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5494A - 현상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현상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5494A
KR20120015494A KR1020100077634A KR20100077634A KR20120015494A KR 20120015494 A KR20120015494 A KR 20120015494A KR 1020100077634 A KR1020100077634 A KR 1020100077634A KR 20100077634 A KR20100077634 A KR 20100077634A KR 20120015494 A KR20120015494 A KR 20120015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ecording medium
developing cartridge
terminals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7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7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5494A/ko
Priority to US13/206,685 priority patent/US8737863B2/en
Publication of KR20120015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54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7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lifetime of the cartridge
    • G03G21/1878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 G03G21/1882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details of the communication with memory, e.g.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s
    • G03G21/1885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details of the communication with memory, e.g.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s position of the memory; memory housings;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현상카트리지 및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메모리유닛을 가지는 현상카트리지를 착탈가능한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실시예 중 일부는, 현상카트리지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는 경우, 기록매체 이송경로를 대면하고, 화상형성장치의 하부에 배치된 기판의 연결유닛과 접촉하는 메모리유닛을 가지는 현상카트리지와,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메모리유닛, 화상형성장치의 하부에 배치되는 기판 및 메모리유닛과 기판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현상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DEVELOPING CARTRIDGE AND IMAGE FORI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아래 실시예들은 메모리유닛을 가지는 현상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화상데이터를 출력하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및 복합기(Multi Function Peripheral: MFP) 등과 같이 다양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합기는 복사, 인쇄, 스캔, 팩스 송/수신, 이메일송신, 또는 파일송신 중 복수 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현상제를 저장하는 현상카트리지는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화상데이터를 기록매체에 출력할 때, 현상제가 소모되므로 현상제를 저장하는 현상카트리지는 주기적으로 교체될 수 있다.
현상카트리지는 제조사명, 현상제색상, 현상제용량, 현상제잔량 등을 포함하는 정보인 현상카트리지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는 메모리유닛은 현상카트리지의 하우징 표면에 노출된다.
노출된 메모리유닛은 복수의 단자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의 본체 측에 마련된 보조기판의 연결접점과 연결된다.
보조기판에 설치된 연결접점은 전기 또는 신호가 전달되는 배선(Harness)을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를 제어하는 기판과 연결된다.
메모리유닛의 노출위치, 기판과 보조 기판의 연결접점간의 배선구조, 또는 기판의 설치위치에 대응되는 화상형성장치 내부의 설치공간이 필요하며, 설치공간에 대응되게 화상형성장치의 크기(가로×세로×높이)는 영향을 받게 된다.
예시적 일실시예에 따른 현상카트리지는, 기록매체 이송경로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에 착탈가능한 현상카트리지에 있어서, 조사된 레이저광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 상기 감광매체를 대전하는 대전유닛, 상기 감광매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상기 정전잠상에 대응되는 가시화상이 형성되게 하는 현상제이송부재, 상기 감광매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이 기록매체에 전사된 후, 상기 감광매체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유닛, 및, 현상카트리지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될 때,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하부에 배치된 기판의 연결유닛에 접촉하는 복수의 단자들을 가지는 메모리유닛을 포함한다.
예시적 실시예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현상제이송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유닛은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될 때, 상기 회전축의 하부에서 상기 연결유닛과 접촉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의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유닛은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장착방향에 대해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후단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의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될 때 상기 메모리유닛의 상기 복수의 단자들은 상기 기록매체 이송경로에 대면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의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유닛은 상기 기록매체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기록매체의 폭의 바깥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의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감광매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감광매체의 표면의 일부가 상기 카트리지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감광매체의 축방향에 따라 형성되는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유닛의 상기 복수의 단자들은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장착방향에 대해 상기 개구부의 측방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의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기록매체 이송경로를 따라 지그재그 또는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의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자의 길이가 다른 단자의 길이와 상이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광주사유닛, 현상카트리지의 장착을 위한 가이드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내부에 형성되는 기록매체 이송경로를 따라 상기 기록매체를 이송하는 기록매체이송유닛, 상기 가이드를 통해 상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고, 상기 광주사유닛에서 조사된 레이저광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 상기 감광매체를 대전하는 대전유닛; 상기 감광매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상기 정전잠상에 대응되는 가시화상이 형성되게 하는 현상제이송부재, 상기 감광매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이 기록매체에 전사된 후, 상기 감광매체에 잔류하는 상기 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유닛, 및, 현상카트리지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기록매체 이송경로에 대면하는 복수의 단자들을 구비하는 메모리유닛을 포함하는 현상카트리지, 및, 컨트롤러와 상기 복수의 단자에 접촉되는 연결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유닛이 상기 메모리유닛의 상기 복수의 단자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기판을 포함한다.
예시적 실시예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현상제이송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회전축의 하부에서 상기 복수의 단자들과 접촉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의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기록매체의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기록매체의 폭(Width)의 바깥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단자들과 접촉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의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복수의 단자들에 접촉되게 상방으로 돌출되는 연결부재들, 및, 상기 연결부재들 중 대응되는 접속부재를 탄성지지하고 상기 기판에 연결되는 지지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의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복수의 단자들과 탄성 접촉되도록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기판에 연결되는 접속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의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접속부재는 상기 단자의 표면에 대해 70~110도의 각도로 접촉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의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단자들과 접촉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의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재들은 상기 기록매체 이송경로를 따라 지그재그 또는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의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상기 연결유닛과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된 현상카트리지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의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기판의 상기 연결유닛과 접촉되는 상기 복수의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카트리지는 기록매체 이송경로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에 착탈가능한 현상제카트리지에 있어서, 그 내부에 현상제를 저장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될 때 상기 기록매체 이송경로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일측벽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현상제를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현상제이송부재, 및, 현상카트리지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현상제카트리지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될 때 상기 기록매체 이송경로의 하부에 배치되는 기판의 연결유닛에 접촉되도록 상기 일측벽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복수의 단자들을 가지는 메모리유닛을 포함한다.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 다른 일측에 따르면, 상기 현상제카트리지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될 때, 상기 메모리유닛의 상기 복수의 단자는 상기 기록매체 이송경로에 대면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광주사유닛, 현상카트리지의 착탈을 위한 가이드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내부에 형성되는 기록매체 이송경로를 따라 상기 기록매체를 이송하는 기록매체이송유닛, 상기 광주사유닛에서 조사된 레이저광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 상기 가이드를 통해 상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고, 그 내부에 현상제를 저장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기록매체 이송경로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일측벽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현상제를 상기 감광매체로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현상제이송부재, 및, 현상카트리지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일측벽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복수의 단자들을 구비하는 메모리유닛을 포함하는 현상제카트리지, 및, 컨트롤러와 상기 현상제카트리지의 상기 복수의 단자들에 접촉되는 연결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현상제카트리지가 상기 가이드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연결유닛이 상기 복수의 단자들의 하부에서 접촉되도록 상기 기록매체 이송경로의 하부에 배치되는 기판을 포함한다.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현상제카트리지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될 때, 상기 메모리유닛의 상기 복수의 단자들은 상기 기록매체 이송경로에 대면되게 배치되고, 상기 연결유닛은 이송경로에 대면하는 상기 복수의 단자들과 접촉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될 때, 감광매체를 가지고, 기록매체 이송경로에 대면하는 복수의 단자들을 가지는 메모리유닛을 가지는 현상카트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될 때, 내부에 현상제를 저장하는 하우징을 가지고, 기록매체 이송경로에 대면하는 복수의 단자를 가지는 메모리유닛을 가지는 현상제카트리지를 제공할 수 있다.
