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0969A - 판으로 덮여진 개방 프로파일을 갖는 방수 인클로져 - Google Patents

판으로 덮여진 개방 프로파일을 갖는 방수 인클로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0969A
KR20120010969A KR1020110073473A KR20110073473A KR20120010969A KR 20120010969 A KR20120010969 A KR 20120010969A KR 1020110073473 A KR1020110073473 A KR 1020110073473A KR 20110073473 A KR20110073473 A KR 20110073473A KR 20120010969 A KR20120010969 A KR 20120010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losure
seal
profile
plate
jamm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3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란트 보추트
찰레스 레메
페터 하임리처
Original Assignee
옵토시스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옵토시스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옵토시스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120010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09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1Hermetically-sealed casings sealed by a gasket held between a removable cover and a body, e.g. O-ring, pack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10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덮개 판(3)이 방수식으로 부착되는 개방 측부 부분을 갖는 중공 프로파일(2)을 포함하는 인클로져(1)로서, 프로파일(2)은 프로파일(2)의 단부에 배치된 방수 밀봉부(41)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부 폐쇄부(4)를 구비하는 인클로져.
특히, 전자 인클로져를 위해, 인클로져 상의 구조적 변경을 가능한 작게 유지하면서 방수 특성들을 개선시키기 위해, 재밍 부재(40)가 밀봉부(41) 내측에 제공되고, 재밍 부재(40)는 덮개 판(3)에 인접하게 배치된 밀봉부(41)의 판-결합 측부(48)에 관하여 횡단 방향(92, 93)으로 작용하는 가압력을 밀봉부(41)의 적어도 두 개의 대향 측부 부분들(71 내지 76) 상에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판으로 덮여진 개방 프로파일을 갖는 방수 인클로져 {WATERTIGHT ENCLOSURE WITH AN OPEN PROFILE COVERED BY A PLATE}
본 발명은 덮개 판이 방수식으로 부착되어 있는 개방 측부 부분을 구비한 중공 프로파일을 포함하는 인클로져에 관한 것으로, 이 프로파일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라 프로파일의 단부에 배치된 방수 밀봉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부 폐쇄부를 구비한다. 특히, 본 발명은 광 배리어 같은 전자 및/또는 광학 장비를 위한 하우징으로서 이런 인클로져를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지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유형의 일반적 프로파일들은 통상적으로 특히 알루미늄 또는 유사 재료로부터 압출 프로세스에 의해 형성되며, 종종 실질적 U-형상 단면을 나타낸다. 전자 부품들 또는 다른 재료를 프로파일의 공동 내에 배열하기 이전 또는 이후에, 이 프로파일의 개방 측부 부분은 플렉시유리-판 등에 의해 덮여진다. 덮개 판은 고도의 방수식으로 본 기술 분야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접착제 수단에 의해 프로파일에 부착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65 이상의 값을 갖는 국제 표준 IEC 60529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은 전자 인클로져들을 위한 유입 보호 등급(IP)이 프로파일에 대한 덮개 판의 측방향 부착에 관하여 달성될 수 있다.
더 중요한 것은 프로파일의 단부 섹션들에서 원하는 값의 인클로져의 방수성을 보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천연고무 또는 유사 비순응성 방수 재료의 밀봉 루프가 프로파일의 단부 섹션 둘레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밀봉 루프는 프로파일의 단부에 긴밀하게 부착된 캡핑 부재에 의해 단부 섹션에 대해 견고히 가압된다. 이 방식으로, 프로파일의 방수 단부 폐쇄부가 캡핑 부재와 내부에 매설된 밀봉 루프에 의해 제공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단부 폐쇄부는 물 침투 문제들의 고도의 잠재적 위험을 나타내며, 결과적으로, 전자 인클로져의 경우에 원하는 방수 레벨을 극도로 감소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단점들 중 적어도 하나를 피함으로써 이런 인클로져의 용이한 제조 또는 조립을 가능하게 하고 및/또는 가능한 낮은 인클로져의 구조적 변형을 유지함으로써 개선된 방수 특성들을 갖는 앞서 언급한 인클로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 목적들 중 적어도 하나는 특허 청구항 1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인클로져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밀봉부 내측에 재밍 부재가 제공되고, 재밍 부재는 덮개 판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밀봉부의 판-결합 측부라 이하에서 지칭되게 되는 밀봉부의 측부 부분에 관하여 횡단 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력을 밀봉부의 적어도 두 개의 대향한 측부 부분들 상에 작용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인클로져의 방수에 관한 취약점이 프로파일 상의 덮개 판의 부착부가 결합되는 밀봉부의 부분들이라는 관찰로부터 이루어진다. 상술한 방식의 재밍 부재의 배열은 방수의 비상한 강한 개선을 초래하고, 이러한 특정한 문제가 되는 영역의 본질적 결점들에 관하여 놀랍게 효과적인 구제조치를 구성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 방식으로, 전체 인클로져의 전체 방수 특성들은 실질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전자 인클로져로서 사용되는 프로파일을 위하여 예로서, 65 이상의 IP 값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로하는 양호한 예시적 실시예에 대한 하기의 설명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인클로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인클로져의 프로파일의 단부 섹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자 인클로져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다른 관점으로부터의 도 3에 도시된 전자 인클로져의 단부 폐쇄부의 다른 분해도이다.
