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2513A - 스크류 가공장치의 금속봉소재 공급기 - Google Patents

스크류 가공장치의 금속봉소재 공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2513A
KR20120012513A KR1020100074494A KR20100074494A KR20120012513A KR 20120012513 A KR20120012513 A KR 20120012513A KR 1020100074494 A KR1020100074494 A KR 1020100074494A KR 20100074494 A KR20100074494 A KR 20100074494A KR 20120012513 A KR20120012513 A KR 20120012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rod
rod material
storage container
rotating body
passag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4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6530B1 (ko
Inventor
이현호
Original Assignee
이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호 filed Critical 이현호
Priority to KR20100074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6530B1/ko
Publication of KR20120012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2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13/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veying or chucking or guiding stock
    • B23B13/1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veying or chucking or guiding stock with magazines for st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00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3B5/36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turning specially-shaped surfaces by making use of relative movement of the tool and work produced by geometrical mechanisms, i.e. forming-lathes
    • B23B5/46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turning specially-shaped surfaces by making use of relative movement of the tool and work produced by geometrical mechanisms, i.e. forming-lathes for turning helical or spir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01Article feeders for assembling machines
    • B23P19/004Feeding the articles from hoppers to machines or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2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drums or rotating tables or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8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slide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1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5/00Driving working spindles or 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2705/10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2705/14Electric dr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류 가공장치의 금속봉소재 공급기에 관한 것으로, 고정롤링다이스와 가동롤링다이스에 금속봉소재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롤링다이스의 상방에 수직상으로 고정 설치되는 소재저장통과, 상기 소재저장통에 다수 저장되어 있는 금속봉소재를 하나씩 낙하 공급하기 위하여 소재저장통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낙하통로입구와, 상기 낙하통로입구를 통해 하나씩 낙하하는 금속봉소재를 상기한 고정롤링다이스 상방으로 떨어지도록 안내하기 위하여 낙하통로입구의 양측에 하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한쌍의 낙하안내레일을 구비하고 있는 스크류 가공장치의 금속봉소재 공급기에 있어서, 상기 금속봉소재 공급기는,
상기 소재저장통의 경사판 저부 양측에 각각 이동조절이 가능하게 고정 부착되는 한쌍의 축수대와; 상기 경사판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한쌍의 축수대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과; 상기 경사판의 하단 일부에 형성되어 소재저장통 내부를 노출시키게 되는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를 통해 일부가 상기 소재저장통의 낙하통로입구보다 조금 높은 위치까지 삽입되도록 상기 회전축에 축설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작동을 하면서 상기 낙하통로입구측에 위치하게 되는 금속봉소재들을 조금씩 밀어올리는 회전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스크류 가공장치의 금속봉소재 공급기{Metal rod supplying apparatus of screw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스크류 가공장치의 금속봉소재 공급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금속봉소재가 저장되어 있는 소재저장통의 낙하통로입구측에 회전체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는 수단으로, 상기 회전체가 일정각도범위내에서 한차례 왕복회전할 때마다 또는 일방향으로 연속해서 1회전할 때마다 상기 낙하통로입구측에 위치하고 있는 금속봉소재들을 상향으로 조금씩 밀어올려주는 작동으로 상기 소재저장통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금속봉소재들이 낙하통로입구를 통해 정확하게 하나씩 연속해서 낙하될 수 있도록 하는 금속봉소재 공급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정길이로 절단된 금속봉소재들을 연속해서 스크류가공하기 위해서는 롤링다이스 스크류 가공장치를 이용하고 있다.
그 일례로서, 특허 제10-0523325호로 제안된 스크류 가공장치가 있다.
