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0315A -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0315A
KR20100000315A KR1020080059762A KR20080059762A KR20100000315A KR 20100000315 A KR20100000315 A KR 20100000315A KR 1020080059762 A KR1020080059762 A KR 1020080059762A KR 20080059762 A KR20080059762 A KR 20080059762A KR 20100000315 A KR20100000315 A KR 20100000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unit
process cartridge
power
force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9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삼석
윤영민
유용준
안병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9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0315A/ko
Publication of KR20100000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3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5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5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 G03G21/1864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associated with a positioning fun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7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의 회전부재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프로세싱 유니트 사이의 지정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측벽을 갖는 하우징;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제1프로세싱 유니트 및 제2프로세싱 유니트; 제1프로세싱 유니트가 설치된 하우징의 상기 제1측벽의 부분에 설치되며, 제1프로세싱 유니트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받는 동력수신부재; 제1측벽과 마주하는 제2측벽에 설치되며, 제1프로세싱 유니트 또는 제2프로세싱 유니트에 인가되는 전원이 연결되는 전원 접점부; 및 제2프로세싱 유니트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제1프로세싱 유니트가 설치된 제1측벽의 부분의 맞은 편인 제1측벽의 부분에 설치되며 제1힘을 받는 피가압부;를 포함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프로세싱 유니트, 피동기어, 간격, 수명감지보드

Description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 량의 현상제와 회전하는 프로세싱 유니트를 포함하고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을 형성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사용의 편의성을 위해 분리형으로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다.
분리형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균일한 화상품질을 얻기 위해,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롤러와 같은 프로세싱 유니트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프로세싱 유니트와 마주하는 회전부재 사이에 설계시 정해진 간격이 유지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감광체를 포함하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는 전사장치가 설치된 경우에,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장착되 면,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감광체와 전사장치는 지정된 간격을 유지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장착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필요한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 단자부에 의해 감광체의 길이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회전하는 프로세싱 유니트의 일측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인가하기 위해 일반적인 전원 단자부는 회전하는 프로세싱 유니트의 회전축 방향으로 탄성을 인가하는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감광체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설치된 구동부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일정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일 예로서, 구동부의 구동기어와 연결되어 종동 회전하는 감광체 구동기어의 구동력 전달을 위한 압력각의 방향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이 결정된다. 상기 압력각은 구동부의 구동기어와 감광체 구동기어 간의 접촉부에서 회전접선방향의 힘의 요소를 갖게 된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가 동작하는 동안 구동부의 구동기어가 감광체 구동기어를 일정 방향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감광체와 전사장치 사이의 지정된 간격이 유지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감광체와 전사장치 사이의 지정된 간격이 유지되지 않으면, 전사성능의 저하로 인해 인쇄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는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설치된 회전부재와 마주하는 분리형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프로세싱 유니트가 본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구성된 다른 구조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현상 롤러와 같은 현상장치를 포함하고,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는 현상장치와 마주하는 감광체가 설치된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인쇄 중에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프로세싱 유니트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설치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프로세싱 유니트와 마주하는 회전부재 사이의 지정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측벽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제1프로세싱 유니트 및 제2프로세싱 유니트; 상기 제1프로세싱 유니트가 설치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측벽의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제1프로세싱 유니트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받는 동력수신부재; 상기 제1측벽과 마주하는 제2측벽에 설치되며, 상기 제1프로세싱 유니트 또는 제2프로세싱 유니트에 인가되는 전원이 연결되는 전원 접점부; 및 상기 제2프로세싱 유니트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프로세싱 유니트가 설치된 제1측벽의 부분의 맞은 편인 상기 제1측벽의 부분에 설치되며 제1힘을 받는 피가압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력수신부재에 제2힘이 인가되고, 상기 전원 접점부에 제3힘이 인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프로세싱 유니트는 현상장치 또는 감광체 중의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가압부는 상기 제2프로세싱 유니트의 중심선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제1측벽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가압부에는 수명감지보드가 설치되며, 상기 수명감지보드에는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설치된 감지 단자부재에 의해 상기 제1힘이 인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감지 단자부재는 복수 개의 감지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수명감지보드는 상기 복수 개의 감지단자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감지단자의 최외측 감지단자는 접지를 위한 그라운드 단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력수신부재는 피동기어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프로세싱 유니트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프로세싱 유니트가 설치된 위치와 반대쪽으로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며, 제4힘을 받는 적어도 한 개의 보조 피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힘, 제3힘, 제4힘 중 적어도 한 개는 탄성력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측벽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제1프로세싱 유니트 및 제2프로세싱 유니트; 상기 제1프로세싱 유니트가 설치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측벽의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제1프로세싱 유니트를 회전시 키는 동력을 받는 동력수신부재; 상기 제1측벽과 마주하는 제2측벽에 설치되며, 상기 제1프로세싱 유니트 또는 제2프로세싱 유니트에 인가되는 전원이 연결되는 전원 접점부; 및 상기 제2프로세싱 유니트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프로세싱 유니트가 설치된 제1측벽의 부분의 맞은 편인 상기 제1측벽의 부분에 설치되며 제1힘을 받는 