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1730A - 통신망을 통한 플랜트감시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망을 통한 플랜트감시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1730A
KR20030021730A KR1020010055133A KR20010055133A KR20030021730A KR 20030021730 A KR20030021730 A KR 20030021730A KR 1020010055133 A KR1020010055133 A KR 1020010055133A KR 20010055133 A KR20010055133 A KR 20010055133A KR 20030021730 A KR20030021730 A KR 20030021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real
communication network
use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5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왓츠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왓츠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왓츠웹
Priority to KR1020010055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1730A/ko
Publication of KR20030021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173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1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centralized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6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transmitting utility meters data, i.e. transmission of data from the reader of the utility meter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망을 통한 플랜트감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현장부에 설치된 플랜트단말기를 통해 가동중인 자동화설비의 가동현황과, 화상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화상정보를 실시간 수집하여 그 수집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자동화설비조작조건 및 화상입력장치조작조건을 입력함으로써 그 자동화설비조작조건 및 화상입력장치조작조건이 통신망을 통하여 현장부로 전달되어 상기 자동화설비 및 화상입력장치를 원격제어 하는 방법과 장치로 구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함에 따라 플랜트에서 이용되고 있는 자동화설비의 가동상황 및 처리상태를 24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실시간 제공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음과 아울러 원격조정이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그와 같이 원격조정이 가능함에 따라 긴급 상황 발생 시 관리자가 보다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그 실시간 제공됨을 경제적이면서도 기술적으로 안정된 인터넷통신망을 이용함에 따라 보다 저렴하고 간편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플랜트의 제어 및 처리과정을 통신망을 통하여 다수의 사람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투명한 환경폐기물처리를 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Description

통신망을 통한 플랜트감시장치 및 방법{PLANT GUARD EQUIPMENT AND METHOD WITH NETWORK}
본 발명은 통신망을 통한 플랜트 감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망에 연결된 예컨대, 컴퓨터나 휴대폰을 통해 플랜트에 마련된 자동화설비의 가동현황 및 영상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으며, 또한, 그 통신망을 통해 자동화설비를 비롯하여 화상입력장치를 원거리 조작이 가능토록 하는 통신망을 통한 플랜트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환경플랜트 모니터링 시스템은 현장 상황의 모니터링 후, 유선이나 고가의 무선 통신망을 사용하여 상황실에서 전송하도록 되어 있어, 지리적인 영향 등으로 유선을 이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고, 무선통신망을 이용할 경우 고가의 비용 및 실시간 원격지 영상의 전송은 불가능하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고가의 환경플랜트 설치 및 자동제어 장비를 운용하면서도 현장 모니터링이 24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비효율적이고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현장부에서 가동중인 자동화설비의 가동현황 및 감시영상을 수집하여 실시간 제공함으로써 원거리에서도 현장부의 설비 가동현황 및 정화되는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그 자동화설비의 원격 제어가 가능토록 하는 통신망을 통한 플랜트 감시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통신망을 통하여 보다 많은 사람이 현장부의 가동현황을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투명한 환경폐기물 처리를 행하도록 하는 통신망을 통한 플랜트 감시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플랜트에 마련된 실시간처리장치의 가동현황정보 및 화상입력장치를 통한 화상정보를 입력받아 분석하고 송신하는 플랜트단말기가 마련된 현장부와; 상기 플랜트단말기를 통해 가동현황정보 및 화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음과 