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9930A - 화상형성장치, SoC 유닛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SoC 유닛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9930A
KR20120019930A KR1020100083540A KR20100083540A KR20120019930A KR 20120019930 A KR20120019930 A KR 20120019930A KR 1020100083540 A KR1020100083540 A KR 1020100083540A KR 20100083540 A KR20100083540 A KR 20100083540A KR 20120019930 A KR20120019930 A KR 20120019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aving mode
unit
power saving
normal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3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5854B1 (ko
Inventor
박호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3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5854B1/ko
Priority to US13/069,596 priority patent/US9043630B2/en
Priority to EP11178100.1A priority patent/EP2423801B1/en
Priority to JP2011184870A priority patent/JP2012048243A/ja
Priority to CN201110250127.5A priority patent/CN102387280B/zh
Publication of KR20120019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5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5854B1/ko
Priority to US14/716,207 priority patent/US9891687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84Power saving 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8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 G06F3/1221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with regard to power consump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9Printer resources management or printer maintenance, e.g. device status, power lev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Power Source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호스트 장치에 연결되는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화상형성장치는 서로 다른 전력 공급 라인을 통해 개별적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제1 및 제2 파워 도메인부를 포함하고, 제2 파워 도메인부는, 제1 및 제2 메모리, 절전 모드 상태에서 제2 메모리를 이용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서브 컨트롤러 및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되는 컨텍스트 저장부를 포함하고, 제1 파워 도메인부는, 정상 모드 상태에서 절전 모드 상태로 전환시 전원 공급이 차단되며, 정상 모드 상태에서 제1 메모리를 이용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하고, 정상 모드 상태에서 절전 모드 상태로 전환될 때 제1 파워 도메인부의 전원 공급 차단과 함께 유실되는 CPU 컨텍스트 정보를 컨텍스트 저장부로 복사하며, 절전 모드 상태에서 정상 모드 상태로 전환될 때 컨텍스트 저장부에 저장된 CPU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부팅되는 메인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전 모드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SoC 유닛 및 그 구동 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System on Chip unit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SoC 유닛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절전 모드 구현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 SoC 유닛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모든 전자 제품의 저전력에 대한 요구가 점차로 강화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지 못하면 제품의 성능과 가격 측면에서 강점을 지녀도 법 규제로 인하여 판매가 불가능하게 되고 있다.
에너지 스타(Energy Star)의 현 사양은 대기 시 전력 소모가 장치 종류에 따라서 1~2W 이하일 것을 요구하고 있다. 향후에는 네트워크 서비스가 가능한 대기 상태에서도 1W이하 전력소모를 요구하게 될 것이며, 이에 모든 전자회사들은 이들 달성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방법을 동원하고 있다.
또한 소비자에게는 기기가 저전력 상태인지 일반 동작 상태인지에 따라 사용상에 불편한 점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이것이 향 후 기기의 기술 간 경쟁력이 핵심이 될 것이다.
현재 저전력 대기 모드 달성을 위해서 대부분의 회사들이 접근하고 있는 방법은 고성능의 메인 CPU와 저전력을 소모하는 보조 CPU 구성을 통해서 일반 모드 시에는 메인 CPU를 통해서 서비스하고 시스템이 특정조건에 의해서 대기 모드 진입 시에는 보조 CPU를 통해서 메인 CPU와 필요치 않는 시스템 전원을 오프하고 보조 CPU를 통해서 서비스 요청을 모니터링을 하게 되고 사용자가 서비스 요청 시, 보조 CPU는 메인 CPU 및 보조 회로들의 전원을 인가하여 서비스를 하는 구조로 설계하고 있다.
일 예로, 종래 시스템은 전력 공급 라인을 제1 파워도메인과 제2 파워도메인으로 분리하여 전원 관리를 가능하게 시스템을 구성한 후 저전력 모드 서비스 시에는 동작이 필요없는 제1 파워 도메인으로의 전원 공급을 오프하는 방식을 채용한다.
이에 따라 정상 모드 상태에서 저전력 모드 전환이 가능한 상태가 충족이 되면 시스템은 저전력 모드 서비스 모드로 전환을 진행하게 되고, 서브 컨트롤러에 의해 실질적으로 제1 파워 도메인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한 후 저전력 모드 서비스 동작 상태로 진입하는 방식을 취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 시스템에서는 제1 파워도메인 전원 오프시 메인 컨트롤러와 DRAM의 전원이 오프되므로 DRAM의 모든 데이터는 소실되고 메인 컨트롤러는 재부팅되는 것과 동일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서비스 요청에 의해 절전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진입하는 것은 초기 시스템 부팅 절차와 동일하게 진행되므로 시스템에 따라 10초 이상의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실제로 프린터의 경우 네트웍으로 프린팅 요청 후 15초 이상 네트웍 링크가 꺼져 있는 경우 사용자에게 오류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된다.
복합기 기기에서 Scan 동작을 위해 패널 등의 버튼 클릭시에도 수 초 이내에 반응하지 않는다면, 아무리 저전력을 달성하여도 소비자는 제품 성능에 의심을 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절전 모드에서 재부팅시 소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 SoC 유닛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호스트 장치에 연결되는 화상형성장치는, 서로 다른 전력 공급 라인을 통해 개별적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제1 및 제2 파워 도메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워 도메인부는, 제1 및 제2 메모리, 절전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2 메모리를 이용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서브 컨트롤러 및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되는 컨텍스트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워 도메인부는, 정상 모드 상태에서 절전 모드 상태로 전환시 전원 공급이 차단되며, 상기 정상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1 메모리를 이용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정상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절전 모드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제1 파워 도메인부의 전원 공급 차단과 함께 유실되는 CPU 컨텍스트 정보를 상기 컨텍스트 저장부로 복사하며, 상기 절전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정상 모드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컨텍스트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CPU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부팅되는 메인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파워 도메인 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절전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제1 메모리가 셀프 리프레쉬(self-refresh)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제1 파워 도메인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1 메모리 및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스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수신된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처리된 화상 데이터에 대한 화상형성 잡을 수행하는 엔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파워 도메인부는 상기 엔진부 및 상기 데이터 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파워 도메인부는 상기 데이터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정상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절전 모드 상태로 전환시 상기 제1 파워 도메인부의 전원 공급 차단과 함께 유실되는 CPU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제1 파워 도메인 부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의 필수 컨텍스트 정보를 상기 컨텍스트 저장부로 복사할 수 있다.