피가압부;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상기 본체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에 장착되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기 제1프로세싱 유니트와 지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마주보는 회전부재;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기 동력수신부재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재;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기 전원 접점부에 접촉되어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단자부; 및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기 피가압부에 접촉되어 상기 제1힘을 인가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부재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기 동력수신부재로 동력을 전달할 때, 상기 제1프로세싱 유니트와 상기 회전부재 사이의 지정된 간격이 유지되도록 상기 피가압부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기 제1측벽의 제2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피가압부에 인가되는 상기 제1힘은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기 동력수신부재에 인가되는 제2힘 및 상기 전원 단자부에 의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기 전원 접점부에 인가되는 제3힘과 힘의 평형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기 피가압부는 상기 제2프로세싱 유니트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프로세싱 유니트의 맞은 편으로 상기 제1측벽의 후단 부근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기 피가압부에는 수명감지보드가 설치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는 상기 수명감지보드에 접촉하는 감지 단자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감지 단자부재가 상기 수명감지보드에 상기 제1힘을 인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상기 회전부재 쪽으로 미는 적어도 한 개의 보조 가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보조 가압부재에 대응되는 적어도 한 개의 보조 피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보조 가압부재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부재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기 동력수신부재로 동력을 전달하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상기 회전부재 쪽으로 당기는 제2힘이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단자부와 상기 가압부재는 각각 탄성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의 제1프로세싱 유니트는 감광체이며, 상기 본체에 설치된 상기 회전부재는 전사장치, 전사벨트, 인쇄매체 이송벨트 중 하나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제1프로세싱 유니트는 현상장치이며, 상기 본체에 설치된 상기 회전부재는 감광체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수명감지보드로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측벽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제1프로세싱 유니트 및 제2프로세싱 유니트; 상기 제1프로세싱 유니트가 설치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측벽의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제1프로세싱 유니트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받는 동력수신부재; 및 상기 제1측벽과 마주하는 제2측벽에 설치되며, 상기 제1프로세싱 유니트 또는 제2프로세싱 유니트에 인가되는 전원이 연결되는 전원 접점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명감지보드는 상기 제2프로세싱 유니트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프로세싱 유니트가 설치된 제1측벽의 부분의 맞은 편인 상기 제1측벽의 부분에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명감지보드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설치된 감지 단자부재로부터 제1힘을 받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동력수신부재에는 제2힘이 인가되고, 상기 전원 접점부에는 제3힘이 인가되며, 상기 수명감지보드는 상기 제1힘이 상기 제2힘 및 제3힘과 평형을 이루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명감지보드는 복수 개의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 단자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접촉부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감지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 의하면, 인쇄 중에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프로세싱 유니트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설치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프로세싱 유니트와 마주하는 회전부재 사이의 간격이 설계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인쇄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서, 피가압부재로 수명감지보드를 사용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프로세싱 유니트와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설치된 회전부재 사이의 지정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별도의 가압부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비를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형성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스 카트리지(100)가 설치된 화상 형성장치(1)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를 화살표 A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1)는 본체(10), 급지유닛(20), 노광유닛(30), 프로세스 카트리지(100), 전사장치(40), 정착유닛(50), 배지유닛(60), 및 제어부(9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화상형성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는 급지유닛(20), 노광유닛(30), 프로세스 카트리지(100), 전사장치(40), 정착유닛(50), 배지유닛(60), 및 제어부(90)가 설치된다.
급지유닛(20)은 일정 매수의 인쇄매체(P)를 적재하며, 적재된 인쇄매체(P)를 한 장씩 픽업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와 전사장치(40) 사이로 이송한다. 급지유닛(20)은 인쇄매체(P)가 적재되는 급지 카세트(21)와 적재된 인쇄매체(P)를 한 장씩 픽업하여 이송시키는 픽업롤러(22)를 포함한다.
노광유닛(30)은 발광체의 광주사에 의해 인쇄 데이터에 대응되는 화상을 감광체(120) 상에 형성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는 화상형성장치(1)의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감광체(120)에 가시적인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현상제를 저장한다. 이와 같은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는 하우징(110), 제1프로세싱 유니트(100-1), 및 제2프로세싱 유니트(100-2)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프로세싱 유니트(100-1)와 제2프로세싱 유니트(100-2)를 지지하며,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측벽(111,112)을 갖는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측벽(111,112)은 하우징(110)의 폭(W) 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측벽(111,112)은 하우징(110)의 폭(W)과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일정 량의 현상제가 보관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현상제를 교반하는 교반장치(123),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장치(122)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전사장치(40)와 마주하는 하우징(110)의 선단에 제1프로세싱 유니트(120)가 설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1프로세싱 유니트(100-1)는 감광체(120)이다. 감광체(120)는 하우징(110)의 제1 및 제2측벽(111,112)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감광체(120)의 일부는 하우징(110)의 선단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전사장치(40)와 마주한다. 하우징(110)에는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셔터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를 사용하여 정상적인 인쇄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인쇄 시에 셔터부재가 개방되어 제1프로세싱 유니트(100-1)의 일부 또는 전부가 노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100)가 화상형성장치(1)의 본체(10)에 장착될 때, 또는 장착 후 인쇄를 수행하기 전에 셔터부재가 동작하여 하우징(110)의 개구부를 개방함으로써 제1프로세싱 유니트(100-1)가 노출되도록 한다.