감광매체를 가지고, 화상형성장치 하부에 배치되는 기판의 연결유닛과 접촉되는 복수의 단자를 가지는 메모리유닛을 가지는 현상카트리지를 착탈가능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내부에 현상제를 저장하는 하우징을 가지고, 화상형성장치 하부에 배치되는 기판의 연결유닛과 접촉되는 복수의 단자를 가지는 현상제카트리지를 착탈가능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 일실시예에 따른 현상카트리지를 장착한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예시적 실시예의 일측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현상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예시적 실시예의 일측에 따른 현상카트리지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4는 예시적 실시예의 일측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와 현상카트리지를 도시한 결합도이다.
도 5는 예시적 실시예의 일측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연결유닛과 현상카트리지의 메모리유닛을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예시적 실시예의 일측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연결유닛을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7은 예시적 실시예의 일측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연결유닛과 현상카트리지의 메모리유닛의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예시적 실시예의 일측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기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예시적 실시예의 일측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0은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현상카트리지와 현상제카트리지를 장착한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예시적 일실시예에 따른 현상카트리지를 장착한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0)는 본체(110), 광주사유닛(111), 급지트레이(112), 급지유닛(113), 전사유닛(114), 정착유닛(115), 배지유닛(116), 연결유닛(117), 기판(118), 가이드(119) 및 현상카트리지(120)를 포함한다.
현상카트리지(120)는 감광매체(121), 대전유닛(122), 현상유닛(123), 클리닝유닛(124), 메모리유닛(125), 광경로(126), 하우징(127) 및 손잡이(128)을 포함한다.
현상카트리지(12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본체(1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체(110)는 현상카트리지(120)의 착탈시에 현상카트리지(120)를 안내하는 가이드(119)를 구비한다.
외부 장치(도 9참조, 10, 20)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조작유닛(도 9참조, 160)의 출력신호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된 현상카트리지(120)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감광층을 가지는 감광매체(121)를 대전유닛(122)에서 대전하고, 광주사유닛(111)은 출력대상의 화상정보에 따라 레이저광(111a)을 조사하여 감광매체(121)에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매체(121)에 현상제이송부재를 이용하여 저장된 현상제를 공급하여 감광매체(121)에 가시화상을 형성한다.
급지트레이(112)에 적재된 기록매체를 급지유닛(113)을 이용하여 한 페이지씩 기록매체 이송경로(110d)로 공급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급지유닛(113)은 기록매체를 기록매체이송경로로 이송하는 기록매체이송유닛에 포함될 수 있다.
감광매체(121)에 형성된 가시화상은 전사유닛(114)에 의해 기록매체에 전사되고, 열과 압력을 이용하는 정착유닛(115)을 통하여 기록매체에 정착되어 배지유닛(116)을 통하여 화상형성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감광매체(121)의 가시화상이 기록매체에 전사된 후, 감광매체(121)에 잔류하는 잔류현상제는 클리닝유닛(124)을 통하여 제거되고, 폐현상제저장통(124b)으로 회수된다.
추가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의 화상형성 동작이 반복된다.
외부장치(10, 20)는 유/무선네트워크(30) 또는 USB(31)로 연결되는 컴퓨터, 휴대전화 또는 디지털카메라를 포함하는 이동 가능한 휴대용기기 또는 전화선으로 연결되는 팩시밀리(도시하지 아니함)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광주사유닛(111)은 출력대상의 화상정보에 따라 레이저광(111a)을 조사하는 레이저다이오드(도시하지 아니함), 다각형미러(Polygon Mirror)(111b), 적어도 하나의 반사거울(111c), 적어도 하나의 렌즈(111d) 및 구동모터(111e)를 포함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광주사유닛(111)은 레이저다이오드(도시하지 아니함) 및 다각형미러(111b)를 포함한다
예시적 실시예의 일측에 따른 광주사유닛(111)은 감광매체(121)에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다수의 LED소자가 배열된 LED어레이유닛(LED Array)(도시하지 아니함)과 LED소자에 대응되는 렌즈유닛(도시하지 아니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의 다른 일측에 따른, 광주사유닛(111)은 멤스(MEMS, Micro Electro-Mechanical System)구조물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현상카트리지(120)는 감광매체(121), 대전유닛(122), 현상유닛(123), 클리닝유닛(124), 광경로(126) 및 메모리유닛(125)을 포함한다.
대전유닛(122)은 대전롤러(122a)로 구성될 수 있다. 대전롤러(122a)에 전압이 인가되면, 대전롤러(122a)는 감광층을 가지는 감광매체(121)를 균일하게 대전한다. 광주사유닛(111)은 대전된 감광매체(121)에 레이저광(111a)을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적어도 하나의 현상제이송부재 - 교반기(123a), 공급롤러(123b) 또는 현상롤러(123c) - 는 회전축을 가지며, 현상카트리지(120)의 내부에 저장되는 현상제를 감광매체(121)로 이송하여 정전잠상에 대응하는 가시화상을 감광매체(121)에 형성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현상카트리지(120)의 교반기(123a)는 오거(auger)를 포함한다.
현상제이송부재는 저장된 현상제를 교반하여 공급롤러(123b)로 이송하고, 공급롤러(123b)는 이송된 현상제를 현상롤러(123c)에 공급하며, 현상롤러(123c)는 공급롤러(123b)에서 공급된 현상제를 감광매체(121)로 이송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이송부재는 현상유닛(123)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27)은 감광매체(121), 현상제이송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하우징(127)은 광주사유닛(111)의 반사미러(111c)의 하방에서 대면하고, 조사되는 레이저광(111a)이 입력되는 제1 개구(도 2 참조, 127a)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광경로셔터(도시하지 아니함) 및 전사유닛(114)과 대면하고 감광매체셔터(도시하지 아니함)의 개폐에 따라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제2 개구(도 3 참조, 127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일측면(도 2참조, 127c),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기어열(129)이 노출되는 제3개구(도 3참조, 127d) 및 일측면(127c)에서 돌출되고, 현상카트리지(120)가 착탈하는 경우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도 2참조, 127e)를 포함할 수 있다.
현상카트리지(120)의 하우징(127) 내부에 광주사유닛(111)에서 조사된 레이저광(111a)이 감광매체(121)에 도달하는 경로인 광경로(126)가 형성된다.
광경로셔터(도시하지 아니함)는 화상형성장치(100)에 현상카트리지(120)가 장착되는 경우, 조사되는 레이저광(111a)이 통과할 수 있도록 열리고, 현상카트리지(120)가 화상형성장치(100)에서 분리되는 경우, 닫히게 된다.
광경로셔터(도시하지 아니함)가 없는 현상카트리지의 경우, 화상형성장치(100)의 착탈에 무관하게 제1 개구(127a)는 항상 열려있게 된다.
광경로셔터(도시하지 아니함)는 현상카트리지(120)의 착탈을 위한 손잡이(128)의 고정단(도 2참조, 128b) 인근에 배치되며, 광경로셔터(도시하지 아니함)는 대전롤러(122a)의 회전축 중심과 공급롤러(123b)의 회전축 중심의 사이에 배치된다.
감광매체셔터(도시하지 아니함)는 현상카트리지(120)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되는 경우, 감광매체(121) 및 전사롤러(114a)의 접촉에 대응되게 열리고, 현상카트리지(120)가 화상형성장치(100)에서 분리되는 경우, 감광매체(121)를 덮게 된다.
감광매체셔터(도시하지 아니함)가 없는 현상카트리지(120)의 경우, 화상형성장치(100)의 착탈에 무관하게 감광매체(121)는 제2 개구(127b)를 통해 항상 노출될 수 있다.
