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5843A -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조시스템 - Google Patents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5843A
KR20120015843A KR1020100078318A KR20100078318A KR20120015843A KR 20120015843 A KR20120015843 A KR 20120015843A KR 1020100078318 A KR1020100078318 A KR 1020100078318A KR 20100078318 A KR20100078318 A KR 20100078318A KR 20120015843 A KR20120015843 A KR 20120015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ne
compression chamber
compressor
expansion valve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8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8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5843A/ko
Priority to EP11166196A priority patent/EP2428641A2/en
Priority to US13/067,199 priority patent/US20120039735A1/en
Priority to CN2011101634941A priority patent/CN102374165A/zh
Publication of KR20120015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58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5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 F04C18/356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the inner and outer member being in contact along one line or continuous surface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 F04C18/356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the inner and outer member being in contact along one line or continuous surface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the surfaces of the inner and outer member, forming the working space, being surfaces of revol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MACHINES OR ENGINES
    • F01C2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1C1/00 - F01C20/00
    • F01C21/08Rotary pistons
    • F01C21/0809Construction of vanes or vane holders
    • F01C21/0818Vane tracking; control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MACHINES OR ENGINES
    • F01C2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1C1/00 - F01C20/00
    • F01C21/08Rotary pistons
    • F01C21/0809Construction of vanes or vane holders
    • F01C21/0818Vane tracking; control therefor
    • F01C21/0827Vane tracking; control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 F01C21/0845Vane tracking; control therefor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elastic means, e.g.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MACHINES OR ENGINES
    • F01C2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1C1/00 - F01C20/00
    • F01C21/08Rotary pistons
    • F01C21/0809Construction of vanes or vane holders
    • F01C21/0881Construction of vanes or vane holders the vanes consisting of two or mor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F25B1/04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with compressor of rotary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1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similar working princip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단순한 구성으로 회전압축기의 압축 용량을 변경할 수 있는 회전압축기 및 회전압축기를 포함하는 공조시스템을 개시한다.
이러한 회전압축기는 응축기, 압축기, 증발기 및 팽창밸브를 포함하는 공조시스템에 사용되는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압축실;과, 상기 압축실의 반경방향으로 진퇴하는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베인은 상기 팽창밸브가 열린 정도에 따라 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조시스템{VARIABLE CAPACITY ROTARY COMPRESSOR AND AIR CONDITIONING SYSTEM}
냉매의 압축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는 용량가변 회전압축기와 이를 갖춘 공조시스템이 개시된다.
회전압축기는 공조시스템에 적용되어 냉매의 압축을 위하여 사용되는 장치로써, 최근에는 다양한 냉동 부하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압축용량을 변경시킬 수 있는 용량가변 회전압축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용량가변 회전압축기는 일반적으로 두 개의 실린더 또는 압축실을 구비하게 되는데, 한 쪽의 실린더에서는 항상 냉매의 압축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고, 다른 한 쪽의 실린더에서는 선택적으로 냉매의 압축이 수행되거나 수행되지 않도록 기구적으로 제어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 때, 선택적으로 냉매의 압축이 수행되거나 수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실린더에 유입되는 냉매의 압력을 조절할 필요가 있고,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각종 밸브 및 유로 장치 등이 복잡하게 사용된다.