아울러 상기 실시간처리장치의 원격 조작을 행하는 사용자단말기가 마련된 감시부와; 상기 플랜트단말기를 통해 수집된 인식데이터를 기초로 플랜트 상태를 파악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상기 플랜트단말기 또는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요청메시지를 분석하여 요청 종류에 따라 정보를 생성하고, 처리된 결과를 상기 데이터저장수단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플랜트단말기 또는 사용자단말기로 출력하는 처리수단을 갖는 서버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부에 설치된 플랜트단말기를 통해 가동중인 자동화설비의 가동현황과, 화상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화상정보를 실시간 수집하여 그 수집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자동화설비조작조건 및 화상입력장치조작조건을 입력함으로써 그 자동화설비조작조건 및 화상입력장치조작조건이 통신망을 통하여 현장부로 전달되어 상기 자동화설비 및 화상입력장치를 원격제어 하는 방법을 구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플랜트감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1)측에 제공되는 화면(50)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사용자단말기(21)를 통해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일련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a 내지 도 4c는 상기 도 1의 서버(30)가 일련의 작업과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들,
도 5는 상기 도 1의 현장부(10)에 설치된 실시간처리장치(11) 및 화상입력장치(13)의 정보가 서버(30)에 송신되어 서버(30)가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현장부11 : 실시간처리장치
11a : 환경폐기물투입장치11b : 정화 및 재활용처리장치
11c : 처리완료된슬러지 및 환경폐기물배출장치
11d, 11e : 실시간처리장치구동장치
13 : 화상입력장치13a : 카메라
13b : 카메라구동장치15 : 플랜트단말기
20 : 감시부21 : 사용자단말기
30 : 서버31 : 데이터저장수단
33 : 처리수단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플랜트감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통신망을 통한 플랜트검사장치는 플랜트에 마련된 자동화설비(이하, 실시간처리장치(11)라 칭함)의 가동현황정보 및 화상입력장치(13)를 통한 화상정보를 입력받아 분석하고 송신하는 플랜트단말기(15)가 마련된 현장부(10)와, 상기 플랜트단말기(15)를 통해 가동현황정보 및 화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음과 아울러 상기 실시간처리장치(11)의 원격 조작을 행하는 사용자단말기(21)가 마련된 감시부(20)와, 상기 플랜트단말기(15)를 통해 수집된 인식데이터를 기초로 플랜트 상태를 파악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저장수단(31)과, 상기 플랜트단말기(15) 또는 사용자단말기(21)로부터 입력된 요청메시지를 분석하여 요청 종류에 따라 정보를 생성하고, 처리된 결과를 상기 데이터저장수단(31)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플랜트단말기(15) 또는 사용자단말기(21)로 출력하는 처리수단(33)을 갖는 서버(30)로 구성된다.
상기 실시간처리장치(11)는 환경폐기물투입장치(11a), 정화 및 재활용처리장치(11b), 처리 완료된 슬러지 및 환경폐기물 배출장치(11c)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장치(11a,11b,11c)는 폐기물이동용컨베이어 제어 및 구동용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11d)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정화 및 재활용처리장치(11b)는 수거된 폐기물을 발효시키는 예컨대, 발효조를 갖는 것으로서, 상기 발효조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11e) 즉, 발효조구동용인버터, 발효조온도측정용센서, 발효조분사용공기응축기소프트웨어, 발효조 가열용 열선 작동 소프트웨어와 같은 장치를 갖는다.
상기 화상입력장치(13)는 촬영을 행하는 카메라(13a)와, 상기 카메라(13a)를 소정의 위치로 이동가능토록 구동시키는 카메라구동장치(13b)로 구성된다.
상기 화상입력장치(13)는 상기 실시간처리장치(11)의 각 요소부 즉, 환경폐기물투입장치(11b), 정화 및 재활용처리장치(11b), 처리완료된 슬러지 및 환경폐기물배출장치(11c)가 설치된 각 부분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21)는 관리자단말기(21a) 및 일반사용자단말기(21b)로 구분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되며, 그 단말기 형태는 컴퓨터 또는 휴대폰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관리자단말기(21a) 및 일반사용자단말기(21b)로 구분하는 것은 현장부(10)의 실시간처리장치(11) 및 화상입력장치(13)의 가동현황 및 그 처리과정을 다수의 사람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제어 및 관리는 신뢰할 수 있는 자만이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장부(10)에 가동되는 설비를 보다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데이터저장수단(31)은 인증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각종 사용자데이터를 저장하는 사용자정보저장수단(31a)과, 상기 실시간처리장치(11)의 가동정보를 저장하는 실시간처리장치가동정보저장수단(31b)과, 상기 화상입력장치(13)를 통하여 송신되는 각종 영상데이터를 저장하는 실시간영상정보저장수단(31c)과, 상기 사용자단말기(21)측에서 요청하는 실시간처리장치(11) 및 카메라구동장치(13b)조작정보를 저장하는 실시간처리장치·카메라구동장치조작정보저장수단(31d)으로 구성된다.
