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5806B1 - 이어폰 케이스와 이어폰 - Google Patents

이어폰 케이스와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5806B1
KR101455806B1 KR1020130050572A KR20130050572A KR101455806B1 KR 101455806 B1 KR101455806 B1 KR 101455806B1 KR 1020130050572 A KR1020130050572 A KR 1020130050572A KR 20130050572 A KR20130050572 A KR 20130050572A KR 101455806 B1 KR101455806 B1 KR 101455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earphone
phone
ear canal
driv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0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신한기술센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신한기술센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신한기술센타
Priority to KR1020130050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58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5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5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느끼는 착용 부담을 최소화하고, 기밀성을 높인 이어폰 케이스와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 음성 출력 기능의 드라이버 유닛을 탑재하기 위한 통 형상을 이루고, 상기 드라이버 유닛의 출력 음성을 안내하도록 돌출된 관 형상의 인출로를 구비한 케이싱 본체; 및 상기 인출로가 관통하도록 관통로를 구비하고, 외이도 입구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이어폰 케이스와 이어폰{Earphone case and earphone}
본 발명은 사용자가 느끼는 착용 부담을 최소화하고, 기밀성을 높인 이어폰 케이스와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화 또는 음악 감상을 위해서, 라디오, 카세트 플레이어, CD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의 다양한 전자 기기가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전자 기기는 음향 출력을 위해서 헤드셋이나 이어폰이 사용된다. 그 중, 상기 이어폰은 사용자의 귀에 끼워서 사용하게 되는데, 그 형태에 따라 개방형(Open Type) 이어폰, 밀폐형(Close Type) 이어폰, 반밀폐형(Semi-Close Type) 이어폰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이어폰의 음향 출력기술이 나날이 발전하면서 하나의 출력공으로부터 고음과 중음 및 저음이 구분돼 출력되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런데, 다양한 출력음을 조화롭게 출력하기 위해서는 불필요한 주변 잡음과의 혼음을 방지하기 위한 기밀이 요구된다. 결국, 종래 이어폰의 외형은 스피커를 포함한 헤드가 귓구멍(외이도의 입구)을 밀폐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서, 종래 이어폰의 헤드가 귀마개 역할과 더불어 음을 출력하도록 되었다.
그런데, 종래 이어폰의 헤드는 귓구멍의 밀폐와 고정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귓구멍의 직경보다 큰 형태로 제작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헤드를 장시간 사용할 경우 귓구멍에 부담과 통증을 느끼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헤드는 귓구멍의 단부에 위치하므로, 상기 헤드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음은 외부 잡음과 쉽게 혼음되면서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헤드가 귓구멍에 주는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헤드를 연결하는 인출선을 귓바퀴에 거는 기술이 제안되었다(등록특허 10-1134366). 결국, 이어폰의 헤드는 귓구멍에 단순히 삽입만 되고, 귀에 대한 이어폰의 고정은 인출선이 귓바퀴를 감쌈으로써 이루어지므로, 상기 헤드가 사용자의 귓에 주는 직접적인 부담을 최소화하였다.