감광매체셔터(도시하지 아니함)는 현상카트리지(120)의 장착이 완료되기 전에 열리기 시작하고, 현상카트리지(120)가 화상형성장치(100)의 가이드(119)를 이탈하기 전에 닫혀지기 시작한다.
광경로(126)는 광주사유닛(111)의 반사거울(111c)에 반사된 레이저광(111a)이 수직방향에 대해 5 내지 10도(°)의 각도로 현상카트리지(12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5 내지 10도 사이의 각도는 감광매체(121)로 조사되는 레이저광(111a)이 감광매체(121)의 표면에서 반사된 광과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손잡이(128)는 현상카트리지(120)에서 돌출되게 형성되고, 일단은 자유단(128a), 타단은 고정단(128b)으로 고정되어 있다.
전사롤러(114a)를 포함하는 전사유닛(114)에 의해 가시화상이 기록매체로 전사되고 나서, 감광매체(121)에 잔류하는 잔류현상제는 클리닝블레이드(124a)를 포함하는 클리닝유닛(124)에 의해 제거되고, 제거된 폐현상제는 폐현상제저장통(124b)에 저장된다.
기록매체 이송경로(110d)는 급지트레이(112)로부터 픽업된 기록매체가 화상형성장치(100)의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경로이다. 기록매체 이송경로(110d)의 폭은 화상형성장치(100)에 공급 가능한 최대크기의 기록매체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기록매체이송유닛에 의해 기록매체 이송경로(110d)에 기록매체가 이송된다.
급지유닛(113)은 기록매체를 급지트레이(112)에서 픽업하는 픽업롤러(113a)와 픽업된 기록매체를 감광매체(121)로 급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피딩롤러(113b)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급지트레이(112)에서 기록매체를 공급하고 있으나, 화상형성장치(100)에 따라 녹업플레이트(Knock-up Plate)(도시하지 아니함)를 포함하는 급지카세트(도시하지 아니함)가 기록매체를 공급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급지카세트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이 가능하다.
정착유닛(115)은 기록매체에 전사된 가시화상을 열 및 압력으로 정착시킨다.
정착유닛(115)은 내부열원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히트롤러(115a) 및 적어도 하나의 압력롤러(115b)를 포함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정착유닛(115)은 롤러타입의 히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고, 내부열원을 가지는 벨트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배지유닛(116)은 정착유닛(115)을 통과한 기록매체를 화상형성장치(100)의 외부로 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지롤러(116a)를 포함할 수 있다.
양면인쇄를 지원하는 화상형성장치(100)의 경우, 일면에 화상이 형성된 기록매체는 배지롤러(116a)를 이용하여 양면인쇄경로(도시하지 아니함)로 재급지되어 이면에 화상을 형성한다.
현상카트리지(120)는 현상카트리지정보를 가지는 메모리유닛(125)을 포함한다. 메모리유닛(125)은 복수의 단자들(125a, 125b, 125c, 125d)을 가지며, 접지단자(125a), 클럭단자(cluck)(125b), 데이터전송단자(125c), 전압인가단자(125d)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단자들(125a 내지 125d)은 화상형성장치(100)의 하부에 설치되는 기판(118)의 연결유닛(117)과 접촉할 수 있다.
메모리유닛(125)의 복수의 단자들(125a 내지 125d)은 하우징(127)에 지지되고 회전축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현상제이송부재의 하부에 배치된다.
기판(118)의 연결유닛(117)은 광주사유닛(111)이 설치되어 있는 상방을 향해 돌출되고, 메모리유닛(125)의 복수의 단자들(125a 내지 125d)은 현상카트리지(120)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될 때 연결유닛(117)과 접촉할 수 있다.
메모리유닛(125)의 복수의 단자들(125a 내지 125d)은 기록매체 이송경로(110d)와 대면하게 된다.
메모리유닛(125)의 복수의 단자들은 현상카트리지(120)의 장착방향에 대해서는 현상카트리지(120)의 후단에 배치되며, 감광매체(121)의 회전축의 중심과 기판(118)과 수직으로 만나는 가상의 연장선에서부터 정착유닛(115)의 진입구(115c) 사이의 영역에 배치된다.
복수의 단자들(125a 내지 125d)은 기록매체 이송경로(110d)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가 공급가능한 최대크기의 기록매체의 폭의 바깥영역에서 기판(118)의 연결유닛(117)과 접촉되도록 배치되어야 이송되는 기록매체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하우징(127)의 제2개구(127b)는 감광매체(121)의 표면의 일부가 하우징(127)의 외부로 노출되게 감광매체(121)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복수의 단자들(125a 내지 125d)은 현상카트리지(120)의 장착방향에 대해 제2 개구(127b)의 측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개구(127b)의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정착유닛(115)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단자들(125a 내지 125d)은 기록매체 이송경로(110d)를 따라 일렬로 배치되거나 또는 지그재그로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자 길이는 다른 단자의 길이와 상이할 수 있다.
복수의 단자들(125a 내지 125d)은 접지단자(125a)를 포함한다.
기판(118)의 연결유닛(117)과 현상카트리지(120)의 복수의 단자들(125a 내지 125d)이 접촉하는 경우, 메모리유닛(125)의 접지단자(125a)가 기판(118)의 연결유닛(117)에 우선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대응되게 복수의 단자들(125a 내지 125d)에 대한 배열이 달라질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유닛(125)의 복수의 단자들(125a 내지 125d)은 기판(118)이 표면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예시적 실시예의 일측에 따른 메모리유닛(125)의 복수의 단자들(125a 내지 125d)은 기판(118)의 표면에 대해 기결정된 각도, 예를 들면, 70 내지 110도(°)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도 범위를 갖는 경우 화상 형성 장치의 물리적 크기를 늘리지 않으면서 메모리유닛(125)의 복수의 단자들(125a 내지 125d)과 기판(118)이 접촉될 수 있다.
기결정된 각도로 경사진 복수의 단자들과의 접촉을 위하여, 연결유닛(117)의 복수의 연결부재들(117a 117b, 117c, 117d)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선형적으로 차이가 날 수 있다.
복수의 단자들(125a 내지 125d)이 기결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우, 복수의 연결부재들(117a 내지 117d)도 대응되게 경사져서 복수의 단자들(125a 내지 125d)과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접지단자(125a)와 접촉하는 연결부재(117a)의 길이가 다른 연결부재(117b 내지 117d)와 비교하여 길 수 있다.
메모리유닛(125)의 복수의 단자들(125a 내지 125d)과 연결유닛(117)의 복수의 연결부재들(117a 내지 117d)이 접촉하는 경우, 컨트롤러(도 9참조, 140)는 시리얼통신을 이용하여 메모리유닛(125)에 저장된 현상카트리지정보를 독출(Read)할 수 있다.
현상카트리지정보는 현상카트리지(120) 또는 화상형성장치(100)에 대응되는 장치정보(Device Information)이다.
현상카트리지정보는 공급자 ID(Supplier ID), 회사명, 현상카트리지(120)의 시리얼번호(Serial Number), 제조일자, 화상형성장치(100)의 모델명, 현상카트리지(120)의 종류(최초장착 현상카트리지(120), 정규 현상카트리지(120)), 현상카트리지(120)의 클래스(현상제의 칼라), 현상제의 용량(Capacity), 소모된 현상제의 도트카운트(Dot Count), 남은 현상제의 토너카운트, 인쇄된 페이지카운트(Page Count), 감광매체카운트(OPC Count) 및 팩스송신카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하며, 현상카트리지(120) 또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성능 또는 지원하는 기능에 따라 추가, 삭제, 또는 변경될 수 있다.
