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1230A -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1230A
KR20230071230A KR1020210157191A KR20210157191A KR20230071230A KR 20230071230 A KR20230071230 A KR 20230071230A KR 1020210157191 A KR1020210157191 A KR 1020210157191A KR 20210157191 A KR20210157191 A KR 20210157191A KR 20230071230 A KR20230071230 A KR 20230071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cable
protrusion
housing
connector
lock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7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충의
Original Assignee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7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1230A/ko
Publication of KR20230071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12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2Strain reliev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사용성(usability)이 향상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가 제공된다.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는, 플렉시블 케이블이 제1 방향으로 삽입되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발출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로서, 그 상면 상에 플렉시블 케이블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기저부와,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며 기저부의 상면에 대한 제1 경사면을 갖는 제1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 제1 하우징 상에,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1 접촉 단자들, 및 제1 하우징 상에, 복수의 제1 접촉 단자들과 제3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락핀을 포함하되, 락핀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와, 제1 연장부의 전단으로부터 기저부를 향해 돌출되는 로킹부와, 제1 연장부의 측면으로부터 제3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 지지부 상에 배치되는 제1 돌출부와, 제1 연장부의 후단으로부터 기저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2 연장부와, 제2 연장부의 측면으로부터 제3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로킹부는 플렉시블 케이블과 체결 가능하고, 제1 돌출부는 제1 경사면을 따라 가동하고, 락핀은 제2 돌출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한다.

Description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CONNECTOR FOR FLEXIBLE CABLE}
본 발명은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플렉시블 케이블(Flexible Cable)은 평판 형상의 케이블로 FPC(Flexible Printed Cable) 타입과 FFC(Flexible Flat Cable) 타입을 포괄할 수 있다. 플렉시블 케이블은 굽힘이 자유로운 가요성을 가지며, 내측에 전기선이 평형으로 배열되어 넓은 폭으로 상대 터미널과 접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렉시블 케이블은,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를 통해 전자 부품이나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는, 절연 물질로 형성된 하우징, 하우징에 배치되어 하우징으로 삽입되는 플렉시블 케이블과 접촉하는 복수의 접촉 단자들, 하우징으로 삽입되는 플렉시블 케이블을 가압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 단자들은 회로 기판 등에 납땜 등으로 부착되어, 플렉시블 케이블과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35225호(2018.04.05.)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성(usability)이 향상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는, 플렉시블 케이블이 제1 방향으로 삽입되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발출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로서, 그 상면 상에 플렉시블 케이블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기저부와,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며 기저부의 상면에 대한 제1 경사면을 갖는 제1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 제1 하우징 상에,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1 접촉 단자들, 및 제1 하우징 상에, 복수의 제1 접촉 단자들과 제3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락핀을 포함하되, 락핀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와, 제1 연장부의 전단으로부터 기저부를 향해 돌출되는 로킹부와, 제1 연장부의 측면으로부터 제3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 지지부 상에 배치되는 제1 돌출부와, 제1 연장부의 후단으로부터 기저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2 연장부와, 제2 연장부의 측면으로부터 제3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로킹부는 플렉시블 케이블과 체결 가능하고, 제1 돌출부는 제1 경사면을 따라 가동하고, 락핀은 제2 돌출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락핀은 플렉시블 케이블이 삽입될 때 제1 방향으로 가동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락핀은 플렉시블 케이블이 발출될 때 제2 방향으로 가동하고, 제1 돌출부는 락핀이 제2 방향으로 가동함에 따라 제1 경사면을 타고 상승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돌출부는 제1 경사면과 대향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고, 제2 경사면은 제1 경사면을 따라 가동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지지부는 제1 경사면을 포함하는 경사부와, 경사부보다 높게 돌출되는 스토퍼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돌출부의 하면은 제1 돌출부의 하면보다 낮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저부는 제1 지지부의 후방에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인입되는 하우징 홈을 포함하고, 제2 돌출부는 하우징 홈 내에 배치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락핀은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다.
