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0104A -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이용한 엘이디 조명기구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이용한 엘이디 조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0104A
KR20120010104A KR1020110035279A KR20110035279A KR20120010104A KR 20120010104 A KR20120010104 A KR 20120010104A KR 1020110035279 A KR1020110035279 A KR 1020110035279A KR 20110035279 A KR20110035279 A KR 20110035279A KR 20120010104 A KR20120010104 A KR 20120010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lug
circuit board
connector
recep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5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8734B1 (ko
Inventor
히데하루 타마이
Original Assignee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10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0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8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8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82Coupling device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 F21S4/2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 F21S4/28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rigid, e.g. LED 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6Rails or bus-ba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rete connecting locations for counterparts
    • H01R25/161Details
    • H01R25/162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or with rails or bus-ba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Abstract

회로기판과 접속대상물의 회로기판과 평행한 평면 내에서 상대이동을 허용하면서 저배화, 접촉 신뢰성의 향상, 컨택트의 보호 및 용이하고 확실한 끼워 맞춤 작업성을 실현할 수 있는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이용한 LED 조명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30)가 리셉터클 컨택트(15)의 대응하는 쌍을 이루는 협지편(20, 23)에 의하여 끼워 고정되는 한 쌍의 접촉부(37)를 가진 플러그 컨택트(35)와 회로기판(CB)과의 대향면이 개구하는 리셉터클 컨택트 및 플러그 컨택트를 수납하는 수납공간(46) 및 플러그 컨택트를 이동가능하게 하여 유지하는 유지부(48, 50, 52)를 가진 플러그 인슐레이터(45)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이용한 엘이디 조명기구{Connecter And LED Illumina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회로기판과 접속대상물을 회로기판과 평행한 평면 내에서 상대이동 가능하게 접속하는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이용하는 LED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직관형의 LED 조명기구는 일반적으로 직선적으로 뻗어있는 원통상의 글라스 나 수지(폴리카본네이트 등)에 의하여 구성한 투명관과 이 투명관의 내부에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고 또 투명관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도록 배치하여 설치하며, 한쪽 면(하면)측에 LED가 고정된 평판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회로기판과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끼리를 접속하는 복수의 커넥터를 구비하고 있다.
각 회로기판을 투명판에 대하여 부착할 때에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 끼리가 설계위치에서 상기 길이 방향에 어긋나거나 혹은 투명관의 폭 방향(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 어긋나 버리는 일이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커넥터는 이들의 위치 어긋남을 흡수하는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은 이와 같은 위치 어긋남의 흡수기능을 가진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이 커넥터는 각 회로기판의 한 쪽 면에 고정한 복수의 리셉터클 커넥터(기판용 커넥터)와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에 고정한 2개의 리셉터클끼리를 접속하는 복수의 플러그 커넥터(연결용 커넥터)를 가지고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는 한 쪽 측면(회로기판과 반대 측)에 개구부를 가진 리셉터클 인슐레이터(하우징)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의 내부에 상기 개구부와 대향하는 상태로 수납되고 회로기판의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각 리셉터클 컨택트는 서로 떨어져 있는 상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탄성편을 가지고 있다.
플러그 커넥터는 플러그 인슐레이터(하우징)와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내부에 지지된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연결단자)와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내면의 표면을 피복하는 절연판을 구비하고 있다. 플러그 인슐레이터는 한 쌍의 지지부와 한 쌍의 지지부를 접속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접합부를 구비하고 있다. 각 지지부에는 지지 부를 그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지지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각 플러그 컨택트는 직선적인 각주 형상의 연결부와 연결부의 양 단부에서 연결부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각부를 구비하고 있다. 각 플러그 컨택트는 한 쌍의 각부를 한 쪽의 지지부재의 지지구멍과 다른 쪽의 지지부재의 지지구멍으로 한 쪽에서 삽입하고 각 각부의 선단부를 대응하는 지지구멍에서 회로기판 측으로 돌출시켜 있다. 각 각부는 대응하는 지지구멍에 대하여 자신의 축선 둘레에 미소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가능 하고, 각부가 회전하면 연결부가 지지부재에 대하여 상대 회전한다. 절연판은 각부의 선단과 반대 측으로부터 각 지지부재에 피복되어 있고 각 각부가 대응하는 지지구멍에서 뽑혀 나오는 것을 규제하고 있다.
플러그 커넥터의 한 쌍의 지지부재를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에 고정한 각 리셉터클 커넥터에 각각 근접시켜서 각 플러그 컨택트의 각부를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의 상기 개구부에 삽입하면 각 각부가 대응하는 리셉터클 컨택트의 한 쌍의 탄성 편 사이로 진입하고 이 한 쌍의 탄성편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끼워져 고정된다. 그 결과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끼리가 플러그 컨택트와 리셉터클 컨택트를 개재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따라서 특허문헌 1의 커넥터를 상기와 같은 LED에 적용하면 각 회로기판에 전류가 흘러서 각 LED가 발광한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끼리가 설계위치에 대하여 LED 조명기구의 길이 방향으로 어긋난 경우는 각 플러그 컨택트의 적어도 한 쪽 각부가 대응하는 리셉터클 컨택트(한 쌍의 탄성편)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하고 또한 접합부가 탄성 변형하여서 한 쌍의 지지부재끼리의 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해당 위치 어긋남을 흡수한다.
한편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끼리가 설계위치에 대하여 투명관의 폭 방향으로 어긋난 경우에는 각 플러그 컨택트의 적어도 한 쪽의 각부가 대응하는 지지구멍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고(연결부가 지지부재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고) 또한 접합부가 탄성 변형하여 한 쌍의 지지부 끼리를 해당 폭 방향으로 상대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해당 위치 어긋남을 흡수한다.
LED와 커넥터는 회로기판의 한 쪽 면인 회로 형성면에 고정되기 때문에 커넥터의 두께가 두껍게 되면 확산하면서 발산하는 LED의 조명광의 일부가 커넥터에 의하여 차폐되어서 조사 범위가 좁아져 버린다. 그 때문에 커넥터는 그의 두께를 가능한 한 저배화 하는(얇게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플러그 컨택트는 연결부로부터 각부를 돌출시킨 구조이기 때문에 각부를 돌출시킨 만큼 고배화가 되어버린다.
또한 플러그 컨택트의 각부는 연결부에 비하여 기계적 강도가 약하지만 특허문헌 1에서는 각부를 리셉터클 컨택트(한 쌍의 탄성편)와 접촉시키고(끼워 맞추고)있기 때문에 각부와 리셉터클 컨택트가 위치 어긋난 상태에서 접촉한(끼워 맞춘) 경우에는 각부가 변형하거나 파손할 우려가 있다. 또한 특히 서로 인접하는 회로기판끼리가 횡 방향이나 회전방향으로 위치 어긋나면 각부가 회전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반복하는 위치 어긋남이나 진동이 가해지면 각부와 한 쌍의 탄성편이 미소하게 슬라이드하고 각부와 탄성 편에 실시될 때에 손상이 생기거나 접촉저항이 변동하기 쉽게 된다. 그 때문에 풀러그 컨택트와 리셉터클 컨택트의 접촉 신뢰성이 저하하기 쉽다.
또한 특허문헌 1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각 지지부재의 표면을 절연판으로 피복하고 있고, 한 쌍의 지지부재 사이의 틈새에서 플러그 컨택트(연결부)가 노출하여 버리기 때문에 끼워 맞춤 작업시에 플러그 컨택트가 변형하여 버리거나 플러그 컨택트에 작업자의 피지(皮脂)가 부착할 우려가 있다. 또한 분진 등의 이물이 부착하기 쉽고 부식이나 스파크의 원인으로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회로기판과 접속대상물의 회로기판과 평행한 평면 내에서의 상대이동을 허용하면서 저배화, 접촉신뢰성의 향상, 컨택트의 보호 및 용이하고 확실한 끼워 맞춤 작업성을 실현할 수 있는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이용한 LED조명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회로기판과 접속대상물을 이 회로기판과 평행한 평면 내에서 상대이동 가능하게 접속하고 서로 붙이고 떼기가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쌍을 이루는 협지편 및 이 협지편을 끼워서 서로 떨어져 있고 또 지지홈을 구비하는 한 쌍의 가이드 부를 가지며 또 상기 회로기판의 한 쪽 면에 고정되는 리셉터클 컨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자신의 연장방향이 상기 평면과 평행하고 또 상기 회로기판의 두께방향과 직교하는 자신의 판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직선상의 판상 부재이고 대응하는 쌍을 이루는 상기 협지편에 의하여 상기 이동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협지되며, 또 한 쌍의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지지홈에 끼워 맞추는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접속대상물과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플러그 컨택트와 상기 회로기판과의 대향면이 개구하는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와 플러그 컨택트를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가지는 상기 플러그 컨택트를 유지하는 플러그 인슐레이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접속대상물이 상기 회로기판과 동일평면상에 위치하고 또 한 쪽 면에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가 고정되며 이 회로기판과는 다른 접속대상물 회로기판이고 상기 플러그 컨택트가 상기 쌍을 이루는 상기 협지편과 상기 접속대상물 회로기판 측의 쌍을 이루는 협지편에 각각 끼워 고정되는 한 쌍의 상기 접촉부와 이 한 쌍의 접촉부를 통하고 상기 연장 방향에 평행한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피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가 상기 피 지지부를 이 플러그 컨택트의 연장방향과 두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유지하는 지지부를 가져도 좋다.
