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4800A - 인버티드 파워 앤 프리 컨베이어장치 - Google Patents

인버티드 파워 앤 프리 컨베이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4800A
KR20120014800A KR1020100076993A KR20100076993A KR20120014800A KR 20120014800 A KR20120014800 A KR 20120014800A KR 1020100076993 A KR1020100076993 A KR 1020100076993A KR 20100076993 A KR20100076993 A KR 20100076993A KR 20120014800 A KR20120014800 A KR 20120014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trolley
dog
bogie
pu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6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태욱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6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4800A/ko
Publication of KR20120014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48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8Chains or like traction elements; Connections between traction elements and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usher Or Impeller Conveyors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버티드 파워 앤 프리 컨베이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대차에 실린 운반물을 하부 체인구동방식으로 운반할 뿐 아니라, 필요한 장소에 정지 및 별도의 장치 없이 적재할 수 있도록 하고, 대차의 적재순간 즉 선행 대차의 푸셔에 후행 대차의 후크가 접촉하여 후크가 진행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도그와 분리되고 대차와 운반물의 관성에 의하여 진행하는 거리를 길게 함으로써 충격과 소음을 감소시키고, 후크를 장착하고 있는 힌지핀을 양단 고정보의 형태로 변경하여 중량물의 이송에 적합하도록 하며, 이와 함께 대차의 적재 순간에 후크가 푸셔에 의해 과도하게 회전하여 후크의 날개부가 체인 도그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적재의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인버티드 파워 앤 프리 컨베이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상부레일 및 하부레일과, 상기 상부레일 상에 설치되고 운반물이 놓여지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중심트롤리와, 상기 전방에 위치한 중심트롤리에 연결바를 통해 연결되는 선단트롤리와, 상기 후방에 위치한 중심트롤리에 연결바를 통해 연결되는 후단트롤리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대차와, 상기 하부레일에 설치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도그가 구비되어 있는 구동체인과, 상기 선단트롤리에 힌지 고정되어 상기 도그에 걸려짐으로써 대차가 구동체인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후크와 상기 후단트롤리에 설치되어 상기 후크가 도그에서 탈착될 수 있도록 하는 푸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컨베이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도그에 걸려질 수 있도록 힌지를 중심으로 일측단에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걸림고리; 상기 걸림고리의 반대면에 형성되어 걸림고리가 도그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또한 하부경사구간에서 갑작스런 폭주를 방지하는 밀림방지턱; 상기 힌지를 타측에 형성되어 푸셔에 의해 밀려짐으로써 후크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도그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밀림날개;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인버티드 파워 앤 프리 컨베이어장치{INVERTED POWER AND FREE CONVEYOR}
본 발명은 인버티드 파워 앤 프리 컨베이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파워라인 단속부에서 별도의 장치 없이 캐리어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고, 레일의 교차부에서 캐리어의 이송이 가능하며, 캐리어 정지시 도그와 캠과의 접촉소음을 제거함으로써 작업환경을 향상시키고 고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인버티드 파워 앤 프리 컨베이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제작공장에서는 차량본체가 일정한 속도로 구동 되는 컨베이어 장치에 의해 이송되면서 각종 부품들로 조립되는 대량 생산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종래의 컨베이어 장치는 소정의 간격으로 상,하부레일이 위치하고, 하부레일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도그가 구비되어 있는 구동체인이 설치되고, 상부레일에는 상기 도그에 탈착되면서 이동되는 대차가 설치된다.