감광체(120)의 회전축(121)에는 동력수신부재(130)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 록 설치된다. 동력수신부재(130)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00)가 화상형성장치(1)의 본체(10)에 장착되었을 때, 본체(10)의 구동부재(70, 도 4 참조)로부터 동력을 받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동력수신부재(130)와 구동부재(70)로 각각 피동기어와 구동기어가 사용된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100)가 본체(10)에 장착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감광체 회전축(129)에 설치된 피동기어(130)는 본체(10)의 구동기어(70)와 치합하게 된다.
동력수신부재(130), 즉 피동기어는 하우징(110)을 하우징(110)의 길이방향의 중심선(CL, 도 4 참조)을 기준으로 전사장치(40)와 가까운 쪽의 하우징(110)의 일 측벽(111)에 설치된다. 즉, 하우징(110)의 길이방향의 중심선(CL)에 의해 제1측벽(111)이 2개의 부분(111-1,111-2)으로 나누어질 경우, 전사장치(40)와 가까운 쪽의 제1측벽(111)의 부분을 제1측벽(111)의 제1부분(111-1)이라 하고 전사장치(40)에서 먼 쪽을 제1측벽(111)의 제2부분(111-2)이라 하면, 피동기어(130)는 제1측벽(111)의 제1부분(111-1)에 설치된다. 여기서, 하우징(110)의 길이방향이란 하우징(110)에 설치되는 제1프로세싱 유니트(100-1)나 제2프로세싱 유니트(100-2)의 중심축(100-1C, 100-2C)과 평행한 방향을 말하며, 하우징(110)의 길이방향의 중심선이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길이방향에 직각인 하우징의 폭(W)의 중심을 지나는 선(CL)을 말한다.
피동기어(130)가 구동기어(7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을 전사장치(40) 쪽으로 당기는 제2힘(F2)을 받는다. 부연 설명하면, 구동기어(70)의 치형과 피동기어(130)의 치형이 계합되면서 계합된 면에 작용하는 압력각(pressure angle)의 방향에 의해 도 4의 구조상 전사장치(40) 쪽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100)가 제2힘(F2)을 받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동력수신부재(130)를 감광체(120)의 회전축(129)에 일체로 설치된 피동기어로 형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100)가 본체(10)에 장착되었을 때, 본체(10)의 구동부재(70)로부터 동력을 수신할 수 있는 한 피동기어(130)는 다양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감광체(120)의 일측으로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감광체(120)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제2프로세싱 유니트(100-2)가 감광체(120)와 평행하게 설치된다. 제2프로세싱 유니트(100-2)는 감광체 회전축(129)에 설치된 피동기어(1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구동기어(7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감광체(120)가 회전하는 경우, 제2프로세싱 유니트(100-2)도 회전한다. 다른 실시예로, 제2프로세싱 유니트(100-2)가 본체(10)의 구동기어(70)로부터 직접 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프로세싱 유니트(100-2)는 감광체(120)에 현상제를 공급하여 화상을 현상하기 위한 것으로서, 현상롤러와 같은 현상장치(121)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내측에 현상장치(121)의 일측에는 현상제층 규제장치(미도시), 현상제 공급장치(122), 교반장치(123) 등 이 설치된다.
하우징(110)은 화상형성장치(1)의 본체(10)에 설치된 전원 단자부(80)가 접촉하는 전원 접점부(140)를 포함한다. 전원 접점부(140)는 하우징(110)의 제1 측벽(111)의 제1부분(111-1)과 마주하는 제2측벽(112)의 제1부분(112-1)에 설치된다. 즉, 하우징(110)의 길이방향의 중심선(CL)에 의해 제2측벽(112)을 2개의 부분으로 나눌 경우, 전사장치(40)와 가까운 쪽의 제2측벽(112)의 부분(112-1)에 전원 접점부(140)가 설치된다. 또한, 전원 접점부(140)는 하우징(110)의 제2측벽(112)에 제1프로세싱 유니트(100-1)에 가깝게 제2프로세싱 유니트(100-2)를 벗어나지 않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1)의 본체(10)의 전원부(85)에서 발생된 전원은 전원 단자부(80)와 전원 접점부(140)를 통해 제2프로세싱 유니트(100-2)에 인가된다. 감광체(120)에도 일정 레벨의 전원을 인가할 수도 있으나, 통상적으로는 감광체(120)는 그라운드와 접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전원 단자부(80)는 3상의 고전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3개의 단자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원 접점부(140)는 3개의 단자에 대응되는 3개의 접점(141)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원 단자부(80)를 구성하는 각각의 전원단자(8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캡(82)과 탄성부재(83)를 포함한다. 탄성부재(83)는 코일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단자 캡(82)은 코일 스프링(83)의 일단에 씌우거나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100)가 화상형성장치(1)의 본체(10)에 장착되었을 때, 전원 단자부(80)는 전원 접점부(140)에 소정 크기의 제3힘(F3, 도 5 참조)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제1측벽(111)에는 피가압부(150)가 설치될 수 있다. 