이와 같이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부가적으로 각종 밸브 및 유로 장치 등을 사용할 경우, 압축기 성능이 저하되고, 밸브 및 유로 장치를 압축기와 연결하기 위해 압축기 구조를 바꾸어야 하는 등의 문제가 있어, 좀 더 간편하게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단순한 구성으로 회전압축기의 압축 용량을 변경할 수 있는 회전압축기 및 회전압축기를 포함하는 공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냉매를 효율적으로 압축할 수 있는 회전압축기 및 회전압축기를 포함하는 공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압축기는 응축기, 압축기, 증발기 및 팽창밸브를 포함하는 공조시스템에 사용되는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압축실;과, 상기 압축실의 반경방향으로 진퇴하는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베인은 상기 팽창밸브가 열린 정도에 따라 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상기 베인의 후방 사이에는 상기 베인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힘을 가하는 풀링(pulling)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풀링(pulling)부재로는 자석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풀링(pulling)부재로는 탄성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팽창밸브로 유입되는 냉매를 우회시키기 위해 상기 팽창밸브와 병렬로 배치되는 바이패스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인은 서로 개별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풀링(pulling)부재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리된 베인 중 하나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압축기는 응축기, 압축기, 증발기 및 팽창밸브를 포함하는 공조시스템에 사용되는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제 1 압축실 및 제 2압축실;과, 상기 제 1 압축실의 반경방향으로 진퇴하는 제 1 베인 및 ;상기 제 2 압축실의 반경방향으로 진퇴하는 제 2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베인 또는 상기 제 2 베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팽창밸브가 열린 정도에 따라 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압축실은 상기 제 2 압축실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인 또는 상기 제 2 베인 중 어느 하나의 후방에는 상기 제 1 베인 또는 상기 제 2 베인 중 어느 하나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힘을 가하는 풀링(pulling)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풀링(pulling)부재로는 자석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풀링(pulling)부재로는 탄성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팽창밸브로 유입되는 냉매를 우회시키기 위해 상기 팽창밸브와 병렬로 배치되는 바이패스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인 또는 상기 제 2 베인 중 어느 하나는 서로 개별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압축기는 응축기, 압축기, 증발기 및 팽창밸브를 포함하는 공조시스템에 사용되는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하우징;과, 상대적으로 저압의 냉매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는 저압관; 및 상대적으로 고압의 냉매가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는 고압관;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제 1 압축실 및 제 2압축실;과, 상기 제 1 압축실의 반경방향으로 진퇴하는 제 1 베인 및 상기 제 2 압축실의 반경방향으로 진퇴하는 제 2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베인 또는 상기 제 2 베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저압관으로 유입되는 냉매의 압력과 상기 고압관으로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차에 의해 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팽창밸브의 열린 정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저압관으로 유입되는 냉매의 압력과 상기 고압관으로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차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팽창밸브로 유입되는 냉매를 우회시키기 위해 상기 팽창밸브와 병렬로 배치되는 바이패스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인 또는 상기 제 2 베인 중 어느 하나의 후방에는 상기 제 1 베인 또는 상기 제 2 베인 중 어느 하나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힘을 가하는 풀링(pulling)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인 또는 상기 제 2 베인 중 어느 하나는 서로 개별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조시스템은 응축기, 압축기, 증발기 및 팽창밸브를 포함하는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하우징;과, 상대적으로 저압의 냉매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는 저압관;과, 상대적으로 고압의 냉매가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는 고압관;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제 1 압축실 및 제 2압축실;과, 상기 제 1 압축실의 반경방향으로 진퇴하는 제 1 베인 및 상기 제 2 압축실의 반경방향으로 진퇴하는 제 2 베인을 포함하고,상기 팽창밸브의 열린 정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저압관으로 유입되는 냉매의 압력과 상기 고압관으로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차를 조절하여, 상기 제 1 베인 또는 상기 제 2 베인 중 어느 하나를 진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특히 저부하 영역에서 압축기의 압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재료비가 절감되므로 용량가변 회전압축기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용량가변 회전압축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용량가변 회전압축기의 제 1 압축실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용량가변 회전압축기의 제 2 압축실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용량가변 회전압축기를 사용하여 구성한 공조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5는 도 4에 바이패스밸브를 부가한 공조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공조시스템의 엔탈피-압력선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용량가변 회전압축기에 장착되는 베인이 분리되어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용량가변 회전압축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용량가변 회전압축기의 제 1 압축실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용량가변 회전압축기의 제 2 압축실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용량가변 회전압축기(100)는 공조시스템에 적용되어 냉매를 압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장치로써,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의 내부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장치(20)와, 구동장치(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장치(30)를 포함하며, 하우징(10)의 일측에는 공조시스템의 구성요소인 증발기(미도시)에서 미처 증발되지 못하고 액체 상태로 전달된 냉매가 기화된 후 압축장치(3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어큐뮬레이터(40)가 설치된다.