상기 처리수단(33)은 사용자 인증 작업을 행하는 사용자인증시스템(33a)과, 상기 현장부(10)의 실시간처리장치(11)의 가동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수집된 가동데이터를 사용자단말기(21)측으로 송출하는 실시간처리장치가동데이터수집·송출시스템(33b)과, 상기 화상입력장치(13)를 통해 송신되는 실시간영상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수집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단말기(21)측으로 송출하는 실시간영상데이터수집·송출시스템(33c)과, 상기 사용자단말기(21)측에서 요구하는 실시간처리장치(11) 및 카메라구동장치(13)의 조작데이터를 수집하고, 그 수집된 데이터를 상기 플랜트단말기(15)측으로 송출하는 실시간처리장치,카메라구동장치조작데이터수집·송출시스템(33d)으로 구성된다.
도 2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1)측에 제공되는 화면(50)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화면에는 상기 현장부(10)의 화상입력장치(13)를 통해 서버(30)에서 수집된 영상이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메인표시창(51)이마련되고, 메인표시창(51)의 일측에는 다수개의 서브표시창(53)이 마련되어 상기 메인표시창(51)을 통해서는 동영상이 실시간으로 제공됨과 아울러 서브표시창(53)에서는 소정의 위치값을 갖는 정지영상이 표시된다.
이때, 상기 서브표시창(53)을 통해 표시되는 정지영상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르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위치값은 사용자의 의도대로 변경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화면(50)상에는 위치값설정부(55)가 마련된다.
상기 위치값설정부(60)는 위치값을 각각 다르게 미리 설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는 프리셋조작부(61)을 마련하여 사용자의 의도대로 위치값을 미리 다르게 지정할 수 있도록 하며, 그와 같이 미리 위치값이 지정된 여러 가지의 모드를 갖도록 함으로써 보다 빠르게 사용자가 원하는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프리셋조작부(61)는 위치값을 지정하는 셋팅버튼(61a)과, 그 지정된 위치값을 해제시키는 해제버튼(61b)이 마련되고, 각 셋팅된 다수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선택버튼(61c)이 마련된다.
또한, 상술한 프리셋조작부(61)와 아울러 즉석에서 그 위치값을 지정하여 볼 수 있게 하는 단순조작부(63)가 마련된다. 상기 단순조작부는(63)는 상하좌우방향 선택 및 확대 축소 기능을 갖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위치값설정부(60)를 마련하여 조작가능토록 함으로써 도 1의 카메라구동장치(13b)의 위치를 사용자단말기(21)를 통하여 원거리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화면(50)에는 또한, 상기 영상데이터 수신시에 현장의 사운드를 동시에재생할 수 있는 사운드재생기(55)가 마련된다.
상기 화면(50)에는 또한, 도 1에 도시된 현장부(10)의 실시간처리장치(11)의 각 구동장치(11d,11e) 즉, 모터, 센서, PLC, 콘센트, 스위치 등의 가동현황을 그래프로서 표시해 주는 실시간처리장치가동상황표시부(57)가 마련되며, 그 일측에는 각 구동장치의 제어조건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버튼(미도시)이 마련되어 상기 실시간처리장치(11) 또한, 사용자단말기(21)를 통해 원격제어가 가능토록 구성된다.
도 3은 도 1의 사용자단말기(21)를 통해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일련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단말기(21)가 서버(30)에 접속(S101)되면 등록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S102)
그 판별결과가 “예”인 경우 로그 인(S103) 하면 플랜트감시화면이 출력되고, 그 출력화면을 통하여 사용자는 원하는 바의 요청정보를 입력(S104)하게 된다.
그 요청정보는 실시간영상요청, 실시간처리장치가동데이터요청, 카메라구동장치조작요구, 실시간처리장치요구가 될 수 있으며, 그와 같은 요청정보는 서버(30)로 전송되어 서버(30)에서의 적정한 처리 과정(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로 후술함)을 행함(S105)에 따라 원하는 출력화면을 수신(S106)하거나, 현장부(10)로 원하는 조작데이터를 전송(S107)하게 되는 것이다.
도 4a는 상기 도 1의 서버(30)가 일련의 작업과정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먼저, 사용자단말기(21)를 통해 사용자가 서버(30)에 접속하면, 서버(30)에서는 사용자정보저장수단(31a)으로부터 데이터를 읽어들여 사용자 인증작업(S201)을 하게 된다.