메모리유닛(125)은 현상카트리지정보를 저장 가능하며, 화상형성장치(100) 또는 현상카트리지(120)의 사용에 따라 현상카트리지정보는 갱신될 수 있다.
스캔유닛(도 9 참조, 170)를 이용하여 원고를 스캔하고 이메일전송유닛(도 9 참조, 171)을 이용하여 이메일을 전송하거나, 팩스유닛(도 9 참조, 172)을 이용하여 팩스를 송신하는 경우, 현상카트리지(120)는 사용하지 않지만, 현상카트리지정보는 갱신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유닛(125)은 하나의 현상카트리지(120)에 배치되어 있으며, 예시적 실시예의 다른 일측에 따른 메모리유닛은 현상카트리지가 복수 개가 있는 화상형성장치(예를 들면, 컬러레이저프린터 또는 컬러레이저복합기)의 경우, 메모리유닛도 복수 개 일수 있다.
복수의 메모리유닛에 저장되는 현상카트리지정보는 개별 현상카트리지에 대응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유닛(117)은 화상형성장치(100)의 기판(118)과 현상카트리지(120)의 메모리유닛(125)을 접촉되도록 하고, 이러한 연결유닛(117)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기판(118)은 화상형성장치(100)의 하부에 설치되며, 기록매체 이송경로(110d)의 하부이기도 하다.
기판(118)은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40), 220V의 AC전원을 화상형성장치(100)에 필요한 DC전원으로 변환/공급하는 SMPS보드(Switching Mode Power Supply)(도 9 참조, 180) 및 입력된 DC전원을 이용하여 대전전압, 현상전압, 전사전압과 같은 고압을 출력하는 HVPS보드(High Voltage Power Supply) (도 9 참조, 18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연결유닛(117)은 컨트롤러(140), 컨트롤러(140)와 SMPS보드(180)가 일체화된 일체형기판 또는 컨트롤러(140)와 HVPS보드(181)가 일체화된 일체형기판 중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컨트롤러(14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41),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142)과, 입력데이터 기억이나 작업관련 기억영역인 램(RAM)(143)을 포함할 수 있고, CPU(141), 롬(142) 및 램(143)은 버스(BUS)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40)는 조작유닛(160), 표시유닛(161), 저장유닛(162), 이미지처리유닛(163), 스캔유닛(170), 통신인터페이스유닛(150), 및 현상카트리지(120)를 제어한다.
컨트롤러(140)는 사용자입력이 수신되는 조작유닛(160)를 제어할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100)내부로 기록매체를 급지하는 급지유닛(113)과 화상형성장치(100) 외부로 기록매체를 배출하는 배지유닛(116)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이송 및 광주사유닛(111)의 구동에 관련된 모터(도시하지 아니함)를 제어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도시하지 아니함), 또는 적어도 하나의 솔레노이드(도시하지 아니함)를 제어할 수도 있다. 컨트롤러(14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감시하고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예시적 실시예의 일측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 현상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화상형성장치(100)의 커버(110a)를 열고 현상카트리지(120)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되는 경우, 현상카트리지(120)는 일측면(127c) 및 타측면(도시되지 아니함)에 각각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127e)를 이용하여 본체(110)의 일측면(110b)에 형성된 가이드(119)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된다.
장착이 완료되는 경우, 현상카트리지(120)의 후단에 배치되는 메모리유닛(125)의 복수의 단자들(125a 내지 125d)은 기록매체 이송경로(110d)의 바깥영역에 배치되는 연결유닛(117)과 접촉하게 된다.
본체(110)에 형성된 가이드(119)는 진입 후 기판(118)의 표면에 대해 60도 이하의 각도로 형성되는 제1 경로(119a)와 60도 이상의 각도로 형성되는 제2 경로(119b) 및 제1 경로와 제2 경로의 연결하는 곡면부(119c)를 포함한다.
제1경로 대비 큰 각도로 형성되는 제 2경로에 의해 현상카트리지(120)는 자중에 의해 슬라이딩하고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된다.
화상형성장치(100)의 본체(110)의 일측면(110b)에는 현상카트리지(120)의 감광매체(121), 적어도 하나의 현상제이송부재 또는 대전유닛(122)과 접촉하는 복수의 연결단자(110c)가 돌출된다.
현상카트리지(120)의 감광매체(121), 적어도 하나의 현상제이송부재 또는 대전유닛(122)은 화상형성장치(100)의 모터(도시되지 아니함)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전달받아 동작한다.
모터(도시되지 아니함)의 동력은 현상카트리지(120)의 하우징(127)에 형성되는 제3개구(도 3참조, 127d)를 통해 노출되는 기어열(도 3참조, 129)로 전달된다.
하우징(127)은 레이저광(111a)이 입사되는 제1 개구(127a), 감광매체(121)가 노출되는 제2 개구(127b), 현상카트리지(120)의 측면인 일측면(127c), 화상형성장치(1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기어열(129)이 노출되는 제3 개구(127d) 및 현상카트리지(120)의 일측면(127c)에 돌출되고, 현상카트리지(120)의 착탈을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127e)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유닛(117)은 기록매체 이송경로(110d)의 바깥영역 즉, 공급 가능한 기록매체의 폭의 바깥영역에서 광주사유닛(111)과 대면하게 돌출되어 있다.
돌출된 연결유닛(117)의 연결부재(117a 내지 117d)는 기록매체 이송경로(110d)를 따라 일렬 또는 지그재그로 배치될 수 있다.
연결유닛(117)은 감광매체(121)의 회전축의 중심과 기판(118)이 수직으로 만나는 가상의 연장선에서부터 정착유닛(115)의 진입구(115c) 사이의 영역에 배치된다.
현상카트리지(120)의 장착이 완료되고, 화상형성장치(100)의 열린 커버(110a)가 닫히면 표시유닛(161)에 표시되는 커버오픈 에러 메시지가 사라지고, 화상형성장치(100)는 초기화(initialize)된다.
컨트롤러(140)는 연결유닛(117)의 복수의 연결부재들(117a 내지 117d)에 접촉된 메모리유닛(125)의 복수의 단자들(125a 내지 125d)을 이용하여 메모리유닛(125)에 저장된 현상카트리지정보를 독출한다.
독출된 현상카트리지정보는 현상카트리지(120) 또는 화상형성장치(100)에 대응되는 정보를 화상형성장치(100)의 유지 또는 보수에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예시적 실시예의 일측에 따른 현상카트리지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된 현상카트리지(120)의 하부에서 감광매체(121)가 제2 개구(127b)를 통해 노출되어 있다.
하우징(127)은 제1 개구(127a), 제2 개구(127b), 일측면(127c), 제3 개구(127d) 및 적어도 하나의 돌기(127e)를 포함한다.
메모리유닛(125)의 복수의 단자들(125a 내지 125d)이 노출된 감광매체(121)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메모리유닛(125)의 복수의 단자들(125a 내지 125d)은 공급가능한 기록매체의 폭의 바깥영역에 배치된다.
메모리유닛(125)의 복수의 단자들(125a 내지 125d)은 감광매체(121)의 축방향에 대해, 현상카트리지(120)의 일측면(127c)의 돌기(127e)와 제2 개구(127b)를 통해 노출된 감광매체(121)의 단부(121a) 사이에 배치된다.
노출되는 감광매체(121)의 축방향의 길이는 기록매체의 폭과 비교하여 크기 때문에, 복수의 단자들(125a 내지 125d)은 제2 개구(127b)를 통해 노출된 감광매체(121)의 단부(121a)와 오버랩 될 수 있다.