구동장치(20)는 하우징(10)의 내면에 고정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고정자(21)와, 고정자(2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자(22)와, 일단은 회전자(22)에 고정되고 타단은 압축장치(30)에 설치되어 구동장치(20)에서 발생한 회전력을 압축장치(30)에 전달하는 회전축(23)을 포함한다.
압축장치(30)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이 이루어지는 제 1 압축실(31a) 및 제 2 압축실(32a)이 각각 마련되어 있는 제 1 실린더(31) 및 제 2 실린더(32)와, 제 1 압축실(31a)의 상부와 제 2 압축실(32a)의 하부를 폐쇄함과 동시에 회전축(2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플랜지(33) 및 제 2 플랜지(34)와, 제 1 실린더(31) 및 제 2 실린더(32) 사이에 배치되어 제 1 압축실(31a)과 제 2 압축실(32a)을 구획하는 중간 플레이트(35)를 포함한다.
제 1 압축실(31a) 및 제 2 압축실(32a) 내에는 회전축(23)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편심 회전하며 냉매를 압축하는 제 1 롤러(36) 및 제 2 롤러(37)가 배치되고, 제 1 롤러(36) 및 제 2 롤러(37)가 제 1 압축실(31a) 및 제 2 압축실(32a) 내에서 편심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축(23)에는 회전축(23)의 회전중심에 대하여 편심되도록 형성된 제 1 편심부(23a)와 제 2 편심부(23b)가 마련되어 제 1 편심부(23a)의 외측에 제 1 롤러(36)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2 편심부(23b)의 외측에 제 2 롤러(37)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하우징(10)의 상측에는 내부에서 압축된 냉매가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토출관(11)이 설치되어 있으며, 하우징(10)의 하부 일측에는 제 1 압축실(31a) 및 제 2 압축실(32a)에서 압축될 냉매가 각각 흡입되는 제 1 흡입관(12) 및 제 2 흡입관(13)이 설치된다.
제 1 실린더(31) 및 제 2 실린더(32)에는 제 1 흡입관(12) 및 제 2 흡입관(13)이 각각 연결되어 제 1 흡입관(12) 및 제 2 흡입관(13)을 통해 전달된 냉매가 제 1 압축실(31a)및 제 2 압축실(32a)로 흡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 흡입구(31b) 및 제 2 흡입구(32b)가 각각 마련된다.
이 때, 토출관(11)을 통해 토출되는 냉매는 제 1 흡입관(12) 및 제 2 흡입관(13)을 통해 유입되는 냉매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압이므로, 토출관(11)은 고압관의 역할을 하게 되고, 제 1 흡입관(12) 및 제 2 흡입관(13)은 저압관의 역할을 하게 된다.
제 1 플랜지(33) 및 제 2 플랜지(34)에는 제 1 압축실(31a)과 제 2 압축실(32a)에서 압축된 냉매가 하우징(10)의 내부 공간으로 각각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 토출구(33a) 및 제 2 토출구(34a)가 마련된다.
제 1 압축실(31a)에는 제 1 압축실(31a)의 내부가 냉매의 압축이 이루어지는 부위와 냉매의 흡입이 이루어지는 부위로 각각 구획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선단이 제 1 롤러(36)에 지지되며 제 1 롤러(36)의 반경방향으로 진퇴 이동하며 제 1 압축실(31a)을 구획하는 제 1 베인(38)이 설치된다.
제 2 압축실(32a)에는 제 2 압축실(32a)의 내부가 냉매의 압축이 이루어지는 부위와 냉매의 흡입이 이루어지는 부위로 각각 구획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선단이 제 2 롤러(37)에 지지되도록 탄성부재(39a)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제 2 롤러(37)의 반경방향으로 진퇴 이동하며 제 2 압축실(32a)을 구획하는 제 2 베인(39)이 설치된다.
