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9029B1 -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이용한 엘이디 조명기구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이용한 엘이디 조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9029B1
KR101339029B1 KR1020120026374A KR20120026374A KR101339029B1 KR 101339029 B1 KR101339029 B1 KR 101339029B1 KR 1020120026374 A KR1020120026374 A KR 1020120026374A KR 20120026374 A KR20120026374 A KR 20120026374A KR 101339029 B1 KR101339029 B1 KR 101339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ircuit board
receptacle
plu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6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0100A (ko
Inventor
신타로 호리노
Original Assignee
교우세라 커넥터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우세라 커넥터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우세라 커넥터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60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0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9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9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91Coupling devices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or self alig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로기판과 접속대상물의 회로기판과 평행한 평면 내에서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면서, 높은 접촉 신뢰성을 얻는 것이 가능하고, 또 컨택트를 확실히 보호할 수 있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를 이용한 LED 조명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회로기판(CB)의 표면에 실장되는 실장부(17)와 한 쌍의 접촉부(19)와 한 쌍의 상기 접촉부끼리의 간격보다 넓은 폭의 빠짐방지부(20)를 가지는 플러그 컨택트(15)를 구비한 플러그 커넥터(15); 및
2개의 접촉부에 접촉되는 2 쌍의 접촉편(31)과 2개의 탄성접속부(29)와 연결부(35)를 가지는 리셉터클 컨택트(27)와,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 및 플러그 컨택트의 주위를 둘러싸는 둘러싸는 벽(41)과 상기 둘러싸는 벽의 단부를 가로막는 폐쇄부(43)를 가지면서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를 지지하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9)를 를 구비한 리셉터클 커넥터(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이용한 엘이디 조명기구{Connecter and LED illumina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회로기판끼리를 상대이동 가능하게 접속하는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이용한 LED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직관형의 LED 조명기구는 일반적으로 직선적으로 뻗어있는 원통 형상의 유리나 수지(폴리카본네이트 등)에 의하여 구성된 투명관과, 이 투명관의 내부에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면서 투명관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도록 배치하여 설치되면서 한쪽면(하면)에 LED가 고정된 평판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회로기판과,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들을 접속시키는 복수의 커넥터를 구비한다.
각 회로기판을 투명관에 부착할 경우,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들은 설계위치에서 투명관의 길이 방향으로 어긋나거나 혹은 투명관의 폭 방향(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 위치가 어긋나는 일이 있다. 또한 회로기판의 휘어짐이나 부착시의 흐트러짐에 의하여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들이 회로기판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어긋나는 일이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는 회로기판들의 위치 어긋남을 흡수하는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은 이와 같은 위치 어긋남의 흡수기능을 가진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이 커넥터는 각 회로기판의 한쪽 면에 고정된 복수의 리셉터클 커넥터(기판용 커넥터)와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에 고정되어 2개의 리셉터클끼리를 접속시키는 복수의 플러그 커넥터(연결용 커넥터)를 가지고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는 한쪽 측면(회로기판과 반대측)에 개구부를 가진 리셉터클 인슐레이터(하우징)와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의 내부에 상기 개구부와 대향하는 상태로 수납되고 회로기판의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각 리셉터클 컨택트는 서로 떨어져 있는 상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탄성편을 가지고 있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플러그 인슐레이터(하우징)와,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내부에 지지된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연결단자)와,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내면의 표면을 피복하는 절연판을 구비하고 있다. 플러그 인슐레이터는 한 쌍의 지지부재와 한 쌍의 지지부재를 접속시키는 탄성 변형 가능한 접합부를 구비하고 있다. 각 지지부재에는 지지부재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지지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각 플러그 컨택트는 직선적인 각주 형상의 연결부와 연결부의 양단부에서 연결부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각부를 구비하고 있다. 각 플러그 컨택트는 한 쌍의 각부를 한쪽의 지지부재의 지지구멍과 다른 쪽의 지지부재의 지지구멍으로 한쪽 측에서 삽입하고 각 각부의 선단부를 대응하는 지지구멍에서 회로기판 측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각 각부는 대응하는 지지구멍에 대하여 자신의 축선 둘레에 미소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하고, 각부가 회전하면 연결부가 지지부재에 대하여 상대 회전한다. 절연판은 각부의 선단과 반대측으로부터 각 지지부재에 피복되어 있고 각 각부가 대응하는 지지구멍으로부터 뽑혀 나오는 것을 규제한다.