몇몇 실시예에서, 락핀은 나일론(Nylon) 수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저부와 대향하며 기저부와의 사이에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덮개부와, 덮개부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2 하우징을 더 포함하되, 기저부는 제2 돌출부의 하면을 지지하고, 제2 지지부는 제2 돌출부의 상면을 지지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덮개부는 제1 연장부의 상면 및 제1 돌출부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하우징은 복수의 제1 접촉 단자들의 측면을 덮는 측벽부를 더 포함하고, 락핀은 복수의 제1 접촉 단자들과 측벽부 사이에 개재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하우징 상에, 제3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2 접촉 단자들을 더 포함하되, 복수의 제1 접촉 단자들은 제1 하우징의 후단 상에 고정되고, 복수의 제2 접촉 단자들은 제1 하우징의 전단 상에 고정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는 락핀을 구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에 대한 별도의 조작 없이도 플렉시블 케이블의 삽입 또는 발출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렉시블 케이블이 삽입될 때,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락핀은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스스로 가동 및 회동하여 플렉시블 케이블과 체결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케이블이 발출될 때,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의 락핀은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스스로 가동 및 회동하여 플렉시블 케이블과의 체결을 해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성(usability)이 향상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락핀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도 4는 도 1의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4의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일부 사시도들이다.
도 8a 내지 도 9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에 플렉시블 케이블이 삽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0a 내지 도 11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로부터 플렉시블 케이블이 발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를 설명한다.
도 1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락핀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도 4는 도 1의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4의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일부 사시도들이다.
도 1 내지 도 7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1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따라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10)가 포함하는 구성요소들 각각의 부피, 길이, 비율 및 개수 등은 도면에 도시된 것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10)에는 플렉시블 케이블(예컨대, 도 4의 20)이 삽입되거나 발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시블 케이블(20)은 제1 방향(X)으로 이동되어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10)에 삽입될 수 있다. 반대로, 플렉시블 케이블(20)은 제1 방향(X)과 반대되는 제2 방향(-X)으로 이동되어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10)로부터 발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10)의 전방(또는 전면 또는 전단)이란,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10)에 삽입될 플렉시블 케이블(20)을 향하는 방향(또는 일면 또는 일단)을 의미한다. 반대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10)의 후방(또는 후면 또는 후단)이란,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10)의 전방과 반대되는 방향(또는 일면 또는 일단)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10)는 제1 하우징(100), 제2 하우징(200), 복수의 제1 접촉 단자(310)들, 복수의 제2 접촉 단자(320)들, 락핀(400) 및 고정 금구(500)를 포함한다.
제1 하우징(100) 및 제2 하우징(200)은 플렉시블 케이블(20)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우징(100) 및 제2 하우징(200)은 그들 사이에 수용 공간(예컨대, 도 4의 10G)을 제공할 수 있다. 플렉시블 케이블(20)은 제1 방향(X)으로 전진하여 수용 공간(10G)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케이블(20)은 제2 방향(-X)으로 후퇴하여 수용 공간(10G)으로부터 발출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00) 및 제2 하우징(200)은 각각 절연 물질, 예를 들어 합성 수지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하우징(100)은 기저부(110), 제1 측벽부(120), 제1 후벽부(140) 및 제1 지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저부(110), 제1 측벽부(120), 제1 후벽부(140) 및 제1 지지부(1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기저부(110)는 그 상면 상에 플렉시블 케이블(20)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저부(110)는 제1 방향(X) 및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제3 방향(Y)을 포함하는 평면(예컨대, XY 평면)에서 연장되는 판형의 구조물일 수 있다.
제1 측벽부(120)는 기저부(110)의 양측으로부터 제1 방향(X) 및 제3 방향(Y)과 교차하는 제4 방향(Z)으로 연장될 수 있다. 기저부(110)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제1 측벽부(120)들은 제3 방향(Y)에서 서로 대향할 수 있다. 제1 측벽부(120)는 후술되는 제1 접촉 단자(310)의 측면 및 제2 접촉 단자(320)의 측면을 덮어 보호할 수 있다.
제1 후벽부(140)는 기저부(110)의 후단으로부터 제4 방향(Z)으로 연장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후벽부(140)는 제3 방향(Y)으로 연장되어 기저부(110)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제1 측벽부(120)들을 연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후벽부(140)는 플렉시블 케이블(20)이 삽입되는 한계를 정의하는 스토퍼(stopper)로 기능할 수 있다.
