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7325A - 발전설비용 서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통합 플랫폼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발전설비용 서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통합 플랫폼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7325A
KR20150117325A KR1020140042313A KR20140042313A KR20150117325A KR 20150117325 A KR20150117325 A KR 20150117325A KR 1020140042313 A KR1020140042313 A KR 1020140042313A KR 20140042313 A KR20140042313 A KR 20140042313A KR 20150117325 A KR20150117325 A KR 20150117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ly warning
unit
display unit
information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2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8603B1 (ko
Inventor
왕민석
Original Assignee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2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8603B1/ko
Publication of KR20150117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7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각각의 서버마다 접속 IP 주소 및 호스트 명칭을 알고 있지 않아도 전체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통일시키며, 발전설비운전화면의 계층적 구조가 표준화되도록 하는, 발전설비용 서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통합 플랫폼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발전운전정보 시스템과 조기경보 시스템과 발전설비성능관리 시스템과 지능형 조기경보엔진과 사용자 개발화면 시스템의 정보를 연계하기 위한 시스템 연계부와, 상기한 조기경보시스템에서 발생된 경보를 상기한 시스템 연계부를 통하여 받아들여서 호기별, 설비별로 발생현황을 표시하기 위한 조기경보시스템 경보발생 표시부와, 상기한 조기경보시스템 경보발생 표시부와 시스템 연계부에서 선택된 시스템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 컨텐츠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발전설비용 서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통합 플랫폼 제어장치{Device for controlling unified platform of user interface for power plant}
이 발명은 발전설비용 서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통합 플랫폼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세부적으로 말하자면 각각의 서버마다 접속 IP 주소 및 호스트 명칭을 알고 있지 않아도 전체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통일시키며, 발전설비운전화면의 계층적 구조가 표준화되도록 하는, 발전설비용 서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통합 플랫폼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력을 생성하기 위한 발전 설비들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서버가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발전설비용 서버들은, 각각의 서버마다 접속 IP 주소 및 호스트 명칭을 알고 있어야 전체적인 사용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발전설비용 서버들은 서버 관리자, 시스템 운영자가 각각 달라서 그래픽 구성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가 통일되어 있지 못하고, 발전설비운전화면은 계층적 구조가 비표준화되어 있어서 사용자에게 혼란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각의 서버마다 접속 IP 주소 및 호스트 명칭을 알고 있지 않아도 전체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통일시키며, 발전설비운전화면의 계층적 구조가 표준화되도록 하는, 발전설비용 서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통합 플랫폼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구성은, 발전운전정보 시스템과 조기경보 시스템과 발전설비성능관리 시스템과 지능형 조기경보엔진과 사용자 개발화면 시스템의 정보를 연계하기 위한 시스템 연계부와, 상기한 조기경보시스템에서 발생된 경보를 상기한 시스템 연계부를 통하여 받아들여서 호기별, 설비별로 발생현황을 표시하기 위한 조기경보시스템 경보발생 표시부와, 상기한 조기경보시스템 경보발생 표시부와 시스템 연계부에서 선택된 시스템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 컨텐츠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시스템 연계부는, 호기마다의 컨텐츠 구성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발전소 호기 정보 표시부와, 호기별로 분산되어진 각각 시스템과 시스템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각각의 그래픽을 연계시키기 위한 독립 시스템 연계부와, 선택되어진 호기의 모든 컨텐츠를 트리구조로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 메뉴구조 트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사용자가 시스템 연계부의 탭, 클릭만으로 시스템에 자동 접속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조기경보시스템 경보발생 표시부에 표시된 숫자를 사용자가 마우스로 클릭하게 되면, 상기한 시스템 연계부는 상호 연관되어 있는 조기경보시스템에 구축되어 있는 감시화면 계층적 구조(메뉴)를 기 정의된 구조로 나열하고, 상기한 시스템 컨텐츠 표시부는 기 정의된 감시화면을 표시하여 주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은, 각각의 서버마다 접속 IP 주소 및 호스트 명칭을 알고 있지 않아도 전체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통일시키며, 발전설비운전화면의 계층적 구조가 표준화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설비용 서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통합 플랫폼 제어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설비용 서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통합 플랫폼 제어장치의 시스템 연계부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설비용 서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통합 플랫폼의 구성도이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제시된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또한, 본원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만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일예로서, 방향에 관한 용어는 설명상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상에 표현된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하기로 한다.