또한, 부팅 동작이 있는 경우, 일반 모드 부팅인지 절전 모드에서의 재부팅인지 판단하는 부팅모드 판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부팅 동작이 절전 모드에서의 재부팅인 경우 상기 컨텍스트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CPU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부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정상 모드에서 상기 절전 모드로 전환시, 절전 모드를 위한 클럭 스피드 변경, 네트웍 링크 스피드 변경 및 절전 모드 서비스를 위한 H/W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파워 도메인 부 및 상기 제2 파워 도메인 부는, 하나의 SoC(System on Chip)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탑재 가능한 SoC 유닛은, 서로 다른 전력 공급 라인을 통해 개별적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제1 및 제2 파워 도메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워 도메인부는, 제1 및 제2 메모리, 상기 절전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2 메모리를 이용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서브 컨트롤러 및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되는 컨텍스트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워 도메인부는, 정상 모드 상태에서 절전 모드 상태로 전환시 전원 공급이 차단되며, 상기 정상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1 메모리를 이용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정상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절전 모드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제1 파워 도메인부의 전원 공급 차단과 함께 유실되는 CPU 컨텍스트 정보를 상기 컨텍스트 저장부로 복사하며, 상기 절전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정상 모드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컨텍스트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CPU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부팅되는 메인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에 연결되며, 서로 다른 전력 공급 라인을 통해 개별적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제1 및 제2 파워 도메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워 도메인부는, 제1 및 제2 메모리, 상기 절전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2 메모리를 이용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서브 컨트롤러,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되는 컨텍스트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워 도메인부는 정상 모드 상태에서 절전 모드 상태로 전환시 전원 공급이 차단되며, 상기 정상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1 메모리를 이용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메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방법은, 상기 정상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절전 모드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제1 파워 도메인부의 전원 공급 차단과 함께 유실되는 CPU 컨텍스트 정보를 상기 컨텍스트 저장부로 복사하는 단계 및 상기 절전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정상 모드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컨텍스트 저장부에 저장된 CPU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파워 도메인 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절전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제1 메모리가 셀프 리프레쉬(self-refresh)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제1 파워 도메인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1 메모리 및 전원 공급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화상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된 화상 데이터에 대한 화상형성 잡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파워 도메인부는 상기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데이터 처리 모듈 및 상기 화상형성 잡을 수행하는 엔진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파워 도메인부는 상기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모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복사하는 단계는, 상기 정상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절전 모드 상태로 전환시 상기 제1 파워 도메인부의 전원 공급 차단과 함께 유실되는 CPU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제1 파워 도메인 부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의 필수 컨텍스트 정보를 상기 컨텍스트 저장부로 복사할 수 있다.
또한, 부팅 동작이 있는 경우, 일반 모드 부팅인지 절전 모드에서의 재부팅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부팅 동작이 절전 모드에서의 재부팅인 경우 상기 컨텍스트 저장부에 저장된 CPU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부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정상 모드에서 상기 절전 모드로 전환시, 절전 모드를 위한 클럭 스피드 변경, 네트웍 링크 스피드 변경 및 절전 모드 서비스를 위한 H/W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파워 도메인 부 및 상기 제2 파워 도메인 부는, 하나의 SoC(System on Chip)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에 연결되며, 서로 다른 전력 공급 라인을 통해 개별적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제1 및 제2 파워 도메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워 도메인부는, 제1 및 제2 메모리, 상기 절전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2 메모리를 이용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서브 컨트롤러,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되는 컨텍스트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워 도메인부는 정상 모드 상태에서 절전 모드 상태로 전환시 전원 공급이 차단되며, 상기 정상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1 메모리를 이용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메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탑재 가능한 SoC 유닛의 구동 방법은, 상기 정상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절전 모드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제1 파워 도메인부의 전원 공급 차단과 함께 유실되는 CPU 컨텍스트 정보를 상기 컨텍스트 저장부로 복사하는 단계 및 상기 절전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정상 모드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컨텍스트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CPU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에 연결되며, 서로 다른 전력 공급 라인을 통해 개별적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제1 및 제2 파워 도메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워 도메인부는, 제1 및 제2 메모리, 상기 절전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2 메모리를 이용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서브 컨트롤러,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되는 컨텍스트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워 도메인부는 정상 모드 상태에서 절전 모드 상태로 전환시 전원 공급이 차단되며, 상기 정상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1 메모리를 이용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메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된 저장 매체는, 상기 정상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절전 모드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제1 파워 도메인부의 전원 공급 차단과 함께 유실되는 CPU 컨텍스트 정보를 상기 컨텍스트 저장부로 복사하는 단계 및 상기 절전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정상 모드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컨텍스트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CPU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절전 모드에서 정상 모드로 복귀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정상 모드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부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화상형성장치(100)는 데이터 수신부(105), 메인 컨트롤러(110), 제1 메모리(115), 서브 컨트롤러(120), 제2 메모리(125), 전원 공급부(130), 기능부(135), 엔진부(140) 및 컨텍스트 저장부(145)를 포함한다.
여기서, 화상형성장치(100)는 통상적으로 프린터, 복사기, 스캐너, 팩시밀리, 및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한 복합기(Multi Function Peripheral : MFP)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는 서로 다른 전력 공급 라인을 통해 개별적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제1 파워 도메인부(PD1) 및 제2 파워 도메인부(PD2)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파워 도메인부란 동일한 전력 공급 라인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 영역을 의미한다.
