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2916A - 강성이 증대된 강관 - Google Patents
강성이 증대된 강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12916A KR20120012916A KR1020100075034A KR20100075034A KR20120012916A KR 20120012916 A KR20120012916 A KR 20120012916A KR 1020100075034 A KR1020100075034 A KR 1020100075034A KR 20100075034 A KR20100075034 A KR 20100075034A KR 20120012916 A KR20120012916 A KR 2012001291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l pipe
- pipe body
- rigidity
- filling
- increa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4—Columns; Pillars; Struts of concrete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permanent form elements,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 e.g. metal cover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6—Columns; Pillars; Struts of materials not covered by groups E04C3/32 or E04C3/34;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성이 증대된 강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강성 증대 수단을 매개로 강관몸체의 충전물에 대한 저항 강도를 증대시킨 강성이 증대된 강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성이 증대된 강관은 충전물이 충전되는 강관몸체; 및 강관몸체의 내부에 위치되어, 적어도 충전물 접촉면적 확장을 매개로 강관몸체의 강성을 증대토록 제공된 강성 증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강성이 증대된 강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강성 증대 수단을 매개로 강관몸체의 충전물에 대한 저항 강도를 증대시킨 강성이 증대된 강관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대형 기둥에 사용되는 충전용 강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콘크리트가 충진된 상태의 충진 강관의 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충전용 강관은 별도의 전단연결재 없이도 강관몸체(11) 내부로 콘크리트(13)가 충전되면 충분한 합성거동을 발휘한다. 그러나, 초고층 건물에 사용되는 CFT 메가 기둥을 이루는 콘크리트 충전용 강관(10)의 경우, 단면의 한변의 길이가 1M이상으로 콘크리트 충전용 강관(10)의 크기가 매우 크기때문에 콘크리트(13) 충전시 강관몸체(11)와 콘크리트(13) 간의 합성 효과가 떨어져 강관몸체(11)에 충전된 콘크리트(13)가 강관몸체(11)로부터 미끄러져 분리되는 형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몸체(11) 내면에 전단연결재인 복수 개의 스터드(12)들을 설치하였다. 여기서, 스터드(12)는 헤드와 몸체가 일체로 형성된 부재로서, 건축 공사 형장이나 공장에서 강판 또는 강관 등에 용접으로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어 전단연결재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스터드(12)는 일반적으로 그 크기가 크지 않기 때문에, 대형 기둥의 전단연결재로 사용되는 경우 다수의 스터드(12)들이 강관몸체(11) 내부에 용접되어야 한다. 또한, 아무리 많은 스터드(12)들이 강관몸체(11) 내면에 부착되어 전단연결재로 사용된다 하더라도 강관몸체(11) 내로 콘크리트(13)가 충전되는 경우, 대형기둥에 사용되는 강관몸체(11)의 크기에 비해 스터드(12)의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콘크리트(13) 속에 매입된 스터드(12)들은 콘크리트(13)에 대한 단면 저항능력이 작아 콘크리트(13)를 용이하게 구속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스터드(12)들이 강관몸체(11) 내면에 용접됨에 따라 대형 기둥 시공시 용접 작업이 많아져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이로 인해 공사 기간이 길어지고 공사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종래의 전단연결재로 사용되던 스터드 대신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성 증대 수단을 강관몸체에 결합시켜 강성 증대 수단의 단면적만큼 강관의 단면적을 증대시키고, 이로 인해 강관이 대형화될 때 강관몸체의 단면 치수를 줄일 수 있는 강성이 증대된 강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강성 증대 수단으로 하여금 전단연결재 역할을 하게 하여 축하중에 대한 저항능력 및 강관몸체와 충전물 간의 합성능력을 향상시킨 강성이 증대된 강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충전물과의 충전밀도를 증대토록 강성 증대 수단을 이루는 연결 부재로서 선형의 철근 또는 선형의 와이어를 사용하여, 충전물과 강성 증대 수단과의 합성 작용을 극대화시키고, 이로 인해 강관몸체 내부에서 충전물의 강성 증대 수단에 대한 전단 저항을 증가시키는 강성이 증대된 강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강성 증대 수단의 연결 부재로서 하나 이상의 개구가 형성된 연결강판을 사용하여, 충전물이 개구로 메꿔져 충전물과 연결강판간의 합성 작용을 증대시키고, 이로 인해 충전물의 강성 증대 수단에 대한 전단 저항을 증가시키는 강성이 증대된 강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강성 증대 수단의 연결 부재로서 주름 강판을 사용함으로써, 충전물이 강관몸체 내부로 충전될 때, 충전물이 주름 강판을 흘러 내려가면서 강관몸체 내부에 적층됨으로써, 충전물의 