또한 접속대상물을 상기 플러그 컨택트와 접속하는 전선으로 하여도 좋다.
상기 지지홈의 내면에 걸림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플러그 컨택트에, 상기 지지홈에 끼워 맞출 때에 상기 걸림돌기가 걸어 맞추는 오목부 또는 관통구멍으로 되는 걸림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상기 가이드 부가 서로 상기 플러그 컨택트의 길이 방향에 대향하는 복수의 가이드편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편에 상기 지지홈을 상기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적어도 상기 하나의 상기 가이드편의 상기지지홈의 양 측 면에 상기 플러그 컨택트의 두께 방향으로 나란한 한 쌍의 상기 걸림 돌기를 형성하여도 좋다.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가 상기 회로기판에 고정되는 평판 상의 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기부의 길이방향의 단부에서 이 기부에 대하여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어있는 제 1 가이드편과 이 제 1 가이드편의 선단에서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접속대상물 회로기판의 적어도 한 쪽으로 뻗어있는 제 2 가이드 편으로부터 되고 이 제 2 가이드편의 자유 단부를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접속대상물 회로기판의 적어도 한 쪽에 납땜 부착하여도 좋다.
쌍을 이루는 상기 협지편의 한 쪽에 끼워 맞추는 돌출편을 형성하고 상기 플러그 컨택트에, 이 끼워 맞춤 돌출편이 상기 연장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는 접속 구멍을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쌍을 이루는 상기 협지편의 다른 쪽에 상기 플러그 컨택트에 접촉하는 끼움돌기를 형성하여도 좋다.
접속대상물을 접속대상 회로기판으로 하는 경우는 상기 접속부의 상기 수납공간에서의 상기 판 두께 방향의 이동가능 범위를 상기 피 지지부의 지지부에 대한 이 판 두께 방향의 이동 가능 범위보다 넓게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LED조명기구는 상기 회로기판에 LED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과 접속대상 회로기판 사이에 플러그 컨택트의 연장 방향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한 경우는 플러그 컨택트의 접촉부가 리셉터클 컨택트의 쌍을 이루는 협지편에 대하여 해당 연장 방향으로 상대 이동함으로써 그의 위치 어긋남을 흡수한다. 따라서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과 접속대상물 회로기판사이에 위치 어긋남이 생긴 경우에 있어서도 회로기판과 접속대상물을 확실히 도통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플러그 컨택트는 한 방향으로 뻗어있는 판상 부재이고 이 한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어있는 방향으로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저배 구조로 된다. 그 때문에 커넥터 전체를 저배화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플러그 컨택트는 대략 직교 형상의 판상부재이고 접촉부와 피 지지부가 직선상으로 늘어서 있기 때문에 플러그 컨택트(플러그 컨택트 본체에 돌출되게 설치된 돌출부에 비하여) 비틀림 등에 대한 기계적 강도가 강하고 굴곡 하는 부분이 없는 것으로부터 탄성 변형에 의한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래서 이 플러그 컨택트의 일부에 형성한 접촉부를 리셉터클 컨택트(쌍을 이루는 협지편)와 접촉시켜(끼워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접촉부와 리셉터클 컨택트가 위치 어긋난 상태에서 접촉(끼워 맞춤)한다 하더라도 플러그 컨택트(접촉부)가 변형한다거나 파손될 우려가 적다. 그 때문에 플러그 컨택트와 리셉터클 컨택트의 접촉신뢰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플러그 컨택트와 리셉터클 컨택트가 회로기판의 대향면이 열리는(플러그 인슐레이터의) 수납공간에 수납되기 때문에 플러그 컨택트와 리셉터클 컨택트는 그의 주위전체가 회로기판과 플러그 인슐레이터에 의하여 보호된다. 따라서 끼워 맞추는 작업시만 아니고 끼워 맞춘 후에 있어서도 플러그 컨택트와 리셉터클 컨택트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끼워 맞춘 후는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부분을 덮는 구조로 되기 때문에 절연성능을 매우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플러그 컨택트와 리셉터클 컨택트를 끼워 맞출 때에 플러그 컨택트의 접촉부가 한 쌍의 가이드부의 지지홈에 끼워 맞춤으로써 접촉부가 쌍을 이루는 협지편에 의하여 끼워 고정되는 위치로 이동안내되기 때문에 플러그 컨택트와 리셉터클 컨택트를 용이하고 또 확실하게 끼워 맞출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인 직관형의 LED 조명기구를 한 쪽 플러그 인슐레이터를 생략하여 나타낸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리셉터클 컨택트의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리셉터클 컨택트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리셉터클 컨택트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Ⅴ화살표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플러그 커넥터의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플러그 커넥터의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플러그 컨택트가 걸어 맞춤 갈고리를 탄성적으로 변형시키면서 한 쌍의 걸어 맞춤 갈고리 사이에 진입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플러그 커넥터의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플러그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접촉할 때의 중앙종단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ⅩⅡ-ⅩⅡ 화살표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ⅩⅢ-ⅩⅢ 화살표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ⅩⅣ-ⅩⅣ 화살표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ⅩⅤ-ⅩⅤ 화살표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6은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끼리가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어긋날 때의 플러그 인슐레이터를 생략하여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접속 상태인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8은 분리 상태에 있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ⅩⅥ-ⅩⅥ 화살표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0은 플러그 커넥터의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플러그 커넥터의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플러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ⅩⅩⅢ-ⅩⅩⅢ화살표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4는 리셉터클 컨택트의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접속 상태인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6은 분리 상태에 있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회로기판을 생략하고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5의 ⅩⅩⅦ-ⅩⅩⅦ 화살표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ⅩⅩⅧ-ⅩⅩⅧ 화살표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9는 도 27의 ⅩⅩⅨ-ⅩⅩⅨ 화살표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0은 전선과 일체화한 플러그 컨택트와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분리 상태의 평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 중 전후, 좌우 및 상하의 방향은 도면 중의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LED의 조명기구(100)는 전후방향으로 직선적으로 뻗어있는 원통상의 투명 관(101)과 전후방향으로 뻗어있는 일 평면상에 나란하도록 투명 관(101) 내에 배치하여 설치한 다수의 회로기판(CB)과, 각 회로기판(CB)의 하면에 형성한 회로 형성면에 형성한 고정된 LED 유닛(102)과,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CB)의 대향 가장자리끼리를 접속하는 다수의 커넥터(10)를 구비하고 있다. LED유닛(102)은 기판과, 이 기판과 일체화한 LED를 구비하여 있고 이 기판이 각 회로기판(CB)의 하면에 형성된 회로(도시 생략) 접속(남땜)되어 있다.
각 커넥터(10)는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CB)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리셉터클 컨택트(15)와 한 쌍의 리셉터클 컨택트(15)끼리를 접속하는 플러그 커넥터(30)를 구비하고 있다. 먼저 리셉터클 컨택트(15)의 상세한 구조에 대하여 도 2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리셉터클 컨택트(15)는 스프링 탄성을 구비한 동 합금(예를 들면 인청동, 베릴륨동, 티탄동)이나 코르손 계 동합금 박판을 프레스 성형한 후 도시된 형상으로 되도록 도금으로 하지를 형성한 후에 주석도금이나 금도금을 실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금 처리한 금속 모재를 프레스 성형하여 리셉터클 컨택트(15)를 구성하여도 좋다.
리셉터클 컨택트(15)는(기부(16)의 중심을 통하는 상하 방향의 축 둘레에) 회전 대칭 형상이고 대략 수평에서 평면으로 보아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는 평판 상의 기부(16)와 기부(16)의 전후의 양 가장 자리에서 하방으로 늘어지는 가이드 편(17)과 기부(16)의 전후 양 가장자리에서 하방으로 돌출하는 제 1 협지편(협지편)(20) 및 제 2 협지편(협지편)(23)을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편(17)의 하면에는 상 방향으로 향하여 뻗어있는 지지홈(18)이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고 지지홈(18)의 하단부의 좌우 양 측에는 하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양자의 간격이 넓어지는 안내면(19)으로 되어 있다.
