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0094A - 크림프형 커플링, 크림핑 공구, 및 크림핑 방법 - Google Patents

크림프형 커플링, 크림핑 공구, 및 크림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0094A
KR20120020094A KR1020117018371A KR20117018371A KR20120020094A KR 20120020094 A KR20120020094 A KR 20120020094A KR 1020117018371 A KR1020117018371 A KR 1020117018371A KR 20117018371 A KR20117018371 A KR 20117018371A KR 20120020094 A KR20120020094 A KR 20120020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oupling
pipe coupling
pipe
longitudin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8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랑크 제이. 쓰리 싸이글러
반스 더블유. 헨리
매튜 에이. 보우맨
찰스 이. 쥬니어 윌크
스캇 디. 마다라
Original Assignee
빅톨릭 컴패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빅톨릭 컴패니 filed Critical 빅톨릭 컴패니
Publication of KR20120020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0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18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dditional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14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 F16L13/141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by crimping or rolling from the outside
    • F16L13/142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by crimping or rolling from the outside with a sealing element inserted into the female part before crimping or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4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tubes with tubes; of tubes with rods
    • B21D39/048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tubes with tubes; of tubes with rods using presses for radially crimping tubu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25B27/1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inserting fittings into 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16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sealing or securing means using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14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 F16L2013/145Tool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Disconnectible Joints And Screw-Threaded Joints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크림핑에 의해 설치되는 커플링은 파이프 요소를 수용하는 링에 의해 둘러싸이는 개방 단부에서 일정 각도로 배향되는 원추형 표면을 갖는다. 다이는 크림핑 공구의 조에서 커플링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고 커플링을 파이프에 고정시키는 크림프를 달성하도록 단일 접촉선을 따라 원추형 표면과 결합한다. 반경 방향 성분이 크림프를 달성하고, 축방향 성분은 시일이 위치하는 커플링 내의 채널을 변형시킨다. 시일은 커플링과 파이프 사이에서 변형되어 유밀식 조인트를 달성한다. 커플링은 반경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원주 방향 리브를 가질 수 있다. 정합 도그는 커플링과 결합하여 축방향 힘 성분에 대한 반응면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크림프형 커플링, 크림핑 공구, 및 크림핑 방법{CRIMP-TYPE COUPLING, CRIMPING TOOL, AND METHOD OF CRIMPING}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09년 4월 2일자로 출원되고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되는 미국 가출원 번호 제 61/165,985호를 기초로 하고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커플링을 파이프 요소에 크림핑하여 파이프 요소를 단부 대 단부 결합하는 커플링(coupling)에 관한 것이다.
파이프 요소를 단부 대 단부 결합하도록 파이프 요소에 크림핑되는 파이프 커플링은 간단하고 저렴하다. 통상적으로, 하나 이상의 파이프 요소가 관형 커플링 내에 수용된다. 크림핑 동안, 커플링과 파이프 요소를 형성하는 재료, 일반적으로 금속은 영구적인 세트(permanent set)를 취하기 위해 소성 변형된다. 커플링 및 파이프 요소에 의해 추정되는 변형된 형태는, 그렇지 않으면 파이프 요소를 커플링으로부터 분리하는 경향이 있는 내압, 결과적인 추력 하중(thrust load) 또는 외부 하중을 받을 때에 파이프 요소를 커플링과 결합 상태로 유지하도록 협동한다. 이 명세서에서, "파이프 요소(pipe element)"라는 용어는, 임의의 파이프형 물품, 예컨대 파이프 스톡(pipe stock)뿐만 아니라, 펌프, 밸브, 스트레이너(strainer) 등과 같은 장치의 일부일 수 있는 파이프 세그먼트(pipe segment)를 의미한다.
도 1과 도 2는 파이프 요소(12) 상에 크림핑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크림프형 파이프 커플링(10)은 파이프 요소(12)를 수용하는 개방 단부(16)를 갖는 튜브(14)(축대칭으로 도시됨)를 포함한다. 개방 단부(16)에 인접하여 채널(18)이 위치한다. 채널은 시일, 이 예에서 엘라스토머와 같은 가요성 탄성 재료로 구성된 O-링(20)을 수용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요소(12)는 튜브(14) 내에 수용되고, 튜브는 대경 영역에 의해 형성된 소켓(22)을 가짐으로써 내부 숄더(internal shoulder)(24)를 형성할 수 있다. 숄더(24)는 튜브(14)와 파이프 요소(12) 사이에 결합 길이를 제한하는 파이프 정지부(pipe stop)로 작용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림핑 다이(26)는 튜브(14)에 힘을 가하여 튜브와 파이프 요소를 영구적으로 변형시켜 내압, 결과적인 추력 하중 및 외력을 받을 때에 튜브 내에 파이프 요소를 유지하는 크림프(28)를 초래하도록 사용된다. 도 2는 축대칭 도면이고, 이에 따라 크림프(28)가 튜브(14) 둘레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다는 것이 이해된다. 크림프(28)는 시일의 "내측(inboard)"에 위치하고, 이는 시일(20)이 개방 단부(26)와 크림프(28) 사이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크림핑 다이(26)는 또한 채널(18)과 O-링(20)을 변형시켜 시일이 변형되게 하고 튜브(14)와 파이프 요소(12)를 압축 상태로 결합시켜 이들 요소 사이에 유밀식 시일(fluid tight seal)을 형성한다.
파이프 요소를 연결에는 효과적이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크림핑된 조인트는 여러 단점을 갖는다. 이러한 원주 방향 크림프를 형성하는 것은 상당한 힘과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힘 및 에너지 요건은 파이프 직경, 측벽 두께, 및 파이프 및/또는 커플링 항복 강도의 증가, 이에 따라 크림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파이프의 재료의 유형, 크기 및 측벽 규격에 관한 실제 한계값에 따라 증가한다. 크림핑 다이는 파이프와 커플링을 크림프할 뿐만 아니라, 채널을 형성하여 압축 하에 시일을 커플링 및 파이프와 결합시켜야 한다. 도 1 및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크림핑 다이와 방법은 튜브를 크림프(28)와 시일(20) 사이에서 제 2 지점(30)에서 튜브와 결합하여 채널을 변형한다. 또한, 크림핑 다이는 크림프(28)가 형성될 때에 튜브의 개방 단부(16)가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채널(18)에서 튜브(14)와 강제 결합하는 안내면(32)을 포함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크림핑 다이는 다수 지점에서 커플링과 결합하여 크림프를 형성하고, 채널을 변형시켜 채널의 원치않는 변형을 방지한다. 크림핑 다이와 커플링 사이에 큰 결합 영역은 크림핑된 조인트를 이루는데 필요한 상당한 힘과 에너지를 초래한다. 종래 기술의 단점이 없는 크림프형 커플링, 크림핑 공구, 및 크림핑 방법에 대한 요구가 명백히 존재한다.