플러그 커넥터의 한 쌍의 지지부재를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에 고정된 각 리셉터클 커넥터에 각각 근접시켜서 각 플러그 컨택트의 각부를 리셉터클 인슐레이터의 상기 개구부에 삽입하면, 각 각부가 대응하는 리셉터클 컨택트의 한 쌍의 탄성편 사이로 진입하면서 이 한 쌍의 탄성편에 의하여 탄성적으로 끼워져 고정된다. 그 결과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들은 플러그 컨택트와 리셉터클 컨택트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도통하게 된다. 따라서 특허문헌 1의 커넥터를 상기와 같은 LED 조명기구에 적용하면 각 회로기판에 전류가 흐르면서 각 LED가 발광하게 된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들이 설계위치에 대하여 LED 조명기구의 길이 방향으로 어긋난 경우에는 각 플러그 컨택트의 적어도 한쪽 각부가 대응하는 리셉터클 컨택트(한 쌍의 탄성편)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됨과 아울러 접합부가 탄성 변형되면서 한 쌍의 지지부재끼리의 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해당 위치 어긋남을 흡수한다.
한편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끼리가 설계위치에 대하여 투명관의 폭 방향으로 어긋난 경우에는 각 플러그 컨택트의 적어도 한쪽의 각부가 대응하는 지지구멍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고(연결부가 지지부재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고) 또한 접합부가 탄성 변형되면서 한 쌍의 지지부재끼리를 상기 폭 방향으로 상대 슬라이드시킴으로써 해당 위치 어긋남을 흡수한다.
특개 2010-33953호 공보
특허문헌 1의 커넥터에서는,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끼리가 설계 위치에 대해 투명관의 폭 방향에 어긋나는 것에 의하여서 각 플러그 컨택트의 각부가 대응하는 지지구멍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면, 각부와 지지구멍의 접촉부로부터 연결부까지의 거리가 멀어지기 때문에 특히 각부와 연결부의 접합부에 비틀리는 힘(회전 모멘트)이 발생하고, 이 비틀리는 힘은 양단의 접합부로부터 연결부로 전달된다.
그러나 연결부(및 각부)는 실질적으로 탄성변형 불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플러그 컨택트에 장기간에 걸쳐 비틀리는 힘이 작용하면 각부나 연결부가 변형되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플러그 컨택트와 리셉터클 컨택트의 접촉 신뢰성이 저하되기 쉽다.
또한 특허문헌 1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각 지지부재의 표면을 절연판으로 피복하고 있지만, 한 쌍의 지지부재 사이의 틈으로 플러그 컨택트(연결부)가 노출되어버리기 때문에 끼워 맞추는 작업 시에 플러그 컨택트가 변형되거나 플러그 컨택트에 작업자의 피지(손)가 부착되어 부식될 우려가 있다. 또한 분진이나 금속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기 쉽고 도통시 스파크의 원인이 될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회로기판끼리의 3차원적인 상대 이동을 허용하면서 높은 접촉신뢰성을 얻는 것이 가능하고 컨택트를 확실히 보호할 수 있게 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를 이용한 LED 조명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회로기판의 표면에 각각 고정되는 플러그 커넥터와,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회로기판에 고정된 2개의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접속시키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회로기판의 표면에 실장되는 실장부와, 상기 실장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회로기판과 반대측에 위치되며 또 상기 회로기판과 평행한 평면으로 절단한 단면형상이 서로 반대측을 향해 돌출되는 볼록선으로 된 한 쌍의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회로기판과 반대측에 위치되며 한 쌍의 상기 접촉부끼리의 간격보다 넓은 폭으로 된 빠짐방지부를 가지는 플러그 컨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서로 평행을 이루면서 직선적으로 뻗어 있고 외측에서 쌍을 이루는 2개의 상기 접촉부와 접촉되는 2 쌍의 접촉편과, 쌍을 이루는 상기 접촉편끼리를 접속시키면서 쌍을 이루는 상기 접촉편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한 2개의 탄성접속부와, 2개의 상기 탄성접속부끼리를 접속시키는 연결부를 가지는 리셉터클 컨택트와,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와 상기 접촉편에 접속되는 상기 플러그 컨택트의 주위를 둘러싸면서 상기 회로기판과의 대향면이 개구된 둘러싸는 벽과, 상기 둘러싸는 벽의 상기 회로기판과 반대측의 단부를 가로막는 폐쇄부를 가지면서,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를 지지하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를 구비하며, 상기 실장부의 상기 회로기판과의 대향면에는 납땜 도피용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러그 컨택트는 상기 빠짐방지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접촉부와 반대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빠짐방지부로부터 상기 접촉부와 반대측으로 갈수록 서로 접근하는 2 개의 경사면을 구비하여도 좋다.
