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8827B1 - 설비 가동시간 및 상태 취득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설비 가동시간 및 상태 취득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8827B1
KR101108827B1 KR1020090019095A KR20090019095A KR101108827B1 KR 101108827 B1 KR101108827 B1 KR 101108827B1 KR 1020090019095 A KR1020090019095 A KR 1020090019095A KR 20090019095 A KR20090019095 A KR 20090019095A KR 101108827 B1 KR101108827 B1 KR 101108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stop
equipment
facility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9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0291A (ko
Inventor
하연태
Original Assignee
(주)이랜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랜서 filed Critical (주)이랜서
Priority to KR1020090019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8827B1/ko
Publication of KR20100100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0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8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8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비 가동상태 표시등을 구성하는 여러 색상의 색상램프 각각에 설치된 광센서 또는 각 색상램프의 점등 또는 점멸을 위해 제조설비에서 상기 각 색상램프에 공급되는 전원(전류, 전압)의 유.무를 통해 제조설비의 가동상태(운전, 정지, 점검, 경보, 원인별 대기정지)를 입력 받는 신호입력부;와
상기 신호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조설비의 가동상태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제조설비의 운전시간, 정지시간, 점검시간, 경보발생 시간, 원인별 대기정지 시간을 구분하여 카운팅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제조설비의 가동상태(운전, 정지, 점검, 경보, 원인별 대기정지)에 대한 시간을 카운팅 하지 않고 상기 제조설비의 가동상태에 따라 발생되는 상기 각 색상램프들의 단독 또는 동시에 점등 또는 점멸 또는 깜박거림 상태 데이터를 상위 컴퓨터 또는 서버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카운팅된 운전시간, 정지시간, 점검시간, 경보발생 시간, 원인별 대기정지 시간 또는 상기 제조설비의 가동상태에 따라 발생되는 상기 각 색상램프들의 단독 또는 동시에 점등 또는 점멸 또는 깜박거림 상태 데이터를 상위 컴퓨터 또는 서버 시스템으로 실시간 전송하는 통신부;로 구성된 설비 가동시간 및 상태 취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설비 가동시간, 설비 가동상태 표시등, 광센서, 제조설비, 원인별 대기정지, 경광등, 타워램프, 무가동 시간, 무가동 사유

Description

설비 가동시간 및 상태 취득 방법 및 시스템 {The Method and system to measure manufacturing equipment operating time and status}
본 발명은 제조설비의 정확한 가동시간을 자동으로 취득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제조공정에 설치된 각각의 제조설비의 가동시간 데이터는 각 설비 운영자의 부정확한 수작업 입력방법이 일반적이며 보다 정확한 제조설비 가동시간 데이터를 얻기 위한 공정에서는 별도로 고가의 PLC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현재 대규모 제조업체에서는 생산성 향상 및 향후 생산계획과 경영계획을 위한 정확한 제조원가 분석을 위하여 다양한 생산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적인 방법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의 재료가 되는 필수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하드웨어 분야에 있어서 많은 애로사항이 상존하고 있다. 미래 생산 및 경영계획의 필수 재료인 설비 가동시간 데이터의 경우 대부분 설비 운영자의 수작업 입력에 의존하고 있어, 제조공정 중 일시적인 설비 가동 중단 및 설비 점검을 위한 가동 중단 등에 대한 데이터가 정확히 반영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즉 하드웨어적으로 설비의 가동시간을 취득할 별도의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 관계로 외부에서 별도의 장치 또는 시스템을 부가하여 취득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대규모 제조공정에 있어 설비 가동시간 데이터 취득의 중요성을 요약해보면, 정확한 제조원가 산출을 위해서 제조설비 가동시간 데이터는 필수 항목이며, 생산정보화(e-Manufacturing) 대표 분야인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SCM(Supply Chain Management), PLM(Product Lifecycle Management), CRM(Customer Relation Management)에 있어서도 제조설비 가동시간 및 상태 데이터는 필수 항목이다. 또한 6 Sigma의 DMAIC(문제점 파악, 측정) 분야, 설비 종합효율 분석 분야, 생산성향상 기법인 LOB(Line of Balance)분야에서도 설비의 가동시간 및 상태 측정이 필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제조설비 자체에서 가동시간 및 상태를 취득할 수 있는 하드웨어적인 구성이 전무하여 상기 제조설비 가동시간 및 상태 취득을 위해 설비 운영자의 Paper Job에 의한 부정확한 수작업 입력이 일반적으로 수행되어지고 있어 제조원가 분석 등 상기에 언급한 제조설비 가동시간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시스템 및 분석 기법에 사용되기에는 부적합한 상황이다. 상기의 이유로 인해 현재 제조원가 분석에 꼭 필요한 공정설비의 경우 정확한 설비 가동시간 및 상태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해서 많은 비용과 시간이 요구되는 별도의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시스템을 구축하여 수행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 째 설비가동 ON/OFF신호를 취득하기 위해 기존 설비의 제어시스템에서 Digital Output 신호나 릴레이 단자의 ON/OFF 신호를 분기하여 사용해야 함으로써 기존 설비에 예기치 못하는 영향을 미칠수 있다. 두 번째 상기 분기된 설비의 ON/OFF 설비 가동신호를 Digital Input 모듈로 수신하여 상위 컴퓨터 및 서버 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해서 고가의 별도 PLC시스템을 구성하여야 하며, 또한 상기 PLC 시스템 구성에 있어 3?5개의 Digital Input 신호를 취득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Base Board, CPU Board, Power Board, 통신모듈을 추가로 구성하여야 하는 비효율적인 낭비가 발생하며, 수백 개 설비의 설비 가동시간 데이터를 취득하여 상위 컴퓨터 및 서버 시스템까지 전송하기 위한 별도의 케이블 공사가 병행되어져야 하는 문제점도 상존한다.