구동기어(70)가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피동기어(130)로 동력을 전달할 때, 즉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감광체(120)가 구동기어(7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하는 경우에 감광체(120)가 전사장치(40)와 지정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피가압부(150)가 설치된다. 여기서, 지정된 간격은 감광체(120)에 형성된 화상이 전사장치(40), 또는 전사장치(40)와 감광체(120) 사이로 인입되는 인쇄매체로 전사될 수 있도록 설계시 결정되는 전사 닙(nip)을 의미한다. 따라서, 피가압부(150)는 하우징(110)의 길이방향의 중심선(CL)을 기준으로 피동기어(130)와 반대쪽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피가압부(150)는 하우징(110)의 길이방향의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제1측벽(111)의 제1부분(111-1)의 반대쪽인 제1측벽(111)의 제2부분(111-2)에 설치된다. 또한, 피가압부(1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프로세싱 유니트(100-2)인 현상장치(121)의 중심선(100-2C)을 기준으로 제1프로세싱 유니트(100-1)가 설치된 제1측벽 부분(111-3)의 맞은 편에 해당하는 제1측벽(111)의 부분(111-4)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피가압부(150)에는 화상형성장치(1)의 본체(10)에 설치된 가압부재(101)로부터 제1힘(F1, 도 5 참조)이 인가된다. 이때, 가압부재(101)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피가압부(150)에 인가되는 제1힘(F1)은 구동기어(70)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에 인가되는 제2힘(F2) 및 전원 단자부(80)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전원 접점부(140)에 인가되는 제3힘(F3)과 힘의 평형을 이루도록 정해진다. 따라서, 피가압부(150)는 하우징(110)의 길이방향의 중심선(CL)을 기준으로 동력수신부재(130), 즉 피동기어와 반대쪽으로 하우징(110)의 길이방향 중심선(CL)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곳에 설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피가압부(150)는 제1프로세싱 유니트(100-1)의 중심선(100-1C)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하우 징(110)의 제1측벽(111)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피가압부(150)는 제1프로세싱 유니트(100-1)의 중심선(100-1C)에서 제2프로세싱 유니트(100-2)의 중심선(100-2C)까지의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설치하는 것이 좋다. 일 예로서, 피가압부(150)는 하우징(110)의 제1측벽(111)의 제2부분(111-2)에 제1프로세싱 유니트(100-1)의 중심선(100-1C)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제1측벽(111)의 후단 근처에 설치할 수 있다. 피가압부(150)가 제1프로세싱 유니트(100-1)의 중심선(100-1C)에서 멀리 떨어질수록 가압부재(101)가 피가압부(150)에 인가하는 제1힘(F1)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가압부재(101)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로 하고, 피가압부(150)는 가압부재(101)의 선단을 수용할 수 있는 적절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피가압부(150)가 설치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위치에 수명감지보드를 설치하고, 수명감지보드와 화상형성장치(1)의 제어부(90)를 연결하는 감지 단자부재(101)가 상술한 가압부재의 역할을 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100)가 화상형성장치(1)의 본체(10)에 장착되면, 감지 단자부재(101)가 수명감지보드(150)에 소정 크기의 제1힘(F1)을 가할 수 있다.
수명감지보드(150)는 화상형성장치(1)의 본체(10)에 설치된 제어부(90)가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수명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에 저장된 현상제의 양을 검출하여 제어부(90)로 전달한다. 또한, 수명감지보드(150)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제조정보 등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와 관한 여러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수명감지보드(150)에는 본체(10)에 설치된 감지 단자부재(101)의 감지단자(102)와 접촉되는 접촉부(151)가 마련된다. 제어부(90)와의 신호 전달을 위해 접촉부(151)는 2개 이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감지 단자부재(101)도 수명감지보드(150)의 접촉부(151)에 대응하여 2개 이상의 감지단자(102)를 포함한다.
감지 단자부재(101)의 감지단자(102)는 상술한 전원 단자부(80)의 전원단자(81)와 유사한 구조로 형성된다. 즉, 감지단자(10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 캡(103)과 탄성부재(104)로 구성된다. 탄성부재(104)는 코일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감지 캡(103)은 코일 스프링(104)의 일단에 씌우거나 연결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100)가 화상형성장치(1)의 본체(10)에 장착되면, 감지단자(102)가 수명감지보드(150)의 접촉부(151)에 소정 크기의 제1힘(F1)을 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명감지보드(150)는 4개의 접촉부(151)를 포함하고, 감지 단자부재(101)는 4개의 감지단자(102)를 포함한다. 상기 4개의 감지단자(102)는 통상적으로 수명감지보드(150)의 접지를 위한 그라운드 단자,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단자, 클럭 전송을 위한 클럭 단자, 전원 전송을 위한 전원단자를 포함한다.