기부(16)의 우측 가장자리의 후단부와 좌측 가장자리의 전단부에서 하방으로 뻗어있는 제 1 협지편은 정면형상(단면형상)이 대략 C자 형이고 그의 내측 면에는 대략 반구형 상을 이루는 끼워 맞춤 돌출편(21)이 일체적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각 제 1 협지편(20)은 좌우 방향으로 탄성 변형가능하다. 또한 기부(16)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서의 제 1 협지편(20)의 기단부에 인접하는 부분에는 각 제 1 협지편(20)을 탄성 변형시키는데 쉽게 하기 위한 잘린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기부(16)의 우측 가장자리의 전단부와 좌측 가장자리의 후단부에 설치한 제 2 협지편(23)의 정면형상(단면형상)도 대략 C자 형상이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협지편(20)과는 형상이 약간 다르다. 제 2 협지편(23)의 내측 면에는 전후방향으로 긴 직 육면체형상의 협지 돌기(24)가 끼워 맞춤 돌출편(21)과 같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일체적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있다. 이 협지 돌기(24)의 선단부의 표면은 플러그 컨택트(35)에 접촉할 때에 집중하중이 얻어지도록 곡률반경이 0.05내지 0.1정도의 곡면으로 되어있다. 각 협지편(23)도 좌우 방향으로 탄성 변형가능하고 기부(16)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서의 제 2 협지편(23)의 기부에 인접하는 부분에는 각 제 2 협지편(23)을 탄성 변형시키기 쉽게 하기 위한 잘린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컨택트(15)는 투광 판(101)의 외부에서 미리 회로기판(CB)에 실장 한다.
리셉터클 컨택트(15)를 회로기판(CB)의 회로 형성면에 실장하려면 회로기판(CB)의 회로 형성면을 위로 향하여 회로기판(CB)의 상방에 위치하는 흡인수단(도시 생략)에 의하여 기부(16)하면의 중앙부에 형성한 흡착면(25)을 흡착하고 이 흡착수단을 이동시킴으로써 리셉터클 컨택트(15)를 회로기판(CB)의 회로형성 면에 재치한 후 흡인수단을 리셉터클 컨택트(15)의 상방으로 퇴피시킨다. 그리고 표면실장기술(SMT : Surface Mounting Technology)을 이용하여 리셉터클 컨택트(15)를 회로 형성면의 회로에 납땜 부착(고정)한다.
이어서 플러그 커넥터의 상세한 구조에 대하여 주로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플러그 커넥터(30)는 플러그 컨택트(35)와 플러그 인슐레이터(45)를 구비하고 있다.
플러그 컨택트(35)는 스프링 탄성을 구비한 동합금(예를 들면 인청동, 베릴륨동, 티탄동)이나 코르손 계 동합금의 박판을 프레스 성형한 것이며 그의 표면에는 니켈 도금으로 하지를 형성한 후에 주석도금이나 금도금을 실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금 처리한 금속 모재를 프레스 성형하여 플러그 컨택트(35)를 구성하여도 좋다.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컨택트(35)는 전후방향으로 직선적으로 뻗어있는 전후 대칭의 판상 부재이고 판 두께방향으로 탄성 변형가능하다.
플러그 컨택트(35)의 전후 양단의 상부에는 걸림 오목부(36)가 오목하게 설치어 있다. 또한 플러그 컨택트(35)의 전부와 후부의 2 개소에는 접촉부(37)가 형성되어 있고 전후의 접촉부(37)에는 전후방향으로 뻗은 긴 구멍으로 되는 한 쌍의 접속구멍(38)이 각각 관통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컨택트(35)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는 전후의 접촉부(37)에 비하여 좁은 폭의 중앙 저배부(39)로 되어있고 중앙 저배부(39)의 중앙부는 한 쌍의 접촉부(37)를 관통하는 전후 방향의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피 지지부(40)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플러그 컨택트(35)의 외측 가장자리는 면취(面取) 되어 있고 접촉부의 면취 된 상부 가장자리는 리셉터클 컨택트(15)로의 안내 경사면으로서 기능한다.
플러그 인슐레이터(45)는 절연성의 합성수지재료를 사출 성형한 일체형성물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인슐레이터(45)의 내부는 중공이고 인슐레이터(45)의 상면 전체가 열려 있다. 그래서 플러그 인슐레이터(45)의 내부공간의 전후 2 개소에는 한 쌍의 수납공간(46)이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 인슐레이터(45)의 내부공간의 길이방향의 중앙부(전후의 수납공간(46)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좌우 한 쌍의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는 중앙돌출부(유지부)(48)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좌우의 중앙돌출부(48)의 대향면은 좌우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행면(편평면)이고 좌우의 해당 대향면끼리의 간격(좌우방향 거리)은 전후의 수납공간(46)의 폭(좌우방향 거리)보다 짧다. 또 플러그 컨택트(35)(피 지지부(40))의 판 두께(좌우 치수)보다 길다. 중앙돌출부(48)의 상면에는 하방으로 향하여 뻗어있는 슬릿(49)이 오목하게 설치되어있기 때문에 중앙돌출부(48)에서의 슬릿(49) 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좌우방향으로 탄성 변형가능하다. 또한 좌우의 중앙돌출부(48)의 상기 대향면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향하여 뻗어있는 걸어 맞춤 갈고리(유지부)(50)가 일체적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있다. 좌우의 걸어 맞춤 갈고리(50)의 자유상태에서의 대향면 간격(좌우방향 거리)은 피지지 부(40)의 판 두께보다 약간 짧다. 또한 좌우의 걸어 맞춤 갈고리(50)의 대향 가장자리의 상면은 상대방의 걸어 맞춤 갈고리(50)에 근접함에 따라서 하방으로 향하는 안내경사면(51)으로 되어있다.
인슐레이터(45)의 전벽 및 후벽의 내면에는 수납공간(46)의 저면(하면) 및 좌우의 측벽사이의 공간(간극)을 형성하는 걸어 맞춤 볼록부(유지부)(52)가 일체적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걸어 맞춤 볼록부(52)는 좌우 대칭 형상이고 그의 상부에는 좌우 한 쌍의 경사면이 형성되어있다. 걸어 맞춤 볼록부(52)와 수납공간(46)의 저면의 간격(상하방향 거리)은 플러그 컨택트(35)의 전후 양 단부(걸어 맞춤 오목부(36)가 형성된 부분)의 상하 치수보다 약간 길다. 또 걸어 맞춤 볼록부(52)와 좌우의 측벽의 간격(좌우방향 거리)은 플러그 컨택트(35)의 판 두께보다 길다.
또한 전후의 수납공간(46)에는 각각 한 쌍의 규제 돌출부(54)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쌍을 이루는(좌우방향에 대향하는) 2 개의 규제 돌출부(54)의 대향면 간격(좌우방향 거리)은 중앙 돌출부(48)의 대향면 간격과 대략 동일이다. 또한 쌍을 이루는 각 규제 돌출부(54)의 대향부의 상부를 제외한 부분은 반원주 형상이고 이 대향부의 상부는 사분 반구형상(반구를 반으로 나눈 형상)으로 되어있다.
플러그 컨택트(35)와 플러그 인슐레이터(45)를 일체화하여 플러그 커넥터를 조립하려면 먼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컨택트(35)를 플러그 인슐레이터(45)의 바로 위로 위치시킨다. 이어서 플러그 컨택트(35)의 한 쪽 단부가, 한 쪽의 걸어 맞춤 볼록부(52)와 플러그 인슐레이터(45)의 일단의 좌측 벽과의 간극의 바로 위에 위치시키고 또 플러그 컨택트(35)의 다른 쪽의 단부가 다른 쪽의 걸어 맞춤 볼록부(52)와 플러그 인슐레이터(45)의 타단의 우측 벽과의 간극의 바로 위에 위치시키도록 평면에서 보아서 플러그 컨택트(35)를 플러그 인슐레이터(45)의 중심선에 대하여 경사시킨다.
그리고 이 경사 상태를 유지한 대로 플러그 컨택트(35)의 양 단부를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각 간극으로 삽입한다. 그러면 플러그 컨택트(35)의 전후 2개소가 좌우의 어긋남의 규제 돌출부(54)의 상단부에 접촉하고 플러그 컨택트(35)의 해당 2 개소가 규제 돌출부(54)의 상단부에 의하여 플러그 인슐레이터(45)의 중심선 측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대향하는 규제 돌출부(54)의 사이로 진입한다(도 10의 가상선 참조). 또한 평면에서 보아서 전후방향으로 뻗어있는 직선과 대략 평행하게 되어 있는 피 지지부(40)가 좌우 어긋남의 안내경사면(51)에 접촉하면서(안내되면서) 대향하는 걸어 맞춤 갈고리(50) 사이의 간극으로 진입한다. 그러면 피 지지 부(40)가 좌우의 걸어 맞춤 갈고리(50)를 서로의 간극을 넓히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좌우의 중앙 돌출부(48)의 사이(걸어 맞춤 갈고리(50)의 하방)로 진입한다(도 8참조).
