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0155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0155B1
KR101660155B1 KR1020150000590A KR20150000590A KR101660155B1 KR 101660155 B1 KR101660155 B1 KR 101660155B1 KR 1020150000590 A KR1020150000590 A KR 1020150000590A KR 20150000590 A KR20150000590 A KR 20150000590A KR 101660155 B1 KR101660155 B1 KR 101660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ool air
chamber
freezing chamber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0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4103A (ko
Inventor
정용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0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0155B1/ko
Publication of KR20160084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7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ai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음식물을 냉장 저장하는 냉장실; 상기 냉장실과 구획된 별도의 공간으로 형성되어, 음식물을 냉동 저장하는 냉동실; 상기 냉동실에 설치되어, 내용물이 저장되는 수납박스; 상기 냉장실의 개구된 전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냉장실 도어; 상기 냉장실 도어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빙실; 상기 냉동실의 일측에 형성되는 열교환실; 상기 냉동실에 저장된 냉기를 상기 제빙실로 공급하는 캐비닛 공급덕트; 상기 제빙실에서 열교환 된 냉기를 상기 냉동실로 회수하는 캐비닛 회수덕트; 및 상기 냉동실의 벽면에 장착되어, 수납박스를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출가이드가 포함되며, 상기 인출가이드에는, 상기 수납박스를 지지하는 가이드 본체; 및 상기 가이드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냉기를 상기 열교환실로 가이드 하는 냉기 가이드 캡을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 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상기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 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장고 내부는 냉장실과 냉동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의 내부에는 선반, 서랍, 바스켓 등의 수납부재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은 도어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의 배치 및 도어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에서 발생하는 냉기가 냉동실로 유동될 때, 냉기를 회수하는 냉기 회수구로 냉기가 안내되지 않아 냉기의 손실이 생긴다. 또한 상기 냉동실로 유동되는 냉기는, 냉기 덕트가 아래로 향하기 때문에, 아래로 향해 내려오는 냉기가 냉장실 바닥으로 유동된다. 그래서 냉기 회수구로 냉기를 바로 안내하기 어렵기 때문에, 냉기가 냉기 회수구로 유동되는 냉기 중 일부분만 회수되는 단점이 생긴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88143(2006.08.04)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냉동실로 유입되는 냉기를 열교환실로 가이드 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냉장실과 냉동실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며, 얼음의 생성을 위한 제빙실이 형성되는 냉장실 도어; 상기 냉동실의 후방에 형성되며, 냉기를 생성시키는 열교환실; 상기 냉동실과 열교환실을 구획하며, 상기 냉동실 내부의 공기가 상기 열교환실로 흡입되는 유동홈이 형성되는 그릴팬; 상기 열교환실에서 생성된 냉기를 상기 제빙실로 공급하는 캐비닛 공급덕트; 상기 제빙실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냉동실로 회수하는 캐비닛 회수덕트; 상기 냉동실의 벽면에 장착되며, 상기 냉동실에 구비되는 수납박스가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인출가이드; 상기 냉동실의 벽면에서 상기 인출 가이드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캐비닛 회수덕트 내부의 공기가 상기 냉동실로 토출되는 냉기 출구; 상기 인출가이드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냉기 출구를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냉기 출구를 차폐하되, 상기 유동홈을 향하여 개구되는 냉기 가이드 캡을 포함하며, 상기 냉기 출구를 통해서 토출되는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냉기 가이드 캡에 안내되어 상기 유동홈을 향하여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유동홈은 상기 그릴팬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냉기 출구는 상기 냉동실의 벽면에서 상기 유동홈에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냉기 출구는 상기 인출가이드의 하방에 형성되고, 상기 냉기 가이드 캡은 상기 인출가이드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냉동실 벽면에 결합되어, 상기 인출가이드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인출가이드는, 상기 냉동실의 좌우측 벽면에 고정되며, 전후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서 상기 냉동실의 중앙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절곡부; 및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서 상기 냉동실의 중앙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절곡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냉기 가이드 캡은, 상기 하부 절곡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절곡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냉기 가이드 캡에는, 상기 하부 절곡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기 냉동실의 벽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가이드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인출가이드에는, 상기 바디부와, 상부 절곡부 및 하부 절곡부가 구성하는 3면에 의하여 규정되는 가이드 홈; 및 상기 하부 절곡부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홈의 하부에 