상기 플러그 컨택트는 서로 분리되어 있으면서 각각 상기 접촉부를 구비한 제 1 파트 및 제 2 파트와, 상기 제 1 파트 및 제 2 파트를 접속시키는 파트 접속부를 구비하여도 좋다.
상기 플러그 컨택트는 상기 실장부와 상기 접촉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상기 실장부와 상기 회로기판의 사이에 실시한 납땜이 상기 접촉부 측으로 뻗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납땜 상승 방지부가 형성되어도 좋다.
상기 둘러싸는 벽의 상기 회로기판과의 대향 단면에는 상기 회로기판과 비평행한 경사단면이 형성되어도 좋다.
삭제
상기 둘러싸는 벽의 상기 회로기판과의 대향면에는, 인접하는 2개의 상기 회로기판의 인접단부와 상기 회로기판의 두께 방향에 대향하는 도피용 오목부가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LED 조명기구는 상기 커넥터 및 상기 회로기판을 복수로 구비하고 상기 회로기판에 LED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끼리의 사이에 리셉터클 커넥터의 길이방향(한쪽 접촉편 한 쌍과 다른 쪽 접촉편 한 쌍 사이의 이간(離間) 방향)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한 경우에는, 리셉터클 컨택트와 쌍을 이루는 접촉편이 플러그 컨택트의 쌍을 이루는 접촉부에 대해 상기 길이방향으로 상대 이동함으로써 이 위치 어긋남을 흡수한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끼리의 사이에 리셉터클 커넥터의 폭 방향(쌍을 이루는 접촉편의 이간 방향)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한 경우에는 플러그 컨택트의 한 쌍의 접촉부가 대응하는 한 쌍의 접촉편에 대하여 상대 회전함으로써 이 위치 어긋남을 흡수한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끼리의 사이에 회로기판의 두께방향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한 경우에는 플러그 컨택트(접촉부)가 접촉편에 대하여 상기 두께방향으로 상대 이동함으로써 이 위치 어긋남을 흡수한다.
따라서,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끼리가 리셉터클 커넥터의 길이방향, 리셉터클 커넥터의 폭 방향 및 회로기판의 두께방향의 어느 한 방향에 위치 어긋난 경우 및 이들의 각 방향에 복합적으로 위치 어긋난 경우에 있어서도 회로기판끼리를 확실히 도통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끼리의 사이에 리셉터클 커넥터의 폭 방향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한 경우는 플러그 컨택트의 한 쌍의 접촉부가 대응하는 한 쌍의 접촉편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기 때문에 플러그 컨택트와 접촉하고 있는 리셉터클 컨택트의 접촉편에는 힘이 가해진다. 그러나 접촉편에 걸린 힘은 탄성접속부가 탄성변형함으로써 흡수되기 때문에, 리셉터클 컨택트에 회전 모멘트가 발생하는 일이 없으므로, 이 힘은 연결부에는 거의 미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접촉편에 장기간에 걸쳐 힘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연결부가 변형되거나 파손될 우려는 거의 없어서 연결부의 변형이나 파손에 기인하여 접촉 신뢰성이 저하될 우려는 거의 없다.
또한 플러그 컨택트와 리셉터클 컨택트가 (플러그 인슐레이터의) 수납공간(둘러싸는 벽과 폐쇄벽에 의하여 둘러싸인 공간)에 수납되기 때문에 플러그 컨택트와 리셉터클 컨택트는 그 주위 전체가 회로기판과 플러그 인슐레이터에 의하여 보호된다. 그러므로 플러그 컨택트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속 작업시 뿐만 아니라 접속 후에도 플러그 컨택트와 리셉터클 컨택트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접속 후에는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부분을 피복하는 구조가 되기 때문에 극히 양호한 절연 성능을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및 직관형의 LED 조명기구로서, 한쪽의 플러그 인슐레이터를 회로기판으로부터 분리하여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플러그 컨택트의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플러그 컨택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플러그 컨택트의 정면도이다.