상기한 종래 기술은 고정 롤링다이스 상방에 다수의 금속봉소재가 저장되어 있는 소재저장통의 하부에 형성된 낙하통로는 단순히 하나의 금속봉소재만 낙하될 수 있도록 상기 낙하통로입구는 금속봉소재의 직경과 같거나 그보다 미세하게 큰 직경을 갖도록 구성하여 상기 소재저장통에 다수 저장되어 있는 금속봉소재들이 낙하통로입구에 이르러서는 하나씩 낙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스크류 가공장치는 서보모터의 회전작동에 의해 정,역으로 회전하는 볼스크류축을 따라 상,하로 왕복이동하는 가동왕복체의 왕복작동에 의한 진동에 의해 소재저장통이 흔들리게 되므로 상기한 소재저장통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금속봉소재들이 서로 맞붙어 있는 상태로 낙하통로입구에 이르렀을 때 진동에 의한 흔들림으로 인해 낙하통로입구에서 분리되는 현상이 나타나 하나씩 낙하할 수 있게 되지만, 만일 도 8의 도시와 같이 두개의 금속봉소재(P2)(P3)들이 동시에 소재저장통의 낙하통로입구(100)에서 수직면과 경사면에 꽉끼이게 되는 특수한 상황이 발생되었을 때에는 상기한 볼스크류축을 따라 가동왕복체가 상,하로 왕복이동할 때 발생되는 진동작동만으로 상기와 같이 서로 끼인 상태로 붙어있는 두개의 금속봉소재(P2)(P3)를 분리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문제는 스크류 가공장치의 오작동으로 이어져 스크류제품의 생산성을 떨어뜨릴 뿐 아니라 스크류제품의 불량률을 높이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다수의 금속봉소재들이 저장되어 있는 소재저장통의 낙하통로입구측에 회전체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회전체를 일정각도범위내에서 왕복회전시키는 작동을 반복하거나 또는 상기 회전체를 일방향으로 연속해서 회전시키는 작동으로써 상기한 회전체로 하여금 소재저장통의 낙하통로입구에 위치하게 되는 금속봉소재들을 상향으로 조금씩 밀러올리는 작동을 반복케 하므로써 소재저장통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금속봉소재들이 낙하통로입구를 통해 하나씩 연속해서 정확하게 낙하되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대의 일정높이에 고정 설치된 고정롤링다이스와 상기 고정롤링다이스에 대하여 스크류가공면이 서로 마주하는 상태에서 상,하로 왕복이동하는 가동롤링다이스에 금속봉소재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롤링다이스의 상방에 수직상으로 고정 설치되는 소재저장통과, 상기 소재저장통에 다수 저장되어 있는 금속봉소재를 하나씩 낙하 공급하기 위하여 소재저장통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낙하통로입구와, 상기 낙하통로입구를 통해 하나씩 낙하하는 금속봉소재를 상기한 고정롤링다이스 상방으로 떨어지도록 안내하기 위하여 낙하통로입구의 양측에 하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한쌍의 낙하안내레일을 구비하고 있는 스크류 가공장치의 금속봉소재 공급기에 있어서,
상기 금속봉소재 공급기는,
상기 소재저장통의 경사판 저부 양측에 각각 이동조절이 가능하게 고정 부착되는 한쌍의 축수대와;
상기 경사판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한쌍의 축수대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과;
상기 경사판의 하단 일부에 형성되어 소재저장통 내부를 노출시키게 되는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를 통해 일부가 상기 소재저장통의 낙하통로입구보다 조금 높은 위치까지 삽입되도록 상기 회전축에 축설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작동을 하면서 상기 낙하통로입구측에 위치하게 되는 금속봉소재들을 조금씩 밀어올리는 회전체;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체의 일측에는 낙하통로입구측에 위치하게 되는 금속봉소재와 직접 접촉하면서 금속봉소재들을 상향으로 조금씩 밀어올려주기 위하여 상기 금속봉소재의 직경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된 요홈이 상기 회전체의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체의 일측에 형성된 암나사공에는 낙하통로입구측에 위치하게 되는 금속봉소재와 직접 접촉하면서 금속봉소재들을 조금씩 상향으로 밀어올려주기 위하여 회전체의 외면에 노출단이 돌출되도록 볼트가 나사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금속봉소재 공급기는 일측 축수대에서 돌출하도록 설치된 회전축의 