제1 지지부(130)는 기저부(1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지지부(130)는 제1 측벽부(120)의 내측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부(130)는 제1 경사면(132S)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사면(132S)은 기저부(110)의 상면에 대해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제1 지지부(130) 상에는 후술되는 락핀(400)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지지부(130)는 경사부(132) 및 스토퍼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부(132)는 기저부(1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또한, 경사부(132)는 제1 경사면(132S)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부(134)는 기저부(110)의 상면으로부터 경사부(132)보다 높게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부(134)는 제1 경사면(132S)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하우징(200)은 덮개부(210), 제2 측벽부(220), 제2 후벽부(240) 및 제2 지지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210), 제2 측벽부(220), 제2 후벽부(240) 및 제2 지지부(2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210)는 제4 방향(Z)에서 제1 하우징(100)의 기저부(110)와 대향할 수 있다. 덮개부(210)는 그 하면 상에 플렉시블 케이블(20)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부(210)는 제1 방향(X) 및 제3 방향(Y)을 포함하는 평면(예컨대, XY 평면)에서 연장되는 판형의 구조물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 사이에 플렉시블 케이블(2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10G)이 제공될 수 있다.
제2 측벽부(220)는 덮개부(210)의 양측으로부터 아래로(예컨대, -Z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덮개부(210)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는 2개의 제2 측벽부(220)들은 제3 방향(Y)에서 서로 대향할 수 있다.
제2 후벽부(240)는 덮개부(210)의 후단으로부터 아래로(예컨대, -Z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후벽부(240)는 덮개부(210)의 후단의 양측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후벽부(240)는 제1 하우징(100)의 제1 후벽부(140)와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제1 하우징(100)의 제1 후벽부(140)는 그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하우징 로킹 돌기(145)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후벽부(240)는 하우징 로킹 돌기(145)에 대응되는 하우징 로킹 홈(245)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로킹 돌기(145)는 하우징 로킹 돌기(145)에 체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하우징(200)은 제1 하우징(10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지지부(230)는 덮개부(210)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2 지지부(230) 아래에는 후술되는 락핀(400)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지지부(230)는 제2 측벽부(220)의 내측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접촉 단자(310)들은 제1 하우징(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촉 단자(310)들은 제1 하우징(100) 상에서 제3 방향(Y)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1 접촉 단자(310)들은 제1 하우징(1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1 접촉 단자(310)들은 제1 하우징(100)의 제1 후벽부(1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후벽부(140)는 각각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단자 수용홈(140H1, 140H2)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제1 접촉 단자(310)들의 적어도 일부는 제1 단자 수용홈(140H1, 140H2) 내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각각의 제1 접촉 단자(310)들은 도전 물질, 예를 들어, 구리 합금(copper alloy)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1 접촉 단자(310)들은 제1 베이스부(312), 제1 빔부(314), 제2 빔부(316) 및 제1 실장부(31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312), 제1 빔부(314), 제2 빔부(316) 및 제1 실장부(318)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312)는 제4 방향(Z)으로 연장되며 제1 후벽부(140)의 후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베이스부(312)는 제1 접촉 단자(310)가 제1 하우징(100)에 삽입되는 한계를 정의할 수 있다.
제1 빔부(314)는 제1 베이스부(312)의 상부로부터 제2 방향(-X)으로 연장되어 제1 후벽부(140)를 관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빔부(314)는 제1 단자 수용홈(140H1, 140H2)의 상부 수용홈(140H1)을 넘어 수용 공간(10G)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수용 공간(10G) 내에 배치되는 제1 빔부(314)의 일단은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10)에 삽입된 플렉시블 케이블(20)과 탄성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접촉 단자(310)는 플렉시블 케이블(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하우징(200)은 제1 빔부(314)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부(210)는 상부 수용홈(140H1)을 덮음으로써 상부 수용홈(140H1) 내에 삽입되는 제1 빔부(314)의 상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빔부(316)는 제1 베이스부(312)의 하부로부터 제2 방향(-X)으로 연장되며 제1 후벽부(1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빔부(316)는 제1 단자 수용홈(140H1, 140H2)의 하부 수용홈(140H1) 내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1 실장부(318)는 제1 베이스부(312)로부터 