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1080A - 이어폰 - Google Patents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1080A
KR20120011080A KR1020117030390A KR20117030390A KR20120011080A KR 20120011080 A KR20120011080 A KR 20120011080A KR 1020117030390 A KR1020117030390 A KR 1020117030390A KR 20117030390 A KR20117030390 A KR 20117030390A KR 20120011080 A KR20120011080 A KR 20120011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asing
earphone
user
driv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30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7954B1 (ko
Inventor
히로미치 오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오디오테크니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23530A external-priority patent/JP4523065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23531A external-priority patent/JP4503685B1/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오디오테크니카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오디오테크니카
Publication of KR20120011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04R1/345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for loudspeak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저음 보상용 진동판 등을 설치하지 않고도 음향 특성, 특히 저음역의 음향 특성을 유효하게 개선할 수 있는 이어폰을 얻는다. 드라이버 유닛; 드라이버 유닛을 수납하고, 방음면인 정면과 주발 형상으로 형성된 배면을 가지는 하우징; 진동판의 배면측의 내부 용적을 증대시켜 상기 드라이버 유닛의 진동판의 배압을 경감하기 위해 하우징과는 별도로 설치된 중공의 케이싱; 하우징의 배면과 케이싱을 연결하여 하우징과 케이싱의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결로;를 구비하고, 하우징은 정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외이도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방음관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이어폰{Earphone}
본 발명은 음향 기기로서 사용되는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드라이버 유닛의 진동판의 배압을 경감함으로써 음향 특성을 개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음향 기기로서 사용되는 이어폰에 있어서, 음향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일례로서 이어폰의 하우징의 일부에 구멍을 설치하고, 또 이 구멍에 음향 저항재를 설치하여 음향 특성을 조정하는 것이 있었다. 예를 들면, 일반적인 종래의 이어폰의 예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의 것이 있다. 도 10에서, 하우징(102)은 주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내부에 드라이버 유닛(103)이 구비되며, 전면에 방음을 하기 위한 개구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드라이버 유닛(103)은 요크(104)를 가지고, 그 내부에 원반형상의 마그넷(105)이 고착되며, 마그넷(105) 상에 원반형상의 폴 피스(106)가 고착되어 있다. 하우징(102)의 내주부에서 진동판(107)의 외주연부가 지지되고, 진동판(107)은 폴 피스(106)와 대향한 위치에서 진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진동판(107)은 메인 돔과 그 주위의 서브 돔으로 이루어지고, 메인 돔과 서브 돔의 경계를 따라 보이스 코일(108)의 일단이 고착되어 있다. 보이스 코일(108)은, 폴 피스(106)의 외주면과 요크(104)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자기 갭 내에 위치하고 있다.
보이스 코일(108)에 음성 신호가 입력되면, 이 음성 신호와 상기 자기 갭 내의 지장(地場)의 전자기력에 의해 보이스 코일(108)이 진동판(107)과 함께 진동하여 음성이 출력되게 되어 있다. 하우징(102)의 배면에는 구멍(109)이 설치되고, 구멍(109)의 하우징(102) 내면측에는 음향 저항재(111)가 설치되어 있다. 구멍(109)은, 진동판(107)이 진동할 때 그 배면측에 걸리는 압력을 빠지게 함으로써 재생 가능한 저음역의 주파수를 보다 낮게 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고, 음향 저항재(111)는 음향 특성을 조정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저역 한계 주파수를 확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음 보상용 파이프(112)를 부가한 이어폰이 알려져 있다. 그 기본 구성은 도 10에 나타내는 예와 같고, 소정 길이 및 소정 직경을 가진 저음 보상용 파이프(112)를, 드라이버 유닛(103)을 가진 하우징(102)의 내부 공간과 연통시켜 하우징(102)과 일체로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저음 보상용 파이프(112)의 공간의 작용에 의해 상기 진동판에서의 저역 한계 주파수를 확장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에서는, 드라이버 유닛(103)의 형태나 두께, 저음 보상용 파이프(112)의 내부 용적을 확대하고자 해도 한도가 있고, 음향 특성 특히 저음역의 특성의 개선에는 한계가 있었다.