본 발명은, 파이프 요소를 단부 대 단부 관계로 연결하는 파이프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커플링은 튜브 내에 위치한 종축을 둘러싸는 측벽에 의해 형성되는 세장형 튜브(elongated tube)를 포함한다. 튜브는 파이프 요소 중 하나를 수용하는 제 1 개방 단부를 갖는다. 제 1 채널은 튜브 둘레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고 종축을 향한다. 제 1 채널은 측벽에 형성된 제 1 반경 방향 벌지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채널은 제 1 개방 단부에 위치한다. 제 1 원통형 링은 제 1 개방 단부를 둘러싼다. 제 1 원통형 링은 제 1 반경 방향 벌지(radial bulge)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한다. 제 1 반경 방향 벌지의 일 부분은 제 1 개방 단부를 향해 면하고 제 1 원추형 표면을 포함한다. 제 1 원추형 표면은 종축에 대해 일정 각도로 배향된다. 제 1 원추형 표면은 종축에 대해 약 30°내지 약 60°의 배향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약 35°내지 약 45°의 각도 배향이 또한 가능하다. 종축에 대해 약 40°의 배향 각도가 유리하다. 제 1 원추형 표면은 제 1 반경 방향 벌지의 나머지를 형성하는 측벽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측벽의 부분을 포함한다. 제 1 원통형 링은 측벽 부분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1 반경 방향 벌지는 이 벌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한 제 1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리브는 튜브 둘레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1 개방 단부를 향하지 않는 제 1 반경 방향 벌지의 부분에 배치된다. 제 1 리브는 튜브의 제 1 개방 단부 반대편의 제 1 환형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환형 표면은 종축에 대해 일정 각도로 배향된다. 제 1 환형 표면은 종축에 대해 약 80°내지 약 105°의 각도 배향을 가질 수 있다. 약 85°내지 약 95°의 배향 각도가 또한 가능하다. 약 87°의 배향 각도가 유리하다.
커플링은 제 1 채널 내에 위치하는 시일을 더 포함한다. 시일은, 예컨대 O-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커플링과 커플링 내에 수용되는 파이프 요소 사이에 조인트를 달성하도록 커플링을 크림핑하는 공구를 더 포함한다. 커플링은 파이프 요소를 수용하는 개방 단부를 갖는 튜브와, 튜브의 측벽에 형성된 반경 방향 벌지에 의해 형성되는 튜브 둘레에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채널을 포함한다. 벌지는 개방 단부에 면하여 위치한 일정 각도로 배향된 원추형 표면과, 개방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는 대향 표면을 포함한다. 공구는 튜브를 위치 결정 가능하게 둘러싸는 복수 개의 조를 포함한다. 조는 튜브를 향하고 튜브로부터 멀리 서로 이동될 수 있다. 각각의 조는 상부에 위치하는 다이를 갖는다. 각 다이는 조가 튜브 쪽으로 이동시 튜브 둘레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일 작용선을 따라 원추형 표면과만 접촉하도록 위치하는 단일 접촉면만을 갖는다. 조는 서로 선회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공구는 상부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합 도그를 포함한다. 정합 도그는 튜브를 향하고 튜브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될 수 있다. 정합 도그는 다이 중 적어도 하나와 이격되고, 이에 면하여 위치한 접촉면을 갖는다. 정합 도그의 접촉면은 벌지의 대향 표면과 결합될 수 있다. 정합 도그는 조들 중 하나에 장착될 수 있다. 정합 도그는 다이 중 하나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커플링을 상기 커플링 내에 수용된 파이프 요소에 대해 크림핑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커플링은 상기 파이프 요소를 수용하는 개방 단부를 갖는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는 튜브의 측벽의 반경 방향 벌지에 의해 형성되는 원주 방향 채널을 가지며, 상기 벌지는 상기 개방 단부에 면하여 위치한 일정 각도로 배향된 원추형 표면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a) 상기 원추형 표면 둘레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일 접촉선을 따라 상기 원추형 표면에 대해서만 반경 방향으로 배향되는 힘을 인가하는 단계로서, 상기 힘은 상기 튜브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되는 제 1 작용선과 상기 튜브를 따라 축방향으로 배향되는 제 2 작용선을 갖는 것인 단계와,
(b) 상기 원추형 표면을 상기 튜브를 향해 반경 방향으로 안쪽으로 변형시키는 단계와,
(c) 상기 원추형 표면을 상기 튜브를 따라 상기 채널로 축방향으로 변형시키는 단계와,
(d) 상기 튜브와 파이프 요소 사이의 접촉을 통해 상기 단일 접촉선 아래에서만 상기 파이프 요소를 반경 방향으로 안쪽으로 변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파이프 요소와 상기 커플링 사이에 유밀식 조인트를 달성하도록 상기 튜브와 상기 파이프 요소 사이의 상기 채널 내의 시일을 압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힘을 인가하면서 상기 파이프 요소를 향해 상기 원추형 표면을 따라 상기 접촉선을 이동시키는 것을 더 포함한다. 벌지는 상기 튜브의 개방 단부 반대편에 위치한 대향 표면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벌지의 대향 표면을 지지하여 상기 튜브의 축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단점이 없는 크림프형 커플링, 크림핑 공구, 및 크림핑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과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크림핑된 파이프를 형성하는 크림핑 다이와 커플링의 축대칭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의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의 일부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의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의 일부의 부분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의 다양한 실시예의 입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체인형 크림핑 공구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2 다이 크림핑 공구와 파워 프레싱 공구의 등각 투영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크림핑 다이와 커플링을 갖는 예시적인 크림핑 공구의 평면도.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크림핑 공구와 커플링의 부분 단면 등각 투영도.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의 실시예 상에 크림핑 공구의 실시예의 작동을 예시하는 축대칭 단면도.
도 15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의 다른 실시예 상에 크림핑 공구의 실시예의 작동을 예시하는 축대칭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파이프 커플링(40)의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커플링(40)은 튜브의 종축(46)을 둘러싸는 측벽(44)을 갖는 세장형 튜브(42)를 포함한다. 튜브(42)는 대향 위치한 개방 단부(48, 50)를 갖는다. 채널(52)은 각 개방 단부에 위치하고 튜브(42) 둘레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각 채널(52)은 종축(46)에 면하고 튜브(42)의 측벽(44)의 각각의 벌지(54)에 의해 형성된다. 측벽(44)은 또한 각각의 벌지(54)를 완성하는 원통형 링(55)을 형성하고 각각의 개방 단부(48, 55)를 둘러싼다. 링(55)은 측벽(44)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최대 2배인 길이를 갖는다. 개방 단부(48, 50)를 향해 면한 각 벌지(54)의 부분은 각각의 원추형 표면(56)을 형성한다. 원추형 표면은 축(46)에 대해 일정 각도로 배향된다. 원추형 표면은 약 30°내지 약 60°뿐만 아니라 약 35°내지 약 45°의 축(46)에 대해 측정된 배향 각도(58)를 가질 수 있는데 약 40°의 배향 각도가 많은 용례에 유리하다. 도 3a에 도시된 변경예에서, 벌지(54)를 구비하는 측벽(44)의 부분(60)은 벌지의 나머지를 형성하는 측벽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62)를 갖는다. 링(55)은 대략 동일한 두께(62)를 가질 수 있다. 보다 얇은 측벽 부분(60)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커플링과 파이프 요소 사이에 조인트를 달성하도록 튜브를 크림프하는데 필요한 에너지의 양을 감소시킨다. 시일(64)은 각 채널(52) 내에 위치한다. 시일(64)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유밀식 조인트를 달성하도록 튜브(42)와 파이프 요소 사이에서 압축될 때에 접촉되는 채널의 표면과 파이프에 합치하는 가요성의 탄성 링이다. 이 예에서, 시일(64)은 고무 링을 포함하고, 상이한 형태를 갖고 EPDM, 니트릴, 수소화된 니트릴 및 플루오르엘라스토머 등의 다양한 서로 다른 재료로 형성된 다른 타입의 시일이 또한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된다.