적층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강성이 증대된 강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강관몸체에 강성 증대 수단을 결합시킴으로써, 기존의 전단연결재인 스터드를 강관 내부에 결합하는 과정을 생략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공사 기간을 단축하고 공사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강성이 증대된 강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성이 증대된 강관은 충전물이 충전되는 강관몸체; 및 강관몸체의 내부에 위치되어, 적어도 충전물 접촉면적 확장을 매개로 강관몸체의 강성을 증대토록 제공된 강성 증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성 증대 수단은 강관몸체 내면에 고정된 하나 이상의 지지 부재; 강관몸체의 내부에서 지지 부재와 이격되어 위치되되, 충전물 접촉면적을 확장시켜 강관몸체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강성 증대 부재; 및 지지 부재와 강성 증대 부재 사이에 연계된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는 충전물의 충전밀도를 증대토록 지지 부재와 강성 증대 부재 사이에 교차하면서 연계되는 철근, 와이어 또는 봉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이 복합적으로 제공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는 지지 부재와 강성 증대 부재 사이에 연계되어, 충전물의 접촉증대를 통해 추가적으로 강성을 증대토록 제공된 연결 판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판재는 충전물의 접촉면적을 더 확장토록 제공된 주름 판재와, 충전물이 통과되어 강성을 더 증대토록 제공된 하나 이상의 개구가 형성된 판재와, 주름 또는 하나 이상의 개구가 복합적으로 제공된 판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종래의 전단연결재로 사용되던 스터드 대신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성 증대 수단을 강관몸체에 결합시켜 강성 증대 수단의 단면적만큼 강관의 단면적을 증대시키고, 이로 인해 강관이 대형화될 때 강관몸체의 단면 치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성 증대 수단으로 하여금 전단연결재 역할을 하게 하여 축하중에 대한 저항능력 및 강관몸체와 충전물 간의 합성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충전물과의 충전밀도를 증대토록 강성 증대 수단을 이루는 연결 부재로서 선형의 철근 또는 선형의 와이어를 사용하여, 충전물과 강성 증대 수단과의 합성 작용을 극대화시키고, 이로 인해 강관몸체 내부에서 충전물의 강성 증대 수단에 대한 전단 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성 증대 수단의 연결 부재로서 하나 이상의 개구가 형성된 연결강판을 사용하여, 충전물이 개구로 메꿔져 충전물과 연결강판간의 합성 작용을 증대시키고, 이로 인해 충전물의 강성 증대 수단에 대한 전단 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성 증대 수단의 연결 부재로서 주름 강판을 사용함으로써, 충전물이 강관몸체 내부로 충전될 때, 충전물이 주름 강판을 흘러 내려가면서 강관몸체 내부에 적층됨으로써, 충전물의 적층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강성이 증대된 강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강관몸체에 강성 증대 수단을 결합시킴으로써, 기존의 전단연결재인 스터드를 강관 내부에 결합하는 과정을 생략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공사 기간을 단축하고 공사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a는 대형 기둥에 사용되는 강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콘크리트가 충진된 상태의 강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충전물이 충전된 상태의 강성이 증대된 강관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선형 철근 또는 선형 와이어가 연결 부재로서 사용된 경우에 강성 증대 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하나 이상의 개구가 형성 연결강판이 연결 부재로서 사용된 경우에 강성 증대 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주름 강판이 연결 부재로서 사용된 경우에 강성 증대 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충전물이 충전된 상태의 강성이 증대된 강관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선형 철근 또는 선형 와이어가 연결 부재로서 사용된 경우에 강성 증대 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하나 이상의 개구가 형성 연결강판이 연결 부재로서 사용된 경우에 강성 증대 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주름 강판이 연결 부재로서 사용된 경우에 강성 증대 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성이 증대된 강관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성이 증대된 강관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강성이 증대된 강관(100)에는 충전물(C)이 충전된 상태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성이 증대된 강관(100)은 강관몸체(110) 및 강관몸체(110)에 내장된 강성 증대 수단(12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관몸체(110)에는 충전물(C)이 충전되는 충전공간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강관몸체(110)의 형상 및 크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가변가능하다.