배치되는 가이드 랙이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박스에는, 상기 가이드 홈에 수용되며 상기 가이드 랙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피니언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 가이드 캡은 상기 인출가이드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냉기를 안내하는 냉기가이드 캡이 설치되어, 상기 냉기 회수 가이드가 냉기 출구와 멀리 떨어져 있더라도, 상기 가이드 캡이 냉기를 손쉽게 냉기 회수 가이드로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냉기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소비전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냉기 가이드 캡은 저장실 수납부재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인출 가이드에 구비되어, 상기 인출 가이드가 상기 냉기 가이드 캡에 의하여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인출 가이드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 없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냉장고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인출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인출가이드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에서, 인출 가이드에 형성된 냉기 가이드 캡이 유동홈으로 냉기를 안내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냉장고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냉장고(1)에는,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냉장고 도어(11)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냉장고 도어(11)에는 상기 냉장실(101)을 개폐시키는 냉장실 도어(111)와, 상기 냉동실(102)을 개폐시키는 냉장실 도어(111)가 포함된다.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음식물이 보관되기 위한 저장실(101,10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101)과, 상기 냉장실(101)의 하방에 위치되는 냉동실(102)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캐비닛(10)의 내측에는 저장실(101,102)이 베리어(12)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어 냉장실(101)과 냉동실(10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101)과 냉동실(102)의 내측에는 식품을 수납하기 위한 다수의 선반(41) 및 수납박스(40)등이 제공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일 례로 냉장실이 냉동실의 상부에 배치되는 바텀프리져 타입(Bootom freeze type)의 냉장고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냉장실(101)에는, 좌우로 배치되는 복수의 냉장실 도어(111)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냉장실 도어(111)는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도어(112)에는 상하로 배치되는 복수의 냉동실 도어(112)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112)는 슬라이딩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동실 도어(112)는, 슬라이딩 동작이 되기 위해, 상기 냉동실(102) 내부 일측에 인출 가이드(100)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냉장실 도어(111) 중 한 도어에는, 물 또는 얼음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냉장실 도어(111) 중 한 도어에는 얼음을 생성 및 저장하기 위한 제빙실(1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미도시) 및 제빙실(13)은 복수의 냉장실 도어(111) 중 어느 한 도어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펜서 및 제빙실(13)이 복수의 냉장실 도어(111)를 통칭하는 냉장실 도어(111)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냉장실 도어(111)에 구비되는 상기 제빙실(13)은 독립된 단열공간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제빙실 도어(14)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13)에는 상기 제빙실(13)의 내외측으로 공기가 유동되기 위한 제빙실 덕트(미도시)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 덕트(미도시)는, 상기 제빙실(13)의 일측면을 통해 개구된 제빙실 냉기 유입구(13a) 및 제빙실 냉기 토출구(13b)가 노출된다.
상기 제빙실 냉기 유입구(13a) 및 제빙실 냉기 토출구(13b)는 상기 냉장실 도어(111)가 닫혔을 대, 상기 냉장실(101)의 측벽에 구비되는 캐비닛 덕트(20)와 연통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덕트(20)는 상기 제빙실(13)이 구비된 상기 냉장실 도어(111)와 인접하는 상기 캐비닛(10)의 내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 덕트(20)는 상기 캐비닛(10)의 내측에서 단열재에 의해 매립된다.
상기 냉동실(102)의 후측에는, 열교환실(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102)과 열교환실(30)은 그릴팬(300)에 의하여 구획될 수 있다. 상기 그릴팬(300)에는, 상기 냉동실(102)의 냉기가 유입되는 유동홈(301)이 형성된다. 상기 유동홈(301)은 상기 그릴팬(30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실(30)에는, 상기 유동홈(301)을 통하여 유입된 냉기를 냉각하기 위한 증발기(32) 및 상기 증발기의 일측에 배치되는 냉각팬(31)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덕트(20)의 하부는 상기 열교환실(30)의 하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캐비닛 덕트(20)의 하부는 상기 유동홈(301)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 덕트(20)의 하부에는 후술할 냉기 입구(201b)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냉기 입구(201b)는 상기 유동홈(301)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 입구(201b)에서 배출되는 냉기는 후술할 냉기 가이드 캡(120)을 따라 상기 유동홈(30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덕트(20)는 상기 열교환실(30)의 내부의 냉기를 상기 제빙실(13)측으로 안내하는 캐비닛 공급덕트(201) 및 상기 제빙실(13) 내부의 냉기를 상기 냉동실(102)로 안내하는 캐비닛 회수덕트(202)로 구성된다.