본 발명은 운전자들이 제조설비의 가동 상태를 육안으로 알 수 있도록 상기 제조설비에 설치된 설비 가동상태 표시등(또는 경광등)의 상태를 이용하여 상기 제조설비의 정확한 가동시간 및 상태를 실시간 자동으로 취득하여 상위 컴퓨터 및 서버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 제조설비 제어부의 Digital Output 신호나 릴레이 단자의 ON/OFF 신호를 분기하여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그리고 고가의 별도 PLC 시스템의 설치 없이, 제조설비의 정확한 가동시간을 실시간 자동으로 취득하기 위해서 상기 제조설비에 설치된 설비 가동상태 표시등(또는 경광등)의 상태를 이용한 설비 가동시간 및 상태 취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설비에 설치된 설비 가동상태 표시등의 상태를 이용하여 상기 제조설비의 가동시간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방법으로, 설비 가동상태 표시등을 구성하고 있는 각 색상램프(예를 들면 녹색램프, 노란색램프, 빨강색램프 등)에 광센서를 설치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예로 설명하면 상기 설비 가동상태 표시등이 상기 제조설비의 정상운전시는 녹색램프, 상기 제조설비의 점검시에는 노란색 램프, 경보발생 시는 빨강색 램프의 3가지 색상램프로 구성되었다고 가정하면 상기 3가지 색상램프 각각의 외면에 광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제조설비의 가동 상태에 대한 정보를 상기 각 색상램프에 설치된 광센서로부터 취득하는 설비 가동시간 및 상태 취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설비에 설치된 설비 가동상태 표시등의 상태를 이용하여 상기 제조설비의 가동시간을 취득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 설비 가동상태 표시등을 구성하는 여러 가지 색상램프들의 점등 또는 점멸을 위해 상기 제조설비로부터 상기 각 색상램프에 공급되는 전원(전류, 전압)의 유.무를 측정하여 상기 제조설비의 가동상태(운전, 정지, 점검, 경보, 원인별 대기정지)를 판단하는 제조설비 가동시간 취득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설비에 설치된 설비 가동상태 표시등에 설비 가동시간 취득장치 기능을 내장시킨 통합형 설비 가동상태 표시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조설비에 변형 및 영향을 주지 않고 적은 비용으로 정확한 설비 가동시간 및 상태를 실시간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대규모 제조설비 개선 및 공사 그리고 별도의 PLC 시스템 적용 없이 정확한 설비 가동시간을 실시간 지속적으로 자동 취득할 수 있으며 제조설비 가동중에도 설치가 가능하므로 설치에 따른 생산손실 발생이 없다.
본 발명은 가동 중인 제조공정에 적은 비용으로 빠르고 유연하게 설비 가동시간 데이터를 실시간 지속적으로 취득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을 체택한 기업의 대외 경쟁력 강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1은 제조설비 가동시간 취득을 위해 기존 PLC 시스템(105)을 활용한 시스템 구성에 대한 대략적인 예시도이다.