제1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실장부(318)는 제1 하우징(100)의 하면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제1 실장부(318)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10)가 배치되는 회로 기판(예컨대, 인쇄 회로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등에 제1 접촉 단자(310)를 실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실장부(318)는 납땜 등에 의해 회로 기판 등에 실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접촉 단자(310)는 플렉시블 케이블(20)과 회로 기판 등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접촉 단자(320)들은 제1 하우징(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접촉 단자(320)들은 제1 하우징(100) 상에서 제3 방향(Y)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제2 접촉 단자(320)들은 제1 하우징(1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2 접촉 단자(320)들은 제1 하우징(100)의 기저부(1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저부(110)의 전단은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단자 수용홈(110FH)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제2 접촉 단자(320)들의 적어도 일부는 제2 단자 수용홈(110FH) 내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각각의 제2 접촉 단자(320)들은 도전 물질, 예를 들어, 예를 들어 구리 합금(copper alloy)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2 접촉 단자(320)들은 제2 베이스부(322), 접촉부(324), 벤딩부(326), 제3 빔부(327), 삽입 단부(329) 및 제2 실장부(328)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이스부(322), 접촉부(324), 벤딩부(326), 제3 빔부(327), 삽입 단부(329) 및 제2 실장부(328)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베이스부(322)는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며 기저부(1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베이스부(322)는 제2 단자 수용홈(110FH) 내에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접촉부(324)는 제2 베이스부(322)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수용 공간(10G)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접촉부(324)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10)에 삽입된 플렉시블 케이블(20)과 탄성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접촉 단자(320)는 플렉시블 케이블(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벤딩부(326)는 'ㄷ'자 형상으로 벤딩되어 접촉부(324)와 제3 빔부(327)를 연결할 수 있다. 벤딩부(326)는 제1 후벽부(140)의 전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벤딩부(326)는 제2 접촉 단자(320)가 제1 하우징(100)에 삽입되는 한계를 정의할 수 있다.
제3 빔부(327)는 벤딩부(326)의 상부로부터 제2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3 빔부(327)는 제4 방향(Z)에서 접촉부(324)와 대향할 수 있다. 제3 빔부(327)의 일부는 수용 공간(10G)을 향해 벤딩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빔부(327)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10)에 삽입된 플렉시블 케이블(20)을 탄성적으로 가압할 수 있다. 또는, 이러한 제3 빔부(327)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10)에 삽입된 플렉시블 케이블(20)과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접촉 단자(320)와 플렉시블 케이블(20) 간의 접촉 신뢰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삽입 단부(329)는 제3 빔부(327)의 전단으로부터 제2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삽입 단부(329)는 덮개부(210)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부(210)는 삽입 단부(329)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제1 개구(210H1)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 단부(329)의 적어도 일부는 제1 개구(210H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개구(210H1)는 제2 하우징(200)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면서도 탄성적으로 가동하는 제3 빔부(327)의 가동 범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실장부(328)는 제2 베이스부(322)로부터 제2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2 실장부(328)는 제1 하우징(100)의 하면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제2 실장부(328)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10)가 배치되는 회로 기판(예컨대, 인쇄 회로 기판(PCB)) 등에 제2 접촉 단자(320)를 실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장부(328)는 납땜 등에 의해 회로 기판 등에 실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접촉 단자(320)는 플렉시블 케이블(20)과 회로 기판 등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락핀(400)은 제1 하우징(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락핀(400)은 제1 하우징(100) 상에서 제1 접촉 단자(310) 및 제2 접촉 단자(320)와 제3 방향(Y)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접촉 단자(310)들의 양측 및 복수의 제2 접촉 단자(320)들의 양측에 2개의 락핀(400)들이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락핀(400)은 제1 측벽부(120)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락핀(400)은 복수의 제1 접촉 단자(310)들과 제1 측벽부(120) 사이 및 복수의 제2 접촉 단자(320)들과 제1 측벽부(12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락핀(400)은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10)에 삽입되는 플렉시블 