일단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작동간과, 상기 작동간에 부착된 가동핀축과 상기 소재저장통의 측면판에 고정 부착된 고정핀축 각각에 양단이 연결되는 인장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작동간은 스크류 가공장치의 일정높이에서 상,하로 왕복운동을 하는 승강작동간에 의하여 일정각도범위내에서 상,하로 왕복운동을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금속봉소재 공급기는 일측 축수대에서 돌출하도록 설치된 회전축의 일단에는 회전풀리가 축설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풀리는 스크류 가공장치의 일정높이에 고정 설치된 모터의 구동풀리에 벨트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일방향으로 연속해서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봉소재 공급기는 소재저장통의 경사판 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체의 일부가 낙하통로입구의 내부까지 삽입된 상태에서 일정각도범위내에서 왕복회전운동을 하는 작동이나 또는 일방향을 향해 연속적으로 회전하는 작동으로 상기 소재저장통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금속봉소재들 중 상기한 낙하통로입구에 위치하고 있는 금속봉소재를 상향으로 조금씩 밀어올리게 되므로써 상기 소재저장통에 저장되어 있는 금속봉소재들이 낙하통로입구측에서 서로 맞물린 상태로 끼여있지 않고 하나씩 차례대로 낙하통로입구를 통해 낙하 공급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따라서 상기 금속봉소재 공급기는 고정롤링다이스와 가동롤링다이스에 금속봉소재를 연속해서 공급할 수 있게 되므로 스크류 가공장치는 오작동을 일으키지 않고 양질의 스크류를 연속해서 가공생산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스크류 가공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스크류 가공장치의 금속봉소재 공급기 저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금속봉소재 공급기의 낙하통로입구와 회전체의 설치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금속봉소재 공급기의 회전체를 일정각도범위내에서 왕복회전작동하도록 구성된 일실시예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금속봉소재 공급기의 회전체가 일정각도범위내에서 왕복회전작동케 하는 일실시예의 작동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금속봉소재 공급기의 회전체를 일방향으로 연속해서 회전작동하도록 구성된 다른 실시예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금속봉소재 공급기의 회전체를 일방향으로 연속해서 회전작동케 하는 다른 실시예이다.
도 8은 종래 기술
본 발명에 의한 스크류 가공장치의 슴속봉소재 공급기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은 금속봉소재 공급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금속봉소재 공급기(1)는 스크류 가공장치의 기대(10)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롤링다이스(11)의 상방에 수직상으로 고정 설치된다.
상기 금속봉소재 공급기(1)는 일정한 길이로 절단가공된 금속봉소재(P)가 다수 저장되는 소재저장통(2)과, 상기 소재저장통(2)의 경사판(21) 하단 일부에 형성되어 소재저장통 내부를 노출시키는 절개부(3)와, 상기 소재저장통(2)의 경사판(21) 하단측 저부 양측에 상,하 이동조절이 가능하게 부착되는 한쌍의 축수대(4)와, 상기한 경사판(21)의 하측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한쌍의 축수대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축설되는 회전축(5)과, 상기 회전축에 축설된 채 일부가 경사판(21)에 형성된 절개부(3)를 통해 소재저장통(2) 내부의 낙하통로입구(22)측까지 삽입 설치되는 회전체(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금속봉소재 공급기(1)는 회전축(5)을 회전가능하게 축설하기 위해 베어링이 장착된 양측 축수대(4) 각각에는 경사판(21)에 볼트로 체결되는 설치위치조정간(41)이 둘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설치위치조정간(41)에는 회전체(6)의 설치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양측 