도 5는 단부 폐쇄부의 부분들이 단부 섹션 상에 장착되어 있는, 도 2에 도시된 프로파일의 단부 섹션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프로파일의 VI-VI에 따른 길이방향 단면도의 상세도이다.
도 7은 캡핑 부재가 프로파일 상에 장착되어 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부 인클로져의 부분들을 갖는 프로파일의 단부 섹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프로파일의 VIII-VIII을 따른 길이방향 단면도의 상세도이다.
도 1은 덮개 판(3)이 방수식으로 부착되어 있는 개방 측부 부분을 갖는 중공 프로파일(2)을 포함하는 전자 인클로져(1)를 도시한다. 프로파일(2)은 금속성 재료로부터 압출되며, 덮개 판(3)은 합성 재료로 구성된다. 후술된 방수 밀봉 메커니즘은 이들 재료들을 포함하는 인클로져(1)를 위해 특히 적합하다. 그러나, 다른 재료들도 고려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프로파일(2)의 양 단부들에서, 단부 폐쇄부(4, 5)가 방수식으로 장착된다. 단부 폐쇄부(4)는 프로파일의 공동 내측에 보호되어 있는 광전자 장치의 케이블 또는 돌출 부품을 위해 설계되어 있는 중앙 개구(6)를 포함한다. 이 특정 경우에서, 중앙 개구(6)는 광 배리어의 케이블 또는 발광 단부 부분의 하우징을 위해 제공되며, 장치의 더 민감한 광전자 부품들이 프로파일(2)의 공동 내측에 배열된다. 단부 폐쇄부(5)는 중앙 개구(6)가 없는 것을 제외하면 단부 폐쇄부(4)와 유사하다.
단부 폐쇄부(4)가 없는 프로파일(2)의 단부 섹션(10)의 정면도를 도시하는 도 2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프로파일(2)은 바닥부 측부(7)와 두 개의 대향한 측방향 측부들(8, 9)을 포함하는 실질적 U-형상 구조를 갖는다. 측방향 측부들(8, 9)은 각각 그 중앙 부분에 실질적 직사각형 만입부(11, 12)를 구비한다. 만입부들의 길이는 측방향 측부들(8, 9)의 전체 길이의 약 1/3에 대응한다.
각 측방향 측부(8, 9)의 상부 1/3의 중앙 부분은 캐리어 돌출부들(13, 14)을 구비한다. 캐리어 돌출부들(13, 14)의 상부 표면은 덮개 판(3)을 위한 지지부로서 사용된다. 이 방식으로, 덮개 판(3)은 프로파일(2)의 측방향 측부들(8, 9)의 상부 내부 에지들 사이에 배열된다. 그 두 개의 외부 길이방향 측부들(15, 16)을 따른 덮개 판(3)은 양면 접착제 테이프(17, 18)에 의해 캐리어 돌출부들(13, 14)에 부착된다. 다른 종류의 부착부들, 예를 들어, 실리콘, 접착제 등도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파일(2)의 공동(20)의 양 측부들 상에서, 더욱 정확하게는 각 만입부들(11, 12) 각각과 캐리어 돌출부들(13, 14) 사이에서, 상부 측부 격실(21, 22)이 공동(20) 내에 형성된다. 또한, 두 개의 하부 측부 격실들(23, 24)이 각각의 만입부들(11, 12) 아래에서 공동(20) 내에 형성된다.
캐리어 돌출부들(13, 14) 및 만입부들(11, 12)의 하부 부분들 각각은 원형 형상의 홈(25 내지 28)을 구비하며, 이들 각각은 측부 격실들(21 내지 24) 중 하나에 접경하고 프로파일(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한다. 이들 원형 홈들의 단부 부분들은 단부 폐쇄부들(4, 5)의 고정을 위한 보어구멍들(25 내지 28)로서 사용된다. 또한, 세 개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내부 홈들(29 내지 34)이 측방향 측부들(8, 9) 각각 상에 제공되며, 이들은 예를 들어, 공동(20) 내측의 전자 장비를 위한 고정 레일들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부착부들(17, 18)에 의해, 프로파일(2)의 길이 방향으로 고 등급 방수 보호가 제공된다. 그러나, 공통 인클로져들의 프로파일의 단부 섹션 상에서는, 부착부들(17, 18)이 적어도 폐쇄부가 튀는 물, 워터 제트들 또는 유사 요건들에 노출되는 경우에 누설-민감 영역을 구성할 수 있다. 전자 인클로져(1)에서, 이들 단점들은 후속 설명에 따라 구제되어 있다.