PLC 시스템(105)의 CPU Board(130)는 제조설비의 제어부(110)로부터 설비가동 상태에 대한 데이터(115)를 신호 입력Board(135)를 통해 입력받고 상기 입력받은 설비가동 상태 데이터(115)를 분석하여 설비가 가동 중인지 정지 중인지를 판단한 후 상기 제조설비가 가동중인지 또는 정지 중인지에 대한 신호를 통신모듈(140)을 통해 상위 컴퓨터 또는 서버 시스템(145)으로 전송한다.
상기 PLC 시스템(105)은 제조설비의 가동상태 데이터(115, 보통은 2?5 종류)를 입력받아 상위 컴퓨터 및 서버 시스템(145)으로 전송하는 간단한 단순 작업만을 수행하기 위해서 기본적으로 Base Board(120), CPU Board(130), 통신모듈(140), 신호입력 Board(135)로 구성되어야 하는 고가의 비효율적인 낭비가 심한 시스템이다.
도2는 본 발명의 핵심인 기존 제조설비 제어부(110)나 ON/OFF 신호 릴레이 단자의 변형 없이 그리고 고가의 별도 PLC 시스템(105)의 설치 없이, 제조설비의 정확한 가동시간 데이터(115)를 실시간 자동으로 취득하기 위해서 상기 제조설비(110)에 설치된 설비 가동상태 표시등(210 또는 경광등)의 상태를 이용한 설비 가동시간 및 상태 취득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예시도이다.
하기에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3색 설비 가동상태 표시등(210)을 예로 설명하며, 본 발명은 단색, 2색, 4색, 5색 등 여러 가지 색상의 설비 가동상태 표시등(210)에 적용 가능할 뿐 아니라 또한 상기 설비 가동상태 표시등(210)을 구성하는 각각의 색상램프들을(215, 220, 225) 점등 또는 점멸 하는 전원(전류 또는 전압, 전원이 감지되면 켜진 상태, 전원이 감지되지 않으면 꺼진 상태)신호들을 취득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라면 명백할 것이다.
또한 상기 설비 가동상태 표시등(210)에 있어서 상기 제조설비(110)가 정상 운전중이면 녹색램프(225)가 점등되며, 점검중이면 노란색램프(220)가 점등되며, 경보 발생시는 빨강색램프(215)가 점등되며, 상기 제조설비(110)가 가동 중지 상태이면 모든 설비 가동상태 표시등의 색상램프들(215, 220, 225)이 점멸한다고 가정하고, 상기 빨강색 램프(215) 외면에 광센서1(230)을 설치하고 노란색램프(220) 외면에 광센서2(235)를 설치하고, 녹색램프(225) 외면에 광센서3(240)을 설치한 후 상기 광센선 1, 2, 3(230, 235, 240)을 설비 가동시간 및 상태 취득 장치(205)에 연결함으로써 본 발명의 구성이 완료된다. 상기 제조설비(110)가 정상운전을 시작하면 상기 설비 가동상태 표시등(210)의 녹색램프(225)가 점등되며, 상기 녹색램프(225) 외면에 설치된 광센서3(240)는 상기 녹색램프(225)가 점등되었다는 상태를 설비 가동시간 및 상태 취득 장치(205)로 전송하고, 상기 광센서3(240)로부터 제조설비(110)가 정상운전을 시작했다는 신호를 입력 받은 상기 설비 가동시간 및 상태 취득 장치(205)는 이 시점부터 설비 운전시간을 카운팅하여 메모리부(320)에 저장하고(상기 제조설비의 실제 운전시간을 취득 관리함) 상기 측정된 제조설비의 운전 시간을 상위 컴퓨터 및 서버 시스템(145)으로 전송한다. 만일 상기 설비 가동상태 표시등(210)이 모두 점멸된 상태이면 광센서1, 2, 3(230, 235, 240)에 어떠한 신호도 입력되지 않게 되며 이때 설비 가동시간 및 상태 취득 장치(205)는 상기 제조설비(110)가 운전을 정지했음을 인지하여 상기 제조설비의 운전시간의 카운팅 및 저장을 멈추고 다시 정지시간을 카운팅하여 메모리부(320)에 저장하고(상기 제조설비가 정지시간을 취득 관리함) 상기 카운팅된 제조설비(110)의 정지시간을 상위 컴퓨터 및 서버 시스템(145)으로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제조설비(110)가 점검중이면 설비 가동상태 표시등(210)의 노란색램프(220)가 점등하며, 상기 노란색램프(220) 외면에 설치된 광센서2(235)에서 상기 노란색램프(235)가 점등되었다는 상태를 상기 설비 가동시간 및 상태 취득 장치(205)로 전송하고, 상기 광센서2(235)로부터 상기 제조설비(110)가 점검중이라는 신호를 입력 받은 상기 설비 가동시간 및 상태 취득 장치(205)는 메모리부(320)에 상기 제조설비(110)의 점검 시간을 카운팅하여 저장하며, 상기 카운팅된 점검 시간을 상위 컴퓨터 및 서버 시스템(145)으로 전송한다. 또한 만일 설비 가동상태 표시등(210)의 빨강색램프(215)가 점등되었으면 상기 광센서1(230)은 상기 빨강색램프(215)가 점등되었다는 상태를 상기 설비 가동시간 및 상태 취득 장치(205)로 전송하며 상기 광센서1(230)로 부터 상기 제조설비(110)에 경보가 발생했다는 신호를 입력 받은 상기 설비 가동시간 및 상태 취득 장치(205)는 메모리(320)에 상기 제조설비의 경보 시간을 카운팅하여 저장하며, 상기 카운팅된 경보 시간을 상위 컴퓨터 및 서버 시스템(145)으로 전송한다.