복수의 단자들(125a 내지 125d)은 노출되는 감광매체(121)의 단부를 따라 일렬 또는 지그재그로 정착유닛(115)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단자들(125a 내지 125d)은 노출되는 감광매체(121)의 축방향에 대해 일렬 또는 지그재그로 배치될 수도 있다.
복수의 단자(125a 내지 125d)의 각각의 면적은 연결유닛(117)의 복수의 연결부재들(117a 내지 117d)과 일정하게 접촉을 유지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복수의 단자들(125a 내지 125d)은 현상카트리지(120)의 손잡이(128)에 있어서, 손잡이(128)의 자유단(128a) 단부의 안쪽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예시적 실시예의 일측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와 현상카트리지를 도시한 결합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현상카트리지(120)의 메모리유닛(125)의 복수의 단자와 화상형성장치(100)의 연결유닛(117)이 접촉되어 있다.
예시적 실시예의 일측에 따른 현상카트리지(120)의 손잡이(128)는 고정되게 도시되어 있다.
예시적 실시예의 다른 일측에 따른 손잡이(128)는 일단이 고정단(128a)이고 타단이 기결정된 각도로 회전가능한 자유단(128b)인 회전가능한 손잡이(128)를 포함한다.
기결정된 각도는 현상카트리지(120)가 화상형성장치(100)에 본체(110)의 가이드(119)를 이용하여 장착될 때, 손잡이(128)가 화상형성장치(100)의 커버(110a) 또는 화상형성장치(100)의 본체(110)에 접촉하지 않고 회전할 수 있는 각도이다.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되는 경우, 현상카트리지(120) 상부에는 광주사유닛(111)이 설치되어 있으며, 광주사유닛(111)의 레이저광(111a)이 현상카트리지(120)의 하우징(127)의 제1 개구(127a)를 통해 광경로(126)를 따라 입사하게 된다.
도 5는 예시적 실시예의 일측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연결유닛과 현상카트리지의 메모리유닛을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연결부재들(117a 내지 117d) 및 복수의 지지부재들(117e, 117f, 117g, 117h)를 포함하는 연결유닛(117), 기판(118)의 복수의 접점(118a, 118b, 118c, 118d) 및 프레임(117i)이 도시되어있다.
연결유닛(117)은 메모리유닛(125)의 복수의 단자들(125a 내지 125d)과 접촉하는 복수의 연결부재들(117a 내지 117d) 및 복수의 연결부재들(117a 내지 117d)을 지지하고, 기판(118)과 연결되는 복수의 지지부재들(117e 내지 117h)을 포함한다.
복수의 연결부재들(117a 내지 117d)은 현상카트리지(120)가 착탈되는 경우, 복수의 단자들(125a 내지 125d)에 대한 간섭이 크지 않고 복수의 단자들(125a 내지 125d)과 접촉할 때 접촉상태가 유지되는 형상(예를 들면, 평면 또는 아크형상)이 유리하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현상카트리지(120)는 본체(110)의 가이드(119)에서 기판(118)의 표면에 대해 60도 이하의 각도로 형성되는 제1 경로(119a)와 60도 이상의 각도로 형성되는 제2 경로(119b)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장착되므로, 복수의 단자들(125a 내지 125d)과 복수의 연결부재들(117a 내지 117d)의 간섭은 크지 않을 수 있다.
기판(118)의 복수의 접점들(118a 내지 118d)은 컨트롤러(140)와 연결된다.
복수의 연결부재(117a 내지 117d)가 메모리유닛(125)의 복수의 단자(125a 내지 125d)와 접촉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100)의 컨트롤러(140)는 현상카트리지(120)의 메모리유닛(125)을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연결부재들(117a 내지 117d)의 상세 구성은 도 6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연결부재(117a)와 지지부재(117e)의 외부에는 프레임(117i)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부재들(117a 내지 117d) 중 적어도 하나(117a)는 다른 연결부재(117b 내지 117d)보다 상방으로 높게 돌출될 수 있으며, 높게 돌출된 연결부재(117a)는 메모리유닛(125)의 접지단자(125a)와 먼저 접촉될 수 있다.
접지단자(125a)와 연결되는 연결부재(117a)의 위치는 현상카트리지(120) 및 화상형성장치(100)의 연결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예시적 실시예의 일측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연결유닛을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6a는 예시적 실시예의 일측에 따른 분리된 연결부재와 지지부재를 도시하였다. 연결부재(117a) 및 지지부재(117e)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연결부재(117a)는 접촉부(117a1), 상부(117a2), 프랜지(Flange)(117a3), 및 하부(117a4)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117a)의 하부(117a4)는 연결되는 지지부재(117e)의 단면의 형상에 대응된다. 프랜지(117a3)는 연결부재의 하부(117a4)와 연결되는 지지부재(117e)를 지지하고 연결부재(117a)의 하부(117a4)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연결부재(117a)의 상부(117a2)는 메모리유닛(125)의 접지단자(125a)와 접촉되게 프랜지(117a3)에서 신장되고 프랜지(117a3)의 폭보다는 작다.
연결부재(117a)의 상부는 테이퍼(Taper)지거나 또는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117a1)는 메모리유닛(125)의 접지단자(125a)와 접촉하고 연결부재(117a)의 상부(117a2)에서 테이퍼진 평면을 포함한다.
예시적 실시예의 일측에 따른 접촉부(117a1)는 테이퍼진 평면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른 일측에 따른 접촉부(117a1)는 단차진 평면, 테이퍼진 아크형상, 또는 단차진 아크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117a)는 지지부재(117e)의 일정한 압력에 의해 접지단자(125a)와의 접촉이 유지될 수 있다. 지지부재(117e)는 연결부재(117a)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도록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연결부재(117a)는 금속소재로 쾌삭강(SUM24L) 또는, 탄소강선재(SWRCH)를 포함하며, 니켈도금과 같은 후처리를 할 수도 있다.
예시적 실시예의 일측에 따른 쾌삭강, 탄소강선재, 또는 니켈도금은 하나의 실시예로 화상형성장치(100) 및 현상카트리지(120)의 연결구조 및 설치 위치에 따라 연결부재(117a)의 소재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의 다른 일측에 따라, 지지부재(117e)는 연결부재(117a)가 접지단자(125a)와 접촉되게 지지하며, 탄성력을 가지는 스프링 또는 균등물도 가능하다.
지지부재(117e)는 실질적으로 탄성력이 없는 바(bar)(도시되지 아니함)로 구성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탄성이 없는 바(도시되지 아니함)는 현상카트리지(120)가 화상형성장치(100)에서 분리되는 경우, 장착 전의 위치로 복귀를 위하여 바(도시되지 아니함)의 일부분과 기판(118)을 상호 연결하는 별도의 탄성부재(도시되지 아니함)를 가질 수 있다.
지지부재(117e)는 기판(118)의 접점(118a)에 대해 납땜되어 고정되거나 또는 기판(118)의 접점 위에 납땜 없이 올려져 있을 수 있다.
연결부재(117a)와 지지부재(117e)의 외부에는 프레임(117i)이 배치될 수 있다.
프랜지(117a3)의 폭보다 작은 프레임(117i)의 개구(117i1)를 통해 연결부재(117a)의 상부(117a2)의 일부분 및 접촉부(117a1)가 돌출되며, 접지단자(125a)와 접촉 가능하다.
프레임(117i)의 개구(117i1)가 프랜지(117a3)의 폭보다 작기 때문에 프랜지는 지지부재를 지지할 수 있다.
프레임(117i)의 크기는 프랜지(117a3)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며, 기판(118)의 접점(118a)까지 연장될 수 있다.