또한, 제 1 실린더(31) 및 제 2 실린더(32)에는 제 1 가이드홈(31c)과 제 2 가이드홈(32c)이 마련되어 있어, 제 1베인(38) 및 제 2 베인(39)이 각각 제 1 가이드홈(31c)과 제 2 가이드홈(32c) 따라 진퇴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용량가변 회전압축기(100)의 냉매 압축용량의 변경은 제 1 베인(38)의 진퇴운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팽창밸브(300)를 제어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용량가변 회전압축기(100)의 냉매 압축용량을 변경시키는 구조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용량가변 회전압축기를 사용하여 구성한 공조시스템의 구조도이고, 도 5는 도 4에 바이패스밸브를 부가한 공조시스템의 구조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공조시스템의 엔탈피-압력선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에 따른 공조시스템은 용량가변 회전압축기(100), 응축기(200), 팽창밸브(300), 증발기(400)로 구성된다.
응축기(200)는 회전압축기(100)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기체냉매를 주위의 공기나 냉각수와 열교환시켜 기체냉매의 열을 방출시킴으로써 고온, 고압의 액체냉매로 응축 액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팽창밸브(300)는 응축기에서 액화된 고온, 고압의 액체냉매를 팽창시켜 저온, 저압의 냉매로 변환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증발기(400)는 팽창밸브(300)를 지난 저온, 저압의 액체냉매를 저온, 저압의 기체냉매로 변환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회전압축기(100)는 공조시스템에서 냉매를 순환시키는 펌프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써, 증발기에서 증발한 저온저압의 기체냉매를 흡입하여 응축기에서 액화할 수 있도록 응축온도에 해당되는 포화압력까지 압력을 증대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량가변 회전압축기(100)의 냉매 압축용량의 변경은 제 1 베인(38)의 진퇴운동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제 1 베인(38)의 진퇴운동은 제 1 베인(38) 후방측과 제 1 흡입관(12)을 통해 제 1 압축실(31a)로 유입되는 냉매와의 압력 차이에 의해 결정된다. 이 때, 제 1 베인(38) 후방측에 마련된 후방측 공간부(53)는 토출관(11)과 연통되므로 토출관(11)을 통해 토출되는 압축 냉매의 압력과 동일하다.
제 1 베인(38) 후방측의 압력이 제 1 베인(38) 전방측 즉, 제 1 압축실(31a) 내부의 냉매에 의한 압력보다 더 크면, 제 1 베인(38)이 제 1 압축실(31a) 내로 전진하여 제 1 베인(38)의 선단이 제 1 롤러(36)에 지지되므로, 제 1 압축실(31a) 내부가 제 1 베인(38)에 의해 냉매가 흡입되는 부분과 냉매가 압축되는 부분으로 구획되어 제 1 압축실(31a)에서는 냉매의 압축이 수행된다.
제 1 압축실(31a) 내부의 냉매에 의한 압력이 제 1 베인(38) 후방측의 압력과 비슷하거나, 더 크면, 제 1 베인(38)이 제 1 압축실(31a)로부터 후진하여 제 1 베인(38)의 선단이 제 1 롤러(36)와 이격되므로, 제 1 압축실(31a) 내부가 구획되지 못하고 연통되어 제 1 압축실(31a)에 위치한 제 1 롤러(36)가 공회전하게 되므로 냉매의 압축이 수행되지 않는다.
이 때, 제 2 압축실(32a)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 2 베인(39)은 그 후방이 탄성부재(39a)에 의해 탄성 지지되므로, 제 2 베인(39)의 선단이 제 2 롤러(37)와 맞닿은 상태에서 제 2 롤러(37)의 회전에 따라 제 2 압축실(32a)의 반경방향으로 진퇴 이동하며 제 2 압축실(32a)을 냉매의 압축이 이루어지는 부분과 냉매의 흡입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각각 구획하게 되므로, 항상 냉매가 압축된다.
이와 같이, 제 2 압축실(32a)로 유입되는 냉매는 항상 압축된 상태에서 토출되고, 제 1 압축실(31a)로 유입되는 냉매는 제 1 베인(38)의 진퇴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압축되므로, 제 1 압축실(31a)로 유입되는 냉매가 압축되는지 여부에 따라 용량가변 회전압축기(100)의 냉매의 압축용량이 변하게 된다.