그리고 플러그 컨택트(35)의 전후 양 단이 대응하는 걸어 맞춤 볼록부(52)의 하면보다 낮은 위치까지 이동하고 또 피 지지부(40)가 걸어 맞춤 갈고리(50)의 하면보다 낮은 위치까지 이동하면 플러그 컨택트(35)는 자신의 탄성력에 의하여 자유상태(직선상태)로 복귀하기 때문에 플러그 컨택트(35)의 전후 양 단부는 걸어 맞춤 볼록부(52)와 수납공간(46)의 저면 사이에 위치된다(도 9, 도 10 참조).
이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30)를 조립하면, 한 쌍의 중앙 돌출부(48) 사이, 대향하는 규제 돌출부(54) 사이 및 플러그 인슐레이터(45)의 전후 양단부의 좌우 양 측벽과 플러그 컨택트(35)의 좌우 양 측벽 사이에 각각 간극이 형성되기 때문에 플러그 컨택트(35)에 이들의 간극 분 만큼 플러그 인슐레이터(45)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플러그 인슐레이터(45)의 내부 공간의 전후 길이는 플러그 컨택트(35)의 전후 길이 보다 길기 때문에 플러그 컨택트(35)는 수납공간(46)과 플러그 컨택트(35)의 전후 방향의 간극 분 만큼 플러그 인슐레이터(45)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상대 이동가능하게 된다. 또한 자유 상태에 있는 좌우의 걸어 맞춤 갈고리(50)사이의 간극이 플러그 컨택트(35)(피 지지부(40))의 판 두께보다 좁고 또한 플러그 컨택트(35)의 전후 양 단부가 대응하는 걸어 맞춤 볼록부(52)의 좌우 양측의 간극까지 이동하기 위해서는 플러그 컨택트(35)를 크게 탄성 변형 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그 때문에 의도적으로 플러그 컨택트(35)를 플러그 인슐레이터(45)로부터 뽑아내지 않는 한 플러그 컨택트(35)가 탈락할 우려가 없다. 결국 플러그 컨택트(35)는 플러그 인슐레이터(45)내에 무 부하로 응력인가 되는 일 없이 가동상태로 유지된다.
이어서 커넥터(10)(리셉터클 컨택트(15), 플러그 커넥터(30))를 이용하여 회로기판(CB)을 서로 접속시키는 요령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전후 방향으로 뻗어있으며 박판 상을 이루고 또 표면에 다수의 암 나사구멍이 형성된 고정판(도시 생략)의 표면에, LED 유닛(102) 및 리셉터클 컨택트(15)가 고정된 다수의 회로기판(CB)의 표면(LED유닛 및 리셉터클 컨택트(15)와 반대 측의 면)을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재치시킨다. 그리고 전단에 위치하는 회로기판(CB)에는 후단부에만 2개의 리셉터클 컨택트(15)가 고정되어 있고 후단에 위치하는 회로기판(CB)에는 전단부에만 2개의 리셉터클 컨택트(15)가 고정되어 있지만 기타의 회로기판(CB)은 전후 양 단부에 합계 4개의 리셉터클 컨택트(15)가 고정되어있다.
이어서 회로기판(CB)에 형성한 관통구멍(도시 생략)에 고정나사를 삽입하고 각 고정나사의 나사 홈을 상기 고정판의 대응하는 암 나사구멍에 나사 결합하여 각 회로기판(CB)을 고정판에 고정한다.
그 다음에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CB)의 서로 대향하는 단부에 각각 고정된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는 2개의 리셉터클 컨택트(15)의 바로 위에 플러그 커넥터(30)를 재치시키고 플러그 커넥터(30)를 하방(회로기판(CB)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렇게 하면 도 1 및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의 수납공간(46)이 전 측의 리셉터클 컨택트(15)로 덮어 씌워지고 후측의 수납공간(46)이 후측의 리셉터클 컨택트(15)로 덮어 씌워진다.
그렇게 하면 플러그 컨택트(35)의 전후의 접촉부(37)의 윗 가장자리(도 1, 도 6 내지 도 9에서는 아래 가장자리)가 리셉터클 컨택트(15)의 전후의 가이드 편(17)의 안내면(19)에 접촉하기 때문에 접촉부(37)(플러그 컨택트(35))가 안내면(19)에 의하여 지지홈(18) 측(리셉터클 컨택트(15)의 폭 방향의 중앙부측)에 이동 안내된다. 그래서 플러그 컨택트(35)의 전후의 접촉부(37)가 대응하는 리셉터클 컨택트(15)의 (좌우 방향에 인접하는) 제 1 협지편(20)(끼워 맞춤 돌출편(21))과 제 2 협지편(23)(협지 돌기(24))의 사이로 진입한다. 리셉터클 컨택트(15)가 자유상태일 때의 인접하는 끼워 맞춤 돌출편(21)과 협지돌기(24)의 정면에서 보아서 좌우 간격은 플러그 컨택트(35)의 판 두께보다 좁기 때문에 접촉부(37)는 제 1 협지편(20)과 제 2 협지편(23)을 서로 떨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눌러서 넓어지게 하면서(탄성 변형시키면서)제 1 협지편(20)(끼워 맞춤 돌출편(21))과 제 2 협지편(23)(협지돌기(24))사이로 진입한다. 그리고 플러그 컨택트(35)의 각 접속구멍(38)이 각 끼워 맞춤 돌출편(21)과 동일 높이에 도달할 때에 제 1 협지편(20)과 제 2 협지편(23)이 미소거리 만큼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성 복귀하여 각 끼워 맞춤 돌출편(21)이 대응하는 접속 구멍(38)에 끼워 맞추어지기 때문에 클릿감이 얻어진다. 또한 각 제 2 협지편(23)의 협지돌기(24)가 접속부(37)의 측면에 접속한다. 따라서 하나의 리셉터클 컨택트(15)는 하나의 접속부(37)에 대하여 4 개소에서 접속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바와 같이 이 때 각 규제돌출부(54)는 대응하는 리셉터클 컨택트(15)의 전측의 제 1 협지편(20) 및 제 2 협지편(23)과 후 측의 제 1 협지편(20 과 제 2 협지편(23)사이의 공간 (흡착 면(25)의 바로 위의 공간)에 위치하기 때문에 각 규제돌출부(54)와 리셉터클 컨택트(15)가 서로 간섭하는 일은 없다.
또한 상기와 같이 좌우의 끼워 맞춤 돌출편(21)과 협지돌기(24)에 의하여 플러그 컨택트(35)(접촉부(37))를 좌우 방향에서 끼워 고정하고 또 끼워 맞춤 돌출편(21)이 접속구멍(38)에 끼워 맞추어 고정되기 때문에 리셉터클 컨택트(15)에 의한 접촉부(37)의 끼워 맞춤 유지력은 크게 되어서 플러그 커넥터(30)를 의도적으로 상 방향으로 이동시키지 않는 한 리셉터클 컨택트(15)와 플러그 컨택트(35)의 접속 상태가 해제되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이 하여 플러그 커넥터(30)를 2개의 리셉터클 컨택트(15)에 걸치는 상태로 접속하면 접속부(37)(접속구멍(38))가 끼워 맞춤 돌출편(21) 및 협지돌기(24)를 개재하여 전후의 리셉터클 컨택트(15)와 접속하기 때문에 서로 인접하는 회로기판(CB)끼리가 2개의 리셉터클 컨택트(15)와 플러그 컨택트(35)를 개재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한 상태로 된다. 따라서 회로기판(CB) 및 커넥터(10)와 일체화된 상기 고정판을 투광 관(101)의 내부에 삽입하여 양단의 회로기판(CB)사이로 전류를 흘리면 각 회로기판(CB)에 설치된 LED(103)가 발광하여 투광 관(101)으로부터 하방으로 향하여 조사된다.
또한 상기 고정판의 각 암 나사구멍이나 회로기판(CB)의 관통구멍의 형성위치가 설계위치에서 좌우방향이나 전후 방향으로 어긋나 있는 경우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CB)끼리가 서로 좌우 방향이나 전후 방향으로 위치 어긋남이 발생한다. 그러하면 각 리셉터클 컨택트(15)에서 플러그 컨택트(35)(플러그 커넥터(30))에 좌우 방향 또는 전후 방향의 힘이 미친다.