케이블(20)과 체결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케이블(20)이 삽입되거나 발출됨에 따라, 락핀(400)은 제1 방향(X) 또는 제2 방향(-X)으로 가동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도 8a 내지 도 11b에 관한 설명세서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락핀(400)은 절연 물질, 예를 들어 합성 수지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락핀(400)은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락핀(400)은 탄성을 갖는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락핀(400)은 나일론(Nylon)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락핀(400)은 제1 연장부(410), 로킹부(420), 제1 돌출부(430), 제2 연장부(440) 및 제2 돌출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부(410)는 기저부(110)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연장부(410)는 기저부(11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제1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로킹부(420)는 제1 연장부(410)의 전단으로부터 기저부(110)를 향해(예컨대, -Z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로킹부(420)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10)에 삽입된 플렉시블 케이블(20)과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플렉시블 케이블(20)은 볼록부(22) 및 오목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볼록부(22) 및 오목부(24)는 플렉시블 케이블(20)의 측면에 배치되어 요철(凹凸) 모양을 형성할 수 있다. 플렉시블 케이블(20)이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10)에 삽입된 때, 락핀(400)의 로킹부(420)는 플렉시블 케이블(20)의 오목부(24)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플렉시블 케이블(20)은 락핀(400)과 체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로킹부(420)의 하면은 기저부(11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플렉시블 케이블(20)은 기저부(110)와 로킹부(420) 사이의 공간으로 전진하여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10)에 삽입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로킹부(420)가 기저부(110)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10)에 삽입되는 플렉시블 케이블(20)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돌출부(430)는 제1 연장부(410)의 측면으로부터 제3 방향(Y)으로(예컨대, 제1 측벽부(12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부(430)의 하면은 제1 연장부(410)의 하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돌출부(430)는 제1 연장부(410)의 측면 및 로킹부(420)의 측면에 걸쳐 제1 측벽부(12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돌출부(430)의 상면은 제1 연장부(410)의 상면과 공면(共面)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돌출부(430)는 제1 하우징(100)의 제1 지지부(1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락핀(400)이 제1 방향(X) 또는 제2 방향(-X)으로 가동할 때, 제1 돌출부(430)는 제1 지지부(130)의 표면을 따라 가동할 수 있다. 제1 지지부(130)는 제1 경사면(132S)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제1 돌출부(430)는 락핀(400)이 제1 방향(X) 또는 제2 방향(-X)으로 가동함에 따라 하강 또는 상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락핀(400)이 제2 방향(-X)으로 가동할 때, 제1 돌출부(430)는 제1 경사면(132S)을 타고 상승할 수 있다. 또한, 락핀(400)이 제1 방향(X)으로 가동할 때, 제1 돌출부(430)는 제1 경사면(132S)을 타고 하강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돌출부(430)는 제1 지지부(130)의 제1 경사면(132S)과 대향하는 제2 경사면(430S)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경사면(430S)은 제1 돌출부(430)의 하면에 대해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제2 경사면(430S)과 제1 돌출부(430)의 하면이 이루는 각(θ)은 예를 들어, 약 30° 내지 약 6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제2 경사면(430S)은 락핀(400)이 제1 방향(X) 또는 제2 방향(-X)으로 가동함에 따라 제1 지지부(130)의 제1 경사면(132S)과 접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경사면(132S)이 기저부(110)의 상면과 이루는 각은 제2 경사면(430S)과 제1 돌출부(430)의 하면이 이루는 각(θ)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이란, 완전히 동일한 것뿐만 아니라 공정 상의 마진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미세한 차이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지지부(130)의 스토퍼부(134)는 제1 돌출부(430)가 가동하는 한계를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퍼부(134)는 경사부(132)의 상면보다 돌출되어 제1 돌출부(430)의 전면과 대향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부(134)는 제1 돌출부(430)가 제2 방향(-X)으로 가동하는 한계를 정의할 수 있다.
제2 연장부(440)는 제1 연장부(410)의 후단으로부터 기저부(110)를 향해(예컨대, -Z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장부(440)는 제1 후벽부(140)의 전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후벽부(140)는 제2 연장부(440)가 제1 방향(X)으로 가동하는 한계를 정의할 수 있다.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10)에 삽입된 플렉시블 케이블(20)은 제2 연장부(440)와 로킹부(420) 사이의 공간에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시블 케이블(20)이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10)에 삽입된 때, 플렉시블 케이블(20)의 볼록부(22)는 제2 연장부(440)와 로킹부(42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플렉시블 케이블(20)은 락핀(400)과 체결될 수 있다.