감지 단자부재(101)의 4개의 감지단자(102)와 이에 대응하는 수명감지보드(150)의 4개의 접촉부(151)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장착방향으로 거의 평행하도록 배치되며, 4개의 감지단자(102) 중 최외측에 있는 그라운드 단자와 그라운드 단자에 대응하는 접촉부는, 접촉과정에서 다른 단자 및 이에 각 대응하는 접촉부와 비교하여 먼저 접촉하고, 나중에 접촉이 떨어지게 된다. 즉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탈착 및 장착과정 중의 수명감지보드(150)의 보호를 위해, 장 착과정에서는 그라운드 단자가 다른 단자들보다 접촉이 빨리 일어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탈착과정에서는 그라운드 단자가 다른 단자들보다 접촉이 늦게 떨어지게 되어, 안정적인 접지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피가압부 또는 수명감지보드(150)가 동력수신부재(130), 즉 피동기어와 반대쪽으로 제1프로세싱 유니트(100-1)의 중심선(100-1C)에서 가장 멀리 떨어지도록 제1측벽(111)에 설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구조에 따라 피가압부 또는 수명감지보드(150)는 제1측벽(111)에서 제1프로세싱 유니트(100-1)의 중심선(100-1C)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곳에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에 작용하는 제2힘(F2) 및 제3힘(F3)의 크기에 따라 제1힘(F1)의 크기와 작용위치를 전부 또는 그 중 어느 한 가지를 변경하여 제1힘(F1)이 제2힘(F2) 및 제3힘(F3)과 평형을 이루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일 제1힘(F1)이 인가되는 피가압부(150)에 설치되는 수명감지보드에 4개의 감지단자(102)가 접촉되도록 구성된 경우, 동일한 탄성력이 각 감지단자(102)에 적용된다고 하면, 3개의 감지단자(102)가 수명감지보드(150)에 가하는 탄성력보다는 4개의 감지단자(102)가 가하는 탄성력이 더 세지게 된다. 이 경우 피가압부(150)가 제1프로세싱 유니트(100-1)의 중심선(100-1C)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제1측벽(111)의 부분에 설치될 필요는 없으며, 좀더 제2프로세싱 유니트(100-2)의 중심선(100-2C)에 가까운 곳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에 가해지는 힘의 평형을 위해서 피가압부 또는 수명감지보드(150)는 제1측벽(111)의 제2부분(111-2), 또는 제2프로세싱 유니트(100-2)의 중심선(100-2C)을 기준으로 제1프로세싱 유니트(100-1)가 설치된 제1측벽 부분(111-3)의 맞은 편인 제1측벽의 부분(111-4)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00)가 화상형성장치(1)의 본체(10)에 장착되었을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프로세싱 유니트(40) 쪽으로 미는 제4힘(F4-1,F4-2)(도 7 참조)이 인가되는 적어도 한 개의 보조 피가압부(160,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가압부재(161,171)에 의해 보조 피가압부(160,170)에 인가되는 제4힘(F4-1,F4-2)은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감광체(120)가 전사장치(40)와의 지정된 간격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적어도 한 개의 보조 피가압부(160,170)는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의 중심선(CL)을 기준으로 감광체(120)가 설치된 위치와 반대쪽으로 하우징(110)의 외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의 본체(10)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적어도 한 개의 보조 피가압부(160,170)를 가압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를 전사장치(40) 쪽으로 미는 적어도 한 개의 보조 가압부재(161,171)가 설치된다.
보조 가압부재(151,17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캡(162,172)과 탄성부재(163,17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에 2개의 보조 피가압부(160,170)가 형성되며, 본체(10)에는 2개의 보조 가압부재(161,171)가 마련된다. 도 6에서는 보조 피가압부(160,170)가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후방으로 돌출된 2개의 후방 암(113,114)에 설치되어 있으나, 보조 피가압부(160,170)의 설치위치가 이곳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조 피가압부(160,170)는 2개의 후방 암(113,114)의 사이의 하우징(110)의 외면(115)에 설치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에 후방 암(113,114, 도 9 참조)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보조 피가압부(160,170)는 하우징(110")의 외면에 설치된다. 보조 가압부재(161,171)는 본체(10)에 대해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된 커버(미도시)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만일 가압부재 또는 감지 단자부재(101)에 의해 인가되는 제1힘(F1)만으로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감광체(120)가 전사장치(40)와 지정된 간격을 유지할 수 없는 경우에는, 보조 가압부재(161,171)에 의해 인가되는 제4힘(F4-1,F4-2)의 크기 및 작용위치를 조절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감광체(120)가 본체(10)에 설치된 전사장치(40)와 지정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보조 가압부재(161,171)와 보조 피가압부(160,170)를 2개로 형성하였으나, 보조 가압부재(161,171)와 보조 피가압부(160,170)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조 가압부재(161,171)와 보조 피가압부(160,170)가 상기와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는 한, 보조 가압부재(161,171)와 보조 피가압부(160,170)는 1개 또는 3개 이상 설치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전사장치(40)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감광체(120)와 마주하며 회전하도록 화상형성장치(1)의 본체(10)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전사장치(40)가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제1프로세싱 유니트(100-1)인 감광체(120)와 마주하는 회전부재가 된다. 전사장치(40)는 감광체(120)와 지정된 간격을 유지하며, 급지유닛(20)으로부터 이송된 인쇄매체(P)가 전사장치(40)와 감광체(120) 사이를 통과하 는 동안 감광체(120)에 형성된 가시화상이 인쇄매체(P)로 전사되도록 한다.
정착유닛(50)은 가열롤러(51)와 가압롤러(52)를 포함하며, 전사장치(40)와 감광체(120) 사이를 통과하는 동안 가시화상이 전사된 인쇄매체(P)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가시화상이 인쇄매체(P)에 정착되도록 한다.
