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3904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3904A
KR20120013904A KR1020110077696A KR20110077696A KR20120013904A KR 20120013904 A KR20120013904 A KR 20120013904A KR 1020110077696 A KR1020110077696 A KR 1020110077696A KR 20110077696 A KR20110077696 A KR 20110077696A KR 20120013904 A KR20120013904 A KR 20120013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ase
cold air
rail
refrigerator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7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4519B1 (ko
Inventor
도오루 에비하라
다까시 오오와다
미끼오 야마다
Original Assignee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13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39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4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4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1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through special compartments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다양한 식문화의 요구에 대응하여, 냉장실 내의 식품 수납 케이스의 배치 및 온도를 변경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방이 개방된 1개의 수납 케이스(280)를, 냉장실(200)의 최상단과 하단의 양측의 내벽면에 형성된 레일(300)을 통해 교체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수납 케이스를 냉장실의 최상단에 배치하였을 때에 수납 케이스 내의 온도가 칠드 온도대로 전환되고, 하단에 배치하였을 때에 수납 케이스 내의 온도가 야채 수납에 적합한 온도대로 전환되는 냉장고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수납 케이스에 수납하는 식품에 대응한 온도로 전환 가능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세계 각국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보급되어 있는 냉장고의 하나로, 단열재를 통해, 고내를 2분할하여, 한쪽을 냉장실, 다른 쪽을 냉동실로 하는 2 도어의 냉장고를 들 수 있다. 그 전형적인 것은, 고내를 상하로 분할하여, 상부에 냉동실, 하부에 냉장실을 배치한 탑 프리저라 불리는 냉장고이다. 이 종래예는, 냉장실의 배면 하부에 컴프레서를 구비한 기계실을 형성하고, 냉동실의 후방에는 열교환기와 송풍 팬을 설치하여, 이 열교환기에서 생성된 냉기를, 송풍 팬을 통해 고내에 순환시켜 냉각을 행한다. 그 밖에, 고내를 상하로 분할하여, 하부에 냉동실, 상부에 냉장실을 배치한 보텀 프리저라 불리는 냉장고나, 냉장실과 냉동실을 좌우로 배치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라 불리는 냉장고가 알려져 있다.
이들 냉장고는, 냉장실 내에 수납 케이스를 설치하여, 고내를 다시 복수의 온도대로 분할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예를 들어, 탑 프리저에 있어서는, 냉장실의 최하부에 야채를 주체로 수납하는 야채 케이스(제1 수납 케이스)를 인출 가능하게 설치하고, 냉동실에 근접하는 냉장실의 최상단에 치즈나 고기 등의 칠드 식품을 수납하는 칠러 케이스(제2 수납 케이스)를 인출 가능하게 설치한 것이 있다.
WO 98/41804호 국제 공개 공보
종래의 냉장고에서는, 칠러 케이스나 야채 케이스는 고정 위치에서의 사용으로 되어 있어, 이용자에 따라서는, 사용 편의성이 나쁘거나, 케이스가 유효하게 활용되고 있지 않은 경우가 있었다. 예를 들어, 중동 지역에서는 「치즈나 고기」를 먹는 아랍인과 「야채밖에 먹지 않는」인도인 등, 식문화가 다른 민족이 한 나라에 혼재하여 살고 있다. 전자는 치즈나 고기를 넣는 칠드실(칠러 케이스)의 요구가 높고, 후자는 자질구레한 야채나 과일을 넣는 야채 케이스의 요구가 높다. 이 밖에, 실제로는 그 이외에도 아시아계, 터키계 등의 복수의 민족이 각각의 식문화를 계승하고 있다.
그러한 다양한 요구에 따르기 위해서는, 각각 별도의 사양의 냉장고가 필요하다. 이러한 요구에 따르는 기술로서, 온도대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한 전환실을 구비한 냉장고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케이스(식품 수납부)의 온도대를 변경하는 경우, 히터나 전동 댐퍼를 제어할 필요가 있으므로, 비용이 매우 고가로 되거나, 혹은 냉기의 풍로 구조의 복잡화에 의해 식품 수납 용적이 감소해 버리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다양한 식문화의 요구에 대응하여, 식품을 수납하는 수납 케이스의 냉장실 내의 배치를 변경 가능하게 하고, 또한 수납 식품에 대응하는 온도로 변경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냉장고는, 상방이 개방된 1개의 수납 케이스를, 냉장실의 최상단과 하단의 양측의 내벽면에 형성된 레일을 통해 교체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수납 케이스를 냉장실의 최상단에 배치하였을 때에 수납 케이스 내의 온도가 칠드 온도대로 전환되고, 하단에 배치하였을 때에 수납 케이스 내의 온도가 야채 수납에 적합한 온도대로 전환되도록 한다.
상방이 개방된 수납 케이스를, 냉장실의 상하에 넣어 교체 가능하게 구성하고, 수납 케이스의 배치 위치의 변경에 따라서 수납 식품에 대응하는 온도대로 전환됨으로써, 식품의 출납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 없이, 다양한 식문화의 요구에 대응한 냉장실 내의 레이아웃이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의 개략 구조도.
도 2는 제1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1)의 종단면도.
도 3은 제1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1)의 개폐 도어를 제거한 상태의 종단면의 사시도.
도 4는 제2 수납 케이스의 외관도.
도 5는 제2 수납 케이스의 레일 기구의 외관도.
도 6은 제2 수납 케이스를 상단 레일에 장착한 구조도.
도 7은 제2 수납 케이스를 하단 레일에 장착한 구조도.
도 8은 제1 실시예와 종래 구조의 비교 개략 단면도.
도 9는 제2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의 종단면도.
도 10은 제3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의 종단면도.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냉장고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8이 제1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 도 9가 제2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 도 10이 제3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이다. 또한, 동일한 부위나 화살표 등은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실시예]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의 개략 구조를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제1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의 개략 구조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부호 1로 총괄적으로 나타내는 것은, 단열 구획판(11)을 통해, 고내를 상하로 2분할하여, 상단을 냉동실(100)로 하고, 하단을 냉장실(200)로 하는 탑 프리저라 불리는 냉장고이다. 냉동실(100)과 냉장실(200)은, 그 전방부가 개방되어 있고, 이 개방 부분에 각각 개폐 도어(101), 개폐 도어(201)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냉동실(100)은, -18℃ 전후의 온도대로 설정된 저장실이며, 구획 선반(110)을 통해 상하로 분할되어 있다. 그리고 이 냉동실(100)에서는, 냉동 식품의 보존이나, 제빙 팬(111)을 이용하여 제빙하고, 그 보존을 행할 수 있다. 한편, 냉장실(200)은, -2℃ 내지 6℃의 온도대로 설정되는 저장실이며, 2개의 수납 케이스[제1 수납 케이스(270)와 제2 수납 케이스(280)]나 구획 선반(290)을 통해 고내를 복수로 분할하여, 세밀한 분류 수납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1)의 큰 특징 중 하나는, 하나의 수납 케이스[제2 수납 케이스(280)]를 상단과 하단에 교체 가능하게 한 점에 있다.
즉, 이러한 종류의 2 도어 냉장고는 구조가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으므로, 세계의 많은 지역에서 보급되고 있다. 그리고 그 냉장실은, 주로 야채류를 수납하는 제1 수납 케이스(야채 수납 케이스)와, 주로 칠드 식품이나 육류를 수납하는 제2 수납 케이스(칠러 케이스)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탑 프리저의 경우, 냉동실이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저장 온도대가 -2℃ 내지 3℃인 제2 수납 케이스는 냉장실의 상부에 출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저장 온도가 4℃ 내지 6℃인 제1 수납 케이스는, 냉동실로부터 떨어진 냉장실의 최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종래의 냉장실은, 이 2개 사이를 복수의 구획 선반에 의해 상하로 분할하여, 다양한 식품을 수납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냉장고의 사양은, 칠드 식품이나 야채류를 포함한 냉장 식품이 다양한 식문화를 갖는 이용자에게 있어서는 사용 편의성은 양호하지만, 칠드 식품을 그다지 먹지 않거나, 혹은 야채류를 그다지 먹지 않는 지역, 혹은 이들 식문화를 갖는 이용자가 혼재하는 지역의 이용자에게는, 사용 편의성이 좋은 것이 아니라고 하는 과제가 있다. 특히, 동결되어서는 곤란한 야채나 냉장 식품 등은, 온도대가 낮은 제2 수납 케이스에는 수납할 수 없으므로, 육류나 치즈 등의 칠드 식품을 그다지 먹지 않는 이용자에게 있어서는, 이 제2 수납 케이스의 수납 공간은 특히 사용 편의성이 나쁜 공간으로 된다.