도 3은 분해도로 인클로져(1)를 도시한다. 인클로져(1)의 단부 폐쇄부(4)는 세 개의 별개의 부재들, 즉, 재밍 부재(40), 밀봉 루프(41) 및 캡핑 부재(42)로 이루어져 있다. 다른 각도로부터의 단부 폐쇄부(4)의 대응적 분해도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밀봉 루프(41)는 실질적 비압축성인 탄성 재료, 예를 들어, NBR 50 Share A 같은 예를 들어 물-불침투성 고무 재료로 구성되고, 프로파일(2)의 단부 섹션(10)과 유사한 외주를 갖는다. 특히, 밀봉 루프(41)의 표면 측부 상에 돌출하는 밀봉 립(43)은 단부 섹션(10)의 형상에 정합된다(도 4 참조). 밀봉 루프(41)의 후방 측부 상에서 돌출하는 대응 밀봉 립(44)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단부 섹션(10)에서의 밀봉 루프(41)의 배열에 관하여, 밀봉 루프(41)는 단부 섹션(10)의 바닥부 측부(7)에 결합하는 저부 측부(45)와, 단부 섹션(10)의 측방향 측부들(8, 9)과 결합되는 두 개의 대향한 측방향 측부들(46, 47) 및 덮개 판(3)에 인접한 상부 판-결합 측부(48)로 구성된다.
밀봉 루프(41)는 프로파일(2)의 단부 섹션(10)에 있는 보어 구멍들(25 내지 28)에 관하여 대응 위치들에 배치된 네 개의 원형 개구들(49 내지 52)을 더 포함한다. 밀봉 루프(41)의 양 측부들 상에서, 원형 개구들(49, 52)은 각각의 밀봉 립(43, 44)의 코스 내로 봉합선 없이 통합되는 원형 돌출부에 의해 둘러싸여진다.
밀봉 루프(41)의 전방에서, 판-결합 측부(48)는 밀봉 립들(43, 44)의 높이를 초과하는 전방 돌출부(54)를 구비한다(도 4 참조). 전방 돌출부(48)의 크기는 프로파일(2)의 단부 섹션(10)의 캐리어 돌출부들(13, 14) 사이의 거리에 정합되고, 따라서, 저부 측부로부터 덮개 판(3)을 결합시키기 위해 프로파일(2)의 공동(20)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밀봉 루프(41)의 내주는 재밍 부재(40)의 외주의 형상에 적응된다. 재밍 부재(40)는 실질적으로 강성적이며, 바람직하게는 합성 재료로 구성된다. 이는 밀봉 루프(41)의 형상과 거의 정합하는 프레임형 구조를 가지며, 상부 측부(55), 두 개의 측방향 측부들(56, 57) 및 저부 측부(58)가 각각 동일한 길이 치수를 갖는다. 재밍 부재(40)의 두께는 밀봉 루프(41)의 두께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재밍 부재(40)의 상부 측부(55) 상에는 상부 돌출부(60)가 제공된다. 상부 돌출부(60)의 양 측부들 상에는, 상부 테이퍼형 부분들(61, 62)이 형성된다. 상부 테이퍼형 부분들(61, 62)은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을 갖는다. 상부 측부(55)의 양 측방향 단부 부분들 상에는 두 개의 추가적 하부 테이퍼형 부분들(63, 64)이 형성되어 굴곡된 형상의 단면을 나타낸다(도 5 참조)
재밍 부재(40)의 대향한 측방향 측부들(56, 57)의 상부 측부 부분들은 외부 측방향 돌출부들(65, 66)을 구비한다. 측방향 돌출부들(65. 66)의 하부 에지는 측방향 측부들(56, 57)로부터 직교방향으로 돌출한다. 상부 에지는 밀봉 링(41)의 판-결합 측부(48)에 관하여 선형 경사를 나타낸다. 따라서, 측방향 돌출부들 각각은 측방향 테이퍼형 부분(65, 66)을 구성한다.
전체적으로, 상부 테이퍼부들(61, 62), 하부 테이퍼부들(63, 64) 및 측방향 테이퍼부들(65, 66)은 재밍 부재(40)의 양 측부들 상에 단차형 배열로 구성되고, 각각의 테이퍼형 부분들(61 내지 66) 사이의 측방향 거리는 재밍 부재(40)의 상부를 향해 감소된다. 따라서, 재밍 부재(40)의 상부 측부는 재밍 부재(40)의 대향 측부들 상에 배열된 테이퍼부들(61 내지 66) 사이의 가교 부분(55)을 구성한다.
밀봉 루프(41)는 재밍 부재(40) 상의 테이퍼형 부분들(61 내지 66)의 형상들에 적응되는 대응 리세스들(71 내지 76)을 구비한다. 따라서, 리세스들(71 내지 76)은 재밍 부재(40) 상의 각각의 테이퍼형 부분들(61 내지 66)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리세스(71, 72)는 각각의 테이퍼형 부분(61, 62)에 대응하는 선형 경사부를 갖는다.
재밍 부재(40)는 측방향 돌출부들(65, 66)의 각각의 전방 측부 상에 플러그결합 돌출부(67, 68)를 추가로 포함한다. 플러그결합 돌출부들(67, 68)은 프로파일(2)의 공동(20)의 상부 측부 격실들(21, 22) 내로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프로파일(2)의 단부 섹션(10)에서의 재밍 부재(40)의 정확한 위치설정과 최초 헐거운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플러그결합 돌출부들(67, 68)은 삽입시 단부 섹션(10)의 수직 방향으로 재밍 부재(40)의 소정 이동성을 보증하기 위해 측부 격실들(21, 22)의 높이에 비해 더 작고, 캡핑 부재(42)는 스크류들에 의해 고정된다.
