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0826A - 주박으로부터 추출한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계육 유화형 소시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주박으로부터 추출한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계육 유화형 소시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0826A
KR20120020826A KR1020100084695A KR20100084695A KR20120020826A KR 20120020826 A KR20120020826 A KR 20120020826A KR 1020100084695 A KR1020100084695 A KR 1020100084695A KR 20100084695 A KR20100084695 A KR 20100084695A KR 20120020826 A KR20120020826 A KR 20120020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usage
weight
dietary fiber
chicken
extra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4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9660B1 (ko
Inventor
김천제
최윤상
최지훈
박관식
한두정
김학연
이미애
김현욱
황고은
김진만
송동헌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84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9660B1/ko
Publication of KR20120020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9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9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50Poultry products, e.g. poultry saus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60Comminuted or emulsified meat products, e.g. sausages; Reformed meat from comminuted meat produ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20Reducing nutritive value; Dietetic products with reduced nutritive value
    • A23L33/21Addition of substantially indigestible substances, e.g. dietary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0Freez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박으로부터 추출한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계육 유화형 소시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우리나라의 전통 탁주인 막걸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부산물인 주박으로부터 추출한 식이섬유를 첨가하여 최종 제품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 특성을 향상시킨 계육 유화형 소시지와 상기 소시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주박 식이섬유 혼합물은 기능성 소재로 활용하여 최종 제품을 생산함으로써 보다 건강한 삶을 추구하는 현대 사회인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주박으로부터 추출한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계육 유화형 소시지 및 그 제조방법{Chicken emulsion sausage with containing the dietary fiber extracted from Takju le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of}
본 발명은 주박으로부터 추출한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계육 유화형 소시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우리나라의 전통 탁주인 막걸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부산물인 주박으로부터 추출한 식이섬유를 첨가하여 최종 제품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 특성을 향상시킨 계육 유화형 소시지와 상기 소시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경제 수준의 향상으로 인하여 우리나라 국민의 식단 구성과 식생활 형태가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육류 및 육가공 제품에 있어 소비자들의 관심은 종래의 영양적인 가치를 중요시하던 형태에서 건강에 초점을 맞춘 다양한 육가공 제품들의 개발을 요구하고 있다. 그 중에는 종래의 육가공 제품의 높은 칼로리를 고려한 저지방 육제품, 식이섬유 등의 기능성 소재를 첨가한 기능성 육제품 등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들은 모두 육가공 제품에 대한 영양학적 가치와 더불어 건강과 웰빙을 기대하는 현대 소비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한 것으로서, 종전의 맛과 제품이 갖는 다양한 가치를 유지하면서도 각종 대체재 및 기능성 소재들을 활용한 육가공 제품에 대한 폭넓은 연구가 필요하다.
유화형 소시지는 가장 널리 섭취되는 육가공 제품 중 하나로, 원료육을 세절하여 유화 공정을 거쳐 단백질 망상구조 내에 지방입자와 물을 고정시켜 안정된 매트릭스(matrix)구조를 형성하며 이러한 유화물은 가열 이후에도 특유의 조직감과 풍미를 제공한다. 제품의 특성에 따라 향신료를 비롯한 각종 부재료의 첨가 비율, 포장재(casing) 및 가열, 훈연 등의 공정에 따라 더욱 다양한 유화형 소시지의 생산이 가능하다.
한편, 주박은 탁주(막걸리)나 약주를 빚은 후 술을 걸러내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부산물이다. 누룩과 지에밥을 비벼서 담고 여기에 효모를 넣어 발효시키면 누룩에 번식한 미생물에 의해 생성된 효소의 작용으로 녹말과 단백질이 당과 아미노산으로 분해되고, 효모에 의한 알코올 분해가 동시에 일어나는데 발효가 끝난 후 술을 여과하고 난 찌꺼기가 주박이다.