그래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어폰이 제안되어 있다. 덧붙여,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내는 이어폰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것이다. 도 12에서, 제1 하우징(201)과 제2 하우징(202)을 가지고, 이들 하우징(201, 202)이 연결로(203)를 통해 연통하고 있다. 제1 하우징(201)에는 도 10, 도 11에 기재한 것과 마찬가지의 드라이버 유닛(103)이 설치되어 있다. 제2 하우징(202)의 내부 공간에는 저음 보상용 진동판(204)이 배치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기재에 의하면,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중고음역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저역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이어폰을 얻을 수 있다고 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발명은, 제2 하우징(202) 내에 설치한 저음 보상용 진동판(204)을 드라이버 유닛(103)의 진동판의 진동에 의해 공진시킴으로써, 재생 가능한 주파수를 저음역측으로 확대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원래 이어폰의 드라이버에 의한 구동 에너지는 미소한 것으로, 드라이버의 진동판의 진동에 의해 저음 보상용 진동판(204)을 공진시키는 것은 현실적으로 무리이다. 만약 저음 보상용 진동판(204)을 공진시킬 수 있다고 해도, 공진 주파수역만 강조되어 모든 주파수 영역에서 균형이 잘 잡힌 음성을 재생할 수는 없다. 혹은, 사용자의 귀를 다치게 할 정도로 대출력으로 드라이버를 구동할 필요가 있다. 제2 하우징(202) 내에 저음 보상용 진동판(204)을 설치하는 것은 비용 상승의 요인도 된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2008-288933호 공보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이어폰에 보이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비용 상승의 요인인 저음 보상용 진동판 등을 설치하지 않고도 음향 특성, 특히 저음역의 음향 특성을 유효하게 개선할 수 있는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저음역의 음향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케이싱을 크게 해도 사용시에 사용자의 귀로부터 벗어나기 어려워 사용자의 귀에의 장착감이 향상되는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드라이버 유닛; 상기 드라이버 유닛을 수납하고, 방음면인 정면과 주발(bowl) 형상으로 형성된 배면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드라이버 유닛의 진동판의 배면측의 내부 용적을 증대시켜 상기 드라이버 유닛의 진동판의 배압을 경감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과는 별도로 설치된 중공의 케이싱; 상기 하우징의 배면과 상기 케이싱을 연결하여 상기 하우징과 케이싱의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결로;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정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외이도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방음관을 구비하는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태양은, 사용 태양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이 상기 하우징의 경사 상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로가 상기 하우징의 배면의 경사면으로부터 경사 상방으로 향하여 연장되어 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태양은, 하우징이 사용자의 이주(耳珠; tragus) 및 대주(對珠; antitragus)와 이갑개(concha)에 의해 형성되는 강(腔)에 적합하게 압압(押壓)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이어폰에 의하면, 드라이버 유닛을 수납한 하우징과는 별도로 중공의 케이싱을 설치하고, 이 케이싱의 내부 공간과 하우징의 배면을 연통로로 연통시켰기 때문에, 드라이버 유닛의 진동판의 배면측의 공간이 확장되어 진동판의 진동시에 그 배면에 걸리는 압력을 경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진동판은 입력되는 음성 신호에 따라 충실하게 진동할 수 있고, 특히 큰 배압이 걸리는 저음역에서의 진동의 충실도가 향상되기 때문에, 저음역의 재생 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
저음역의 재생 영역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도 1O, 도 11에 나타내는 종래예와 같이 진동판의 배면측의 공간을 외부 공간에 연통시키는 구멍을 설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는데, 상기 구멍으로부터 음이 새기 때문에 바람직한 수법이라고는 할 수 없다.
본 발명에 관한 이어폰에 의하면, 하우징과는 별도로 중공의 케이싱을 설치함으로써 보다 낮은 주파수까지 밸런스 좋게 재생할 수 있다. 케이싱을 크게 하여 그 내부공간을 보다 크게 하면, 더 낮은 주파수까지 재생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싱은 가능한 한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케이싱이 커지면 중량의 균형이 무너져 사용자의 귀로부터 탈락하기 쉬워진다.
그 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태양에 의하면, 사용 태양에 있어서 케이싱이 하우징의 경사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 태양에 있어서 케이싱에 걸리는 하중에 의해 하우징을 회전시키고자 하는 힘이 약하여 사용자의 귀로부터 벗어나기 어려운 효과가 있다.
또, 다른 실시 태양에 의하면, 하우징이 사용자의 이주 및 대주와 이갑개에 의해 형성되는 강에 적합하게 압압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양 태양에 있어서 하우징이 보다 안정하게 유지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이어폰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이어폰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이어폰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실시예에서의 하우징, 케이싱 및 연결로를 형성하는 부품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이어폰의 실시예에서의 방음관과 이어피스의 부분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방음관과 이어피스의 상대 위치가 변화한 태양을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실시예에 관한 이어폰이 사용자에게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이어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이어폰과 종래의 이어폰의 주파수 응답 측정값을 비교하여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종래의 이어폰의 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이어폰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이어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이어폰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서, 이어폰은 주요한 구성 부분으로서 하우징(2), 케이싱(1), 이들 하우징(2)과 케이싱(1)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로(5), 방음관(3), 이어피스(4)를 가지고 이루어진다. 하우징(2)은 원래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중공의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드라이버 유닛이 수납되어 있다. 하우징(2)은, 주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배면(2-2)과, 평면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정면(2-1)을 가지고 있다. 케이싱(1)은 하우징(2)과는 다른 중공의 부재로, 양단면이 막힌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중공」이란, 내부 공간에 예를 들면 상기 저음 보상용 진동판과 같은 가동 부재가 아무것도 장착되지 않은 「내부가 공허한 것」을 말한다. 상기 연결로(5)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하우징(2)의 배면(2-2)과 케이싱(1)의 일단면을 연결하고, 하우징(2)과 케이싱(1)의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고 있다.
케이싱(1)으로부터는 리드 인출부(6)가 봉(棒)형상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은, 도 7에 도시된 사용 태양에 있어서 정면(2-1)으로부터 사용자의 외이도(14)로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는 방음관(3)을 구비하고 있다. 방음관(3)의 선단부 외주에는 이어피스(4)가 끼워맞춤되어 있다. 도시하는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 연결로(5), 하우징(2), 방음관(3)이 수지 등에 의해 일체 성형되어 있는데, 이들 부품의 전부 또는 일부를 다른 부품으로서 제작하여 최종적으로 일체로 조립하도록 해도 된다. 또, 도 4에서는 케이싱(1)의 일단이 개방되어 있는데, 이 개방단은 덮개에 의해 막힌다.