따라서, 이들 요구에 대응하여 다양한 별도의 사양의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으면, 이용자에게 유효하다. 그러나 이러한 요구에 대응한 냉장고는, 구조가 간단하고 저렴한 점이 큰 장점이다. 이러한 종류의 냉장고에 있어서는, 구조가 복잡해지고, 또한 비용 상승으로도 이어지므로, 그 요구에 응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저장 온도대를 낮게 하기 위해, 냉동실(100)에 근접 배치하고 있는 제2 수납 케이스(280)에 착안하여, 이 제2 수납 케이스(280)를 냉장실(200) 내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것을 착상하였다.
즉, 본 발명자들은, 냉장실(200)의 상단에 장착하였을 때에는, 주로 칠드 식품의 수납에 최적인 -2℃ 내지 3℃의 저장 온도대로 할 수 있고, 또한 냉장실(200)의 하단의 제1 수납 케이스(270)의 상부에 인접하여 장착하였을 때에는, 2단의 야채실로서 이용할 수 있는 냉장고를 착상하였다. 또한 이 착상에서는, 제2 수납 케이스(280)를 인출 가능하게 하는 레일 기구(300)를 냉장실(200)의 상하의 벽면에 설치한다고 하는 간단한 구조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1)의 큰 특징 중 다른 하나는, 상단과 하단에서 제2 수납 케이스(280)의 인출 궤도를 변경한 점에 있다. 즉, 이 냉장고(1)에서는, 냉장실(200)의 최상단에 설치되는 상단 레일(310)에는, 제2 수납 케이스(280)의 전방부를 하방으로 기울여 인출할 수 있는 틸트 기구를 설치하고, 냉장실(200)의 하단에 설치되는 하단 레일(350)에는, 제2 수납 케이스(280)를 수평으로 인출할 수 있는 수평 기구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방이 개방된 수납 케이스를 높은 위치에 설치하면, 수납 케이스의 전방의 벽이 방해가 되어, 내부를 보기 어렵고, 또한 출납하기 어려운 과제가 있다. 또한, 고내의 양측의 내벽면에 설치한 레일 기구에 의해 지지되는 인출 케이스의 경우, 인출하였을 때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 전방으로 크게 인출할 수 없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특히, 이 실시예에 관한 탑 프리저의 냉장고(1)에서는, 제2 수납 케이스의 상단부가 단열 구획벽(11)으로 덮여 있고, 또한 도어 포켓(220)의 존재로부터, 제2 수납 케이스(200)가 냉장실(200)에 깊숙이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종래의 제2 수납 케이스는, 전방과 상방이 개방된 제2 수납 케이스의 전방에, 제2 수납 케이스의 인출에 연동하여 개폐되는 개폐 덮개를 설치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있다.
그러나 이 실시예의 큰 특징인「제2 수납 케이스(280)를 냉장실(200)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하는 구조」에 상기 개폐 덮개의 종래 구조를 채용하면, 구조가 복잡해지고, 또한 큰 비용 상승의 요인도 된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제2 수납 케이스(280)를 높은 위치에 배치한 경우는, 전방부를 하방으로 기울여 인출할 수 있는 틸트 기구로 하고, 제2 수납 케이스(280)를 낮은 위치에 배치한 경우는, 수평으로 인출할 수 있는 수평 기구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1)의 큰 특징 중 다른 하나는, 냉장실(200) 내의 이면 패널(230)을 대략 편평하게 형성하고, 이 이면 패널(230)의 이면측에 형성되는 냉장실용 냉기 통로(20)를 형성하고, 이 냉장실용 냉기 통로(20) 내에 냉기 전환 댐퍼(30)를 배치한 점에 있다.
즉, 종래의 탑 프리저 냉장고는, 냉기 전환 댐퍼(30)를 제2 수용 케이스의 후방에 배치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냉기 전환 댐퍼(30)는, 냉동실 후방에 배치되는 열교환기(51)에서 생성되는 냉기를 냉장실(200) 내에 분배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 냉기 전환 댐퍼(30)에 의해 분배되는 냉기는, 제2 수납 케이스(280) 내에 공급되거나, 냉장실(200)의 이면에 배관되는 냉장실용 냉기 통로(20)를 통해 냉장실(200) 내에 공급된다.
이들 종래예에서는, 단열재로 덮이는 냉기 전환 댐퍼(30)를 냉장실의 이면에 장착하여, 이 냉기 전환 댐퍼(30)와 열교환기(31)와 냉장실용 냉기 통로(20)와 연통시키고 있다. 이로 인해, 냉기 전환 댐퍼(30)가 냉장실용 냉기 통로(2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므로, 냉기 전환 댐퍼(30)와 냉장실용 냉기 통로(20)를 덮는 이면 패널은 냉기 전환 댐퍼(30)가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2 수용 케이스의 깊이 치수가 작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구조에 대해, 이 실시예의 큰 특징인 「제2 수납 케이스(280)를 냉장실(200) 내에서 교체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채용하면, 제2 수납 케이스(280)를 냉장실(200)의 하부에 설치하였을 때에는, 그 후방에 데드 스페이스가 형성되는 과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냉장실용 냉기 통로(20) 내에 냉기 전환 댐퍼(30)를 배치함으로써, 그 전방면을 덮는 이면 패널(230)을 편평하게 형성하는 것을 실현하였다. 즉, 냉기 전환 댐퍼(30)를 냉장실용 냉기 통로(20)의 상부 연장선 상에 배치하고, 그 전방면에 냉장실(200)과 냉기 전환 댐퍼(30)를 구획하는 단열 부재(32)를 설치하는 구조로 하였다. 이에 의해, 단열재로 덮이는 냉기 전환 댐퍼(30)의 깊이 방향의 두께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냉장실(200)의 상단과 하단의 깊이 치수를 거의 일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수납 케이스(280)를 냉장실(200)의 상단과 하단으로 교체 가능하게 해도, 냉장실(200) 내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1)의 큰 특징 중 다른 하나는, 제2 수납 케이스(280)를 상단에 설치하였을 때에는 냉기 전환 댐퍼(30)로부터 냉기의 공급을 받는 구조로 하고, 제2 수납 케이스(280)를 하단에 설치하였을 때에는, 제2 수납 케이스(280) 내로 냉기가 들어가기 어려운 구조로 한 점에 있다. 이에 의해, 제2 수납 케이스(280)를 상단에 설치하였을 때에는, 주로 칠드 식품이나 육류를 수납하는 칠러 케이스로 할 수 있는 한편, 제2 수납 케이스(280)를 하단에 설치하였을 때에는, 냉기에 약한 야채 등의 수납 공간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이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이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1)의 내부 구조를 더 설명한다. 여기서, 도 2는 이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1)의 종단면도이다.
도 2에 있어서, 냉장고(1)는 금속 재료로 형성되는 외부 상자(12)와, 수지 재료로 형성되는 내부 상자(13) 사이에 단열재를 발포 충전하여 형성되는 하우징(10)과, 이 하우징(10)의 전방면에 하우징(10)과 동일한 구조로 단열재를 발포 충전하여 형성되고, 그 측부가 회전 힌지(15)(도 1 참조)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어 개폐 도어(101 및 102)로 구성된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 도어(101과 102)의 전방면에는 개폐용 핸들(102, 202)이 설치되고, 이 개폐 도어(101과 102)의 내측의 주위에는 폐쇄되었을 때에 하우징(10)과의 밀착을 도모하기 위한 자석(16)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1)는, 단열 구획판(11)을 통해, 전방이 개방된 하우징(10)을 상하로 분할하여, 상부 저장실을 냉동실(100)로 하고, 하부 저장실을 냉장실(200)로 하고 있다. 하우징(10)의 배면 하부에는 오목 형상으로 절결되어 형성되는 기계실(40)이 형성되고, 이 기계실(40)에 압축기(41)와 드레인 팬(42)이 설치되어 있다.