축수대(4)를 경사판(21)의 저부에서 슬라이드 이동 설치를 가능하게 하는 이동장공(42)을 통해 볼트를 경사판(210에 나사체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금속봉소재 공급기(1)는 낙하통로입구(22) 하측으로 소재저장통(2)의 수직판(23) 양측에 고정 부착되는 한쌍의 낙하안내레일(7)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한쌍의 낙하안내레일(7)들은 렌치홈이 형성된 복수의 부착볼트(71)에 의하여 수직판(23)에 고정 부착되는데, 일측 낙하안내레일은 수직판(23)에 다수열로 횡설된 복수의 암나사공(24)에 의하여 이동 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양측 낙하안내레일(7)에는 부착볼트(71)가 관통하는 볼트조립공(부호 생략)을 수평상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공으로 형성하여 상기한 양측 낙하안내레일(7)의 설치 폭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한 한쌍의 낙하안내레일(7) 각각에는 소재저장통(2)에 저장된 다수의 금속봉소재(P)들이 낙하통로입구(22)를 통해 하나씩 연속해서 떨어지는 금속봉소재(P)들을 안내하는 낙하안내통로(7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금속봉소재 공급기(1)는 소재저장통(2)의 수직판(23) 하단 일측에 상,하 이동조절이 가능하도록 간격조절판(25)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간격조절판(25)은 그 상방에 형성된 절개공(26)의 바닥을 관통하여 간격조절판(25)에 나사조립되는 간격조절볼트(27)의 나사조임 및 나사풀림 작동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간격조절판(25)은 간격조절볼트(27)의 나사조임 및 나사풀림 작동에 의해 상기한 수직판(23) 하단과 한쌍의 낙하안내레일(7)의 하단 사이에 형성되는 소재공급통로(28)의 상,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금속봉소재 공급기(1)는 한쌍의 축수대(4)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축설되는 회전축(5)의 일단 즉, 일측 축수대에서 돌출하는 회전축(5)의 일단에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는 작동간(8)이나 또는 회전풀리(9)가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금속봉소재 공급기(1)의 회전축(5) 일단에 작동간(8)을 설치하였을 경우에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스크류 가공장치의 기대(10) 일측 상부에 상,하 일정높이로 승강운동을 하도록 설치된 승강작동간(13)이 승강작동하면서 상기 작동간(8)을 상,하로 작동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작동간(8)이 회전축(5)을 일정각도폭으로 회전이동(도 4 참조)시키게 되므로 이와 동시에 상기 회전축(5)에 축설되어 있는 회전체(6)도 일정각도폭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며, 또한 상기한 작동간(8)은 소재저장통(2)의 측면판(29)에 돌출된 고정핀축(81)과 작동간(8)에 돌출된 가동핀축(82) 각각에 양단이 연결된 인장스프링(8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금속봉소재 공급기(1)의 회전축(5) 일단에 도 6의 도시와 같이 회전풀리(9)를 축착한 경우에는 상기한 회전풀리(9)와 스크류 가공장치의 기대(10)에 고정 설치된 모터(14)의 구동풀리(15)를 벨트(16)로 연결 설치하는 구조로서, 상기 모터(14)의 회전동력으로 회전풀리(9)를 회전시켜서 회전축(5)에 축설되어 있는 회전체(6)를 일방향(도면상 시계방향)으로 연속해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소재저장통(2)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금속봉소재(P)들 중 낙하통로입구(22)측에 위치하는 금속봉소재(P)들이 도 8의 도시와 같이 낙하통로입구(22)에서 서로 맞물린 상태로 정지되어 있지 않도록 하므로써 낙하통로입구(22)를 통해 차례대로 하나씩 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소재저장통(2)의 경사판(21)에 형성된 절개부(3)를 통해 낙하입구통로(22)측 내부까지 삽입되는 회전체(6)의 일측에 요홈(61)을 형성하고 있으며, 또는 상기한 요홈(61)과는 떨어진 위치에 나사조립되어 회전체(6)의 외면에서 돌출하도록 볼트(62)를 나사조립할 수 있다.