그러나 좌우 방향의 위치 어긋남에 기인하여 리셉터클 컨택트(15)의 지지홈(18)에서 플러그 컨택트(35)로 좌우방향의 힘이 걸리는 경우는 피 지지부(40)가 좌우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면서 좌우의 중앙 돌출부(48) 사이로 경사하여 전후의 접촉부(37)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이 좌우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흡수한다. 접촉부(37)는 리셉터클 컨택트(15)의 2개의 지지홈(18)에 의하여 가이드 되기(지지홈(18)의 폭은 접촉부(37)의 두께보다 약간 넓기) 때문에 리셉터클 컨택트(15)와 플러그 컨택트(35)가 접속할 때에 경사지기 어려운 구조이다. 그 때문에 좌우 방향의 위치 어긋남이 생겨도 접촉부(37)와 끼워 맞춤 돌출부(21)나 협지돌기(24)와의 접촉의 영향은 적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커넥터(10)에 의하여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CB)끼리를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도통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대향하는 중앙 돌출부(48)의 간격에 비하여 대향하는 규제돌출부(54)의 간격이 넓기 때문에 플러그 컨택트(35)는 피 지지부(40)보다 접촉부(37) 측의 쪽이 좌우 방향으로 크게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서로 인접하는 회로기판(CB)끼리가 좌우 방향으로 크게 위치 어긋나게 되어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컨택트(35)는 완전 고정되어 있는 개소가 아니기 때문에 위치 어긋남에 수반하여 생긴 응력을 효율 좋게 분산 시킬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컨택트(15)와 플러그 커넥터(30)에 의하여 흡수 가능한 위치 어긋난 양은 플러그 커넥터(30)의 내부공간과 리셉터클 컨택트(15)와의 클리어런스 량을 변경함으로써 조정가능하다.
또한 전후 방향의 위치 어긋남에 기인하여 리셉터클 컨택트(15)의 끼워 맞춤 돌출편(21)이나 협지돌기(24)에서 플러그 컨택트(35)로 전후 방향의 힘이 걸린 경우에는 각 접속구멍(38)이 대응하는 끼워 맞춤 돌출편(21)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함으로써 해당 위치 어긋남을 흡수하기 때문에 이 경우도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CB)끼리를 확실하게 도통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플러그 컨택트(35)는 일 방향으로 뻗어있는 판상부재이고 종래 기술과 같은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있는 경우에 비하여) 저배화가 가능하다. 이것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30)의 저배화, 더 나아가서는 커넥터(10)전체의 저배화를 실현할 수 있다. 그 때문에 LED(103)로부터 확산하면서 발사되는 조명광의 조사 범위를 넓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플러그 컨택트(35)는 접촉부(37)와 피 지지부(40)가 직선상으로 나란한 구조이기 때문에, (플러그 컨택트 본체에 돌출되게 설치한 돌출부에 비하여) 비틀림에 대한 기계적 강도가 강하고 굴곡하는 부위가 없는 것이어서 탄성 변형에 의한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플러그 컨택트(35)의 일부를 구성하는 접촉부(37)(접속구멍(38))를 리셉터클 컨택트(15)(제 1 협지편(20)과 제 2 협지편(23))와 접촉(끼워 맞춤)시키기 때문에 접촉부(37)와 리셉터클 컨택트(15)가 위치 어긋난 상태에서 접촉(끼워 맞춤)한다 하여도 플러그 컨택트(35)(접촉부(37))가 변형하거나 손상할 우려가 적다. 그 때문에 플러그 컨택트(35)와 리셉터클 컨택트(15)의 접촉신뢰성이 높다. 또한 리셉터클 컨택트(15) 및 플러그 컨택트(35)가 플러그 인슐레이터(45)의 내부공간에 완전히 수납되어서 리셉터클 컨택트(15) 및 플러그 컨택트(35)의 주위 전체가 회로기판(CB)과 플러그 인슐레이터(45)에 의하여 보호된다. 그 때문에 리셉터클 컨택트(15)와 플러그 컨택트(35)의 끼워 맞춤 작업시뿐만 아니라 끼워 맞춤 후에도 플러그 컨택트(35)와 리셉터클 컨택트(15)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인슐레이터(45)의 저부에는 플러그 인슐레이터(45)의 성형시에 형성되는 금형을 뽑아내기 위한 3개의 구멍이 존재하지만(도 6 참조) 이들의 구멍은 작고 또 LED 조명기구(100)를 조립할 때에는 플러그 인슐레이터(45)의 하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들의 구멍에서 피지나 이물이 플러그 인슐레이터(45)의 내부로 침입하여 플러그 컨택트(35)나 리셉터클 컨택트(15)에 부착할 우려가 적어서 접촉 불량이나 스파크 등의 발생을 억지할 수 있다. 또한 끼워 맞춤 후는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부분(플러그 컨택트(35), 리셉터클 컨택트(15), 회로기판(CB)의 실장부)을 덮는 구조이기 때문에 절연성능을 매우 높일 수가 있다.
이어서 도 17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재에 대하여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며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리셉터클 컨택트(60)의 기보구조는 리셉터클 컨택트(15)와 같지(기부(16)의 중심을 통하는 상하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대칭형상이지)만 전후 양 단부에 형성한 가이드부(61)의 구조가 리셉터클 컨택트(15)와는 다르다. 전후의 가이드부(61)는 모두 기부(16)의 전후 양 가장자리에서 늘어져 있는 제 1 가이드편(62)과 제 2 가이드편(62)의 하단부를 절곡함으로써 형성되고 상방으로 향하여 뻗어있는 제 2 가이드편(64)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가이드편(62)과 제 2 가이드편(64)에는 모두 상 방향으로 향하여 뻗어있고 또 전후 방향으로 나란한 지지홈(18)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고 제 1 가이드편(62) 측의 지지홈(18)의 하단 부 근방의 좌우 양 측면에는 걸림 돌기(65)가 각각 안 쪽으로 향하여 돌출되게 설치되어있고 걸림 돌기(65)끼리의 좌우 간격이 걸림 돌기(65)끼리의 좌우간격보다 약간 넓게 되어 있다. 또한 제 2 가이드편(64)의 상단부에는 기부(16)와 같은 평면상에 위치하는 테일편(66)이 돌출되게 설치되어있다.
리셉터클 컨택트(60)는 리셉터클 컨택트(15)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흡수 수단 및 표면 실장기술을 이용함으로써 회로기판(CB)의 회로형성면의 회로에 납땜(고정) 된다.
본 실시형태의 플러그 커넥터(68)는 플러그 컨택트(70)와 플러그 인슐레이터(73)와 절연 커버(76)를 구비하고 있다.
플러그 컨택트(70)의 기본 구조는 플러그 컨택트(35)와 동일하며 걸어 맞춤 오목부(36), 접촉부(37), 접속구멍(38), 중앙 저배부(39) 및 피 지지부(40)를 구비하고 있다(걸어 맞춤 오목부(36), 접속부(37), 중앙 저배부(39) 및 피지지부(40)의 구체적인 형상은 플러그 컨택트(35)와 약간 다르지만 기능은 동일하다). 단, 플러그 컨택트(70)의 양 측면의 4개소에는 측면에서 보아서 가로 방향으로 길이가 긴 직사각형의 걸림부(71)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고 각 걸림부(71)의 아래 가장자리에는 플러그 컨택트(70)의 아래 가장자리에까지 도달 되어있다(걸림부(71)의 아래 가장자리는 하방으로 향하여 개방되어있다). 도시는 생략되어있지만 걸림 부71)의 테두리는 C면(횡단면 형상이 C자형)으로 되어있다. 또한 플러그 컨택트(70)의 바깥둘레는 플러그 컨택트(35)와 마찬가지로 면취되어 있다.
플러그 인슐레이터(73)의 기본구조는 플러그 인슐레이터(35)와 같으며 수납공간(46), 중앙 돌출부(48), 슬릿(49), 걸어 맞춤 갈고리(50)(안내 경사면(51) 및 규제 돌출부(54)를 구비하고 있다(수납공간(46), 중앙 돌출부(48), 슬릿(49), 걸어 맞춤 갈고리(50), 안내 경사면(51) 및 규제 돌출부(54)의 구제적인 형상은 플러그 인슐레이터(45)와 약간 다르지만 기능은 동일하다). 플러그 인슐레이터(73)의 전벽 및 후벽의 내면에는 수납공간(46)의 저면(하면) 및 좌우 측벽과의 사이에 공간(간극)을 형성하는 걸어 맞춤 볼록부(74)가 일체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고 걸어 맞춤 볼록부(74)와 수납공간(46)의 저면의 간격(상하 방향거리)은 플러그 컨택트(70)의 전후 양 단부(걸어 맞춤 오목부(36)가 형성된 부분)의 상하 치수보다 약간 길고 또 걸어 맞춤 볼록부(74)와 좌우 측벽의 간격(좌우 방향거리)은 플러그 컨택트(70)의 판 두께보다 길게 되어있다. 단 걸어 맞춤 볼록부(74)의 형상은 플러그 인슐레이터(45)의 걸어 맞춤 오목부(52)와 다르다. 즉 전후의 걸어 맞춤 볼록부(74)는 좌우 비대칭이며, 일 측의 걸어 맞춤 볼록부(74)의 상부에는 좌측으로 경사면이 형성되어있고 다른 쪽의 걸어 맞춤 볼록부(74)의 상부에는 우측으로 경사면이 형성되어있다.
