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0767A - 도로 환경 개선구조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지주장치 - Google Patents

도로 환경 개선구조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지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0767A
KR20120010767A KR1020100072317A KR20100072317A KR20120010767A KR 20120010767 A KR20120010767 A KR 20120010767A KR 1020100072317 A KR1020100072317 A KR 1020100072317A KR 20100072317 A KR20100072317 A KR 20100072317A KR 20120010767 A KR20120010767 A KR 20120010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support
connecting plate
improvement structure
str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2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재
문창대
문현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전자
문창대
문현중
문성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전자, 문창대, 문현중, 문성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전자
Priority to KR1020100072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0767A/ko
Publication of KR20120010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07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01F9/685Subsoil means, e.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 E04H12/2253Mounting poles or posts to the holder
    • E04H12/2276Clamping poles or posts on a stu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보기 싫은 부분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고 보행자나 통행자가 도로 시설물을 용이하게 식별 가능하도록,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지중에 매설되는 지주기초부와, 지주기초부의 상부에 세워져 설치되고 하부 끝부분에는 지주기초부의 윗면에 연결 고정되는 연결판부가 설치되는 지주와, 지주의 연결판부 위쪽에 설치되는 발광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로 환경 개선구조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지주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로 환경 개선구조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지주장치 {Pillar Device for Street Furniture With Street Environment Improvement Structure}
본 발명은 도로 시설물용 지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기 싫은 부분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고 보행자나 통행자가 도로 시설물을 용이하게 식별 가능하고 야간에 조명불빛을 이용한 여러 가지 분위기연출도 가능하도록 구성한 도로 환경 개선구조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지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 도로표지판, 신호등, 교통안전표지판, 안내표지판 등과 같은 도로 교통 시설물은 지주(기둥)를 통하여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설치된다.
상기 도로 교통 시설물용 지주는 짧게는 1~2m정도이고, 길게는 10~20m정도로 설치되는 길이가 매우 다양하다.
종래 신호등용 지주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행자가 통행하는 인도 등에 세워져 설치되고 상부 끝부분에는 가로로 지지암부(2)가 형성되는 지주 본체(1)와, 상기 지주 본체(1)의 하부 끝부분에 일체로 형성되는 평판형상의 연결판부(4)와, 상기 연결판부(4)와 지주 본체(2)를 일체로 연결하는 복수의 보강편(6)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주 본체(1)의 지지암부(2) 끝부분에는 신호등(3) 등이 설치된다.
상기 연결판부(4)는 지중에 매설된 콘크리트 기초블록(7)에 앙카볼트(8)와 너트(9)를 이용하여 고정 지지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신호등용 지주는 보강편(6)과 앵커볼트(8), 너트(9)가 외부로 노출되고 튀어나오도록 설치되므로 도로경관이나 도시미관 등을 해치는 요인이 되고 보행자의 통행에 방해를 주거나 걸려 넘어지면서 상해를 입을 수 있으며 차량의 바퀴 등을 손상시킬 수도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리고 종래 신호등용 지주는 야간 등과 같이 주변이 어두운 경우 보행자나 운전자의 눈에 잘 띄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보행자나 차량이 지주 본체에 부딪혀 보행자가 상해를 입거나 차량에 손상을 입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주 본체의 상부를 감싸 덮으며 발광하는 덮개가 설치되는 것에 의하여 통행에 지장을 주는 부분이나 미관을 해치는 부분을 가릴 수 있고 야간에 지주 본체의 식별이 용이한 도로 환경 개선구조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지주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주 본체를 기초블록에 고정하기 위한 부품이나 보강을 위한 부분 등이 외부로 노출되거나 돌출되지 않으므로 보행자나 차량의 통행시 지장을 주는 일을 최소화하고 보행자가 상해를 입거나 차량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도로 경관이나 도시미관 등을 해치지 않고 시공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도로 환경 개선구조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지주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도로 환경 개선구조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지주장치는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지중에 매설되는 지주기초부와, 상기 지주기초부의 상부에 세워져 설치되고 하부 끝부분에는 지주기초부의 윗면에 연결 고정되는 연결판부가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연결판부 위쪽에 설치되는 발광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주기초부는 대략 "L(엘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수직부 끝부분에 수나사가 형성되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세워져 설치되는 복수의 앙카부재와, 상기 복수의 앙카부재를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시키며 일체로 연결 고정되는 복수의 연결대와,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며 한쪽이 상기 앙카부재의 수나사에 결합된 상태에서 용접 고정되고 다른 한쪽에는 상기 볼트가 결합되는 복수의 너트부재와, 상기 앙카부재와 연결대, 너트부재가 매설 고정되고 케이블인입홀이 형성되도록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이루어지는 기초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주는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고정나사가 결합되는 고정구멍이 하부 끝부분에 형성되는 지주 본체와, 상기 지주 본체의 하부 끝부분이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지주 