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1229A - 화상처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처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1229A
KR20120021229A KR1020110086174A KR20110086174A KR20120021229A KR 20120021229 A KR20120021229 A KR 20120021229A KR 1020110086174 A KR1020110086174 A KR 1020110086174A KR 20110086174 A KR20110086174 A KR 20110086174A KR 20120021229 A KR20120021229 A KR 20120021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images
adjustment
display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6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지 타케코시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21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12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60Editing figures and text; Combining figures or tex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21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 A61B6/5229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combining image data of a patient, e.g. combining a functional image with an anatomical image
    • A61B6/5235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combining image data of a patient, e.g. combining a functional image with an anatomical image combining images from the same or different ionising radiation imaging techniques, e.g. PET and CT
    • A61B6/5241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processing of medical diagnostic data combining image data of a patient, e.g. combining a functional image with an anatomical image combining images from the same or different ionising radiation imaging techniques, e.g. PET and CT combining overlapping images of the same imaging modality, e.g. by stitch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06T3/4038Image mosaicing, e.g. composing plane images from plane sub-im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61B6/463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characterised by displaying multiple images or images and diagnostic data on one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7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characterised by special inpu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05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iagnosis of b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47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tracking of position of the device or parts of th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0/00Indexing scheme for image generation or computer graphics
    • G06T2210/41Med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Studio Device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표시 화면 위에 표시된 화상에 대한 위치 조정을 행하는 화상처리장치는, 서로의 위치 관계가 설정된 복수의 화상을 취득하는 취득 유닛과, 상기 복수의 화상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화상을 표시 화면 위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 유닛과, 상기 표시 화면 위에 표시된 화상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1 위치 조정 유닛과, 상기 제1 위치 조정 유닛에 의한 위치의 조정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화상 중에서, 상기 표시 화면 위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화상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2 위치 조정 유닛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화상처리장치 및 방법{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화상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료용의 X선 촬영 장치에서는, 디지털 기술의 진보에 따라, 여러 가지의 방식을 사용한 디지털 X선 촬영 장치가 보급되어 오고 있다. 예를 들면, 형광체와 대면적 아모르포스(amorphous) 실리콘(a-Si) 센서를 밀착시킨 X선 평면 검출기를 사용하여, 광학계 등의 중개 없이 X선 화상을 직접 디지털화하는 디지털 X선 촬영 장치가 실용화되고 있다. X선 평면 검출기는 소위 플랫 패널 딕텍터(flat panel detector)(FPD)이다.
디지털 X선 촬영 장치는 진단용 화상을 얻기 위해서 널리 이용되고 있지만, 디지털 X선 촬영 장치의 검출면의 크기를 초과하는 피사체의 영역(예를 들면, 전체 척주나 전체 하지)을 촬영할 필요도 있다.
피사체의 전체 척주나 전체 하지의 촬영 화상을 얻기 위해서는, 최초에, 촬영 대상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서 여러 번의 화상의 촬영을 행한다. 그리고, 취득한 복수의 인접 촬영 화상을 서로 연결시키는 것에 의해, 전체 척주나 전체 하지의 촬영 화상을 얻는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5-261666호에는, 복수의 촬영 화상을 합성하는 것에 의해, 진단용의 화상을 작성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여러 번의 촬영을 행할 경우, 촬영 중에 피사체의 몸 동작이 생기고, 복수의 촬영 화상 간에 위치 어긋남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촬영 화상 간의 위치 어긋남의 문제는, 디지털 X선 촬영 장치에 한하지 않고, 파노라마 합성 화상을 작성할 때 등에도 생긴다. 이 위치 어긋남을 유저 지시에 의거해 조정하기 위한 기술로서, 일본국 특허 제3542898호에는, 촬영 화상 군에 대하여, 이동?회전?확대?축소?변형 등의 조정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 제3542898호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예를 들면 4매의 화상의 위치 어긋남을 조정할 때에, 2매의 화상을 연동시킴으로써, 위치 조정의 시간과 수고를 삭감하고 있다.
그렇지만, 일본국 특허 제3542898호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서로 연동시키는 복수의 화상을, 유저가 명시적으로 지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서로 연동시키는 복수의 화상을 적절히 지정하기 위해서는, 이동 대상이 되는 모든 화상이 표시 화면 위에 표시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확대 표시에 의해 이동 대상의 화상이 모두 표시되지 않을 경우에는, 연동 지정 때문에 축소 표시를 행할 필요가 있어, 유저의 시간과 수고가 증가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표시 화면 위에 표시된 화상의 위치 조정을 행하기 위한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화상의 연동 지정에 관한 시간과 수고를 저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화면 위에 표시된 화상에 대한 위치 조정을 행하는 화상처리장치는, 서로의 위치 관계가 설정된 복수의 화상을 취득하는 취득 유닛; 상기 복수의 화상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화상을 표시 화면 위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 유닛; 상기 표시 화면 위에 표시된 화상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1 위치 조정 유닛; 및 상기 제1 위치 조정 유닛에 의한 위치의 조정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화상 중에서, 상기 표시 화면 위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화상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2 위치 조정 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밝혀질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X선 촬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장척(long) 촬영 처리의 플로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3b는 화상 합성의 화상처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위치조정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위치조정처리의 상세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6은 확대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의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7e는 위치조정화면과 복수의 촬영 화상과의 위치 관계의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의 실시예)
도 1은, 제1의 실시예의 X선 촬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X선 촬영 장치는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X선 관(101)은, 피사체에 대하여 X선을 조사한다.
X선 관 제어부(102)는 X선 관(101)의 X선의 조사량, 조사 타이밍 등을 제어한다.
X선 검출기 유닛(103)은, 피사체를 투과한 X선을 검출하는 X선 검출 유닛이다.
X선 검출기 제어부(104)는, X선 검출기 유닛(103)의 동작을 제어한다.
촬영 제어부(105)는, X선 관 제어부(102) 및 X선 검출기 제어부(104)를 제어한다. 촬영 제어부(105)는, X선 검출기 유닛(103)으로부터 취득된 X선 촬영 화상에 대한 화상처리, X선 촬영 화상의 모니터(106)에의 표시 제어, X선 촬영 화상의 보존 처리 등을 행한다. 촬영 제어부(105)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을 갖는 일반적인 퍼스널 컴퓨터와 비슷한 구성을 갖는 것이 가능하고, X선 관 제어부와 X선 검출기 제어부를 제어하도록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된다.