도 5는 플러그 컨택트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상방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하방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XI-X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XII-X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XIII-X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접속 상태에 있는 리셉터클 컨택트와 2 개의 플러그 컨택트의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끼리가 좌우방향에 위치 어긋났을 때의 리셉터클 인슐레이터를 생략하여 나타낸 커넥터 및 회로기판의 저면도이다.
도 16은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끼리가 전후방향에 위치 어긋났을 때의 리셉터클 인슐레이터를 생략하여 나타낸 커넥터 및 회로기판의 저면도이다.
도 17은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끼리가 상하방향에 위치 어긋났을 때의 커넥터 및 회로기판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를 생략하여 나타낸 도 17과 같은 측면도이다.
도 19는 제 1 변형예에 따른 플러그 컨택트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제 2 변형예에 따른 플러그 컨택트의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1은 제 2 변형예에 따른 플러그 컨택트의 측면도이다.
도 22는 제 2 변형예에 따른 플러그 컨택트의 평면도이다.
도 23은 제 3 변형예에 따른 플러그 컨택트의 평면도이다.
도 24는 제 4 변형예에 따른 플러그 컨택트의 평면도이다.
도 25는 제 5 변형예에 따른 플러그 컨택트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6은 제 5 변형예에 따른 플러그 컨택트의 정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 중 전후, 좌우 및 상하의 방향은 도면 중의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LED 조명기구(100)는, 전후 방향에 직선적으로 뻗어있는 원통상의 투명관(101)과 전후 방향으로 뻗어있는 일 평면(수평면) 상에 나란하도록 투명관(101) 내에 배치하여 설치한 다수의 회로기판(CB)과, 각 회로기판(CB)의 하면에 형성된 회로 형성면에 고정된 유닛(102)과,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CB)의 대향 모서리부끼리를 접속시키는 다수의 커넥터(10)를 구비하고 있다. LED 유닛(102)은 기판과, 상기 기판과 일체화된 LED(103)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기판은 각 회로기판(CB)의 하면에 형성된 회로(도시 생략)에 접속(납땜)되어 있다.
각 커넥터(10)는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CB)에 각각 고정되는 한 쌍의 플러그 컨택트(15)(플러그 커넥터)와, 한 쌍의 플러그 컨택트(15)끼리를 접속시키는 리셉터클 커넥터(25)를 구비한다.
먼저 플러그 컨택트(15)의 상세한 구조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플러그 컨택트(15)는 스프링 탄성을 구비한 동합금(예를 들면 인청동, 베릴륨동, 티탄동)이나 코르손계 동합금 박판을 도시된 형상이 되도록 스탬핑 형성한 것이다. 플러그 컨택트(15)의 표면에는 니켈 도금으로 하지를 형성시킨 후 주석 도금이나 금 도금을 실시한다. 또한, 도금 처리한 금속 모재를 스탬핑 성형하여 플러그 컨택트(15)를 구성해도 좋다.
상기 플러그 컨택트(15)는, 서로 좌우 대칭을 이루는 제 1 파트(16A) 및 제 1 파트(16B), 제 1 파트(16A)와 제 1 파트(16B)를 접속시키는 파트 접속부(22)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파트(16A)와 제 1 파트(16B)는 대략 수평한 실장부(17)와 실장부(17)의 내측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뻗어있는 납땜 상승 방지부(18)과, 납땜 상승 방지부(18)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뻗어있는 접촉부(19)와, 접촉부(19)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뻗어있는 빠짐방지부(20)와, 빠짐방지부(20)의 하단에 접속된 끌어들임 면(21)(경사면)을 가지고 있다. 접속부(19)는 어느 상하 위치에 있어서도 곡률(曲率)이 일정한 단면 원호상태이다. 납땜 상승 방지부(18)는 실장부(17)로부터 접촉부(19)의 사이에 걸쳐진 부위이며, 그 표면에 형성된 상기 표층 도금(주석 도금이나 금 도금)을 벗겨냄으로써, 또는 선택적으로 표층 도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니켈 도금을 노출시킨 낮은 젖음성 영역(18A)으로 되어 있다. 특히 접촉부(19)에는 납땜이 올라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적어도 납땜 상승 방지부(18)의 외면에 낮은 젖음성 영역(18A)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빠짐방지부(20)의 단면형상은 납땜 상승 방지부(18) 및 접촉부(19)보다 큰 직경의 원호형상이다. 빠짐방지부(20)의 상부는 하방을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직경이 확대되는 경사부(20A)이며, 경사부(20A)를 제외한 부분은 어느 상하 위치에 있어서도 곡률이 일정한 일정경부(20B)로 되어 있다. 파트 접속부(22)의 좌우 양단부는 상방을 향해 곡절되어 있고, 파트 접속부(22)의 좌우 양단부는 제 1 파트(16A)의 끌어들임 면(21)과 제 1 파트(16B)의 끌어들임 면(21)에 각각 접속하고 있다. 파트 접속부(22)의 하면에는 수평당접면(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러그 컨택트(15)는 투명관(101)의 외부에서 비스듬하게 회로기판(CB)에 실장된다.