상기 대차는 상기 도그에 걸려지기 위한 후크가 설치되어 있는 선단트롤리와 푸셔가 설치되어 있는 후단트롤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컨베이어 장치는 다수의 대차가 정지할 경우 이동하던 대차가 정지하면서 발생되는 충격과 소음이 커 작업환경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하는 대차의 푸셔에 의해 후행하는 대차의 후크가 과도하게 회전하여 후크가 도그에 접촉됨으로써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차에 실린 운반물을 하부 체인구동방식으로 운반할 뿐 아니라, 필요한 장소에 정지 및 별도의 장치 없이 적재할 수 있도록 하고, 대차의 적재순간 즉 선행 대차의 푸셔에 후행 대차의 후크가 접촉하여 후크가 진행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도그와 분리되고 대차와 운반물의 관성에 의하여 진행하는 거리를 길게 함으로써 충격과 소음을 감소시키고, 후크를 장착하고 있는 힌지핀을 양단 고정보의 형태로 변경하여 중량물의 이송에 적합하도록 하며, 이와 함께 대차의 적재 순간에 후크가 푸셔에 의해 과도하게 회전하여 후크의 날개부가 체인 도그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적재의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인버티드 파워 앤 프리 컨베이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상부레일 및 하부레일과, 상기 상부레일 상에 설치되고 운반물이 놓여지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중심트롤리와, 상기 전방에 위치한 중심트롤리에 연결바를 통해 연결되는 선단트롤리와, 상기 후방에 위치한 중심트롤리에 연결바를 통해 연결되는 후단트롤리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대차와, 상기 하부레일에 설치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도그가 구비되어 있는 구동체인과, 상기 선단트롤리에 힌지가 고정되어 상기 도그에 걸려짐으로써 대차가 구동체인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후크와 상기 후단트롤리에 설치되어 상기 후크가 도그에서 탈착될 수 있도록 하는 푸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컨베이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도그에 걸려질 수 있도록 힌지를 중심으로 일측단에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걸림고리; 상기 걸림고리의 반대면에 형성되어 걸림고리가 도그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또한 하부경사구간에서 갑작스런 폭주를 방지하는 밀림방지턱; 상기 힌지를 타측에 형성되어 푸셔에 의해 밀려짐으로써 후크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도그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밀림날개;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그는, 상기 후크의 걸림고리가 걸려질 수 있도록 일단에 형성되는 걸림턱; 상기 후크의 밀림방지턱이 걸려질 수 있도록 상기 걸림턱에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이탈방지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푸셔는, 상기 후크의 설치구조에 간섭받지 않고 후크의 밀림날개를 밀어줄 수 있도록 중심부에 간섭방지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대차의 적재순간 즉 선행 대차의 푸셔에 후행 대차의 후크가 접촉하여 후크가 진행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도그와 분리되고 대차와 운반물의 관성에 의하여 진행하는 거리를 길게 함으로써 충격과 소음을 감소시키고, 후크를 장착하고 있는 힌지핀을 양단 고정보의 형태로 변경하여 중량물의 이송에 적합하며, 대차의 적재 순간에 후크가 푸셔에 의해 과도하게 회전하여 후크의 날개부가 체인 도그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적재의 안정성을 확보해주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컨베이어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대차가 후크를 통해 도그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대차가 후크를 통해 도그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후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도그를 나타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후단트롤리에 푸셔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후단트롤리에 푸셔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대차의 적재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대차의 적재시 후크가 도그에서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 은 본 발명에 의한 대차가 구동체인의 도그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컨베이어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대차가 후크를 통해 도그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대차가 후크를 통해 도그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후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상부레일(400) 및 하부레일(410)과, 상기 하부레일(410)에 설치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도그(510)가 설치되어 있는 구동체인(500)과, 상기 상부레일(400)에 설치되어 운반물을 이동시켜주는 대차(100)와, 상기 