다음에, 도 1의 X선 촬영 장치를 사용한 X선의 장척(long) 촬영 처리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X선의 장척 촬영 처리의 플로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의 플로차트에 있어서의 각 처리는, 촬영 제어부(105) 또는, X선 촬영 장치의 조작자에 의해 행해진다.
(스텝 S201) 스텝 S201에서는, 촬영 제어부(105)에 대한 조작자의 지시에 의해, 촬영 프로토콜의 선택이 행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촬영 프로토콜은, X선 촬영하기 위해서 프리 세트되어 있는, 여러 가지 촬영 조건이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촬영 프로토콜은 X선 검출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 X선 관 제어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 등이다. 또, 촬영 프로토콜은 촬영 제어부로 촬영한 결과의 화상에 대한 화상처리조건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조건 등의 정보도 포함한다.
또한, X선 검출기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촬영 프로토콜은 또한 X선 검출기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 및 X선 검출기의 가로, 세로 방향의 방향 등도 포함하고 있다. 특히, 장척 촬영에 있어서는, 촬영하는 X선 검출기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 그 X선 검출기의 종횡의 방향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한층 더, 전체 척주와 하지 전체 길이 등의 촬영 부위의 정보와, 촬영 부위에 의존해서 촬영하는 화상의 매수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촬영하는 화상의 최대 매수를 4매라고 설정하지만, 4매 미만의 화상이나 5매 이상의 페이지를 촬영해도 문제가 없다.
(스텝 S202) 스텝 S202에서는, 조작자가, 장척 촬영을 위한 X선이 조사되는 피사체나 X선 검출기에 마커(marker)를 붙인다. 장척 촬영을 위해서는 복수의 촬영 화상이 취득되지만, 각 촬영 화상끼리의 서로 대향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 피사체나 X선 검출기 유닛(103)에 마커 붙이기를 행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화상에 있어서의 마커의 위치는, 전체 피사체 화상(또는 "장척 화상")에서 각 촬영 화상이 위치되는 곳을 나타낸다. 이 마커는 각 촬영 화상 간의 이은 자리(seam)로서 기능하는 영역(즉, 촬영 화상 간의 중복 영역)에 바람직하게 배치되어, 각 촬영 화상을 합성할 때의 기준이 된다.
마커에 대해서는, 직경 몇 밀리 정도의 납 구체(lead sphere)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마커를 사용한 장척 촬영을 행할 경우에, 촬영시에 마커의 화상을 효율적적으로 또한 정확하게 촬영하는 방사선 촬영 지지대를 사용해도 된다. 마커의 대용품으로서는, 자기 치료용의 자석, 고순도의 게르마늄 등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산탄총 탄환(shotgun shell) 등을 대용품으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의 스텝 S201 및 스텝 S202은, 촬영 처리의 전처리이기 때문에, 처리 순서가 반대여도 개의치 않는다.
(스텝 S203) 스텝 S203에서는, 피사체에 대하여 X선을 조사하여, X선 촬영 처리를 행한다. X선 촬영 처리는, 스텝 S201에서 설정된 촬영 프로토콜에 따라, 촬영 제어부(105)가 X선 촬영 장치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한편, 촬영 프로토콜 선택 후에, 피사체의 촬영 영역의 크기에 따라, 촬영 매수에 대한 제어를 행해도 된다. 장척 촬영에서는, 피사체의 복수개의 영역에 대해서 촬영을 행하기 때문에, X선 검출기 유닛(103)의 위치 및 X선 관(101)으로부터의 X선 조사방향은 촬영 중에 변경된다. 예를 들면, 피사체를 서 있는 위치에서 촬영할 경우, X선 검출기 유닛(103)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구동유닛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이동에 따라, X선 관(101)의 X선 조사방향이 변화된다. 한편, X선 관(101)의 초점과 피사체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는 변화되지 않는다.
(스텝 S204) 스텝 S204에서는, 촬영 제어부(105)가, 스텝 S203에서 취득된 복수의 촬영 화상을 모니터 등의 표시 화면 내에 표시한다. 여기에서 표시되는 복수의 촬영 화상은, 전술의 마커를 기준으로서 사용하면서 레지스트레이션(registration)된다. 촬영 제어부(105)는 복수의 촬영 화상으로부터 마커를 추출하는 화상처리를 행하는 화상처리유닛과, 촬영 화상을 표시 화면 내에 표시하는 표시제어유닛으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촬영 화상에 관해서는, 마커가 화상에 나타나기 때문에, 화상처리에 의해 마커를 추출하는 것에 의해 촬영 화상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의 촬영 화상의 합성은, 촬영 제어부(105)가 촬영 화상으로부터 마커의 위치를 추출해 각 촬영 화상의 위치조정을 행하는 것으로, 또는 조작자의 지시에 근거한 메뉴얼 조작으로 행해져도 된다.
한편, 마커의 추출에 실패한 경우에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값에서 중첩되면서 표시된다. 예를 들면, 중첩량이 48mm, 50mm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마커를 사용하지 않고, 촬영 제어부(105)가 X선 검출기 유닛(103)을 보유하는 X선 검출기 보유부와 X선 관(101)을 보유하는 X선 관 보유부 간의 상대적 위치 관계로부터, 화상의 중첩량을 산출하고, 또 촬영 제어부(105)는 그 중첩량을 이용해서 각 촬영 화상의 위치조정을 행해도 된다.
(스텝 S205) 스텝 S205에서는, 스텝 S204에서 표시된 복수의 촬영 화상의 위치조정을, 조작자의 지시에 근거해 행한다. 조작자는,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로부터 촬영 제어부(105)에 지시를 보내고, 지시를 수신한 촬영 제어부(105)는 제1의 위치조정유닛으로서 기능하고, 촬영 화상의 위치조정을 행한다. 이것은, 복수의 촬영 화상 간의 서로의 위치 관계가 스텝 S204에서 설정되어 있지만, 피사체의 몸 동작 등에 의한 위치 어긋남에 대한 미세 조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조작자는, 표시 화면 내에 표시된 촬영 화상 간의 위치 관계를 확인하면서, 화상을 선택해서 마우스 조작을 행하고, 또는 조작자가 키보드로부터 수치 입력하는 것에 의해, 화상의 위치를 상하좌우로 이동시킨다.