제2 돌출부(450)는 제2 연장부(440)의 측면으로부터 제3 방향(Y)으로(예컨대, 제1 측벽부(12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돌출부(450)는 제2 연장부(440)의 하부로부터 제1 측벽부(12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돌출부(450)의 하면은 제2 연장부(440)의 하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돌출부(450)는 기저부(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락핀(400)이 제1 방향(X) 또는 제2 방향(-X)으로 가동할 때, 제2 돌출부(450)는 기저부(110)의 표면을 따라 가동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돌출부(450)의 하면은 제1 돌출부(430)의 하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저부(110)는 기저부(110)의 상면으로부터 인입되어 형성되는 하우징 홈(110UH)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돌출부(450)는 하우징 홈(110UH) 내에 배치되어 제1 방향(X) 또는 제2 방향(-X)으로 가동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기저부(110)의 하우징 홈(110UH)은 제2 돌출부(450)가 가동하는 한계를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돌출부(450)의 전면과 대향하는 하우징 홈(110UH)의 측면은 제2 돌출부(450)가 제2 방향(-X)으로 가동하는 한계를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제2 돌출부(450)의 후면과 대향하는 하우징 홈(110UH)의 측면은 제2 돌출부(450)가 제1 방향(X)으로 가동하는 한계를 정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돌출부(450)는 기저부(110) 및 제2 지지부(2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저부(110)의 상면(예컨대, 하우징 홈(110UH)의 바닥면)은 제2 돌출부(450)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고, 제2 지지부(230)의 하면은 제2 돌출부(450)의 상면을 지지할 수 있다. 기저부(110) 및 제2 지지부(230)에 의해 제2 돌출부(450)가 지지됨에 따라, 락핀(400)은 제2 돌출부(450)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락핀(400)이 제1 방향(X) 또는 제2 방향(-X)으로 가동할 때, 제1 돌출부(430)는 제1 경사면(132S)을 타고 하강하거나 상승할 수 있다. 이 때, 제2 돌출부(450)는 기저부(110) 및 제2 지지부(2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므로, 락핀(400)은 전체적으로 제2 돌출부(450)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돌출부(450)의 전면은 제3 경사면(450S1) 및 제4 경사면(450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경사면(450S1)은 제2 돌출부(450)의 하면에 대해 경사를 가질 수 있고, 제4 경사면(450S2)은 제2 돌출부(450)의 상면에 대해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제3 경사면(450S1)은 제2 돌출부(450)의 상면과 제2 돌출부(450)의 전면을 완만하게 연결하고, 제4 경사면(450S2)은 제2 돌출부(450)의 하면과 제2 돌출부(450)의 전면을 완만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락핀(400)은 제2 돌출부(450)를 회전축으로 하여 보다 용이하게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락핀(400)의 일부는 덮개부(210)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부(210)는 제1 연장부(410)의 상면 및 제1 돌출부(430)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제2 개구(210H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부(410)의 적어도 일부 및 제1 돌출부(430)의 적어도 일부는 제2 개구(210H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개구(210H2)는 제2 하우징(200)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면서도 회동하는 락핀(400)의 회동 범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고정 금구(500)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10)가 배치되는 회로 기판(예컨대, 인쇄 회로 기판(PCB)) 등에 제1 하우징(100) 및/또는 제2 하우징(200)을 고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우징(100)의 제1 측벽부(120)는 금구 수용부(120H)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금구(500)는 금구 수용부(120H) 내에 삽입될 수 있고, 납땜 등에 의해 회로 기판 등에 실장될 수 있다. 고정 금구(500)는 견고한 재질, 예를 들어 금속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고정 금구(500)는 피팅 베이스부(510), 제1 피팅부(520) 및 제2 피팅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피팅 베이스부(510)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10)가 배치되는 회로 기판 등에 고정 금구(500)를 실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팅 베이스부(510)는 납땜 등에 의해 회로 기판 등에 실장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피팅 베이스부(510)는 제4 방향(Z)으로 연장되며 제1 측벽부(120)의 전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피팅 베이스부(510)는 고정 금구(500)가 제1 하우징(100)에 삽입되는 한계를 정의할 수 있다.
제1 피팅부(520)는 피팅 베이스부(510)로부터 제1 방향(X)으로 연장되어 제1 하우징(100)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피팅부(520)는 금구 수용부(120H)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 금구(500)는 제1 하우징(100)을 고정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피팅부(520)는 제2 하우징(200)을 지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하우징(200)의 제2 측벽부(220)는 그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하우징 피팅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피팅부(520)는 제1 방향(X)으로 연장되어 하우징 피팅부(250)의 상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 금구(500)는 제1 하우징(100) 및 제2 하우징(200)을 고정할 수 있다.