상기한 요홈(61)은 금속봉소재(P)의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가진 채 회전체(6)의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볼트(62)는 요홈(61)과는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회전체(6)를 회전축(5)에 고정시키기 위한 키볼트(부호 생략)가 나사조립되어 있는 암나사공(64)에 나사조립되는데, 상기한 볼트(62)의 노출단(63)은 낙하통로입구(22)로 낙하하는 금속봉소재(P)와 회전체(6)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S)와 같은 길이로 돌출되거나 또는 그보다 미세하게 작은 길이로 돌출되도록 나사조립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볼트(62)는 회전체(6)를 회전축(5)에 고정시키는 키볼트의 기능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볼트(62)를 긴 길이로 가공된 것을 사용하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금속봉소재 공급기(1)의 소재저장통(2)에 다수의 금속봉소재(P)를 투입하게 되면 경사판(21)에 의하여 낙하통로입구(22)를 향해 구르게 되는 금속봉소재(P)들은 상기 낙하통로입구(22)에서 차례대로 낙하하여 한쌍의 낙하안내레일(7)에 형성된 낙하안내통로(72)를 따라 고정롤링다이스(11)의 상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된 소재공급판(17) 위에 떨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한 낙하통로입구(22)로 낙하한 복수의 금속봉소재(P)들은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도 4의 도시와 같이 소재저장통(2)의 수직판(23)과 한쌍의 낙하안내레일(7)의 낙하안내통로(72) 사이에 일렬로 적층 배열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스크류 가공장치는 설정된 작동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작동하면서 금속봉소재(P)를 연속적으로 롤링가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의 도시와 같이 고정롤링다이스(11)와 마주하는 가동롤링다이스(12)가 상승작동을 완료하면, 곧바로 왕복작동판(18)이 한차례의 왕복작동으로 낙하안내통로(72)의 최하단에 위치하고 있는 금속봉소재(P)를 가동롤링다이스(12)의 하단으로 공급한 후 원래 위치로 복귀(도 1의 화살표 참조)하여 다음 작동을 대기하고 있게 되며, 상기한 왕복작동판(18)이 금속봉소재(P)를 가동롤링다이스(12) 하단으로 공급하는 작동이 완료되면 상기한 한쌍의 낙하안내레일(7)의 낙하안내통로(72)에 일렬로 적층되어 있던 복수의 금속봉소재(P)들은 동시 자중에 의해 밑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한 낙하안내통로(72)의 최하단에는 다시 금속봉소재(P)가 채워진 상태가 됨과 동시에 상승했던 가동롤링다이스(12)가 하강작동을 하게 되면 금속봉소재(P)은 가동롤링다이스(12)의 하강작동에 따라 하강이동되면서 롤링가공되는 스크류제품은 제품저장통(19)으로 떨어져 저장되는 것인데, 이와 같이 고정설치된 고정롤링다이스(11)에 대하여 가동롤링다이스(12)를 상,하로 왕복이동시키는 작동으로 스크류제품을 반복적으로 가공생산하는 공정은 기존의 스크류 가공장치와 대동소이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상기 소재저장통(2)에 적층된 상태로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금속봉소재(P)들이 낙하통로입구(22)측에 이르러서는 서로 이웃하는 것끼리 맞물리는 현상없이 하나씩 차례대로 낙하통로입구(22)로 낙하하는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의 도시와 같이 회전축(5)의 일단에 작동간(8)을 연결 설치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의 경우는 작동간(8)의 자유단 상부에 상,하 일정높이로 왕복작동하는 승각작동판(13)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승강작동판(13)은 가동롤링다이스(12)가 한차례 상,하로 왕복작동할 때마다 한차례씩 상,하 왕복작동하면서 작동간(8)을 일정각도범위내에서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케 