주박은 원료 쌀에 대하여 약 20%정도가 얻어지며, 전분과 단백질 외에도, 식이섬유, 무기질, 비타민, 알코올과 유기산, 효소, 효모 등의 영양성분을 다량 함유한 것으로 보고되었다(이현숙 등, 2008, 막걸리 박 열수추출물의 혈당지수 및 제2형 당뇨 모델 동물에서 경구혈당내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3(5), 662-665). 또한 최근에 소비가 증가하고 있는 국내 막걸리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막걸리의 건강기능성 효과 증명 및 부산물인 주박의 효용성 입증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일본에서는 청주 주박에 대한 생리기능성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 당뇨, 고혈압, 골다공증, 뇌경색, 심근경색, 동맥경화, 알레르기, 미백에 효용성이 입증되어 건강기능성 식품에 개발에 사용하려고 하고 있다.
주박은 이러한 이용가치가 높은 부산물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이용분야를 찾지 못해 양돈 사료로 이용되거나 폐기하는 등 그 이용률은 적은편이며, 대부분 사료로 사용되거나 식품 가공 폐기물로 처리되어 환경오염을 야기 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식이섬유는 인간의 소화효소에 의해서 분해되지는 않는 물질로 영양적 가치가 없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으나, 1970년대에 그 생리활성이 보고된 후 식이섬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식이섬유는 생리적인 측면에서 수분흡수력이 강하여 포만감을 가져다주며, 담즙산이나 무기질과 결합하거나 또는 점도를 증가시켜 영양분의 흡수를 느리게 하고 장내세균의 기질로 이용되어 장의 pH를 변화시킨다. 최근 성인병 등 만성질환의 유병률이 높으며, 특히 대장암, 동맥경화, 고혈압 및 당뇨병 등의 증가는 식이섬유의 섭취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식이섬유의 섭취를 권장하고 있다. 이러한 식이섬유의 섭취를 증가시키기 위한 방안으로는 빵, 케익, 음료, 육제품 등의 식품에 식이섬유를 인위적으로 첨가하는 방법 등이 있다.
계육 소시지는 소비자들이 건강 지향적인 육류 소비를 원하기 시작하면서 지방함량이 적으며 가격면에서 경쟁력이 있는 원료를 찾아 계육을 이용한 소시지를 개발하였다. 계육은 돈육에 비해 지방함량과 포화지방산 함량이 낮은 웰빙형 원료육으로서 돈육 대신 계육을 첨가한 계육 소시지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닭고기 가슴살은 20% 내외의 단백질, 2% 정도의 지방, 109kcal의 저열량을 가지고 있으나(양철영, 2006, 배, 파인애플 및 키위 농축액을 첨가한 닭고기 육포의 이화학적 특성,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2(3), 237-250) 소비자의 기호성이 낮은 관계로 그 가공 방법이 다방면으로 시도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실용화된 가공 방법은 그리 많지 않다.
계육을 이용한 소시지류에 대한 특허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370620호 닭고기를 이용한 소시지 제조방법으로 원료육을 닭고기로 사용하여 다양한 부재료를 첨가한 후 닭고기 소시지를 제조하는 것으로 단순 돈육 소시지 배합비에 원료육으로 닭고기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며, 닭고기 고유의 맛을 느끼면서 장소에 구애없이 간편하게 취식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415765호 뽕잎분말을 함유하는 닭고기 가공식품이 등록되어 있는데, 이는 닭고기 가공식품에 단순히 뽕잎분말을 0.1~1.0%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867689호 기계 발골 계육을 이용한 애완동물용 발효소시지의 제조방법이 보고되고 있는데, 이는 기계 발골 계육을 활용하여 애완동물용 발효소시지의 제조방법이 보고되고 있는데, 이는 기계 발골 계육을 활용하여 애완동물용 발효소시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으며 일반소시지와 비교하여 이화학적 성상, 영양소의 함량 및 이용성과 저장성이 크게 개선된 것이 특징이지만 단순히 애완동물의 간식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맛은 크게 떨어질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제안된 계육소시지 제조방법은 계육의 독특한 맛과 풍미를 살리지 못하며 기능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식품가공 부산물인 막걸리 주박으로부터 추출한 식이섬유를 활용하여 기능성이 강조되고 지방함량이 적은 닭고기 소시지 제품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기존의 육가공 제품이 가질 수 없었던 영양성분 및 식이섬유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우리나라의 전통 탁주인 막걸리를 제조하고 남은 주박으로부터 추출한 식이섬유를 첨가하여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향상시킨 계육 유화형 소시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박으로부터 추출한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계육 유화형 소시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박으로부터 