절연커버(76)는 절연성의 수지재료에 의하여 구성된 일체 성형물이고 대략 평편한 기판부(77)와 기판부(77)의 하부에서 늘어져 있는 좌우 한 쌍의 부착편(78)을 구비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의 플러그 커넥터(68)는 플러그 커넥터(35)와 같은 요령으로 플러그 컨택트(70)와 플러그 인슐레이터(73)를 일체화한 후에 한 쌍의 부착 편(78)을 플러그 인슐레이터(73)의 각 슬릿(49)에 각각 끼워 맞추어서 고정하여 절연커버(76)를 플러그 인슐레이터(73)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부착함으로써 조립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68)를 완성시키면 기판부(77)의 하면의 좌우 양 측 가장자리는 좌우의 중앙 돌출부(48)의 상면에 접촉하고 또 기판부(77)의 좌우 측면이 플러그 인슐레이터(73)의 좌우 양 측벽의 내면에 각각 접촉하거나 혹은 미소한 클리어런스를 가지고 대향한다. 따라서 플러그 컨택트(70)의 중앙 저배부(39)(피 지지부(40))가 상방으로 노출하는 일은 없다. 또한 부착된 절연커버(76)는 플러그 인슐레이터(73) 내에 수납되기 때문에 플러그 인슐레이터(73)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플러그 커넥터(68)는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CB)의 대향하는 단부에 각각 고정된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는 2개의 리셉터클 컨택트(60)에 대하여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 요령에 의하여 접속될 수 있다. 그렇게 접속되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컨택트(60)의 좌우 한 쌍의 걸림 돌기(63) 및 걸림 돌기(65)가 대응하는 걸림부(71)에 대하여 각각 걸어 맞추기(맞닿기) 때문에 걸어 맞출 때에 클릭감이 얻어진다. 그 때문에 불완전한 끼워 맞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컨택트(60)와 플러그 컨택트(70)를 약간 위치 어긋난 상태로 끼워 맞추면 가이드부(61)에 대하여 큰 부하가 걸리지만 테일편(66)을 회로기판(CB)에 대하여 납땜부착하고 또 가이드 부(61)를 2매의 제 1 가이드편(62)과 제 2 가이드편(64)으로 구성함으로써 가이드부(61)의 강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이 강인한 끼워 맞춤을 행하여도 가이드 부(61)가 변형할 우려가 적다. 또한 리셉터클 컨택트(60)와 플러그 컨택트(70)를 빠른 상대 이동 속도로 끼워 맞춘 결과 양자 사이에 충격력을 발생한 경우도 가이드부(61)가 변형할 우려가 적다.
또한 가이드 부(61)를 제 1 가이드편(62)과 제 2 가이드편(64)의 2매 구조로 하고 또 걸림 돌기(63) 및 걸림 돌기(65)와 걸림부(71)가 걸어 맞추어 있기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의 리셉터클 컨택트(15)와 플러그 컨택트(35)에 비하여 리셉터클 컨택트(60)와 플러그 컨택트(70)의 끼워 맞춤 유지력이 크게 된다. 따라서 도시된 실시형태와 같이 플러그 컨택트(70)를 리셉터클 컨택트(60)에 대하여 하방에서 매달린 상태로 접속하여도 자중이나 진동 등에 의하여 플러그 컨택트(70)가 리셉터클 컨택트(60)로부터 하방으로 탈락하는 일은 없고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CB)끼리가 확실하게 도통된다.
또한 리셉터클 컨택트(60)의 걸림 돌기(65)끼리의 좌우 간격이 걸림돌기(63)끼리의 좌우 간격보다 약간 넓게 되어있기 때문에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CB)끼리가 좌우 방향으로 크게 위치 어긋남 등에 기인하여 플러그 컨택트(70)가 플러그 인슐레이터(73) 내에서 회전(평면에서 보아서 경사)한 경우에 있어서도 외측에 위치하는 제 2 가이드편(64)만으로 부하가 걸리는 일이 없기 때문에 플러그 컨택트(70)의 각 접촉부(37)(접속 구멍(38))와 지지홈(18)(걸림 돌기(63), 걸림 돌기(65))과의 사이에 무리한 힘이 걸리기 어렵다.
또한 가이드 부(61)의 하단부(제 1 가이드편(62)과 제 2 가이드편(64)의 접속부분)는 곡면형상(단면이 대략 U자 형상)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플러그 컨택트(70)를 가이드부(61)의 하단부에 접촉시키면서 지지홈(18)에 끼워 맞추기 때문에 가이드부(61)의 변형이나 넘어짐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가이드편(62) 및 제 2 가이드편(64)의 대향면의 상단부를 회로기판(CB)의 회로 형성면에 납땜부착하면 납땜 필릿(도 24의 검은 칠 부분을 참조)이 형성되기 때문에 리셉터클 컨택트(60)의 회로기판(CB)에 대하여 실장강도가 강하고 굳세게 된다.
또한 각 걸림부(71)의 전후 치수가 걸림 돌기(63) 및 걸림 돌기(65)보다 크기 때문에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CB)끼리의 전후 방향으로의 위치 어긋남에 기인하여 리셉터클 컨택트(60)나 플러그 컨택트(70)에 전후 방향의 힘이 걸린 경우에도 걸림 돌기(63) 및 걸림 돌기(65)는 대응하는 걸림부(71)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함으로써 걸어 맞춤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68)가 절연커버(76)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플러그 컨택트(70)의 중앙 저배부(39)(피 지지부(40))와 회로기판(CB)과의 사이를 확실하게 절연할 수 있다. 이때 절연커버(76)가 플러그 인슐레이터(73) 내에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절연커버(76)가 회로기판(CB)과 간섭하는 일이 없으므로 커넥터(55)를 저배 화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25 내지 도 30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종전의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재에 대하여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컨택트(80)는 전후 방향으로 나란한 다수의 회로기판(CB) 중의 전후 양단에 위치하는 회로기판(CBT)(도 25에서 후단의 회로기판(CBT)만 도시)과 회로기판(CBT)에 대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접속 대상물)(99)을 접속하는 것이다.
회로기판(CBT)의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CB)(도 25에서 도시 생략)과 반대 측의 단부의 하면(회로 형성면)에는 좌우 한 쌍의 리셉터클 컨택트(60)가 제 2 실시형태와 동일 요령으로 실장하여 있다(도 25에서는 한 쪽의 리셉터클 컨택트(60)만 도시).
플러그 컨택트(83)는 단부에 형성한 걸어 맞춤 오목부(36)와 한 쌍의 접속구멍(38)을 형성하는 하나의 접촉부(37)와 접촉부(37)의 걸어 맞춤 오목부(36)와 반대 측의 단부에 돌출되게 설치한 전선 접속편(84)과 접촉부(37)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한 빠짐 방지편(85)과 전후 한 쌍의 긴 구멍으로 이루어지고 또 전체 둘레의 양 측 가장자리가 C면으로 되어있는 걸림부(86)를 구비하고 있다(걸어 맞춤 오목부(36), 접촉부(37) 및 접속구멍(38)의 구체적인 형상은 플러그 인슐레이터(45)와 약간 다르지만 그의 기능은 동일하다).
플러그 컨택트(83)의 전선 접속편(84)은 가요성을 가진 피복 튜브(98)에 의하여 외면을 피복한 전선(99)의 단부에 접속(압착)되어 있다.