되는데(도 4의 가상성부분 참조), 이때 상기 작동간(8)은 일정각도폭으로 회전한 후에는 인장스프링(8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래 상태로 회전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승강작동판(13)의 하강작동으로 작동간(8)이 일정각도폭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회전축(5)과 회전체(6)도 일정각도폭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낙하통로입구(22)측으로 삽입되어 있는 회전체(6)에 형성된 요홈(61)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한 낙하통로입구(22)의 바로 위에서 회전체(6)의 외면에 접촉하고 있는 금속봉소재(편의상 P1)를 상향으로 밀어올려주게 되므로 상기한 낙하통로입구(22)로는 하나의 금속봉소재(P)만 낙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회전체(6)에 형성된 요홈(61)은 하나의 금속봉소재(P1)를 상향으로 밀어올린 후 작동간(8)이 원래 상태로 복귀하는 작동에 의해 회전체(6)가 도면상 반시게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때 상기 회전체(6)의 외주면에 접촉하고 있는 금속봉소재(P)들을 건드려주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낙항통로입구(22)측 위치에 있는 금속봉소재(P)들은 항시 쉽게 이완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스크류 가공장치의 승강작동판(13)이 가동롤링다이스(12)가 한차례 상,하로 왕복작동하면서 금속봉소재(P)을 롤링가공하여 스크류제품을 하나씩 가공생산할 때마다 작동간(8)을 일정각도폭으로 반복해서 승강작동시켜서 회전체(6)의 일측에 형성된 요홈(61)이 낙하통로입구(22) 바로 위에 위치하게 되는 금속봉소재(P1)들을 상향으로 조금씩 밀어올려주는 작동을 반복해서 금속봉소재(P)들이 도 8의 도시와 같이 서로 맞물린 상태로 정지되어 낙하통로입구(22)를 막는 일이 절대 나타나지 않게 하므로써 소재저장통(2)에 저장되어 있는 금속봉소재(P)들이 낙하통로입구(22)를 통해 하나씩 차례대로 낙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회전축(5)의 일단에 축설된 회전풀리(9)와 모터(14)의 구동풀리(15)를 벨트(16)로 연결시켜서 회전체(6)를 일방향(도면상 시계방향)으로 연속해서 회전작동시킬 때에는 상기 회전체(6)의 요홈(61)과는 떨어진 위치(도면상으로 볼 때에는 대칭 위치)에 형성된 암나사공(64)에 나사조립된 볼트(62)의 노출단(63)이 회전체(6)의 외주면에서 외측을 향해 미세하게 돌출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모터(14)를 구동시키게 되면 회전체(6)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연속해서 회전하면서 낙하통로입구(22)측에 위치하고 있는 금속봉소재(P)들을 도면상 시계방향을 향해 상향으로 조금씩 밀어올려주게 되며, 이에 따라 낙하통로입구(22) 바로 위에 위치하는 금속봉소재(P)들은 서로 맞물린 상태로 있지 없고 하나씩 차례대로 낙하통로입구(22)로 낙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모터(14)의 회전동력으로 연속해서 회전하는 회전체(6)는 가동롤링다이스(12)가 한차례 상,하 왕복작동을 할 때마다 1회전하는 상태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가동롤링다이스(12)의 상,하 왕복작동에 맞추어 금속봉소재(P)를 하나씩 연속해서 정확하게 낙하 공급할 수 있게 되므로 스크류제품의 가공생산이 향상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각 실시예에서의 회전체(6)는 요홈(61)을 이용하여 금속봉소재(P)를 상향으로 조금씩 밀어올리고자 할 때에는 암나사공(64)에서 볼트(62)를 나사풀림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한 암나사공(54)에 볼트(62)를 나사조립하여 요홈(61)과 볼트(62)를 동시 이용하여 낙하통로입구(22) 바로 위에 있는 금속봉소재(P)들을 상향으로 조금씩 밀어오려주는 작동으로 소재저장통(2)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금속봉소재(P)들이 낙하통로입구를 통해 하나씩 연속해서 낙하시킬 수 있는 것이다.