상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원리를 이해하기 쉽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가장 간단한 공정에 대한 일예로써의 설명이며, 실제로는 다양한 제품의 다양한 제조공정에 있어서 설비 가동상태에 대한 경우의 수는 보다 복잡하게 존재한다. 이러한 모든 경우에 대처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단순 설비의 가동, 정지뿐만 아니라 정지 원인을 고장 또는 계획에 의한 단순 정지와 하기와 같이 공정 분야별 발생될 수 있는 다양한 원인에 의한 대기 정지로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상기 설비 가동상태 표시등(210)에서 단독 또는 동시에 점등 또는 점멸되는 여러 색상램프들(215, 220, 225)의 색상 조합에 따라 보다 자세한 설비 가동상태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예로 설명하면 설비가 가동 중에 초기 투입된 재료가 다 소모되어 운영자에게 재료 재투입을 알리기 위해서 녹색램프(225)와 빨강색 램프(215)가 동시에 켜지는 공정이라고 가정하면, 운영자가 상기 설비에 재료를 재투입하여 상기 설비가 정상운전을 하기까지의 설비 정지시간을 단순 정지가 아닌 재료 재투입을 위한 대기 정지로 구분하여 설비 정지시간을 총괄 관리할 뿐 아니라 설비가 정지하는 원인별로 세분화해서 각 설비의 대기 정지 원인과 함께 상기 설비가 재료 재투입을 위해 정지되는 시간을 구분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향후 설비 가동율 향상을 위해 재료 재투입 방법을 개선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공정은 불량 제품이 발생되어 설비가 대기 정지하게 되면 노랑색 램프(220)가 점등되면서 빨강색 램프(215)가 깜박거리는 공정이라고 가정하면 단순 정지가 아니라 제품 불량에 따른 설비 대기 정지로 구분하여 보다 세분화해서 관리할 수 있다.
도 2b는 3가지 색상의 설비 가동상태 표시등(210)을 일예로 하여 표시될 수 있는 설비 가동상태의 경우의 수에 대해서 요약한 테이블(245)이다.
물론 설비의 가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해서 상기 테이블(245)의 모든 경우의 수를 사용하지는 않으며 3?10개 정도의 필요한 색상 조합만을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3가지 색상의 설비 가동상태 표시등(210)의 경우에도 상기와 같이 설비의 종류 및 생산되는 제품의 종류, 공정의 특성에 따라 색상램프들(215, 220, 225)이 모두 점멸인 경우(277), 색상램프들(215, 220, 225)이 모두 점등인 경우(269), 빨강색 램프(215)만 점등인 경우(250), 녹색램프(225)만 점등인 경우(252), 노랑색램프(220)만 점등인 경우(254), 빨강색(215)과 녹색램프(225)가 점등인 경우, (257) 빨강색(215)과 노란색 램프(220)가 점등인 경우(265), 녹색(225)과 노랑색램프(220)이 점등인 경우(261)의 8가지 서로 다른 설비 가동상태가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8가지 각각에 대해서 상기 각 색상램프(215, 220, 225)가 계속 점등 상태인 경우와 깜박거리는 경우(251,253,256,258,259, 260,262,263,264,266,267,268,270,271,272,273,274,275,276)로 나누어 보다 상세한 설비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c는 3가지 색상의 설비 가동상태 표시등(210)을 일예로 실제 제조공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설비 가동상태 표시등(210) 각각의 색상 램프들(215, 220, 225)의 점등, 점멸, 깜박거림 조합에 대해서 상기 설비가 어떤 상태인가를 8가지 상황으로 세분화하여 자동으로 관리하는 기록매체에 대한 예시도이다.