도 4는 튜브(42)의 각각의 반경 방향 벌지(54) 상에 위치한 리브(68)를 더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66)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리브(68)는 튜브 둘레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고 반경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돌출된다. 환형 표면(70)은 리브(68)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튜브(42) 둘레에서 연장되며, 각각의 리브(68)와 표면(70)이 위치하는 벌지(54)에 의해 한정된 개방 단부(48 또는 50)의 반대쪽에 있다. 환형 표면(70)은 크림핑 공구의 일부와 결합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공구에 대한 튜브(42)의 축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접촉면을 형성한다. 환형 표면(70)은 튜브 종축(46)에 대해 일정 각도로 배향된다. 도 4 및 도 4a의 비교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약 80°내지 약 105°뿐만 아니라 약 85°내지 약 95°, 및 약 87°의 배향 각도(72)가 유리한 것으로 보인다. 커플링 실시예(40)와 같이, 커플링(66)은 또한 벌지의 나머지를 형성하는 측벽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62)를 갖는 벌지(54)를 구비하는 측벽(44)의 부분(60)을 가질 수 있다. 다시, 시일(64)은 채널(52) 내에 위치한다.
커플링(40, 66)은 임의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지만, 통상적으로 인성 및 변형시 균열 없이 영구적인 세트를 취하고 유지하는 능력 때문에 강 및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조된다. 커플링은 임의의 크기를 갖고 다양한 크기의 파이프 요소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약 0.5 인치 내지 약 4.5 인치의 실제 외경을 갖고 약 0.065 인치 내지 약 0.337 인치의 벽 두께를 갖는 파이프와 사용될 대에 특히 유리한데, 이 파이프는 미국 표준 협회 스케쥴 5 내지 스케쥴 80 파이프에 대응한다. 커플링(40, 66)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일 수 있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보우 커플링(74)일 수 있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티" 커플링(76)일 수 있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듀서(78)일 수 있다. 다른 형태도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크림핑 방법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에 개시된 크림핑 다이 및 커플링은 본 발명에 따른 크림프된 조인트를 달성하도록 임의의 시판 중인 크림핑 공구와 파워 프레싱 공구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체인" 또는 "덮개" 공구(80)로서 공지된 한 타입의 크림핑 공구가 도 8에 도시되어 있고 핀 및 링크(84)에 의해 서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 개의 조(82)를 포함한다. 크림프를 달성하도록 튜브(42)와 접촉하는 다이 요소(86)는 각 조 상에 장착된다. 다이 요소(86)는 조(82)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착탈 및 교체 가능할 수 있다. 다이 요소(86)는 커플링에 형성될 크림프의 곡률 반경과 대략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는다. 체인형 공구는 조(82)를 튜브(42) 둘레에 둘러싼 다음 기계적 이점을 제공하는 래칭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조(82)의 자유 단부(88)를 서로 당김으로써 사용된다. 자유 단부(88)는 함께 당겨지기 때문에, 체인 공구(80)는 작은 직경으로 아래로 당겨지고 조가 둘레에 둘러쌀 때에 튜브(42)와 결합되는 다이 요소(86)는 크림프를 형성하는 커플링 상에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을 힘을 안쪽으로 가한다. 이와 달리, 파워 프레싱 공구(후술함)는 자유 단부(88)를 서로 당겨 크림프를 달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체인형 공구는 큰 직경의 파이프 요소(직경이 1 인치보다 큰)를 크림핑하는데 유리하고 다른 크림핑 공구와 비교하여 크림핑 힘을 가하는데 최상의 기계적 이점을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체인형 크림핑 공구의 예는 미국 특허 제 5,598,732호, 제 5,666,711호, 제 5,697,135호, 제 5,887,329호, 제 6,044,681호, 제 6,405,411호, 제 6,694,586호, 및 제 6,772,618호에 기술되어 있고, 이들 특허는 본 명세서에 참조로 합체된다.
도 9는 다른 타입의 크림핑 공구(90)를 도시하고 있다. 크림핑 공구(90)는 2개의 가동 조(92, 94)를 갖고 조(92, 94)가 선회하는 핀(98)을 위한 베어링 플레이트로서 작용하는 공구 본체(96) 상에 서로 반대쪽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다. 크림핑 공구(90)는 2개의 다이 요소(100, 102)를 갖고, 하나의 다이 요소는 각 조에 위치한다. 다이 요소는 튜브(42)와 강제 결합될 때에 원하는 크림프를 형성하는 크기 및 형태를 갖는다. 작동시, 조(92, 94)는 개방 위치로 핀(98)을 중심으로 선회되어 커플링과 이 커플링 내에 수용된 파이프 요소가 조(92, 94)의 다이 요소(100, 102) 사이에 위치하게 한다. 이어서, 조는 폐쇄 위치로 서로 선회되고, 따라서 다이 요소(100, 102)는 튜브(42)와 결합하여 파이프 요소를 커플링에 결합시키는 크림프를 형성한다. 공구(90) 등의 2개의 다이 요소를 갖는 크림핑 공구는 크림핑 공구의 범위 내에서 가장 작은 기계적 이점을 제공하지만 간단하고 저렴하다. 2개의 다이 크림핑 공구의 예는, 미국 특허 제 6,202,290호, 제 6,378,194호, 제 6,457,338호, 제 7,409,846호, 제 7,421,871호 및 제 7,434,443호에 기술되어 있고, 이들 특허는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다이 크림핑 공구는 최대 약 1 인치 직경의 파이프 요소를 크림핑하는데 가장 효과적이다. 다이 크림핑 공구는 수동으로 작동되거나 파워 프레싱 공구로 작동될 수 있다.
도 9는 또한 예시적인 파워 프레싱 공구(104)를 도시하고 있다. 프레싱 공구(104)는 상이한 크기 및 타입의 크림핑 공구가 상부에 장착되게 하도록 구성된 리시버(106)를 갖는다. 리시버 내의 메커니즘은 크림핑 공구의 조와 결합하고 조를 개방 및 폐쇄 위치 사이에서 조종한다. 메커니즘은 예컨대 전기 모터에 의해 또는 유압식으로 파워 작동되어 크림프된 조인트를 형성하는데 필요한 힘을 제공한다. 이러한 프레싱 공구는 당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고, 예시적인 프레싱 공구는 미국 특허 제 6,244,085호 및 제 6,510,719호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들 특허는 본 명세서에 참조로 합체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크림핑 공구(108)를 도시하고 있다. 크림핑 공구(108)는 크림프될 커플링(40)을 둘러싸도록 위치될 수 있는 조(110; 이 실시예에서, 2개의 조)를 갖는다. 조(110)는 핀(114)을 이용하여 공구 본체(112) 상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다. 공구 본체(112)는 베어링 플레이트로서 작용하고 후술되는 크림핑 작동을 달성하도록 조(110)가 핀(114) 상에서 커플링(40)을 향하고 커플링으로부터 멀어지게 한다. {커플링(40)은 여기서 일례로서 언급되며, 커플링 실시예(66)는 그 위치에서 동일하게 작용하는 것이 이해된다}. 조(110)와 공구 본체(112)는 가해진 힘을 증가시키도록 기계적 이점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크림핑 공구(108)는 전술한 파워 프레싱 공구(104)에 의해 작동될 수 있고, 파워 프레싱 공구의 작동은 널리 알려져 있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116)는 각 조(110)와 공구 본체(112) 상에 장착되어 공구(108)가 3개 다이 공구가 되게 한다. 각 다이(116)는 단일 접촉면(118)을 갖는다. 조(110) 상의 다이(116)는 조(110)의 폐쇄 운동에 의해 커플링(40)과 결합하게 이동될 수 있다. 커플링 상에서 조(110)의 폐쇄 운동은 또한 공구 본체(112) 상의 크림핑 다이(116)와 결합하게 커플링(40)을 당긴다. 함께, 모든 3개의 다이(116)는 상세히 후술되는 바와 같이 커플링을 파이프 요소에 크림프하도록 협동한다.
바람직하게는, 접촉면(118)은 커플링(40) 둘레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단일 접촉선(120)을 따라 커플링과 접촉하게 하는 둥근 단면 형태를 갖는다. 접촉면(118)의 실제 곡률 반경은 약 0.05 인치 내지 약 0.2 인치일 수 있고, 0.08 인치가 유리하다. 타원형 프로파일 등의 다른 형태를 갖는 접촉면이 또한 가능하다.