도 2에서, 케이싱(1)은 그 사용 태양, 즉 사용자의 귀에 장착된 태양에 있어서, 케이싱(1)이 하우징(2)의 경사 상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로(5)가 하우징(2)의 배면(2-2)에 연결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2)의 주발 형상으로 형성된 배면(2-2) 중에서 사용자의 머리부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경사면에 연결로(5)의 일단이 연결되고, 연결로(5)의 타단에 케이싱(1)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로(5)는, 사용자의 머리부측에 위치하는 하우징(2)의 상기 경사면의 접선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케이싱(1)은 상기와 같이 사용 태양에 있어서 하우징(2)의 경사 상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케이싱(1)의 위치는, 하우징(2)의 배면(2-2)과 정면(2-1)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A)에 대해 케이싱(1)의 중심(B)이 상방으로 시프트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의 위치는, 하우징(2)의 배면(2-2)과 정면(2-1)의 중심을 연결하는 점(A)에 대해 케이싱(1)의 중심(B)을, 사용자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시프트(예를 들면, C'로 이동)시켜도 된다. 또한, 케이싱(1)을 상기 B의 위치부터 C'까지의 범위에서 선(A)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연속적으로 시프트 가능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하우징의 정면(2-1)을 하우징 본체와는 다른 부품으로 하고, 이를 하우징 본체에 끼워맞추는 구조로 하여, 하우징의 배면(2-2)을 정면(2-1)에 대해 회전 가능한 구성으로 하면, 케이싱(1)은 선(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어느 쪽이든 사용 태양에 있어서, 케이싱(1)은 하우징(2)으로부터 경사 상방으로 시프트한 위치가 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귀에 장착되어 있는 하우징(2)을 지점(支點)으로 한, 케이싱(1)의 하중에 의한 회전 모멘트를 작게 할 수 있어 사용자의 귀로부터 벗어나기 어려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연결로(5)의 연결 위치는 임의이지만,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 태양에 있어서 하우징(2)에 대해 경사 상방의 위치 관계로 케이싱(1)이 설치되어 있으면, 사용자의 귀에의 장착감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케이싱(1)의 내부 용적을 포함하는 드라이버의 진동판의 배면측의 내부 용적을 확대함으로써 재생 주파수 영역을 저음측으로 확대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싱(1)의 내부 용적을 크게 할수록 재생 주파수 영역이 저음측으로 확대된다. 그러나, 케이싱(1)의 내부 용적을 크게 하기 위해 케이싱(1)을 크게 하면, 이어폰의 사용 태양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2)을 지점으로 한 케이싱(1)의 하중에 의한 회전 모멘트가 커져 불안정해진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에 관한 이어폰은, 케이싱(1)을 하우징(2)으로부터 경사 상방으로 시프트하고, 상기 회전 모멘트를 작게 하여 케이싱(1)의 내부 용적을 가능한 한 크게 할 수 있도록 연구하고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관한 이어폰은, 장착시에 케이싱(1)이 사용자의 귓바퀴의 외부로 돌출되어 케이싱(1)을 크게 해도 사용자의 귓바퀴에 접촉하기 어려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도시하지 않은 상기 드라이버 유닛의 구성은 임의로서,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된 종래예에서의 드라이버 유닛(103)과 마찬가지의 구성의 드라이버 유닛을 채용해도 된다. 케이싱(1) 및 연결로(5)의 형상은 임의인데, 사용자의 장착감을 고려하면 원통형상 등 모나지 않은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서, 케이싱(1)에는 리드 인출부(6)가 형성되어 있다. 리드 인출부(6)는, 이어폰의 사용 태양에 있어서 사용자의 귓바퀴의 주간절흔(珠間切痕; intertragic incisure)에 끼워지도록 케이싱(1)의 하부 외주로부터 주간절흔측으로 막대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리드 인출부(6)의 내면은 공동으로 되어 있고, 그 공동으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리드선이 외부로 나와 외부로부터 음성 신호가 입력되게 되어 있다. 리드 인출부(6)의 길이방향의 치수는 임의인데, 가능한 한 길게 하면서 유연성을 갖게 하면 리드선이 손상되기 어려워진다. 또, 도시하는 실시예는 사용자의 우측 귀에 장착하는 것을 상정한 실시예이다. 좌측 귀에 장착하는 이어폰은 도시하는 실시예에 대해 좌우 대칭형이 된다. 좌우의 이어폰을 리드선 등의 적절한 방법으로 전기적으로 도통하여 음성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일반적인 스테레오 이어폰으로 할 수 있다.