재밍 부재(40)의 상부 돌출부(60)는 재밍 부재(40)의 전방 방향으로 돌출하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상부 표면(59)을 갖는다. 상부 돌출부(55)의 측부 길이는 프로파일(2)의 캐리어 돌출부들(13, 14)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여 공동(20) 내로의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 이 방식으로, 밀봉 루프 상에서의 전방 돌출부(54)를 위한 지지부가 형성된다. 상부 돌출부(55)의 전방 에지는 상부 표면(59)의 잔여부의 높이에 비해 상승부를 더 구비한다. 상승부는 재밍 부재(40)가 밀봉 링(41)의 내측에 배치될 때 밀봉 링(41)을 위한 전방 접촉 구조로서 기능한다.
또한, 가교 부분(55)의 하부 표면(70)이 돌출되고 프로파일(2)의 길이 축에 관하여 실질적 선형 경사부를 나타낸다(도 6 참조). 하부 표면은 재밍 부재(40) 상에 수직력을 인가할 수 있게 하며, 따라서, 이하에서 인가 표면(70)이라 지칭된다.
캡핑 부재(42) 내측의 돌출 상부 표면(80) 상에 대응 선형 경사부가 형성된다(도 4 참조). 또한, 돌출 표면(80)의 길이 및 폭은 재밍 부재(40)의 가교 부분(55)의 인가 표면(70)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돌출 표면(80)은 밀봉 메커니즘을 작동시키기 위한 인가 표면(70) 상에 힘을 전달하도록 기능하며, 따라서, 이하에서 작동 표면(80)이라 지칭된다.
그 저부 측부(82), 측방향 측부들(83, 84) 및 상부 측부(85) 상의 캡핑 부재(42)의 내부 측부 벽들은 밀봉 루프(41)의 측방향 원주의 형상에 대응한다. 이 방식으로, 재밍 부재(40)가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밀봉 루프(41)가 캡핑 부재(42) 내에 끼워지고 밀봉 루프(41)의 내주 상에 작용하는 압력은 캡핑 부재(42)의 내부 측부 벽들에 의해 상쇄된다. 캡핑 부재(42)의 상부 측부(85)의 중간 부분은 덮개 판(3)의 폭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상부 전방 돌출부(95)를 구비한다. 상부 전방 돌출부(95)는 프로파일(2)의 단부 섹션(10) 상에서의 그 설치 동안 캡핑 부재(42)의 간단한 수동 위치설정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밀봉 효과에 기여한다. 또한, 네 개의 보어 구멍들(86 내지 89)이 밀봉 루프(41) 내의 원형 개구들(49 내지 52)과의 대응 위치들에서 캡핑 부재(42) 내에 제공된다.
후속하여, 프로파일(2) 상의 단부 폐쇄부(4)의 설치 및 작동 시작이 설명된다. 먼저, 밀봉 루프(41)는 부착부들(15, 16)이 판-결합 측부(48)에 의해 완전히 덮여지도록 프로파일(2)의 단부 섹션(10) 둘레에 바람직하게 위치되고, 전방 돌출부(54)가 공동(20) 내로 아래로부터 덮개 판(3)에 대해 접촉하는 범위도 연장된다.
제2 단계로서, 플러그결합 돌출부들(67, 68)이 공동(20)의 측부 격실 내측으로 연장하고 평탄한 돌출 상부 표면(59)이 밀봉 루프(41)의 전방 돌출부(54)를 지지하도록 밀봉 루프(41)의 내주를 따라 재밍 부재(40)가 위치된다.
이 구성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재밍 부재(40)의 테이퍼형 부분들(61 내지 66)은 밀봉 루프(41)의 판-결합 측부(48)에 대면하고 밀봉 루프(41) 내의 대응 리세스들(71 내지 76) 상에 접경한다. 가교 부분(55)은 밀봉 루프(41)의 판-결합 측부(48)에 대해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재밍 부재(40)는 도 6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상부 표면(59)의 전방 단부 상의 그 상부 상승부가 밀봉 루프(41)의 판-결합 측부(48)의 전방 에지에 대해 접촉하는 방식으로 공동(20) 내로 삽입된다.
다음 단계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핑 부재(42)가 단부 섹션(10) 둘레에 플러그결합되어 그 내부 측부 벽들(82 내지 85)이 밀봉 루프(41)의 외주에 접경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캡핑 부재(42) 내의 경사진 작동 표면(80)은 재밍 부재(40)의 가교 부분(55)의 경사진 인가 표면(70) 아래에 위치된다. 동시에, 캡핑 부재(42)의 상부 전방 돌출부(95)는 프로파일(2)의 측방향 측부들(8, 9)의 상부 내부 에지들 사이에서 덮개 판(3)의 상부에 위치된다. 이 방식으로, 프로파일(2)의 길이 방향으로 상부 전방 돌출부(95)의 전진을 위한 안내 통로가 측방향 측부들(8, 9)의 상부 내부 에지들 사이에 제공되어 캡핑 부재(42)의 정확한 위치설정 및 추가적 설치 절차를 용이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캡핑 부재(42)가 각각 보어구멍들(25 내지 28 및 86 내지 89) 내에 스크류 연결부를 형성함으로써 프로파일(2) 상에 긴밀하게 고정된다. 이 스크류 작업의 효과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핑 부재(42)는 화살표(90)로 표시된 바와 같이 프로파일(2)을 향해 추가로 전진된다. 따라서, 또한, 상부 전방 돌출부(95)는 프로파일(2)의 측방향 측부들(8, 9)의 상부 내부 에지들 사이에서 추가로 전진된다. 캡핑 부재(42)의 전진은 밀봉 립들(43)이 프로파일(2)의 단부 섹션(10)에 대해 밀착하게 가압되고, 밀봉 립들(44)이 캡핑 부재(42)의 내측에 대해 밀착하게 가압되는 효과를 갖는다.