냉동실(200) 내의 안쪽측에는 배면 패널(150)이 설치되고, 그 후방에 냉각실(50)이 설치되어 있다. 이 냉각실(50)에는, 송풍 팬(52)과 열교환기(51)가 상하로 배치되어 있다. 열교환기(51)의 하부에는 서리 제거 히터(54)가 설치되고, 그 하방에 이슬 받침 팬(56)이 설치되어 있다. 열교환기(51)에 부착된 서리는 서리 제거 히터(54)에 의해 녹아, 하우징(10)의 이면의 단열재 내에 배관되는 드레인 파이프(53)에 의해 기계실(40)의 상부로 유도되어, 드레인 팬(42)에 배수된다.
냉동실(100)의 양측의 내벽면에는, 구획 선반(110)을 양측에서 지지하는 장착 리브(112)가 상하에 복수 설치되어 있어, 구획 선반(110)의 상하의 구획 높이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개폐 도어(101)의 내벽면에는, 도어 포켓(130)이 상하에 설치되어 있다.
냉장실(200)은, 하우징(10)의 이면측의 하부에 기계실(40)이 설치됨으로써, 그 하부의 후방에는 돌출부(25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이 돌출부(250)의 높이에 맞추어, 그 전방면에, 전후로 인출 가능한 제1 수납 케이스(270)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돌출부(250)의 상방이 되는 냉장실(200) 내의 안쪽측의 내벽면은, 양측보다 중앙측이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전방면을 이면 패널(230)로 덮는 구조로 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이 냉장실(200)의 안쪽측의 내벽면과 이면 패널(230)로 형성되는 공간을, 냉장실용 냉기 통로(20)로 하고 있다. 이 냉장실용 냉기 통로(20)는, 그 상부에 냉각실(50)과 연통되는 냉기 전환 댐퍼(30)가 설치되고, 그 하방에 고내 조명부(2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고내 조명부(240)를 냉장실(200)의 중앙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냉장실용 냉기 통로(20)는 냉기 전환 댐퍼(30)의 하방이 고내 조명부(240)에 의해 좌우로 분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냉기 전환 댐퍼(30)의 전방면, 즉, 냉기 전환 댐퍼(30)와 이면 패널(230) 사이에는 단열 부재(32)가 설치되어, 냉기 전환 댐퍼(30)와 냉장실(200)을 열적으로 차단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한 상태의 냉기 전환 댐퍼(30)는 폐쇄된 상태이지만, 이것이 하방 냉장실측으로 개방되면, 도시한 바와 같이 냉기가 흐른다.
냉장실(200)의 양측의 내벽면에는, 제1 수납 케이스(270)와 제2 수납 케이스(280)를 지지하는 레일 기구(300)와, 구획 선반(290)을 양측에서 지지하는 복수의 장착 리브(29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레일 기구(300)로서, 냉장실(200)의 최하부에 배치되는 제1 수납 케이스(270)를 전후로 인출 가능하게 지지하는 최하단 레일(390)과, 냉장실(200)의 최상부에 제2 수납 케이스(280)를 장착하였을 때에, 전후로 인출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단 레일(310)과, 제1 수납 케이스(270)의 상단에 인접하여 제2 수납 케이스(280)를 장착하였을 때에, 전후로 인출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단 레일(35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1 수납 케이스(270)를 지지하는 최하단 레일(290)과, 이 최하단 레일(290)에 지지되는 제1 수납 케이스(270)의 양측의 구조는, 하단 레일(350)과 동일한 구조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1 수납 케이스(270)의 상부는, 구획 선반(292)에 의해 덮여 있고, 이 구획 선반(292)에 의해, 상부가 개방된 제1 수납 케이스(270)를 독립된 공간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단 레일(310)과 하단 레일(350) 사이의 양측의 내벽면에는, 구획 선반(290)을 상하의 임의의 위치에서 지지하는 복수의 장착 리브(29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2매의 구획 선반(290)을 임의의 높이에 장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수납 케이스(280)를 상단에 장착하였을 때에는, 그 하방을 3분할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수납 케이스(280)를 제1 수납 케이스(270)의 상부에 장착하였을 때에는, 구획 선반(290)의 1매가 제2 수납 케이스(280)의 상부를 덮어, 제2 수납 케이스(280)를 독립된 공간으로 되도록, 구획 선반(290)을 지지하는 위치에 장착 리브(29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상부를 2분할할 수 있다. 또한, 구획 선반(290)은 2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더 많은 구획 선반(290)을 장착할 수 있다.
개폐 도어(201)의 내벽면에는, 복수의 도어 포켓(220)이 상하에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이들 복수의 도어 포켓(220)의 높이를 공지의 구조에 의해 자유롭게 높이 조절할 수 있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이 냉장고(1)의 냉기의 흐름을 설명한다. 여기서, 도 3은, 이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1)의 개폐 도어를 제거한 상태의 종단면의 사시도이다.
도 3에 있어서, 이 실시예에서는, 냉동실(100) 후방의 냉각실(50)에 배치되는 열교환기(51)에, 송풍 팬(52)을 통해 고내 공기를 통과시킴으로써 냉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송풍 팬(52)을 회전시키면, 열교환기(51)로부터 도입되어 오지 않는 공기 냉기는, 배면 패널(150)에 설치한 냉기구(151)로부터 냉동실(100) 내에 공급되는 동시에, 하우징(10) 내에 형성되는 냉기 통로(파선 화살표 55로 도시)를 통해 냉기 전환 댐퍼(30)에 공급된다. 따라서, 냉기 전환 댐퍼(30)를 폐쇄하면, 모든 냉기가 냉동실(100)에 공급되게 된다.
냉동실(100)에 공급되는 냉기는, 냉동실(100) 내를 냉각시킨 후, 냉기 복귀구(152)로부터 열교환기(51)의 하부에 도입되고, 다시 열교환기(51) 내에 도입된다.
한편, 냉기 전환 댐퍼(30)에 도입된 냉기는, 냉장실용 냉기 통로(20)를 통해 냉장실(200) 내에 공급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냉기 전환 댐퍼(30)의 개폐를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에 의해 자동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냉기 전환 댐퍼(30)의 개폐 범위를 자동 조정함으로써, 냉장실(100) 내의 온도 제어를 세밀하게 행할 수 있다.
여기서, 냉기 전환 댐퍼(30)는, 그 상부가 냉각실(50)에 접하고 있으므로, 이 냉기 전환 댐퍼(30)와 접하는 냉장실(200)의 근방은 지나치게 냉각되는 과제가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이 냉장실(200)의 과냉각 경감을 도모하기 위해, 냉기 전환 댐퍼(30) 전체를 단열재로 덮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구조에 의해, 냉기 전환 댐퍼(30)가 냉장실(200) 내로 크게 돌출되어 버리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냉기 전환 댐퍼(30)가 냉장실(200)의 이면측에 접하여 장착되는 것에 착안하여, 이 냉기 전환 댐퍼(30)의 이면측을 하우징(10)의 단열 부재와 겸용함으로써, 냉기 전환 댐퍼(30)의 박형화를 실현하였다. 즉, 냉기 전환 댐퍼(30)의 전방부에만 단열 부재(32)를 설치하는 구조로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냉장실(200) 내의 배면측을 구성하는 내벽면에 양 측벽면(231)보다 깊숙한 위치에 오목부(232)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232)를 이면 패널(230)로 덮는 구조로 하고, 이 이면 패널(230)과 오목부(232)로 형성되는 공간을 냉장실용 냉기 통로(20)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 냉장실용 냉기 통로(20)의 상부에, 단열 부재(32)와 냉기 전환 댐퍼(30)를 전후의 위치 관계로 설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냉기 전환 댐퍼(30)의 근방의 냉장실(200)은, 단열 부재(32)에 의해 과냉각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덧붙여, 냉기 전환 댐퍼(30)의 냉장실(200)로의 돌출량을 적게 할 수 있으므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냉장실(200)의 상부에 제2 수납 케이스(280)를 장착하였을 때의 깊이 치수의 최대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냉기 전환 댐퍼(30)로부터 공급되는 냉기는 냉장실용 냉기 통로(20)를 통해 냉장실(200)에 공급된다. 냉장실용 냉기 통로(20)의 하측은, 중앙에 배치되는 고내 조명부(240)에 의해 좌우로 나뉘어 분기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냉장실용 냉기 통로(20)의 전방면을 덮는 이면 패널(230)에는, 상하 방향으로 냉기구(233)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최상부에 배치되는 냉기구(233a)는, 단열 부재(32)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제2 수납 케이스(280)를 최상단에 장착하였을 때에, 그 이면으로부터 제2 수납 케이스(280) 내에 냉기를 공급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냉기구(233a)로부터 분출되는 냉기는, 냉기 전환 댐퍼(30)로부터 최단 거리에서 공급되는 냉기이므로, 단열 구획판(11)에 의해 밀폐된 제2 수납 케이스(280)에 공급됨으로써, 제2 수납 케이스(280) 내를 -2℃ 내지 3℃으로 할 수 있다.