도 3에서, 케이싱(1)의 상기 연결로(3)와는 반대쪽의 단면은 디자인화, 조각 등을 실시할 수 있는 평면 형상이 원형인 의장면(1a)으로 되어 있다. 이어폰의 사용시에 있어서, 상기 의장면(1a)이 사용자의 시상면(矢狀面; sagittal plane), 즉 인체를 정면으로 했을 때에 그 정면을 좌우 대칭으로 나누는 면과 평행하게 되도록 케이싱(1)은 상기 하우징(2)의 배면(2-2)과 연결로(5)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함으로써, 그 의장면(1a)은 사람의 눈에 의해 인식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의장면(1a)에 화상이나 조각, 상표 등을 실시하면 광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의장면(1a)의 형상은 임의로서, 예를 들면 원형상, 사각형상, 마름모꼴, 다각형, 타원형 등 적절한 형상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시에 있어서 하우징(2)의 주발 형상의 배면(2-2)은 도 7에 도시된 사용자의 이주(11) 내측(안쪽)면과 대주(12) 내측(안쪽)면에 접합하고, 하우징(2)의 정면(2-1)은 도 7에 도시된 이갑개(13)에 접합하며, 하우징(2)은 사용자의 이주(11) 및 대주(12)와 이갑개(13)에 의해 압압된다. 이와 같이 하여, 하우징(2)은 사용자의 이주 내측(11), 대주 내측(12)과 이갑개(13)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사용자의 귓바퀴의 강에 적합하여 상기 귓바퀴의 탄성력에 의해 탈락하기 어려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은 그 정면(2-1)으로부터 도 7에 도시된 사용자의 외이도(14)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방음관(3)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방음관(3)에는 이어피스(4)가 끼워맞춤되어 있다. 이어피스(4)는, 방음관(3)의 외주에 끼워맞춤하는 원통형상의 부분과, 이 원통형상의 부분의 선단으로부터 되접어 꺾어 반구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유연성을 가지는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이 이어피스(4)의 유연성을 가지는 부분은 사용자의 외이도 내주면에 밀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이어피스(4)와 하우징(2)은 사용자의 귓바퀴에 적합하기 쉬워져 장착감을 향상시킨다. 또한, 케이싱(1)이 존재함으로써 하우징(2)을 포함한 내부 용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음향 특성, 특히 저음역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멍을 하우징(2)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 가공의 수고나 음향 저항재 등을 설치하기 위한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드라이버 유닛을 내부에 가지는 하우징(2)과 케이싱(1)의 내부 공간이 연결로(5)를 통해 공간적으로 연통되어 있다. 케이싱(1)의 내부 구조는 중공으로 되어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은 위치 관계로 하우징(2)과 케이싱(1)을 설치함으로써, 케이싱(1)의 중공의 크기를 적절히 증감하여 음향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이 음향 특성의 조정은 이어폰의 장착성을 결정하는 하우징(2)의 크기나 형상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장착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음향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연결로(5)의 길이는 임의인데, 너무 길어지면 케이싱(1)이 하우징(2)으로부터 크게 돌출하게 되고, 이어폰 장착시의 상기 회전 모멘트가 커져 불안정해지기 때문에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도시하는 실시예에 관한 이어폰은 케이싱(1)의 중공, 연결로(5)의 공동 및 하우징(2)의 공동이 연통하고 있어 내부 용적이 증대하기 때문에, 드라이버 유닛의 진동판에 대한 배압을 경감하고, 특히 중저음의 음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고음의 음향 특성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 연결로(5) 및 하우징(2)의 내부 공간의 형상으로서는 도시하는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음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면 적절한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도 5에서, 이어피스(4)는 사용자의 외이도에 적합하도록 실리콘 등의 유연한 소재로 만들어져 있고, 방음관(3)의 외주에 끼워맞춤하기 위해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기부(基部)(4-1)와, 기부(4-1)의 선단 외주로부터 되접어 꺾어 일체로 형성된 외이도에의 장착부(4-2)를 가지고 이루어진다. 이 장착부(4-2)는 반경방향의 면을 따라 절단된 중공의 구체, 즉 반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어피스(4)의 기부(4-1)는 방음방향의 중심공을 가지고, 상기 기부(4-1)의 후단부 내주는 직경이 작아져 있어서 이 소경부가 방음관(3)에의 끼워맞춤부(4-3)로 되어 있다.
방음관(3)의 선단부 외주는 소경부가 되어 이 소경부가 이어피스(4)의 끼워맞춤부(3-1)로 되어 있다. 끼워맞춤부(3-1)에는, 그 둘레면을 따라 2개의 돌기(3-2, 3-3)가 끼워맞춤부(3-1)의 중심축선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있다. 돌기(3-2, 3-3)의 간격은 이어피스(4)의 끼워맞춤부(4-3)의 중심축선 방향의 치수와 대략 같거나 그것보다도 약간 짧게 되어 있다. 돌기(3-2, 3-3)는, 방음관(3)의 중심축선을 포함하는 면에서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선에 직교하는 면과 이 면에 엇갈려 상기 중심축선에 대해 경사진 면을 가지고 이루어진다. 돌기(3-2, 3-3)는 각각의 상기 중심축선에 직교하는 면이 서로 대향하고, 이들 면으로부터 서로 외측으로 향하여 상기 중심축선에 대해 기울어진 면이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태양에서는, 상기 돌기(3-2, 3-3) 사이에 이어피스(4)의 끼워맞춤부(4-3)가 끼워맞춤되어 있고, 이어피스(4)가 방음관(3)으로부터 비교적 크게 돌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태양에서는, 이어피스(4)의 끼워맞춤부(4-3)의 일부가 상기 돌기(3-3)를 타고넘어, 이어피스(4)의 후단이 방음관(3)의 끼워맞춤부(3-1)의 후단의 단부(段部)에 맞닿아서 이어피스(4)가 후퇴되어 있다. 이 이어피스(4)의 후퇴 위치에서는, 유연성이 있는 이어피스(4)의 끼워맞춤부(4-3)에 상기 돌기(3-3)가 파고들어가 이어피스(4)의 후퇴 위치를 유지하게 되어 있다. 방음관(3)에 대해 이어피스(4)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돌출시킬지,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퇴시킬지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하면 된다. 이와 같이 이어피스(4)의 위치는 2단계로 조정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방음관(3)의 끼워맞춤부(3-1)에 형성하는 돌기의 수를 늘리고, 이어피스(4)의 돌출량을 조정 가능한 단수를 늘려도 좋다.