설비 가동시간 및 상태 취득 시스템(200)은 기 설정되어진 상기 기록매체(246)에 의해서 설비 가동상태 표시등(210)의 색상램프들(215, 220, 225)중 빨간색 램프(215)만 점등점등된 경우(278) 설비가 가동 중지된 절대경보로 인지하며, 노란색 램프(220)만 점등된 경우(280) 점검을 위해 설비가 정지된 상태로 인식하며, 녹색램프(225)만 점등된 경우(279) 설비가 정상운전 임을 인지하며, 빨강색램프(215)와 녹색램프(225)가 동시에 점등되면(281) 경보중이며 설비는 계속 가동중 임을 인지하며, 노랑색램프(220)와 녹색램프(225)가 동시에 점등되면(282) 자재투입을 위해 설비가 대기정지 중임을 인지하며, 빨강색램프(215)와 노랑색램프(220)가 동시에 점등되면(283) 완료된 제품을 반출하기 위해서 대기정지중임을 인지하며, 모든 색상램프들이(215, 220, 225) 점멸인 상태는 설비가 정상적으로 가동을 중지하였음을 인지하여 상기 각각의 설비 상태별로 설비 가동시간을 카운팅한다.
상기의 기록매체(246)는 다양한 제품이나 제조 공정에 따라 다르게 수정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의 기록매체(246)의 일예에서는 각 색상램프들(215, 220, 225)의 깜박거림 상태와 3가지 색상램프(215, 220, 225)가 동시에 모두 점등되는 경우는 사용하지 않는 공정에 대한 일예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설비 가동상태를 모두 표시하기 위해서 상기 각각의 색상램프들(215, 220, 225)의 점등, 점멸, 깜박거림 조합에 대해서 상기 설비가 어떤 상태인가를 공정별 설비별 기 저장하고 있는 기록매체(246)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록매체(246)는 설비 가동시간 및 상태 취득 장치(205)의 메모리부(320)에 기 설정되어 저장되거나 또는 상위 컴퓨터 또는 서버 시스템(145)에 구비될 수 있다는 것과 본 발명이 적용되는 설비 및 제조공정에 따라 상기 설비 가동상태 표시등(210)의 각각의 색상램프들(215, 220, 225)의 점등, 점멸, 깜박거림 조합에 대해서 설비가 어떤 상태인가를 운영자가 상기 설비 및 제조공정에 맞게 재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될 수 있다는 것은 이 분야에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명백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부(305)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며, 전체 설비 가동시간 및 상태 취득 시스템(200)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하기위해 설비 가동시간 및 상태 취득 장치(205)에서 설비의 운전시간, 정지시간, 점검시간, 경보시간, 원인별 대기정지 시간을 카운팅 하는 대신, 상기 설비 가동시간 및 상태 취득 장치(205)는 상기 설비의 운전 상태에 대한 상기 각각의 색상램프들(215, 220, 225)의 점등, 점멸, 깜박거림 상태만 취득하여 통신부(315)를 통해 상위 컴퓨터 및 서버 시스템(145)으로 전송하며, 상기 설비 가동시간 및 상태 취득 장치(205)로부터 설비의 운전 상태에 대한 각각의 색상램프들(215, 220, 225)의 점등, 점멸, 깜박거림 상태 데이터를 수신 받은 상기 상위 컴퓨터 및 서버 시스템(145)은 상기 설비의 운전시간, 정지시간, 점검시간, 경보시간, 원인별 대기정지 시간 들을 구분하여 카운팅 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3은 설비 가동시간 취득장치(205)에 대한 대략적인 구성도이다.