그와 같이 사용자인증과정(S201)을 마친 후에는 사용자의 요청을 수신하여 요청종류 즉, 실시간영상요청, 실시간처리장치가동데이터요청, 카메라구동장치조작요청, 실시간처리장치조작요청 인가를 판별(S202)하고, 그 판별결과가 실시간영상요청 및 실시간처리장치가동데이터요청인 경우에는 각 저장수단으로부터 요청자료에 대한 정보를 획득(S221)한 후 사용자가 요청한 해당화일을 읽어 출력화면을 구성(S222)하고, 그 출력화면을 사용자단말기(S223)로 전송한다.
한편, 카메라구동장치조작요청이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셋조작인가 단순조작인가를 판별(S203)하고, 판별결과 프리셋조작이면, 사용자 선택프리셋 번호를 확인(S204)하고, 프리셋설정번호에 해당하는 위치(X,Y)값을 조회(S205)한 후, 카메라구동장치 이동요청정보를 현장부(10)의 플랜트단말기(15)로 전송(S206)한다.
한편, 상기 판별(S202)결과가 단순조작일 경우에는 상하좌우 확대, 축소를 판별(S207)한 후, 각 조작에 대해 정해진 값만큼 구동요청정보를 현장부(10)의 플랜트단말기(11)로 전송(S208)한다.
그와 같이 각 조작에 대한 정해진 값만큼의 구동요청정보를 전송(S206,S208)한 후에는 그 요청된 값을 카메라구동장치조작정보저장수단(31d)에 저장(S209)한다.
상술한 내용에 있어 프리셋조작이라 함은 사용자가 다수의 위치값을 미리 지정하여 다수의 모드를 형성한 후 그 모드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도 4a에서의 판별(S202)결과가 실시간처리장치조작요구이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 유무를 판별(S210)한다.
그 판별결과 관리자가 아님이 판별되면 경고화면을 띄우며(S211), 관리자임이 판별되면 해당 기기조작정보 생성 및 그 정보를 현장부(10)의 플랜트단말기(15)로 전송(S213)하고, 그 생성된 정보를 저장(S214)한다.
상기와 같이 플랜트단말기(15)를 통해 조작정보가 전송되면, 현장부(10)의 실시간처리장치(11)의 구동장치(11d, 11e)의 조작조건이 변경되어 가동됨으로써 사용자는 현장부(10)에 직접 가지 않아도 통신망을 통하여 원거리 제어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때, 상기 현장부(10)의 플랜트단말기(15)는 그 조작정보에 의해 처리된 상황을 다시 송신하여 서버(30)를 통해 사용자단말기(21)를 통해 보여줄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현장부(10)에 설치된 실시간처리장치(11) 및 화상입력장치(13)의 정보가 서버(30)에 송신되어 서버(30)가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장부(10)의 각 실시간처리장치(11)의 및 화상입력장치(13)의 정보가 인터페이스모듈(38)을 통하면, 서버(3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모듈(38) 폴링(POLLING)작업을 행하며, 그와 같은 작업에 의해 수집 완료된 정보를 도 1에 도시된 실시간처리장치가동정보저장수단(31b) 및 실시간영상정보저장수단(31c)에 저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망을 통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과정에 있어 그 통신망은 유선데이터 통신망 또는 무선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하며, 그 대표적 무선데이터통신망으로 국내 전지역에서 통화가 가능한 광역PCS(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망을 사용하며, 유성데이터통신망으로 플랜트현장과 원격지 컴퓨터간의 자료 전송이 전세계 어디서나 가능하고 경제적이면서도 기술적으로 안정된 인터넷통신망을 이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유·무선통신망을 통하여 플랜트에서 이용되고 있는 자동화설비의 가동상황 및 처리상태를 24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실시간 제공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음과 아울러 원격조정이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그와 같이 원격조정이 가능함에 따라 긴급 상황 발생 시 원거리에서도 관리자가 보다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그 실시간 제공됨을 경제적이면서도 기술적으로 안정된 인터넷통신망을 이용함에 따라 보다 저렴하고 간편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플랜트의 제어 및 처리과정을 통신망을 통하여 다수의 사람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투명한 환경폐기물처리를 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정해져야 한다.