이 밖에, 중간단, 하단에 형성되는 냉기구(233b)는, 구획 선반(290)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에 대해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냉기를 공급한다. 또한, 냉기구(233b)로부터 분출된 냉기의 일부는, 제1 수납 케이스(270)의 상부를 덮는 구획 선반(292)의 후방으로부터 제1 수납 케이스(270)의 하방으로 들어가, 제1 수납 케이스(270)와 구획 선반(292)에 의해 밀폐된 수납 공간을 주위로부터 간접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수납 케이스(270)의 수납 공간을 야채류의 수납에 최적인 저장 공간으로 할 수 있다.
냉기구(233)로부터 냉장실(200) 내에 공급된 냉기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분출되고, 또한 상승하여 도어 포켓(220)을 냉각시킨 후, 단열 구획판(11) 내에 형성되는 복귀 통로(17)를 통해 냉각실(50)의 하부에 도입된다. 여기서, 복귀 통로(17)는 단열 구획판(11)의 저면 전방부로부터 냉각실(50) 하부를 연결하는 통로이다.
다음에,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제2 수납 케이스(280)의 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도 4는 제2 수납 케이스의 외관도로, (a)가 사시도, (b)가 측면도이다. 도 5는 제2 수납 케이스의 레일 기구의 외관도로, (a)가 상단 레일의 외관도, (b)가 하단 레일의 외관도이다. 도 6은 제2 수납 케이스를 상단 레일에 장착한 구조도로, (a)가 수납한 상태도, (b)가 인출한 상태도이다. 도 7은 제2 수납 케이스를 하단 레일에 장착한 구조도로, (a)가 수납한 상태도, (b)가 인출한 상태도이다.
우선, 도 4를 참조한 제2 수납 케이스(280)의 외관 구조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제2 수납 케이스(280)는, 냉장실(200)의 상단과 하단으로 교체 가능한 케이스로 하고 있으므로, 상단 설치시의 취급성을 고려하여, 전방면이 전방면벽(281)에 의해 폐색되고, 상방이 개방된 형상을 채용하고 있다. 제2 수납 케이스(280)의 전방면벽(281)은, 개폐시에 사용하는 오목 형상의 손을 걸 수 있는 핸들부(282)가 설치되고, 그 주위는 후방의 하우징보다 외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2 수납 케이스(280)의 오목 형상의 양 측면벽(283)에는, 레일 기구(300)와 연결되는 볼록 형상의 슬라이드 레일(284)과 볼록 형상의 스토퍼부(285)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레일(284)은, 그 길이 방향을 깊이 방향으로 하는 자세로 양측면벽(283)의 하방에 설치되고, 레일 기구(300)와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하는 슬라이드 홈(28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홈(286)은, 후방이 개방되어 있고, 이 개방 부분으로부터 레일 기구(300)와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슬라이드 홈(286)이 개방되는 단부는, 상변 모서리부(289a)가 하변 모서리부(289b)보다 후방으로 길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변 모서리부(289a)의 후단부는, 상방으로 튀어 오른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덧붙여, 스토퍼부(285)는 상변 모서리부(289a)의 후단부에 맞추어, 양측면벽(283)의 후방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2 수납 케이스(280)의 배면벽(287)은, 중앙부에 절결부(28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288)는 상단 설치시에 냉기구(233a)를 노출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절결부(288)는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단 설치시에는, 절결부(288)의 양측에 남겨진 배면벽(287)이, 좌우로 나뉘어 설치되어 있는 냉기구(233b)를 폐색하여, 제2 수납 케이스(280)로의 냉기의 침입을 적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하단 설치시의 제2 수납 케이스(280)를 야채류의 수납에 적합한 밀폐도가 높은 수납 공간으로 할 수 있다.
다음에, 도 5를 참조하여, 냉장실(200)의 양 벽면에 설치되는 레일 기구(3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단 레일(310)과 하단 레일(350)은, 제2 수납 케이스(280)의 슬라이드 레일(284)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는 가이드 레일과, 스토퍼부(285)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함으로써 낙하 방지를 도모하는 스토퍼 보유 지지 레일로 구성하고 있다.
즉, 도 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단 레일(310)은, 제2 수납 케이스(280)의 슬라이드 홈(286)과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지는 볼록 형상의 상단 가이드 레일(311)과, 상단 가이드 레일(311)의 상방에 형성되는 볼록 형상의 상단 스토퍼 보유 지지 레일(312)로 구성된다. 상단 스토퍼 보유 지지 레일(312)은, 볼록 형상의 스토퍼부(285)를 안내하는 상단 가이드 홈(313)을 구비하고 있다. 상단 가이드 홈(313)은, 후방이 상단 가이드 레일(311)과 평행한 홈 형상이지만, 그 홈 형상의 전방부는 상변이 상방으로 개방된 형상이며, 그 홈 형상의 전단부는 모서리 형상으로 폐색되고, 그 홈 형상의 전단부의 하방의 모서리는 절결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한편, 도 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단 레일(350)은, 제2 수납 케이스(280)의 슬라이드 홈(286)과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 맞추어지는 볼록 형상의 하단 가이드 레일(351)과, 이 하단 가이드 레일(351)의 상방에 형성되는 볼록 형상의 하단 스토퍼 보유 지지 레일(352)로 구성된다. 하단 스토퍼 보유 지지 레일(352)은, 볼록 형상의 스토퍼부(285)를 안내하는 오목 형상의 하단 가이드 절결부(353)를 구비하고 있다. 하단 가이드 절결부(353)는, 하방이 개방되고, 상변은 하단 가이드 레일(351)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제2 수납 케이스(280)는, 상단 레일(310)과 하단 레일(350)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상단 가이드 레일(311)과 하단 가이드 레일(351)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수납 케이스(270)를 슬라이드 지지하는 최하단 레일(390)은, 기본적인 구조는, 제1 수납 케이스(270)를 보유 지지하는 하단 레일(350)과 마찬가지의 구조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상단 설치시의 제2 수납 케이스(280)와, 하단 설치시의 제2 수납 케이스(280)의 개폐 동작의 차이를 설명한다.
도 6의 (a)에 있어서, 제2 수납 케이스(280)는, 냉장실(200)의 상단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제2 수납 케이스(280)의 슬라이드 홈(286) 내에 상단 가이드 레일(311)이 들어가고, 제2 수납 케이스(280)의 스토퍼부(285)가 상단 가이드 홈(313)의 안쪽(후단부)까지 들어간 상태에서 보유 지지된다. 이 설치 상태에서는, 제2 수납 케이스(280)가 개방된 상부와 단열 구획판(11)이 거의 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이 거의 밀폐된 수납 공간은, 절결부(288)를 통해 노출되는 냉기구(233a)로부터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 다른 냉장실(200)의 수납 공간보다 온도가 낮은 상태로 할 수 있다.