여기서, 제2 파워 도메인부(PD2)는 제1 메모리(115), 제2 메모리(125), 서브 컨트롤러(120) 및 컨텍스트 저장부(145)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파워 도메인부(PD2)는 메인 컨트롤러(1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파워 도메인부(PD1)는 기능부(135) 및 엔진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 파워 도메인부(PD2)는 데이터 수신부(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수신부(105)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는 대표적으로 PC(Personal Computer) 등의 호스트 장치가 될 수 있으며, 휴대폰, PDA, USB 등 사용자 단말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메인 컨트롤러(11O)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정상 모드 상태에서 후술하는 제1 메모리(115)를 이용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컨트롤러(110)는 절전 모드 상태에서 화상형성 잡(Job)에 대한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정상 모드로 전환하여 제1 메모리(115)를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제1 메모리(115)를 이용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메인 컨트롤러(11O)는 정상 모드 상태에서 절전 모드 상태로 전환될 때 컨텍스트 정보를 컨텍스트 저장부(145)로 복사하며, 절전 모드 상태에서 정상 모드 상태로 전환될 때 컨텍스트 저장부(145)에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부팅될 수 있다. 여기서, 컨텍스트 정보는 제1 파워 도메인부(PD1)의 전원 차단시 유실되는 CPU 컨텍스트 정보가 될 수 있다. 또한, 제1 파워 도메인부(PD1)의 전원 차단시 유실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의 컨텐스트 정보도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서브 컨트롤러(120)는 절전 모드 상태에서 제2 메모리(125)를 이용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CPU(120)는 절전 모드를 유지하면서 제2 메모리(125)를 이용하여 기설정된 신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신호는 절전 모드의 유지가 가능한 상태에서 호스트 장치(미도시)에 구비된 어플리케이션 등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상태 요청 신호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스트 장치에서의 스마트(SMART) 패널에 의한 신호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패널이란 호스트 장치에서 화상형성장치의 기기 상태를 표시하는 패널로 예를 들어, USB 제어 통신을 통해 화상형성장치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 패널을 통해 호스트 장치에서 화상형성장치의 프린팅 상태, 용지 상태, 토너 상태, 전원 ON/OFF 여부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정상 모드란 화상형성장치(100)가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모드를 의미하며, 절전 모드란 시스템이 아무런 작업을 수행하지 않을 때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부분 모듈의 전력 공급을 차단 또는 최소화하는 동작 모드를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전 모드에서는, 보다 낮은 대기 전력(1W 이하)을 구현하기 위해 메인 메모리로(통상 외부 DRAM)를 self refresh 상태로 한 후 SOC 내의 사용하지 않는 내부 메모리(통상 내부 SRAM)에서 프로그램 구동을 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RAM은 보통 128KB 가량의 소용량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SDRAM이 사용될 수 있으며, SRAM 또는 SDRAM과 더불어 ROM이 추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1 메모리(115)는 정상 모드의 동작에 사용되는 메인 메모리로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RAM(Dynamic RAM;다이내믹 램)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메모리(115)는 절전 모드 전환시 self refresh 모드로 유지될 수 있다.
제2 메모리(125)는 정상 모드보다 저전력으로 구동되는 절전 모드의 동작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SB의 경우 절전 모드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은, 데이터 수신부(105)로의 신호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루틴, USB 제어 신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루틴 및 정상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웨이크 업(wake-up)시 필요한 루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제2 메모리(125)는 절전 모드를 지원할 수 있는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하며, SRAM(Static RAM;스태틱 램),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그 밖에도 RAMBus, DRAM, DDR-SDRAM 등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ROM(Read Only Memory) 및 Flash memory 중 적어도 하나가 절전 모드 구현시 필요한 코드를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메모리(125)는 SRAM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SRAM은 DRAM 또는 ROM, Flash memory 등에 저장된 절전 모드 구현시 필요한 코드를 복사하여 실행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는 제2 메모리(125)는 SRAM으로 구현되고, ROM, Flash memory 등에 저장된 절전 모드 구현시 필요한 코드를 실행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는, 제2 메모리(125)는 SDRAM으로 구현되고, ROM, Flash memory 등에 저장된 절전 모드 구현시 필요한 코드를 실행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2 메모리(125)는 정상 모드의 동작에서 제1 메모리(115)와 함께 사용가능할 수 있다. 즉, 정상 모드에서 이미지 처리시 버퍼로 이용되는 SRAM이 절전 모드에서 제2 메모리(125)로 재활용될 수 있다.
한편, 메인 컨트롤러(110)는 절전 모드 전환시 제1 메모리(115)를 셀프 리프레쉬(self-refresh)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각 메모리의 특징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도록 한다.
SRAM은 메모리에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그 데이터는 유지되는 특징을 갖는다. SRAM은 주기적으로 re-written 작업은 필요치 않기 때문에 한 번의 쓰기로 그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다. SRAM은 소용량 메모리로 동작속도는 매우 빠르지만, DRAM에 비해서 값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어서 캐쉬 메모리와 같은 속도는 빠르나 용량이 많이 필요하지 않은 곳에 쓰인다.
DRAM은 SRAM과는 다르게 데이터를 유지하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다시 쓰기(re-written) 작업을 해주어야 한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DRAM은 대용량 메모리로 상대적으로 SRAM보다 느리며, DRAM은 대부분의 시스템에서 주 메모리로 사용된다.
SDRAM은 동기적, 즉 시스템 클럭에 보조를 맞추어서 작동하는 특징을 갖는다. 이론적으로는 200MHz 까지의 시스템 버스 속도에 맞출 수 있으며, 시스템 클럭에 의존적으로 작동하기에 높은 시스템 속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전원 공급부(130)는 화상형성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30)는 정상 모드 상태에서는 제1 파워 도메인부(PD1) 및 제2 파워 도메인부(PD2)에 전원을 공급하고, 절전 모드 상태에서는 제1 파워 도메인부(PD1)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제2 파워 도메인부(PD2)에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메인 컨트롤러(110) 및 서브 컨트롤러(12O)가 화상형성장치(100)를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제1 CPU(미도시) 및 제2 CPU(미도시)가 각 구성들이 해당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1 컨트롤러(미도시) 및 제2 컨트롤러(미도시)에 커맨드를 주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화상형성장치(100)는 상이한 동작 주파수를 생성하는 PLL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PLL부(미도시)는 생성된 동작 주파수를 제1 CPU(110), 제2 CPU(120), 제1 메모리(115) 및 제2 메모리(125)로 제공할 수 있다.
