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9555A - 벽체와 벽지 간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액상 접착 증진재 - Google Patents

벽체와 벽지 간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액상 접착 증진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9555A
KR20120019555A KR1020100082806A KR20100082806A KR20120019555A KR 20120019555 A KR20120019555 A KR 20120019555A KR 1020100082806 A KR1020100082806 A KR 1020100082806A KR 20100082806 A KR20100082806 A KR 20100082806A KR 20120019555 A KR20120019555 A KR 20120019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wall
wallpaper
adhe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2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2392B1 (ko
Inventor
양필성
Original Assignee
양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필성 filed Critical 양필성
Priority to KR1020100082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392B1/ko
Publication of KR20120019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3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03/00Adhesives based on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n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9J103/02Starch;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e.g. dextrin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와 벽지 간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액상 접착 증진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과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며 간단한 스프레이 작업으로 분무가 가능한 인체에 무해한 액상 접착 증진재를 제공함으로써 벽체와 벽지 간의 접착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난접착 물질에 더욱 향상 된 접착력을 나타내며, 액상 접착 증진재와 전분풀을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접착력이 장기간 지속되어 벽지에 풀이 도포된 상태에서 시공이 늦어져 풀이 어느 정도 건조된 상태일지라도 벽체와 벽지 간의 접착성이 유지됨에 따라 벽지의 시공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벽체와 벽지 간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액상 접착 증진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벽체와 벽지 간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액상 접착 증진재는 물 52~64중량부와, 에틸 아크릴레이트 10~15중량부와, 부틸 아크릴레이트 15~23중량부와, 스티렌 2~4중량부와, 아크릴산 1~3중량부와, 메타 아크릴산 1~3중량부와, 계면활성제 1.5~5중량부와, 첨가제 0.3~1중량부와, 과황산암모늄 0.5~1.5중량부와, 완충제 0.3~1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벽체와 벽지 간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액상 접착 증진재{Liquefied adhesion enhancer for improving adhesive property between wall and wallpaper}
본 발명은 벽체와 벽지 간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액상 접착 증진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과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며 스프레이 용기를 이용하여 분무가 가능한 인체에 무해한 액상 접착 증진재를 제공함으로써 벽체와 벽지 간의 접착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액상의 접착 증진재와 전분풀을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접착이 잘 되지 않는 난접착 물질에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액상 접착 증진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를 목적으로 하는 주택 건물이나 사무실, 음식점 등의 벽체 표면에는 미관을 목적으로 벽지를 부착하게 되며, 이러한 벽지를 부착하기 위해서는 접착제로서 주로 전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풀을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에서 벽체라 함은 콘크리트, 목재, MDF, 가죽, 고무, 합성수지 패널, 유리, 금속면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서 설명의 편의상 '벽체'라 총칭한다.
상기와 같이 풀을 사용하여 벽체에 벽지를 부착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두 가지의 시공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첫째는 벽지를 적정한 길이로 절단한 후, 벽지 이면에 풀을 도포하여 즉시 벽체에 부착하는 방법이며, 둘째는 도배 전문가에 의해 주로 이루어지는 방법으로서 아파트와 같이 규격화된 실내의 경우 다른 장소에서 많은 량의 벽지를 적정한 길이로 절단하고, 그 절단된 벽지 이면에 풀을 도포한 후, 도배 장소로 이동하여 풀이 도포된 벽지를 벽체에 부착하는 방법이다.