한 편 제 1 베인(38)은 제 1 베인(38) 후방측의 압력 즉, 토출관(11)을 통해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과 제 1 베인(38) 전방측의 압력 즉, 제 1 압축실(31a) 내부의 냉매에 의한 압력과의 차이에 의해 진퇴운동을 하게 되는데, 제 1 베인(38)의 전방측과 후방측의 압력 차이는 팽창밸브(300)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이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엔탈피-압력선도와 같이, 회전압축기(100)에서 압축된 냉매는 압력이 증가하여 최고압력(Pd)에 이르게 되고(101), 응축기(200)를 지나면서 주위에 열을 빼앗겨 액화되며(201), 액화된 냉매는 팽창밸브(300)를 지나면서 팽창되어 압력이 하강하여 최저압력(Ps)에 이르게 되고(301), 증발기(400)를 지나면서 기체로 변하여(401) 다시 회전압축기(100)로 유입된다.
팽창밸브(300)는 넓은 유로를 따라 흐르는 물질이 좁은 유로를 만나게 되면 속도가 빨라지면서 압력이 하강하게 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써, 공조시스템에서는 냉매가 흐르는 유로보다 그 단면적을 좁게 하여 냉매의 압력을 하강시키게 된다.
또한, 팽창밸브(300)는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마련되며, 그 열린 정도에 따라 냉매가 통과하는 부분의 단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팽창밸브(300)의 열린 정도를 충분히 작게 한 경우에는 압력이 하강하는 정도가 커지게 되어 최고압력(Pd)과 최저압력(Ps) 간의 차이가 커지게 되고, 팽창밸브(300)의 열린 정도를 충분히 크게 한 경우에는 압력이 하강하는 정도가 작아지게 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탈피-압력선도가 화살표 방향이동 하게 되므로, 최고압력(Pd)과 최저압력(Ps) 간의 차이가 작아지게 된다.
이 때, 실질적으로 최고압력(Pd)은 회전압축기(100)에서 토출된 냉매의 압력과 동일하고, 최저압력(Ps)은 회전압축기(100)로 유입되는 냉매의 압력과 동일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압축기(100)에서 토출된 냉매의 압력은 토출관(11)을 통해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과 동일하고, 토출관(11)을 통해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은 제 1 베인(38)의 후방측에 작용하는 압력과 동일하므로 제 1 베인(38)의 후방측에 작용하는 압력은 최고압력(Pd)과 동일하게 된다.
또한, 회전압축기(100)로 유입되는 냉매의 압력(Ps)은 제 1 압축실(31a)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의 압력과 동일하므로 제 1 베인(38)의 전방측에 작용하는 압력은 최저압력(Ps)와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팽창밸브(300)의 열린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제 1 베인(38)의 전, 후방측의 압력 차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팽창밸브(300)의 열린 정도를 작게 할 경우, 최고압력(Pd)과 최저압력(Ps) 간의 차이 즉, 제 1 베인(38)의 후방에 작용하는 압력과 제 1 베인(38)의 전방에 작용하는 압력과의 차이가 커지게 된다. 이 경우, 제 1 베인(38)이 제 1 압축실(31a) 내로 전진하여 제 1 베인(38)의 선단이 제 1 롤러(36)에 지지되므로, 제 1 압축실(31a) 내부가 제 1 베인(38)에 의해 냉매가 흡입되는 부분과 냉매가 압축되는 부분으로 구획되어 제 1 압축실(31a)에서는 냉매의 압축이 수행된다.