배지유닛(60)은 한 쌍의 배지롤러로 구성되며, 정착유닛(50)을 통과한 인쇄매체(P)를 화상형성장치(1)의 본체(10) 외부로 배출한다.
제어부(90)는 화상형성장치(1)를 구성하는 급지유닛(20), 노광유닛(30), 프로세스 카트리지(100), 전사장치(40), 정착유닛(50), 및 배지유닛(60)을 제어하여 인쇄매체(P)에 인쇄 데이터에 대응되는 소정의 화상을 인쇄한다. 이 제어부(90)는 감지 단자부재(101)를 통해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수명감지보드(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수명과 같은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여러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90)는 전원 단자부(80)를 통해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전원 접점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부(85)를 제어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제어부(90)가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인쇄를 하는 것은 종래기술의 제어부와 유사하므로 제어부(9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1)가 인쇄를 하는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화상형성장치(1)의 제어부(90)가 인쇄명령을 수신하면, 노광유닛(30)을 제어하여 인쇄 데이터에 대응되는 레이저 빔을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감광체(120) 로 주사한다.
또한, 제어부(90)는 본체(10)에 설치된 구동기어(70)를 회전시켜,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감광체(120)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노광유닛(30)에서 주사된 레이저 빔에 의해 감광체(120)에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감광체(120)가 계속 회전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내측에 설치된 제2프로세싱 유니트(100-2)가 현상제를 공급하여 감광체(120)의 정전잠상을 가시화상으로 현상한다.
또한, 제어부(90)는 급지유닛(20)을 제어하여 급지 카세트(21)에 적재된 인쇄매체(P)를 한 장 픽업하여 전사장치(40)와 감광체(120) 사이로 이송시킨다.
한편,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감광체(120)가 본체(10)의 구동기어(70)로부터 동력을 받아 회전할 때, 전사장치(40)와 감광체(120) 사이의 지정된 간격이 유지되므로 감광체(120)에 형성된 가시화상은 감광체(120)와 전사장치(40) 사이로 이송된 인쇄매체(P)로 일정하게 전사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스 카트리지(100)가 화상형성장치(1)의 본체(10)에 장착되어,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감광체(120)가 본체(10)의 구동기어(7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때, 감광체(120)와 전사장치(40) 사이의 지정된 간격이 유지되는 작용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00)가 본체(10)에 장착되었을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와 본체(10)의 구동기어(70), 전원 단자부(80), 감지 단자부재(101)와의 배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감광체(120)가 동력을 받아 회전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에 작용하는 힘들(F1,F2,F3)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100)가 본체(10)에 장착되면, 본체(10)의 전원 단자부(80)에 의해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는 감광체(120)의 길이방향으로 작용하는 제3힘(F3)(도 5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를 오른쪽으로 미는 힘)을 받는다. 또한, 피동기어(130)가 본체(10)의 구동기어(70)로부터 동력을 받아 회전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는 전사장치(40) 쪽(도 4의 상측 방향)으로 제2힘(F2)을 받는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는 제2힘(F2)과 제3힘(F3)에 의해 도 5의 화살표 F23의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이 경우,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는 도 5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사장치(40)의 표면을 나타내는 선 B에 대해 틀어지게 된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감광체(120)는 전사장치(40)에 대해 지정된 간격을 유지할 수 없다.
이때,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수명감지보드(150)에 감지 단자부재(101)가 접촉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는 도 5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를 왼쪽으로 미는 제1힘(F1)을 받게 된다. 이 제1힘(F1)은 프로세스 카트리지(100)가 틀어지려는 힘을 상쇄시켜, 프로세스 카트리지(100)가 도 5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사장치(40)의 표면을 나타내는 선 B에 대해 지정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감광체(120)가 회전하는 경우에도, 감광체(120)와 전사장치(40) 사이의 지정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에 2개의 보조 피가압부(160,170)가 설치되고, 화상형성장치(1)의 본체(10)에 2개의 보조 가압부재(161,171)가 설치된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 카트리 지(100)에 2개의 제4힘(F4-1,F4-2)이 작용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를 전사장치(40) 쪽으로 밀게 된다. 따라서,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감광체(120)가 회전할 때, 감광체(120)와 전사장치(40) 사이의 간격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감광체(120)과 전사장치(40) 사이를 지나며 화상이 전사된 인쇄매체(P)는 정착유닛(50)으로 이동한다. 인쇄매체(P)가 정착유닛(50)의 가열롤러(51)와 가압롤러(52) 사이를 통과하면, 열과 압력에 의해 인쇄매체(P)에 전사된 가시화상이 정착된다. 화상이 정착된 인쇄매체(P)는 배지유닛(60)에 의해 화상형성장치(1)의 본체(10)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에 감광체(120)가 설치되고, 화상형성장치(1)의 본체(10)에는 감광체(120)에 대응되는 전사장치(40)가 설치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즉, 제1프로세싱 유니트(100-1)는 감광체(120)이고, 제2프로세싱 유니트(100-2)는 감광체(120)에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현상롤러와 같은 현상장치(121)이고, 제2 프로세싱 유니트(100-2)의 일측으로 하우징(110) 내부에는, 현상제 공급장치(122), 현상제층 규제장치(미도시), 교반장치(123) 등의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감광체(120)가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에 일체로 설치되지 않고 본체(10)에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와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는 현상제와, 감광체로 현상제를 공급하기 위한 현상롤러와 같은 현상장치(121), 현상제 공급장치(122), 현상제층 규제장치, 교반 장치(123)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를 나타낸 부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제1프로세싱 유니트(100-1)는 현상장치(121)가 되고, 제1프로세싱 유니트(100-1)와 마주하도록 화상형성장치(1)의 본체(10)에 설치된 회전부재(40)는 감광체(120)가 된다. 제2프로세싱 유니트(100-2)는 제1프로세싱 유니트(100-1)인 현상장치(121)로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장치(122)이다. 또한, 하우징(110')의 내측에는 현상제층 규제장치, 교반장치(123) 등의 구성요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설치된다.