현상카트리지(120)가 장착되는 경우, 복수의 연결부재들(117a 내지 117d)은 메모리유닛(125)의 복수의 단자들(125a 내지 125d)과 접촉하게 되어 하방으로 눌러지게 된다.
도 6a를 참조하면, 가상선의 메모리유닛(125)이 장착전의 현상카트리지(120)를 도시하고, 실선의 메모리유닛(125)는 장착후의 현상카트리지(125)를 도시한다.
프랜지(117a3)의 폭보다 작은 프레임의 개구(117i1)를 이용하여 납땜 또는 지지부재와 기판(118)을 연결하는 도전성 접착제(Electrically Conductive Adhesive) 없이 지지부재가 기판(118)의 접점(118a)위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지지부재들(117e 내지 117h)은 납땜 또는 복수의 지지부재들(117e 내지 117h)과 기판(118)을 연결하는 도전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기판(118)의 복수의 접점들(118a 내지 118d)에 고정될 수 있다.
연결부재(117a)는 프랜지(117a3)를 가지며 프랜지의 아래, 즉 연결부재의 하부(117a4)는 지지부재(117e)인 스프링과 연결된다.
스프링의 외경보다 작은 연결부재의 하부(117a4)는 스프링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스프링의 외경 및 연결부재 하부(117a4)의 폭에 따라 억지 끼워맞춤 또는 헐거운 끼워맞춤을 선택할 수 있다.
도 6b는 예시적 실시예의 다른 일측에 따른 연결부재와 지지부재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연결부재(117m, 117n, 117o, 117p)를 도시하였다.
기판(118)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탄성력을 가지는 일체형 복수의 연결부재들(117m 내지 117p)은 메모리유닛(125)의 복수의 단자들(125a 내지 125d)과 접촉할 수 있다.
일체형 복수의 연결부재들(117m 내지 117p)은 프레임(117i)의 개구(117i1)와 탄성력을 이용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복수의 단자들(125a 내지 125d)과 접속할 수 있다.
일체형 복수의 연결부재들(117m 내지 117p)의 상부의 폭이 하부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일체형 복수의 연결부재들(117m 내지 117p)의 상세 구성은 일체형 연결부재(117m)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프레임(117i)의 개구(117i1)의 폭이 일체형 연결부재(117m)의 상부(117m1)의 폭보다 크고 일체형 연결부재(117m)의 하부(117m2)의 폭보다 작은 경우, 일체형 연결부재(117m)의 하부(117m2)는 납땜 또는 일체형 연결부재(117m)와 기판(118)을 연결하는 도전성 접착제 없이 일체형 연결부재(117m)가 기판(118)의 접점(118a)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일체형 복수의 연결부재들(117m 내지 117p)는 납땜 또는 도전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기판(118)의 접점(118a)에 고정될 수 있다.
일체형 복수의 연결부재들(117m 내지 117p) 중 적어도 하나(117m)는 다른 연결부재보다 상방으로 높게 돌출될 수 있으며, 높게 돌출된 연결부재(117m)는 메모리유닛(125)의 접지단자(125a)와 먼저 접촉할 수 있다.
접지단자(125a)와 연결되는 일체형 연결부재(117m)의 위치는 현상카트리지(120) 또는 화상형성장치(100)의 연결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7은 예시적 실시예의 일측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연결유닛과 현상카트리지의 메모리유닛의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기판(118), 연결유닛(117) 및 메모리유닛(125)의 복수의 단자들(125a 내지 125d)의 연결상태를 도시한다.
기판(118), 복수의 연결부재들(117a 내지 117d) 및, 복수의 지지부재들(117e 내지 117h)을 포함하는 연결유닛(117) 및, 메모리유닛(125)의 복수의 단자들(125a 내지 125d)이 일렬로 연결되어 있다.
연결유닛(117)은 현상카트리지(120)의 제2개구(127b)를 통해 노출된 감광매체(121)와 현상카트리지(120)의 일측면(127c) 사이에 배치되고, 기록매체 이송경로(110d)와 현상카트리지(120)의 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유닛(117)의 위치는 기록매체 이송경로(110d)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송되는 기록매체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기록매체 이송경로(110d)의 하부에는 복수의 소자가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는 기판(118)이 배치된다.
기판(118), 현상카트리지(120)의 메모리유닛(125), 및 기판(118)과 메모리유닛(125)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유닛(117)을 이용하여 메모리유닛(125)의 위치와 기판(118)의 위치에 대응되는 부가되는 배선 및 추가기판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현상카트리지(120)의 회전축의 하부에 위치하는 메모리유닛(125)과 기판(118)의 직접적인 접촉에 대응되어 화상형성장치(100)의 높이를 낮출 수 있다.
기판(118), 연결유닛(117) 및 현상카트리지(120)의 메모리유닛(125)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화상형성장치(100)의 크기(가로×세로×높이)를 줄일 수 있다.
도 8은 예시적 실시예의 일측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기판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컨트롤러(140)를 포함하는 기판(118)의 가장자리에 연결유닛(117)의 복수의 지지부재들 또는 일체형 복수의 연결부재들과 연결되는 복수의 접점들(118a 내지 118d)이 배치된다.
기판(118)의 복수의 접점들(118a 내지 118d)은 화상형성장치(100)의 공급 가능한 기록매체의 폭의 바깥영역에 대응되는 기판(118)의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복수의 접점들(118a 내지 118d)은 컨트롤러(140)와 인쇄회로로 연결되어 있으며, 컨트롤러(140)는 복수의 접점들(118a 내지 118d)과 연결유닛(117)을 이용하여 현상카트리지(120)의 메모리유닛(125)의 복수의 단자들(125a 내지 125d)과 접촉을 통하여 현상카트리지(120)의 연결 여부를 확인하고 메모리유닛(125)에 저장된 현상카트리지(120) 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의 커버(110a)가 열리고, 현상카트리지(120)가 장착되고 커버가 닫히는 경우, 현상카트리지(120)의 연결 여부는 컨트롤러(140)와 현상카트리지(120)의 메모리유닛(125)과의 통신을 이용하여 알 수 있다.
메모리유닛(125)은 연결된 컨트롤러(140)로부터 기결정된 명령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한 명령어에 대응되는 비교대상값(value)을 저장할 수 있다.
기결정된 명령어와 비교대상값의 비교결과가 일치하는 경우, 컨트롤러(140)는 현상카트리지(120)의 저장된 현상카트리지정보를 독출할 수 있다.
기결정된 명령어와 비교대상값의 비교결과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 현상카트리지 미장착 에러를 화상형성장치(100)의 표시유닛(161) 또는 화상형성장치(100)와 유/무선 네트워크(30) 또는 USB(31)를 통해 연결되는 외부 장치(10, 20)의 표시유닛(도시하지 아니함)에 통보한다.
기판(118)은 컨트롤러(140)와 SMPS보드(180)가 일체형이거나 또는 컨트롤러(140)와 HVPS보드(181)가 일체형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기판(118)으로 인하여 기판(118)이 수가 감소되고 화상형성장치(100)의 크기도 줄일 수 있다.
도 9는 예시적 실시예의 일측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화상형성장치(100)의 컨트롤러(140)는 유/무선네트워크(30)에 접속되어 있고, USB(31)와도 접속 가능하다.
컨트롤러(140)는 유/무선네트워크(30) 또는 USB(31)를 통해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10)와 연결 가능하며, 휴대전화 또는 디지털카메라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휴대용기기(20)와 접속될 수 있다.