본체가 세워져 지지되도록 형성하여 설치되고 상기 고정나사가 결합되는 고정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판부가 하부 끝부분에 일체로 형성하여 설치되는 지주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지주연결부재는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판부의 중앙에 일체형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조립부와, 상기 조립부의 상부 끝부분 둘레를 따라 링형상을 이루며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설치되는 링돌기부와, 상기 조립부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상하방향으로 길게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설치되고 상기 연결판부와 링돌기부를 연결하며 상기 고정나사가 결합되는 고정구멍이 형성되는 복수의 세로돌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의 너트부재에는 상기 지주연결부재의 연결판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조립구멍을 통하여 복수의 볼트가 각각 결합된다.
상기에서 연결판부에 형성되는 조립구멍에는 내면 둘레를 따라 계단형상으로 단턱이 형성되고, 볼트는 육각구멍붙이 볼트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머리부가 상기 조립구멍의 내부에 삽입되며 단턱의 상부에 안착 설치된다.
상기 발광덮개는 상기 지주 본체의 하부 끝부분에 조립되고 상기 지주연결부재의 연결판부 윗면을 감싸 덮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전력을 공급받아 발광을 행하는 복수의 엘이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지주의 외측면 하부에 설치되고 소정의 정보가 발광 표시되는 정보표시장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정보표시장치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지주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한쪽면에 형성되고 소정의 정보가 표시되는 정보표시부와, 상기 도광판에 설치되는 빛을 조사하는 복수의 엘이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정보표시부에는 시설물의 명칭 및 위치, 일련번호, 관리자 정보 등이 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환경 개선구조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지주장치에 의하면, 보행자나 통행자가 설치장소를 용이하게 식별 가능하도록 발광덮개가 설치되므로 볼트나 관통구멍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볼트나 관통구멍 주위로 빗물 등의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보행시 충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야간에 조명불빛을 이용한 여러가지 분위기연출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환경 개선구조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지주장치에 의하면, 도로 경관이나 도시미관 등의 도로 환경을 저해하거나 보행자나 차량의 통행을 방해할 수 있는 부품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으므로 도로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환경 개선구조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지주장치에 의하면, 시설물의 명칭이나 위치, 관리자 연락처가 표시되는 정보표시부가 설치되므로 시설물의 고장시 관리자에게 편리하게 시설물의 정보를 알릴 수 있고, 교통사고 등의 긴급상황시 시설물의 정보표시부에 기재된 정보를 통해 사고발생지점을 경찰이나 소방서 등에게 용이하게 알리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교통신호등용 지주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환경 개선구조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지주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환경 개선구조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지주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환경 개선구조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지주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환경 개선구조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지주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측면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환경 개선구조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지주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지주기초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환경 개선구조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지주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지주연결부재와 지주 본체를 나타내는 평면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환경 개선구조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지주장치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연결판부의 관통구멍에 볼트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환경 개선구조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지주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환경 개선구조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지주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환경 개선구조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지주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환경 개선구조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지주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2~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지중에 매설되는 지주기초부(10)와, 상기 지주기초부(10)의 상부에 세워져 설치되고 하부 끝부분에는 지주기초부(10)의 윗면에 연결 고정되는 연결판부(21)가 설치되는 지주(P)와, 상기 지주(P)의 연결판부(21) 위쪽에 설치되는 발광덮개(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주기초부(1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L(엘자)"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앙카부재(11)와, 상기 복수의 앙카부재(11)를 연결하며 일체로 고정되는 복수의 연결대(15)와, 상기 앙카부재(11)에 연결 고정되는 복수의 너트부재(16)와, 상기 앙카부재(11)와 연결대(14), 너트부재(16)가 매설 고정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이루어지는 기초블록(1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앙카부재(11)는 일정 간격을 두고 세워져 설치되고 수평부(12)가 바깥쪽을 향하는 상태로 사각형 등의 패턴으로 배치되며 수직부(13) 끝부분에는 수나사(14)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대(15)는 상기 앙카부재(11)의 상부 및 하부에서 각각 가로로 설치되고 이웃하는 앙카부재(11)를 연결하며 용접 등을 통하여 앙카부재(11)에 일체로 고정된다.