하나 이상의 정합 도그(122)가 또한 공구 본체(112; 또한 도 10 참조)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와 달리, 정합 도그 또는 도그들은 본체(112)에 고정될 수 있다. 정합 도그는 접촉면(124)을 갖고 그 접촉면을 커플링(40)과 결합하게 위치시키도록 조(110)와 상관없이 이동한다. 접촉면(124)은 적절한 결합을 보장하도록 접촉하는 커플링(40)의 단면에 상보적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정합 도그(122)는 다이(116)와 상관없이 이동하고 커플링(40)을 다이에 대해 위치 및 유지하도록 작용하여 도그는 원하는 지점의 접촉선(120)에서 커플링과 결합한다. 정합 도그(122)는 또한 커플링을 크림프하도록 가해지는 힘이 반응하는 지지부를 제공한다. 정합 도그가 커플링과 결합할 때에 커플링을 크게 변형시키지 않고, 이에 따라 크림핑 작동 중에 정합 도그를 커플링(40)와 결합하게 이동시키도록 소비될 상당한 힘 또는 에너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점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크림핑 방법은 커플링 실시예(66)를 위한 커플링 실시예(40, 15, 16)에 대한 도 12 내지 14를 참조하여 후술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요소(126)는 커플링(40)의 개방 단부(48) 내에 수용된다. 커플링이 소켓(128)과 숄더(130)를 갖는다면, 파이프 요소(126)는 소켓 내의 숄더에 대해 안착되어 적절한 결합 깊이를 보장한다. 다음에, 커플링(40)과 파이프 요소(126)는 크림핑 공구(108)(도시 생략)의 조(110)(도시 생략) 사이에 위치한다. 공구(108)는 정합 도그(122)의 접촉면(124)이 개방 단부(48)로부터 반대쪽에 있는 반경 방향 벌지(54)의 표면과 결합되게 하도록 구동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108)의 추가 구동은 조(110)를 폐쇄시키고 모두 3개의 다이(116)의 접촉면(118)이 단일 접촉선(120)을 따라 원추형 표면(56)과 결합하게 한다. 조의 폐쇄 작용은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공구 본체 상의 다이와 결합하도록 커플링(40)을 당긴다. 조(10) 상의 다이(116)의 추가 내향 이동은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배향된 힘이 원추형 표면(56) 둘레에 가해지게 하고, 힘은 원추형 표면의 배향 각도(58) 때문에 튜브(42)의 종축(46)에 수직 배향된 제 1 작용선(134)과, 튜브[실질적으로 종축(46)에 대해 평행한]를 따라 축방향으로 배향된 제 2 작용선(136)으로 변형될 수 있다.
도 13과 도 14의 비교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각도로 배향된 원추형 표면(56)에 대해 가해진 힘의 이들 별개의 작용선(134, 136)은 단일 접촉선(120)을 따른 힘의 인가와 함께 2개의 변형이 발생하게 한다. 제 1 변형은 원통형 링(55), 원추형 표면(56) 및 파이프 요소(126)를 반경 방향으로 안쪽으로[실질적으로 종축(46)에 수직으로] 영구적으로 변형시키는 크림프(138)의 형성이다. 변형되는 파이프 요소(126)의 영역만이 단일 접촉선(120) 아래에 있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원통형 링(55)은 다이(116)에 대한 정지부로서 작용하고 반경 방향 힘을 파이프 요소(126)로 전달한다. 제 2 변형은 채널(52)로 원추형 표면(56)의 변형이며, 이에 의해 채널 용적을 감소시키고 시일(64)을 커플링(40)과 파이프 요소(126) 사이에서 압축하여 유밀식 조인트를 형성한다. 또한, 변형은 커플링이 크림프되었다는 시각적 지시를 제공한다. 도 14에 명백한 바와 같이, 접촉선(120)은 크림핑 공정 중에 원추형 표면(56)을 따라 파이프 요소를 향해 이동한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크림핑 공정 완료시, 크림핑 공구의 조와 정합 도그는 커플링으로부터 멀리 바깥쪽으로 이동되어 공구와 커플링이 분리된다.
커플링 실시예(66)를 크림핑하는 방법은 정합 도그(140)가 다이(142)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실시예(40)와 약간 상이하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요소(126)는 커플링(66)의 개방 단부(48) 내에 수용되고 소켓(128) 내의 숄더(130)에 대해 안착된다. 다음에, 커플링(66)과 파이프 요소(126)는 크림핑 공구(108; 도시 생략)의 조(110; 도시 생략) 사이에 위치한다. 공구(108)는 정합 도그(140)의 접촉면(144)이 개방 단부(48) 반대쪽에 있는 리브(68)의 환형 표면(70)과 결합하게 하도록 구동된다. 반경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리브(68)는 조가 크림프를 달성하도록 완전히 폐쇄될 때에 정합 도그(140)가 환형 표면(70) 이외에 커플링(66)의 임의의 부분과 접촉하지 않기에 충분히 짧게 제조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이는 크림프를 달성하는 다이(142)와 커플링(66) 사이의 결합만이 커플링(66)의 원추형 표면(56) 상의 단일 접촉선(120)을 따라 다이의 접촉면(146)에 의한 것이라는 것을 보장한다. 따라서, 크림프를 이루는데 필요한 에너지는 다이와 커플링 사이의 제한된 접촉에 의해 제한된다.
도 15에 추가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108)의 구동은 조(110)를 폐쇄시키고 모두 3개의 다이(142)의 접촉면(146)이 단일 접촉선(120)을 따라 원추형 표면(56)과 결합하게 한다. 조의 폐쇄 작용은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공구 본체 상의 다이와 결합하게 커플링(66)을 당긴다. 조(100) 상에서 다이(142)의 추가 내향 이동은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배향되는 힘이 원추형 표면(56) 둘레에 인가되게 하고, 이 힘은 원추형 표면의 배향 각도(58)로 인해 튜브(42)의 종축(46)에 수직 배향된 제 1 작용선(134)과, 튜브를 따라 축방향으로 배향된[실질적으로 종축(46)에 대해 평행한] 제 2 작용선(136)으로 변형될 수 있다.
도 15와 도 16의 비교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각도로 배향된 원추형 표면(56)에 대해 가해진 힘의 이들 별개의 작용선(134, 136)은 단일 접촉선(120)을 따른 힘의 인가와 함께 2개의 변형이 발생하게 한다. 제 1 변형은 원추형 표면(56) 및 파이프 요소(126)를 반경 방향으로 안쪽으로[실질적으로 종축(46)에 수직으로] 영구적으로 변형시키는 크림프(138)의 형성이다. 변형되는 파이프 요소(126)의 영역만이 단일 접촉선(120) 아래에 있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제 2 변형은 채널(52)로 원추형 표면(56)의 변형이며, 이에 의해 채널 용적을 감소시키고 시일(64)을 커플링(40)과 파이프 요소(126) 사이에서 압축하여 유밀식 조인트를 형성한다. 또한, 변형은 커플링이 크림프되었다는 시각적 지시를 제공한다. 도 16에 명백한 바와 같이, 접촉선(120)은 크림핑 공정 중에 원추형 표면(56)을 따라 파이프 요소 쪽으로 이동한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정합 도그(140)는 다이(142)와 커플링(66) 사이의 상대적인 축방향 이동을 방지하여 제 2 작용선(136)을 따른 축방향 힘이 반응할 수 있는 표면을 제공한다.
크림핑 공정 완료시, 크림핑 공구의 조는 커플링으로부터 멀리 바깥쪽으로 이동되어 공구와 커플링이 분리된다.