상기 플러그 컨택트(15)를 회로기판(CB)의 회로형성면에 실장하려면, 회로기판(CB)의 회로형성면을 위로 향하게 하고 회로기판(CB)의 상방에 위치하는 흡인수단(도시 생략)으로 (도 2 내지 도 5의 상태와는 상하를 반대로 한) 플러그 컨택트(15)의 수평당접면(23)을 흡착하고, 상기 흡인수단을 이동시켜 플러그 컨택트(15)의 한 쌍의 실장부(17)를 회로기판(CB)의 회로형성면에 올려놓은 다음, 흡인수단을 플러그 컨택트(15)의 상방으로 퇴피시킨다. 그리고 표면실장기술(SMT : Surface Mounting Technology)을 이용해서 플러그 컨택트(15)의 한 쌍의 실장부(17)를 회로형성면의 회로에 납땜 부착(고정)한다. 이때 상기 회로형성면과 실장부(17)의 사이에 실시한 납땜 A(납땜 필렛. 도 4 참조)의 일부가 실장부(17)로부터 접촉부(19)측으로 흘러가는 일이 있지만, 실장부(17)와 접촉부(19)의 사이에는 납땜 상승 방지부(18)(낮은 젖음성 영역(18A))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납땜 A가 접촉부(19)까지 도달하는 일은 없다.
이어서 리셉터클 커넥터(25)의 상세한 구조에 대하여 주로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25)는 리셉터클 커넥터(27)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9)와 절연 커버(60)를 구비한다.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27)는 스프링 탄성을 구비한 동합금(예를 들면 인청동, 베릴륨동, 티탄동)이나 코르손계 동합금의 박판을 도시 형상이 되도록 스탬핑 성형한 것이며, 그 표면에는 니켈 도금으로 하지를 형성한 후에 주석 도금이나 금 도금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도금 처리한 금속 모재를 스탬핑 성형하여 리셉터클 컨택트(27)을 구성해도 좋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컨택트(27)는 전후 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뻗어있는 전후 대칭 및 좌우 대칭인 부재이다.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27)의 전부와 후부에는 끼워맞춤 접속부(28)가 형성되어 있다. 전후의 끼워맞춤 접속부(28)는 단면이 U자형을 이루는 전후 한 쌍의 탄성접속부(29)와, 쌍을 이루는 전후의 탄성접속부(29)의 좌우 양단에 접속된 좌우 한 쌍의 접촉편(31)과, 외측의 탄성접속부(29)(전측의 끼워맞춤 접속부(28)는 전측의 탄성접속부(29), 후측의 탄성접속부(29)와 후측의 탄성접속부(29))에서 상방을 향해 돌출하는 단부걸림편(34)를 가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 직선적으로 뻗어있는 접촉편(31)의 단면형상은 대략 “く”자 형상이며, 쌍을 이루는 좌우의 접촉편(31)의 대향부에는 좌우 방향에 뻗어있는 접촉돌출부(32)가 형성되어 있고, 접촉돌출부(32)보다 상측의 부분은 경사안내부(33)를 구성하고 있다. 리셉터클 컨택트(27)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는, 전측의 끼워맞춤 접속부(28)(의 후방의 탄성접속부(29))와 후측의 끼워맞춤 접속부(28)(의 전방의 탄성접속부(29))를 연결하는 중간연결부(35;연결부)로 되어 있다. 중간연결부(35)는 평판 상의 당접부(36)와, 당접부(36)의 좌우 양측 모서리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돌출하는 좌우 한 쌍의 중앙걸림편(37)을 가지고 있다. 중간연결부(35)의 중앙부(중앙걸림편(37)이 형성된 부분)의 단면형상은 탄성접속부(29)와 같은 형상이다. 또한 리셉터클 컨택트(27)가 자유 상태에 있을 때, 쌍을 이루는 좌우의 접촉편(31)의 접촉돌출부(32)끼리의 좌우 간격은 플러그 컨택트(15)의 파트 접속부(22)의 좌우 길이보다 길고, 또 플러그 컨택트(15)의 좌우의 빠짐방지부(20)(경사부(20A), 일정 경부(20B))끼리의 좌우 간격 및 좌우의 접속부(19)의 좌우 간격보다 짧다.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9)는 절연성의 합성수지료를 사출 성형한 일체성형물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9)의 내부는 중공이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9)의 내부 공간 전체가 수납공간(40)으로 되어 있다.