기능부(135)는 화상의 이미지 처리, 및 화상에 대한 압축 또는 압축 해제 등과 같이, 엔진부(140)에서 인쇄, 복사, 스캔 등과 같이 화상형성 잡을 수행하기 위하여 처리되어야 할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동작 모듈(미도시)은, 기능부(1350)의 용량 제한으로 인하여, 기능부(135)에 포함되지 못한 다양한 기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모듈(미도시)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기능 모듈 각각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메인 컨트롤러(110)는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정상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시간 동안 명령이 없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 예일 뿐이며, 모드 전환 이벤트에는 다양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정상 모드에서 절전 모드로 전환해야 하는 경우, 메인 컨트롤러(110)는 제1 메모리(115)로부터 절전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2 메모리(125)의 실행 가능한 영역으로 복사하거나, 별도의 ROM, Flash memeory 등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제2 메모리(125)의 실행 가능한 영역으로 복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상 모드 시에 이용되는 제1 메모리(115)에 저장되어 있는 USB 프로그램에 비해 훨씬 적은 용량을 갖게 된다. 코드 복사가 완료되면, 제1 파워 도메인(PD1)으로의 전력을 차단하고 절전 모드에 진입하게 된다.
한편, 코드 복사는 Flash memory, ROM에 저장되어 있는 코드를 부팅시 DRAM에 복사하여 이용하거나, 절전 모드 진입시 SRAM에 복사하여 이용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서브 컨트롤러(120)는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절전 모드에서 정상 모드로 전환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프린터의 경우 패널키 입력, 프린팅 서비스 요청, 팩스 링(Fax Ring) 등의 이벤트가 있는 경우 절전 모드에서 정상 모드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1 CPU(110), 기능부(135), 엔진부(140), 데이터 수신부(105), 제1 메모리(115), 제2 CPU(120) 및 제2 메모리(125)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rgrated Circuit) 칩과 같이 단일 칩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는 SoC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절전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복귀시 부팅시간(부팅 과정에는 DRAM초기화, ROM으로부터 DRAM으로 코드 복사, H/W 초기화 과정, OS 부팅 그리고 서비스 프로그램 시작 등의 과정 등이 포함될 수 있다)이 초기 부팅시간과 동일하게 소요되는 주요 원인은 절전 모드 전환을 위해 메인 컨트롤러(미도시)와 DRAM(미도시)이 배치된 제1 파워 도메인의 전원을 오프하게 됨으로 메인 컨트롤러(미도시)와 DRAM(미도시)의 전원이 오프됨으로써 전원 인가시 초기 부팅 과정과 동일한 절차를 거치기 때문이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정상 모드에 이용되는 제1 메모리(115)를 메인 컨트롤러(110)가 배치되는 제1 파워 도메인(PD1)과 다른 전력 공급라인으로 별개의 전력을 공급받는 제2 파워 도메인(PD2)에 배치하여 제1 메모리(115)의 전원을 오프하지 않고 유지하면서 "Self Refresh" 상태로 변경하여 제1 메모리(115) 자체의 내용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DRAM의 전원을 스위칭 오프하지 않더라도 1~2W 소비되는 전력을 200mW이하로 낮추므로 저전력 달성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 메모리(215)에 저장된 데이터가 유지되더라도, 메인 컨트롤러(210)는 제1 파워 도메인(PD1)의 전원 오프 즉, 전원 스위칭 후에 전원이 재인가되므로 메인 컨트롤러(210) 자체의 수행 컨텍스트가 유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컨트롤러(210)가 ARM으로 구현되는 경우 수행 컨텍스트에는 레지스 세트와 상태 레지스트 등이 있으며 이 밖에 SoC 내부의 IP 블럭들의 설정값 등이 있을 수 있다. 참고로, ARM CPU는 데스크톱 PC용 CPU와 클럭은 비슷하나 소비전력은 40~450mW로 매우 낮다는 특성이 있다.
반면,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200)에 따르면, 절전 모드 전환시 메인 컨트롤러(210)가 제1 파워 도메인(PD1)로의 전원 공급 중단시 유실되는 메인 컨트롤러(210), 기능부(235), 엔진부(240) 등의 필수 수행 컨텍스트 정보를 제2 파워 도메인(PD2)의 컨텍스트 저장부(245)에 저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재부팅시 컨텍스트 저장부(245)에 저장된 컨텍스트를 이용하여 절전 모드 상태 전환 이전 상태로 복원하게 되므로 신속한 재부팅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컨텍스트 저장부(245)는 제2 파워 도메인(PD2) 내의 별도의 레지스터나 SRAM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제1 메모리(215)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1 메모리(215)를 Self Refresh로 변경하고 CPU 컨텍스트 등을 컨텍스트 저장부(250)에 저장하여 이전 모드를 복귀를 위한 정보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a에 따른 화상형성장치(200)는 데이터 수신부(205), 메인 컨트롤러(210), 제1 메모리(215), 서브 컨트롤러(220), 제2 메모리(225), 전원 공급부(230), 기능부(235), 엔진부(240), 컨텍스트 저장부(245), 부팅모드 판단부(250), 및 프로세스 제어부(255)를 포함한다.
즉, 도 2a에 따른 화상형성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100)에 더하여 부팅모드 판단부(250) 및 프로세스 제어부(255)를 더 포함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부팅모드 판단부(250)는 부팅이 수행되면 일반 모드 부팅인지 절전 모드에서 재부팅인지 판단하는 기능을 한다.
부팅모드 판단부(250)에서 부팅 모드가 절전 모드 부팅이라고 판단되면, 메인 컨트롤러(210)는 컨텍스트 저장부(245)로부터 CPU 동작 모드별 레지스터 및 상태 레지스트 등을 복원하고 마지막 수행지점으로 복귀함으로써 수 ms이내의 부팅이 가능하다.