대차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체인의 도그(510)에 걸려짐으로써 대차(100)가 구동체인(500)의 작동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후크(200)와, 상기 대차(100)의 후방에 설치되어 후크(200)가 도그(510)에서 탈착될 수 있도록 하는 푸셔(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대차(100)는 운반물이 놓여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받침판(110)과, 상기 받침판(110)의 하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중심트롤리(120)와, 상기 전방에 위치한 중심트롤리(120)에 연결바(150)를 통해 연결되는 선단트롤리(130)와, 상기 후방에 위치한 중심트롤리(120)에 연결바(150)를 통해 연결되는 후단트롤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후크(200)는 상기 선단트롤리(130)에 힌지핀(240)을 통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도그(510)에 걸려질 수 있도록 힌지핀(240)을 중심으로 일측단에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걸림고리(210)와, 상기 걸림고리(210)의 반대면에 형성되어 후크(200)가 도그(1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또한 하부경사구간에서 갑작스런 폭주를 방지하는 밀림방지턱(220)과, 상기 힌지핀(240)을 중심으로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푸셔(300)에 의해 밀려짐으로써 후크(200)가 힌지핀(240)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걸림고리(210)의 걸림 상태가 해지될 수 있도록 하는 밀림날개(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후크(200)는 상기 선단트롤리(130)에 서포트(250)를 통해 중심부가 힌지핀(240)으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후크(200)는 힌지핀(240)을 중심으로 걸림고리(210)가 형성되어 있는 일측단이 밀림날개(230)가 형성되어 있는 타측단보다 무겁게 구성되어 자중에 의해 걸림고리(210)가 하부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위치됨으로써 상기 도그(120)에 걸려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후크(200)는 도 4 에서와 같이 대차(100)가 적재되는 순간에 밀림날개(230)가 서포트에 걸려지게 되어 과도하게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도그 정면도(a), 평면도(b) 측면도(c)를 나타내 예시도로서, 상기 도그(510)는 후크(200)가 걸려질 수 있도록 구동체인(500)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후크(200)의 걸림고리(210)가 걸려질 수 있도록 일단에 형성되는 걸림턱(511)과 , 상기 후크(200)의 밀림방지턱(220)이 걸려질 수 있도록 상기 걸림턱(511)에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이탈방지턱(5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후단트롤리에 푸셔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후단트롤리에 푸셔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상기 푸셔(300)는, 후크(200)를 설치하기 위한 서포트(250)에 간섭받지 않고 밀림날개(230)를 밀어줄 수 있도록 'ㄷ'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중심부에 간섭방지홈(3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푸셔(300)는 후크(200)를 밀어 도그(510)에서 이탈되도록 한 상태에서 간섭방지홈(310)의 깊이에 대한 거리만큼 진행 후 멈추게 됨으로써 대차(100)가 감속할 수 있는 거리를 갖게 되며 이로 인해 충격과 소음을 저하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컨베이어 장치의 작동 과정을 도 8, 9, 10을 통해 설명하면, 후크(200)의 걸림고리(210)가 도그(510)의 걸림턱(511)에 걸려진 상태에서 다수의 대차(100)가 구동체인(500)에 의해 이동한다.
이때 대차(100)를 멈추기 위해서는 스토퍼(도시없음)를 작동하여 다수의 대차(100)들 중 선두에 위치한 대차(100)의 후크(200)를 도그(510)에서 이탈시켜 준다.
이렇게 선두에 위치한 대차(100)가 도그(510)에서 이탈되어 대차(100)가 멈추게 되면 멈춰진 대차(100)의 후단트롤리(140)에 설치된 푸셔(300)가 후행하는 대차(100)의 선단트롤리(130)에 설치된 후크(200)를 힌지핀(240)을 중심으로 대차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후크(200)가 도그(510)에서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후방에 위치하는 대차(100) 또한 멈춰지게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푸셔(300)가 후크(200)의 밀림날개(230)를 밀어주게 되면 후크(200)는 힌지핀(240)을 중심으로 대차(100)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도그(510)의 걸림턱(511)에 걸려져 있던 후크(200)의 걸림고리(210)가 도그(510)에서 이탈되면서 구동체인(500)과 분리되어 멈추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동으로 인해 후행하는 대차(100)는 선행하는 대차(100)의 푸셔(300)에 의해 후크(200)가 작동하여 도그(510)에서 연속적으로 이탈됨으로써 다수의 대차(100)들이 멈춰지면서 적재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와 같이 적재된 대차(100)들을 다시 작동하기 위해서는 스토퍼를 작동시켜 선두에 위치한 대차(100)의 후크(200)가 하부레일(410)을 따라 이동하는 구동체인(500)의 도그(510)에 걸려지도록 한다.