제2 피팅부(530)는 피팅 베이스부(510)의 상부로부터 제2 하우징(200)을 향해(예컨대, (예컨대, Y 방향 또는 -Y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피팅부(530)는 제2 하우징(200)의 상면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 금구(500)는 제2 하우징(200)을 고정할 수 있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10)에서, 제1 하우징(100)은 걸림부(115)를 더 포함한다.
걸림부(115)는 기저부(1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115)는 락핀(400)의 로킹부(420)와 제4 방향(Z)에서 대향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부(115)는 로킹부(420)와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10)에 삽입된 플렉시블 케이블(20) 간의 체결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11b를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에 대한 플렉시블 케이블의 삽입 및 발출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a 내지 도 9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에 플렉시블 케이블이 삽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내지 도 7을 이용하여 상술한 것과 중복되는 부분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한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제1 방향(X)으로 전진하는 플렉시블 케이블(20)이 제공된다.
제1 방향(X)으로 전진하는 플렉시블 케이블(20)은 락핀(400)의 로킹부(420)와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시블 케이블(20)의 볼록부(22)는 로킹부(420)의 전면과 접촉할 수 있다. 플렉시블 케이블(20)이 제1 방향(X)으로 전진함에 따라, 플렉시블 케이블(20)과 접촉하는 락핀(400)은 제1 방향(X)으로 가동할 수 있다.
락핀(400)이 제1 방향(X)으로 최대 가동하면(예컨대, 제2 연장부(440) 및/또는 제2 돌출부(450)가 제1 후벽부(140)와 접촉하면), 플렉시블 케이블(20)은 기저부(110)와 로킹부(420)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시블 케이블(20)의 볼록부(22)는 기저부(110)와 로킹부(420)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락핀(400)은 제2 돌출부(450)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돌출부(430)는 상승하여 제1 지지부(13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락핀(400)은 제2 돌출부(450)를 중심으로 회동함과 동시에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킹부(420)와 기저부(110) 사이에 플렉시블 케이블(20)의 볼록부(22)가 위치함에 따라, 제1 연장부(410)는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플렉시블 케이블(20)의 삽입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플렉시블 케이블(20)의 삽입이 완료된다.
플렉시블 케이블(20)의 삽입이 완료된 때, 플렉시블 케이블(20)은 락핀(400)과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시블 케이블(20)의 볼록부(22)는 로킹부(420)와 제2 연장부(440) 사이에 삽입될 수 있고, 로킹부(420)는 플렉시블 케이블(20)의 오목부(24)에 삽입될 수 있다. 로킹부(420)가 플렉시블 케이블(20)의 오목부(24)에 삽입됨에 따라, 락핀(400)은 제2 돌출부(450)를 중심으로 다시 회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돌출부(430)는 하강하여 제1 지지부(130)와 접촉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1b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로부터 플렉시블 케이블이 발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내지 도 7을 이용하여 상술한 것과 중복되는 부분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한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플렉시블 케이블(20)을 제2 방향(-X)으로 후퇴시킨다.
제2 방향(-X)으로 후퇴하는 플렉시블 케이블(20)은 락핀(400)의 로킹부(420)와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시블 케이블(20)의 볼록부(22)는 로킹부(420)의 후면과 접촉할 수 있다. 플렉시블 케이블(20)이 제2 방향(-X)으로 후퇴함에 따라, 플렉시블 케이블(20)과 접촉하는 락핀(400)은 제2 방향(-X)으로 가동할 수 있다.
락핀(400)이 제2 방향(-X)으로 가동함에 따라, 제1 돌출부(430)는 제1 지지부(130)의 제1 경사면(132S)을 타고 상승할 수 있다. 또한, 제2 돌출부(450)는 기저부(110) 및 제2 지지부(2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므로, 락핀(400)은 제2 돌출부(450)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킹부(420)와 기저부(110) 사이에 플렉시블 케이블(20)을 발출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락핀(400)이 회동함에 따른 로킹부(420)와 기저부(110) 사이의 최대 이격 거리는 플렉시블 케이블(20)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로킹부(420)와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10)에 삽입된 플렉시블 케이블(20) 간의 최소한의 체결력이 확보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락핀(400)은 제2 돌출부(450)를 중심으로 회동함과 동시에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킹부(420)와 기저부(110) 사이에 플렉시블 케이블(20)의 볼록부(22)가 위치함에 따라, 제1 연장부(410)는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플렉시블 케이블(20)의 발출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플렉시블 케이블(20)의 발출이 완료된다.