상기 너트부재(16)는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에 암나사(17)가 형성되며 한쪽(하부쪽)이 상기 앙카부재(11)의 수나사(14)에 결합된 상태에서 용접 고정되고 다른 한쪽에는 볼트(30)가 결합된다.
상기 앙카부재(11)와 너트부재(16)를 나사결합시킨 상태에서 용접고정되면, 앙카부재(11)와 너트부재(16)의 연결이 용이하고 연결강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기초블록(18)은 대략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서서히 작아지는 기둥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기초블록(18)은 측면형상이 사다리꼴형상을 갖는 기둥형상(사다리꼴기둥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기초블록(18)은 윗면이 지상에 노출되도록 지중에 매설되고 도로 시설물에 전력이 공급되게 하기 위한 케이블인입홀(19)이 형성된다.
상기 지주(P)는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고정나사(50)가 결합되는 고정구멍(51)이 하부 끝부분에 형성되는 지주 본체(40)와, 상기 지주 본체(40)의 하부 끝부분이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지주 본체(40)가 세워져 지지되도록 형성하여 설치되고 상기 고정나사(50)가 결합되는 고정구멍(52)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판부(21)가 하부 끝부분에 일체로 형성하여 설치되는 지주연결부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주 본체(40)는 하부 끝부분 또는 전체가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주 본체(4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주연결부재(20)가 내부에 삽입되는 하부지주관(41)과, 상기 하부지주관(41)의 상부 끝부분에서 굵기가 감소하며 일체형으로 연장 설치되는 상부지주관(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능하다.
상기 지주연결부재(20)는 도 2 및 도 6,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볼트(30)가 조립되는 조립구멍(22)이 형성되며 상기 기초블록(18)의 윗면에 설치되는 상기 연결판부(21)와,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판부(21)의 중앙에 일체형으로 세워져 설치되며 상기 지주 본체(40)의 하부 끝부분이 바깥쪽에 조립되는 조립부(24)와, 상기 조립부(24)의 상부 끝부분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링돌기부(26)와, 상기 연결판부(21)와 링돌기부(26) 사이에 설치되는 세로돌기부(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판부(21)에 형성되는 조립구멍(22)은 도 2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길쭉한 형상(예를 들면, 타원형상이나 트랙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면 상부 둘레에는 계단형상으로 단턱(23)이 형성된다.
상기 볼트(30)는 육각구멍붙이 볼트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머리부(31)가 상기 연결판부(21)의 윗면보다 높게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조립구멍(22)의 안쪽에 삽입되고 단턱(23)에 안착 설치되며 상기 지주기초부(10)의 너트부재(16)와 결합된다.
상기 링돌기부(26)는 상기 조립부(24)의 상부 끝부분 둘레를 따라 납작한 링형상을 이루며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설치된다.