신호 입력부(310)는 설비 가동상태 표시등의(210) 색상램프들(빨강색램프(215), 노란색램프(220), 녹색램프(225))에 설치된 광센서1(230), 광센서2(235), 광센서3(240)의 상태를 입력받아 현재 설비 가동상태 표시등의(210) 색상램프(215, 220, 225) 중 어느 색상의 색상램프가 점등 되었는지를 제어부(305)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신호 입력부(310)로부터 제조설비 가동상태(운전, 정지, 점검, 경보, 원인별 대기정지)에 대한 각 색상램프들(215, 220, 225)의 점등 또는 점멸 또는 깜박거림 신호를 입력 받은 제어부(305)는 메모리부(320)에 상기 제조설비(110)의 가동상태(운전, 정지, 점검, 경보, 원인별 대기정지)별로 구분하여 시간을 카운팅하여 저장하며 상기 제조설비(110)의 가동상태별( 운전, 정지, 점검, 경보, 원인별 대기정지) 카운팅된 시간을 통신부(315)를 통해 유.무선의 형태로 상위 컴퓨터 및 서버 시스템(145)으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는 설비의 운전시간, 정지시간, 점검시간, 경보시간, 원인별 대기정지 시간을 카운팅 하는 대신, 상기 설비의 운전 상태에 대한 상기 각각의 색상램프들(215, 220, 225)의 점등, 점멸, 깜박거림 상태만 취득하여 통신부(315)를 통해 상위 컴퓨터 및 서버 시스템(145)으로 전송하며, 설비의 운전 상태에 대한 각각의 색상램프들(215, 220, 225)의 점등, 점멸, 깜박거림 상태 데이터를 수신 받은 상기 상위 컴퓨터 및 서버 시스템(145)에서 상기 설비의 운전시간, 정지시간, 점검시간, 경보시간, 원인별 대기정지 시간들을 구분하여 카운팅 하도록 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호 입력부(310)는 상기 제조설비의 가동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해서 상기 설비 가동상태 표시등(210) 색상램프들(215, 220, 225)의 점등 또는 점멸 상태를 입력 받는 광센서 입력 방식 외에 상기 제조설비 제어부(110)로부터 설비 가동상태 표시등(210) 색상램프들(215, 220, 225)의 점등 또는 점멸을 위해 공급되는 전원(전류, 전압)의 유.무를 취득하여 상기 제조설비의 가동상태를 판단하는 기능을 더 구비한다.
도4a는 광센서 입력을 적용한 설비 가동시간 취득 시스템의 일예에 대한 순서도이다.
설비 가동시간 취득장치가 동작을 시작하면 상기 설비 가동시간 취득장치는 설비 가동상태 표시등에 설치된 광센서1, 광센서2, 광센서3에 입력신호가 있는지를 판단 한다(406). 만약 상기 3개의 광센서 모두에서 입력신호가 없을 경우(407) 상기 가동시간 취득장치는 제조설비가 정지 상태임을 인지하고(408) 상기 제조설비의 정지시간을 카운팅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고(409) (상기 제조설비의 정지 시간을 취득 관리함) 상기 카운팅된 정지 시간을 상위 컴퓨터 및 서버 시스템으로 전송한다.(410) 만일 상기 설비 가동시간 취득장치의 광센서에 대한 입력 신호 확인과정(406)에서 녹색 램프(225)의 광센서3의 입력이 확인되면(411) 상기 가동시간 취득장치는 제조설비가 정상 운전 중임을 인지하여(412) 상기 제조설비의 운전 시간을 카운팅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고(413) (상기 제조설비의 실제 가동시간을 취득 관리함) 상기 카운팅된 운전 시간을 상위 컴퓨터 및 서버 시스템으로 전송한다.(414) 또한 상기 설비 가동시간 취득장치의 광센서에 대한 입력 신호 확인과정(406)에서 노란색 램프(220)의 광센서2의 입력이 확인되면 (415) 상기 제조설비가 점검중임을 인지하고(416) 상기 제조설비의 점검 시간을 카운팅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고(417) (상기 제조설비의 점검시간을 취득 관리함) 상기 카운팅된 점검 시간을 상위 컴퓨터 및 서버 시스템으로 전송한다.(418) 또한 상기 설비 가동시간 취득장치의 광센서에 대한 입력 신호 확인과정(406)에서 빨강색 표시등의 광센서1의 입력이 확인되면(419) 상기 제조설비가 경보 발생중임을 인지하여(420) 상기 제조설비의 경보발생 시간을 카운팅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고(421) 상기 카운팅된 경보발생 시간을 상위 컴퓨터 및 서버 시스템으로 전송한다.(422)
도4b는 전원 신호 입력(427)을 적용한 설비 가동시간 취득 시스템의 일예에 대한 순서도이다.