상기와 같이 첫째 시공방법의 경우 벽지를 부착하기 전에 벽체에 액상 접착 증진재를 분무하여 벽지를 벽체에 부착함에 따라 접착력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둘째 시공방법의 경우 많은 량의 벽지에 풀을 먼저 도포함으로써 벽지 마다 풀의 도포 시점에 차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도배장소로 이동하는 동안에 풀이 건조되는 상태가 발생되어 벽체와 벽지 간에 접착력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풀을 재차 도포하는 등 시공상 많은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벽체가 평탄하지 못할 경우 벽체와 벽지 간의 접착력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는 신규 주택이 아닌 리모델링, 벽지의 교체 등 기존의 벽지 위에 시공을 하는데, 이때 난접착 코팅처리 된 벽체에 시공하면 접착력이 약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벽체와 벽지 간에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접착 증진재 종류가 개발되었으나, 거의 대부분이 점성이 높은 고점도의 제품으로서 전용 주걱(헤라)을 사용하여 도포하는 한편, 벽체의 굴곡부분에는 고점도 접착 증진재로 채워 평탄화 하여야 하며, 특히 높은 부분의 벽체 또는 천정의 경우 사다리를 이용하여야 하므로 시공성 저하의 문제점을 안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가로 인해 사용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외에도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0060479호(공개일자:2000년10월16일)에서는 천연 원적외선 광물질인 일라이트를 벽지 접착용 풀에 소정량 혼합함으로써 접착 후 가옥의 실내를 탈취 및 정균하여 각종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제안되었으며, 또한 대한민국 특허 제549367호(등록일자:2006년01월27일)에서는 전분계 풀의 제조 시 지속적인 항균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안되었으며,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22843호(공개일자:2010년03월03일)에서는 전분질 도배 풀에 백운모와 같은 광물 분말과 은 나노 용액이 첨가되어 광물질이 갖는 강한 흡착력, 음이온 치환능력 및 다량의 음이온과 원적외선 방출효과 등에 의하여 기능성이면서도 장기간 유통하더라도 변질되지 않고 콘크리트의 독성을 중화시켜 쾌적한 거주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제안되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는 전분 풀에 탈취 및 정균, 항균, 음이온과 원적외선 방출효과와 같은 기능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나, 벽지에 도포된 풀과 벽체와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물, 에틸 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부틸 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스티렌(Styrene), 아크릴산(Acrylic Acid), 메타 아크릴산(Meta Acrylic Acid), 과황산암모늄(Ammonium per sulfate), 계면활성제, 완충제를 포함하는 인체에 무해한 액상의 접착 증진재를 제공함으로써 벽체와 벽지 간의 접착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간단한 스프레이 작업으로 분무가 가능함으로써 벽지의 시공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스티렌, 아크릴산, 메타 아크릴산, 과황산암모늄, 계면활성제, 완충제를 포함하는 인체에 무해한 액상 접착 증진재를 전분풀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난접착 물질에 더욱 향상 된 접착력을 나타내며, 전분풀의 접착력이 장기간 지속되어 벽지에 풀이 도포된 상태에서 시공이 늦어져 풀이 어느 정도 건조된 상태일지라도 벽체와 벽지 간의 접착성이 유지됨에 따라 벽지의 시공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벽체와 벽지 간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액상 접착 증진재는 물 52~64 중량부와, 에틸 아크릴레이트 10~15 중량부와, 부틸 아크릴레이트 15~23 중량부와, 스티렌 2~4 중량부와, 아크릴산 1~3 중량부와, 메타 아크릴산 1~3 중량부와, 계면활성제 1.5~5 중량부와, 첨가제 0.3~1 중량부와, 과황산암모늄 0.5~1.5 중량부와, 완충제 0.3~1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액상 접착 증진재를 전분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20 중량부를 첨가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물,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스티렌, 아크릴산, 메타 아크릴산, 과황산암모늄, 계면활성제, 완충제, 첨가제를 포함하는 인체에 무해한 액상 접착 증진재를 제공함으로써 벽체와 벽지 간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난접착 물질에 더욱 향상 된 접착력을 나타내며, 벽지에 풀이 도포된 상태에서 시공이 늦어져 풀이 어느 정도 건조된 상태일지라도 본 발명의 액상 접착 증진재에 의해 벽체와 벽지 간의 접착성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스프레이 작업으로 분무가 가능함에 따라 벽지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벽체와 벽지 간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액상 접착 증진재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벽체와 벽지 간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액상 접착 증진재의 제조과정은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용매로 사용되는 물 52~64 중량부와,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연성과 내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에틸 아크릴레이트 10~15 중량부와,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주 모노머로서 끈적임을 가지며 내수성, 광택성, 접착성을 유지하는 부틸 아크릴레이트 15~23 중량부와,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적정한 강도를 유지시키고 응집력을 향상시키는 스티렌 2~4 중량부와,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벽체와 벽지 간에 접착력과 응집력을 향상시키는 아크릴산 1~3 중량부와,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벽지 외에 콘크리트, 목재, MDF, 가죽, 고무, 합성수지 패널, 유리, 금속면과 벽지 간에 접착력과 응집력을 