상기 세로돌기부(28)는 대략 막대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립부(24)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설치된다.
상기에서 지주 본체(40)는 하부 끝부분 내면과 지주연결부재(20)의 조립부(24) 사이에 상기 링돌기부(26)와 세로돌기부(28)가 위치하도록 조립된다.
상기 발광덮개(60)는 도 2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주 본체(40)의 하부 끝부분에 조립되는 조립구멍(62)이 중앙에 형성되는 도광판(61)과, 상기 도광판(61)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전력을 공급받아 발광을 행하는 복수의 엘이디(64)와, 상기 도광판(61)과 연결판부(21) 사이에 밀착 설치되는 판형상의 패킹부재(6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도광판(61)은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며, 아크릴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엘이디(64)는 상기 조립구멍(62)의 주위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패킹부재(66)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판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연결판부(21) 및 도광판(61), 패킹부재(66)에는 각각 고정구멍(67)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구멍(67)에는 고정나사(68)를 결합 설치하여 연결판부(21)와 발광덮개(60)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환경 개선구조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지주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주 본체(40)의 외측면 하부에 설치되고 소정의 정보가 발광 표시되는 정보표시장치(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정보표시장치(70)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지주 본체(40)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도광판(71)과, 상기 도광판(71)의 한쪽면에 형성되고 소정의 정보가 표시되는 정보표시부(72)와, 상기 도광판(71)에 설치되는 빛을 조사하는 복수의 엘이디(7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정보표시부(72)에는 도로 시설물의 명칭 및 위치, 일련번호, 관리자 정보 등이 표시된다.
상기 도광판(71)은 고정나사(76)를 이용하여 지주 본체(40)에 고정된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환경 개선구조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지주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첨부한 도면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한다.
10 : 지주기초부 11 : 앙카부재
12 : 수평부 13 : 수직부
14 : 수나사 15 : 연결대
16 : 너트부재 17 : 암나사
18 : 기초블록 19 : 케이블인입홀
20 : 지주연결부재 21 : 연결판부
22 : 조립구멍 23 : 단턱
24 : 조립부 26 : 링돌기부
28 : 세로돌기부 30 : 볼트
P : 지주 40 : 지주 본체
41 : 하부지주관 42 : 상부지주관
44 : 내부지주관 50, 67, 76 : 고정나사
51, 52, 67 : 고정구멍 60 : 발광덮개
61, 71 : 도광판 64, 74 : 엘이디
66 : 패킹부재 70 : 정보표시장치
72 : 정보표시부

Claims (6)

  1.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지중에 매설되는 지주기초부와,
    상기 지주기초부의 상부에 세워져 설치되고 하부 끝부분에는 지주기초부의 윗면에 연결 고정되는 연결판부가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연결판부 위쪽에 설치되는 발광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덮개는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주의 하부 끝부분에 조립되며 상기 지주의 연결판부 윗면을 감싸 덮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전력을 공급받아 발광을 행하는 복수의 엘이디를 포함하는 도로 환경 개선구조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지주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광덮개는 상기 도광판과 연결판부 사이에 설치되는 판형상의 패킹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광판 및 연결판부, 패킹부재의 가장자리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의 고정구멍을 각각 더 형성하고,
    상기 고정구멍에는 복수의 고정나사가 각각 결합 설치되는 도로 환경 개선구조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지주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주기초부는 "L(엘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수직부 끝부분에 수나사가 형성되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세워져 설치되는 복수의 앙카부재와, 상기 복수의 앙카부재를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시키고 일체로 연결하며 고정되는 복수의 연결대와,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며 한쪽이 상기 앙카부재의 수나사에 결합된 상태에서 용접 고정되고 다른 한쪽에는 상기 볼트가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너트부재와, 상기 앙카부재와 연결대, 너트부재가 매설 고정되고 케이블인입홀이 형성되도록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이루어지는 기초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지주의 연결판부에 형성되는 관통구멍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너트부재와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볼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주의 연결판부에는 상기 볼트가 각각 조립되는 복수의 조립구멍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조립구멍에는 내면 상부 둘레에 계단형상으로 단턱을 더 형성하고,