설비 가동시간 취득장치가 동작을 시작하면 상기 설비가동 시간 취득장치는 설비 가동상태 표시등 색상램프(215, 220, 225)의 ON/OFF를 위하여 제조설비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신호가 있는지를 판단 한다(423). 만약 상기 3개의 색상램프 모두에서 상기 제조설비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신호가 없을 경우(424) 상기 가동시간 취득장치는 제조설비가 정지 상태임을 인지하고(408) 상기 제조설비의 정지 시간을 카운팅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고(409) (상기 제조설비의 정지 시간을 취득 관리함) 상기 카운팅된 정지 시간을 상위 컴퓨터 및 서버 시스템으로 전송한다.(410) 만일 상기 설비 가동시간 취득장치의 상기 색상램프(215, 220, 225)에 대한 입력 전원 확인과정(423)에서 녹색 램프(225) 전원의 입력이 확인되면(425) 상기 설비 가동시간 취득장치는 제조설비가 정상 운전 중임을 인지하여(412) 상기 제조설비의 운전 시간을 카운팅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고(413) (상기 제조설비의 실제 가동시간을 취득 관리함) 상기 카운팅된 운전 시간을 상위 컴퓨터 및 서버 시스템으로 전송한다.(414) 또한 상기 설비 가동시간 취득장치의 상기 색상램프(215, 220, 225)에 대한 입력 전원 확인과정(423)에서 노란색 램프(220) 전원의 입력이 확인되면(426) 상기 제조설비가 점검중임을 인지하고(416) 상기 제조설비의 점검 시간을 카운팅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고(417) (상기 제조설비의 점검시간을 취득 관리함) 상기 카운팅된 점검 시간을 상위 컴퓨터 및 서버 시스템으로 전송한다.(418) 또한 상기 설비 가동시간 취득장치의 상기 색상램프(215, 220, 225)에 대한 입력 전원 확인과정(423)에서 빨강색 램프(215) 전원의 입력이 확인되면(427) 상기 제조설비가 경보 발생중임을 인지하여(420) 상기 제조설비의 경보발생 시간을 카운팅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고(421) 상기 카운팅된 경보발생 시간을 상위 컴퓨터 및 서버 시스템으로 전송한다.(422)
도1은 설비 가동시간 취득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PLC 시스템에 대한 예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에 대한 예시도
도3은 설비 가동시간 취득 장치의 대략적인 구성도
도4a는 광센서 입력을 적용한 설비 가동시간 취득 시스템 순서도
도4b는 전원 유.무 검사를 적용한 설비 가동시간 취득 시스템 순서도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제조설비의 가동시간 및 상태를 실시간 자동으로 취득하기 위해,
    제조설비의 가동상태에 따라 제조설비에 설치된 각 색상램프들(215, 220, 225)의 점등, 점멸, 깜박거림을 표시하기 위해서 상기 제조설비에서 상기 각 색상램프들(215, 220,225)에 공급하는 전압의 유.무(각 색상램프들의 전압 ON/OFF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부로 전송하는 신호입력부;와
    상기 신호입력부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조설비의 가동상태가(정상운전, 정지, 점검, 경보발생, 원인별 대기정지) 어떤 상태인가를 판단하고 상기 제조설비가 정상운전 상태이면 설비 가동시간을 카운팅하여 통신부를 통하여 유.무선 형태로 상위 컴퓨터 및 서버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또한 상기 제조설비가 정지, 점검, 경보 발생, 원인별 대기정지 상태이면 정지 시간, 점검시간, 경보발생시간, 원인별 대기정지 시간을 카운팅하여 통신부를 통하여 유.무선 형태로 상위 컴퓨터 및 서버 시스템으로 전송하며, 신호입력부로부터 제조설비의 가동상태에 대한 신호를 입력 받아 제조설비의 운전시간, 정지시간, 점검시간, 경보시간, 원인별 대기정지 시간을 카운트 하는 대신 상기 신호입력부에서 상기 제조설비의 각 색상램프들의 점등, 점멸, 깜박거림 신호(각 색상램프들의 ON/OFF를 위해 공급되는 전압 유.무 신호)를 입력받아 통신부를 통하여 유.무선 형태로 상위 컴퓨터 및 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에서 카운팅한 상기 제조설비의 가동상태별(정상운전, 정지, 점검, 경보발생, 원인별 대기정지) 시간 데이터를 입력받아 유.무선 형태로 상위 컴퓨터 및 서버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조설비의 각 색상램프들의 점등, 점멸, 깜박거림 신호(각 색상램프들의 ON/OFF를 위해 공급되는 전압 유.무 신호)를 입력받아 유.무선 형태로 상위 컴퓨터 및 서버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에서 전송된 제조설비 가동상태별 시간을 저장 관리하며, 상기 통신부에서 전송된 제조설비 각각의 색상램프들의 점등 또는 점멸 또는 깜박거림 신호(각 색상램프들의 ON/OFF를 위해 공급되는 전압 유.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조설비의 가동상태가 운전, 정지, 점검, 경보, 원인별 대기정지 중 어떤 상태인지를 판단하며 상기 운전, 정지, 점검, 경보, 원인별 대기정지별로 상기 설비의 가동시간을 카운팅하는 상위 컴퓨터 및 서버;로 구성된 설비 가동시간 및 상태 취득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90019095A 2009-03-06 2009-03-06 설비 가동시간 및 상태 취득 방법 및 시스템 KR101108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095A KR101108827B1 (ko) 2009-03-06 2009-03-06 설비 가동시간 및 상태 취득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095A KR101108827B1 (ko) 2009-03-06 2009-03-06 설비 가동시간 및 상태 취득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0457A Division KR20110125193A (ko) 2011-10-27 2011-10-27 설비 가동시간 및 상태 취득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291A KR20100100291A (ko) 2010-09-15