상기 실시예에 관한 이어폰을 사용자의 귓바퀴에 장착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의 주발 형상의 배면(2-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이주(11)의 내측과 대주(12) 내측에 접합하고, 상기 하우징(2)의 정면(2-1)은 이갑개(13)에 접합한다. 상기 하우징(2)은, 사용자의 이주(11) 및 대주(12)의 내측과 이갑개(13)에 의해 압압되고 있다. 케이싱(1)은, 그 의장면(1a)이 사용자의 시상면(인체를 정면으로부터 좌우 대칭으로 나눴을 때를 상정한 면) 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상기 하우징(2)의 배면과 연결로(5)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이어폰의 사용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의장면(1a)이 보이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하우징(2)의 정면(2-1)이 이갑개(13)에 접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합하다는 안심감을 주는 효과도 있다.
또한, 케이싱(1)으로부터는, 사용자의 귓바퀴의 주간절흔에 끼워지도록 그 위치관계가 형성되어 있는 막대형상의 리드 인출부(6)가 돌출되어 있고, 리드 인출부(6)는 귓바퀴의 형상에 적합하다. 또, 상기 하우징(2)의 전면(2-1)으로부터 사용자의 외이도(14)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방음관(3)에는 이어피스(4)가 끼워맞춤되고, 이어피스(4)는 사용자의 외이도(14)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도시하는 실시예에 관한 이어폰은, 그 형상이 일반적인 인간의 귓바퀴에 적합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장착감을 향상시키고 사용시에 탈락하기 어려워진다. 또, 이어피스(4)가 사용자의 귓바퀴에 적합하게 밀착함으로써 음 누설이 적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하우징(2), 연결로(5) 또는 케이싱(1) 중 적어도 하나에 음향 조절을 위한 구멍(7)을 적어도 하나 설치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예와 같이, 음향 조절공(7)이 의장면(1a)에 설치되어 있으면, 의장면(1a)에 실시되는 장식 혹은 상표 등에 의해 음향 조절공이 눈에 띄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조절공(7)에는 도시하지 않은 음향 저항재를 더 첩부할 수도 있다. 음향 조절공(7)의 수와 그 위치는 요구하는 음향 특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음향 저항재의 수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도 9는, 도 1O에 도시된 종래의 이어폰과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이어폰에 1mW의 입력을 가하여 인공 귀 커플러 내의 주파수와 음압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실선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이어폰의 측정값, 점선 b는 종래의 이어폰의 측정값을 나타내고 있다. 또, 측정 방법은 EIAJ(일본 전자 기계 공업회)규격: RC-7502A에 준거하였다. 상기 인공 귀 커플러 내의 형상은 EIAJ(일본 전자 기계 공업회) 규격에 준거하여 B&K 4157 상당품을 이용하였다. 도 9에 도시된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이어폰은 종래의 이어폰과 비교하여 저중음 영역의 음향 특성이 개선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재생 주파수 영역을 저음측으로 확대할 수 있기 때문에, 중저음까지 명확하게 재생하는 것이 가능한 기분 좋은 재생음을 얻을 수 있고, 이전형 이어폰의 수요 확대를 기대할 수 있다.
1 케이싱
1a 의장면
2 하우징
2-1 하우징의 정면
2-2 하우징의 배면
3 방음관
4 이어피스
4-1 기부
5 연결로
6 리드 인출부
7 음향 조절공
11 이주
12 대주
13 이갑개
14 외이도

Claims (10)

  1. 드라이버 유닛;
    상기 드라이버 유닛을 수납하고, 방음면인 정면과 주발(bowl) 형상으로 형성된 배면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드라이버 유닛의 진동판의 배면측의 내부 용적을 증대시켜 상기 드라이버 유닛의 진동판의 배압을 경감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과는 별도로 설치된 중공의 케이싱;
    상기 하우징의 배면과 상기 케이싱을 연결하여 상기 하우징과 케이싱의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연결로;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정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외이도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방음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 태양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이 상기 하우징의 경사 상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결로가 상기 하우징의 배면의 경사면으로부터 경사 상방으로 향하여 연장되어 나가는 이어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사용자의 이주(耳珠; tragus) 및 대주(對耳珠; antitragus)와 이갑개(concha)에 의해 형성되는 강(腔)에 적합하게 압압(押壓)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이어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는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주발 형상의 배면은 사용자의 이주 내측과 대주 내측에 접합하는 이어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정면은 이갑개에 접합하는 이어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싱은 리드를 밖으로 꺼내는 리드 인출부를 가지고, 이 리드 인출부는 사용자의 주간절흔을 따르도록 구비되어 있는 이어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싱의 상기 연결로 측과는 반대쪽의 면은 의장면으로 되어 있고, 이 의장면은 사용 태양에서의 사용자의 시상면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상기 케이싱이 상기 연결로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어 있는 이어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음관에는 이어피스가 방음관을 따라 전후로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끼워맞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 연결로 또는 케이싱 중 적어도 하나에 음향 조절공이 설치되어 있는 이어폰.
  10. 제9항에 있어서,
    음향 조절공에 음향 저항재가 첩부되어 있는 이어폰.