추가적으로, 캡핑 부재(42)의 작동 표면(80)은 재밍 부재(40)의 인가 표면(70)을 따라 추가로 진행된다. 결과적으로, 작동력(90)은 경사진 인가 표면(70)으로 전달되고, 수직 힘 성분은 화살표(91)로 표시된 바와 같이 재밍 부재(40)의 가교 섹션(55) 상에 발휘된다. 이는 수직 방향으로 밀봉 루프(41)의 위치에 관한 재밍 부재(40)의 미소한 변위를 초래한다. 따라서, 가압력(91)은 가교 부분(55)의 상부 평탄 표면(59)으로부터 밀봉 루프(41)의 판-결합 측부(48)로 전달되고, 따라서, 판-결합 측부(48)는 이제 덮개 판(3)의 하부 표면에 대해 그 전방 돌출부(54)를 따라 긴밀하게 가압된다. 또한, 재밍 부재(40)의 돌출 상부 표면(59)의 전방 단부 상의 상부 상승부는 이제 아래로부터 덮개 판(3)에 대해 접촉하고, 그래서, 밀봉 링(41)의 판-결합 측부(48)의 전방 에지는 재밍 부재(40)와 덮개 판(3)에 의해 전체적으로 둘러싸여진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방향(91)으로의 작동력 및 재밍 부재(61 내지 66)의 대응 변위는 재밍 부재(40)의 테이퍼형 부분들(61 내지 66)이 밀봉 루프(41)의 대응 리세스들(71 내지 76) 내의 경사부들에 대해 긴밀하게 가압되는 추가적 효과를 갖는다. 이 방식으로, 재밍 부재(40) 상에 작용하는 수직력(91)은 화살표들(92, 93)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밀봉 루프(41)의 판-결합 측부(48)의 위치에 관해 횡단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으로서 테이퍼부들(61 내지 66)에서 밀봉 루프(41)를 향해 전달된다.
밀봉 루프(41)의 두 개의 대향 측부들(46, 47)을 향해 작용하는 이들 횡단방향 힘들(92, 93)은 전자 인클로져(1)의 방수성에 관한 현저한 개선을 도출한다. 덮개 판(3)의 부착부들(15, 16)에 긴밀한 근접도로 배치된 상부 테이퍼형 부분들(61, 62)을 통한 힘 인가에 의해 특히 두드러진 밀봉 개선이 달성된다. 또한, 부착부들(15, 16)로부터 더 큰 거리를 갖는 추가적 테이퍼부들(63 내지 66)도 실질적으로 밀봉 효과에 기여할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은 상술된 인클로져의 다수의 변경들을 자체적으로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내용은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한 제한으로서 해석되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의 다양한 양호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의해 규정되고, 예로서, 이하의 양태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압력의 횡단 방향은 직교 방향의 백터 성분 및 밀봉부의 판-결합 측부를 향해 지향된 벡터 성분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재밍 부재는 밀봉부의 대향 측부 부분들 각각에서 테이퍼형 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이들 테이퍼형 부분들 각각은 밀봉부의 판-결합 측부에 대면할 수 있다. 따라서, 밀봉부의 판-결합 측부에 관한 횡단 방향으로 압력을 지향시키기 위해 재밍 부재의 힘 전달 부분 상의 경사 또는 굴곡 표면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테이퍼형 부분은 실질적 원형의 굴곡된 형태를 갖는다. 또한, 대안적으로 또는 상보적으로, 실질적 선형 경사 또는 다른 굴곡된 형상들 같은 횡단방향 힘 전달을 위한 다른 형상들도 고려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테이퍼형 부분들은 프로파일 상의 덮개 판의 부착부에 직접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 방식으로, 재밍 부재의 충격 영역은 밀봉부의 취약 지점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착부의 테이퍼형 부분들 중 적어도 두 개의 거리는 프로파일의 단면 치수의 1/50 미만, 더욱 양호하게는 프로파일의 단면 치수의 1/10 미만이다. 바람직하게는, 테이퍼형 부분들 중 적어도 두 개의 거리는 덮개 판에 인접하게 위치된 프로파일의 단부 섹션의 부분의 각각의 벽 두께에 비해 더 작다.