본 발명에 따른 크림프형 커플링, 크림핑 공구 및 크림핑 방법은 종래 기술에 비해 다양한 이점을 제공한다. 크림핑 힘과 단일 접촉선을 따라 채널을 변형시키는 힘을 인가하여, 커플링을 변형하는데 필요한 힘, 이에 따라 크림프된 조인트를 이루는데 필요한 에너지가 서로 별개인 다수의 접촉선을 따라 변형 힘을 인가하는 종래 기술의 방법에 의해 필요한 것보다 적다. 이 이점은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난다. 예컨대, 보다 큰 직경의 파이프 요소 또는 보다 큰 항복 강도를 갖는 파이프 요소와 커플링이 종래 기술에 따라 가능한 것보다 본 발명에 따라 크림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유사하게, 보다 두꺼운 측벽을 갖는 파이프 요소가 본 발명에 따라 효과적으로 크림프될 수 있다. 보다 큰 치수 공차를 갖는 파이프 요소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 공구 및 커플링에 의해 신뢰성 있게 크림프될 수 있다. 더욱이, 보다 적은 힘을 인가하고 보다 적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공구가 사용될 수 있어, 이는 상기 공구를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더 가벼우며, 보다 콤팩트하고, 작동이 보다 용이하고 작동 비용이 적게 한다. 커플링이 종방향으로 변경되기 때문에, 커플링은 종래 기술에 따라 크림프된 커플링보다 길이가 더 짧은 경향이 있다. 엘보우, 티, 및 리듀서 등의 커플링의 경우, 보다 작은 중심 대 단부 치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보다 콤팩트한 배관 구조를 제공한다. 보다 짧은 결합 길이는 또한 커플링이 함께 더 가깝게 위치시켜, 종래 기술에 따라 크림프된 커플링으로 지금까지 손에 넣을 수 없는 설계 변경을 제공한다.

Claims (60)

  1. 파이프 요소를 단부 대 단부 관계로 연결하는 파이프 커플링(pipe coupling)에 있어서,
    튜브 내에 위치한 종축(longitudinal axis)을 둘러싸는 측벽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파이프 요소 중 하나를 수용하기 위한 제 1 개방 단부를 갖는 세장형 튜브(elongated tube)와,
    상기 튜브 둘레에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종축에 면하는 제 1 채널로서, 상기 제 1 채널은 상기 측벽에 형성된 제 1 반경 방향 벌지(radial bulge)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제 1 채널은 상기 제 1 개방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반경 방향 벌지의 일 부분은 제 1 원추형 표면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개방 단부 쪽으로 면하고, 상기 제 1 원추형 표면은 상기 종축에 대해 일정 각도로 배향된, 상기 제 1 채널과,
    상기 제 1 개방 단부를 둘러싸고 상기 제 1 반경 방향 벌지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한 제 1 원통형 링을 추가 한정하는 상기 측벽을
    포함하는, 파이프 커플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원추형 표면은 상기 종축에 대해 약 30°내지 약 60°의 배향 각도를 갖는, 파이프 커플링.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원추형 표면은 상기 종축에 대해 약 35°내지 약 45°의 배향 각도를 갖는, 파이프 커플링.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원추형 표면은 상기 종축에 대해 약 40°의 배향 각도를 갖는, 파이프 커플링.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원추형 표면은 상기 제 1 반경 방향 벌지(radial bulge)의 나머지를 형성하는 상기 측벽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상기 측벽의 일 부분을 포함하는, 파이프 커플링.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원통형 링은 상기 제 1 반경 방향 벌지의 나머지를 형성하는 상기 측벽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상기 측벽의 일 부분을 포함하는, 파이프 커플링.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경 방향 벌지는 상기 제 1 개방 단부 반대편의 제 1 환형 표면(annular surface)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환형 표면은 상기 종축에 대해 일정 각도로 배향되는, 파이프 커플링.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경 방향 벌지는 상기 벌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한 제 1 리브(rib)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리브는 상기 튜브 둘레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리브는 상기 제 1 개방 단부 반대편의 상기 제 1 반경 방향 벌지의 일 부분에 위치하는, 파이프 커플링.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환형 표면은 상기 종축에 대해 약 80°내지 약 105°의 각도 배향을 갖는, 파이프 커플링.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환형 표면은 상기 종축에 대해 약 85°내지 약 95°의 각도 배향을 갖는, 파이프 커플링.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환형 표면은 상기 종축에 대해 약 87°의 각도 배향을 갖는, 파이프 커플링.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상기 제 1 개방 단부 내에 파이프 요소가 수용되고, 상기 파이프 요소는 약 0.5 인치 내지 약 4.5 인치의 외경과 약 0.065 인치 내지 약 0.337 인치의 벽 두께를 갖는, 파이프 커플링.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방 단부에 대해 상기 튜브의 대향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파이프 요소 중 다른 것을 수용하기 위한 제 2 개방 단부와,
    상기 튜브 둘레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종축 면하는 제 2 채널로서, 상기 제 2 채널은 상기 측벽에 형성된 제 2 반경 방향 벌지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제 2 채널은 상기 제 2 개방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개방 단부 쪽으로 면하는 상기 제 2 반경 방향 벌지의 일 부분은 제 2 원추형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원추형 표면은 상기 종축에 대해 일정 각도로 배향되는, 상기 제 2 채널과,
    상기 제 2 개방 단부를 둘러싸고 상기 제 2 반경 방향 벌지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한 제 2 원통형 링을 추가 한정하는 상기 측벽을
    포함하는, 파이프 커플링.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원추형 표면은 상기 종축에 대해 약 30°내지 약 60°의 배향 각도를 갖는, 파이프 커플링.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원추형 표면은 상기 종축에 대해 약 35°내지 약 45°의 배향 각도를 갖는, 파이프 커플링.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원추형 표면은 상기 종축에 대해 약 40°의 배향 각도를 갖는, 파이프 커플링.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원추형 표면은 상기 제 2 반경 방향 벌지의 나머지를 형성하는 상기 측벽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측벽의 일 부분을 포함하는, 파이프 커플링.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원통형 링은 상기 제 1 반경 방향 벌지의 나머지를 형성하는 상기 측벽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상기 측벽의 일 부분을 포함하는, 파이프 커플링.
  19.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경 방향 벌지는 상기 제 2 개방 단부 반대편의 제 2 환형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환형 표면은 상기 종축에 대해 일정 각도로 배향되는, 파이프 커플링.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경 방향 벌지는 상기 벌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한 제 2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리브는 상기 튜브 둘레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2 리브는 상기 제 2 개방 단부 반대편의 상기 제 2 벌지의 일 부분에 위치하는, 파이프 커플링.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환형 표면은 상기 종축에 대해 약 80°내지 약 105°의 각도 배향을 갖는, 파이프 커플링.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환형 표면은 상기 종축에 대해 약 85°내지 약 95°의 각도 배향을 갖는, 파이프 커플링.
  23.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환형 표면은 상기 종축에 대해 약 87°의 각도 배향을 갖는, 파이프 커플링.
  24. 제 13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파이프 요소는 상기 튜브의 제 1 및 제 2 개방 단부 내에 각각 수용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파이프 요소는 약 0.5 인치 내지 약 4.5 인치의 외경과 약 0.065 인치 내지 약 0.337 인치의 벽 두께를 갖는, 파이프 커플링.
  2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직선형인, 파이프 커플링.
  2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엘보우, 티(tee), 및 리듀서(reduc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파이프 커플링.
  2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 내에 위치한 시일(seal)을 더 포함하는, 파이프 커플링.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은 O-링을 포함하는, 파이프 커플링.