KR1020117030390A 2009-05-21 2010-05-17 이어폰 KR1012879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23530A JP4523065B1 (ja) 2009-05-21 2009-05-21 イヤホン
JP2009123531A JP4503685B1 (ja) 2009-05-21 2009-05-21 イヤホン
JPJP-P-2009-123530 2009-05-21
JPJP-P-2009-123531 2009-05-21
PCT/JP2010/003304 WO2010134313A1 (ja) 2009-05-21 2010-05-17 イヤホ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080A true KR20120011080A (ko) 2012-02-06
KR101287954B1 KR101287954B1 (ko) 2013-07-19

Family

ID=43126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0390A KR101287954B1 (ko) 2009-05-21 2010-05-17 이어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12087B2 (ko)
EP (1) EP2434776B1 (ko)
KR (1) KR101287954B1 (ko)
CN (1) CN102440001B (ko)
WO (1) WO201013431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570B1 (ko) * 2013-06-21 2014-07-28 주식회사 피에스아이코리아 이어폰
KR101455806B1 (ko) * 2013-05-06 2014-11-03 주식회사신한기술센타 이어폰 케이스와 이어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288512S (en) * 1985-04-24 1987-03-03 Thermo-Serv, Inc. Wine glass
WO2013014852A1 (ja) * 2011-07-22 2013-01-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イヤホン
CN202535503U (zh) * 2012-01-10 2012-11-14 歌尔声学股份有限公司 耳机
US9712905B2 (en) 2012-06-20 2017-07-18 Apple Inc. Headsets with non-occluding earbuds
US8971561B2 (en) 2012-06-20 2015-03-03 Apple Inc. Earphone having a controlled acoustic leak port
US8976994B2 (en) * 2012-06-20 2015-03-10 Apple Inc. Earphone having an acoustic tuning mechanism
US9258663B2 (en) 2012-09-07 2016-02-09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ssembling non-occluding earbuds
US8879768B2 (en) * 2012-11-14 2014-11-04 Aac Acoustic Technologies (Shenzhen) Co., Ltd. Earpiece having adjustable front vent
TWI535302B (zh) * 2013-02-08 2016-05-21 Jian-Quan Pan Multi-channel headphones
US9241209B2 (en) 2013-06-25 2016-01-19 Google Inc. Headphones with adaptable fit
USD735697S1 (en) * 2013-09-04 2015-08-04 Zound Industries International Ab Part of earphone
GB2520267A (en) * 2013-11-13 2015-05-20 Racal Acoustics Ltd Earpiece
USD786834S1 (en) 2014-01-31 2017-05-16 Gn Netcom A/S Earphone
USD728533S1 (en) 2014-03-31 2015-05-05 Skullcandy, Inc. Headphone
JP6100730B2 (ja) * 2014-04-22 2017-03-22 京セラ株式会社 イヤホン
USD734744S1 (en) * 2014-05-15 2015-07-21 Apple Inc. Audio listening system
JP1516840S (ko) * 2014-05-19 2015-02-09
US9578412B2 (en) * 2014-06-27 2017-02-21 Apple Inc. Mass loaded earbud with vent chamber
USD743947S1 (en) * 2014-09-22 2015-11-24 JVC Kenwood Corporation Earphone
USD762616S1 (en) * 2014-10-29 2016-08-02 1More Inc. Earphone
USD743948S1 (en) * 2014-11-10 2015-11-24 Peag, LLC Pair of earbuds
USD762196S1 (en) * 2015-02-10 2016-07-26 1More Inc. Earphone
USD778267S1 (en) * 2015-03-25 2017-02-07 1More Inc. Earphone
USD775108S1 (en) * 2015-03-27 2016-12-27 1More Inc. Earphone
USD780155S1 (en) * 2015-07-06 2017-02-28 New Audio LLC Earphone device
USD813844S1 (en) * 2015-07-20 2018-03-27 Skullcandy, Inc. Headphone
USD778268S1 (en) * 2015-09-18 2017-02-07 1More Inc. Earphone
USD796475S1 (en) * 2016-03-09 2017-09-05 Plantronics, Inc. Communications headset
CN111107464B (zh) 2016-06-22 2022-03-04 杜比实验室特许公司 耳机系统
CN106060751B (zh) * 2016-07-18 2022-04-15 青岛歌尔声学科技有限公司 一种头戴式耳机的音频测试工装
JP1580914S (ko) * 2016-07-27 2017-07-10
USD817301S1 (en) * 2016-08-26 2018-05-08 Apple Inc. Headphones
USD828823S1 (en) * 2016-09-26 2018-09-18 Shenzhen Dacom Electronics Co., Ltd. Earphone
JP1593736S (ko) * 2016-10-10 2017-12-25
BR112019012894A2 (pt) * 2016-12-29 2019-11-26 Sony Corp dispositivo de emissão de som.