이 제2 수납 케이스(280)는, 손을 걸 수 있는 핸들부(282)를 통해,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단 스토퍼 보유 지지 레일(312)이 없으면, 수평한 상단 가이드 레일(311)과, 이 상단 가이드 레일(311)에 맞물리는 슬라이드 레일(284)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그대로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다. 그러나 상단 가이드 레일(311)과 슬라이드 레일(284)의 연결이 해제되면, 제2 수납 케이스(280)가 낙하해 버리는 과제가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제2 수납 케이스(280)의 양측 후방에 설치한 스토퍼부(285)가 상단 가이드 홈(31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있다.
즉, 스토퍼부(285)는, 도 6의 (a)의 수납 상태에서는, 상단 가이드 홈(313)의 안쪽(후단부)에서 보유 지지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제2 수납 케이스(280)가 전방으로 인출되면, 스토퍼부(285)는, 처음에는 수평한 상단 가이드 홈(313)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제2 수납 케이스(280)가 전방으로 더 인출되면, 스토퍼부(285)는 상변이 상방으로 개방된 상단 가이드 홈(313)을 따라, 상방으로도 이동 가능하게,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도 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수납 케이스(280)가 더욱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단 가이드 레일(311)을 상하로 끼워 지지하고 있었던 슬라이드 홈(286)의 하변 모서리부(289b)의 규제(후단부가 짧음)가 해제되므로, 제2 수납 케이스(280)는 상변 모서리부(289a)와 상단 가이드 홈(313)으로 지지되는 스토퍼부(285)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서, 스토퍼부(285)는 상변이 상방으로 개방된 상단 가이드 홈(313)을 따라, 서서히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제2 수납 케이스(280)는 전방으로 더욱 인출됨으로써 그 전방부를 하방으로 기울인 자세가 된다.
그리고 도 6의 (b)의 제2 수납 케이스(280)가 가장 인출된 상태에서는, 스토퍼부(285)가 상단 가이드 홈(313)의 최전방부의 모서리에서 보유 지지되므로, 전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기 때문에 제2 수납 케이스(280)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 도 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전방부를 하방으로 기울인 제2 수납 케이스(280)의 자세에 따르면, 단열 구획판(11)의 선단이나, 개폐 도어(101)의 하단부 사이에 식품을 출납하는 충분한 공간(L)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2 수납 케이스(280)를 제거하는 경우는, 제2 수납 케이스(280)를 가장 인출한 도 6의 (b)의 상태로부터, 그 전방부를 상방으로 끌어 올림으로써, 스토퍼부(285)를 상단 가이드 홈(313)의 선단부의 하방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상변 모서리부(289a)의 후단부는 상방으로 튀어올라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제거 자세에서 지장을 초래하는 일이 없다.
다음에, 도 7의 (a)에 있어서, 제2 수납 케이스(280)는 냉장실(200)의 하단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제2 수납 케이스(280)의 슬라이드 홈(286) 내에 하단 가이드 레일(351)이 들어가고, 제2 수납 케이스(280)의 스토퍼부(285)가 하단 가이드 절결부(353)(후단부)까지 들어간 상태에서 보유 지지된다. 이 설치 상태에서는, 제2 수납 케이스(280)가 개방된 상부와 구획 선반(290)이 거의 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절결부(288)는 이면 패널(230)에 의해 폐색되고, 도시하지 않은 냉기구(233b)로부터의 냉기도 들어가지 않으므로, 야채류의 수납에 적합한 수납 공간으로 할 수 있다.
이 제2 수납 케이스(280)는, 상단 설치시와 마찬가지로, 손을 걸 수 있는 핸들부(282)를 통해,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다. 이 하단 설치시의 제2 수납 케이스(280)는, 설치 위치가 낮고, 또한 상부를 얇은 구획 선반(292)으로 덮고 있으므로, 그대로 수평으로 인출할 수 있고, 또한 도 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최전방부까지 인출해도 낙하하지 않으면 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하단 스토퍼 보유 지지 레일(352)에 설치한 하단 가이드 절결부(353)의 상변을 하단 가이드 레일(351)과 평행하게 형성하고 있다. 즉, 스토퍼부(285)는 도 7의 (a)의 수납 상태에서는, 절결부(353)의 안쪽(후단부)에서 보유 지지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제2 수납 케이스(280)가 전방으로 인출되면, 스토퍼부(285)는 수평한 절결부(353)를 따라 수평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도 7의 (b)의 제2 수납 케이스(280)가 가장 인출된 상태에서는, 스토퍼부(285)가 절결부(353)의 최전방부의 모서리에서 보유 지지되므로, 전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기 때문에 제2 수납 케이스(280)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수평한 제2 수납 케이스(280)의 자세에 따르면, 구획 선반(292)의 선단과의 사이에 식품을 출납하는 충분한 공간(L)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2 수납 케이스(280)를 제거하는 경우는, 제2 수납 케이스(280)를 가장 인출한 도 7의 (b)의 상태로부터, 그 전방부를 상방으로 끌어 올림으로써, 스토퍼부(285)를 하방으로 내려 하단 가이드 절결부(353)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도, 상변 모서리부(289a)의 후단부는 상방으로 튀어올라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제거 자세에서 지장을 초래하는 일이 없다.
다음에, 도 8을 참조하여, 이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1)의 특징적인 구성을 종래 구조와의 비교로 설명한다. 도 8은 이 실시예와 종래 구조의 비교 개략 단면도로, (a)가 제2 수납 케이스의 형상의 비교도, (b)가 냉장실의 이면 패널 형상의 비교도이다. 또한, 도 8에서는 좌측이 종래 구조, 우측이 이 실시예에 관한 구조이다.
도 8의 (a)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1)의 큰 특징 중 하나는, 제2 수납 케이스(280)를 냉장실(200)의 상단과 하단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한 점이다. 종래의 냉장고에 있어서는, 냉장실과 같은 큰 저장실에 작은 수납 케이스를 배치하는 경우, 수납 케이스의 장착 위치에 따라, 그 수납 케이스의 형상이나 구조는 크게 다르다.
예를 들어, 좌측의 종래 구조에 있어서는,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제1 수납 케이스는, 전방면에 벽이 있는 상방이 개방된 케이스를 채용하고,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제2 수납 케이스는, 전방면에 벽이 없고, 전방면과 상방이 개방된 케이스를 채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제2 수납 케이스에서는, 벽이 없는 전방면을 폐색하기 위해 제2 수납 케이스의 인출 구조에 연동하여 개방되는 덮개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되어 있다.
즉,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식품의 출납이나, 수납 식품의 시인성(視認性)을 고려하여, 장착 위치의 높이가 다르면 수납 케이스의 형상을 다르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특징과 같이, 동일한 수납 케이스를 높이가 다른 위치로 교체 가능하게 하는 기술 사상은 없었다고 할 수 있다. 가령, 좌측의 종래예의 구조에서, 덮개가 구비된 수납 케이스를 낮은 위치로 교체하려고 한 경우, 이 수납 케이스는 전방부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이 수납 케이스를 야채실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전방부에, 인출 구조에 연동하여 개폐되는 덮개를 설치해야 한다. 이로 인해, 이 수납 케이스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비용이 높아지고, 또한 복잡한 구조가 된다.
이에 대해, 우측 도면에 도시하는, 본 실시예의 구조에서는, 상방이 개방된 제2 수납 케이스(280)를 상단과 하단으로 교체 가능하게 하고, 또한 상단 설치시에는, 제2 수납 케이스(280)의 전방부가 하방으로 경사진 자세에서 인출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이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동일한 제2 수납 케이스(280)를 단순히 교체할 뿐인 조작으로, 그 장착 위치를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큰 비용 상승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간단한 구조로, 또한 식품의 출납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 없이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b)에 있어서, 좌측의 종래 구조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 구조에서는, 전후를 단열 부재(32)로 덮은 냉기 전환 댐퍼(30)를 냉장실의 상부에 배치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냉기 전환 댐퍼(30)가 크게 전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 전방부를 덮는 이면 패널(230)도 크게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이 냉기 전환 댐퍼(30)의 전방에 장착되는 제2 수납 케이스(280)는 깊이 치수가 제한된 케이스 형상으로 된다.