KR101108827B1 true KR101108827B1 (ko) 2012-01-31

Family

ID=43006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095A KR101108827B1 (ko) 2009-03-06 2009-03-06 설비 가동시간 및 상태 취득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88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754B1 (ko) * 2013-04-12 2014-09-25 한국동서발전(주) 종합 정보 제공을 위한 알람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28898B2 (en) * 2016-08-18 2020-01-07 i Smart Technologies Corporation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produc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for manufacturing line
US10571899B2 (en) 2016-08-18 2020-02-25 i Smart Technologies Corporation Operating state acquisition apparatus,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and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for manufacturing line
CN109677702A (zh) * 2019-01-07 2019-04-26 凯迈(洛阳)机电有限公司 包装机通讯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116311703A (zh) * 2022-12-19 2023-06-23 腾柏新迅(上海)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指示灯装置和控制方法
KR102616473B1 (ko) * 2023-02-14 2023-12-21 주식회사 지앤케이솔루션즈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산업현장 화재 예측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0220A (ja) * 1996-01-09 1997-07-22 Mitsubishi Heavy Ind Ltd 状態表示装置
JPH11224108A (ja) * 1998-02-06 1999-08-17 Pfu Ltd 生産ライン稼動状況表示システム
JP2002132324A (ja) * 2000-10-23 2002-05-10 Mitsubishi Electric Corp 稼働状態確認装置及び稼働状態確認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0220A (ja) * 1996-01-09 1997-07-22 Mitsubishi Heavy Ind Ltd 状態表示装置
JPH11224108A (ja) * 1998-02-06 1999-08-17 Pfu Ltd 生産ライン稼動状況表示システム
JP2002132324A (ja) * 2000-10-23 2002-05-10 Mitsubishi Electric Corp 稼働状態確認装置及び稼働状態確認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754B1 (ko) * 2013-04-12 2014-09-25 한국동서발전(주) 종합 정보 제공을 위한 알람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291A (ko) 201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8827B1 (ko) 설비 가동시간 및 상태 취득 방법 및 시스템
WO2018036554A1 (zh) 设备故障检测系统及故障检测装置
CN104007340A (zh) 电子产品老化测试系统以及老化测试方法
CN103995197A (zh) 一种电子产品的老化测试设备
CN103412520A (zh) 多种能源集中监测系统及其监测方法
KR20210012200A (ko) 환경시험 장비의 성능이상 감지장치를 이용한 유지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10125193A (ko) 설비 가동시간 및 상태 취득 방법 및 시스템
CN113074783A (zh) 一种灯塔式工业设备监测方法和装置
US11579602B2 (en) Method for commissioning and maintenance of alarm systems
CN103309297A (zh) 用于监测设备元件的系统和方法
US20060132321A1 (en) Universal equipment process monitor
CN113894451A (zh) 一种基于激光设备状态检测以及集中控制的控制卡
CN113866698A (zh) 计量装置检定流水线的检测系统、检测方法和服务器
JPH11224108A (ja) 生産ライン稼動状況表示システム
KR101216970B1 (ko) 스마트 폰을 이용한 가로등 관리 시스템
CN108132066A (zh) 一种矿用传感器的设计方法
KR101166101B1 (ko) 통계적 품질 검사 및 관리 시스템
CN111188650A (zh) 一种传感器故障识别方法、指示方法及煤矿安全监控系统
KR102298770B1 (ko) 스마트공정관리시스템 및 스마트공정관리방법
US10991285B2 (en) Cloud-based remote diagnostics for smart signage
TWI526955B (zh) 智慧型路燈管理系統
CN210166835U (zh) 设备运行状态监控管理系统
CN113947224A (zh) 高速公路机电系统运维养护作业方法及系统
KR20150038785A (ko) 철도차량 부품이력 및 상태진단 관리 분석 시스템
CN102135581A (zh) 实时监控探针测试利用率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