컨트롤러(140)는 CPU(141),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된 롬(142)과, 입력데이터 기억이나 작업관련 기억영역인 램(143)을 포함할 수 있고, CPU(141), 롬(142) 및 램(143)은 버스(BUS)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40)는 조작유닛(160), 표시유닛(161), 저장유닛(162), 이미지처리유닛(163), 스캔유닛(170), 이메일전송유닛(171), 팩스유닛(172), 통신인터페이스유닛(150), 및 현상카트리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40)는 화상형성을 위하여 광주사유닛(111), 전사유닛(114), 정착유닛(115), 감광매체(121), 대전유닛(122), 현상유닛(123), 클리닝유닛(124) 및 메모리유닛(125)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40)는 SMPS보드(180)와 HVPS보드(181)를 이용하여 입력/출력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화상형성장치(100) 내부의 각각의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고,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40)는 현상카트리지(120)의 메모리유닛(945)에 저장된 현상카트리지정보를 독출 또는 기록(Write)하기 위하여 연결유닛(117)과 메모리유닛(125)을 제어한다.
컨트롤러(140)는 현상카트리지(120)가 장착되는 경우, 메모리유닛(125)에 저장된 현상카트리지정보를 독출하여 현상카트리지(120) 및 화상형성장치(900)에 대한 상태 및 소모품 정보를 알 수 있으며, 정품 또는 비정품의 장착여부도 확인할 수 있다.
출력신호에 따른 화상출력이 완료된 경우, 화상출력에 대응되는 정보를 메모리유닛(125)에 기록하여 갱신할 수 있다.
컨트롤러(140)는 사용자입력이 수신되는 조작유닛(160)를 제어할 수 있으며, 화상형성장치(100)의 내부로 기록매체를 급지하는 급지유닛(113) 및 화상형성장치(100)의 외부로 기록매체를 배출하는 배지유닛(116)을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140)는 기록매체의 이송 및 현상카트리지(120) 및 광주사유닛(111)의 구동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모터(도시되지 아니함)를 제어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클러치(도시되지 아니함), 또는 적어도 하나의 솔레노이드(도시되지 아니함)를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컨트롤러(140)는 화상형성장치(900)의 전체적인 동작을 감시하고 제어할 수 있다.
저장유닛(162)은 화상형성장치(100)가 동작 중인 경우, 현상카트리지(120)의 메모리유닛(125)에 저장된 현상카트리지정보를 복사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현상카트리지정보의 백업으로 활용할 수 있다.
현상카트리지정보는 램(143)에도 저장될 수 있다.
컨트롤러(140)는 스캔유닛(170)를 이용하여 작업대상 원고를 스캔하고 스캔 된 원고에 대응되게 출력되는 화상신호는 이미지처리유닛(163)으로 입력되고, 이미지처리유닛(163)은 조작유닛(160)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스캔옵션에 따라 화상신호를 처리하여 화상데이터를 생성한다.
컨트롤러(140)는 생성된 화상데이터를 기록매체에 출력, 전화라인(Tel line)을 통해 외부 팩시밀리(도시되지 아니함)에 전송 또는 화상데이터를 확장자(예를 들면, JPEG, BMP, TIFF, PDF)를 가지는 파일로 저장하고 첨부하여 이메일로 송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게 출력할 수 있다.
도 10은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현상카트리지와 현상제카트리지를 장착한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각각의 유닛과 도면번호를 참조하며, 동일한 유닛과 도면번호는 생략하고 설명한다.
도 1를 참조하면, 감광매체(121), 대전유닛(122), 현상제이송부재(123), 및 클리닝유닛(124)을 포함하는 일체화된 현상카트리지(120)에 대해 설명하였다.
도 10을 참조하면,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현상제를 저장하고 저장된 현상제를 감광매체(121)로 이송하는 현상제이송부재를 포함하는 별도의 현상제카트리지(130)를 구성할 수 있다.
현상제카트리지(130)은 감광매체(121)를 포함하는 현상카트리지(120)와 분리가 가능하다.
현상제카트리지(130)는 그 내부에 현상제를 저장하는 하우징(131) 및 하우징(131)에 지지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저장된 현상제를 이송하는 현상제이송부재(132) - 예를 들면, 교반기(132a), 공급롤러(132b), 현상롤러(132c) - 와, 현상카트리지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유닛(133)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유닛(133)은 복수의 단자들(133a, 133b, 133c, 133d)을 가지고, 복수의 단자들(133a 내지 133d)은 현상제카트리지(130)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되는 경우, 기록매체 이송경로(110d)의 하부에 배치되는 기판(118)의 연결유닛(117)에 접촉되도록 하우징(131)의 외부로 노출된다.
현상제카트리지(130)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되는 경우, 메모리유닛(133)의 복수의 단자들(133a 내지 133d)은 기록매체 이송경로에 대면되게 배치될 수 있다.
현상카트리지(120)는 감광매체(121), 대전유닛(122) 및 클리닝유닛(124)을 포함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의 커버(110a)를 열고, 현상제카트리지(130)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되는 경우, 현상제카트리지(130)는 양 측면(도시하지 아니함)에 각각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도시하지 아니함)를 이용하여 본체의 가이드(119)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장착된다.
현상제카트리지(130)가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되는 경우, 기록매체 이송경로(110d)에 배치되는 기판(118)의 연결유닛(117)에 접촉하게 된다.
현상제카트리지(130)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는 경우, 메모리유닛(133)의 복수의 단자들(133a 내지 133d)은 상기 기록매체 이송경로에 대면되게 배치되고, 기판(118)의 복수의 연결부재들(117a 내지 177d)은 이송경로에 대면하는 복수의 단자들(133a 내지 133d)과 접촉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00)의 내부에는 현상카트리지(120)가 미리 장착되어 있으며, 장착되는 현상제카트리지(130)는 현상카트리지(120)와 결합될 수 있다. 또는, 현상카트리지(120)와 현상제카트리지(130)가 결합된 상태로 화상형성장치(100)에 장착될 수도 있다.
현상제카트리지(130) 및 현상카트리지(120)는 상호 결합을 위한 체결구조(도시하지 아니함)를 각각 가질 수 있다.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현상제카트리지는 현상제를 저장하는 하우징 및 현상제를 이송하는 오거 또는 교반기 중 적어도 하나 및 현상카트리지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현상제카트리지에 포함된 현상제이송부재 중 공급롤러 및 현상롤러는 현상카트리지에 포함될 수 있다.
현상제카트리지는 저장된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구(도시하지 아니함)를 가지며, 오거를 이용하여 현상제를 공급구를 통해 현상카트리지의 현상제이송부재로 공급할 수 있다.
현상카트리지와 분리가능한 현상제카트리지만 교체할 수 있으므로 화상형성장치의 유지 및 보수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예시적 실시예는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예시적 실시예는 상기의 예시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시적 실시예가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예시적 실시예의 범위는 설명된 예시적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화상형성장치 110 : 본체
114 : 전사유닛 117 : 연결유닛
118 : 기판 120 : 현상카트리지
121 : 감광매체 122 : 대전유닛
123 : 현상제이송부재 125 : 메모리유닛
130 : 현상제카트리지

Claims (22)

  1. 기록매체 이송경로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에 착탈가능한 현상카트리지에 있어서,
    조사된 레이저광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
    상기 감광매체를 대전하는 대전유닛;
    상기 감광매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상기 정전잠상에 대응되는 가시화상이 형성되게 하는 현상제이송부재;
    상기 감광매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이 기록매체에 전사된 후, 상기 감광매체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유닛; 및
    현상카트리지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될 때,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하부에 배치된 기판의 연결유닛에 접촉하는 복수의 단자들을 가지는 메모리유닛
    을 포함하는 현상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이송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유닛은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될 때, 상기 회전축의 하부에서 상기 연결유닛과 접촉되는 현상카트리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유닛은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장착방향에 대해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후단에 배치되는 현상카트리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될 때, 상기 메모리유닛의 상기 복수의 단자들은 상기 기록매체 이송경로에 대면되게 배치되는 현상카트리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유닛은 상기 기록매체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기록매체의 폭의 바깥영역에 배치되는 현상카트리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광매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감광매체의 표면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감광매체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유닛의 상기 복수의 단자들은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장착방향에 대해 상기 개구의 측방에 배치되는 현상카트리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들은 상기 기록매체 이송경로를 따라 지그재그 또는 일렬로 배치되는 현상카트리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단자의 길이가 다른 단자의 길이와 상이한 현상카트리지.