일반적으로, 강관몸체(110)는 강판으로 이루어지는데, 강판은 열전도율이 높고 비열이 작아 화재 발생시 열전달이 빨라 내화성이 약하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열전도율이 낮고 비열이 높아 화재발생시 열전달을 느리게 하는 내화물질을 강관몸체(110)에 충전함으로써 강관몸체(110)의 내화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성이 증대된 강관(100)의 내화성 및 강도를 향상시키는 내화물질로는 콘크리트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강관몸체(110)와 충전물(C)인 콘크리트는 그 특성이 서로 달라, 강관몸체(110)와 충전물(C)의 접촉면에서 전단 현상이 발생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전단 현상을 방지하고 강관(100)의 단면적을 증대시키고 강관(100)의 국부적 좌굴을 방지하기 위해 강관몸체(110) 내면에 강성 증대 수단(120)이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성 증대 수단(12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성 증대 수단(120)은 강관몸체(110)와 충전물(C) 간의 전단하중에 저항하는 부재로서, 충전물이 충진된 상태에서 충전용 강관(100)의 강도 및 강성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강관몸체 강성증대수단(120)은 충전물(C)이 강관몸체(110)와 일체가 되도록 하여 강성이 증대된 강관(100)에 외력이 가해질 때 충전물(C)이 강관몸체(110)에서 분리되지 않고 강관몸체(110)와 일체로 외력에 저항하도록 하는 부재로서, 전단연결재로서 역할을 한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성 증대 수단(120)은 강성 증대 부재(121), 지지 부재(122, 123), 및 연결 부재(124, 12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성 증대 부재(121)는 강관몸체(110) 내면과 이격되어 강관몸체(110) 내면과 나란하게 위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강성 증대 부재(121)는 후술할 연결 부재(124, 125)에 의해 지지 부재(122, 123)에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강성 증대 부재(121)는 충전물(C)이 충전된 강관몸체(110)의 내부에서 위치되어, 강관(100)이 충전물(C)에 접촉되는 접촉면적을 확장시켜 강관(100)의 강성을 증대토록 제공되고, 더불어 강관몸체(110)에 가해지는 축력과 휨모멘트를 부담함으로써 강관몸체(110)의 국부적 좌굴을 방지토록 제공된 것이다.
강성 증대 부재(121)는 강관(100)에 가해지는 축력 및 휨모멘트를 부담할 수 있는 정도의 두께를 가진 철근 또는 파이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강성 증대 부재(121)의 크기는 강관몸체(110)의 크기에 따라 가변가능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강성 증대 부재(121)의 형상 또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가변될 수 있다.