향상시키는 메타 아크릴산 1~3 중량부를 반응기에 투입 및 혼합하는 모노머 혼합단계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용매인 물은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2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할 경우 전체 농도가 높아져 스프레이 작업이 어렵게 되며, 65 중량부 이상 첨가할 경우 농도가 묽어 스프레이 작업은 용이하나 흘러내리는 현상이 발생되어 52~64 중량부 범위내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 아크릴레이트는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될 경우 유연성과 내수성이 저하되어 용매인 물과의 혼합이 용이하지 않으며, 16 중량부 이상 첨가할 경우 유연성과 내수성은 증대되나 전체 점도 상승의 요인이 되어 스프레이 작업이 어렵게 됨으로써 10~15 중량부 범위 내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틸 아크릴레이트는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할 경우 접착성, 내수성, 광택성이 저하되어 벽체와 벽지 간의 접착 증진재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으며,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24 중량부 이상 첨가할 경우 내수성, 광택성, 접착성은 높아지게 되나, 전체 점도 상승의 요인이 되어 스프레이 작업이 어렵게 됨으로써 15~23 중량부 범위 내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티렌은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할 경우 적정한 강도를 유지할 수 없고 응집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이상 첨가할 경우 점도 상승의 요인이 되어 스프레이 작업이 어렵게 됨으로써 2~4 중량부 범위내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산은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할 경우 벽체와 벽지 간에 접착력과 응집력이 저하되어 접착 증진재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으며,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4 중량부 이상 첨가될 경우 벽체와 벽지 간에 접착력과 응집력을 증대되나, 점도 상승의 요인이 되어 스프레이 작업이 어렵게 됨으로써 1~3 중량부 범위내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타 아크릴산은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할 경우 벽지 외에 콘크리트, 목재, MDF, 가죽, 고무, 합성수지 패널, 유리, 금속면과 벽지 간에 접착력과 응집력이 저하되어 접착 증진재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으며,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4 중량부 이상 첨가될 경우 접착력과 응집력은 상승되나, 원가 및 점도 상승의 요인이 되어 스프레이 작업이 어렵게 됨으로써 1~3 중량부 범위내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노머 균질화단계의 수행이 완료되면 반응기에 용매 및 모노머 성분 간에 빠르게 반응하도록 하는 친수성과 친유성을 가지며 유화제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계면활성제 1.5~5 중량부와,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첨가제 0.3~1 중량부를 반응기에 투입하여 고르게 혼합 및 균질화시키는 균질화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음이온형, 비이온형을 같이 사용하며 물에 모노머를 분산시켜 균일하게 혼합하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통상의 물질을 사용한 것으로서,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할 경우 용매인 물과 모노머 간의 친수성과 친유성이 저하되어 혼합 및 균질화가 어려우며,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6 중량부 이상 첨가될 경우 용매인 물과 모노머 간의 친수성과 친유성의 효과를 더 이상 기대할 수 없어 1.5~5 중량부 범위내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첨가제는 제품의 지속적인 물성 특성을 유지하게 도와주는 일반적인 안정제로서, 0.3~1 중량부 범위내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균질화단계의 수행이 완료되면 반응기의 온도를 70℃로 유지한 상태에서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촉매제인 과황산암모늄 0.5~1.5 중량부와,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완충제 0.3~1 중량부를 각각 반응기에 투입하고 혼합한 모노머를 촉매와 함께 180분 동안 적하시키는 반응단계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촉매제인 과황산암모늄은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할 경우 모노머 간에 반응이 원활하게 일어나지 않아 양호한 물성을 얻기 어려우며,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6 중량부 이상 첨가될 경우 과반응이 일어나게 되어 인해 오히려 물성 저하를 가져오는 요인이 됨으로써 0.5~1.5 중량부 범위내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충제는 전체 물성과 점도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1 중량부 범위내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단계가 완료되면 반응기의 온도를 72℃로 유지한 상태에서 약 90분 동안 숙성시키는 숙성단계를 수행한 다음, 상온에서 냉각하는 냉각단계를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벽체와 벽지 간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액상 접착 증진재의 제조과정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벽체와 벽지 간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액상 접착 증진재의 용매로 사용되는 물이 52~64중량부가 포함되어 있어 농도가 낮아 스프레이 방식으로 벽체에 도포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벽체와 벽지 간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액상 접착 증진재를 사용하여 벽체에 벽지를 부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술한 바와 같이 물,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스티렌, 아크릴산, 메타 아크릴산, 과황산암모늄, 계면활성제, 완충제를 포함하는 인체에 무해한 액상 접착 증진재를 스프레이에 충진한 후, 벽체에 분사 도포한다.