1 : 금속봉소재 공급기 10 : 기대
11 : 고정롤링다이스 12 : 가동롤링다이스
13 : 승강작동판 14 : 모터
15 : 구동풀리 16 : 벨트
17 : 소재공급판 18 : 왕복작동판
2 : 소재저장통 21 : 경사판
22 : 낙하통로입구 23 : 수직판
24 : 암나사공 25 : 간격조절판
26 : 절개공 27 : 간격조절볼트
28 : 소재공급통로 29 : 측면판
3 : 절개부 4 : 축수대
5 : 회전축 6 : 회전체
61 : 요홈 62 : 볼트
63 : 노출단 64 : 암나사공
7 : 낙하안내레일 72 : 낙하안내통로
8 : 작동간 81,82 : 고정핀축 및 가동핀축
83 : 인장스프링 9 : 회전풀리

Claims (5)

  1. 기대의 일정높이에 고정 설치된 고정롤링다이스와 상기 고정롤링다이스에 대하여 스크류가공면이 서로 마주하는 상태에서 상,하로 왕복이동하는 가동롤링다이스에 금속봉소재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롤링다이스의 상방에 수직상으로 고정 설치되는 소재저장통과, 상기 소재저장통에 다수 저장되어 있는 금속봉소재를 하나씩 낙하 공급하기 위하여 소재저장통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낙하통로입구와, 상기 낙하통로입구를 통해 하나씩 낙하하는 금속봉소재를 상기한 고정롤링다이스 상방으로 떨어지도록 안내하기 위하여 낙하통로입구의 양측에 하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한쌍의 낙하안내레일을 구비하고 있는 스크류 가공장치의 금속봉소재 공급기에 있어서,
    상기 금속봉소재 공급기는,
    상기 소재저장통의 경사판 저부 양측에 각각 이동조절이 가능하게 고정 부착되는 한쌍의 축수대와;
    상기 경사판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한쌍의 축수대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과;
    상기 경사판의 하단 일부에 형성되어 소재저장통 내부를 노출시키게 되는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를 통해 일부가 상기 소재저장통의 낙하통로입구보다 조금 높은 위치까지 삽입되도록 상기 회전축에 축설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작동을 하면서 상기 낙하통로입구측에 위치하게 되는 금속봉소재들을 조금씩 밀어올려주는 회전체;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가공장치의 금속봉소재 공급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일측에는 낙하통로입구측에 위치하게 되는 금속봉소재와 직접 접촉하면서 금속봉소재들을 상향으로 조금씩 밀어올려주기 위하여 상기 금속봉소재의 직경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된 요홈이 상기 회전체의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가공장치의 금속봉소재 공급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일측에 형성된 암나사공에는 낙하통로입구측에 위치하게 되는 금속봉소재와 직접 접촉하면서 금속봉소재들을 조금씩 상향으로 밀어올려주기 위하여 회전체의 외면에 노출단이 돌출되도록 볼트가 나사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가공장치의 금속봉소재 공급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봉소재 공급기는 일측 축수대에서 돌출하도록 설치된 회전축의 일단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작동간과, 상기 작동간에 부착된 가동핀축과 상기 소재저장통의 측면판에 고정 부착된 고정핀축 각각에 양단이 연결되는 인장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작동간은 스크류 가공장치의 일정높이에서 상,하로 왕복운동을 하는 승강작동간에 의하여 일정각도범위내에서 상,하로 왕복운동을 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가공장치의 금속봉소재 공급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봉소재 공급기는 일측 축수대에서 돌출하도록 설치된 회전축의 일단에는 회전풀리가 축설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풀리는 스크류 가공장치의 일정높이에 고정 설치된 모터의 구동풀리에 벨트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일방향으로 연속해서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 가공장치의 금속봉소재 공급기.