플러그 인슐레이터(88)는 플러그 인슐레이터(45) 및 플러그 인슐레이터(73)와 동일 수지재료에 의한 일체 성형물이다. 플러그 인슐레이터(88)의 길이 방향의 단면에는 다른 측의 단부 측으로 향하여 뻗어있는 피복튜브(98)(및 전선(99))가 빼고 끼우기가 가능한 치수의 단부 개구(89)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고, 플러그 인슐레이터(88)의 상면에는 수납공간(90)이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 인슐레이터(88)의 내부에는 단부 개구(89)의 선단부와 수납공간(90)을 칸막이하는 칸막이 벽(91)이 설치되어 있고 칸막이 벽(91)에는 피복튜브(98)(및 전선(99))가 끼우고 빼기가 불가능하고 또 접촉부(37)가 끼우고 빼기가 가능한 치수(접촉부(37)와 대략 동일 폭)의 연통 구멍(9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납공간(90)의 개구 단부(89)와 반대 측의 단면에는 접촉 부(37)(걸어 맞춤 오목부(36))의 판 두께와 대략 동일 폭(좌우 폭)이고 또 걸어 맞춤 오목부(36)가 끼워 맞출 수 있는 선단 오목부(94)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고 수납공간(90)의 저면 및 선단 오목부(94) 측면에는 접촉부(37)의 판 두께와 대략 동일 폭(좌우 폭)이고 또 접촉부(37)의 하반부가 끼워 맞출 수 있는 내면 홈(95)이 설치되어 있다. 도 2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면 홈(95)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의 측면에는 중간 오목부(96)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고 중앙 오목부(96)에 인접하는 부분(단부개구(89) 측의 부분)은 빠짐 방지 돌출부(97)로 되어있다.
전선(99)(및 피복튜브(98))과 일체화 한 플러그 컨택트(83)는 개구 단부(89) 및 연통 구멍(92)을 통하여 수납공간(90) 내로 삽입되고 걸어 맞춤 오목부(36)와 접촉부(37)의 하반부를 선단 오목부(94)와 내면 홈(95)에 각각 끼워 맞춤으로써 플러그 인슐레이터(88)와 일체화한다. 그러면 중간 오목부(96) 내에 위치하는 빠짐 방지편(85)과 빠짐 돌출부(97)에 의하여 플러그 컨택트(83)의 단부 개구(89)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지만 플러그 컨택트(83)는 플러그 인슐레이터(88)에 의하여 완전히 고정되는 까닭은 없기 때문에 플러그 컨택트(83)는 응력을 효율 좋게 분산시킬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82)는 회로기판(CBT)에 실장한 리셉터클 컨택트(60)에 대하여 종전의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 요령 즉 수납공간(90) 내로 리셉터클 컨택트(60)가 삽입하도록 플러그 인슐레이터(88)를 하방에서 리셉터클 컨택트(60)에 대하여 씌워지게 함으로써 접속한다. 그러면 각 끼워 맞춤 돌출편(21)이 대응하는 접속구멍(38)에 끼워 맞추어지고 또 협지 돌기(24)가 접촉 부(37) 측면에 접촉하고 각 리셉터클 컨택트(60)의 좌우 한 쌍의 걸림 돌기(63) 및 걸림 돌기(65)가 대응하는 걸림부(86)에 대하여 끼워 맞춤(맞닿음)한다. 또한 수납공간(90)의 내면에 형성한 좌우 한 쌍의 걸어 맞춤 돌기(90a)가 제 1 가이드편(62)과 제 2 가이드편(64)의 좌우 양 측 부의 상부에 형성된 오목부에 상부에서 끼워 맞춘다(도 2참조). 따라서 종전의 회로기판(CBT)과 종전의 전선(99)이 커넥터(80)를 개재하여 서로 도통 가능한 상태로 되기 때문에 도시를 생략한 전선의 전력을 전선(99)으로 흘리면 각 회로기판(CB, CBT)에 설치한 LED(103)가 발광한다.
또한 각 걸림부(86)의 전후 치수가 걸림 돌기(63) 및 걸림 돌기(65)보다 크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전선(99)(피복 튜브(98))가 비틀어짐으로써 플러그 컨택트(83)(걸림부(86))가 걸림 돌기(63) 및 걸림 돌기(65)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함으로서 끼워 맞춤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각 리셉터클 컨택트(60)의 좌우 한 쌍의 걸림 돌기(63) 및 걸림 돌기(65)가 대응하는 걸림부(86)에 대하여 각각 걸어 맞춤(맞닿음)하고 있기 때문에 전선(99)(피복 튜브(98))이 비틀어짐으로써 플러그 컨택트(83)(플러그 커넥터(82))에 아래 방향의 힘(리셉터클 컨택트(60)에서 탈출하는 방향의 힘)이 걸려도 플러그 컨택트(83)가 대응하는 리셉터클 컨택트(60)로부터 탈락하는 일은 없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82)를 리셉터클 컨택트(60)에 걸어 맞출 때 좌우 한 쌍의 걸림 돌기(63) 및 걸림 돌기(65)가 대응하는 걸림부(86)에 대하여 각각 걸어 맞추어서 클릭감이 얻어지기 때문에 불안전한 걸어 맞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컨택트(83)의 상하치수가 플러그 컨택트(70)에 비하여 크고 플러그 컨택트(83) 전체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걸림부(86)를 관통 구멍으로 형성하지만, 오목부로 형성하여도 문제가 없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 형태에 근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 변형을 실시하면서 실시 가능하다.
예를 들면 플러그 컨택트(35, 70)의 피 지지부(40)를 플러그 인슐레이터(45,73)(중앙 돌출부(48))에 대하여 상대이동 가능하게 하지 않고 중앙 돌출 부(48)에 대하여 고정하여도 좋다.
또한 플러그 컨택트(35, 70)의 양 단부에 플러그 컨택트(35, 70)의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나사 부(탄성 변형부)를 형성하고 리셉터클 컨택트(15,60)의 상기 나사 부를 끼워 고정하는 제 1 협지편(20)과 제 2 협지편(23)을 탄성을 가지지 않는 판부로 하여도 좋다.
또한 걸어 맞춤 갈고리(50)를 생략하는 등으로 하여 플러그 인슐레이터(45, 73)를 한 쌍의 걸어 맞춤 오목부(52, 74)만에 의해 플러그 컨택트(35, 70)를 지지하는 구조로 하여도 좋다.
또한 리셉터클 컨택트(15, 60)에는 제 1 협지편(20)과 제 2 협지편(23)을 전후 2 쌍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제 1 협지편(20)과 제 2 협지편(23)은 한 쌍이거나 세 쌍 이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리셉터클 컨택트(15, 60)의 각 가이드 부를 3매 이상의 가이드 편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플러그 인슐레이터(45, 73, 88)의 재료의 반사율을 최적화하거나 플러그 인슐레이터(45, 73, 88)의 표면에 광 흡수방지의 코팅을 실시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커넥터에 의한 광의 흡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10, 55, 80)를 LED 조명기구(100)에 적용하였지만 LED 조명기구와는 다른 전자기기나 전기기기에 적용가능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10 : 커넥터 15 : 리셉터클 컨택트(리셉터클 커넥터)
16 : 기부 17 : 가이드편(가이드부)
18 : 지지홈 19 : 안내면
20 : 제 1 협지편(협지편) 21 : 끼워 맞춤 돌출편
23 : 제 2 협지편(협지편) 24 : 협지 돌기
25 : 흡착면 30 : 플러그 커넥터
35 : 플러그 컨택트 36 : 끼워 맞춤 오목부
37 : 접촉부 38 : 접속 구멍
39 : 중앙 저배부 40 : 피 지지부
45 : 플러그 인슐레이터 46 : 수납공간
48 : 중앙 돌출부(지지부)(유지부)
49 : 슬릿 50 : 걸어 맞춤 갈고리(지지부)(유지부)
51 : 안내 경사면 52 : 걸어 맞춤 볼록부(유지부)
54 : 규제 돌출부 55 : 커넥터
60 : 리셉터클 컨택트(리셉터클 커넥터)
61 : 가이드부 62 : 제 1 가이드편
63 : 걸림 돌기 64 : 제 2 가이드편
65 : 걸림 돌기 66 : 테일편
68 : 플러그 커넥터 70 : 플러그 컨택트
71 : 걸림부 73 : 플러그 인슐레이터
74 : 걸어 맞춤 볼록부 76 : 절연 커버
77 : 기판부 78 : 부착편
80 : 커넥터 82 : 플러그 커넥터
83 : 플러그 컨택트 84 : 전선 접속편
85 : 빠짐 방지편 86 : 걸림부
88 : 플러그 인슐레이터 89 : 단부 개구
90 : 수납 공간 90a : 걸어 맞춤 돌기
91 : 칸막이 벽 92 : 연통 구멍
94 : 선단 오목부 95 : 안내면
96 : 중간 오목부 97 : 빠짐 방지 돌출부
98 : 피복 튜브 99 : 전선(접속 대상물)
100 : LED 조명기구 101 : 투명 관
102 : LED 유닛 103 : LED
CB, CBT : 회로기판(접속 대상물)(접속 대상 회로기판)

Claims (11)

  1. 회로기판과 접속 대상물을 이 회로기판과 평행한 평면 내에서 상대 이동가능하게 하여 접속하고 서로 떼고 붙이기가 가능한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을 구비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고 쌍을 이루는 협지편 및 이 협지편을 끼우고 서로 멀어지며 또 지지홈을 구비하는 한 쌍의 가이드부를 가지며, 상기 회로기판의 한 쪽 면에 고정되는 리셉터클 컨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자신의 연장 방향이 상기 평면과 평행하고 또 상기 회로기판의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자신의 판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직선상의 판상 부재이고, 대응하는 쌍을 이루는 상기 협지편에 의하여 상기 연장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 고정되고 또 한 쌍의 상기 가이드부의 상기 지지홈에 끼워 맞추는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플러그 컨택트와,
    상기 회로기판과의 대향면이 개구하고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 및 플러그 컨택트를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가지고, 상기 플러그 컨택트를 유지하는 플러그 인슐레이터,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상기 접속 대상물이, 상기 회로기판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고 또 한 쪽 면에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가 고정된, 이 회로기판과는 별개의 접속대상 회로기판이며,