추출한 식이섬유는 전체 중량에 대해 0.05 내지 5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특징이며, 상기 계육 유화형 소시지는 계육 45~49.95중량%, 돈육 등지방 25중량%,, 얼음 25중량% 및 주박으로부터 추출한 식이섬유 0.05~5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박으로부터 추출한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계육 유화형 소시지의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주박으로부터 추출한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계육 유화형 소시지는 (1) 계육과 돈육 등지방을 분쇄 및 세절하고; (2) 상기 분쇄육은 사일런트 커터에서 얼음, 부재료 및 주박에서 추출한 식이섬유 혼합물을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소시지 유화물을 제조하고; (3) 상기 유화된 혼합육은 충진기를 이용하여 케이싱에 충진하고; (4) 상기 충진된 소시지 반제품은 훈연기 내에서 가열 건조한 후 훈연, 가열하고; 및 (5) 상기 가열된 소시지를 냉각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주박 식이섬유 혼합물은 기능성 소재로 활용하여 최종 제품을 생산함으로써 보다 건강한 삶을 추구하는 현대 사회인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박은 대부분 폐기되거나 사료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기능성 소재로 활용한다면 부가가치 증진 및 기능성 식품산업에도 커다란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도 1은 주박 식이섬유 혼합물을 이용한 계육 유화형 소시지 제조 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주박 식이섬유 혼합물을 이용한 계육 유화형 소시지의 가열감량 비교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주박 식이섬유 혼합물을 이용한 계육 유화형 소시지의 유화안정성 비교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주박 식이섬유 혼합물을 이용한 계육 유화형 소시지의 점도 비교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주박으로부터 추출한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계육 유화형 소시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박으로부터 추출한 식이섬유는 전체 중량에 대해 0.05 내지 5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특징이며, 상기 계육 유화형 소시지는 계육 45~49.95중량%, 돈육 등지방 25중량%,, 얼음 25중량% 및 주박으로부터 추출한 식이섬유 0.05~5중량%의 범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박으로부터 추출한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계육 유화형 소시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주박으로부터 추출한 식이섬유는 45~55℃로 24시간 건하고, 미세하게 마쇄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주박으로부터 추출한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계육 유화형 소시지는 (1) 계육과 돈육 등지방을 분쇄 및 세절하고; (2) 상기 분쇄육은 사일런트 커터에서 얼음, 부재료 및 주박에서 추출한 식이섬유 혼합물을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소시지 유화물을 제조하고; (3) 상기 유화된 혼합육은 충진기를 이용하여 케이싱에 충진하고; (4) 상기 충진된 소시지 반제품은 훈연기 내에서 가열 건조한 후 훈연, 가열하고; 및 (5) 상기 가열된 소시지를 냉각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 과정에서 계육과 돈육 등지방은 각각 분쇄기를 이용하여 8mm 플레이트로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 과정에서 계육, 돈육 등지방, 얼음 및 주박에서 추출한 식이섬유 혼합물은 각각 계육 45~49.95중량%, 돈육 등지방 25중량%, 얼음 25중량% 및 주박에서 추출한 식이섬유 혼합물 0.05~5중량%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 과정에서 부재료는 소시지 전체 중량에 대해 소금 1.5중량%, 인산염 0.3중량%, 대두단백 1.0중량%, 설탕 0.45중량%, MSG(monosodium L-gultamate) 0.09중량%, 양파분 0.08중량%, 마늘분 0.08중량%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부재료 이외에 통상의 소시지 제조에 첨가되는 각종 향신료, 첨가제 등을 더 첨가 할 수 있으며,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3) 과정에서 사용되는 케이싱은 각종 소시지류가 필요로 하는 케이싱에서 선택되어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시지의 종류에 따라 그 크기와 모양이 결정되므로 천연케이싱과 인공케이싱 모두 사용이 가능하고, 소비자의 욕구에 따라 이를 결정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콜라겐 케이싱이다.