X선의 촬영 화상은 의료 진단에 사용하기 때문에, 상세한 관찰을 행하기 위해서 화상을 확대 표시하는 경우가 있다. 그렇지만, 확대 표시를 행하면, 합성 대상인 복수의 촬영 화상 중, 몇 개의 촬영 화상은 표시 화면 밖에 위치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촬영 화상의 위치조정을 행하는 경우, 표시 화면 밖의 촬영 화상의 위치는 불분명하기 때문에, 위치 조정 후에 축소 표시를 해서 촬영 화상 전체의 위치 관계를 재확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촬영 제어부(105)가 제2 위치조정유닛으로서 기능하고, 촬영 화상의 위치조정을 행하는 경우, 표시 화면 위에 표시되지 않는 촬영 화상의 위치도 연동시켜서 조정한다. 이 기능에 의해, 위치 조정을 통상적으로 행하는 조작자의 시간과 수고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마우스 조작 등에 의한 위치 조정량이 소정량보다도 클 경우, 화상이 표시 화면 내에 있는지 아닌지에 관계없이, 복수의 촬영 화상의 위치를 조정해도 된다. 제2 위치조정유닛의 상세한 처리는 후술한다.
(스텝 S206) 스텝 S206에서는, 촬영 제어부(105)가 합성 처리 유닛으로서 기능하고, 복수의 촬영 화상의 합성 처리를 행한다. 촬영 제어부(105)는, 조작자가 위치 결정 버튼을 눌렀을 경우에, 합성 처리를 행한다. 합성 대상인 복수의 촬영 화상의 위치 관계는, 스텝 S204 및 스텝 S205의 처리에 의해 조정된다. 따라서, 촬영 제어부(105)는, 위치 조정된 복수의 촬영 화상의 이은 자리(seam)를 서로 연결시켜 (합성 처리), 한 장의 합성 화상을 생성한다. 생성된 합성 화상은 모니터(106)에 표시된다. 한편, 본 스텝에 있어서의 합성 처리를 행하는 경우, 스텝 S205에 있어서의 연동 처리를 제한해도 된다는 점에 유념한다.
(스텝 S207) 스텝 S207에서는, 촬영 제어부(105)가 계측 처리를 행한다. 모니터(106) 상에 표시된 합성 화상에 대해서 코브 각(Cobb angle) 계측 및 높이 차이 계측 등의 각종 계측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는, X선의 확대 효과를 보정해서 얻은 값에 근거한 표시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X선의 확대 효과의 보정에는, 센서, 피사체, 및 X선 관 간의 각각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계산해서 값을 취득해도 되고, 조작자의 지시에 의해 확대 효과의 보정값을 지정되는 방법을 이용해도 된다.
(스텝 S208) 스텝 S208에서는, 촬영 제어부(105)가 합성 화상을 외부장치에 출력한다. 화상의 출력에 대해서는, 보통 DICOM(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 in Medicine)이라고 하는 규격으로 정의된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화상을 출력한다. DICOM 출력에 대해서는, PACS(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이라고 불리는 화상 서버나 의료용의 필름 이미저(film imager)에의 인쇄 출력 등이 행해질 수 있고, PACS에는 합성 전의 촬영 화상과 합성 화상의 양쪽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설정에 따라, 촬영 화상만 출력하는 경우나, 합성 화상만 출력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인쇄 출력의 경우에는 합성 화상만을 출력한다. 상기의 각 공정은, 네트워크 또는 각종 기억매체를 통해서 취득한 소프트웨어(컴퓨터 프로그램)를 퍼스널 컴퓨터 등의 처리장치(CPU, 프로세서 등)로 실행함으로써도 실현된다.
(스텝 S205에 있어서의 위치조정처리의 상세)
도 4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위치조정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위치조정화면(401) 상에 표시된 촬영 화상 402, 403, 404를 서로 합성함으로써 장척 촬영 화상(즉, 합성 화상)이 생성된다. 여기에서는, 화상 3매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지만, 화상의 매수는 3매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툴 군(tool group)(405)은 화상 조작을 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면, 툴 군은 화상 피트(fit) 버튼, 최대 확대 버튼, 확대 버튼, 축소 버튼, 자유 회전 버튼, 우측 90도 회전 버튼, 좌측 90도 회전 버튼, 컷아웃(cutout) 버튼, Undo 버튼, 상하좌우 이동 버튼, 에지 강조 버튼 등을 포함한다.
위치조정처리의 상세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위치조정처리의 상세를 나타낸 플로차트다. 한편, 이하의 각 공정에 있어서의 처리는, 촬영 제어부(105) 또는 X선 촬영 장치의 조작자에 의해 행해진다.
(스텝 S501) 스텝 S501에서는, 촬영 제어부(105)가, 모든 촬영 화상의 유효영역을 표시한다. 유효영역이란, 화상 전체면 위에 X선이 조사된 진단상 중요한 영역이다. 진단 등에는, 촬영 화상 상의 유효영역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모니터(106) 상의 위치조정화면(401) 상에 표시되는 각 촬영 화상은, 복수의 촬영 화상의 각 유효영역이 된다.
예를 들면, 화상 404는 화상 406의 유효 영역이다(화상 402과 화상 403은 각각 유효 화상 영역이다. 이들 유효 화상 영역에 대한 실제의 화상 영역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 즉, 화상 406이 실제의 화상 사이즈이며, 이 실제의 화상의 X선 조사영역이 화상 404이다. X선 조사영역은 공지의 기술을 이용해서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텝 S502) 스텝 S502에서는, 조작자의 지시를 받은 후에, 촬영 제어부(105)가 제1의 위치조정유닛으로서 기능하여, 위치조정조작을 행한다. 위치조정은 화상 조작 툴 군(405) 등을 사용해서 상하좌우 이동과 회전조작에 대응한다. 그 밖의 화상조작도 행하지만, 스텝 S502에서 대상으로 하는 것은 화상의 위치 변경이나 기하 변환을 수반하는 것이다. 본 스텝에 있어서의 처리가 행해진 후에는, 스텝 S503로 처리가 진행된다.