상기의 액상 접착 증진재는 벽체에 도포된 후, 일정한 시간이 경과되면 상온에서 용매인 물이 건조되어 모노머의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스티렌, 아크릴산, 메타 아크릴산의 혼합물에 의해 벽체에 견고하게 밀착 결합되어 접착되는 한편, 표면에는 끈적임의 접착력이 형성되며, 3~7일이 경과하여도 접착력은 그 상태로 유지될 뿐만 아니라, 벽체에 굴곡면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도 별도의 평탄화 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 후, 전술한 바와 같이 아파트와 같이 규격화된 실내의 경우 다른 장소에서 많은 량의 벽지를 적정한 길이로 절단하고, 그 절단된 벽지 이면에 풀을 도포한 후, 도배 장소로 이동한다.
그 다음, 본 발명의 액상 접착 증진재가 도포된 벽체에 풀이 도포된 벽지를 부착하게 되면 모노머의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스티렌, 아크릴산, 메타 아크릴산의 혼합물에 의한 접착력이 발생되어 전분 풀이 도포된 벽지 이면과의 매개체 역할을 하게 되어 결합력이 향상됨으로써 벽체와 벽지 간에 견고하게 부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상 접착 증진재가 벽체에 도포된 상태에서 이면에 전분 풀이 도포된 벽지를 부착하게 되면 상기 액상 접착 증진재와 전분풀이 서로 결합됨으로써 벽지가 벽체에 용이하게 부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벽지 이면에 도포된 전분풀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분이 증발되는 건조 현상이 발생될 경우에도 액상 접착 증진재에 의해 접착력이 향상됨으로써 도배가 쉽게 이루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간단한 스프레이 작업으로 벽체에 도포가 가능하고, 벽체가 평탄하지 못할 경우에도 별도의 평탄화 작업이 필요하지 않으며, 스프레이 작업으로 벽체에 도포한 후에도 3~7일이 경과하여도 접착력은 그대로 유지되어 시공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벽체의 종류 즉 콘크리트, 목재, MDF, 가죽, 고무, 합성수지 패널, 유리, 금속면에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의 액상 접착 증진재를 전분풀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에도 동일하게 벽체와 벽지 간의 접착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즉, 물 52~64 중량부와, 에틸 아크릴레이트 10~15 중량부와, 부틸 아크릴레이트 15~23 중량부와, 스티렌 2~4 중량부와, 아크릴산 1~3 중량부와, 메타 아크릴산 1~3 중량부와, 계면활성제 1.5~5 중량부와, 첨가제 0.3~1 중량부와, 과황산암모늄 0.5~1.5 중량부와, 완충제 0.3~1 중량부로 이루어진 액상 접착 증진재를 전분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20 중량부를 첨가 및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전분풀에 액상 접착 증진재를 혼합한 상태에서 벽지에 도포한 후, 장시간이 경과하여 수분이 증발할 경우에도 벽체와의 접착력은 그대로 유지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얻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액상 접착 증진재를 전분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 미만으로 첨가할 경우 접착 증진재의 기능을 할 수 없으며, 액상 접착 증진재를 전분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1 중량부 이상으로 첨가할 경우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되므로 5~20 중량부 범위 내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3)

  1. 물 52~64중량부와, 에틸 아크릴레이트 10~15중량부와, 부틸 아크릴레이트 15~23중량부와, 스티렌 2~4중량부와, 아크릴산 1~3중량부와, 메타 아크릴산 1~3중량부와, 계면활성제 1.5~5중량부와, 첨가제 0.3~1중량부와, 과황산암모늄 0.5~1.5중량부와, 완충제 0.3~1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와 벽지 간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액상 접착 증진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접착 증진재를 전분풀 100 중량부에 대하여 5~20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와 벽지 간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액상 접착 증진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접착 증진재를 스프레이 용기에 충진하여 벽체에 분사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와 벽지 간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액상 접착 증진재.