또한, 상기 (4) 과정에서 충진된 소시지 반제품은 45~55℃의 훈연기 내에서 20~40분간 건조 후 60~70℃에서 15~35분간 연기를 침투시켜 연기 성분인 페놀류(phenols)와 카르보닐류(carbonlys) 및 육단백질의 반응에서 부여되는 독특한 훈연취를 부여하여 식욕을 돋게 하고, 페놀류에 의한 정균작용과 항산화작용으로 소시지의 보존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훈연 후에는 75~80℃로 25~45분간 더 가열하여 중심온도가 78℃에 도달하도록 열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5) 과정에서는 열처리 후 10℃ 이하로 30분간 냉각하여 품온을 낮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정들에 더하여 가열된 분쇄육을 실리카겔 등을 포함한 방습제와 함께 폴리에틸렌/나일론 등의 포장지에 넣어 진공 포장하여 제품을 최종적으로 생산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주박에서 추출한 식이섬유 혼합물의 제조
주박은 서울탁주(대표:이동수)에서 수거하여 사용하였으며, 주박 식이섬유 추출물은 최 등(2007)의 방법(최윤상 등, 한국축산식품학회지, 27(2), 228-234, 2007)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주박의 알콜 성분의 제거를 위해 차가운 물로 1회 수세한 후 건조하고, 건조된 주박은 100g에 0.6% 터마밀(Termamyl: type LS, 120KNU/g, Novo사) 1L를 가하여 95℃에서 계속적으로 진탕하면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여과하여 잔사를 4 volume(v/w)의 열수로 5회 수세하였다.
수세한 잔사는 실온에서 냉각 후 24시간 동안 50℃의 열풍건조기(Enex-Co-600, Enex, 한국)로 건조한 다음 마쇄하여 주박 식이섬유 혼합물을 제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유화형 계육 소시지의 제조
본 실험에 사용된 계육 유화형 소시지의 배합비는 표 1에 나타내었고, 제조방법은 도 1에 나타내었다. 상기 방법에 의해 준비된 계육과 부재료를 이용하여 계육 유화형 소시지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손질한 계육(가슴육) 과 돈육 등지방은 그라인더를 이용하여 세절하고, 사일런트 커터를 이용하여 소시지 유화물을 제조한 후 소시지 충진기(D-73728, DICK, Germany)를 이용하여 콜라겐 케이싱(직경: 25mm)에 충진하여 소시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충진된 소시지는 훈연기(smoke house, T-1800, Wilhelm Fessmann GmbH & Co., 독일)를 이용하여 훈연하되, 50℃에서 30분간 건조, 65℃에서 25분간 훈연, 중심온도가 78℃에 도달하도록 35분간 가열처리 하였으며, 열처리를 실시 한 후 수동 샤워기를 이용하여 30분간 샤워를 하여 품온을 낮춘 다음 10℃이하의 저온실에서 냉각한다.
또한, 상기 냉각된 소시지는 폴리에틸렌/나일론 포장지에 넣어 진공포장을 실시한 후 냉장 보관(5℃)하며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때, 소시지의 대조구(control)는 주박에서 추출한 식이섬유를 첨가하지 않았고, 처리구들은 주박 식이섬유를 각각 1%(T1), 2%(T2), 3%(T3), 4%(T4)를 첨가하여 유화형 소시지를 제조하였다.
기타 첨가제로는 소금 1.5%, 인산염 0.3%, 대두단백 1.2%, 설탕 0.45%, MSG(monosodium L-glutamate) 0.09%, 양파분 0.08%, 마늘분 0.08%를 각각 대조구 및 처리구에 첨가하였다.