부팅 모드 판단부(250)는 레지스터를 이용하여 부팅 모드를 저장하도록 구현 할 수 있고 외부 GPIO pin 등의 입력을 통해서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컨트롤러(210)에 리셋 벡터부터 재수행이 되어 시스템 전원 인가 부팅 과정과 동일하게 흘러가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절전 모드에서 정상 모드로 전환시, 절전 모드 부팅한 경우 제1 메모리(215)는 Self Refresh상태에서 빠져 나와야 하는데 메인 컨트롤러(210)가 부팅하면서 "Self Refresh" 모드를 종료시키거나, 서브 컨트롤러(220)가 제1 메모리(215)의 "Self Refresh" 모드를 종료시키도록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스 제어부(255)는 절전 모드 진입시 서브 컨트롤러(220)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 제어부(255)는 절전 모드 전환시 제1 메모리(115)를 Self Refresh 모드로 변경하고, 제1 파워 도메인부(PD1)의 전력 공급 중단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스 제어부(255)는 메인 컨트롤러(210)와 서브 컨트롤러(220)에 대한 부팅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a에서 데이터 수신부(205), 제1 CPU(210), 제1 메모리(215), 제2 CPU(220), 제2 메리(225), 전원 공급부(230), 기능부(235), 엔진부(240), 컨텍스트 저장부(245), 부팅모드 판단부(250) 및 프로세스 제어부(255)는 하나의 SOC 내에 구현될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b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200')는 제1 CPU(210), 기능부(235) 및 엔진부(240)가 하나의 SOC 내에 배치되고, 데이터 수신부(205), 제2 CPU(220) 및 제2 메모리(225)가 별개의 SOC 내에 배치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1 메모리(215), 프로세스 제어부(245), 컨텍스트 저장부(250) 및 부팅모드 판단부(255)는 SOC 외부에 배치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CPU(220)는 정상 모드에서 다른 용도로 이용될 수 있으며, 절전 모드로 전환시 리셋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전 모드로 전환시 제2 CPU(220)는 리셋되고, 절전 모드 서비스용 마이크로 펌웨어를 제2 메모리(225)에 저장하고, 절전 모드용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탑재 가능한 SoC 유닛은, 서로 다른 전력 공급 라인을 통해 개별적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제1 및 제2 파워 도메인부를 포함하고, 제2 파워 도메인부는, 제1 및 제2 메모리, 절전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2 메모리를 이용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서브 컨트롤러 및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되는 컨텍스트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파워 도메인부는, 정상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1 메모리를 이용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정상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절전 모드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상기 컨텍스트 저장부로 복사하며, 상기 절전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정상 모드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컨텍스트 저장부에 저장된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부팅되는 메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100, 200, 200')와 호스트 장치(미도시)와의 관계를 간략히 설명하도록 한다.
호스트 장치(미도시)는 대표적으로 PC로 구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PDA, PMP, TV, 서버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호스트 장치(미도시)는 어플리케이션(미도시) 및 호스트 컨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한다.
어플리케이션(미도시)은 OS(Operating System)에서 다양한 데이터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소프트 웨어가 될 수 있다.
호스트 컨트롤러(미도시)는 화상형성장치(100, 200, 200')가 호스트 장치(미도시)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해주는 모든 S/W 또는 H/W를 포함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그 밖에 호스트 장치(미도시)는 응용프로그램에서 작성된 인쇄 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100, 200, 200')에서 해석가능한 프린터 언어(Printer Language)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프린터 드라이버(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호스트 컨트롤러(미도시)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미도시), 표시부(미도시) 등 호스트 장치(미도시)의 일반적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2b에 도시된 구성요소 및 그들의 배치 순서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경우에 따라 일 구성요소가 삭제되거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으며, 그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따르면,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S310)하면 메인 컨트롤러가 절전 모드 진입을 준비하게 된다(S320). 여기서,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란, 프린팅/스캔 등의 화상형성 잡 수행 상태에 있고, 화상형성 잡 수행 완료 시 일정 시간 이상의 휴지 시간 이후 등과 같은 경우가 될 수 있다.
또한, 절전 모드 진입을 준비하는 동작은 서브 컨트롤러(303)가 절전 모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 코드 등을 절전 모드 서비스용 메모리에 탑재, 인터럽트 컨트롤러 백업 및 서비스 중지, 메인 타이머 중지 등 절전 모드 전환을 위한 각종 사전 작업을 진행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절전 모드 진입 동작이 완료되면(S320), 메인 컨트롤러는 자신의 수행 컨텍스트 정보를 컨텍스트 저장부에 백업한다(S330). 이 경우, 전원이 스위칭될 때 메인 컨트롤러의 캐쉬(Cache) 정보도 유실되므로 반드시 캐쉬의 데이터를 DRAM으로 캐쉬 플러시를 통해 반영되어야 한다.
이 후, 메인 컨트롤러는 서브 컨트롤러에 절전 모드 전환을 요청하게 된다(S340). 즉, 메인 컨트롤러는 서브 컨트롤러에게 절전 모드 서비스 시작을 통보하고 자신은 전원이 스위칭되기를 대기한다.
이에 따라 서브 컨트롤러은 메인 컨트롤러에 의하여 절전 모드 서비스를 시작하게 된다(S350). 이 경우 버스 컨트롤러는 절전 모드를 위하여 클락 스피드 변경, 네트웍 링크 스피트 변경, 그리고 저전력 서비스를 위한 H/W설정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대기 전력 1W이하로 동작하기 위해 DRAM을 Self Refresh로 변경한다(S360). 이는 서브 컨트롤러에 의해서도 가능하나, 메인 컨트롤러가 Cache Locking이나 SRAM(DRAM이 아닌 수행공간) 등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이 후, 절전 모드 서비스 진입 전에 제 1 파워 도메인부의 전원을 스위칭함으로써 대기전력 1W 이하의 서비스를 시작하게 된다(S370). 이 상태가 되면 시스템은 서비스 요청 수신 감지를 위한 데이터 수신부, 컨텍스트 저장부 등의 제2 파워 도메인에 속한 최소한의 블럭만이 파워를 소모하게 되어 저전력 모드 달성이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정상 모드 전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따르면 절전 모드 서비스 수행 중(S410), 모드 전환 요청이 있는 경우(S420:Y), 즉, 화상형성 잡에 대한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게 되면 서브 컨트롤러는 정상 모드 즉, 화상형성 서비스 모드로 복귀절차를 밟게 된다.