하지만, 종래 기술 또한 헤드 내 스피커가 귓구멍의 단부에 바로 위치하면서 출력음이 주변 잡음과 쉽게 혼음하게 되는 문제가 잔존하고, 상기 헤드를 귓구멍에 삽입해 고정하는 위치가 한 방향으로만 한정되므로, 사용자는 이어폰을 다양한 자세로 조정해가면서 활용하지 못하고 제한된 자세로만 사용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착용시 사용자의 귀가 받는 부담을 최소화함은 기밀성을 높여서 사용자가 양질의 출력음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이어폰 케이스와 이어폰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착용 자세를 다양하게 조정하면서도 청취 환경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된 이어폰 케이스와 이어폰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성 출력 기능의 드라이버 유닛을 탑재하기 위한 통 형상을 이루고, 상기 드라이버 유닛의 출력 음성을 안내하도록 돌출된 관 형상의 인출로를 구비한 케이싱 본체; 및
상기 인출로가 관통하도록 관통로를 구비하고, 외이도 입구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가이드;
를 포함하는 이어폰 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인출로는
상기 인출로가 돌출된 상기 케이싱 본체의 해당 일면에 대한 수선을 기준으로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케이스는 제1폰과 제2폰이 한 쌍을 이루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제1폰과 제2폰의 케이싱 본체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제1폰의 케이싱 본체와 조합된 가이드의 배치 방향과, 상기 제2폰의 케이싱 본체와 조합된 가이드의 배치 방향이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인출로의 외면에는 제1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로의 내면에는 상기 제1걸림부와 지정된 위치에 맞물리는 제2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외이도에 삽입되도록 상기 인출로와 연통하게 연결되는 이어피스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이주(耳珠; tragus)와 대주(對珠; antitragus) 사이에서 상기 외이도 입구에 접합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성 출력 기능의 드라이버 유닛;
상기 드라이버 유닛을 탑재하고, 상기 드라이버 유닛의 출력 음성을 안내하도록 돌출된 관 형상의 인출로를 구비한 케이싱 본체; 및
상기 인출로가 관통하도록 관통로를 구비하고, 외이도 입구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가이드;
를 포함하는 이어폰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에 있어서, 상기 인출로는
상기 인출로가 돌출된 상기 케이싱 본체의 해당 일면에 대한 수선을 기준으로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본 발명은, 케이싱 본체와 가이드가 분리되므로 케이싱 본체에 내설된 드라이버 유닛의 출력음에 의한 진동이 상기 가이드를 통해 사용자의 귀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느끼는 피로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가 주는 안락한 착용감을 통해 사용자는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동시에, 귓구멍 내외에 대한 기밀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출력음과 잡음 간의 혼음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귀 형상에 맞춰 이어폰 케이스를 제작할 경우 착용 방식이 제한될 수밖에 없던 한계를 극복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착용 방식으로 변경해가면서 이어폰을 착용할 수 있으면서도 귀 형상에 맞춘 이어폰의 최적화된 착용감과 기밀성을 만끽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의 일실시 예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의 착용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의 가이드를 변경한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의 다양한 착용모습을 보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의 일실시 예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은 왼쪽 귀와 오른쪽 귀에 각각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폰(100)과 제2폰(1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폰(100)과 제2폰(100')은 각각 음성 출력 기능을 갖는 드라이버 유닛(미도시함)을 탑재하며, 이를 위해 중공을 갖는 통 형상의 케이싱 본체(110)를 포함한다.
참고로, 상기 드라이버 유닛은 원반형상의 마그넷이 고착된 베이스와, 상기 마그넷 상에 고착된 폴 피스를 포함한다. 계속해서, 케이싱 본체(110)의 내주부에서 진동판의 외주연부가 지지되고, 상기 진동판은 상기 폴 피스와 대향한 위치에서 진동할 수 있도록 된다. 상기 진동판은 메인 돔과 그 주위의 서브 돔으로 이루어지고, 메인 돔과 서브 돔의 경계를 따라 보이스 코일의 일단이 고착된다. 상기 보이스 코일은, 폴 피스의 외주면과 베이스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자기 갭 내에 위치한다. 결국, 상기 보이스 코일에 음성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음성 신호와 상기 자기 갭 내의 지장(地場)의 전자기력에 의해 상기 보이스 코일이 진동판과 함께 진동하여 음성이 출력된다. 이상 설명한 상기 드라이버 유닛의 구조와 동작 원리는 공지,공용의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상기 드라이버 유닛을 구성하는 요소들에 대한 부품의 종류와 동작 특성 등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폰 케이스를 구성하는 케이싱 본체(110)는 외이도(14; 도 4 참조)로 삽입되며 상기 드라이버 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음성 신호 또는 음성의 안내와 해당 음성에 대한 출력을 처리하는 인출로(111)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인출로(111)는 통공을 갖는 관 형상을 이룬다. 참고로, 상기 드라이버 유닛으로부터 인출로(111)로 음성 신호가 안내될 경우, 인출로(111)의 말단에는 상기 음성 신호에 대응해 동작하는 진동판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케이싱 본체(110)에는 리드선(112)이 인출 형성된다. 리드선(112)은 상기 드라이버 유닛과 통전하면서 상기 음성 신호를 전송하고, 이를 통해 상기 드라이버 유닛이 구동할 수 있도록 한다.