Claims (19)

  1. 플랜트에 마련된 실시간처리장치의 현황정보 및 화상입력장치를 통한 화상정보를 입력받아 분석하고 송신하는 플랜트단말기가 마련된 현장부;
    상기 플랜트단말기를 통해 가동현황정보 및 화상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음과 아울러 상기 실시간처리장치의 원격 조작을 행하는 사용자단말기가 마련된 감시부;
    상기 플랜트단말기를 통해 수집된 인식데이터를 기초로 플랜트 상태를 파악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상기 플랜트단말기 또는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요청메시지를 분석하여 요청 종류에 따라 정보를 생성하고, 처리된 결과를 상기 데이터저장수단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플랜트단말기 또는 사용자단말기로 출력하는 처리수단을 갖는 서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플랜트 감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트는 환경폐기물을 처리하는 환경플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플랜트 감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처리장치는 구동용인버터, 온도측정용센서, 분사용공기응축기 작동 소프트웨어, 가열용 열선 작동소프트웨어, 폐기물이동용컨베어어제어 및 구동용 PLC를 갖춘 환경폐기물투입장치, 정화 및 재활용처리장치, 처리 완료된 슬러지 및 환경폐기물 배출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플랜트 감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는 관리자용과 일반사용자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통신망을 통한 플랜트감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저장수단은 사용자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정보저장수단;
    상기 실시간처리장치의 가동정보를 저장하는 실시간처리장치가동정보저장수단;
    상기 실시간처리장치의 조작요구 조건을 저장하는 실시간처리장치조작정보저장수단;
    상기 화상정보를 저장하는 화상정보저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플랜트감시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단은 사용자를 확인하는 사용자인증시스템;
    상기 실시간처리장치의 가동데이터를 수집하고 송출하는 실시간처리장치 가동데이터 수집·송출시스템;
    상기 화상입력장치의 영상을 수집하고 송출하는 실시간영상수집·송출시스템;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요구하는 실시간처리장치조작데이터를 수집하고 송출하는 실시간처리장치조작데이터수집·송출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플랜트감시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에는 상기 화상입력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동영상을 표시해주는 메인표시창;
    상기 메인표시창을 통해 표시되는 동영상 중 소정의 위치의 영상을 정지영상으로 표시해주는 다수개의 서브표시창;
    상기 실시간처리장치의 구동상황을 소정의 시간대별로 표시하는 실시간처리장치가동상황표시부;
    상기 서브표시창을 통해 표시되는 각 영상의 위치값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위치값설정부;
    상기 실시간처리장치의 구동장치를 조작할 수 있는 실시간처리장치조작부가 마련된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플랜트감시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값설정부는 사용자가 즉석에서 위치값을 설정하는 단순조작부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그 위치값을 다수 개 미리 설정한 후 그 설정된 모드를 단순 클릭하면 원하는 위치의 영상을 빠르게 볼 수 있도록 하는 프리셋조작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플랜트감시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단순조작부는 상하좌우선택 및 확대 축소 기능을 갖는 버튼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플랜트감시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셋조작부는 위치값을 설정 및 해제하는 설정버튼 및 해제버튼이 마련되고, 그 설정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선택버튼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플랜트감시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는 수신되는 영상과 함께 사운드를 재생하는 사운드재생버튼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플랜트감시장치.
  12. 현장부에 설치된 플랜트단말기를 통해 가동중인 자동화설비의 가동현황과,화상입력장치를 통해 입력된 화상정보를 실시간 수집하여 그 수집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자동화설비조작조건 및 화상입력장치조작조건을 입력함으로써 그 자동화설비조작조건 및 화상입력장치조작조건이 통신망을 통하여 현장부로 전달되어 상기 자동화설비 및 화상입력장치를 원격제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플랜트감시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에는 현장부로부터 송신되는 동영상을 메인표시창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표시하고, 다수개의 서브표시창을 통하여 각각의 영상 위치값을 다르게 지정한 정지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플랜트감시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영상의 위치값을 사용자의 의도대로 설정 및 해제가 가능토록 하고, 그 변환된 위치값에 대한 정보를 서버를 통하여 현장부로 전송함으로써 화상입력장치에 대한 구동을 원격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플랜트감시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값 설정에 있어 다수의 모드를 미리 설정할 수 있도록 프리셋기능을 부가하여 프리셋팅 된 모드를 단순히 클릭함으로써 보다 빠르게 사용자가 의도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플랜트감시방법.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에는 현장부에서 가동중인 자동화설비의 각종 장치의 가동상황을 그래프로서 표시하여 사용자가 자동화설비의 가동상태를 원거리에서 파악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각 장치에 대한 조작조건을 입력하면, 그 조작조건이 서버를 통해 현장부로 전달되어 자동화설비의 가동조건을 변경시켜 가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플랜트감시방법.