우선, 서브 컨트롤러는 DRAM의 Self Refresh 모드를 해제한다(S430).
이어서, 메인 컨트롤러가 복귀 시 일반 모드 부팅이 아닌 절전 모드 부팅으로 판단하게 하기 위해 저전력 모드 부팅 상태로 지정할 수 있다(S440). 한편, 부팅 모드 지정은 경우에 따라 복귀 시에 설정하여도 되고 이전에 절전 모드 진입 절차 중에 수행할 수도 있다.
이 후, 제1 파워 도메인부에 전원을 공급한다(S450). 즉, 메인 컨트롤러를 부팅하기 위하여 제1 파워 도메인부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컨트롤러의 리셋을 해제할 수 있다(S460). 이는 프로세스 제어부(255)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컨트롤러는 부팅을 진행하게 된다. 한편, 메인 컨트롤러가 전원 인가 시 리셋이 자동으로 해제되는 시스템에서는 S450 단계 및 S460 단계의 통합이 가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부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따르면, 부팅 시도가 있는 경우 일반 모드 부팅인지 절전 모드에서 재부팅인지 판단한다(S410).
S410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일반 모드 부팅인 경우(S410:Y), Clock/DRAM 설정(S420), H/W설정(S420), OS로딩 및 구동(S430) 등의 일반적인 시스템 부팅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정상 모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S450).
S410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저전력 부팅 모드인 경우(S410:N)에는 컨텍스트 저장부에 저장한 컨텍스트 정보를 복원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모드별 레지스트를 모드 복원하고 마지막으로 "PC" 값을 이전 수행시점으로 이동하여 저전력 모드 진입 이전의 서비스 수행상태로 복원할 수 있게 된다.
즉, DRAM은 전원 off가 아니라 "Self Refresh" 모드이므로 단순 "Self Refresh" 모드에서 빠져 나오게 한다. 이렇게 되면 메인 컨트롤러는 DRAM에 접근 가능한 상태가 되고 DRAM에는 저전력 모드 진입전의 모든 정보가 들어있지만 CPU 컨텍스트, 즉 레지스터 및 Status 레지스터 등의 정보가 유실되어 이전으로 복원을 바로 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하여 컨텍스트 저장부(245)에 저장한 정보를 복원하여 부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텍스트 정보는 CPU 컨텍스트 CPU Core가 전원 오프시에 유실되는 정보 이외의 최소한의 H/W 레지스터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고, DRAM은 Self Refresh 상태이므로 SoC 내부의 SRAM 또는 DRAM의 영역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저장 및 복원 시간이 수백 us 이하에 완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것과 같이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라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실시 예는 다양한 통신 방식 예를 들어, 네트워크 통신, USB, 블루투스,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CI (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express, 이더넷(Ethernet), 지그비(ZigBee), 파이어와이어(FireWire), CAN, 지그비(ZigBee), IEEE 1394, PS/2, AGP(Accelerated Graphics Port), ISA(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MCA(Micro Channel Architecture), EISA(Extended 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 Architecture) 등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화상형성장치의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다른 전자 장치에도 동일한 원리 및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절전 모드에서 정상 모드로 복귀 시 화상형성장치의 복원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수십 초에서 수분에 이르는 복원 시간을 구체적으로, 수 ms 이내로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200, 200' : 화상형성장치 105, 205 : 데이터 수신부
110, 210 : 메인 컨트롤러 115, 215 : 제1 메모리
120, 220 : 서브 컨트롤러 125, 225 : 제2 메모리
130, 230 : 전원 공급부 135, 235 : 기능부
140, 240 : 엔진부 145, 245 : 컨텍스트 저장부
250 : 부팅모드 판단부 255: 프로세스 제어부

Claims (17)

  1. 호스트 장치에 연결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서로 다른 전력 공급 라인을 통해 개별적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제1 및 제2 파워 도메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워 도메인부는,
    제1 및 제2 메모리;
    절전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2 메모리를 이용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서브 컨트롤러; 및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되는 컨텍스트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워 도메인부는,
    정상 모드 상태에서 절전 모드 상태로 전환시 전원 공급이 차단되며,
    상기 정상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1 메모리를 이용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정상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절전 모드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제1 파워 도메인부의 전원 공급 차단과 함께 유실되는 CPU 컨텍스트 정보를 상기 컨텍스트 저장부로 복사하며, 상기 절전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정상 모드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컨텍스트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CPU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부팅되는 메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파워 도메인 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절전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제1 메모리가 셀프 리프레쉬(self-refresh)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제1 파워 도메인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1 메모리 및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스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수신된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처리된 화상 데이터에 대한 화상형성 잡을 수행하는 엔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파워 도메인부는 상기 엔진부 및 상기 데이터 처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파워 도메인부는 상기 데이터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정상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절전 모드 상태로 전환시 상기 제1 파워 도메인부의 전원 공급 차단과 함께 유실되는 CPU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제1 파워 도메인 부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의 필수 컨텍스트 정보를 상기 컨텍스트 저장부로 복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부팅 동작이 있는 경우, 일반 모드 부팅인지 절전 모드에서의 재부팅인지 판단하는 부팅모드 판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부팅 동작이 절전 모드에서의 재부팅인 경우 상기 컨텍스트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CPU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부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정상 모드에서 상기 절전 모드로 전환시, 절전 모드를 위한 클럭 스피드 변경, 네트웍 링크 스피드 변경 및 절전 모드 서비스를 위한 H/W 설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워 도메인 부 및 상기 제2 파워 도메인 부는,
    하나의 SoC(System on Chip)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전자 장치에 탑재 가능한 SoC 유닛에 있어서,
    서로 다른 전력 공급 라인을 통해 개별적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제1 및 제2 파워 도메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워 도메인부는,
    제1 및 제2 메모리;
    상기 절전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2 메모리를 이용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서브 컨트롤러; 및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되는 컨텍스트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워 도메인부는,
    정상 모드 상태에서 절전 모드 상태로 전환시 전원 공급이 차단되며,
    상기 정상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1 메모리를 이용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정상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절전 모드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제1 파워 도메인부의 전원 공급 차단과 함께 유실되는 CPU 컨텍스트 정보를 상기 컨텍스트 저장부로 복사하며, 상기 절전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정상 모드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컨텍스트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CPU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부팅되는 메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oC 유닛.