  9.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광주사유닛;
    현상카트리지의 장착을 위한 가이드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내부에 형성되는 기록매체 이송경로를 따라 상기 기록매체를 이송하는 기록매체이송유닛;
    상기 가이드를 통해 상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고, 상기 광주사유닛에서 조사된 레이저광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 상기 감광매체를 대전하는 대전유닛; 상기 감광매체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상기 정전잠상에 대응되는 가시화상이 형성되게 하는 현상제이송부재; 상기 감광매체에 형성된 가시화상이 기록매체에 전사된 후, 상기 감광매체에 잔류하는 상기 현상제를 제거하는 클리닝유닛; 및 현상카트리지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기록매체 이송경로에 대면하는 복수의 단자들을 구비하는 메모리유닛을 포함하는 현상카트리지; 및
    컨트롤러와 상기 복수의 단자들에 접촉되는 연결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유닛이 상기 메모리유닛의 상기 복수의 단자들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기판
    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이송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회전축의 하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복수의 단자들과 접촉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기록매체의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기록매체의 폭(Width)의 바깥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단자들과 접촉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복수의 단자들에 접촉되게 상방으로 돌출되는 연결부재들; 및
    상기 연결부재를 탄성지지하고 상기 기판에 연결되는 지지부재들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복수의 단자들과 탄성접촉되게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기판에 연결되는 연결부재들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단자의 표면에 대해 70~110도의 각도로 접촉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단자들과 접촉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들은 상기 기록매체 이송경로를 따라 지그재그 또는 일렬로 배치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장착될 때, 상기 연결유닛과 연결되는 상기 복수의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된 현상카트리지정보를 독출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현상카트리지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기판의 상기 연결유닛과 접촉되는 상기 복수의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현상카트리지의 장착 여부를 확인하는 화상형성장치.
  19. 기록매체 이송경로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에 착탈가능한 현상제카트리지에 있어서,
    현상제를 저장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될 때 상기 기록매체 이송경로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일측벽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현상제를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현상제이송부재; 및
    현상카트리지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될 때 상기 기록매체 이송경로의 하부에 배치되는 기판의 연결유닛에 접촉되도록 상기 일측벽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복수의 단자들을 가지는 메모리유닛
    을 포함하는 현상제카트리지.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카트리지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될 때, 상기 메모리유닛의 상기 복수의 단자들은 상기 기록매체 이송경로에 대면되게 배치되는 현상제카트리지.
  21.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광주사유닛;
    현상카트리지의 착탈을 위한 가이드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내부에 형성되는 기록매체 이송경로를 따라 상기 기록매체를 이송하는 기록매체이송유닛;
    상기 광주사유닛에서 조사된 레이저광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
    상기 가이드를 통해 상기 본체에 착탈가능하고, 그 내부에 현상제를 저장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기록매체 이송경로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일측벽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현상제를 상기 감광매체로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현상제이송부재; 및 현상카트리지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일측벽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복수의 단자들을 구비하는 메모리유닛을 포함하는 현상제카트리지; 및
    컨트롤러와 상기 현상제카트리지의 상기 복수의 단자들에 접촉되는 연결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현상제카트리지가 상기 가이드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연결유닛이 상기 복수의 단자들의 하부에서 접촉되도록 상기 기록매체 이송경로의 하부에 배치되는 기판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카트리지가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될 때, 상기 메모리유닛의 상기 복수의 단자들은 상기 기록매체 이송경로에 대면되게 배치되고,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기록매체 이송경로에 대면하는 상기 복수의 단자들과 접촉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100077634A 2010-08-12 2010-08-12 현상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KR2012001549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634A KR20120015494A (ko) 2010-08-12 2010-08-12 현상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US13/206,685 US8737863B2 (en) 2010-08-12 2011-08-10 Developing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634A KR20120015494A (ko) 2010-08-12 2010-08-12 현상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494A true KR20120015494A (ko) 2012-02-22

Family

ID=45564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7634A KR20120015494A (ko) 2010-08-12 2010-08-12 현상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737863B2 (ko)
KR (1) KR2012001549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745175T3 (pl) 2011-08-19 2020-06-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ojemnik z tonerem
JP6091439B2 (ja) * 2014-01-24 2017-03-0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20150106729A (ko) * 2014-03-12 2015-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6566627B2 (ja) * 2014-11-19 2019-08-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およ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6590534B2 (ja) 2015-05-29 2019-10-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N105549361A (zh) * 2015-12-31 2016-05-04 珠海奔图电子有限公司 一种存储元件、使用该存储元件的显影盒及图像形成设备
CN205750283U (zh) * 2015-12-31 2016-11-30 珠海奔图电子有限公司 图像形成设备用粉盒、显影盒及图像形成设备
US9996052B2 (en) 2016-02-10 2018-06-12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capable of being inserted in an apparatus main body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6921538B2 (ja) * 2016-02-10 2021-08-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10082765B2 (en) 2016-03-31 2018-09-25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70370723A1 (en) * 2016-06-28 2017-12-28 The Charles Stark Draper Laboratory, Inc. Electro-optical Phase Modulator Having Stitched-in Vacuum Stable Waveguide with Minimized Conductivity Contrast
JP6658396B2 (ja) * 2016-08-10 2020-03-0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06527081B (zh) * 2016-08-10 2023-06-06 江西亿铂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显影盒
JP6880629B2 (ja) 2016-09-30 2021-06-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18194660A (ja) * 2017-05-17 2018-12-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151106B2 (ja) * 2018-03-12 2022-10-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ドラム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7209205B2 (ja) * 2018-03-30 2023-01-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11402765B2 (en) * 2019-07-15 2022-08-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material container
EP4345543A1 (en) * 2022-09-30 2024-04-03 Zhuhai Pantum Electronics Co., Ltd. Process cartridge, process cartridge group, and image-form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5042A (ja) 1997-07-28 1999-02-16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1133839A (ja) 1997-10-27 1999-05-21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681489B2 (ja) * 2006-03-31 2011-05-11 株式会社沖データ トナー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37863B2 (en) 2014-05-27
US20120039622A1 (en) 2012-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15494A (ko) 현상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DK2397914T4 (en) Developer and imaging apparatus
US909200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first and second storage unit
US741931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N101957585A (zh) 图像形成装置、处理单元盒及其更换寿命管理方法
US770587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ulti-function device
US830105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main unit and process cartridge
CN101387859B (zh) 显影装置、显影装置的存储单元以及成像设备
JP202108933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9205082A (ja) イメージング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596081B2 (ja) 画像形成装置
JP4548498B2 (ja) 画像形成装置
US751583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between toner cartridge and developing unit
JP2001305935A (ja) 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23065942A (ja) 情報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70056433A (ko) 무선 네트워크용 화상형성장치
JP2009116150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ユニット
KR20100000315A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2001171163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