상기 캐비닛 덕트(20)의 상단 즉, 상기 캐비닛 공급덕트(201)와 상기 캐비닛 회수덕트(202)에는, 상기 제빙실 덕트(미도시)와 연통되기 위해 개구되는 캐비닛 덕트 개구부(201a,202a)가 형성된다. 상기 캐비닛 덕트 개구부(201a,202a)는 상기 내장실의 측벽으로 노출되며, 상기 제빙실(13)의 측벽으로 노출되는 상기 제빙실 덕트 개구부(13a,13b)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덕트 개구부(201a,202a)에는 상기 캐비닛 공급덕트(201)를 유동한 냉기가 배출되는 캐비닛 냉기 유입구(201a) 및 상기 캐비닛 회수덕트(202)를 유동한 냉기가 배출되는 캐비닛 냉기 토출구(202a)가 포함된다. 상기 캐비닛 냉기 토출구(202a)는 상기 캐비닛 공급덕트(201)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캐비닛 냉기 유입구(201a)는 상기 캐비닛 회수덕트(202)의 상부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캐비닛 공급덕트(201)와 상기 캐비닛 회수덕트(202)는 각각이 독립적인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캐비닛 공급덕트(201)는 냉기의 공급과 회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면, 각각이 별도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고,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빙실 냉기 유입구(13a) 및 냉기 토출구의 둘레에는 가스켓이 구비되어 상기 캐비닛 공급덕트(201) 및 캐비닛 회수덕트(202)의 단부와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캐비닛 공급덕트(201)의 하부에는 냉기 입구(201b)가 형성된다. 상기 냉기 입구(201b)는 상기 열교환실(30)의 측벽으로 노출된다. 다라서 상기 열교환실(30)의 내측에서 생성된 냉기는 상기 냉기 입구(201b)를 통하여 상기 캐비닛 공급덕트(201)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냉기 입구(201b)는 상기 열교환실(30)의 구조적 특성상 충분한 흡입 유량을 확보하기 위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 회수덕트(202)의 하부에는 냉기 출구(202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기 출구(202b)는 상기 냉동실(102)의 측벽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제빙실(13)로부터 안내되는 냉기가 상기 냉동실(102)의 내측으로 회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냉기 출구(202b)는 상기 냉동실(102) 내부에 제공되는 수납박스(40) 등에 간섭되지 않고 냉기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구성에 따른 냉기의 유동모습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기 냉동실(102)의 냉기는 상기 유동홈(301)을 통하여 열교환실(3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실(30)로부터 냉기를 상기 캐비닛 공급덕트(201)로 보내고, 상기 캐비닛 공급덕트(201)로 보내진 냉기는 제빙실 냉기 유입구(13a)로 유입되어 제빙실(13)을 순환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13)을 순환한 냉기는 냉기 토출구에서 배출되며, 상기 캐비닛 회수덕트(202)의 캐비닛 냉기 유입구(201a)로 유입된다. 상기 캐비닛 냉기 유입구(201a)를 통하여 상기 캐비닛 회수덕트(202)로 회수된 냉기는 상기 냉동실(102)에 형성된 상기 냉기 출구(202b)로 냉기를 유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 출구(202b)로 유동된 냉기를 다시 열교환실(30)로 보낸다. 또한 상기 열교환실(30)로 냉기를 보내기 위해서는, 상기 열교환실(30)로 냉기가 유동될 수 있는 상기 유동홈(301)이 형성되는 그릴팬(30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홈(301)으로 냉기를 안내하기 쉽도록 상기 인출 가이드(100)의 하방에 설치된 냉기 가이드 캡(120)을 설치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가이드 캡(120)을 통해 냉기가 상기 유동홈(301)으로 냉기를 안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인출 가이드(100)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인출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인출가이드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에는, 수납박스가 냉장고(1)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가이드 하는 인출 가이드(100)가 포함된다.