KR1020100082806A 2010-08-26 2010-08-26 벽체와 벽지 간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액상 접착 증진재 KR101142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806A KR101142392B1 (ko) 2010-08-26 2010-08-26 벽체와 벽지 간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액상 접착 증진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806A KR101142392B1 (ko) 2010-08-26 2010-08-26 벽체와 벽지 간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액상 접착 증진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555A true KR20120019555A (ko) 2012-03-07
KR101142392B1 KR101142392B1 (ko) 2012-05-07

Family

ID=46128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2806A KR101142392B1 (ko) 2010-08-26 2010-08-26 벽체와 벽지 간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액상 접착 증진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23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192B1 (ko) * 2013-06-11 2016-02-24 엔에프에스(주) 탄성을 갖는 기포 접착제의 조성물
KR102041901B1 (ko) * 2018-07-27 2019-11-12 주식회사 일원테크 덧씌우기 복합 방수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4479A (ko) * 1994-07-28 1996-02-23 김응태 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 점착식 메모지 제조를 위한 그의 용도 및 상기 조성물을 도포하여 만든 점착식 메모지
JP3793342B2 (ja) 1997-12-26 2006-07-05 ソニーケミカル株式会社 アクリル系エマルジョン、及び粘着テープ
JPH11333964A (ja) 1998-05-27 1999-12-07 Dynic Corp 裏面粘着性シート
JP5375095B2 (ja) 2006-08-31 2013-12-25 旭硝子株式会社 ペルフルオロカルボン酸塩の製造方法、ペルフルオロカルボン酸塩水溶液の製造方法、テトラフルオロエチレンの単独重合体または共重合体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2392B1 (ko) 2012-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1273728B2 (en) Arrangement for connecting planar components
RU2012103459A (ru) Дисперсии полиуретан-акриловых полимеров и их применения
KR101142392B1 (ko) 벽체와 벽지 간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액상 접착 증진재
US10066394B2 (en) Building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23115332A (ja) 水性被覆材
CN104262564A (zh) 一种抗菌塑胶地板
KR100882455B1 (ko) 황토 기저 위에 무늬목을 마감재로 부착하는 바닥재 시공 방법
JPWO2006070926A1 (ja) 左官材料
KR100850580B1 (ko) 환경 친화적 천연소재 무기질 혼합형 접착제 조성물
JP3421000B2 (ja) 塗布材とその施工法
BR112020013573A2 (pt) processo para a aplicação da primeira demão em superfícies de silicone
KR102173595B1 (ko) 가열형 에폭시를 이용한 속경형 아스팔트계 방수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262358B1 (ko) 색상이 다양한 메탈릭 파우더을 이용한 1액 형 수성타입 줄눈 코팅제
JP2016169568A (ja) 仕上げ材接着方法及び仕上げ材接着構造
JP4914015B2 (ja) 珪藻土用バインダ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珪藻土含有塗布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AU2021381074A9 (en) Starch as a primer for substrates
JP2001120485A (ja) クリーナー
JPH11279439A (ja) 珪酸ナトリウムを配合した表面塗膜材
JP2007231147A (ja) 鉱物粉塵飛散防止固定剤並びに処理方法
JP5083947B2 (ja) 珪素質無機多孔体に適用するための含浸シーラー剤
KR20000067114A (ko) 콘크리트 표면처리 및 도배용 조성물
KR100889955B1 (ko) 친환경 몰탈마감재
KR20050016865A (ko) 퍼라이트를 포함하는 유·무기 규산질계 침투성 방수재 및이를 이용한 방수층구조와 그 시공 방법
JPH01119578A (ja) モルタル材の施工方法
KR20060110691A (ko) 감압접착층을 구비한 마감재의 시공방법 및 그 시공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