이렇게 선두에 위치한 대차(100)가 도그(510)에 걸려져 전방으로 진행하게 되면, 대차(100)의 후단트롤리(140)에 설치된 푸셔(30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후크(200)가 자중에 의해 대차(100)의 진행방향으로 회전하여 구동체인(500)에 설치된 도그(510)에 걸려지게 됨으로써 후행하는 대차(100)들도 전방으로 진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적재되어 있던 다수의 대차들이 연속적으로 도그에 걸려져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대차 (110) : 받침판
(120) : 중심트롤리 (130) : 선단트롤리
(140) : 후단트롤리 (150) : 연결바
(200) : 후크 (210) : 걸림고리
(220) : 밀림방지턱 (230) : 밀림날개
(240) : 힌지핀 (250) : 서포트
(300) : 푸셔 (310) : 간섭방지홈
(400) : 상부레일 (410) : 하부레일
(500) : 구동체인 (510) : 도그
(511) : 걸림턱 (512) : 이탈방지턱

Claims (3)

  1.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는 상부레일 및 하부레일과, 상기 상부레일 상에 설치되고 운반물이 놓여지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중심트롤리와, 상기 전방에 위치한 중심트롤리에 연결바를 통해 연결되는 선단트롤리와, 상기 후방에 위치한 중심트롤리에 연결바를 통해 연결되는 후단트롤리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대차와, 상기 하부레일에 설치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도그가 구비되어 있는 구동체인과, 상기 선단트롤리에 힌지 고정되어 상기 도그에 걸려짐으로써 대차가 구동체인에 의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후크와 상기 후단트롤리에 설치되어 상기 후크가 도그에서 탈착될 수 있도록 하는 푸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컨베이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도그에 걸려질 수 있도록 힌지를 중심으로 일측단에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걸림고리;
    상기 걸림고리의 반대면에 형성되어 후크가 도그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또한 하부경사구간에서 갑작스런 폭주를 방지하는 밀림방지턱;
    상기 힌지를 타측에 형성되어 푸셔에 의해 밀려짐으로써 후크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도그에서 이탈되도록 하는 밀림날개;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티드 파워 앤 프리 컨베이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그는,
    상기 후크의 걸림고리가 걸려질 수 있도록 일단에 형성되는 걸림턱;
    상기 후크의 밀림방지턱이 걸려질 수 있도록 상기 걸림턱에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이탈방지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티드 파워 앤 프리 컨베이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는,
    상기 후크의 설치구조에 간섭받지 않고 후크의 밀림날개를 밀어줄 수 있도록 중심부에 간섭방지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티드 파워 앤 프리 컨베이어장치.





KR1020100076993A 2010-08-10 2010-08-10 인버티드 파워 앤 프리 컨베이어장치 KR201200148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993A KR20120014800A (ko) 2010-08-10 2010-08-10 인버티드 파워 앤 프리 컨베이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993A KR20120014800A (ko) 2010-08-10 2010-08-10 인버티드 파워 앤 프리 컨베이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4800A true KR20120014800A (ko) 2012-02-20

Family

ID=45837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993A KR20120014800A (ko) 2010-08-10 2010-08-10 인버티드 파워 앤 프리 컨베이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480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23770A (zh) * 2019-03-13 2019-05-31 安徽华菱汽车有限公司 一种吊具输送装置
CN110370868A (zh) * 2019-07-26 2019-10-25 唐山德伯特机械有限公司 自定位剥离式拖车
CN111495623A (zh) * 2020-04-23 2020-08-07 嘉兴亿豪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工程板的喷粉产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23770A (zh) * 2019-03-13 2019-05-31 安徽华菱汽车有限公司 一种吊具输送装置
CN110370868A (zh) * 2019-07-26 2019-10-25 唐山德伯特机械有限公司 自定位剥离式拖车
CN111495623A (zh) * 2020-04-23 2020-08-07 嘉兴亿豪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工程板的喷粉产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96720B2 (ja) クライミング手段が具備された台車を備えた注文準備用システム
CA2942429C (en) Trailer-train trailer with carrying frame for a material transport cart
CN103303692A (zh) 一种高效的自动化双臂架混匀堆料机
CN105263846B (zh) 过卷运输工具下降保护
KR20120014800A (ko) 인버티드 파워 앤 프리 컨베이어장치
CN103963685A (zh) 机动车辆货箱装卸系统
CN203473974U (zh) 一种高效的自动化双臂架混匀堆料机
WO1999044927A1 (en) Container transfer crossover and system
CN103213816B (zh) 轨道车辆转向架空中过跨运输子母车
US7121782B2 (en) Container lift-off hoist
NZ204598A (en) Power-and-free conveyor in vertical loop:pushers biased against carriers on upper and lower runs
CN112224924B (zh) 物流安全卸货设备
US3249064A (en) Material handling system
CN110145147A (zh) 一种立体停车库及其工作方法
CN202098775U (zh) 龙门式提升穿梭车
KR101419354B1 (ko) 반송 시스템 및 그 대차승강장치
US2471513A (en) Conveyer locking and aligning system
US1690502A (en) Overhead steel-plate-conveyer mechanism
CN106660566A (zh) 用于运输装置的驱动小车以及运输系统
CN203753778U (zh) 立井连续运输机
GB1117792A (en) Improved power and free conveyor system and work carriers therefor
WO2017200959A1 (en) Horse and saddle transfer apparatus for shipping containers and method of operation
CN204124677U (zh) 一种轮对输送系统
GB920114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able bucket conveyors
US1584889A (en) Convey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