  29.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채널 내에 각각 위치한 제 1 및 제 2 시일을 더 포함하는, 파이프 커플링.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시일은 O-링을 포함하는, 파이프 커플링.
  31. 파이프 요소를 단부 대 단부 관계로 연결하는 파이프 커플링에 있어서,
    튜브 내에 위치한 종축을 둘러싸는 측벽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파이프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제 1 개방 단부와 제 2 개방 단부를 갖는 세장형 튜브와,
    상기 튜브 둘레에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종축에 면하는 제 1 채널로서, 상기 제 1 채널은 상기 측벽에 형성된 제 1 반경 방향 벌지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제 1 반경 방향 벌지의 일 부분은 상기 제 1 개방 단부에 면하고 제 1 원추형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원추형 표면은 상기 종축에 대해 일정 각도로 배향되고, 상기 제 1 반경 방향 벌지는 상기 제 1 개방 단부 반대편의 제 1 환형 표면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환형 표면은 상기 종축에 대해 일정 각도로 배향되어 있는, 상기 제 1 채널과,
    상기 제 1 개방 단부를 둘러싸고 상기 제 1 반경 방향 벌지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한 제 1 원통형 링을 추가 한정하는 상기 측벽과,
    상기 튜브 둘레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종축에 면하는 제 2 채널로서, 상기 제 2 채널은 상기 측벽에 형성된 제 2 반경 방향 벌지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제 2 반경 방향 벌지의 일 부분은 상기 제 2 개방 단부 쪽으로 면하고 제 2 원추형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원추형 표면은 상기 종축에 대해 일정 각도로 배향되어 있는, 상기 제 2 채널과,
    상기 제 2 개방 단부를 둘러싸고 상기 제 2 반경 방향 벌지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한 제 2 원통형 링을 추가 한정하는 상기 측벽을
    포함하는, 파이프 커플링.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표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종축에 대해 약 30°내지 약 60°의 배향 각도를 갖는, 파이프 커플링.
  33.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표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종축에 대해 약 35°내지 약 45°의 배향 각도를 갖는, 파이프 커플링.
  34.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표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종축에 대해 약 40°의 배향 각도를 갖는, 파이프 커플링.
  35.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채널은 상기 제 1 개방 단부에 위치하는, 파이프 커플링.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채널은 상기 제 2 개방 단부에 위치하는, 파이프 커플링.
  37.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채널 내에 각각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시일을 더 포함하는, 파이프 커플링.
  38.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원추형 표면은 상기 제 1 반경 방향 벌지의 나머지를 형성하는 측벽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상기 측벽의 일 부분을 포함하는, 파이프 커플링.
  39.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경 방향 벌지는 상기 벌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한 제 1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리브는 상기 튜브 둘레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리브는 상기 개방 단부 반대편의 상기 제 1 반경 방향 벌지의 일 부분에 위치하는, 파이프 커플링.
  40.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환형 표면은 상기 종축에 대해 약 80°내지 약 105°의 각도 배향을 갖는, 파이프 커플링.
  41.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환형 표면은 상기 종축에 대해 약 85°내지 약 95°의 각도 배향을 갖는, 파이프 커플링.
  4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환형 표면은 상기 종축에 대해 약 87°의 각도 배향을 갖는, 파이프 커플링.
  43.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경 방향 벌지는 상기 제 2 개방 단부 반대편의 제 2 환형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환형 표면은 상기 종축에 대해 일정 각도로 배향되는, 파이프 커플링.
  44.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반경 방향 벌지는 상기 벌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한 제 2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리브는 상기 튜브 둘레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2 리브는 상기 제 2 개방 단부 반대편의 상기 제 2 벌지의 일 부분에 위치하는, 파이프 커플링.
  45.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환형 표면은 상기 종축에 대해 약 80°내지 약 105°의 각도 배향을 갖는, 파이프 커플링.
  46.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환형 표면은 상기 종축에 대해 약 85°내지 약 95°의 각도 배향을 갖는, 파이프 커플링.
  47.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환형 표면은 상기 종축에 대해 약 87°의 각도 배향을 갖는, 파이프 커플링.
  48.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직선형 튜브, 엘보우, 티(tea), 및 리듀서(reduc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파이프 커플링.
  49. 제 31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파이프 요소는 상기 튜브의 제 1 및 제 2 개방 단부 내에 각각 수용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파이프 요소는 약 0.5 인치 내지 약 4.5 인치의 외경과 약 0.065 인치 내지 약 0.337 인치의 벽 두께를 갖는, 파이프 커플링.
  50. 커플링과 상기 커플링 내에 수용된 파이프 요소 사이에 조인트를 이루기 위해 커플링을 크림핑하는 공구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은 상기 파이프 요소를 수용하는 개방 단부를 갖는 튜브와, 상기 튜브의 측벽에 형성된 반경 방향 벌지에 의해 한정되는 상기 튜브 둘레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벌지는 상기 개방 단부에 면하여 위치한 일정 각도로 배향된 원추형 표면과, 상기 개방 단부 반대편에 위치한 대향 표면을 포함하는, 크림핑 공구에 있어서,
    상기 튜브를 둘러싸는 위치 가능한 복수 개의 조(jaw)를 포함하고, 상기 조는 상기 튜브 쪽으로 상기 튜브로부터 멀어지도록 서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각각의 조는 상부에 위치한 다이를 갖고, 상기 각각의 다이는 상기 조가 상기 튜브 쪽으로 이동하면 상기 튜브 둘레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단일 작용선을 따라 오직 상기 원추형 표면과 접촉하기 위해 위치하는 단일 접촉 표면만을 갖는, 크림핑 공구.
  51. 제 50항에 있어서, 상기 조는 서로 선회 가능하게 부착된, 크림핑 공구.
  52. 제 50항에 있어서, 상부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정합 도그(registration dof)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합 도그는 상기 튜브를 향하고 튜브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정합 도그는 상기 다이 중 적어도 하나와 이격되고 이에 면하여 위치한 접촉 표면을 갖고, 상기 정합 도그의 상기 접촉 표면은 상기 벌지의 대향 표면과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정합 도그는 상기 다이에 대한 상기 튜브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크림핑 공구.
  53. 제 52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 도그는 상기 조 중 하나의 조에 장착된, 크림핑 공구.
  54. 제 52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 도그는 상기 다이 중 하나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크림핑 공구.
  55. 제 50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정합 도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정합 도그는 상기 각각의 조에 장착되며, 각각의 정합 도그는 상기 각각의 다이와 이격되고 이에 면하여 위치한 접촉 표면을 갖고, 상기 정합 도그의 상기 접촉 표면은 상기 조가 상기 튜브 쪽으로 이동시 상기 벌지의 상기 대향 표면과 결합 가능하며, 상기 정합 도그는 상기 다이에 대한 상기 튜브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크림핑 공구.
  56. 제 55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정합 도그는 상기 각각의 다이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크림핑 공구.
  57. 커플링을 상기 커플링 내에 수용된 파이프 요소에 크림핑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커플링은 상기 파이프 요소를 수용하는 개방 단부를 갖는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는 상기 튜브의 측벽의 반경 방향 벌지에 의해 형성된 원주 방향 채널을 가지며, 상기 벌지는 상기 개방 단부에 면하여 위치한 일정 각도로 배향된 원추형 표면을 포함하는, 크림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표면 둘레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일 접촉선을 따라 상기 원추형 표면에만 반경 방향으로 배향되는 힘을 가하는 단계로서, 상기 힘은 상기 튜브에 수직으로 배향된 제 1 작용선과 상기 튜브를 따라 축방향으로 배향된 제 2 작용선을 갖는, 상기 단계와,
    상기 튜브를 향해 반경 방향으로 안쪽으로 상기 원추형 표면을 변형시키는 단계와,
    상기 원추형 표면을 상기 튜브를 따라 상기 채널로 축방향으로 변형시키는 단계와,
    상기 튜브와 파이프 요소 사이의 접촉을 통해 상기 단일 접촉선 아래에서만 상기 파이프 요소를 반경 방향으로 안쪽으로 변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크림핑 방법.