따라서, 가령 이 깊이 치수가 제한된 제2 수납 케이스(280)를 하방으로 교체 하려고 한 경우, 하방 설치시의 제2 수납 케이스(280)의 후방에는, 사선부로 나타내는 큰 데드 스페이스가 발생한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는, 단열 부재(32)로 전방만을 덮은 냉기 전환 댐퍼(30)를 채용하고 있으므로, 냉기 전환 댐퍼(30)의 냉장실(200)로의 돌출량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면 패널(230)을 대략 편평한 형상으로 할 수 있으므로, 상단의 깊이 치수와, 하단의 깊이 치수를 거의 일치시킬 수 있으므로, 제2 수납 케이스(280)를 상단과 하단으로 교체해도, 그 후방에 데드 스페이스를 발생시키는 것을 경감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다음에, 도 9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1a)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도 9는 제2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의 종단면도이다. 또한, 동일한 부위나 화살표 등은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중복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 있어서, 이 제2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1a)는, 단열 구획판(11)을 통해, 고내를 상하로 2분할하여, 상단을 냉장실(200)로 하고, 하단을 냉동실(100)로 하는 보텀 프리저라 불리는 냉장고(1a)이다. 냉동실(100)과 냉장실(200)은, 그 전방부가 개방되어 있고, 이 개방 부분에 각각 개폐 도어(101), 개폐 도어(201)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냉장고(1a)의 큰 특징 중 하나는, 냉장실(200)의 상단과 하단에 제2 수납 케이스(280)를 교체 가능한 구조를 채용한 점에 있다. 이하, 이 제2 수납 케이스(280)를 냉장실(200)의 상단과 하단으로 교체 가능하게 하는 보텀 프리저에 대해, 더 설명을 추가한다.
냉장고(1a)는, 단열 구획판(11)을 통해, 전방이 개방된 하우징(10)을 상하로 분할하여, 상부 저장실을 냉장실(200)로 하고, 하부 저장실을 냉동실(100)로 하고 있다. 하우징(10)의 배면 하부에는 오목 형상으로 절결되어 형성되는 기계실(40)이 형성되고, 이 기계실(40)에 압축기(41)와 드레인 팬(42)이 설치되어 있다.
냉동실(200) 내의 안쪽측에는 배면 패널(150)이 설치되고, 그 후방에 냉각실(50)이 설치되어 있다. 이 냉각실(50)에는, 송풍 팬(52)과 열교환기(51)가 상하로 배치되어 있다. 열교환기(51)의 하부에는 서리 제거 히터(54)가 설치되고, 그 하방에 이슬 받침 팬(56)이 설치되어 있다. 열교환기(51)에 부착된 서리는 서리 제거 히터(54)에 의해 녹아, 드레인 파이프(53)에 의해 기계실(40)의 상부로 유도되어, 드레인 팬(42)에 배수된다. 또한, 기계실(40)의 상부에는 냉기 전환 댐퍼(30)가 설치되어 있다.
냉동실(100)에는, 상하 2단의 수납 케이스가 설치되어 있고, 하단 수납 케이스(160)는 개폐 도어(101)와 함께 전방으로 출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 수납 케이스(161)는 도시하지 않은 독자적인 인출 기구에 의해 출납할 수 있다. 이 냉동실(100)의 구조는 기존의 구조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냉장실(200)은, 하단에 제1 수납 케이스(270)가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최상단에는 제2 수납 케이스(280)가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제1 수납 케이스(270)와 제2 수납 케이스(280) 사이의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복수의 구획 선반(290)이 설치되어 있다. 제1 수납 케이스(270)는, 그 상부를 구획 선반(292)으로 덮은 야채류의 수납에 적합한 밀폐 구조로 하고 있다. 또한, 제2 수납 케이스(280)는 그 상부를 냉장실(200)의 천장면과 접하도록 한 밀폐 구조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최상단의 제2 수납 케이스(280)를 제1 수납 케이스(270)의 상부에 적층 배치 가능하게 교체 가능한 구조로 하고 있다. 제2 수납 케이스(280)는, 상단 설치시에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그 전방부를 전방으로 기울여 인출할 수 있고, 하단 설치시에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수평으로 인출할 수 있다.
또한, 하단 설치시의 제2 수납 케이스(280)의 위치가 높아지는 대형의 보텀 프리저의 경우는, 하단 설치시라도 그 전방부를 전방으로 기울여 인출하는 구조로 해도 된다.
냉장실(200) 내의 배면벽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조를 채용하고 있고, 그 이면측을 구성하는 이면 패널(230)의 후방에 냉장실용 냉기 통로(20)가 설치되어 있다. 이면 패널(230)에는 냉장실용 냉기 통로(20)의 냉기를 냉장실(200)에 분출하는 냉기구(233)를 상하에 설치하고 있다. 상단 또는 하단의 제2 수납 케이스 중 어느 한쪽에는 제2 수납 케이스(280)에 냉기를 분출하는 냉기구(233a)가 설치되어, 칠드 식품의 수납에 적합한 수납 공간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쪽의 위치의 제2 수납 케이스(280)는, 그 상부를 구획 선반(290)으로 덮음으로써, 야채류의 수납에 적합한 거의 밀폐된 수납 공간으로 할 수 있다.
개폐 도어(201)의 내측에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도어 포켓(220)이 상하로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1a)는, 송풍 팬(52)의 상부에 인접 배치된 냉기 전환 댐퍼(30)를 개폐함으로써, 열교환기(51)에서 생성된 냉기를, 송풍 팬(52)을 통해 냉동실(100)과 냉장실(200)로 공급할 수 있다. 냉동실(100)에 분출된 냉기는, 배면 상방으로부터 냉동실(100) 내로 들어가, 냉동실(100) 내를 냉각시킨 후, 배면 중앙으로부터 냉각실(50)의 하방으로 복귀된다. 한편, 냉기 전환 댐퍼(30)로부터 냉장실용 냉기 통로(20)에 제공되는 냉기는, 복수의 냉기구(233)로부터 냉장실(200) 내에 제공되고, 냉장실(200)의 하방에 형성되는 도시하지 않은 복귀 통로를 통해 냉각실(50)의 하방으로 복귀된다.
[제3 실시예]
다음에, 도 10을 참조하여, 제3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1b)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도 10은 제3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의 종단면도이다. 또한, 동일한 부위나 화살표 등은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 있어서, 이 제2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1b)는, 단열 구획판(11)을 통해 열적으로 고내를 상하로 2분할하여, 상단을 냉동실(100)로 하고, 하단은 구획판(11a)(단열 기능이 없는)을 통해 다시 상하로 2분할하여, 중간단을 냉장실(200)로 하고 하단을 야채실(400)로 하는 탑 프리저라 불리는 냉장고(1b)이다. 냉동실(100)과 냉장실(200)과 야채실(400)은, 그 전방부가 개방되어 있고, 냉동실(100)과 냉장실(200)의 개방 부분에는 각각 개폐 도어(101), 개폐 도어(201)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고, 야채실(400)의 개방 부분에는 인출 도어(401)가 설치되는 3 도어 냉장고이다.
그리고 이 냉장고(1b)의 큰 특징 중 하나는, 냉장실(200)의 상단과 하단에 제2 수납 케이스(280)를 교체 가능한 구조를 채용한 점에 있다. 이하, 이 제2 수납 케이스(280)를 냉장실(200)의 상단과 하단으로 교체 가능하게 하는 3 도어의 탑 프리저 냉장고에 대해, 더 설명을 추가한다.
냉장고(1b)는, 단열 구획판(11)을 통해, 전방이 개방된 하우징(10)을 상하로 분할하여, 상부 저장실을 냉동실(100)로 하고, 하부 저장실을 또한 구획판(11a)을 통해 다시 상하로 분할하여, 중간단을 냉장실(200), 하단을 야채실(400)로 하고 있다. 하우징(10)의 배면 하부에는 오목 형상으로 절결되어 형성되는 기계실(40)이 형성되고, 이 기계실(40)에 압축기(41)와 드레인 팬(42)이 설치되어 있다.