(스텝 S503) 스텝 S503에서는, 촬영 제어부(105)가 판정 유닛으로서 기능하고, 위치조정화면(401)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추가 화상이 있는지 아닌지의 판정을 행한다. 위치조정을 행할 경우, 위치조정에 앞서 확대 조작이 행해지는 경우가 자주 있다.
도 6은, 이러한 확대 조작이 행해졌을 경우의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화상의 확대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 화상 간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유지한 채 화상이 확대된다. 그 때문에, 2화상 간의 중첩 영역의 상세를 보기 위해서 확대를 행하면, 다른 중첩 영역이 화면에서 튀어나오게 된다. 화상 402과 화상 403의 중첩 영역을 확인하기 위해서 확대한 결과, 화상 404는 위치조정화면(401)의 영역 밖으로 나와서 화상이 화상 404의 화면에는 전혀 표시되지 않는다. 따라서, 화상 402?404 중에서 위치 조정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 화상이 존재한다고 판정했을 경우, 화상 402과 403이 표시되고, 화상 404가 알려져 있지만 표시되어 있지 않은 화상이 된다. 위치조정화면에 표시되지 않는 화상이 있는 경우, 스텝 S504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위치조정화면에 표시되지 않는 화상이 없는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여기에서, 본 스텝 S503에 있어서의 판정 처리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7a 내지 7e는, 위치조정화면(401)과 복수의 촬영 화상 간의 위치 관계의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도 7b, 및 도 7e는, 위치조정화면(401) 밖에 적어도 2개의 촬영 화상이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c는 위치조정화면(401) 밖에 적어도 1개의 촬영 화상이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스텝 S504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도 7d에서는, 위치조정화면(401)에 모든 촬영 화상의 적어도 일부가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7d에 나타낸 위치관계의 경우, 처리가 종료한다.
(스텝 S504) 스텝 S504에서는, 촬영 제어부(105)가 판정 유닛으로서 기능하여, 위치조정의 조작 대상인 촬영 화상의 위치조정화면(401) 내에 있어서의 상하 위치를 판정한다. 이 처리는 위치조정화면(401)에 표시되어 있는 촬영 화상 중에서 현재 조작 중의 화상의 상대적 위치를 판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 판정에 관해서는, 도 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6에서, 화상 403이 조작 대상의 촬영 화상이라고 하면, 화상에 조작용의 핸들 604가 표시된다. 여기에서는, 조작 중인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 조작용의 핸들 604을 표시하고 있지만, 조작용의 핸들 이외에도 예를 들면, 화상 프레임을 첨부하고, 화상의 색을 변경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현재 조작 중의 화상 403이 위치조정화면 내에서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판정하기 위해서, 각각의 화상의 중심을 취득한다. 중심 601은 화상 402의 유효 영역의 중심에 대응한다. 중심 602는 화상 403의 중심에 대응한다. 중심 603은 화상 404의 중심에 대응하지만, 화상 404는 스텝 S503에서 위치조정화면에 표시되지 않는 화상이 되기 때문에, 중심의 추출은 생략해도 된다.
이상에서, 위치조정화면 내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의 중심은 중심 601 및 중심 602에 대응한다. 이 예에서는, 2매의 화상이 위치조정화면 내에 표시되어 있지만, 3매 이상의 화상이 표시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중심 602가 현재 조작중의 화상의 중심에 대응하며, 중심 601 및 중심 602에 관해서는 중심 602가 종축 방향에서 봤을 때 최하 위치에 있기 때문에, 조작 대상의 촬영 화상은 최하 위치에 있다고 판단한다.
이 판단의 결과, 조작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화상 중에서 최상 위치에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505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조작 화상이 최상 위치나 최하 위치에 있지 않은 경우에는, 조작 화상이 중간위치에 있다고 판단해서 스텝 S507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조작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화상 중에서 최하 위치에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508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스텝 S505) 스텝 S505에서는, 촬영 제어부(105)가 판정 유닛으로서 기능하여, 연동 동작하는 촬영 화상을 판정한다.
이것은, 스텝 S504에서 현재 조작 중의 화상이 최상 위치에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행해지는 처리다. 구체적으로는, 스텝 S503에서도 조사한 위치조정화면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화상이 연동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관련 화상이 조작 화상에 대해서 상측에 있는지 하측에 있는지에 의존해서 결정한다. 도 7a 내지 도 7e을 사용해서 좀더 설명한다. 도 7a의 경우에 있어서는, 화상 701a가 현재 조작 중의 화상이라고 하면, 위치조정화면(401)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화상은 화상 703a와 704a다. 화상 702a는 위치조정화면(401)에 표시된다. 따라서, 각각의 화상에 대해서 현재 조작 중의 화상 701a보다도 위쪽 위치에 있는지 아닌지를 체크한다. 이 예에서는, 화상 703a도 화상 704a도 조작 화상보다도 하측 위치에 있으므로, 연동 대상으로서 설정되지 않는다. 이들 화상이 연동 대상으로서 설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507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도 7b의 경우에 있어서는, 화상 702b이 조작중이다라고 가정하면, 위치조정화면(401)에 표시되지 않는 화상은 화상 701b과 화상 704b이다. 화상 703b는 위치조정화면(401)에 표시된다. 따라서, 화상 701b는 조작 대상의 촬영 화상보다도 상측 위치에 있어 연동 대상으로서 설정된다. 한편, 화상 704b는 연동 대상으로서 설정되지 않는다.
도 7e의 경우에 있어서는, 화상 702e가 조작중이라고 가정한다. 스텝 S504의 위치조정화면 내에서의 상하 위치에 대한 체크에 있어서는, 위치조성화면(401)에 표시된 화상만이기 때문에, 위치가 최상 위치이기도 하고 하측 위치이기도 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위치조정화면(401)에 표시되지 않는 화상은 화상 701e와 화상 703e와 화상 704e다. 조작 대상의 촬영 화상보다도 상측 위치에 있는 화상은 화상 701e이므로, 화상 701e는 연동 대상으로서 설정된다.