  58. 제 57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요소와 상기 커플링 사이에 유밀식 조인트(fluid tight joint)를 이루도록 상기 튜브와 상기 파이프 요소 사이의 상기 채널 내에 시일(seal)을 압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크림핑 방법.
  59. 제 57항에 있어서, 상기 힘을 인가하면서 상기 파이프 요소 쪽으로 상기 원추형 표면을 따라 상기 접촉선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크림핑 방법.
  60. 제 57항에 있어서, 상기 벌지는 상기 튜브의 상기 개방 단부 반대편에 위치한 대향 표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벌지의 상기 대향 표면을 지지하여 상기 튜브의 축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크림핑 방법.
KR1020117018371A 2009-04-02 2010-04-01 크림프형 커플링, 크림핑 공구, 및 크림핑 방법 KR201200200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598509P 2009-04-02 2009-04-02
US61/165,985 2009-04-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094A true KR20120020094A (ko) 2012-03-07

Family

ID=42825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8371A KR20120020094A (ko) 2009-04-02 2010-04-01 크림프형 커플링, 크림핑 공구, 및 크림핑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100253066A1 (ko)
EP (1) EP2414720A4 (ko)
JP (1) JP2012519258A (ko)
KR (1) KR20120020094A (ko)
CN (1) CN102301173A (ko)
AR (1) AR076031A1 (ko)
AU (1) AU2010232633A1 (ko)
BR (1) BRPI1014852A2 (ko)
CA (1) CA2749937A1 (ko)
MX (1) MX2011010363A (ko)
SG (1) SG174132A1 (ko)
TW (1) TW201105882A (ko)
WO (1) WO20101149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6050427A1 (de) 2006-08-22 2008-02-28 Gustav Klauke Gmbh Verfahren zum Verpressen eines Pressfittings sowie Presswerkzeug hierzu
DE102010050320B3 (de) * 2010-11-05 2012-02-23 Viega Gmbh & Co. Kg Werkzeug mit verschiedenen Wirkbereichen
US9145992B2 (en) 2011-12-28 2015-09-29 Cerro Flow Products Llc Refrigeration line set fitting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to join refrigeration lines to each other
JP6318732B2 (ja) * 2014-03-14 2018-05-09 オムロン株式会社 カシメ構造およびカシメ方法、ならびに電子機器
US20160061536A1 (en) * 2014-08-26 2016-03-03 Cerro Flow Products Llc Heat Exchanger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PL3015751T3 (pl) * 2014-10-31 2018-06-29 Conex Ipr Limited Złączka przeznaczona do połączenia z elementem rurowym, połączenie rurowe oraz sposób łączenia złączki z elementem rurowym
US20180175575A1 (en) * 2016-12-16 2018-06-21 Ridge Tool Company Tool heads and tool systems
IT201900003759A1 (it) * 2019-03-14 2020-09-14 Tiemme Raccorderie S P A Utensile per un raccordo a pressare
US20210247003A1 (en) * 2019-03-26 2021-08-12 Nibco Inc. Piping component and sealing element for insertion therein
JPWO2020202321A1 (ja) * 2019-03-29 2021-11-11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の製造方法
CN110454632A (zh) * 2019-08-20 2019-11-15 维格斯(上海)流体技术有限公司 一种管道不可拆快接管件
KR102177359B1 (ko) * 2020-06-02 2020-11-11 주식회사 피이플렉스 프레스 피팅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10381634A1 (en) * 2020-06-05 2021-12-09 Tyson Higginbotham System and method for visually indicating whether pipe joints have been properly crimped
CN112032444A (zh) * 2020-09-02 2020-12-04 新乡市丰鑫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铆接式管道
CN113738983B (zh) * 2020-12-11 2023-03-24 上海威逊机械连接件有限公司 快装式管件组件及其应用
IT202100021377A1 (it) * 2021-08-06 2023-02-06 Stucchi Spa Assemblato di innesto rapido con anello elastico anti-sgancio.
US11692652B1 (en) * 2022-05-12 2023-07-04 Quick Fitting Holding Company, Llc Press fitting device, components and method
USD1025732S1 (en) * 2023-08-03 2024-05-07 Qing Dai Hydraulic tool

Family Cites Families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5442A (en) * 1903-10-24 1904-03-22 August G Nelson Automatic coupling.
US2245153A (en) * 1939-05-04 1941-06-10 Arthur T Mcwane Pipe joint
US2702716A (en) * 1952-08-26 1955-02-22 Lockheed Aircraft Corp Slit socket clamped joint with compressed gasket
US3244441A (en) * 1961-12-28 1966-04-05 Mueller Co Crimped tube joint
US3466383A (en) * 1966-12-12 1969-09-09 Ethyl Corp Plastic conduit joint
US3596939A (en) * 1968-08-15 1971-08-03 Glenn J Gibson Tube joint having sealing and crimping means
US3662450A (en) * 1970-04-24 1972-05-16 Dresser Ind Hand-portable press for swagable pipe coupling
GB1273932A (en) * 1971-04-21 1972-05-10 Hepworth Iron C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ipe couplings
SE390564B (sv) * 1975-05-23 1976-12-27 Aga Radiator Ab Anordning for skarvning eller anslutning av metallror med sleta endar
JPS5853507Y2 (ja) * 1979-11-30 1983-12-05 荏原サ−ビス株式会社 管接手
JPH0259130A (ja) * 1988-07-13 1990-02-28 Mie Horo Kk 管材の接合方法
US5168618A (en) * 1988-09-30 1992-12-08 Mannesamnn Ag Method of forming a crimped sleeve to tube joint
DE58901633D1 (de) * 1988-09-30 1992-07-16 Mannesman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und pressfitting zur herstellung einer unloesbaren, dichten verbindung von rohren.
DK0440564T3 (da) * 1990-02-02 1993-05-10 Caillau Ets Indretning til tilvejebringelse af forbindelse mellem en slange og endestykket på et stift rør
US6044686A (en) * 1990-04-12 2000-04-04 Dischler; Helmut Compression tool for compression molding die
US5209100A (en) * 1990-04-12 1993-05-11 Helmut Dischler Compression tool
US5598732A (en) * 1990-04-12 1997-02-04 Dischler; Helmut Compression tool
DE4012504C1 (ko) * 1990-04-12 1991-08-14 Mannesmann Ag, 4000 Duesseldorf, De
DE4130008A1 (de) * 1991-09-10 1993-03-11 Hewing Gmbh Presswerkzeug zum aufpressen eines zylindrischen pressteils oder eines einen zylindrischen abschnitt aufweisenden pressteils auf ein rundprofil, insbesondere eine rohrleitung
DE9216369U1 (ko) * 1992-12-02 1993-02-04 Novopress Gmbh Pressen Und Presswerkzeuge & Co Kg, 4040 Neuss, De
DE4240427C1 (de) * 1992-12-02 1994-01-20 Novopress Gmbh Preßwerkzeug
EP0858568B1 (de) * 1995-11-04 2001-12-12 Novo-Press GmbH Pressen und Presswerkzeuge & Co. Kg. Verfahren zur verbindung eines rohres mit einem pressfitting sowie kombination aus pressfitting, rohr und pressgerät
DE19631574C1 (de) * 1996-07-26 1997-11-13 Mannesmann Ag Rohrverbindung
DE59705051D1 (de) * 1996-08-17 2001-11-29 Novopress Gmbh Verfahren zum Verbinden von Werkstücken sowie Pressgerät hierfür
ATE215677T1 (de) * 1996-10-25 2002-04-15 Mapress Gmbh & Co Kg Rohrverbindung
DE29703052U1 (de) * 1997-02-21 1997-04-03 Novopress Gmbh Preßgerät zum Verbinden von Werkstücken
EP0904168A1 (de) * 1997-03-11 1999-03-31 Gustav Klauke GmbH Presswerkzeug
DE19722935C1 (de) * 1997-05-27 1998-07-09 Mannesmann Ag Preßfitting zur Herstellung einer unlösbaren Verbindung von Rohren
DE19725557C1 (de) * 1997-06-12 1999-02-04 Mannesmann Ag Rohrpreßverbindung
AUPO825497A0 (en) * 1997-07-28 1997-08-21 Dixlod Pty Ltd Pipe coupling method and apparatus
DE29721760U1 (de) * 1997-12-10 1998-01-29 Franz Viegener Ii Gmbh & Co Kg Unlösbare Preßverbindung zwischen einem Fitting und einem Metallrohrende
DE19840668C1 (de) * 1998-08-26 1999-11-25 Mannesmann Ag Rohrverbindung
DE19842186A1 (de) * 1998-09-15 2000-03-16 Nirosan Multifit Edelstahlleit Preßfitting
US6202284B1 (en) * 1998-11-18 2001-03-20 John Joblin Pipe fitting
CH690063A5 (de) * 1999-02-11 2000-04-14 Arx Ag Presswerkzeug.
