원 코드 및 관리서버를 이용한 전력설비 관리방법과 그 시스템
KR101108827B1 (ko) * 2009-03-06 2012-01-31 (주)이랜서 설비 가동시간 및 상태 취득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21231A (ko) * 2009-08-28 2012-03-08 네트인텔리젠스 주식회사 섹터 그래프 기반 플랜트 및 건축물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2435A (ko) * 2006-01-05 2007-04-23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디지털 제어용 경보창의 경보 감시방법
KR101108827B1 (ko) * 2009-03-06 2012-01-31 (주)이랜서 설비 가동시간 및 상태 취득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21231A (ko) * 2009-08-28 2012-03-08 네트인텔리젠스 주식회사 섹터 그래프 기반 플랜트 및 건축물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1094195B1 (ko) * 2010-08-24 2011-12-14 박기주 2차원 코드 및 관리서버를 이용한 전력설비 관리방법과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68784B2 (ja) プロセス監視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3000765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control system for aircraft refueling trucks
EP2626758A2 (en) Methods for collaboratively assisting a control room operator
US10395222B2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7206834B1 (en) Industrial controller for machine tools, robots and/or production machines
CN206948490U (zh) 视频监控运行状态实时在线可视化监测应急系统
JP5694297B2 (ja) 警報管理システム
EP3953774B1 (de) Vorrichtung zum auffinden von alarmursachen
WO2014201853A1 (zh) 一种工厂控制系统的人机界面显示操作方法及组态系统
US11474513B2 (en) Common visualization of process data and process alarms
CN105785867A (zh) 一种基于ast2400远程管理的机房设备快速定位方法
JP2009009300A (ja) バッチプロセス解析システムおよびバッチプロセス解析方法
US8219255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 electrical installation
KR101442754B1 (ko) 종합 정보 제공을 위한 알람 시스템
KR20070042435A (ko) 디지털 제어용 경보창의 경보 감시방법
CN110543406A (zh) 一种基于工业人机界面显示处理报警信息的方法及装置
WO2007121212A3 (en) System management human-machine interface
CN107957719B (zh) 机器人及其异常监控方法和装置
KR102076754B1 (ko) 제어로직 진단 시스템 및 그의 진단 방법
JP5906581B2 (ja) 障害情報表示装置、障害情報表示方法、および障害情報表示プログラム
JP2012008649A (ja) 状態表示装置及び状態表示方法
KR20150117325A (ko) 발전설비용 서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통합 플랫폼 제어장치
JP2008009499A (ja) 表示器
CN112785006A (zh) 机器设备状态监控系统与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H10160894A (ja) マンマシンインタフェー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