  17.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는 관리자 및 일반사용자로 구분하여 관리됨으로써 현장부의 자동화설비조작 및 화상입력장치의 조작을 신뢰할 수 있는 자만이 조작이 가능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플랜트감시방법.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현장부의 영상데이터 수신시 현장의 사운드가 동시에 전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플랜트감시방법.
  19.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은 유·무선통신망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망을 통한 플랜트감시방법.
KR1020010055133A 2001-09-07 2001-09-07 통신망을 통한 플랜트감시장치 및 방법 KR200300217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133A KR20030021730A (ko) 2001-09-07 2001-09-07 통신망을 통한 플랜트감시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5133A KR20030021730A (ko) 2001-09-07 2001-09-07 통신망을 통한 플랜트감시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1730A true KR20030021730A (ko) 2003-03-15

Family

ID=27723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5133A KR20030021730A (ko) 2001-09-07 2001-09-07 통신망을 통한 플랜트감시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173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057A (ko) * 2002-11-12 2004-05-20 보국전기공업 주식회사 엔진 발전 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1025293A2 (ko) * 2009-08-28 2011-03-03 네트인텔리젠스 주식회사 섹터 그래프 기반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1882146B1 (ko) * 2017-08-22 2018-07-25 정대의 스마트 현장 정보관리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057A (ko) * 2002-11-12 2004-05-20 보국전기공업 주식회사 엔진 발전 시스템의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1025293A2 (ko) * 2009-08-28 2011-03-03 네트인텔리젠스 주식회사 섹터 그래프 기반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1047325B1 (ko) * 2009-08-28 2011-07-0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축물 및 플랜트의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WO2011025293A3 (ko) * 2009-08-28 2011-07-21 네트인텔리젠스 주식회사 섹터 그래프 기반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1233264B1 (ko) * 2009-08-28 2013-02-14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섹터 그래프 기반 플랜트 및 건축물 설비 운영상태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1882146B1 (ko) * 2017-08-22 2018-07-25 정대의 스마트 현장 정보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48973B1 (en) Synergistic interface system for a building network
CN105371426A (zh) 一种智能空气净化系统及其使用方法
KR20080050954A (ko) 청소 장치 및 그 운영 방법
CN109299908A (zh) 一种远程可视化协助系统
KR100736250B1 (ko) 실내환경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21144735A (ja) ロボット制御装置、ロボット制御方法及びロボット
EP3367183B1 (en) A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an air purification device
US201302381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and automatically controlling building energy facilities
JP2001022438A (ja) 監視システム
KR20030021730A (ko) 통신망을 통한 플랜트감시장치 및 방법
JP2001125633A (ja) プラント情報収集システム
JPH10337556A (ja) 水処理施設における運転監視制御の表示装置
JP2004326468A (ja) 環境プラント設備の運転保守支援システム
KR20190048975A (ko) 환경 측정 센서가 결합된 디스플레이시스템
JP6475382B1 (ja) 作業現場用サイネージシステム、表示装置及び作業現場用サイネージ制御方法
KR101089417B1 (ko) 멀티인포메이션박스.
JP2003005823A (ja) 遠隔監視方法及び監視制御用オペレーション装置
JP2002071246A (ja) 監視システム
CN110675692A (zh) 一种智慧安防实训装置及控制系统
KR100961762B1 (ko) 통합경보시스템
CN106154984A (zh) 数据处理系统、数据处理方法以及电力管理系统
JPH06121315A (ja) 監視制御装置
KR20020032164A (ko) 인터넷을 이용한 주택의 원격감시제어 장치
JP2004265449A (ja) 監視システム
JP3459902B2 (ja) 遠隔監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