(스텝 S506) 스텝 S506에서는, 촬영 제어부(105)가 판정 유닛으로서 기능하여, 위치조정과 연동하는 처리를 행한다. 조작 대상이 되는 촬영 화상에 대한 위치조정조작과 연동해서, 조작 대상 화상과 일체가 되어서 다른 촬영 화상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위치조정조작에 대해서는, 상하좌우로의 화상의 이동과, 자유 회전이 생각된다. 이 경우, 마치 조작 화면과 연동 대상 화상이 1개의 화상으로 그룹핑된 것처럼 동작이 행해진다. 한편, 90 회전에 관해서는, 연동 대상의 경우에, 연동 대상이 1개의 화상으로 그룹핑된 것처럼 동작이 행해지거나, 또는 연동 대상의 경우에도, 연동 대상이 개별적으로 화상중심에서 회전하는 것처럼 동작이 행해져도 된다는 점에 유념한다.
연동 동작은 일련의 동작이 종료할 때까지는 해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7a에 있어서, 조작 대상 화상이 화상 702a라고 가정하면, 화상 703a는 연동 동작 대상이다. 여기에서, 조작 대상화상 702a를 마우스의 드래그 조작 등에 의해,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에, 화상 703a는 연동해서 동작하기 때문에 상측 방향으로 모두 이동한다. 그리고, 이 이동에 의해, 화상 703a가 위치조정화면(401) 내에 표시되는 경우가 있다. 화상 703a가 위치조정화면(401) 내에 표시되면, 그 순간 위치조정화면에 표시되는 화상이 되지만, 드래그 조작 등과 같이 일련의 동작이 계속하고 있는 경우에는, 화상 703a가 연동 대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일련의 동작이 종료할 때까지 연동 대상인 채로 유지해도 된다.
한편, 위치조정작업이 드래그 조작 등에 의해 행해질 때, 위치의 미세 조정이 아니고, 화상 혹은 화면 전체를 패닝(panning)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마우스 드래그의 이동량이 커진다. 따라서, 1회의 동작에 있어서의 마우스 드래그 조작의 이동량이, 모니터 사이즈의 1/2 이상인 경우에는, 화상의 위치조정이 아니고 패닝 조작이라고 판단하고, 전체 화상을 연동시켜서 패닝 조작을 행해도 된다. 한편, "모니터 사이즈의 1/2"이라고 하는 수치는 2/3이어도 되고, 조작자의 지시에 의해 설정할 수 있는 값을 사용해도 된다.
(스텝 S507) 스텝 S507에서는, 상기의 연동한 동작을 행하지 않는다. 즉, 조작 대상의 촬영 화상이 단독으로 조작되어, 다른 화상과의 위치 관계는 보존되지 않고 동작한다. 한편, 스텝 S507의 동작은 스텝 S505에서 화상이 위치조정화면에 표시되지 않는 화상 중에서 현재 조작중의 화상보다도 하측에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다. 이 경우에는, 도 7a 내지 도 7e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7a에서, 현재 조작 중의 화상이 화상 701a인 경우, 화상 701a는 위치조정화면 중에서는 최상 위치에 있지만, 비표시의 화상 703a와 화상 704a는 현재 조작중의 화상보다도 하측에 존재하기 때문에, 연동 동작은 행하지 않게 된다. 또 다른 예에서는, 도 7b에 있어서, 화상 702b이 조작중의 촬영 화상이라고 하면, 화상 702b는 위치조정화면 내에서 최상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화상 701b와 화상 704b가 위치조정화면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화상이지만, 화상 701b는 조작 화상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므로, 화상 701b는 연동 대상이다. 화상 704b는 조작 화상보다도 하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연동 동작하지 않는다.
또한, 스텝 S504에 있어서, 현재 조작중의 화상이 위치조정화면 내에서 최상 위치 또는 최하 위치에 있지 않은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는, 연동 동작하는 화상은 없다. 도 7a 내지 도 7e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도 7c에서, 조작 대상 화상이 화상 702c이라고 하면, 위치조정화면 내에서 화상 702c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는 화상 701c이 존재하고, 화상 702c보다도 하측에 위치하는 화상 704c이 존재한다. 화상 703c도 위치조정화면(401) 내에 있다. 따라서, 화상 702c가 최상 위치 또는 최하 위치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조작해도, 위치조정화면에 표시되지 않는 화상 704c은 연동 동작하지 않는다.
한층 더, 연동 동작하지 않는 경우로서는, 후술하는 스텝 S508에서, 현재 조작중의 화상이 위치조정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 중에서 최하 위치에 위치했을 때, 위치조정화면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화상 중에서 조작 화면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는 화상은 연동 동작하지 않는다. 도 7a 내지 도 7e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도 7b에 있어서, 화상 703b이 조작 대상 화상이라고 하면, 화상 701b와 화상 704b는 위치조정화면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화상이지만, 화상 701b는 화상 703b보다도 위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화상 701b는 연동 대상이 되지 않는다.
(스텝 S508) 스텝 S508에서는, 촬영 제어부(105)가 판정 유닛으로서 기능하여, 연동 동작하는 촬영 화상을 판정한다.
이것은, 스텝 S504에서 현재 조작중의 화상이 최하 위치에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행하는 처리다. 구체적으로는, 스텝 S503에서 조사한 위치조정화면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화상이 조작 화상에 대해서 상측 또는 하측에 있는지에 의존해 연동 동작할 것인지 아닌지가 결정된다. 도 7a 내지 도 7e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7a에 있어서, 현재 조작중의 화상이 화상 702a이라고 하면, 현재 조작중의 화상은 위치조정화면 내에서 최하 위치에 위치한다. 그리고, 위치조정화면에 표시되지 않는 화상은 화상 703a와 화상 704a다. 화상 703a와 화상 704a는 모두 조작 대상 화상 702a보다도 하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조작 대상 화상의 조작에 연동 동작한다. 또한, 도 7b에 있어서, 화상 703b가 조작 대상 화상이라고 하면, 위치조정화면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화상은 화상 701b와 화상 704b이지만, 조작 대상 화상 703b보다도 하측에 위치하는 화상은 화상 704b이다. 따라서, 화상 704b은 연동 동작 대상이 된다. 또한, 도 7c에 있어서, 화상 703c가 조작 대상 화상이라고 하면, 위치조정화면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화상은 화상 704c이다. 화상 704c은 조작 대상 화상 703c보다도 하측에 위치하므로, 화상 704c는 연동 대상이 된다.