팽창밸브(300)의 열린 정도를 크게 할 경우, 최고압력(Pd)과 최저압력(Ps) 간의 차이 즉, 제 1 베인(38)의 전방에 작용하는 압력과 제 1 베인(38)의 후방에 작용하는 압력과의 차이가 크지 않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내주면과 제 1베인(38)의 후방 사이에는 제 1 베인(38)을 후방으로 후퇴시키기 위해 힘을 가하는 풀링(Pulling)부재(63)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 1 베인(38)의 전방에 작용하는 압력과 제 1 베인(38)의 후방에 작용하는 압력과의 차이보다 풀링(Pulling)부재(63)가 제 1 베인(38)에 가하는 힘이 더 크게 되면, 제 1 베인(38)은 제 1 압축실(31a)로부터 후진하여 제 1 베인(38)의 선단이 제 1 롤러(36)와 이격되므로, 제 1 압축실(31a) 내부가 구획되지 못하고 연통되어 제 1 압축실(31a)에 위치한 제 1 롤러(36)가 공회전하게 되므로 냉매의 압축이 수행되지 않는다.
제 1 베인(38)을 후방으로 후퇴시키기 위해 힘을 가하는 풀링(Pulling)부재(63)로는 자석, 인장스프링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팽창밸브(30)와 병렬로 바이패스밸브(500)를 추가하는 구성을 통해서도 얻을 수 있다.
즉, 바이패스밸브(500)를 팽창밸브(30)와 병렬로 연결함으로써 팽창밸브(30)로 유입되는 냉매를 바이패스밸브(500)를 지나도록 우회시켜 제 1 베인(38)의 전방에 작용하는 압력과 제 1 베인(38)의 후방에 작용하는 압력과의 차이를 줄임으로써, 제 1 베인(38)이 제 1 롤러(36)와 이격되게 하여 회전압축기(100)의 용량을 변경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용량가변 회전압축기에 장착되는 베인이 분리되어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베인(38)은 상부측 제 1 베인(38a)과 하부측 제 1 베인(38b)으로 분리될 수 있고, 풀링(Pulling)부재(63)는 상부측 제 1 베인(38a)의 후방에만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부측 제 1 베인(38a)은 하부측 제 1 베인(38b)과 분리된 상태에서 별개로 진퇴운동을 하게 된다.
팽창밸브(300)의 열린 정도를 크게 하여 최고압력(Pd)과 최저압력(Ps) 간의 차이 즉, 제 1 베인(38)의 전방에 작용하는 압력과 제 1 베인(38)의 후방에 작용하는 압력을 작게 만들면, 상부측 제 1 베인(38a)의 후방에 마련된 풀링(Pulling)부재(63)에 의해 상부측 제 1 베인(38a)만 후방으로 후퇴하게 된다.
상부측 제 1 베인(38a)만 후방으로 후퇴하게 되더라도, 제 1 압축실(31a) 내부가 연통되는 효과는 동일하므로 제 1 압축실(31a)에 위치한 제 1 롤러(36)가 공회전하게 되어 냉매의 압축이 수행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 1 베인(38)을 상부측 제 1 베인(38a)과 하부측 제 1 베인(38b)으로 분리하여 상부측 제 1 베인(38a)만을 진퇴운동시키게 함으로써, 회전압축기(100)의 용량을 더욱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 편, 제 1 압축실(31a) 및 제 2 압축실(32a)은 동일한 용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용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압축실(31a) 및 제 2 압축실(32a)은 동일한 용적을 갖는다면 제1 압축실(31a)에서 냉매의 압축이 수행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용량가변 회전압축기는 전체 압축용량의 100% 용량으로 동작하며, 제 1 압축실(31a)에서 공회전이 수행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용량가변 회전압축기는 대략 50% 용량으로 동작한다.
제 1 압축실(31a) 및 제 2 압축실(32a)은 동일한 용적을 갖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제 1 압축실(31a)의 용적이 제 2 압축실(32a)의 용적의 두 배일 경우에는 제1 압축실(31a)에서 냉매의 압축이 수행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용량가변 회전압축기(100)는 전체 압축용량의 100% 용량으로 동작하며, 제 1 압축실(31a)에서 공회전이 수행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용량가변 회전압축기(100)는 대략 33% 용량으로 동작한다.