본 출원의 범주 내의 밀봉부의 대향 측부 부분들은 대향 방향 구성요소에서 재밍 부재에 대면한 밀봉부의 임의의 두 개의 측부 부분들로서 규정된다. 일반적으로, 이들은 밀봉부의 판-결합 측부에 대한 그 상대적 거리에 관해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예로서, 밀봉부의 하부 영역에서 측부 부분에 대향된 상부 영역의 측부 부분이 고려가능하다.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서, 밀봉부의 판-결합 측부에 대한 대향된 측부 부분들의 상대적 거리는 실질적으로 균등하다.
양호하게는, 상기 재밍 부재는 임계적 영역에서 방수성을 추가로 개선시키기 위해 상기 밀봉부의 상기 대향 측부 부분들 각각에서 상기 테이퍼형 부분들 중 적어도 두 개를 구비한다. 밀봉부의 각 측부에서 적어도 두 개의 테이퍼형 부분들의 더 양호한, 단차형 배열이 제공된다. 더 양호한, 세 개의 테이퍼형 부분들이 밀봉부의 각각의 측부 부분 상에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재밍 부재는 상기 테이퍼형 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 돌출부를 구비한다. 더 양호한, 상부 돌출부는 재밍 부재의 상부 중앙 부분으로부터 돌출한다. 또한, 상기 재밍 부재는 상기 테이퍼형 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밀봉부는 가압력 전달을 추가로 개선시키기 위해, 재밍 부재의 테이퍼형 부분들의 형상에 맞춰진 대응 리세스 구조들을 구비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가압력은 재밍 부재에 형성된 리세스 구조들에 의해 전달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며, 여기에, 본 경우에서는 밀봉부의 내주의 대응 돌출부들이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테이퍼형 부분들은 가압력으로서 밀봉부에 그후 전달될 수 있는 재밍 부재 상의 힘을 인가하기 위해 인가 표면을 포함하는 가교 부분을 통해 상호연결된다. 유리하게는, 인가 표면은 밀봉부의 판-결합 측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지향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밀봉부의 판-결합 측부를 향해 지향된 재밍 부재 상의 선형 힘 인가는 밀봉부의 판-결합 측부에 관한 횡단 방향으로 밀봉부의 적어도 두 개의 대향 측부 부분들 상에 가압력을 작용시키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밀봉부의 판-결합 측부를 따른 방수성의 추가적 개선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가교 부분은 밀봉부의 판-결합 측부 상에 직접적으로 가압력을 작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교 부분은 이 가압력의 전달을 위해 상기 인가 표면에 관하여 대향 측부 상에 충격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 충격 표면은 밀봉부의 판-결합 측부의 실질적 전체 길이에 걸쳐 힘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인 전체 힘이 밀봉부의 판-결합 측부의 방향으로 전달된다.
특히, 밀봉부의 판-결합 측부에 관해 횡단 방향으로 밀봉부에 대한 가압력의 유리한 전달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재밍 부재는 인가 표면에 힘이 인가될 때 밀봉부의 판-결합 측부를 향해 적어도 미소하게 변위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단부 폐쇄부는 캡핑 부재를 더 포함한다. 캡핑 부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밍 부재 상의 상기 인가 표면에 힘을 전달하기 위한 작동 표면을 구비한다. 더욱 양호하게는, 작동 표면은 상기 밀봉부의 판-결합 측부에 대면하는 방식으로 제공된다. 유리하게는, 작동 표면은 상기 캡핑 부재 상의 돌출부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캡핑 부재의 내부 공간 내측에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동 표면과 상기 인가 표면 사이에 프로파일의 공동을 향한 경사부가 제공된다. 이 경사부는 인가 표면 상의 힘 인가를 촉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작동 표면 및/또는 인가 표면 상에 경사부가 제공된다. 예로서, 캡핑 부재의 인가 표면은 프로파일의 공동을 향한 경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대응적으로, 재밍 부재의 인가 표면은 예를 들어, 프로파일의 길이 방향에 관하여 실질적으로 평면형이거나 경사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가장 양호하게, 경사부는 서로 상의 표면들의 매끄럽고 연속적인 안내를 가능하게 하도록 양 표면들 상에 제공된다. 이 방식으로, 경사부를 따른 재밍 부재의 인가 표면에 관한 캡핑 부재의 작동 표면의 전진에 의해 재밍 부재 상에 작동력이 유리하게 인가되고, 밀봉 루프의 판-결합 측부를 향한 힘 인가를 초래한다. 바람직하게는, 경사부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경사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캡핑 부재는 밀봉부 상에 작용되는 가압력이 캡핑 부재에 의해 상쇄되도록 밀봉부를 둘러싸는 외부 벽들을 구비한다. 이를 위해, 밀봉부는 그 외주의 형상에 따라 캡핑 부재 내측에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양호하게, 적어도 가압력이 작용되는 밀봉부의 부분들은 캡핑 부재의 외부 벽들과 긴밀하게 접촉한다.