USD815069S1 (en) * 2017-01-02 2018-04-10 Jayfi Inc Earphone
USD825534S1 (en) * 2017-01-04 2018-08-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arphone
CN107147965A (zh) * 2017-05-15 2017-09-08 深圳市鑫精盟精密科技有限公司 一种耳塞壳体
USD845926S1 (en) 2017-06-30 2019-04-16 Apple Inc. Earphones
USD890696S1 (en) 2017-07-21 2020-07-21 Google Llc Earbud charging case
USD867326S1 (en) 2017-07-21 2019-11-19 Google Llc Wireless earbuds
USD844586S1 (en) 2017-08-04 2019-04-02 Google Llc Audio assembly
USD896781S1 (en) 2017-08-04 2020-09-22 Google Llc Audio assembly
USD847794S1 (en) * 2018-03-10 2019-05-07 Mobvoi Information Technology Company Limited Earphone
JP1619490S (ko) * 2018-04-16 2018-12-03
USD879075S1 (en) 2018-07-11 2020-03-24 Google Llc Earbud stand assembly
JP1631380S (ko) * 2018-09-07 2019-05-20
USD911315S1 (en) * 2018-10-05 2021-02-23 Rha Technologies Limited Headphone
CN113016193B (zh) * 2018-11-25 2024-02-23 株式会社慕悟 耳机
CA187877S (en) * 2018-12-10 2020-10-02 Huawei Tech Co Ltd Earphone
USD918177S1 (en) * 2018-12-17 2021-05-04 Sony Corporation Earphone
US10750271B1 (en) * 2018-12-21 2020-08-18 Plantronics, Inc. Ear buds with detachable harness strap
USD908665S1 (en) * 2019-02-28 2021-01-26 Shenzhen Litexim Technologies Co., Ltd. Wireless earphone
USD914644S1 (en) * 2019-04-11 2021-03-30 Shenzhen Cannice Technology Co., Ltd. Pair of wireless earphones
USD918178S1 (en) * 2019-06-13 2021-05-04 Pengcheng Chen Wireless ear bud
JP1648562S (ko) * 2019-07-01 2019-12-23
JP1648563S (ko) * 2019-07-01 2019-12-23
USD929967S1 (en) * 2019-08-14 2021-09-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arphone
USD929373S1 (en) * 2019-10-23 2021-08-31 Guangzhou Lanshidun Electronic Limited Company Earphone
USD887396S1 (en) * 2019-10-23 2020-06-16 Shenzhen Earfun Technology Co., Ltd. Wireless headset
USD931255S1 (en) * 2019-12-05 2021-09-21 Dongguan UiiSii Electronics Co., Ltd Earphone
USD882553S1 (en) * 2019-12-06 2020-04-28 Shenzhen Xinzhengyu Technology Co., Ltd Earphones
CN210958692U (zh) * 2020-02-25 2020-07-07 昆山众赢昌盛贸易有限公司 一种入耳式耳机
US11218793B2 (en) * 2020-02-25 2022-01-04 Almus Corp. Earphone including tuning means
USD893462S1 (en) * 2020-03-05 2020-08-18 Shenzhen Humboldt Technology Co., Ltd Headphone
USD934839S1 (en) * 2020-03-05 2021-11-02 Shenzhen Yamay Digital Electronics Co. Ltd Combined wireless earbuds and charging case
USD905018S1 (en) * 2020-03-26 2020-12-15 Zhaowei Zhu Earphone
JP1670601S (ko) * 2020-04-23 2020-10-19
USD890138S1 (en) * 2020-04-30 2020-07-14 Shenzhen Qianhai Patuoxun Network And Technology Co., Ltd Earphones
USD953301S1 (en) * 2020-05-11 2022-05-31 Shenzhen Vantide Technology Co. LTD Wireless headset
USD894875S1 (en) * 2020-05-24 2020-09-01 Shenzhen Taifeitong Technology Co., Ltd. Earphones
USD910600S1 (en) * 2020-05-29 2021-02-16 Shenzhen Yisheng Trade Co., Ltd Earphone
USD896207S1 (en) * 2020-06-01 2020-09-15 Shenzhen Qianhai Patuoxun Network And Technology Co., Ltd Earphone
USD905020S1 (en) * 2020-06-08 2020-12-15 Dongguan Pinmi Electronic Technology Co., Ltd Earphone
US11095973B1 (en) * 2020-06-15 2021-08-17 Bose Corporation Nozzle of an in-ear audio device including a flexible portion and a rigid portion
USD903639S1 (en) * 2020-06-24 2020-12-01 Shenzhen Ginto E-commerce Co., Limited Earphone
USD980185S1 (en) 2020-07-02 2023-03-07 Apple Inc. Earphones
USD912017S1 (en) * 2020-08-10 2021-03-02 Shenzhen Weixin Yiheng Technology Co., Ltd Wireless headset
USD957366S1 (en) * 2020-09-14 2022-07-12 Jvckenwood Corporation Earphone
USD925498S1 (en) * 2020-09-17 2021-07-20 Shenzhen Worgo Technology Limited. Pair of earbuds
USD928126S1 (en) * 2020-09-28 2021-08-17 Xinying Chen Wireless earphone
USD964313S1 (en) * 2020-09-29 2022-09-20 Ugreen Group Limited Earphone
USD929971S1 (en) * 2020-09-29 2021-09-07 Wenjie ZHOU Earphone
USD926733S1 (en) * 2020-09-29 2021-08-03 Zhijun Wu Earphone
USD956720S1 (en) * 2020-09-30 2022-07-05 Shenzhen Zio Communication Technology Co., Ltd. Earphone
USD967070S1 (en) * 2020-11-10 2022-10-18 Shenzhen Baseus Technology Co., Ltd. Earphone
USD920293S1 (en) * 2020-11-26 2021-05-25 Shenzhen Sixpipes Technology Co., Ltd Wireless earphone
USD957367S1 (en) * 2020-12-01 2022-07-12 Beijing Edifier Technology Co., Ltd. Earphone
USD916058S1 (en) * 2020-12-08 2021-04-13 Shenzhen Xinzhengyu Technology Co., Ltd. Earphone
USD914652S1 (en) * 2020-12-15 2021-03-30 Shenzhen Sixpipes Technology Co., Ltd Wireless earphone
USD1019611S1 (en) * 2021-01-19 2024-03-26 Zound Industries International A.B. Earbud