한편, 화상형성장치(1)의 본체(10)의 전원부(85)에서 발생된 전원은 전원 단자부(80)와 전원 접점부(140)를 통해 제2프로세싱 유니트(100-2)에 인가된다. 여기서 제2프로세싱 유니트(100-2)는 현상장치(121)로 공급되는 현상제를 이송하기 위한 현상제 공급장치(122)이다. 또한, 전원 접점부(140)를 통해 인가된 전원은 현상제층 규제장치, 교반장치(123) 등에 인가될 수 있다. 물론 제1프로세싱 유니트(100-1)인 현상장치(121)에도 본 전원 단자부(80)와 전원 접점부(140)를 통해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스 카트리지(100')는 제1프로세싱 유니트(100-1)가 현상장치(121)이고 회전부재(40)가 감광체(120)이며, 제2프로세싱 유니트(100-2)가 현상제 공급장치(122)인 것을 제외하고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스 카트리지(100')가 화상형성장치(1)의 본체 (10)에 장착되면,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현상장치(121)가 본체(10)로 부터 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경우에도,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현상장치(121)와 본체(10)에 설치된 감광체(120) 사이의 지정된 간격이 유지된다. 여기서 지정된 간격은 현상장치(121)의 현상제가 감광체(120)로 이동하여 감광체(120)의 정전잠상을 가시화상으로 현상할 수 있도록 설계시 정해진 현상 닙(nip)을 말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감광체(120)를 포함하나, 화상형성장치(1)의 본체(10)에는 감광체(120)와 마주하는 전사벨트 또는 인쇄매체 이송벨트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는 본 발명에 의한 프로세스 카트리지(100)의 제1프로세싱 유니트(100-1)는 감광체(120)이고, 본체(10)에 설치된 회전부재(40)는 전사벨트 또는 인쇄매체 이송벨트가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화상형성장치는 회전부재(40)가 전사벨트 또는 인쇄매체 이송벨트인 것을 제외하고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스 카트리지(100) 및 화상형성장치(1)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행할 수 있는 단순한 구성요소의 치환, 부가, 삭제, 변경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 범위 내에 속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설치된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A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스 카트리 지를 나타낸 부분도;
도 5는 도 4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작용하는 힘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나타낸 부분도;
도 7은 도 6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작용하는 힘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나타낸 부분도;
도 9는 하우징의 폭과 제1 및 제2측벽의 길이가 동일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도;
도 10은 후방 암을 구비하지 않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화상형성장치 10; 본체
20; 급지유닛 30; 노광유닛
40; 회전부재(전사프로세싱 유니트) 50; 정착유닛
80; 전원 단자부 85; 전원부
90; 제어부 100; 프로세스 카트리지
100-1; 제1프로세싱 유니트 100-2; 제2프로세싱 유니트
101; 감지 단자부재 102; 감지단자
103; 감지 캡 104; 탄성부재
110; 하우징 111,112; 측벽
113,114; 후방 암 120; 감광체
121; 현상장치 122; 현상제 공급장치
129; 감광체 회전축 130; 동력수신부재(피동기어)
140; 고압 접점부 141; 접점
150; 피가압부(수명감지보드) 151; 접촉부
160,170; 보조 피가압부 161,171; 보조 가압부재

Claims (26)

  1.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측벽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제1프로세싱 유니트 및 제2프로세싱 유니트;
    상기 제1프로세싱 유니트가 설치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측벽의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제1프로세싱 유니트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받는 동력수신부재;
    상기 제1측벽과 마주하는 제2측벽에 설치되며, 상기 제1프로세싱 유니트 또는 제2프로세싱 유니트에 인가되는 전원이 연결되는 전원 접점부; 및
    상기 제2프로세싱 유니트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프로세싱 유니트가 설치된 제1측벽의 부분의 맞은 편인 상기 제1측벽의 부분에 설치되며 제1힘을 받는 피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프로세스 카트리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수신부재에 제2힘이 인가되고, 상기 전원 접점부에 제3힘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프로세스 카트리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로세싱 유니트는 현상장치 또는 감광체 중의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프로세스 카트리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압부는 상기 제2프로세싱 유니트의 중심선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제1측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프로세스 카트리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압부에는 수명감지보드가 설치되며, 상기 수명감지보드에는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설치된 감지 단자부재에 의해 상기 제1힘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프로세스 카트리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단자부재는 복수 개의 감지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수명감지보드는 상기 복수 개의 감지단자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프로세스 카트리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감지단자의 최외측 감지단자는 접지를 위한 그라운드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프로세스 카트리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수신부재는 피동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프로세스 카트리지.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로세싱 유니트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프로세싱 유니트가 설치된 위치와 반대쪽으로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며, 제4힘을 받는 적어도 한 개의 보조 피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프로세스 카트리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힘, 제3힘, 제4힘 중 적어도 한 개는 탄성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용 프로세스 카트리지.