도 1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설비용 서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통합 플랫폼 제어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설비용 서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통합 플랫폼 제어장치의 구성은, 발전운전정보 시스템(10)과 조기경보 시스템(20)과 발전설비성능관리 시스템(30)과 지능형 조기경보엔진(40)과 사용자 개발화면 시스템(50)의 정보를 연계하기 위한 시스템 연계부(200)와, 상기한 조기경보시스템(20)에서 발생된 경보를 상기한 시스템 연계부(200)를 통하여 받아들여서 호기별, 설비별로 발생현황을 표시하기 위한 조기경보시스템 경보발생 표시부(100)와, 상기한 조기경보시스템 경보발생 표시부(100)와 시스템 연계부(200)에서 선택된 시스템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 컨텐츠 표시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발전운전정보 시스템(10)은 발전소 운전에 관련된 모든 데이터(온도, 압력, 유량, 수위위치, 제어량 등)를 발전소 제어시스템(DCS)에서 전송받아 발전소 관계자(운전원, 기술원 등)가 발전설비 운영이 가능하도록 기기별, 설비별, 계통별로 화면(그래픽)을 구성하여 온도, 압력, 유량, 진동, 전류, 제어량 등의 운전 상태를 나타내주는 시스템으로서 모든 데이터는 데이터 베이스화 처리가 되어 있다.
상기한 조기경보 시스템(20)은 발전운전정보시스템(10)에서 전송받은 데이터중 유사관계가 높은 데이터를 서로 비교 및 조건을 통해서, 발전소 제어시스템(DCS)에서 기 구성된 경보로직에서 경보가 발생되기 전에 선행 경보가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발전소 운전원으로 하여금 신속한 인지 및 조치가 가능하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설비별, 계통별로 경보조건 로직에 조기경보가 발생하도록 되어 있으며, 발생된 경보는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통계처리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발전설비성능관리 시스템(30)은 발전운전정보시스템(10)에서 성능계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받아 발전소 각 단위 설비별, 계통별, 종합적으로 발전소 성능계산 기준에 의거, 계산하고 실시간으로 그 데이터를 제공하여 주는 시스템이다.
상기한 지능형 조기경보엔진(40)은 정상적으로 운전된 일정기간의 운정상태정보를 발전운전정보 시스템(10)에서 데이터를 전송받아, 각 기기별로 운전되는 상태 데이터를 발전소 출력, 대기온도, 또는 유사성이 높은 설비의 운전 데이터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하여, 발전소 출력과 온도에 따른 기기의 운전패턴을 추출하여, 이를 학습한 후 현재의 운전정보와의 비교를 통해서 일정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경보가 발생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상기한 사용자 개발화면 시스템(50)은 발전운전정보시스템(10)을 기반으로 사용자가 담당설비의 운전 상태를 분석하기가 용이하도록 여러 데이터를 재구성하거나, 조건 등을 추가, 확장하여 발전운전정보 시스템(10)의 감시화면을 재구성한 것이다.
상기한 조기경보시스템 경보발생 표시부(100)는 조기경보시스템(20)에서 발생한 호기별, 설비별 경보발생 횟수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한 조기경보시스템 경보발생 표시부(100)에 표시된 숫자를 사용자가 마우스로 클릭하게 되면, 상기한 시스템 연계부(200)는 상호 연관되어 있는 조기경보시스템(20)에 구축되어 있는 감시화면 계층적 구조(메뉴)를 기 정의된 구조로 나열하고, 상기한 시스템 컨텐츠 표시부(300)는 기 정의된 감시화면을 표시하여 준다.
상기한 시스템 연계부(200)는 각 데이터 고유의 태그번호를 시스템이 달라도 같은 동일한 태그번호를 사용함으로써 한 시스템에서 사용된 태그번호를 통해 시스템간, 호기간 데이터 연계가 가능하고, 태그번호에는 호기별, 설비별, 기기별 식별이 가능하도록 속성이 부여되어 호기별, 계통별, 기기별로 통계처리가 가능하고, 각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하는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분류가 가능하도록 태그번호를 생성하기 때문에 시스템간 연계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시스템에 있는 데이터베이스 조건검색 등을 통해 각 시스템에서 필요한 데이터 추출이 가능하다.