USD951917S1 (en) * 2021-01-26 2022-05-17 Shenzhen Ausounds Intelligent Co., Ltd. Pair of earphones
USD990455S1 (en) * 2021-02-01 2023-06-27 Realme Mobile Telecommunications (Shenzhen) Co., Ltd. Earphone
USD1009836S1 (en) * 2021-02-04 2024-01-02 Realme Mobile Telecommunications (Shenzhen) Co., Ltd. Earphone
USD936041S1 (en) * 2021-02-09 2021-11-16 Shenzhen George Zebra Network Technology Co., Ltd. Wireless headset
USD976236S1 (en) * 2021-03-30 2023-01-24 Jvckenwood Corporation Earphone
USD947159S1 (en) * 2021-04-30 2022-03-29 Xiaochun Liang Earphones
USD981992S1 (en) * 2021-07-05 2023-03-28 Guangdong Xizhongxi Technology Co., Ltd. Set of wireless earphones and charging case
JP1713749S (ja) * 2021-07-06 2022-04-26 イヤホン
US11240587B1 (en) * 2021-07-13 2022-02-01 Robert Charles DeMaio Dynamically resizable earbuds
USD1021864S1 (en) * 2021-07-19 2024-04-09 Zound Industries International Ab Earbud
JP1713162S (ja) * 2021-08-06 2022-04-21 イヤホン
USD991912S1 (en) * 2021-08-13 2023-07-11 Shenzhen Grandsun Electronic Co., Ltd. Wireless earphone
USD1019596S1 (en) * 2021-10-23 2024-03-26 Scud (Fujian) Electronics Co., Ltd Pair of wireless earphones
USD1025959S1 (en) * 2022-03-14 2024-05-07 AFH Industries Inc. Wireless earphones
USD986860S1 (en) * 2022-11-04 2023-05-23 Shen Zhen Ocen Technology Co. Ltd Earphone
USD985542S1 (en) * 2022-11-04 2023-05-09 Shen Zhen Ocen Technology Co. Ltd Earphone
USD993941S1 (en) * 2022-11-25 2023-08-01 Zhijun Wu Earphone
USD989748S1 (en) * 2022-11-25 2023-06-20 Zhijun Wu Earphone
CN117499833B (zh) * 2023-12-29 2024-05-07 成都弱水科技有限公司 一种蓝牙耳机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80492A (ja) 1985-10-04 1987-04-13 Hitachi Ltd 復水再循環装置
JPH0638552Y2 (ja) * 1985-11-08 1994-10-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ヘツドホン
JPH0450718Y2 (ko) * 1986-02-28 1992-11-30
JP2643956B2 (ja) 1987-10-14 1997-08-25 アイワ株式会社 インナーイヤー型ヘッドホン
JPH01137691U (ko) 1988-03-15 1989-09-20
JPH0244899A (ja) * 1988-08-04 1990-0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ンナーイヤー型ヘッドホン
JP3815513B2 (ja) * 1996-08-19 2006-08-30 ソニー株式会社 イヤホン
JP2000300599A (ja) 1999-04-26 2000-10-31 Mimii Denshi Kk 耳せん
US6084976A (en) * 1999-06-11 2000-07-04 Lin; Chung-Yu Earphone without impulse noise and conductive hearing loss
US6668064B1 (en) * 1999-07-06 2003-12-23 Chung Yu Lin Earphone without impulse noise and surrounding blockade
JP4709017B2 (ja) * 2006-01-12 2011-06-22 ソニー株式会社 イヤホン装置
WO2007089845A2 (en) * 2006-01-30 2007-08-09 Etymotic Research, Inc. Insert earphone using a moving coil driver
US20070291974A1 (en) * 2006-06-20 2007-12-20 United Global Sourcing, Inc. Earpiece for an electronic audio player, with decorative accessory
US7916888B2 (en) 2006-06-30 2011-03-29 Bose Corporation In-ear headphones
WO2009086555A1 (en) * 2007-12-31 2009-07-09 Koss Corporation Adjustable shape earphone
US8184821B2 (en) * 2008-01-28 2012-05-22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Acoustic transducer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806B1 (ko) * 2013-05-06 2014-11-03 주식회사신한기술센타 이어폰 케이스와 이어폰
KR101423570B1 (ko) * 2013-06-21 2014-07-28 주식회사 피에스아이코리아 이어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40001B (zh) 2014-08-20
US8712087B2 (en) 2014-04-29
US20120076341A1 (en) 2012-03-29
CN102440001A (zh) 2012-05-02
KR101287954B1 (ko) 2013-07-19
WO2010134313A1 (ja) 2010-11-25
EP2434776B1 (en) 2015-09-23
EP2434776A1 (en) 2012-03-28
EP2434776A4 (en) 201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7954B1 (ko) 이어폰
JP4652474B1 (ja) イヤホン
JP6021023B2 (ja) スピーカ、スピーカを備えたインナーイヤーヘッドホンおよび補聴器
US11265645B2 (en) Acoustic chambers damped with side-branch resonator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JP4662508B1 (ja) イヤホン
US11240591B2 (en) Internal control leak integrated in a driver frame
JPH08172691A (ja) インナーイヤー型ヘッドホン
JPWO2015198683A1 (ja) 骨伝導スピーカ
US11640816B1 (en) Metamaterial acoustic impedance matching device for headphone-type devices
JP2011040933A (ja) イヤホン
KR101690524B1 (ko) 이중 공명 스피커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웨이 이어폰
JPH04227396A (ja) インナーイヤー型ヘッドホン
JP6912050B2 (ja) スピーカ用のバスレフレックスチューブ
US20080199035A1 (en) In-Ear Phone
JP4523065B1 (ja) イヤホン
JP2012156708A (ja) イヤホン
JP6149599B2 (ja) イヤホン
JPS646636Y2 (ko)
JP6711487B2 (ja) 電気音響変換装置
WO2019211801A1 (en) An electroacoustic earcup for open-back headphones
JP4503685B1 (ja) イヤホン
WO2019058523A1 (ja) スピーカ装置
EP3261358B1 (en) Earphone
JPH1085250A (ja) 外耳道装用気導骨導両用受話器
CN108293160B (zh) 电动式声变换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