KR20100074494A 2010-08-02 2010-08-02 스크류 가공장치의 금속봉소재 공급기 KR101166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74494A KR101166530B1 (ko) 2010-08-02 2010-08-02 스크류 가공장치의 금속봉소재 공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74494A KR101166530B1 (ko) 2010-08-02 2010-08-02 스크류 가공장치의 금속봉소재 공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513A true KR20120012513A (ko) 2012-02-10
KR101166530B1 KR101166530B1 (ko) 2012-07-19

Family

ID=45836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74494A KR101166530B1 (ko) 2010-08-02 2010-08-02 스크류 가공장치의 금속봉소재 공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653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22601A (zh) * 2019-07-30 2019-11-08 电子科技大学中山学院 一种精准定向送料机
CN110465826A (zh) * 2019-07-05 2019-11-19 江苏扬力数控机床有限公司 一种割管机的落料装置
CN110558362A (zh) * 2019-09-24 2019-12-13 南京信息职业技术学院 猪蹄分切机
CN113798719A (zh) * 2021-11-16 2021-12-17 四川富士电机有限公司 一种用于雨刮器支撑杆件的焊接装置
CN114871809A (zh) * 2022-05-16 2022-08-09 浙江鸿翔筑能钢构有限公司 一种高效金属自动切割装置及其支撑结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41462B (zh) * 2012-11-23 2015-08-12 大久制作(大连)有限公司 医用呼吸管法兰环组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25167U (ko) 1974-03-29 1975-10-14
JP3337641B2 (ja) 1998-05-20 2002-10-21 株式会社育良精機製作所 棒材供給機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65826A (zh) * 2019-07-05 2019-11-19 江苏扬力数控机床有限公司 一种割管机的落料装置
CN110465826B (zh) * 2019-07-05 2023-08-22 江苏扬力数控机床有限公司 一种割管机的落料装置
CN110422601A (zh) * 2019-07-30 2019-11-08 电子科技大学中山学院 一种精准定向送料机
CN110558362A (zh) * 2019-09-24 2019-12-13 南京信息职业技术学院 猪蹄分切机
CN110558362B (zh) * 2019-09-24 2024-03-12 南京信息职业技术学院 猪蹄分切机
CN113798719A (zh) * 2021-11-16 2021-12-17 四川富士电机有限公司 一种用于雨刮器支撑杆件的焊接装置
CN113798719B (zh) * 2021-11-16 2022-02-11 四川富士电机有限公司 一种用于雨刮器支撑杆件的焊接装置
CN114871809A (zh) * 2022-05-16 2022-08-09 浙江鸿翔筑能钢构有限公司 一种高效金属自动切割装置及其支撑结构
CN114871809B (zh) * 2022-05-16 2022-12-27 浙江鸿翔筑能钢构有限公司 一种高效金属自动切割装置及其支撑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6530B1 (ko) 201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6530B1 (ko) 스크류 가공장치의 금속봉소재 공급기
CN103041990B (zh) 钢球分选机
CN110090773B (zh) 转子铁芯表面涂漆装置
CN103070455B (zh) 一种可自适应莲子大小的莲子去芯机
CN201970354U (zh) 垂直帘叶片自动剪切、划孔机
CN102294587B (zh) 自动锁螺丝机
CN105962801B (zh) 一种豆钱自动加工装置
CN214443605U (zh) 一种压铆螺母柱自动攻丝机
CN104444474A (zh) 一种长条形led光组件自动分离测试分选及包装机
CN203678702U (zh) 一种分级范围可调式双轨分级装置
CN203076210U (zh) 钢球分选机
US10255741B2 (en) Chip sorting devices and related assemblies, components and methods
KR101493039B1 (ko) 왕복 승하강 장치의 높낮이 조절구조 및 이를 이용한 커팅기
CN117068632A (zh) 一种铁粉生产输送装置及其输送方法
CN214025996U (zh) 一种切割和分装槟榔加工设备
CN102500542A (zh) 一种振动孔板式水果大小分级机
CN203424032U (zh) 食用菌菌棒开口机
CN105397160B (zh) 圆锥销铣开口设备
CN103357569A (zh) 腰果果仁分级机
KR100523325B1 (ko) 소형 리드스크류의 스크류 가공장치
CN210213841U (zh) 一种用于电池片的高速上料机
CN202114581U (zh) 球面滚子磨床上下料装置
KR100460538B1 (ko) 농산물 선별기
CN206855195U (zh) 一种磨抛机
CN206882593U (zh) 折弯机下模开口调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