한편, 지지 부재(122, 123)는 강관몸체(110)의 내면에 고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부재(122, 123)는 강관몸체(110)의 내면과 용접결합되어 강관몸체(110) 내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지지 부재(122, 123)는 강성 증대 부재(121)와 삼각 구도를 이루도록 강관몸체(110) 내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122, 123)는 강관몸체(110) 내부에서 강성 증대 부재(121)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122, 123)는 연결 부재(124, 125)를 통해 강성 증대 부재(121)를 강관몸체(110)에 연결할 수 있는 것이라면, 선형 철근, 내부가 중공된 파이프, 또는 어느 정도의 두께를 가진 와이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지지 부재(122, 123)가 한쌍의 선형 철근이라고 본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한쌍의 선형 철근은 강성 증대 부재(121)와 삼각 구도를 이루도록 강관몸체(11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연결 부재(124, 125)에 대해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124, 125)는 강성 증대 부재(121)와 지지 부재(122, 123)를 연결하는 부재로서, 선형 철근, 선형 와이어, 하나 이상의 개구가 형성된 연결 강판, 또는 주름 강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선형 철근 또는 선형 와이어가 연결 부재(124, 125)로서 사용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선형 철근 또는 선형 와이어가 연결 부재(124, 125)로서 사용된 경우에 강성 증대 수단(12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재(124, 125)로서 선형 철근 또는 선형 와이어는 지지 부재(122, 123)와 강성 증대 부재(121)를 교차하면서 연계되어 지그재그형으로 지지 부재(122, 123)와 강성 증대 부재(121)를 연결한다. 이때, 연결 부재(124, 125)와 지지 부재(122, 123), 그리고, 연결 부재(124, 125)와 강성 증대 부재(121)는 상호 간에 용접결합되는데, 상세하게는 연결 부재(124, 125)인 선형 철근은 강성 증대 부재(121)와 접하는 부분에서 용접결합되고, 지지 부재(122, 123)와 접하는 부분에서 용접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 철근 또는 선형 와이어가 연결 부재(124, 125)로 사용된 경우, 연결 부재(124, 125)로 인해 강성 증대 부재(121)와 지지 부재(122, 123) 사이에 형성된 공간, 그리고, 연결 부재(124, 125)가 지그재그형으로 강성 증대 부재(121)와 지지 부재(122, 123) 사이를 오가면서 만들어진 공간으로 충전물(C)이 충전됨으로써, 강성 증대 수단(120)과 충전물(C)과의 충전밀도가 향상되어, 충전물(C)과 강성 증대 수단(120) 상호 간의 합성 작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해 강성 증대 수단(120)은 강관몸체(110) 내부에서 충전물(C)에 대한 전단 저항이 증가된다.
한편,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아니하지만, 강성 증대 부재(121)에 관통되는 개구와 지지 부재(122 또는 123)가 관통되는 개구가 형성된 봉이 강성 증대 부재(121)와 지지 부재(122 또는 123)를 연계할 수도 있다. 더불어, 강성 증대 부재(121)와 지지 부재(122, 123)를 연계하는 연결부재(124, 125)로는 선형 철근, 선형 와이어, 또는 봉이 복합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개구가 형성된 연결 강판이 연결 부재(124, 125)로서 사용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하나 이상의 개구가 형성 연결강판이 연결 부재(124, 125)로서 사용된 경우에 강성 증대 수단(12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연결 부재(124, 125)로서 하나 이상의 개구가 형성된 연결 강판은 용접 결합을 통해 강성 증대 부재(121)와 지지 부재(122, 123)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개구가 형성된 연결 강판은 강성 증대 부재(121)와 접하는 부분에서 강성 증대 부재(121)와 용접결합되고, 지지 부재(122, 123)와 접하는 부분에서 지지 부재(122, 123)와 용접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연결 부재(124, 125)인 연결 강판은 강성 증대 부재(121)의 외면과 지지 부재(122, 123)의 외면과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강관몸체(110)의 충전공간으로 충전물(C)의 충전시 충전물(C)과 연결강판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개구(126)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개구(126)의 형상으로 원형 단면을 가진 개구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울러 개구의 크기 및 배열 위치도 본 실시예에 도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개구가 형성된 연결 강판이 한쌍의 지지 부재(122, 123)와 지지 부재(122, 123)와 이격되어 위치된 강성 증대 부재(121)를 연결할 때, 강성 증대 부재(121)와 지지 부재(122, 123)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간 및 개구로 채워진 충전물(C)은 개구에 채원진 충전물(C)에 의해 강관몸체(110) 내부를 채우는 충전물(C)과 일체화된 상태로 경화된다. 