도 2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설비용 서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통합 플랫폼 제어장치의 시스템 연계부(200)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설비용 서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통합 플랫폼 제어장치의 시스템 연계부(200)의 구성은, 호기마다의 컨텐츠 구성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발전소 호기 정보 표시부(210)와, 호기별로 분산되어진 각각 시스템과 시스템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각각의 그래픽을 연계시키기 위한 독립 시스템 연계부(220)와, 선택되어진 호기의 모든 컨텐츠를 트리구조로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 메뉴구조 트리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독립된 시스템 연계부(220)는 각각의 독립된 시스템인 발전운전정보시스템(10), 조기경보시스템(20), 발전성능관리시스템(30), 사용자 개발화면 시스템(40), 지능형조기경보엔진(40)을 연계하기 위한 것으로 것이다. 사용자는 시스템 연계부(200)의 탭, 클릭만으로 시스템에 자동 접속되기 때문에 호스트 명칭(Host Name)이나 IP 주소를 알 필요가 없으며, 최초 프로그램 설치시 자동 설정되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독립된 시스템 연계부(220)는 발전소 호기정보 표시부(210)와 연계되어 사용자가 발전소 호기 숫자만을 클릭하는 것만으로 각 독립시스템에서 선택되어진 호기 정보만을 독립된 시스템 연계부(220)의 데이터 베이스(Database)에서 추출되어 표시해준다. 즉 발전소 호기정보 표시부(210)에서 호기 번호를 사용자가 클릭하게 되면 하단의 독립 시스템 연계부(220)에서는 선택되어진 호기의 모든 컨텐츠를 기 구성된 각 시스템의 메뉴 구조 트리부(230)에 표시하여 준다.
상기한 발전소 호기정보 표시부(210)에서는 각 시스템에 구축된 해당 호기의 시스템 컨텐츠(시스템 컨텐츠 표시부(300)에 표시되는 컨텐츠)가 타 호기와 비교하여 해당 컨텐츠가 타 호기에도 존재할 경우에는 발전소 호기정보 표시부(210)의 호기 숫자 배경색을 다르게 표시함으로써 보여지고 있는 컨텐츠가 타호기에 존재하거나, 없음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하여 호기마다의 컨텐츠 구성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하여, 어떠한 컨텐츠가 호기마다 구성되어 있는지를 사용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하며, 또한 호기간에 구성되어진 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하여 쉽게 비교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발전소 여러 호기에 구성되어진 각 시스템의 컨텐츠를 통합된 플랫폼에서 발전소 전 호기에 구축되어진 각종 운전 및 분석정보 구성여부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고, 쉽게 타 시스템과의 연계가 가능하게 되어 발전설비 운영측면에서 정보검색 시간을 줄임으로서 운영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각각의 시스템에 구축된 계층적 구조로 정의된 정보 즉 개발 감시 및 분석화면(컨텐츠)을 데이터 베이스(Database)화하고, 발전소 호기 정보 표시부(210)에 호기에 대한 계층적 구조의 동일레벨의 컨텐츠 유, 무를 판단할 수 있도록 연산 처리하여 그 정보를 호기 숫자에 음영으로 표시하고, 호기(숫자로 표시)를 클릭시 선택된 호기의 각각의 발전운전정보시스템(10), 조기경보시스템(20), 발전성능관리시스템(30), 사용자 개발화면 시스템(40), 지능형조기경보엔진(40)의 구조를 표시하고, 시스템 컨텐츠 표시부(300)에 표시된 호기와 동일레벨의 컨텐츠를 선택된 호기의 컨텐츠로 자동 연계하여 표시한다.
도 3은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설비용 서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통합 플랫폼의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전설비용 서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통합 플랫폼은, ① 의 위치에 조기경보 알람 탭 항목을 구성하여 각 호기에 구성된 조기경보 알고리즘에 발생된 경보 카운터를 표시하고, ②의 위치에 조기경보시스템 업데이트 항목을 구성하여 조기경보 시스템 프로그램이 업데이트되었음을 표시하고, ③의 위치에 EPI Center 항목을 구성하여 과거 운전자료 학습된 패턴과 비교하여 발생되는 경보 카운터를 표시하고, ④의 위치에 PI 서버 시간 항목을 구성하여 각 서버들의 시간을 표시하고, ⑤의 위치에 호기를 표시하고, ⑦의 위치에 각 호기의 호기표시 활성화시에 그 호기에 해당되는 동일 계층화면으로 이동하고, ⑥의 위치에 메뉴표시 항목을 구성하여 발전운전정보 시스템(OIS), 보조 시스템(AUX), 사용자개발화면 시스템(CUST)의 트리 메뉴를 표시하고, ⑧의 위치에 ⑦에 해당되는 트렌드(Trend)를 표시하고, ⑨의 위치에 ⑦에 해당되는 그룹의 EPI Center를 표시하고, ⑩의 위치에 ⑦에 해당되는 조기경보 알고리즘 페이지를 표시하고, ⑪의 위치에 현재 보고 있는 화면(컨텐츠)을 초기화면으로 변경할 수 있는 항목을 표시하고, ⑫의 위치에 현재 화면에 해당되는 페이지의 조기경보 발생사항을 표시한다.