Figure pat00001
실험예 1. 치킨 유화형 소시지의 효능 분석
본 발명에서는 주박으로부터 추출한 식이섬유를 함유하는 치킨 유화형 소시지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효능을 조사하였다.
(1) 일반성분 분석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치킨 유화형 소시지의 일반성분은 AOAC법(1995)에 따라 수분함량은 105℃에서의 상압건조법, 조단백질함량은 Kjeldahl법, 조지방 함량은 Soxhlet법, 조회분 함량은 550℃에서 직접 회화법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탄수화물 함량은 전체 100%중에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을 뺀 값으로 구하였고, 칼로리는 Atwater values를 이용하여 지방은 9Kcal/g, 단백질은 4.02Kcal/g, 탄수화물은 3.87Kcal/g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표 2에서 보듯이 단백질함량은 대조구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수분함량은 대조구가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지방함량은 대조구가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회분함량은 주박 식이섬유 혼합물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칼로리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처리구들이 유의적으로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2) 이화학적 특성 평가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치킨 유화형 소시지의 pH, 표면색도, 가열감량, 유화안정성, 물성을 다음과 같이 조사하였다.
pH는 시료 5g을 취하여 증류수 20ml과 혼합하여 균질기(Model AM-7, Nissei, Switzerland)로 측정하였고, 육색 측정은 시료표면을 색도계(Chroma meter, CR-210, Minolta, Japan)를 사용하여 명도(lightness)를 나타내는 CIE L*-값, 적색도(redness)를 나타내는 CIE a*-값과 황색도(yellowness)를 나타내는 CIE b*-값을 각각 3회씩 측정하였다. 이때의 표준색은 L*-값이 97.83, a*-값이 -0.43, b*-값이 +1.98인 calibration plate를 표준으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 표 3에서 보듯이 pH는 가열전과 가열 후 모두 주박 식이섬유 혼합물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명도와 적색도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처리구들이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황색도는 대조구가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Figure pat00003
가열감량 측정은 가열 전 소시지 유화물의 무게를 측정하고 가열 후의 중량을 측정하여 이를 비교하여 산출하였다.
그 결과, 도 2에서 보듯이 대조구가 가장 높았으며, 주박 식이섬유 혼합물 2% 첨가 처리구가 가장 낮은 가열감량을 나타내었다.
유화안정성은 Ensor 등의 방법(1998)에 따라 특별히 고안된 원심분리관에 철망을 2겹으로 얹은 후, 30g의 유화물을 충전하고 뚜껑을 닫아 원심분리관의 입구를 밀폐시켰다. 이것을 내부온도가 75℃에 이를 때까지 항온수조(water bath)에서 30분간 가열 한 후 30분간 실온에서 방치한 다음 유리된 액의 양을 측정하여 g당 유리되는 지방과 수분의 양(ml)을 측정함으로써 유화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도 3에서 보듯이 대조구와 비교하여 처리구들이 유의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다.
점도는 회전식점도계(VT-550, Thermo Haake, German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실린더에 충전하는 시료의 양은 5 g으로 하였다. 이때 사용된 adapter는 SV-2를 사용하여 15℃의 조건하에서 실험하였다.
그 결과, 도 4에서 보듯이 주박 식이섬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높은 점도를 나타내었다.
물성검사는 물성측정기(texture analyser)(TA-XT2i, Stable Micro Systems, England)를 이용하여 분석?계산하여 경도(hardness), 탄력성(springiness), 응집성(cohesiveness), 검성(gumminess), 씹음성(chewiness) 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표 4에서 보듯이 경도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처리구들이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탄력성과 응집성은 대조구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Figure pat00004
(3) 관능적 특성 평가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치킨 유화형 소시지의 관능성 평가를 위해 미리 훈련된 9명의 관능검사 요원을 구성하여 각 처리구별로 가열처리한 시료의 색(color), 풍미(flavor), 연도(tenderness), 다즙성(juiciness), 전체적인 기호성(overall acceptabilly)에 대하여 10점 만점의 채점법에 의해 평균치를 구하여 비교하였다. 이 때 색, 풍미, 연도, 다즙성, 전체적인 기호성에 10점은 가장 우수하고, 1점은 가장 열악한 품질의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모든 통계분석은 SAS(Statistics Analytical System, USA, 1996) 패키지 프로그램(package program)의 ANOVA 과정으로 통계처리를 실시하였으며, 던컨의 다중검정(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처리구간을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표 5에서 보듯이 색, 풍미 및 연도에서 대조구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다즙성은 대조구 보다 T2와 T3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전체적인 기호도는 T1, T2 및 T3 처리구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pat00005
이상,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주박으로부터 추출한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계육 유화형 소시지.