    상기 플러그 컨택트가, 상기 회로기판 측의 쌍을 이루는 상기 협지편과 상기 접속대상 회로기판 측의 쌍을 이루는 상기 협지편에 각각 끼워 고정되는 한 쌍의 상기 접촉부와, 이 한 쌍의 접촉부를 통하는 상기 연장방향과 평행한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피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가, 상기 피 지지부를 상기 플러그 컨택트의 연장방향 및 판 두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유지되는 지지부를 가진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대상물이 상기 플러그 컨택트를 접속하는 전선인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홈의 내면에 걸림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플러그 컨택트에 상기 지지홈에 끼워 맞출 때에 상기 걸림 돌기가 끼워 맞추는 오목부 또는 관통 구멍으로 되는 걸림부를 형성한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가 서로 상기 플러그 컨택트의 길이 방향에 대향하는 복수의 가이드편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편에 상기 지지홈을 상기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한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가이드 편의 상기 지지 홈의 양 측면에 상기 플러그 컨택트의 두께 방향에 나란한 한 쌍의 상기 걸림 돌기를 형성한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가, 상기 회로기판에 고정되는 평판 상의 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기부의 상기 길이 방향의 단부로부터 상기 기부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어있는 제 1 가이드편과 이 제 1 가이드편의 선단에서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접속대상 회로기판의 적어도 한쪽 측으로 뻗어있는 제 2 가이드편으로 이루어지고 ,
    상기 제 2 가이드편의 자유 단부를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접속대상 회로기판의 적어도 한 쪽에 납땜으로 부착한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쌍을 이루는 상기 협지편의 한 쪽에 끼워 맞춤 돌출편을 형성하고,
    상기 플러그 컨택트에 상기 끼워 맞춤 돌출편이 상기 연장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추는 접속 구멍을 형성한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쌍을 이루는 상기 협지편의 다른 쪽에 상기 플러그 컨택트에 접촉하는 협지 돌기를 형성한 커넥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상기 수납공간 내에서 상기 두께방향으로의 이동가능 범위가 상기 피 지지부의 지지부에 대한 상기 판 두께 방향의 이동가능 범위보다 넓은 커넥터.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의 커넥터와 상기 회로기판을 복수개 구비하고,
    상기 회로기판에 LED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기구.
KR1020110035279A 2010-07-23 2011-04-15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이용한 엘이디 조명기구 KR1011987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65821 2010-07-23
JP2010165821 2010-07-23
JPJP-P-2010-271671 2010-12-06
JP2010271671A JP5571539B2 (ja) 2010-07-23 2010-12-06 コネクタ、及び、該コネクタを利用したled照明器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104A true KR20120010104A (ko) 2012-02-02
KR101198734B1 KR101198734B1 (ko) 2012-11-12

Family

ID=45493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279A KR101198734B1 (ko) 2010-07-23 2011-04-15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이용한 엘이디 조명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475000B2 (ko)
JP (1) JP5571539B2 (ko)
KR (1) KR1011987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27689A1 (en) * 2009-05-08 2012-03-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ighting unit
KR20130033743A (ko) * 2011-09-27 2013-04-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용 광원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JP2013229207A (ja) * 2012-04-26 2013-11-07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路基板装置及びコネクタ
JP5632420B2 (ja) * 2012-05-07 2014-11-2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端子間接続構造
JP6135986B2 (ja) * 2013-02-12 2017-05-3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照明用光源及び照明装置
DE102013107156B4 (de) * 2013-07-08 2019-02-14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plattenverbinder
US20150211688A1 (en) * 2014-01-29 2015-07-30 Led Smart, Inc. LED Lighting System
TWI651491B (zh) * 2015-07-23 2019-02-21 晶元光電股份有限公司 發光裝置
KR102476138B1 (ko) * 2015-08-19 2022-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 광원모듈 및 이를 이용한 광원모듈 어레이
US10253956B2 (en) 2015-08-26 2019-04-09 Abl Ip Holding Llc LED luminaire with mounting structure for LED circuit board
CN106224818A (zh) * 2016-07-26 2016-12-14 广东酷柏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led灯带的连接头
CN106016016A (zh) * 2016-07-26 2016-10-12 广东酷柏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led灯带的连接组件
US10190755B2 (en) 2016-11-15 2019-01-29 Abl Ip Holding Llc LED board retention
CN107255263B (zh) * 2017-05-17 2023-06-27 上海小糸车灯有限公司 车灯中的线路板、插片和组合后盖的连接结构及连接方法
US10251279B1 (en) 2018-01-04 2019-04-02 Abl Ip Holding Llc Printed circuit board mounting with tabs
TWI666833B (zh) * 2018-12-26 2019-07-21 唐虞企業股份有限公司 連接器總成及其跨接式連接器
CN114599916A (zh) * 2019-11-04 2022-06-07 昕诺飞控股有限公司 用于灯具的连接系统以及使用该连接系统的照明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2888A (en) * 1989-06-16 1990-06-12 Augat Inc. Multi-row box connector
JPH03179683A (ja) * 1989-12-08 1991-08-05 Nippon Tanshi Kk 配線基板の接続用コネクタ
US5337225A (en) * 1993-01-06 1994-08-09 The Standard Products Company Lighting strip system
US6793369B2 (en) * 2002-05-31 2004-09-21 Tivoli Llc Light fixture
JP2004039481A (ja) * 2002-07-04 2004-02-05 Fujitsu Component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装置
US7621655B2 (en) * 2005-11-18 2009-11-24 Cree, Inc. LED lighting units and assemblies with edge connectors
US7547214B2 (en) * 2007-05-22 2009-06-1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dge-to-edge connector system for electronic devices
CN201160133Y (zh) * 2008-01-17 2008-12-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2009181769A (ja) 2008-01-30 2009-08-13 Kyocera Elco Corp コネクタ、プラグコネクタ、及び携帯端末
US8297788B2 (en) * 2008-12-08 2012-10-30 Avx Corporation Card edge LED strip connector and LED assembly
JP5590952B2 (ja) * 2010-04-15 2014-09-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付き基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71539B2 (ja) 2014-08-13
US8475000B2 (en) 2013-07-02
JP2012043764A (ja) 2012-03-01
KR101198734B1 (ko) 2012-11-12
US20120020088A1 (en) 2012-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8734B1 (ko)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이용한 엘이디 조명기구
EP2688150B1 (en) Connector assemblies for connector systems
EP2139079B1 (en) Through board inverted connector
KR101450737B1 (ko) 커넥터
EP3149809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use with printed circuit boards
US9160086B2 (en) Electrical connectors for use with printed circuit boards
WO2005004569A2 (en) Improvements in adapter module retention latches
KR20110027660A (ko) 배요넷 작동을 구비한 고밀도 원형 상호 연결기
US20090317990A1 (en) Through board inverted connector
US8764459B2 (en) Connector assemblies for connector systems
EP3316406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or
EP0197067A1 (en) ELECTRICAL OUTLET ASSEMBLY WITH CABLE GUIDE.
KR20120031115A (ko) 차폐 케이스, 커넥터 및 전자기기
EP2665130A1 (en)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and connector using same
KR101339029B1 (ko)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이용한 엘이디 조명기구
JP2007128875A (ja) 電気コネクタ
KR101134292B1 (ko)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이용한 엘이디 조명기구
CN109524851B (zh) 用于高速差分信号连接器的母端连接器
CN109510032B (zh) 用于高速差分信号连接器的母端连接器
CN212304002U (zh) 一种usb母插座
CN109546462B (zh) 带金属屏蔽板的母端信号传输模块
CN109546472B (zh) 带金属屏蔽板的母端信号传输模块
KR20230071230A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JP2021501441A (ja) コネクタ用ターミナル及びそれを含む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