10: 하우징, 11: 토출관,
12: 제 1 흡입관, 13: 제 2 흡입관,
30: 압축장치, 31: 제 1 실린더,
31a: 제 1 압축실, 31b: 제 1 흡입구,
32: 제 2 실린더 , 32a: 제 2 압축실,
32b: 제 2 흡입구, 36: 제 1 롤러,
37: 제 2 롤러, 38: 제 1 베인,
39: 제 2 베인, 40: 어큐뮬레이터,
53: 후방측 공간부, 100: 회전압축기,
200: 응축기, 300: 팽창밸브,
400: 증발기, 500: 바이패스밸브.

Claims (20)

  1. 응축기, 압축기, 증발기 및 팽창밸브를 포함하는 공조시스템에 사용되는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압축실;과,
    상기 압축실의 반경방향으로 진퇴하는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베인은 상기 팽창밸브가 열린 정도에 따라 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상기 베인의 후방 사이에는 상기 베인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힘을 가하는 풀링(pulling)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풀링(pulling)부재는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풀링(pulling)부재는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밸브로 유입되는 냉매를 우회시키기 위해 상기 팽창밸브와 병렬로 배치되는 바이패스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은 서로 개별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풀링(pulling)부재는 상기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리된 베인 중 하나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8. 응축기, 압축기, 증발기 및 팽창밸브를 포함하는 공조시스템에 사용되는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제 1 압축실 및 제 2압축실;과,
    상기 제 1 압축실의 반경방향으로 진퇴하는 제 1 베인 및 ;상기 제 2 압축실의 반경방향으로 진퇴하는 제 2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베인 또는 상기 제 2 베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팽창밸브가 열린 정도에 따라 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압축실은 상기 제 2 압축실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인 또는 상기 제 2 베인 중 어느 하나의 후방에는 상기 제 1 베인 또는 상기 제 2 베인 중 어느 하나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힘을 가하는 풀링(pulling)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풀링(pulling)부재는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풀링(pulling)부재는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밸브로 유입되는 냉매를 우회시키기 위해 상기 팽창밸브와 병렬로 배치되는 바이패스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인 또는 상기 제 2 베인 중 어느 하나는 서로 개별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5. 응축기, 압축기, 증발기 및 팽창밸브를 포함하는 공조시스템에 사용되는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하우징;과,
    상대적으로 저압의 냉매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는 저압관; 및 상대적으로 고압의 냉매가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는 고압관;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제 1 압축실 및 제 2압축실;과,
    상기 제 1 압축실의 반경방향으로 진퇴하는 제 1 베인 및 상기 제 2 압축실의 반경방향으로 진퇴하는 제 2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베인 또는 상기 제 2 베인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저압관으로 유입되는 냉매의 압력과 상기 고압관으로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차에 의해 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밸브의 열린 정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저압관으로 유입되는 냉매의 압력과 상기 고압관으로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차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밸브로 유입되는 냉매를 우회시키기 위해 상기 팽창밸브와 병렬로 배치되는 바이패스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인 또는 상기 제 2 베인 중 어느 하나의 후방에는 상기 제 1 베인 또는 상기 제 2 베인 중 어느 하나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힘을 가하는 풀링(pulling)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인 또는 상기 제 2 베인 중 어느 하나는 서로 개별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20. 응축기, 압축기, 증발기 및 팽창밸브를 포함하는 공조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하우징;과, 상대적으로 저압의 냉매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는 저압관;과, 상대적으로 고압의 냉매가 토출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는 고압관;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제 1 압축실 및 제 2압축실;과, 상기 제 1 압축실의 반경방향으로 진퇴하는 제 1 베인 및 상기 제 2 압축실의 반경방향으로 진퇴하는 제 2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팽창밸브의 열린 정도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저압관으로 유입되는 냉매의 압력과 상기 고압관으로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차를 조절하여, 상기 제 1 베인 또는 상기 제 2 베인 중 어느 하나를 진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시스템.