  2. 제 1항에 있어서,
    계육 유화형 소시지는 계육 45~49.95중량%, 돈육 등지방 25중량%, 얼음 25중량% 및 주박으로부터 추출한 식이섬유 0.05~5중량%의 범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박으로부터 추출한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계육 유화형 소시지.
  3. (1) 계육과 돈육 등지방을 분쇄 및 세절하고; (2) 상기 분쇄육은 사일런트 커터에서 얼음, 부재료 및 주박에서 추출한 식이섬유 혼합물을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소시지 유화물을 제조하고; (3) 상기 유화된 혼합육은 충진기를 이용하여 케이싱에 충진하고; (4) 상기 충진된 소시지 반제품은 훈연기 내에서 가열 건조한 후 훈연, 가열하고; 및 (5) 상기 가열된 소시지를 냉각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주박으로부터 추출한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계육 유화형 소시지의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1) 과정에서 계육과 돈육 등지방은 각각 분쇄기를 이용하여 8mm 플레이트로 분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2) 과정에서 계육, 돈육 등지방, 얼음 및 주박에서 추출한 식이섬유 혼합물은 각각 계육 45~49.95중량%, 돈육 등지방 25중량%, 얼음 25중량% 및 주박에서 추출한 식이섬유 혼합물 0.05~5중량%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주박에서 추출한 식이섬유 혼합물은 45~55℃로 24시간 건조하고, 미세하게 마쇄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2) 과정에서 부재료는 소시지 전체 중량에 대해 소금 1.5중량%, 인산염 0.3중량%, 대두단백 1.0중량%, 설탕 0.45중량%, MSG(monosodium L-gultamate) 0.09중량%, 양파분 0.08중량%, 마늘분 0.08중량%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3) 과정에서 사용되는 케이싱은 콜라겐(collagen cas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4) 과정에서 충진된 소시지 반제품은 45~55℃에서 20~40분간 건조하고, 60~70℃에서 15~35분간 훈연한 다음 75~80℃로 25~45분간 더 가열하여 중심온도가 78℃가 될 때까지 훈연 및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5) 과정에서 10℃ 이하로 30분간 냉각하여 품온을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20100084695A 2010-08-31 2010-08-31 주박으로부터 추출한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계육 유화형 소시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189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695A KR101189660B1 (ko) 2010-08-31 2010-08-31 주박으로부터 추출한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계육 유화형 소시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695A KR101189660B1 (ko) 2010-08-31 2010-08-31 주박으로부터 추출한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계육 유화형 소시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826A true KR20120020826A (ko) 2012-03-08
KR101189660B1 KR101189660B1 (ko) 2012-10-10

Family

ID=46129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4695A KR101189660B1 (ko) 2010-08-31 2010-08-31 주박으로부터 추출한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계육 유화형 소시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966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93209A (zh) * 2012-09-05 2012-11-28 天津商业大学 一种乳化型香肠的加工方法
KR101218291B1 (ko) * 2012-04-19 2013-01-03 이영재 돼지껍데기가 함유된 소시지의 제조방법
KR101406094B1 (ko) * 2012-09-24 2014-06-1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사과박 식이섬유를 첨가한 저지방 계육 소시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406103B1 (ko) * 2012-07-25 2014-06-1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돈피 콜라겐을 함유하는 소시지의 제조방법