DE50002511D1 (de) * 1999-03-17 2003-07-17 Geberit Technik Ag Verschluss an einem Presswerkzeug
EP1081422A3 (de) * 1999-08-31 2003-05-14 Mapress GmbH & Co. KG Pressfittingelement
DE10037436C2 (de) * 1999-08-31 2001-07-19 Mapress Gmbh & Co Kg Pressfittingelement
EP1092487A3 (de) * 1999-10-15 2004-08-25 Gustav Klauke GmbH Verpressgerät mit Pressbacken
ATE270169T1 (de) * 1999-10-26 2004-07-15 Ridge Tool Ag Presswerkzeug und verfahren zum kaltumformenden verbinden von werkstücken
DE10007914C1 (de) * 2000-02-21 2001-09-06 Franz Viegener Ii Gmbh & Co Kg Fitting oder Armatur zur Herstellung einer Pressverbindung mit einem eingesteckten Rohrende
US6510719B2 (en) * 2000-04-28 2003-01-28 Novartec @ Ag Pressing tool and pressing process for extruding press fittings
IT1314898B1 (it) * 2000-06-27 2003-01-16 Itap Spa Raccordo a compressione per tubi
DE10107579B4 (de) * 2000-10-19 2012-04-26 Gustav Klauke Gmbh Presswerkzeug zum Verpressen von Rohrenden sowie Presseinsatz für eine Pressbacke eines Presswerkzeuges
US20040239115A1 (en) * 2001-01-19 2004-12-02 Victaulic Company Of America Mechanical pipe coupling derived from a standard fitting
US7121593B2 (en) * 2001-01-19 2006-10-17 Victaulic Company Triple-expanded mechanical pipe coupling derived from a standard fitting
US6488319B2 (en) * 2001-04-26 2002-12-03 Jim Jones Self restrained pressure gasket
US6726256B2 (en) * 2001-10-17 2004-04-27 Franz Viegener Ii Gmbh & Co. Kg Fitting or mounting part for establishing a pressed connection with an inserted tube end
ATE317733T1 (de) * 2001-12-08 2006-03-15 Klauke Gmbh Gustav Pressvorrichtung
CN1153917C (zh) * 2001-12-25 2004-06-16 于焕力 金属管与塑料管的连接接头及其连接方法
JP4089409B2 (ja) * 2002-02-22 2008-05-28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燃料ホース、燃料ホース接続方法及び燃料ホース接続構造体
US7434443B2 (en) * 2002-07-31 2008-10-14 Hirotec Corporation Compound press-forming apparatus and compound press-forming method
US20040066039A1 (en) * 2002-10-04 2004-04-08 Anis Muhammad Mechanical tube to fitting connection
DE10303296B3 (de) * 2003-01-28 2004-07-29 Kaimer Gmbh & Co. Holding Kg Pressfitting
US7516990B2 (en) * 2003-05-15 2009-04-14 Mueller Industries, Inc. Fluid conduit system and fittings therefor
DE202004007290U1 (de) * 2004-05-07 2005-09-15 Viega Gmbh & Co Kg Dichtelement
US7216523B2 (en) * 2004-07-02 2007-05-15 Gustav Klauke Gmbh Pair of pressing jaws for hydraulic or electric pressing tools, and insulating covering for a pressing jaw
ATE425405T1 (de) * 2005-07-22 2009-03-15 Dayco Fluid Technologies Spa Klemmverbindungsschlauch für fluidzufuhrkreis in einem kraftfahrzeug
ATE413555T1 (de) * 2006-04-19 2008-11-15 Ibp Conex Ltd Dichtelement mit leckage-anzeige der unverpressten rohrverbindung und rohrverbindung mit einem solchen dichtelement
WO2008008289A2 (en) * 2006-07-13 2008-01-17 Victaulic Company Coupling assembly having conical interfacing surfaces
DE102006050427A1 (de) * 2006-08-22 2008-02-28 Gustav Klauke Gmbh Verfahren zum Verpressen eines Pressfittings sowie Presswerkzeug hierzu
JP5396273B2 (ja) * 2006-10-20 2014-01-22 グスタフ・クラウケ・ゲーエムベーハー プレス継手のプレス方法及びそのプレス工具
US8230714B2 (en) * 2009-01-23 2012-07-31 Custom Machining Services, Inc. Die carrier assembly and crimping pro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49937A1 (en) 2010-10-07
WO2010114983A1 (en) 2010-10-07
SG174132A1 (en) 2011-10-28
AR076031A1 (es) 2011-05-11
CN102301173A (zh) 2011-12-28
EP2414720A4 (en) 2012-10-31
EP2414720A1 (en) 2012-02-08
US20100253066A1 (en) 2010-10-07
TW201105882A (en) 2011-02-16
MX2011010363A (es) 2011-10-12
BRPI1014852A2 (pt) 2016-04-12
AU2010232633A1 (en) 2011-10-27
JP2012519258A (ja) 201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0094A (ko) 크림프형 커플링, 크림핑 공구, 및 크림핑 방법
EP2470817B1 (en) Press-connect fitting with improved grab-ring function
JP6055863B2 (ja) 押圧ジョー、分離不能管継手の製作方法、結合具、および押圧ジョーと結合具とから成るシステム
AU2012362443B2 (en) Refrigeration line set fitting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to join refrigeration lines to each other
EP2221520B1 (en) Hose fitting
CA2670064A1 (en) Quick actuating fitting for corrugated stainless steel tubing
US9964241B2 (en) Connection assembly
US9044804B2 (en) Corrugated tubing compression tool
EP2020553A2 (en) Axial swage connectors
US9410646B2 (en) Method for producing a pipe connection by means of press fitting, and pressing tool
US20100148495A1 (en) Device, method and kit of parts for forming a press-fit connection with a tube
KR100394852B1 (ko) 압착식 관이음쇠의 체결구조
CA2800360C (en) Refrigeration line set fitting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to join refrigeration lines to each other
JPS5853507Y2 (ja) 管接手
KR20100061952A (ko) 금속 파이프용 이음구
CN112393035A (zh) 一种待焊接的管道接头的连接方法
WO2017127340A1 (en) Die for swage pr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