  9. 호스트 장치에 연결되며, 서로 다른 전력 공급 라인을 통해 개별적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제1 및 제2 파워 도메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워 도메인부는, 제1 및 제2 메모리, 상기 절전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2 메모리를 이용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서브 컨트롤러,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되는 컨텍스트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워 도메인부는 정상 모드 상태에서 절전 모드 상태로 전환시 전원 공급이 차단되며, 상기 정상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1 메모리를 이용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메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상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절전 모드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제1 파워 도메인부의 전원 공급 차단과 함께 유실되는 CPU 컨텍스트 정보를 상기 컨텍스트 저장부로 복사하는 단계; 및
    상기 절전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정상 모드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컨텍스트 저장부에 저장된 CPU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파워 도메인 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절전 모드로 전환되면, 상기 제1 메모리가 셀프 리프레쉬(self-refresh)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제1 파워 도메인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1 메모리 및 전원 공급 모듈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화상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된 화상 데이터에 대한 화상형성 잡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파워 도메인부는 상기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데이터 처리 모듈 및 상기 화상형성 잡을 수행하는 엔진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파워 도메인부는 상기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모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복사하는 단계는,
    상기 정상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절전 모드 상태로 전환시 상기 제1 파워 도메인부의 전원 공급 차단과 함께 유실되는 CPU 컨텍스트 정보 및 상기 제1 파워 도메인 부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의 필수 컨텍스트 정보를 상기 컨텍스트 저장부로 복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부팅 동작이 있는 경우, 일반 모드 부팅인지 절전 모드에서의 재부팅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부팅 동작이 절전 모드에서의 재부팅인 경우 상기 컨텍스트 저장부에 저장된 CPU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부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정상 모드에서 상기 절전 모드로 전환시, 절전 모드를 위한 클럭 스피드 변경, 네트웍 링크 스피드 변경 및 절전 모드 서비스를 위한 H/W 설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워 도메인 부 및 상기 제2 파워 도메인 부는,
    하나의 SoC(System on Chip)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방법.
  16. 호스트 장치에 연결되며, 서로 다른 전력 공급 라인을 통해 개별적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제1 및 제2 파워 도메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워 도메인부는, 제1 및 제2 메모리, 상기 절전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2 메모리를 이용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서브 컨트롤러,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되는 컨텍스트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워 도메인부는 정상 모드 상태에서 절전 모드 상태로 전환시 전원 공급이 차단되며, 상기 정상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1 메모리를 이용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메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탑재 가능한 SoC 유닛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상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절전 모드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제1 파워 도메인부의 전원 공급 차단과 함께 유실되는 CPU 컨텍스트 정보를 상기 컨텍스트 저장부로 복사하는 단계; 및
    상기 절전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정상 모드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컨텍스트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CPU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oC 유닛의 구동 방법.
  17. 호스트 장치에 연결되며, 서로 다른 전력 공급 라인을 통해 개별적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제1 및 제2 파워 도메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워 도메인부는, 제1 및 제2 메모리, 상기 절전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2 메모리를 이용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서브 컨트롤러, 컨텍스트 정보가 저장되는 컨텍스트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워 도메인부는 정상 모드 상태에서 절전 모드 상태로 전환시 전원 공급이 차단되며, 상기 정상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제1 메모리를 이용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메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된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정상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절전 모드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제1 파워 도메인부의 전원 공급 차단과 함께 유실되는 CPU 컨텍스트 정보를 상기 컨텍스트 저장부로 복사하는 단계; 및
    상기 절전 모드 상태에서 상기 정상 모드 상태로 전환될 때 상기 메인 컨트롤러는 상기 컨텍스트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CPU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장 매체.