바람직하게는, 방수 밀봉부는 밀봉 루프에 의해 구성된다. 더욱 양호하게, 밀봉부는 균질 밀봉 특성들을 달성하기 위해 프로파일의 단부 섹션 둘레에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밀봉부의 판-결합 측부에서의 방수에 관한 추가적 개선은 밀봉부가 적어도 그 판 결합 측부의 일부 상에서 프로파일의 공동 내로 연장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재밍 부재 또한 이 특정 영역에서 공동 내로 연장하여 공동 내로 연장하는 밀봉부의 부분에서도 가압력의 유리한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프로파일의 단부 섹션을 초과하여 연장하는 방수 부착된 덮개 판과 함께 프로파일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특히, 덮개 판에 관한 접경 영역에서 공동 내로 연장하지 않는 프로파일의 단부 섹션에 적용된 밀봉 및/또는 재밍 부재에 의해 우수한 방수가 달성될 수 있다.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서, 밀봉부 및 재밍 부재는 프로파일의 단부 부분에서 공동 내측에 전체적으로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프로파일의 내부 측부 벽들은 재밍 부재로부터 전달된 가압력을 상쇄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로파일의 공동 내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결합 돌출부가 재밍 부재 상에 제공된다. 이는 단부 폐쇄부의 설치 동안 밀봉부에 관한 재밍 부재의 정확한 위치설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재밍 부재의 측방향 돌출부들은 플러그결합 돌출부를 구비한다. 프로파일은 플러그결합 돌출부들의 삽입을 위한 별개의 격실 공간들을 포함할 수 있다. 격실 공간들의 크기는 플러그결합 돌출부들의 크기를 초과함으로써, 밀봉부의 판-결합 측부를 향한 재밍 부재의 변위가 단부 폐쇄부의 설치 동안 가능하게 실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리하게는, 재밍 부재의 가교 부분은 재밍 부재의 내부 고정을 추가로 촉진하기 위해 프로파일의 공동 내로 연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재밍 부재는 실질적으로 프레임형 구조를 갖는다. 밀봉부의 내주의 형태는 재밍 부재의 외주에 꼭맞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양호하게, 재밍 부재는 재밍 부재의 최적의 위치설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밀봉부의 전체 내주 둘레로 연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재밍 부재는 밀봉부의 두 개의 대향 측부 부분들에서의 가압력의 양호한 전달을 여전히 보증하기 위해 밀봉부의 내주의 단지 일부 위로 연장할 수 있다.
설명된 프로파일의 양호한 활용에 따라서, 프로파일은 전자 및/또는 광학 장비를 수납한다. 특히, 프로파일은 광 배리어 또는 유사 광전자 장치의 방수 보호를 위해 설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로파일에 의해 구성된 전자 인클로져는 적어도 65의 IP 값을 나타낸다.

Claims (15)

  1. 덮개 판(3)이 방수식으로 부착되는 개방 측부 부분을 구비한 중공 프로파일(2)을 포함하는 인클로져로서, 상기 프로파일(2)은 상기 프로파일(2)의 단부에 배치된 방수 밀봉부(41)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부 폐쇄부(4, 5)를 구비하는, 상기 인클로져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41) 내측에 재밍 부재(40)가 제공되고, 상기 재밍 부재(40)는 상기 덮개 판(3)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밀봉부(41)의 판-결합 측부(48)에 관하여 횡단방향(92, 93)으로 작용하는 가압력을 상기 밀봉부(41)의 적어도 두 개의 대향 측부 부분들(71 내지 76) 상에 작용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클로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밍 부재(40)는 상기 횡단방향(92, 93)으로 상기 가압력을 지향시키기 위해 상기 판-결합 측부(48)에 각각 대면하는 상기 밀봉부(41)의 상기 대향 측부 부분들(71 내지 76)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테이퍼형 부분(61 내지 6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클로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밍 부재(40)는 상기 밀봉부(41)의 상기 대향 측부 부분들(71 내지 76) 각각에 적어도 두 개의 상기 테이퍼형 부분들(61 내지 6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클로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밍 부재(40)는 상기 밀봉부(41)의 상기 판-결합 측부(48)를 향해 지향된 힘(91)이 인가되도록 구성된 인가 표면(70)을 포함하고, 상기 인가 표면(70)은 상기 판-결합 측부(48)로부터 이격 방향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클로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형 부분들(61, 62)은 상기 밀봉부(41)의 판-결합 측부(48) 상에 상기 힘(91)을 작용시키도록 구성되는 가교 부분(55)을 통해 상호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클로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 부분(55)은 상기 프로파일(2)의 상기 공동(20) 내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클로져.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밍 부재(40)는 작동력(90)이 상기 인가 표면(70) 상에 인가될 때 상기 밀봉부의 판-결합 측부(48)를 향해 변위되는 방식으로 상기 프로파일(2)의 단부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클로져.
  8.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폐쇄부(4)는 상기 재밍 부재(40) 상의 상기 인가 표면(70)에 힘을 전달하기 위해 작동 표면(80)을 구비한 캡핑 부재(4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 표면(80)은 상기 밀봉부(41)의 상기 판-결합 측부(48)에 대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클로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2)의 상기 공동(20)을 향한 경사가 상기 인가 표면(70)과 상기 작동 표면(80)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클로져.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캡핑 부재(42)는 상기 밀봉부(41) 상에 작용된 상기 가압력이 상기 캡핑 부재(42)에 의해 상쇄되도록 상기 밀봉부(41)를 둘러싸는 외부 벽들(82 내지 8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클로져.