또한, 도 7e의 경우에 있어서는, 화상 702e가 현재 조작중의 화상이라고 하면, 화상 702e는 스텝 S504의 위치조정화면 내에서의 상하 위치 체크에 있어서, 최상 위치이기도 하고 최하 위치이기도 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조정화면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화상 중에서, 현재 조작중의 화상 702e보다도 하측에 위치하는 화상은 화상 703e와 화상 704e이며, 이들 화상은 연동 대상이 된다.
(스텝 S509) 스텝 S509은 연동 동작이지만, 본 스텝에 있어서의 처리는, 스텝 S506와 같은 처리다.
이상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처리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조작자가 위치조정 시에 연동해야 할 촬영 화상 군을 명시적으로 지정하는 않아, 적절한 촬영 화상군이 연동해서 이동한다. 따라서, 위치조정에 관한 조작자의 시간과 수고를 경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촬영 화상의 레지스트레이션(registration)이 상하로 있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촬영 화상의 레지스트레이션이 상하가 아니고 좌우로 있어도 된다는 점에 유념한다. 이 경우, 전술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조작 대상이 되는 촬영 화상이 가장 왼쪽의 위치 혹은 가장 오른쪽의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조작 대상이 되는 촬영 화상이 가장 오른쪽의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조작 대상이 되는 촬영 화상보다도 우측에 위치하고 있는 촬영 화상이 연동해서 이동한다. 조작 대상이 되는 촬영 화상이 가장 왼쪽의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조작 대상이 되는 촬영 화상보다도 좌측에 위치하고 있는 촬영 화상이 연동해서 이동한다.
또한, 스텝 S503에 있어서는, 위치조정화면에 화상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고 하는 것으로 판정을 행하고, 스텝 S505나 스텝 S508에서는 위치가 조작 화면보다도 상측 위치인지 하측 위치인지 판단하는 판단 처리를 행한다. 그러나, 조작 화상에 대하여 중합되는 화상을 연동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도 7a에 있어서, 화상 702a를 현재 조작중의 화상이라고 가정하면, 화상 702a는 화면에 표시된 화상 중에서 최하 위치에 있다. 이와 같이, 화상 702a보다도 하측에서 서로 중합되는 화상 703a와 화상 704a를 연동시킨다. 또한, 다른 예에서, 도 7b에 있어서는, 화상 702b가 현재 조작중의 화상이라고 가정하면, 화상 702b는 표시되어 있는 화상 중에서 최상 위치에 있으므로, 화상 702b과 겹치는 화상이며 화상 702b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는 화상 701b가 연동해서 동작한다.
한편, 촬영 실패 발생시 등의 워크플로우에 대해서는, Suspend(촬영 중단)이 설정된 경우에는, 환자가 움직였다고 간주한다. 중단 전의 자세를 재현하는 것이 곤란하므로, Resume(계속 촬영)를 불가능하게 해도 된다.
(장척 촬영에서의 합성 처리에서의 각 화상 간의 농도 단차 보정)
레지스트레이션 윈도우(registration window) 내에 있어서는, 화상 1매 마다 실행된 화상 처리 후의 부분 화상을 중복 위치에 있어서 블렌딩(blending)(반투명하게)으로서 설정해도 된다. 이 경우, 이은 자리(농도 단차)가 눈에 잘 띈다. 그러나, 조작자에 있어서는 오히려 그쪽이 이은 자리를 인지하기 쉽고, 메뉴얼에 의한 위치 미세 조정도 하기 쉽다. 레지스트레이션 후에는, 미처리 화상을 우선 붙이고, 합성 화상에 균일한 화상 처리를 적용함으로써, 각 화상 간의 농도 단차는 눈에 띄지 않는다.
(임의 선택 화상으로부터의 메뉴얼 합성)
레지스트레이션 및 화상 합성을 실행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2개의 제약을 형성해도 된다. 즉, 이하의 제약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는 레지스트레이션에서 에러가 생겨서, 처리를 화상 합성으로 진행시키지 않는다. 첫 번째는, 각 부분 화상에, 인접 화상과의 중복 부분이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3매 이상의 화상이 중복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촬영 조건 등에 대한 제약 사항)
합성 화상에 있어서 농도 단차를 눈에 띄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각 부분 화상의 촬영 조건이 가능한 한 가까운 쪽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동일한 관 전압(tube voltage)을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스텝 S201에서는, 촬영 프로토콜의 선택을 하지만, 촬영 프로토콜의 선택에 대해서는, 메뉴얼로 프로토콜을 선택하는 방법 이외에도, DICOM 규격으로 정해져 있는 모달리티 워크 리스트(modality work list)의 기능을 사용해서 수집 및 선택을 행할 수 있다. 취득한 모달리티 워크 리스트는 촬영 오더(order)라고 불리고, 환자 정보와 촬영 프로토콜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 워크 리스트는 화면에 일람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수작업으로 리스트로부터 선택되어도 되고, 또는 바코드나 자기 카드의 외부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서 리스트로부터 검색되어도 된다. 검색하는 검색 키로서는, 환자 ID나 접수번호 등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바코드나 자기 카드를 판독한 결과를 검색 키로서 이용해서, 리스트로부터 촬영 오더를 검색한다. 이때, 촬영 오더가 발견되지 않으면, 한층 더, 그 바코드나 자기 카드로부터 판독한 결과를 검색 키로서 사용해서, 워크 리스트를 서버로부터 취득해도 된다.
스티치(stitches)를 합성하는 일례에 대해서 도 3a 및 도 3b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a 및 3b에 있어서, 화상 301과 화상 302는 화상을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여기에서, 화상 301과 화상 302가 서로 합성되는 화상으로서 설정되고, 중첩량은 도 3b의 영역 304에 대응한다. 도 3b는 화상 301과 화상 302의 화소값의 히스토그램을 나타내는 모식도다. 합성 결과가 합성 화상 306이라고 설정되면, 영역 303은 화상 301의 화상 데이터이며, 영역 305는 화상 302의 화상 데이터다. 영역 304에 있어서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데이터 히스토그램이 화상의 중첩 시작 위치로부터 화상의 끝이 됨에 따라, 100%로부터 0%가 되도록 화소 데이터 값을 계산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화상 302에 있어서는, 화상 데이터 히스토그램이 화상의 끝으로부터 화상의 중첩 시작 위치에 따라 0%로부터 100%가 되도록 화소 데이터를 산출한다. 그 결과, 화상 301과 화상 302를 합성해서 합성 화상 306을 형성한다.