상기 인출 가이드(100)는 상기 저장실(101,102)의 좌우측 벽면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출 가이드(100)는 상기 수납박스(40)를 상기 냉장고(1)의 외부로 인출하기 위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일례로, 상기 인출 가이드(100)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출 가이드(100)는 가이드 본체(110) 및 냉기 가이드 캡(120)이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 본체(110)에는 바디부(111)와, 상부 절곡부(112)와, 하부 절곡부(113) 및 가이드 홈(1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11)는 상기 저장실(101,102)의 좌우측 벽면에 고정되며, 전후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다.
상기 상부 절곡부(112)는 상기 바디부(111)의 상부에서 냉동실(102)의 중앙부 방향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하부 절곡부(113)는 상기 바디부(111)의 하부에서 냉동실(102)의 중앙부 방향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하부 절곡부(113)의 상면에는, 가이드 랙(115)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랙(115)은 상기 수납박스(40)에 구비되어 피니언(116)과 연동한다. 상기 피니언(116)은 상기 수납박스(40)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이동 가능한 바퀴를 구성하며, 상기 가이드 랙(115)의 전방부에서 후방부까지 회전하여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피니언(116)은 복수 개가 제공되어, 냉동실(102) 양측벽의 가이드 랙(115)과 연동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에는, 상기 복수 개의 피니언(116)을 연결하는 샤프트(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미도시)에 의하여, 상기 복수 개의 피니언(116)은 상기 가이드 랙(115)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114)은 상기 바디부(111)와, 상부 절곡부(112) 및 하부 절곡부(113)가 구성하는 3면에 의하여 규정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 홈(114)은 상기 슬라이더(미도시)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함몰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가이드 홈(114)에 수용되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냉기 가이드 캡(120)은 상기 가이드 본체(1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냉동실(102)로 유동되는 냉기를 상기 열교환실(30)로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일례로, 상기 냉기 가이드 캡(120)은 상기 가이드 본체(110)의 하측에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냉기 가이드 캡(120)은 상기 하부 절곡부(113)의 하측에 설치된다.
상기 냉기 가이드 캡(120)은 상기 하부 절곡부(113)의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그릴팬(300)을 향하여 절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냉기 가이드 캡(120)에는, 상기 하부 절곡부(113)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21) 및 상기 연장부(121)로부터 상기 그릴팬(300)의 상기 유동홈(301)을 향하여 연장되는 가이드부(122)가 포함된다.
상기 연장부(121)는 상기 냉기 유입구에서 배출된 냉매를 하방으로 가이드 하며, 냉기가 상기 냉동실(102)의 중앙부로 흘러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상기 가이드부(122)는 상기 연장부(121)의 하부로부터 저장실(101,102)의 측벽 방향으로 연장되며, 냉기가 상기 냉동실(102)의 바닥으로 흘러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냉기 가이드 캡(120)에는, 냉기를 배출시키는 배출단부(123)가 더 포함된다. 상기 배출단부(123)는 상기 연장부(121)의 일측부 및 가이드부(122)의 일측에 의하여 규정되며, 대락 “ㄴ”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냉기의 유동모습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에서, 인출 가이드에 형성된 냉기 가이드 캡이 유동홈으로 냉기를 안내하는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캐비닛 회수덕트(202)의 냉기는 상기 인출 가이드(100)의 하부로 유동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 회수덕트(202)는 상기 냉기 출구구(202b)를 통하여 상기 냉기 가이드 캡(120)으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된 냉기는 상기 가이드 캡(120)의 연장부(121) 및 가이드에 의하여 상기 유동홈(301)을 향하여 유동되며, 상기 냉동실(102)의 벽 또는 바닥으로 유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상기 유동홈(301)을 통하여 상기 열교환실(30)로 유입된 냉기는 상기 증발기를 거쳐 상기 캐비닛 공급덕트(201)로 유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하면, 상기 캐비닛 회수덕트(202)에서 배출된 냉매는 냉기 가이드 캡(120)에 의하여 상기 열교환실(30)측으로 가이드 될 수 있으므로, 상기 유동홈(301)과 상기 냉기 출구(202b)가 멀리 떨어져 있더라도, 냉기가 상기 냉동실(102)의 중앙부 또는 상기 냉동실(102)의 바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냉기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소비전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기 가이드 캡(120)은 저장실 수납박스(40)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인출 가이드(100)에 구비되어, 상기 인출 가이드(100)가 상기 냉기 가이드 캡(120)에 의하여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출 가이드(100)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 없게 된다.