가이드(120)는 귀의 이주(耳珠; tragus; 11; 도 4 참조) 및 대주(對珠; antitragus; 12)와 이갑개(concha; 13)에 의해 형성되는 강(腔; 빈 공간)에 긴밀하게 접합해서 귓구멍(외이도의 입구)을 밀폐하도록 하기 위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아울러 귓구멍에 단단히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120)는 일정한 진동을 발생시키는 상기 드라이버 유닛과는 별품이 되도록 케이싱 본체(110)와 분리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120)는 케이싱 본체(110)에 인출 형성된 인출로(111)를 수용하는 관통공(121)을 형성한다. 관통공(121)은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12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서, 인출로(111)가 관통공(121)의 일단으로 삽입되면 관통공(121)의 타단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된다. 결국, 상기 드라이버 유닛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은 가이드(120)로 전달되지 않고 인출로(111)만을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따라서, 가이드(120)는 음성 출력에 의한 인출로(111)의 떨림 전달을 최소로 수신해서, 귓바퀴가 가이드(120)로부터 받는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귓바퀴가 받는 피로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더불어서 귓구멍에 삽입 고정된 가이드(120)는 최소한의 떨림으로 현상태를 유지하므로, 귓구멍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함은 물론 귓구멍과 외부와의 기밀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어피스(130)는 인출로(111)의 외주에 끼워 맞춤하며 통음공(131)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 부분과, 상기 원통 형상 부분의 선단으로부터 외곽으로 뒤집어 꺾어서 반구 형상으로 된 유연성을 갖는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어피스(130)의 상기 원통 형상 부분의 통음공(131)은 인출로(111)와 연통하도록 연결되어서, 상기 드라이버 유닛으로부터 출력되어 인출로(111)를 따라 송출되는 음성을 안내하고, 이어피스(130)의 유연성을 갖는 부분은 사용자의 귓구멍으로 삽입된 후 외이도(14) 내주면에 밀착되어서, 상기 원통 형상 부분을 따라 송출된 음성이 상기 외이도(14)에 정확히 출력되도록 한다.
결국, 이어피스(130)는 귓구멍으로 삽입되어서 상기 드라이버 유닛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을 사용자의 외이도(14)에 정확히 유도하고, 가이드(120)는 사용자의 귓구멍을 내외가 밀폐되도록 함은 물론 케이싱 본체(110)가 상기 귓구멍에 고정되도록 해서, 사용자가 이어폰을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서 가이드(120)와 케이싱 본체(110)가 서로 분리된 구조를 이루므로, 사용자는 음성이 출력되는 도중 안락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케이싱 본체(110)와 가이드(120) 간의 분해와 조립을 가능하도록 하고, 인출로(111)를 기준으로 가이드(120)의 고정 위치 조정 또한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인출로(111)의 외면에는 제1걸림부(111a)가 형성되고, 관통공(121)의 내면에는 제1걸림부(111a)와 조합되는 제2걸림부(122)가 형성된다. 결국, 제1,2걸림부(111a, 122)의 상호 조합을 통해 가이드(120)는 인출로(111)의 지정된 위치에 제한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귀 형상에 맞춰서 인출로(111)를 기준으로 가이드(1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의 착용모습을 도시한 도면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케이스에 구성된 케이스 본체(110')는 인출로(111')가 케이스 본체(110')의 해당 일면의 수선(垂線; S)을 기준으로 일정각도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도 4에서 보인 바와 같이 사람의 외이도(14)가 일정각도로 기울어짐에 대응한 것으로서, 이를 통해 인출로(111') 및 이어피스(130)가 외이도(14)의 내주면에 최소한의 편중된 부담을 가하게 되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출력음 청취 중 느끼는 물리적 피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인출로(111') 및 이어피스(130)로부터 출력되는 음의 진행방향이 외이도(14)의 경로를 정확히 향하게 되므로, 상기 음에 대한 간섭이나 상쇄 등으로 인한 변화를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양질의 출력음을 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의 가이드를 변경한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의 다양한 착용모습을 보인 사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케이스의 케이스 본체(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인출로(111')가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가이드(120')의 관통공(121') 역시 이에 상응하는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케이스 본체(110')와 가이드(120')는 상호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다.