스티치 화상의 촬영에 관해서는, 정지 화상 촬영 전에 투시 검사를 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정지 화상 촬영 전에 사용된 투시 염료는 해당 정지 화상에 적산되고, X선 시스템으로부터 촬영 PC로 직렬 통신 코맨드를 통해 수신된다. 혹은, 복수 검사를 동시에 행하는 경우, 검사 종료의 단계에서, 각 검사에 사용한 총 도우즈(dose)를, X선 시스템으로부터 촬영 PC로 직렬 통신 코맨드를 통해서 수신한다.
그 외의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행하도록 메모리 디바이스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 혹은 MPU와 같은 디바이스)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고, 또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의 기능을 행하도록 메모리 디바이스 상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의 스텝들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서, 이 프로그램을, 예를 들면 메모리 디바이스(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서 기능을 하는 다양한 형태의 기록매체로부터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컴퓨터에 제공한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는 모든 변형 및 균등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표시 화면 위에 표시된 화상에 대한 위치 조정을 행하는 화상처리장치로서,
    서로의 위치 관계가 설정된 복수의 화상을 취득하는 취득 유닛과,
    상기 복수의 화상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화상을 표시 화면 위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 유닛과,
    상기 표시 화면 위에 표시된 화상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1 위치 조정 유닛과,
    상기 제1 위치 조정 유닛에 의한 위치의 조정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화상 중에서, 상기 표시 화면 위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화상의 위치를 조정하는 제2 위치 조정 유닛을 구비하는, 화상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조정 유닛에 의해 위치가 조정되는 화상이, 상기 표시 화면 내에 표시된 취득한 화상 중에서 최상 위치 혹은 최하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위치 조정 유닛은, 상기 판정 유닛에 의해 화상이 최상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상기 제1 위치조정유닛에 의한 위치의 조정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화상 중, 상기 제1 위치조정유닛에 의해 위치가 조정되는 화상보다도 위쪽에 위치하고 있는 화상의 위치를 조정하고,
    상기 제2 위치 조정 유닛은, 상기 판정 유닛에 의해 화상이 최하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상기 제1 위치조정유닛에 의한 위치의 조정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화상 중, 상기 제1 위치조정유닛에 의해 위치가 조정되는 화상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는 화상의 위치를 조정하는, 화상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유닛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조정유닛에 의해 위치가 조정되는 화상이, 상기 표시 화면 내에서 최상 위치 또는 최하 위치에 위치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상기 제2 위치조정유닛은, 상기 표시 화면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기 복수의 화상의 위치에 대한 조정을 제한하는, 화상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조정유닛에 의해 위치가 조정되는 화상이, 상기 표시 화면 내에 표시되어 있는 촬영 화상 중에서 가장 좌측 위치 혹은 가장 우측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위치조정유닛은, 상기 판정 유닛에 의해 가장 좌측 위치에 화상이 위치하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상기 제1 위치조정유닛에 의한 위치의 조정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화상 중, 상기 제1 위치조정유닛에 의해 위치가 조정되는 화상보다도 좌측에 위치하고 있는 화상의 위치를 조정하고,
    상기 제2 위치조정유닛은, 상기 판정 유닛에 의해 가장 우측 위치에 화상이 위치하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상기 제1 위치조정유닛에 의한 위치의 조정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화상 중, 상기 제1 위치조정유닛에 의해 위치가 조정되는 화상보다도 우측에 위치하고 있는 화상의 위치를 조정하는, 화상처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유닛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조정유닛에 의해 위치가 조정되는 화상이, 상기 표시 화면 내에서 가장 좌측 위치 또는 가장 우측 위치에 위치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상기 제2 위치조정유닛은, 상기 표시 화면 위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기 복수의 화상의 위치에 대한 조정을 제한하는, 화상처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조정유닛은, 소정량보다도 많은 양으로 위치의 조정이 상기 제1 위치조정유닛에 의해 행해진 경우, 상기 제1 위치조정유닛에 의한 위치의 조정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화상의 위치를 조정하는, 화상처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상을 합성하는 합성 처리 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위치조정유닛은, 상기 합성 처리 유닛에 의한 합성이 이루어진 후에는, 위치의 조정을 제한하는, 화상처리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 유닛이, 제1 화상, 상기 제1 화상과의 위치 관계가 설정된 제2 화상, 및 제3 화상을 취득하고,
    상기 표시 제어 유닛이, 상기 제1 화상 및 상기 제3 화상을 상기 표시 화면 위에 표시하며,
    상기 제1 위치조정유닛이, 상기 표시 화면 위에서 상기 제3 화상에 대한 상기 제1 화상의 위치를 조정하고,
    상기 제2 위치조정유닛이, 상기 제1 위치조정유닛에 의한 상기 제1 화상의 위치의 조정에 따라, 상기 제1 화상과의 위치 관계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2 화상의 위치를 조정하는, 화상처리장치.
  9. 표시 화면 위에 표시된 화상에 대한 위치 조정을 행하는 화상처리방법으로서,
    서로의 위치 관계가 설정된 복수의 화상을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화상 중 적어도 하나의 화상을 표시 화면 위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 화면 위에 표시된 화상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의 조정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화상 중 상기 표시 화면 위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화상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처리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제1 화상, 상기 제1 화상과의 위치 관계가 설정된 제2 화상, 및 제3 화상을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화상과 상기 제3 화상을 표시 화면 위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 화면 위에서, 상기 제3 화상에 대한 상기 제1 화상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화상의 위치의 조정에 따라, 상기 제1 화상과의 위치 관계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2 화상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상처리방법.
  11. 컴퓨터를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상처리장치로서 기능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억된 기억매체.
  12. 컴퓨터 상에서 작동할 때, 청구항 9 또는 10의 방법을 컴퓨터에게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억된 기억매체.