플렉시블 케이블(20)의 발출이 완료된 때, 락핀(400)은 제2 돌출부(450)를 중심으로 다시 회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돌출부(430)는 제1 지지부(130)의 제1 경사면(132S)을 타고 하강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20: 플렉시블 케이블
100: 제1 하우징 110: 기저부
120: 제1 측벽부 130: 제1 지지부
132: 경사부 132S: 제1 경사면
134: 스토퍼부 140: 제1 후벽부
200: 제2 하우징 210: 덮개부
220: 제2 측벽부 230: 제2 지지부
240: 제2 후벽부 250: 하우징 피팅부
310: 제1 접촉 단자 320: 제2 접촉 단자
400: 락핀 410: 제1 연장부
420: 로킹부 430: 제1 돌출부
440: 제2 연장부 450: 제2 돌출부
500: 고정 금구

Claims (13)

  1. 플렉시블 케이블이 제1 방향으로 삽입되며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2 방향으로 발출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로서,
    그 상면 상에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기저부의 상면에 대한 제1 경사면을 갖는 제1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상에,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1 접촉 단자들; 및
    상기 제1 하우징 상에, 상기 복수의 제1 접촉 단자들과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락핀을 포함하되,
    상기 락핀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기저부를 향해 돌출되는 로킹부와, 상기 제1 연장부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3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지지부 상에 배치되는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연장부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기저부를 향해 연장되는 제2 연장부와, 상기 제2 연장부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3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부는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과 체결 가능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경사면을 따라 가동하고,
    상기 락핀은 상기 제2 돌출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락핀은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이 삽입될 때 상기 제1 방향으로 가동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락핀은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이 발출될 때 상기 제2 방향으로 가동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락핀이 상기 제2 방향으로 가동함에 따라 상기 제1 경사면을 타고 상승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경사면과 대향하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제1 경사면을 따라 가동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1 경사면을 포함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보다 높게 돌출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의 하면은 상기 제1 돌출부의 하면보다 낮은,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는 상기 제1 지지부의 후방에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인입되는 하우징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하우징 홈 내에 배치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락핀은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락핀은 나일론(Nylon) 수지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와 대향하며 상기 기저부와의 사이에 상기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2 하우징을 더 포함하되,
    상기 기저부는 상기 제2 돌출부의 하면을 지지하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2 돌출부의 상면을 지지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1 연장부의 상면 및 상기 제1 돌출부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구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복수의 제1 접촉 단자들의 측면을 덮는 측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락핀은 상기 복수의 제1 접촉 단자들과 상기 측벽부 사이에 개재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상에, 상기 제3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2 접촉 단자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제1 접촉 단자들은 상기 제1 하우징의 후단 상에 고정되고,
    상기 복수의 제2 접촉 단자들은 상기 제1 하우징의 전단 상에 고정되는,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KR1020210157191A 2021-11-16 2021-11-16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KR202300712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191A KR20230071230A (ko) 2021-11-16 2021-11-16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7191A KR20230071230A (ko) 2021-11-16 2021-11-16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1230A true KR20230071230A (ko) 2023-05-23

Family

ID=86544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7191A KR20230071230A (ko) 2021-11-16 2021-11-16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123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75159A1 (en) First connector, second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9787009B2 (en) Receptacle connector having an insulating tongue with a combining area for accommodating combining portions of a plurality of contacts
US7140896B2 (en) Connector
KR101198734B1 (ko)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이용한 엘이디 조명기구
CN101479893B (zh) 电缆连接器
US8062041B2 (en) Connector
US8021187B2 (en) Electric connector
US8550837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20110027660A (ko) 배요넷 작동을 구비한 고밀도 원형 상호 연결기
EP3316406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nector
JP6596551B1 (ja) 電子部品ユニット
JP2683709B2 (ja) 無挿入力電気コネクタ
KR20230071230A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JP2011138687A (ja) 電気コネクタ
TWI380530B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KR101003198B1 (ko) 전기 접속용 커넥터
KR20210121524A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US20090023348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grounding spring
KR20210030705A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KR102182143B1 (ko)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20230084767A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KR102598349B1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JP2000299167A (ja) 電気コネクタ
CN220042365U (zh) Usb连接器及电子终端设备
JP6514822B2 (ja) コネク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