    상기 볼트는 육각구멍붙이 볼트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머리부가 상기 조립구멍의 안쪽에 삽입되며 단턱에 안착되게 설치하는 도로 환경 개선구조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지주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고정나사가 각각 결합되도록 복수의 고정구멍이 하부 끝부분에 형성되는 지주 본체와, 상기 지주 본체의 하부 끝부분이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지주 본체가 세워져 지지되도록 형성하여 설치되고 상기 고정나사가 각각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판부가 하부 끝부분에 일체로 형성하여 설치되는 지주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주연결부재는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판부의 중앙에 일체형으로 세워져 설치되는 조립부와, 상기 조립부의 상부 끝부분 둘레를 따라 링형상을 이루며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설치되는 링돌기부와, 상기 조립부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상하방향으로 길게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하여 설치되고 상기 연결판부와 링돌기부를 연결하며 상기 고정나사가 결합되는 고정구멍이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세로돌기부를 포함하는 도로 환경 개선구조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지주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외측면 하부에 설치되고 소정의 정보가 발광 표시되는 정보표시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표시장치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지주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한쪽면에 형성되고 소정의 정보가 표시되는 정보표시부와, 상기 도광판에 설치되는 빛을 조사하는 복수의 엘이디를 포함하는 도로 환경 개선구조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지주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표시부에는 시설물의 명칭 및 위치, 일련번호, 관리자 정보를 표시하는 도로 환경 개선구조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지주장치.
KR1020100072317A 2010-07-27 2010-07-27 도로 환경 개선구조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지주장치 KR201200107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317A KR20120010767A (ko) 2010-07-27 2010-07-27 도로 환경 개선구조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지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317A KR20120010767A (ko) 2010-07-27 2010-07-27 도로 환경 개선구조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지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767A true KR20120010767A (ko) 2012-02-06

Family

ID=45835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2317A KR20120010767A (ko) 2010-07-27 2010-07-27 도로 환경 개선구조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지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076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179B1 (ko) * 2012-11-07 2013-04-23 (주)비에스 외부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는 가로등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5179B1 (ko) * 2012-11-07 2013-04-23 (주)비에스 외부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는 가로등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93875B (zh) 一种轻量化可升降型材信号灯杆组件
KR101706596B1 (ko) 착탈식 조명 교통 표지판
KR100885131B1 (ko) 기둥 정착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907078B1 (ko) 옥외 조명시설용 등주의 결합구조
KR100991886B1 (ko) 기둥 정착구조
KR100947852B1 (ko) 가로등 등주와 기초의 결합구조
KR101036237B1 (ko) 도로 환경 개선구조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지주장치
KR20070101740A (ko) 불빛이 발광 되는 휀스용 안전캡
KR100917022B1 (ko) 가로 기둥용 보호 장치
KR101007729B1 (ko) 다목적설치대
KR102397106B1 (ko) 도로표지병
JP3204514U (ja) 安全標識誘導灯
KR200443453Y1 (ko) 발광부를 갖는 볼라드
KR20120010767A (ko) 도로 환경 개선구조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지주장치
KR101148172B1 (ko) 등주매립형 기초구조물 및 그를 이용한 가로등 등주의 설치방법
KR101338390B1 (ko) 지주고정 장치
CN210049143U (zh) 一种轻量化可升降型材信号灯杆组件
KR20120001039U (ko) 가로등 지주용 보호커버
KR101354455B1 (ko) 철주의 매설식 지지구조
KR200456127Y1 (ko) 도로용 지주의 고정 구조
KR20110129002A (ko) 가로등의 지주 결합구조
KR20100042446A (ko) 기둥 정착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423441Y1 (ko) 가로등
KR101026560B1 (ko) 펜스 구조물
JP2003257212A (ja) 照明付き擬木支柱および擬木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