이에 따라, 연결 부재(124, 125)와 충전물(C)간의 결합력이 증대되어, 강성 증대 수단(120)과 강관몸체(110)와의 접합면에서 충전물(C)의 강관몸체(110)에 대한 전단력에 대한 저항 강도가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주름 강판이 연결 부재(124, 125)로서 사용된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주름 강판이 연결 부재(124, 125)로서 사용된 경우에 강성 증대 수단(12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상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주름강판은 용접결합에 의해 강성 증대 부재(121)와 지지 부재(122, 123)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름강판과 강성 증대 부재(121), 주름 강판과 지지 부재(122, 123)와의 용접 결합 방식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강판이 연결 부재(124, 125)로서 사용되면, 충전물(C)이 강관몸체(110) 내부로 충전될 때, 충전물(C)이 주름 강판을 흘러 내려가면서 강관몸체(110) 내부에 적층됨으로써, 충전물(C)의 적층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주름 강판에는 주름강판과 충전물(C) 간의 합성 작용을 향상시키도록 하나 이상의 개구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하나 이상의 개구로 충전물(C)이 메꿔져 충전물(C)과 주름강판 간의 합성 작용이 증대되고, 이로 인해 충전물(C)의 강성 증대 수단(120)에 대한 전단 저항이 증가된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강성 증대 수단(120)은 외부에서 강관(100)으로 가해지는 하중이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상호 간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소정의 패턴으로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강관몸체(110)에 결합되는 강성 증대 수단(120)의 설치 개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강관몸체(110)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가변가능하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강성이 증대된 강관(100)은 강성 증대 수단(120)의 단면적만큼 강관(100)의 단면적이 증대되어, 강성 증대 수단(120)으로 인해 동일한 단면적에 대해 강관몸체(110)의 단면 치수를 줄일 수 있어 대형화된 강관(100)에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아울러, 대형화된 강관몸체(110)와 충전물(C) 상호 간의 전단연결재로서 스터드 대신에 강관몸체(110)의 크기에 따라 크기가 가변되는 강성 증대 수단(120)을 사용함으로써, 강관몸체(110)의 충전물(C)에 대한 전단 저항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성이 증대된 강관(100)은 배경기술의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많은 스터드들을 일일이 강관몸체(110) 내면에 용접결합하지 않아도 되어, 용접과정 생략으로 인해 시공이 편리하다. 아울러, 이로 인해 공사기간이 단축될 뿐 아니라, 인건비의 절감으로 인해 공사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가진다.
위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제한적이기보다는 본 발명의 모든 관점들 내에서 설명적인 것이 되도록 의도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들에 의하여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된 설명들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많은 변형 및 상세한 실행이 가능하다.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된 바와 같이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100: 강성이 증대된 강관 110: 강관몸체
120: 강성 증대 수단 121: 강성 증대 부재
122, 123: 지지 부재 124, 125: 연결 부재
120: 강성 증대 수단 121: 강성 증대 부재
122, 123: 지지 부재 124, 125: 연결 부재
Claims (5)
- 충전물이 충전되는 강관몸체; 및
상기 강관몸체의 내부에 위치되어, 적어도 충전물 접촉면적 확장을 매개로 강관몸체의 강성을 증대토록 제공된 강성 증대 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이 증대된 강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증대 수단은
상기 강관몸체 내면에 고정된 하나 이상의 지지 부재;