  11. 화상형성장치의 본체;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측벽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제1프로세싱 유니트 및 제2프로세싱 유니트; 상기 제1프로세싱 유니트가 설치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측벽의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제1프로세싱 유니트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받는 동력수신부재; 상기 제1측벽과 마주하는 제2측벽에 설치되며, 상기 제1프로세싱 유니트 또는 제2프로세싱 유니트에 인가되는 전원이 연결되는 전원 접점부; 및 상기 제2프로세싱 유니트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프로세싱 유니 트가 설치된 제1측벽의 부분의 맞은 편인 상기 제1측벽의 부분에 설치되며 제1힘을 받는 피가압부;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상기 본체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에 장착되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기 제1프로세싱 유니트와 지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마주보는 회전부재;
    상기 본체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기 동력수신부재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재;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기 전원 접점부에 접촉되어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단자부; 및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기 피가압부에 접촉되어 상기 제1힘을 인가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기 동력수신부재로 동력을 전달할 때, 상기 제1프로세싱 유니트와 상기 회전부재 사이의 지정된 간격이 유지되도록 상기 피가압부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기 제1측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피가압부에 인가되는 상기 제1힘은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기 동력수신부재에 인가되는 제2힘 및 상기 전원 단자부에 의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기 전원 접점부에 인가되는 제3힘과 힘의 평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기 피가압부는 상기 제2프로세싱 유니트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프로세싱 유니트의 맞은 편으로 상기 제1측벽의 후단 부근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기 피가압부에는 수명감지보드가 설치되고,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는 상기 수명감지보드에 접촉하는 감지 단자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감지 단자부재가 상기 수명감지보드에 상기 제1힘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상기 회전부재 쪽으로 미는 적어도 한 개의 보조 가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보조 가압부재에 대응되는 적어도 한 개의 보조 피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한 개의 보조 가압부재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기 동력수신부재로 동력을 전달하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상기 회전부재 쪽으로 당기는 제2힘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단자부와 상기 가압부재는 각각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1.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제1프로세싱 유니트는 감광체이며,
    상기 본체에 설치된 상기 회전부재는 전사장치, 전사벨트, 인쇄매체 이송벨트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제1프로세싱 유니트는 현상장치이며,
    상기 본체에 설치된 상기 회전부재는 감광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3. 화상형성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수명감지보드로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측벽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제1프로세싱 유니트 및 제2프로세싱 유니트; 상기 제1프로세싱 유니트가 설치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측벽의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제1프로세싱 유니트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받는 동력수신부재; 및 상기 제1측벽과 마주하는 제2측벽에 설치되며, 상기 제1프로세싱 유니트 또는 제2프로세싱 유니트에 인가되는 전원이 연결되는 전원 접점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명감지보드는 상기 제2프로세싱 유니트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프로세싱 유니트가 설치된 제1측벽의 부분의 맞은 편인 상기 제1측벽의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수명감지보드.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수명감지보드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에 설치된 감지 단자부재로부터 제1힘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수명감지보드.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수신부재에는 제2힘이 인가되고, 상기 전원 접점부에는 제3힘이 인가되며,
    상기 수명감지보드는 상기 제1힘이 상기 제2힘 및 제3힘과 평형을 이루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수명감지보드.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수명감지보드는 복수 개의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 단자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접촉부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감지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수명감지보드.
KR1020080059762A 2008-06-24 2008-06-24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KR201000003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762A KR20100000315A (ko) 2008-06-24 2008-06-24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762A KR20100000315A (ko) 2008-06-24 2008-06-24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315A true KR20100000315A (ko) 2010-01-06

Family

ID=41810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9762A KR20100000315A (ko) 2008-06-24 2008-06-24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03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74774A (ja) * 2015-10-14 2017-04-20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給紙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74774A (ja) * 2015-10-14 2017-04-20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給紙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0222B1 (ko)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0910692B1 (ko) 전자사진 컬러 화상 형성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용 이동 부재
JP5084257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811201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631219B1 (ko)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CN100568117C (zh) 辊分离单元和具有该单元的成像装置
US2011005225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EP1947525B1 (en) Developing-transferring modul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735377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9157206A (ja) 画像形成装置
US20230273545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70587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ulti-function device
KR20120048327A (ko) 화상형성장치
US8538291B2 (en) Developing cartridge
US758392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ransfer unit
US9031458B2 (en) Process unit having drum cartridge and developer cartridge
US2013010728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736568B2 (ja)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カートリッジ
KR20100000315A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6946017B2 (ja) 画像形成装置
WO2021065566A1 (ja) 画像形成装置
JP2016151727A (ja) 電子部品の取付構造、着脱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428480B1 (ko) 화상형성기기
JP7297571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261112B2 (ja) 第1コネクタ、これに接続される第2コネクタ及びこれらを含むコネクタセ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