Claims (10)

  1. 냉장실과 냉동실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며, 얼음의 생성을 위한 제빙실이 형성되는 냉장실 도어;
    상기 냉동실의 후방에 형성되며, 냉기를 생성시키는 열교환실;
    상기 냉동실과 열교환실을 구획하며, 상기 냉동실 내부의 공기가 상기 열교환실로 흡입되는 유동홈이 형성되는 그릴팬;
    상기 열교환실에서 생성된 냉기를 상기 제빙실로 공급하는 캐비닛 공급덕트;
    상기 제빙실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냉동실로 회수하는 캐비닛 회수덕트;
    상기 냉동실의 벽면에 장착되며, 상기 냉동실에 구비되는 수납박스가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인출가이드;
    상기 냉동실의 벽면에서 상기 인출 가이드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캐비닛 회수덕트 내부의 공기가 상기 냉동실로 토출되는 냉기 출구;
    상기 인출가이드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냉기 출구를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냉기 출구를 차폐하되, 상기 유동홈을 향하여 개구되는 냉기 가이드 캡을 포함하며,
    상기 냉기 출구를 통해서 토출되는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냉기 가이드 캡에 안내되어 상기 유동홈을 향하여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홈은 상기 그릴팬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냉기 출구는 상기 냉동실의 벽면에서 상기 유동홈에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출구는 상기 인출가이드의 하방에 형성되고,
    상기 냉기 가이드 캡은 상기 인출가이드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냉동실 벽면에 결합되어, 상기 인출가이드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가이드는,
    상기 냉동실의 좌우측 벽면에 고정되며, 전후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상부에서 상기 냉동실의 중앙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절곡부; 및
    상기 바디부의 하부에서 상기 냉동실의 중앙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절곡부가 포함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가이드 캡은,
    상기 하부 절곡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절곡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가이드 캡에는,
    상기 하부 절곡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상기 냉동실의 벽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가이드부가 포함되는 냉장고.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가이드에는,
    상기 바디부와, 상부 절곡부 및 하부 절곡부가 구성하는 3면에 의하여 규정되는 가이드 홈; 및
    상기 하부 절곡부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홈의 하부에 배치되는 가이드 랙이 더 포함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박스에는, 상기 가이드 홈에 수용되며 상기 가이드 랙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피니언이 구비되는 냉장고.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가이드 캡은 상기 인출가이드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삭제
KR1020150000590A 2015-01-05 2015-01-05 냉장고 KR101660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590A KR101660155B1 (ko) 2015-01-05 2015-01-05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590A KR101660155B1 (ko) 2015-01-05 2015-01-05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103A KR20160084103A (ko) 2016-07-13
KR101660155B1 true KR101660155B1 (ko) 2016-09-26

Family

ID=56505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0590A KR101660155B1 (ko) 2015-01-05 2015-01-05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0155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118B1 (ko) * 2005-05-23 2007-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덕트가 구비된 냉장고
KR101532796B1 (ko) * 2008-03-26 2015-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660719B1 (ko) * 2009-08-07 2016-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103A (ko) 201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0086B1 (ko) 냉장고
US11692766B2 (en) Refrigerator
KR20220084003A (ko) 냉장고
KR101294519B1 (ko) 냉장고
KR101132455B1 (ko) 냉장고
KR20170096326A (ko) 냉장고
KR101660155B1 (ko) 냉장고
KR101048222B1 (ko) 냉장고
JP6097929B2 (ja) 冷蔵庫
KR101132452B1 (ko) 냉장고
KR101260559B1 (ko) 냉장고
KR101694663B1 (ko) 냉장고
KR100751118B1 (ko) 스크롤덕트가 구비된 냉장고
KR100614317B1 (ko) 냉장고
KR20060088594A (ko) 냉장고
KR20160019125A (ko) 냉장고
KR20110078656A (ko) 냉장고
JP6489767B2 (ja) 冷蔵庫
KR100614318B1 (ko) 냉장고
KR101132448B1 (ko) 냉장고
KR20220068703A (ko) 냉장고
KR100690644B1 (ko) 빌트인 타입 냉장고의 냉기 토출장치
JP2014020684A (ja) 冷蔵庫
KR100694263B1 (ko) 냉장고용 수납박스 간접냉각구조
KR20100023352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