KR1020100078318A 2010-08-13 2010-08-13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조시스템 KR2012001584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318A KR20120015843A (ko) 2010-08-13 2010-08-13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조시스템
EP11166196A EP2428641A2 (en) 2010-08-13 2011-05-16 Variable capacity rotary compressor and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the same
US13/067,199 US20120039735A1 (en) 2010-08-13 2011-05-16 Variable capacity rotary compressor and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the same
CN2011101634941A CN102374165A (zh) 2010-08-13 2011-06-17 可变容量旋转压缩机和具有该压缩机的空调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318A KR20120015843A (ko) 2010-08-13 2010-08-13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843A true KR20120015843A (ko) 2012-02-22

Family

ID=45529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8318A KR20120015843A (ko) 2010-08-13 2010-08-13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조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20039735A1 (ko)
EP (1) EP2428641A2 (ko)
KR (1) KR20120015843A (ko)
CN (1) CN10237416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85012A (zh) * 2016-01-11 2016-04-13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旋转压缩机及其变容控制方法
KR20180123015A (ko) * 2016-01-21 2018-11-14 그리 그린 리프리저레이션 테크놀로지 센터 컴퍼니 리미티드 오브 주하이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한 냉각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71366B1 (en) * 2012-07-09 2016-09-0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Rotary compressor
JP5810221B2 (ja) * 2012-08-09 2015-11-11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回転式圧縮機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JP2016106194A (ja) * 2013-03-27 2016-06-16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多気筒回転圧縮機と冷凍サイクル装置
US9879676B2 (en) 2013-04-26 2018-01-3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Multi-cylinder rotary compressor and vapor compression refrigeration cycle system including the multi-cylinder rotary compressor
WO2015163257A1 (ja) * 2014-04-25 2015-10-29 三菱電機株式会社 ロータリ式圧縮機、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ヒートポンプ装置
CN108894987B (zh) * 2018-07-27 2024-07-09 珠海凌达压缩机有限公司 一种变容转子压缩机以及调温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86454A (en) * 1948-06-30 1952-02-19 Svenska Turbinfab Ab Refrigerating machine or heat pump unit of the multiple compression type
JPS57212393A (en) * 1981-06-22 1982-12-27 Mitsubishi Heavy Ind Ltd Rotary compressor
JP4343627B2 (ja) * 2003-03-18 2009-10-14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ロータリ式密閉形圧縮機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85012A (zh) * 2016-01-11 2016-04-13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一种旋转压缩机及其变容控制方法
KR20180123015A (ko) * 2016-01-21 2018-11-14 그리 그린 리프리저레이션 테크놀로지 센터 컴퍼니 리미티드 오브 주하이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한 냉각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28641A2 (en) 2012-03-14
US20120039735A1 (en) 2012-02-16
CN102374165A (zh) 2012-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15843A (ko)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공조시스템
JP5631398B2 (ja) ロータリ圧縮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US20110179822A1 (en) Refrigerating apparatus
US8419395B2 (en) Compressor and refrigeration apparatus
KR100747496B1 (ko) 로터리 압축기 및 그 제어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공기조화기
US9556868B2 (en) Compressor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KR20070057264A (ko) 용적형 팽창기
JP2009235985A (ja) 多気筒回転式圧縮機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CN203248363U (zh) 双模压缩泵体及使用该压缩泵体的双缸压缩机
KR20090099771A (ko) 용량가변 회전압축기 및 이를 갖춘 공조사이클
US10502210B2 (en) Variable-capacity compressor and refrigeration device having same
JP6408698B2 (ja) 回転式圧縮機及びこれを備える冷凍サイクル装置
KR100620044B1 (ko) 로터리 압축기의 용량 가변 장치
JP2012093017A (ja) 冷凍サイクル装置
KR20040002533A (ko) 익스프레서 용량 제어
KR100724452B1 (ko)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
US20110100025A1 (en) Fluid machine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JP2007085311A (ja) 膨張機
JP2012107568A (ja) ロータリ圧縮機及び冷凍サイクル装置
EP2716999A1 (en) Refrigeration cycle device
KR100621025B1 (ko) 로터리 압축기의 용량 가변 장치
KR100621026B1 (ko) 로터리 압축기의 용량 가변 장치
KR101194608B1 (ko)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
KR20140131744A (ko) 로터리 압축기
JP2007127052A (ja) 膨張機とその膨張機を用いた冷凍サイク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