냉동실(200) 내의 안쪽측에는 배면 패널(150)이 설치되고, 그 후방에 냉각실(50)이 설치되어 있다. 이 냉각실(50)에는, 송풍 팬(52)과 열교환기(51)가 상하로 배치되어 있다. 열교환기(51)의 하부에는 서리 제거 히터(54)가 설치되고, 그 하방에 이슬 받침 팬(56)이 설치되어 있다. 열교환기(51)에 부착된 서리는 서리 제거 히터(54)에 의해 녹아, 드레인 파이프(53)에 의해 기계실(40)의 상부로 유도되어, 드레인 팬(42)에 배수된다.
냉동실(100)은, 구획 선반(110)을 통해 상하로 분할되어 있고, 개폐 도어(101)의 내벽면에는 도어 포켓(130)이 상하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냉장실(200)은, 그 이면측에 이면 패널(230)이 설치되고, 이 이면 패널(230)의 후방에 인접하여 냉장실용 냉기 통로(20)가 설치되어 있다. 냉장실용 냉기 통로(20)의 상측에는, 단열 부재(32)로 전방부를 덮는 냉기 전환 댐퍼(3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냉장실용 냉기 통로(20)의 전방부를 덮는 이면 패널(230)에는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냉기구(233)가 상하로 배치되어 있다.
냉장실(200)에는, 제2 수납 케이스(280)를 상단과 하단으로 교체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단과 하단 사이의 공간을 구획 선반(290)에 의해 상하로 구획하고 있다. 또한, 개폐 도어(201)의 내면벽에는 복수의 도어 포켓(22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도,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에 의해, 상단 설치시에는, 제2 수납 케이스(280)의 전방부를 하방으로 경사진 자세로 인출할 수 있고, 하단 설치시에는 제2 수납 케이스(280)를 수평으로 인출할 수 있다.
야채실(400)에는, 상하 2단의 수납 케이스가 설치되어 있고, 하단 수납 케이스(410)는 인출 도어(401)와 함께 전방으로 출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 수납 케이스(411)는 도시하지 않은 독자적인 인출 기구에 의해 출납할 수 있다. 이 야채실(400)의 구조는 기존의 구조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에 관한 냉장고(1b)는, 냉기 전환 댐퍼(30)를 개폐함으로써, 열교환기(51)에서 생성된 냉기를, 송풍 팬(52)을 통해, 냉동실(100)과 냉장실(200)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야채실(400)에는, 냉장실(200)의 냉기에 의해 간접적으로 냉각시키거나, 혹은 냉장실(200)에 제공된 냉기의 일부를 야채실(400)에 공급할 수 있다.
냉동실(100)에 분출된 냉기는, 배면 상방으로부터 냉동실(100) 내로 들어가, 냉동실(100) 내를 냉각시킨 후, 배면 하부로부터 냉각실(50)의 하방으로 복귀된다. 한편, 냉기 전환 댐퍼(30)로부터 냉장실용 냉기 통로(20)에 제공되는 냉기는, 복수의 냉기구(233)로부터 냉장실(200) 내에 제공되고, 단열 구획판(11)에 형성되는 복귀 통로(17)를 통해 냉각실(50)의 하방으로 복귀된다. 여기서, 상단 및 하단 설치시의 제2 수납 케이스(280)에 대한 냉기의 흐름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냉장고에 따르면, 냉장실에 배치되는 수납 케이스(제2 수납 케이스)의 설치 장소를 바꿈으로써, 수납 케이스 내의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설치 장소의 한쪽에 수납 케이스 내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구를 설치하고, 다른 쪽에는 냉기구를 설치하지 않는 구조로 함으로써, 한쪽의 수납 케이스를 치즈나 육류의 저장에 적합한 칠러 케이스로 하고, 다른 쪽을, 야채류의 수납에 적합한 수납 공간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상단 설치시의 제2 수납 케이스에서는, ISO 규격의 -2℃ 내지 3℃의 범위인, -1℃ 내지 1℃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냉장고에서는, 상방이 개방된 1개의 수납 케이스[제2 수납 케이스(280)]를, 냉장실의 최상단과 하단의 양측의 내벽면에 형성된 레일 기구를 통해 교체 가능하게 설치하고, 냉장실의 최상단에 설치되는 상단 레일은, 상기 수납 케이스의 전방부를 하방으로 기울여 인출할 수 있는 틸트 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냉장실의 하단에 설치되는 하단 레일은, 상기 수납 케이스를 수평으로 인출할 수 있는 수평 기구를 설치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수납 케이스는, 그 양측의 하방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레일과, 양측의 후방의 상부에 형성되는 스토퍼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단 레일은, 상기 슬라이드 레일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단 가이드 레일과, 상기 스토퍼부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단 스토퍼 보유 지지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하단 레일은, 상기 슬라이드 레일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단 가이드 레일과, 상기 스토퍼부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단 스토퍼 보유 지지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상단 스토퍼 보유 지지 레일은, 후방부가 상기 스토퍼부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전방부가 상기 스토퍼부의 상방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최전방부가 상기 스토퍼부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상단 가이드 홈을 구비하고, 하단 스토퍼 보유 지지 레일은, 상기 스토퍼부를 후방부로부터 전방부로 이동시키고, 최전방부에서는 상기 스토퍼부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하단 가이드 절결부를 구비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단열 구획판을 통해, 전방이 개방된 하우징을 상하로 분할하여, 상부 저장실을 냉동실로 하고, 하부 저장실을 냉장실로 하고, 상기 하우징의 배면 하부에는 오목 형상으로 절결되어 형성되는 기계실을 형성하고, 이 기계실에 압축기를 설치하고, 상기 냉동실 내의 안쪽측에는 배면 패널이 설치되고, 그 후방에 송풍 팬과 열교환기를 상하로 배치한 냉각실을 형성하고, 상기 냉장실 내의 안쪽측에는, 양측보다 중앙측이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전방면을 이면 패널로 덮은 냉장실용 냉기 통로가 설치되고, 상기 냉장실용 냉기 통로의 상부에, 상기 냉각실과 연통되고, 또한 그 전방면이 단열재로 덮이는 냉기 전환 댐퍼를 구비하고, 상기 냉기 전환 댐퍼의 전방면을 덮는 상기 단열재에는, 냉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상단 설치시의 상기 수납 케이스는, 상기 냉기 전환 댐퍼의 전방의 위치이며, 상기 냉기구로부터 냉기가 공급되는 냉장고에 적용할 수 있다.
덧붙여, 이 냉장고에서는, 상기 기계실의 전방부로 되는 상기 냉장실의 하부에는, 그 상부가 구획판으로 덮이고, 또한 전후 방향으로 인출 가능한 야채 수납 케이스[제1 수납 케이스(270)]가 설치되고, 하단 설치시의 상기 수납 케이스는, 상기 야채 수납 케이스의 상방에 인접한 위치이며, 또한 그 상부를 구획판으로 덮은 독립된 수납 공간으로 할 수 있다.