한편, 도 7에서 보인 바와 같이 사용자는 가이드(120')가 귓구멍에 삽입되는 것으로 이어폰의 착용을 완료할 수도 있고(도 7(a) 참조), 가이드(120')를 귓구멍에 삽입한 후 리드선(112)을 귓바퀴에 감는 방식으로 이어폰의 착용을 완료할 수도 있다(도 7(b) 참조). 이어폰의 착용방식에 변화를 주기 위해서는 가이드(120')를 회전시키면 되고, 이를 통해 리드선(112)의 인출방향을 조정하면 된다.
그런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10')의 인출로(111')는 외이도(14)에 대응하는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이어폰의 착용 방식을 변경하기 위해서 케이스 본체(110')를 도 7(a)에서 도 7(b)의 형태로 단순히 변경한다면, 인출로(111')의 말단은 외이도(14)의 내주면을 직접 자극하게 되고, 이를 통해 사용자는 통증을 느끼게 된다.
또한, 가이드(120')는 왼쪽 귀와 오른쪽 귀의 구조 및 형태에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케이스 본체(110')의 회전과 더불어 가이드(120')도 함께 회전해서 착용 방식에 변화가 일어난다면, 사용자는 귓구멍에 직접적인 불편을 느낄 수밖에 없다. 더불어서, 가이드(120')는 착용감을 높이기 위함은 물론 귓구멍의 내외 기밀을 높이기 위한 형상으로 성형되므로, 아무런 변화없이 케이스 본체(110')만 회전한다면 귓구멍의 기밀성이 약화되어서 사용자가 느끼는 음질은 현저하게 저하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따라서, 도 6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이어폰의 착용 방식을 변경할 경우, 제1폰(100a)의 케이스 본체(110a)는 좌측으로, 제2폰(100b)의 케이스 본체(110b)는 우측으로 교환하고, 각각의 가이드(120a, 120b)는 현 위치를 고수하도록 해서,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을 도 7(a)의 착용 방식에서 도 7(b)의 착용 방식으로 변경하더라도, 사용자가 느끼는 안락한 착용감과 고품질의 청취 효과는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7에서 보인 두 가지 착용 방식은 리드선(112)이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인출되는 구조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케이스 본체(110a, 110b)와 가이드(120a, 120b)가 180도로 방향 전환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가이드(120a, 120b)가 케이스 본체(110a, 110b)의 지정된 위치에서 정확히 결합할 수 있도록, 인출로(111')의 제1걸림부(111a)와 가이드(120a, 120b)의 제2걸림부(122')가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도록 한다. 하지만, 제1걸림부(111a)와 제2걸림부(122')는 상기 형상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가이드(120a, 120b)가 인출로(111')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는 있도록 한다면 이하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100a; 제1폰 100', 100b; 제2폰
110, 110', 110a; 케이싱 본체 111, 111'; 인출로
111a, 111a'; 제1걸림부 1112; 리드선
120, 120', 120a, 120b; 가이드 121; 관통공
122; 제2걸림부 130; 이어피스
131; 통음공

Claims (8)

  1. 음성 출력 기능의 드라이버 유닛을 탑재하기 위한 통 형상을 이루고, 상기 드라이버 유닛의 출력 음성을 안내하도록 돌출된 관 형상의 인출로를 구비한 케이싱 본체; 및 상기 인출로가 관통하도록 관통로를 구비하고, 외이도 입구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가이드;를 포함하되,
    한 쌍으로 구성되는 제1폰과 제2폰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제1폰과 제2폰의 케이싱 본체 중 하나에 조합되며,
    상기 제1폰의 케이싱 본체와 조합된 가이드의 배치 방향과, 상기 제2폰의 케이싱 본체와 조합된 가이드의 배치 방향이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인출로의 외면에는 제1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로의 내면에는 상기 제1걸림부와 지정된 위치에 맞물리는 제2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로는
    상기 인출로가 돌출된 상기 케이싱 본체의 해당 일면에 대한 수선을 기준으로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케이스.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이도에 삽입되도록 상기 인출로와 연통하게 연결되는 이어피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케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이주(耳珠; tragus)와 대주(對珠; antitragus) 사이에서 상기 외이도 입구에 접합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케이스.