  11. 제 2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밍 부재(40)는 상기 테이퍼형 부분들(61 내지 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부 돌출부(6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클로져.
  12. 제 2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밍 부재(40)는 상기 테이퍼형 부분들(61 내지 6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돌출부(65, 6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클로져.
  13.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2)의 상기 공동(20) 내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결합 돌출부(67, 68)가 상기 재밍 부재(40)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클로져.
  14. 제 12 항 및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결합 돌출부(67, 68)는 상기 측방향 돌출부(65, 66)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클로져.
  15. 전자 및/또는 광학 부품들, 특히, 광 배리어를 포함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인클로져(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클로져.


KR1020110073473A 2010-07-26 2011-07-25 판으로 덮여진 개방 프로파일을 갖는 방수 인클로져 KR201200109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170800.6 2010-07-26
EP10170800A EP2413165A1 (en) 2010-07-26 2010-07-26 Watertight enclosure with an open profile covered by a pl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969A true KR20120010969A (ko) 2012-02-06

Family

ID=43416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3473A KR20120010969A (ko) 2010-07-26 2011-07-25 판으로 덮여진 개방 프로파일을 갖는 방수 인클로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018443A1 (ko)
EP (1) EP2413165A1 (ko)
JP (1) JP2012028781A (ko)
KR (1) KR20120010969A (ko)
CN (1) CN102348355A (ko)
BR (1) BRPI1103491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0620A1 (ko) * 2014-11-20 2016-05-26 주식회사 경엔텍 고효율 정전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정전 필터 유니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5404B1 (ko) * 2013-12-04 2015-08-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의 충전기
KR102293357B1 (ko) * 2015-01-12 2021-08-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6475544B2 (ja) * 2015-03-31 2019-02-27 パナソニック デバイスSunx株式会社 多光軸光電センサ
JP2016207781A (ja) * 2015-04-20 2016-12-08 日本電気株式会社 筐体構造
FI127773B (en) * 2016-04-08 2019-02-15 Atexor Oy Sealing arrangement for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80271A (en) * 1936-06-20 1937-05-11 S R Dresser Mfg Co Reducer for threaded follower pipe joints or couplings
US4230325A (en) * 1978-10-10 1980-10-28 Butler Payson M Conjugate two-piece packing ring with limiter
US4442475A (en) * 1982-07-06 1984-04-1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Tapered seal for flow-through module
DE4312947C1 (de) * 1993-04-21 1994-06-30 Leuze Electronic Gmbh & Co Lichtvorhang für Lastenaufzüge
DE202004006886U1 (de) * 2004-04-29 2004-06-24 Fiessler Elektronik Ohg Lichtschrankenanordnung für explosionsgefährdete Umgebungen
ITTO20040461A1 (it) * 2004-07-07 2004-10-07 Deitech S R L Elemento di barriera a radiazione
DE102005046478B4 (de) * 2004-09-30 2019-03-14 Omron Corp. Photoelektrischer Mehrstrahl-Sensor
JP4628402B2 (ja) * 2007-06-29 2011-02-09 株式会社キーエンス 光電センサ及び光電センサ用発光装置
DE202008015291U1 (de) * 2008-11-18 2010-04-22 Pepperl + Fuchs Gmbh Gehäuse mit einem Grundkörp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80620A1 (ko) * 2014-11-20 2016-05-26 주식회사 경엔텍 고효율 정전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정전 필터 유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18443A1 (en) 2012-01-26
CN102348355A (zh) 2012-02-08
BRPI1103491A2 (pt) 2013-07-30
JP2012028781A (ja) 2012-02-09
EP2413165A1 (en) 201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10969A (ko) 판으로 덮여진 개방 프로파일을 갖는 방수 인클로져
KR101658158B1 (ko) 전기 커넥터에 사용되는 실 및 이것을 사용하는 방법
CN110474205B (zh) 防水连接器及设备壳体的防水结构
KR101826796B1 (ko) 이어폰 인라인 컨트롤 장치
US8657609B2 (en) Seal structure for electronic control device
US9954304B2 (en) Packing attachment structure and packing
CN107710893B (zh) 防水型电子控制装置
US9017088B2 (en) Electric connector
JP2011153513A (ja) 浴室床パンの防水接続構造
JP6110495B2 (ja) スリーブシール
KR20180007667A (ko) 다광축 광전 센서
JP5024201B2 (ja) 電子機器の防水構造
JP2010010542A (ja) 電子機器の壁掛け構造
JP2016066762A (ja) 電子制御装置
JP2007202367A (ja) 電気接続箱
KR20170075373A (ko) 가상엔진 사운드발생장치
JP2008182119A (ja) ホットメルト防水構造
CN204946918U (zh) 具有防水功能的光电传感器
JP5083012B2 (ja) 防水コネクタ
JP2005253174A (ja) グロメット
JP2011231908A (ja) 防水パッキン構造
JP6595307B2 (ja) 照明装置
JP6316027B2 (ja) パッキン取付機構、パッキン、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KR20170133885A (ko) 창틀용 방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창틀의 방수공사방법
JP2022148749A (ja) 電子制御装置の嵌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