100 : 조기경보시스템 경보발생 표시부
200 : 시스템 연계부
300 : 시스템 컨텐츠 표시부

Claims (4)

  1. 발전운전정보 시스템과 조기경보 시스템과 발전설비성능관리 시스템과 지능형 조기경보엔진과 사용자 개발화면 시스템의 정보를 연계하기 위한 시스템 연계부와,
    상기한 조기경보시스템에서 발생된 경보를 상기한 시스템 연계부를 통하여 받아들여서 호기별, 설비별로 발생현황을 표시하기 위한 조기경보시스템 경보발생 표시부와,
    상기한 조기경보시스템 경보발생 표시부와 시스템 연계부에서 선택된 시스템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 컨텐츠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설비용 서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통합 플랫폼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시스템 연계부는,
    호기마다의 컨텐츠 구성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발전소 호기 정보 표시부와,
    호기별로 분산되어진 각각 시스템과 시스템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각각의 그래픽을 연계시키기 위한 독립 시스템 연계부와,
    선택되어진 호기의 모든 컨텐츠를 트리구조로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 메뉴구조 트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설비용 서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통합 플랫폼 제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시스템 연계부의 탭, 클릭만으로 시스템에 자동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설비용 서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통합 플랫폼 제어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한 조기경보시스템 경보발생 표시부에 표시된 숫자를 사용자가 마우스로 클릭하게 되면, 상기한 시스템 연계부는 상호 연관되어 있는 조기경보시스템에 구축되어 있는 감시화면 계층적 구조(메뉴)를 기 정의된 구조로 나열하고, 상기한 시스템 컨텐츠 표시부는 기 정의된 감시화면을 표시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설비용 서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통합 플랫폼 제어장치.
KR1020140042313A 2014-04-09 2014-04-09 발전설비용 서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통합 플랫폼 제어장치 KR101578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313A KR101578603B1 (ko) 2014-04-09 2014-04-09 발전설비용 서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통합 플랫폼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313A KR101578603B1 (ko) 2014-04-09 2014-04-09 발전설비용 서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통합 플랫폼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325A true KR20150117325A (ko) 2015-10-20
KR101578603B1 KR101578603B1 (ko) 2015-12-18

Family

ID=54399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2313A KR101578603B1 (ko) 2014-04-09 2014-04-09 발전설비용 서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통합 플랫폼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86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4042A1 (ko) * 2016-08-29 2018-03-0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다수호기 통합 감시를 위한 대형통합감시화면의 구현 방법과 그 시스템
CN113642883A (zh) * 2021-08-10 2021-11-12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 一种基于电力系统输变电设备状态的信息展示方法
CN113762741A (zh) * 2021-08-20 2021-12-07 江苏亿万物联科技有限公司 发电厂安全生产综合智能管理系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4042A1 (ko) * 2016-08-29 2018-03-0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다수호기 통합 감시를 위한 대형통합감시화면의 구현 방법과 그 시스템
CN113642883A (zh) * 2021-08-10 2021-11-12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 一种基于电力系统输变电设备状态的信息展示方法
CN113762741A (zh) * 2021-08-20 2021-12-07 江苏亿万物联科技有限公司 发电厂安全生产综合智能管理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8603B1 (ko) 2015-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99996A1 (e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hands free facility status alerts
US7646294B2 (en) Alarm maps to facilitate root cause analysis through spatial and pattern recognition
US8788138B1 (en) Diagnostic methods and systems for an aircraft
US9395891B2 (en) Method for providing a navigation tool of a user interface for an industrial control system
CN108628282B (zh) 分析传感器数据以检测异常阀操作的数据驱动无监督算法
US20090216341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JP5913145B2 (ja) ログ可視化装置及び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684610B2 (en) Method and system for use in connection with an industrial control system
CN109871670B (zh) 操作和监视需要控制的工业设备的方法以及操作员系统
CN101989931A (zh) 一种运维告警处理方法和装置
KR101578603B1 (ko) 발전설비용 서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통합 플랫폼 제어장치
RU2667032C2 (ru) Информационно-поисковые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CN104637555A (zh) 基于核电站机组智能监控方法和系统
CN114787875A (zh) 用于与数据中心运营或云基础设施一起使用虚拟或增强现实的系统和方法
CN114862288A (zh) 智慧水务二次加压管理系统
US1099009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of industrial alarms
CN111007827A (zh) 一种设备的报警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800124B (zh) Cpu使用率监控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09009538A (ja) 運転状況分析方法および運転状況分析システム
EP2764597A1 (en) Processing data of a technical system comprising several assets
CN113157741B (zh) 基于维度转换的业务状态可视化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04408883A (zh) 设备报警状态判断及显示方法
KR100927739B1 (ko) 플랜트의 경보원인 추적 및 조치시스템
US1008474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daptive and contextual collaboration in a network
US10909242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security risks in a comput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