KR1020110086174A 2010-08-31 2011-08-29 화상처리장치 및 방법 KR201200212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93845A JP5595188B2 (ja) 2010-08-31 2010-08-31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JP-P-2010-193845 2010-08-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229A true KR20120021229A (ko) 2012-03-08

Family

ID=44772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6174A KR20120021229A (ko) 2010-08-31 2011-08-29 화상처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050327A1 (ko)
EP (1) EP2423881A3 (ko)
JP (1) JP5595188B2 (ko)
KR (1) KR20120021229A (ko)
CN (1) CN1024366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04973B1 (en) * 2012-10-02 2016-12-21 Shimadzu Corporation X-ray photographing device
KR101666943B1 (ko) 2013-06-11 2016-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대상체의 관심 영역(roi)에 대한 x선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5047194A (ja) * 2013-08-30 2015-03-16 株式会社日立メディコ X線診断装置およびそのデータ処理方法
CN104954656B (zh) * 2014-03-24 2018-08-3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和装置
JP6271382B2 (ja) * 2014-09-18 2018-01-3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放射線画像撮影装置、制御装置、及び合成放射線画像生成方法
JP6525703B2 (ja) * 2015-04-15 2019-06-05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撮影システム、放射線撮影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3435652A4 (en) * 2016-03-22 2019-01-30 Ricoh Company, Ltd.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PROCESSING AND PROGRAM
CN106384071A (zh) * 2016-09-28 2017-02-08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二维码扫描识别处理方法及装置
KR20180051288A (ko) * 2016-11-08 2018-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R3066902A1 (fr) * 2017-06-06 2018-12-07 Therenva Procede et systeme d'aide au guidage d'un outil endovasculaire
JP7118750B2 (ja) * 2018-06-04 2022-08-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817549B (zh) * 2021-01-28 2024-02-06 卡莱特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信号图层的调整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4324A (ja) * 1993-04-28 1994-11-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図形編集装置
US6075905A (en) * 1996-07-17 2000-06-13 Sarnoff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osaic image construction
JP3542898B2 (ja) * 1998-02-13 2004-07-1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合成装置
JP2000105813A (ja) * 1998-09-28 2000-04-11 Nikon Corp 画像連接システム、および画像連接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6101238A (en) * 1998-11-25 2000-08-08 Siemens Corporate Research, Inc. System for generating a compound x-ray image for diagnosis
JP3888046B2 (ja) * 2000-07-26 2007-02-28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放射線画像処理方法および放射線画像処理装置
US6971063B1 (en) * 2000-07-28 2005-11-29 Wireless Valley Communications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ortable design, deployment, test, and optimization of a communication network
US7650044B2 (en) * 2001-07-30 2010-01-19 Cedara Software (Usa) Limited Methods and systems for intensity matching of a plurality of radiographic images
US7256799B2 (en) * 2001-09-12 2007-08-14 Sanyo Electric Co., Ltd. Image synthesizer, image synthesi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image synthesis processing program recorded thereon
JP4137621B2 (ja) * 2002-12-16 2008-08-20 株式会社日立メディコ 医用画像診断装置
GB0303888D0 (en) * 2003-02-19 2003-03-26 Sec Dep Acting Through Ordnanc Image streaming
JP4393135B2 (ja) * 2003-08-22 2010-01-06 キヤノン株式会社 放射線画像処理装置、放射線画像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4401741B2 (ja) * 2003-10-28 2010-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5261666A (ja) 2004-03-18 2005-09-29 Canon Inc 放射線画像撮影装置
US7415666B2 (en) * 2005-03-04 2008-08-19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navigating paginated content in page-based increments
US7801351B2 (en) * 2005-11-22 2010-09-21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system to manage digital medical images
US8433118B2 (en) * 2006-03-31 2013-04-30 Kabushiki Kaisha Toshiba Medical image-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apparatus
JP4987124B2 (ja) * 2007-07-18 2012-07-25 ナンヤン テクノロジカル ユニヴァーシティー グラフィックデータ提供方法及びグラフィックデータ表示方法
US20090074265A1 (en) * 2007-09-17 2009-03-19 Capsovision Inc. Imaging review and navigation workstation system
US20090327939A1 (en) * 2008-05-05 2009-12-31 Verizon Data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access to content instances using graphical object representation
WO2009153789A1 (en) * 2008-06-18 2009-12-23 Surgix Ltd. A method and system for stitching multiple images into a panoramic i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36649A (zh) 2012-05-02
US20120050327A1 (en) 2012-03-01
JP2012050515A (ja) 2012-03-15
CN102436649B (zh) 2014-08-06
EP2423881A2 (en) 2012-02-29
EP2423881A3 (en) 2014-10-08
JP5595188B2 (ja) 2014-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1229A (ko) 화상처리장치 및 방법
US7555100B2 (en) Long length imaging using digital radiography
JP5765913B2 (ja) 医用画像診断装置及び医用画像処理方法
EP1926434B1 (en) Low-dose iso-centering
CN104025119A (zh) 用于手术和介入性医疗过程中的成像系统和方法
JP6958202B2 (ja) 動態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14167901A1 (ja) 診断提供用医用画像システム及び一般撮影用の診断提供用医用画像システムにタルボ撮影装置系を導入する方法
JP6355317B2 (ja) 撮影制御装置、x線撮影装置、撮影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342990B2 (ja) X線撮影装置
KR20170024560A (ko) 엑스선 영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084291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CN111803110B (zh) X射线透视摄影装置
US20060241370A1 (en) Medical x-ray imaging workflow improvement
US20070036266A1 (en) Medical x-ray imaging workflow improvement
JP2012075862A (ja) 体動検出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0268822A (ja) 放射線撮影システム
JP2004049615A (ja) 医用画像診断装置の撮影条件設定装置
JP4393135B2 (ja) 放射線画像処理装置、放射線画像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5938860B2 (ja) 放射線撮影装置および断層画像補正方法
US894175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for generating a combined image
JP5564385B2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放射線画像撮影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3073928B1 (en) Positioning of partial volumes of an anatomy
JP2004337291A (ja) 画像出力情報設定方法および画像出力情報設定装置ならびに画像出力情報設定プログラム
JP5562184B2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1094219A (ja)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