상기 강관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지지 부재와 이격되어 위치되되, 충전물 접촉면적을 확장시켜 상기 강관몸체의 강성을 증대시키는 강성 증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강성 증대 부재 사이에 연계된 연결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이 증대된 강관.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충전물의 충전밀도를 증대토록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강성 증대 부재 사이에 교차하면서 연계되는 철근, 와이어 또는 봉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이 복합적으로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이 증대된 강관.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강성 증대 부재 사이에 연계되어,
충전물의 접촉증대를 통해 추가적으로 강성을 증대토록 제공된 연결 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이 증대된 강관.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판재는
충전물의 접촉면적을 더 확장토록 제공된 주름 판재와
충전물이 통과되어 강성을 더 증대토록 제공된 하나 이상의 개구가 형성된 판재와,
주름 또는 하나 이상의 개구가 복합적으로 제공된 판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성이 증대된 강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5034A KR20120012916A (ko) | 2010-08-03 | 2010-08-03 | 강성이 증대된 강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5034A KR20120012916A (ko) | 2010-08-03 | 2010-08-03 | 강성이 증대된 강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12916A true KR20120012916A (ko) | 2012-02-13 |
Family
ID=45836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75034A KR20120012916A (ko) | 2010-08-03 | 2010-08-03 | 강성이 증대된 강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12916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8621B1 (ko) * | 2013-11-27 | 2015-05-11 | 주식회사 포스코 | 콘크리트 합성기둥 |
KR101715143B1 (ko) * | 2016-07-15 | 2017-03-13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일자형 볼트조립슬롯 및 파형펀칭강판을 사용한 무용접 방식의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 및 그 시공방법 |
-
2010
- 2010-08-03 KR KR1020100075034A patent/KR2012001291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8621B1 (ko) * | 2013-11-27 | 2015-05-11 | 주식회사 포스코 | 콘크리트 합성기둥 |
KR101715143B1 (ko) * | 2016-07-15 | 2017-03-13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일자형 볼트조립슬롯 및 파형펀칭강판을 사용한 무용접 방식의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 및 그 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22034B1 (ko) | 충전형 강관 | |
KR20100076576A (ko) | 횡구속력이 향상된 콘크리트 충전 강관 | |
JP2012140824A (ja) | コンクリート充填鋼管柱 | |
CN107165275B (zh) | 一种组合式抗震螺栓连接节点 | |
JP4931490B2 (ja) | 構面補強構造及び構面の補強方法 | |
JP2013209838A (ja) | デッキプレートの補強部材及び同補強部材を使用した合成スラブ構造 | |
KR100870070B1 (ko) | 층고절감형 강-콘크리트 합성보-슬래브용 성형강판 조립 보 | |
KR100952930B1 (ko) |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과 철근콘크리트 플랫 슬래브 접합부 전단보강장치 | |
KR101127362B1 (ko) | 고효율의 전단저항력 발휘 구조를 가지는 파형강판과 콘크리트 부재의 접합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 |
KR20110133126A (ko) | 충전용 강관 | |
JP2006037628A (ja) | 既存建物の耐震補強方法 | |
JP4563872B2 (ja) | 耐震壁 | |
KR20120133657A (ko) | 콘크리트 충전용 이중강관 및 콘크리트 충전용 강관기둥 | |
KR20120012916A (ko) | 강성이 증대된 강관 | |
JP6535704B2 (ja) | 柱梁架構 | |
JP4712021B2 (ja) |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中の配筋に用いる補強鉄筋及び配筋構造 | |
JP5532852B2 (ja) | 鋼管コンクリート柱 | |
JP2006037586A (ja) | 波形鋼板を用いた耐震壁 | |
JP7391172B2 (ja) | コンクリート充填鋼管柱と鉄筋コンクリートスラブとの接合構造 | |
JP2007239241A (ja) | 弾塑性ダンパ | |
US20100229482A1 (en) | Connecting Structure | |
JP2020029662A (ja) | 鉄筋構造体及びその鉄筋構造体を備えた合成スラブ構造 | |
KR200360212Y1 (ko) | 데크플레이트용 스페이서 | |
JP2016089550A (ja) | 鉄筋コンクリート梁と鋼管柱との接合構造及び方法 | |
KR101203729B1 (ko) | 강관몸체 강성증대수단을 구비한 충전용 강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