CN104957656A (zh) * 2015-06-17 2015-10-07 李慧 一种养肾乌鸡糯米肠及其制备方法
CN105476031A (zh) * 2015-12-08 2016-04-13 山东大学(威海) 酒糟膳食纤维及其生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723B1 (ko) 2007-01-29 2008-03-2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미강으로부터 추출한 식이섬유 혼합물을 이용한 육제품의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291B1 (ko) * 2012-04-19 2013-01-03 이영재 돼지껍데기가 함유된 소시지의 제조방법
KR101406103B1 (ko) * 2012-07-25 2014-06-1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돈피 콜라겐을 함유하는 소시지의 제조방법
CN102793209A (zh) * 2012-09-05 2012-11-28 天津商业大学 一种乳化型香肠的加工方法
KR101406094B1 (ko) * 2012-09-24 2014-06-1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사과박 식이섬유를 첨가한 저지방 계육 소시지 및 그 제조방법
CN104957656A (zh) * 2015-06-17 2015-10-07 李慧 一种养肾乌鸡糯米肠及其制备方法
CN105476031A (zh) * 2015-12-08 2016-04-13 山东大学(威海) 酒糟膳食纤维及其生产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9660B1 (ko)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9662B1 (ko) 식이섬유와 닭고기스킨의 혼합물을 이용한 저지방 닭고기소시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02742B1 (ko) 식물성유와 미강 식이섬유를 이용한 저지방 소시지의제조방법
CN109566764A (zh) 一种含大豆蛋白的素肉排及其制备方法
KR101116846B1 (ko) 포도씨유와 미강 식이섬유를 첨가한 저지방 소시지의 제조방법
KR101189660B1 (ko) 주박으로부터 추출한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계육 유화형 소시지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12154A (ko) 김치에서 유래한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반건조 소시지의제조방법
KR100894043B1 (ko) 미강으로부터 추출한 식이섬유 혼합물을 이용한 저지방햄버거 패티의 제조방법
KR101240510B1 (ko) 감귤 과피에서 추출한 식이섬유를 첨가한 계육 유화형 소시지의 제조방법
KR101333119B1 (ko) 단호박에서 추출한 식이섬유를 함유하는 계육 유화형 소시지 및 그 제조방법
Mehta et al. Sensory attributes of chicken meat rolls and patties incorporated with the combination levels of rice bran and psyllium husk
US20090220666A1 (en) Utilization of stabilized bran in high protein products
KR101968503B1 (ko) 밥을 함유하는 소시지 제조방법
KR101275734B1 (ko) 단호박에서 추출한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저지방 계육 소시지의 제조방법
KR100941486B1 (ko) 김치에서 유래한 식이섬유를 포함하는 김치 맛 육포의제조방법
KR20090027850A (ko) 미강으로부터 추출한 식이섬유 혼합물을 이용한 떡갈비 맛육제품의 제조방법
KR101299611B1 (ko) 신선초 식이섬유를 함유하는 웰빙형 계육 햄버거 패티 및 그 제조방법
Anton et al. Proximate, mineral and vitamin analysis of rebon shrimp diversification products as an Indonesian local product: supplementary food for malnourished children
RU2552363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рубленых изделий из мяса птицы
KR101396401B1 (ko) 신선초 식이섬유를 함유하는 저지방 계육소시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270118B1 (ko) 막걸리박에서 추출한 식이섬유를 함유하는 저지방 계육소시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180427B1 (ko) 율피 분말을 첨가한 계육 유화형 소시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983558B1 (ko) 미강으로부터 추출한 식이섬유 및 단백질 혼합물을 첨가한 재구성 육포의 제조방법
KR20210016963A (ko) 미강으로부터 추출한 식이섬유 및 단백질 혼합물을 첨가한재구성 육포의 제조방법
KR101260487B1 (ko) 해바라기씨유와 막걸리박 식이섬유를 첨가한 저지방 계육 소시지의 제조방법
KR101406094B1 (ko) 사과박 식이섬유를 첨가한 저지방 계육 소시지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