  7. 음성 출력 기능의 드라이버 유닛과,
    상기 드라이버 유닛을 탑재하고, 상기 드라이버 유닛의 출력 음성을 안내하도록 돌출된 관 형상의 인출로를 구비한 케이싱 본체; 및 상기 인출로가 관통하도록 관통로를 구비하고, 외이도 입구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가이드;를 포함하는 이어폰 케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이어폰 케이스는 제1폰과 제2폰이 한 쌍을 이루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제1폰과 제2폰의 케이싱 본체 중 하나 이상에 선택적으로 조합되며,
    상기 제1폰의 케이싱 본체와 조합된 가이드의 배치 방향과, 상기 제2폰의 케이싱 본체와 조합된 가이드의 배치 방향이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인출로의 외면에는 제1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로의 내면에는 상기 제1걸림부와 지정된 위치에 맞물리는 제2걸림부가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로는
    상기 인출로가 돌출된 상기 케이싱 본체의 해당 일면에 대한 수선을 기준으로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KR1020130050572A 2013-05-06 2013-05-06 이어폰 케이스와 이어폰 KR101455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572A KR101455806B1 (ko) 2013-05-06 2013-05-06 이어폰 케이스와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0572A KR101455806B1 (ko) 2013-05-06 2013-05-06 이어폰 케이스와 이어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5806B1 true KR101455806B1 (ko) 2014-11-03

Family

ID=52288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0572A KR101455806B1 (ko) 2013-05-06 2013-05-06 이어폰 케이스와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580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548Y1 (ko) * 2002-06-28 2002-09-16 윤득상 이어폰 보조기구
KR20070075352A (ko) * 2006-01-12 2007-07-18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이어폰 장치
KR20120011080A (ko) * 2009-05-21 2012-02-06 가부시기가이샤 오디오테크니카 이어폰
KR20120135898A (ko) * 2010-01-26 2012-12-17 크레신 주식회사 인-이어 이어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548Y1 (ko) * 2002-06-28 2002-09-16 윤득상 이어폰 보조기구
KR20070075352A (ko) * 2006-01-12 2007-07-18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이어폰 장치
KR20120011080A (ko) * 2009-05-21 2012-02-06 가부시기가이샤 오디오테크니카 이어폰
KR20120135898A (ko) * 2010-01-26 2012-12-17 크레신 주식회사 인-이어 이어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0588B2 (en) Sound reproducing apparatus
USRE48424E1 (en) Custom fit in-ear monitors utilizing a single piece driver module
US8983108B2 (en) Ear headphone
US8447061B2 (en) Dual earphone using both bone conduction and air conduction
US10791390B2 (en) Flex-fit ear tip for headphones
WO2015198683A1 (ja) 骨伝導スピーカ
US11057695B2 (en) In-ear headphone device with active noise control
US20180146280A1 (en) Bone Conduction Speaker with Outer Ear Flap Utilization in Creating Immersive Sound Effects
WO2017012530A1 (zh) 耳机
US20170111728A1 (en) Bone conduction speaker module and bone conduction earphones having bone conduction speaker modules
JP2009088942A (ja) イヤホン装置
US10142735B2 (en) Dual mode headphone and method therefor
CN110100454B (zh) 声音输出装置
JP6754075B2 (ja) イヤホン
KR101745531B1 (ko) 주변 소음을 감지하는 블루투스 이어폰시스템
EP3200476B1 (en) Headphone
KR101455806B1 (ko) 이어폰 케이스와 이어폰
JP6863687B2 (ja) イヤホン
JP2019145965A (ja) イヤホン
JP2017135446A (ja) 送受話装置
WO2019058523A1 (ja) スピーカ装置
KR20190110389A (ko) 공기전도 트랜스듀서와 골전도 트랜스듀서 일체형 이어폰
JP2019145964A (ja) イヤホン
WO2024085250A1 (ja) オープン型イヤホン
KR101902849B1 (ko) 음향 출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