1 : 냉장고
10 : 하우징
11 : 단열 구획판
12 : 외부 상자
13 : 내부 상자
15 : 회전 힌지
16 : 자석
17 : 복귀 통로
20 : 냉장실용 냉기 통로
30 : 냉기 전환 댐퍼
32 : 단열 부재
40 : 기계실
41 : 압축기
42 : 드레인 팬
50 : 냉각실
51 : 열교환기
52 : 송풍 팬
53 : 드레인 파이프
54 : 서리 제거 히터
55 : 냉기 통로
56 : 이슬 받침 팬
100 : 냉동실
101 : 개폐 도어
102 : 개폐용 핸들
110 : 구획 선반
111 : 제빙 팬
112 : 장착 리브
130 : 도어 포켓
150 : 배면 패널
151 : 냉기구
152 : 냉기 복귀구
160 : 하단 수납 케이스
161 : 상단 수납 케이스
200 : 냉장실
201 : 개폐 도어
202 : 개폐용 핸들
220 : 도어 포켓
230 : 이면 패널
231 : 양 측벽면
232 : 오목부
233 : 냉기구
240 : 고내 조명부
250 : 돌출부
270 : 제1 수납 케이스
280 : 제2 수납 케이스
281 : 전방면벽
282 : 손을 걸 수 있는 핸들부
283 : 양 측면벽
284 : 슬라이드 레일
285 : 스토퍼부
286 : 슬라이드 홈
287 : 배면벽
288 : 절결부
289a : 상변 모서리부
289b : 하변 모서리부
290 : 구획 선반
291 : 장착 리브
292 : 구획 선반
300 : 레일 기구
310 : 상단 레일
311 : 상단 가이드 레일
312 : 상단 스토퍼 보유 지지 레일
313 : 상단 가이드 홈
350 : 하단 레일
351 : 하단 가이드 레일
352 : 하단 스토퍼 보유 지지 레일
353 : 하단 가이드 절결부
390 : 최하단 레일
400 : 야채실
410 : 하단 수납 케이스
411 : 상단 수납 케이스

Claims (5)

  1. 상방이 개방된 1개의 수납 케이스를, 냉장실의 최상단과 하단의 양측의 내벽면에 형성된 레일을 통해 교체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수납 케이스를 냉장실의 최상단에 배치하였을 때에 수납 케이스 내의 온도가 칠드 온도대로 전환되고, 하단에 배치하였을 때에 수납 케이스 내의 온도가 야채 수납에 적합한 온도대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냉장실의 최상단에 설치되는 상단 레일은, 상기 수납 케이스의 전방부를 하방으로 기울여 인출할 수 있는 틸트 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냉장실의 하단에 설치되는 하단 레일은, 상기 수납 케이스를 수평으로 인출할 수 있는 수평 기구를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케이스는, 그 양측의 하방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레일과, 양측의 후방의 상부에 형성되는 스토퍼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단 레일은, 상기 슬라이드 레일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단 가이드 레일과, 상기 스토퍼부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단 스토퍼 보유 지지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하단 레일은, 상기 슬라이드 레일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단 가이드 레일과, 상기 스토퍼부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단 스토퍼 보유 지지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상단 스토퍼 보유 지지 레일은, 후방부가 상기 스토퍼부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전방부가 상기 스토퍼부의 상방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최전방부가 상기 스토퍼부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상단 가이드 홈을 구비하고,
    하단 스토퍼 보유 지지 레일은, 상기 스토퍼부를 후방부로부터 전방부로 이동시키고, 최전방부에서는 상기 스토퍼부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하단 가이드 절결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열 구획판을 통해 전방이 개방된 하우징을 상하로 분할하여, 상부 저장실을 냉동실로 하고, 하부 저장실을 냉장실로 하고, 상기 하우징의 배면 하부에는 오목 형상으로 절결되어 형성되는 기계실을 형성하고, 이 기계실에 압축기를 설치하고,
    상기 냉동실 내의 안쪽측에는 배면 패널이 설치되고, 그 후방에 송풍 팬과 열교환기를 상하로 배치한 냉각실을 형성하고,
    상기 냉장실 내의 안쪽측에는, 양측보다 중앙측이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전방면을 이면 패널로 덮은 냉장실용 냉기 통로가 설치되고,
    상기 냉장실용 냉기 통로의 상부에, 상기 냉각실과 연통되고, 또한 그 전방면이 단열재로 덮이는 냉기 전환 댐퍼를 구비하고,
    상기 냉기 전환 댐퍼의 전방면을 덮는 상기 단열재에는, 냉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상단 설치시의 상기 수납 케이스는, 상기 냉기 전환 댐퍼의 전방의 위치이며, 상기 냉기구로부터 냉기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실의 전방부로 되는 상기 냉장실의 하부에는, 그 상부가 구획판으로 덮이고, 또한 전후 방향으로 인출 가능한 야채 수납 케이스가 설치되고,
    하단 설치시의 상기 수납 케이스는, 상기 야채 수납 케이스의 상방에 인접한 위치이며, 또한 그 상부를 구획판으로 덮은 독립된 수납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10077696A 2010-08-06 2011-08-04 냉장고 KR1012945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76919A JP5481311B2 (ja) 2010-08-06 2010-08-06 冷蔵庫
JPJP-P-2010-176919 2010-08-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3904A true KR20120013904A (ko) 2012-02-15
KR101294519B1 KR101294519B1 (ko) 2013-08-07

Family

ID=45793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7696A KR101294519B1 (ko) 2010-08-06 2011-08-04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481311B2 (ko)
KR (1) KR101294519B1 (ko)
CN (1) CN102374745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8088A (ko) * 2012-06-08 2013-12-18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냉장고
KR101467271B1 (ko) * 2012-09-26 2014-12-01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39924B2 (ja) * 2012-06-08 2016-12-07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JP6179987B2 (ja) * 2014-02-26 2017-08-16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JP6871689B2 (ja) * 2016-05-25 2021-05-12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JP2017215073A (ja) * 2016-05-31 2017-12-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蔵庫
JP6755953B2 (ja) * 2016-08-10 2020-09-16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CN114087834A (zh) * 2020-08-24 2022-02-25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夹子组件及具有其的冷藏冷冻装置
CN115316822B (zh) * 2022-10-12 2023-02-28 山东七十二度制冷设备有限公司 一种多隔间可调节温度的生鲜冷冻柜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2495B2 (ja) * 1994-11-30 2002-09-09 三洋電機株式会社 冷凍冷蔵庫
WO1998041804A1 (fr) * 1997-03-19 1998-09-24 Hitachi, Ltd. Refrigerateur
TW422331U (en) * 1997-04-25 2001-02-11 Mitsubishi Electric Corp Refrigerator
JP4259658B2 (ja) * 1998-12-18 2009-04-30 三洋電機株式会社 冷蔵庫
CN2519215Y (zh) * 2001-04-05 2002-10-30 广东科龙电器股份有限公司 方便储藏果菜的冰箱
JP3895136B2 (ja) * 2001-05-16 2007-03-22 株式会社東芝 冷蔵庫の引出し容器
JP4004516B2 (ja) * 2005-08-04 2007-11-07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EP1929221A1 (en) * 2005-09-29 2008-06-11 Applied Design and Engineering Limited Refrigerated retail units
KR101351090B1 (ko) * 2007-01-16 2014-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7665327B2 (en) * 2007-01-17 2010-02-23 Sub-Zero, Inc. Chilled food storage area for refrigerated appliance
KR101416698B1 (ko) * 2008-01-15 2014-07-08 삼성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JP4997171B2 (ja) * 2008-04-28 2012-08-08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JP5260203B2 (ja) * 2008-05-30 2013-08-14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8088A (ko) * 2012-06-08 2013-12-18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냉장고
KR101467271B1 (ko) * 2012-09-26 2014-12-01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74745B (zh) 2016-02-24
KR101294519B1 (ko) 2013-08-07
CN102374745A (zh) 2012-03-14
JP2012037125A (ja) 2012-02-23
JP5481311B2 (ja) 2014-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4519B1 (ko) 냉장고
US10465975B2 (en) Refrigerator
CN102235797B (zh) 具有抽屉的冰箱
KR101584806B1 (ko) 냉장고
KR101067219B1 (ko) 냉장고
KR101761739B1 (ko) 냉장고용 수납서랍을 구비한 냉장고
JP2009222342A (ja) 冷蔵庫
JP5172407B2 (ja) 冷蔵庫
KR102118445B1 (ko) 냉장고
KR20110046403A (ko) 냉장고
KR101467271B1 (ko) 냉장고
JP7390178B2 (ja) 冷蔵庫
JP6622980B2 (ja) 冷蔵庫
KR101322949B1 (ko) 스탠드형 냉장고
JP2006250465A (ja) 冷蔵庫
JP7430524B2 (ja) 冷蔵庫
JP5689641B2 (ja) 冷蔵庫
KR101660155B1 (ko) 냉장고
JP2009228967A (ja) 冷蔵庫
JP6796753B2 (ja) 冷蔵庫
JP4250664B2 (ja) 冷蔵庫
JP6489767B2 (ja) 冷蔵庫
JP6505483B2 (ja) 冷蔵庫
JP2008267619A (ja) 冷蔵庫
CN112984912A (zh) 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