KR1020100083540A 2010-08-27 2010-08-27 화상형성장치, SoC 유닛 및 그 구동 방법 KR101235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540A KR101235854B1 (ko) 2010-08-27 2010-08-27 화상형성장치, SoC 유닛 및 그 구동 방법
US13/069,596 US9043630B2 (en) 2010-08-27 2011-03-23 Image forming apparatus, system-on-chip (SoC) unit, and driving method thereof
EP11178100.1A EP2423801B1 (en) 2010-08-27 2011-08-19 Image forming apparatus, system-on-chip (SOC) unit,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11184870A JP2012048243A (ja) 2010-08-27 2011-08-26 画像形成装置、SoC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の駆動方法
CN201110250127.5A CN102387280B (zh) 2010-08-27 2011-08-29 成像装置、片上系统单元及其驱动方法
US14/716,207 US9891687B2 (en) 2010-08-27 2015-05-19 Image forming apparatus, system-on-chip (SoC) unit, and driv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540A KR101235854B1 (ko) 2010-08-27 2010-08-27 화상형성장치, SoC 유닛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930A true KR20120019930A (ko) 2012-03-07
KR101235854B1 KR101235854B1 (ko) 2013-02-20

Family

ID=44533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3540A KR101235854B1 (ko) 2010-08-27 2010-08-27 화상형성장치, SoC 유닛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043630B2 (ko)
EP (1) EP2423801B1 (ko)
JP (1) JP2012048243A (ko)
KR (1) KR101235854B1 (ko)
CN (1) CN102387280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0972A (ko) * 2014-11-21 2016-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60127494A (ko) * 2015-04-27 2016-11-0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저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US11329557B2 (en) 2018-08-29 2022-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ngle-inductor multiple-output (SIMO) converter and control method of SIMO conver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854B1 (ko) * 2010-08-27 2013-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SoC 유닛 및 그 구동 방법
KR101766835B1 (ko) 2011-05-04 2017-08-09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817287B2 (ja) * 2011-07-25 2015-11-18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と情報処理方法とプログラム
EP2581850B1 (en) * 2011-10-11 2018-12-12 OCT Circuit Technologies International Limited Increased flexibility of security framework during low power modes management
JP5971925B2 (ja) * 2011-11-21 2016-08-1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プログラム
JP6050721B2 (ja) * 2012-05-25 2016-12-21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
JP6061531B2 (ja) * 2012-07-26 2017-01-18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949813B1 (ko) * 2012-09-17 2019-02-19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유한회사 화상형성장치, 호스트 장치 및 이들의 잡 수행 방법
KR20140090281A (ko) * 2012-12-11 2014-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CN103064503B (zh) * 2012-12-24 2016-03-09 上海新储集成电路有限公司 片上系统及其缓存器
US9753527B2 (en) 2013-12-29 2017-09-05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graphics buffers for a processor in sleep mode
US9804665B2 (en) * 2013-12-29 2017-10-31 Googl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assing event handling control from a primary processor to a secondary processor during sleep mode
KR102186960B1 (ko) 2014-03-11 2020-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및 디스플레이 장치
US9798378B2 (en) 2014-03-31 2017-10-2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awakening a primary processor out of sleep mode
US9568971B2 (en) * 2015-02-05 2017-02-14 Apple Inc. Solid state drive with self-refresh power saving mode
KR102423861B1 (ko) 2016-04-08 2022-07-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류 센싱형 센싱 유닛과 그를 포함한 유기발광 표시장치
JP2018176669A (ja) * 2017-04-20 2018-11-1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6977439B2 (ja) * 2017-09-20 2021-12-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電子機器
GB2569537B (en) * 2017-12-18 2020-02-26 Advanced Risc Mach Ltd A technique for managing power domains in an integrated circuit
US10432816B1 (en) 2018-08-17 2019-10-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inishing line controllers to optimize the initialization of a printing device
US11449346B2 (en) * 2019-12-18 2022-09-20 Advanced Micro Devic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ystem level sleep state power savings
TWI803925B (zh) * 2021-08-03 2023-06-01 明基電通股份有限公司 低待機耗電量的會議系統
US20230094846A1 (en) * 2021-09-29 2023-03-30 Dell Products L.P. Interactive Pre-Boot Intelligence Using Adaptive Row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1847B1 (ko) * 1998-07-14 2005-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 관리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
JP3360665B2 (ja) 1999-03-12 2002-12-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省電力モードを有する電子印刷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3984876B2 (ja) * 2002-07-03 2007-10-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電力制御方法
JP2005041127A (ja) * 2003-07-23 2005-02-17 Brother Ind Ltd ステータス情報通知システム及びネットワーク端末装置及び通信処理装置
JP4599106B2 (ja) 2004-07-21 2010-12-15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
US7487374B2 (en) 2005-01-13 2009-02-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power and clock-gating method and circuitry with sleep mode based on estimated time for receipt of next wake-up signal
JP2007276341A (ja) * 2006-04-10 2007-10-25 Canon Inc 通信装置
US7620784B2 (en) * 2006-06-09 2009-11-17 Microsoft Corporation High speed nonvolatile memory device using parallel writing among a plurality of interfaces
JP2008033436A (ja) * 2006-07-26 2008-02-14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US20090204837A1 (en) * 2008-02-11 2009-08-13 Udaykumar Raval Power control system and method
JP5207792B2 (ja) 2008-02-19 2013-06-1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US20090292934A1 (en) * 2008-05-22 2009-11-26 Ati Technologies Ulc Integrated circuit with secondary-memory controller for providing a sleep state for reduced power consumption and method therefor
KR20100083540A (ko) 2009-01-14 2010-07-22 (주)테일러테크놀로지 사전 주문 상품의 거래를 중개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512493B1 (ko) 2009-02-06 2015-04-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전력 시스템온칩
JP4720926B2 (ja) * 2009-03-26 2011-07-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処理装置
US8352770B2 (en) * 2009-09-25 2013-01-08 Intel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low-power storage of processor context information
KR101235854B1 (ko) * 2010-08-27 2013-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SoC 유닛 및 그 구동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0972A (ko) * 2014-11-21 2016-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60127494A (ko) * 2015-04-27 2016-11-0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저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US11329557B2 (en) 2018-08-29 2022-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ngle-inductor multiple-output (SIMO) converter and control method of SIMO conver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54479A1 (en) 2012-03-01
US9891687B2 (en) 2018-02-13
US20150261277A1 (en) 2015-09-17
CN102387280A (zh) 2012-03-21
EP2423801A3 (en) 2012-11-07
JP2012048243A (ja) 2012-03-08
EP2423801A2 (en) 2012-02-29
CN102387280B (zh) 2015-07-08
KR101235854B1 (ko) 2013-02-20
EP2423801B1 (en) 2016-12-07
US9043630B2 (en) 2015-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5854B1 (ko) 화상형성장치, SoC 유닛 및 그 구동 방법
KR101766835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10442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icrocontroller, and methods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icrocontroller
US1012031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appropriately executing shutdown processing, method of controlling th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101203145B1 (ko) 화상형성장치, SoC 유닛 및 그 구동 방법
US878688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gram
JP201325061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30042132A1 (en) Image forming appratus, microcontroller, and methods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icrocontroller
EP2557480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microcontroller, and methods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icrocontroller
JP5959841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11541825B (zh)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JP6338645B2 (ja) 印刷装置及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