상기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9)는 전후 방향에 뻗어있는 좌우 한 쌍의 측벽(41)(둘러싸는 벽)과, 좌우의 측벽(41)의 전후 양단끼리를 접속시키는 전후 한 쌍의 단부벽(42)(둘러싸는 벽)과, 측벽(41) 및 단부벽(42)의 아래 모서리부에 의하여 둘러싸인 부분을 폐쇄하는 폐쇄부(43)를 구비한다.
상기 좌우의 측벽(41)의 상단면의 전후 방향의 중앙부에는 도피용 오목부(45)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측벽(41)의 상단면의 좌우 양측부는 상하 방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수평면인 수평면(46)과, 수평면(46)보다 단부벽(42) 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구성하는 외측경사단면(47; 경사단면)과, 수평면(46)보다 도피용 오목부(45) 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구성하는 내측경사단면(48; 경사단면)을 구비하고 있다. 외측경사단면(47)은 수평면(46)으로부터 단부벽(42)측으로 갈수록 하방을 향하는 경사면이며, 내측경사단면(48)은 수평면(46)으로부터 도피용 오목부(45)측으로 갈수록 하방을 향하는 경사면이다.
전후의 단부벽(42)의 내면의 상부에는 단부걸림고리(50)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단부걸림고리(50)의 하면은 수평면이며, 단부걸림고리(50)의 상부에는 안내경사면(51)이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측벽(41)의 내면의 중앙부의 상단부에는 전후 한 쌍의 중간연결부용 걸림고리(53)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중간연결부용 걸림고리(53)의 하면은 수평면이며, 중간연결부용 걸림고리(53)의 상부에는 안내경사면(5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측벽(41)의 내면의 중앙 근접부의 상단부에는 전후 한 쌍의 칸막이벽(55)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각 칸막이벽(55)의 상단부와 측벽(41)에 걸친 부분에는 커버용 걸림돌기(56)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커버용 걸림돌기(56)의 하면은 수평면이며, 커버용 걸림돌기(56)의 상부에는 안내경사면(57)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 커버(60)는 절연성 수지재료로 구성된 판상의 일체형성물이다. 절연 커버(60)의 전후 양단부에는 전방과 후방을 향해 각각 뻗어있는 한 쌍의 걸어맞춤편(61)이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절연 커버(60)의 좌우 양 모서리부의 중앙부에는 간섭방지용 오목부(62)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리셉터클 컨택트(27),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9) 및 절연 커버(60)를 일체화하여 리셉터클 커넥터(25)를 조립할 때에는,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컨택트(27)를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9)의 바로 위에 위치시킨 후에, 리셉터클 컨택트(27) 전체를 하방으로 이동시켜서 수납공간(40)에 삽입하고 좌측의 끼워맞춤 접속부(28)을 좌측의 단부벽(42)와 칸막이벽(55)의 사이에 위치시킨 다음, 우측의 끼워맞춤 접속부(28)를 우측의 단부벽(42)과 칸막이벽(55)의 사이에 위치시키고, 중간연결부(35)를 각 칸막이벽(55)의 사이에 위치시킨다. 그러면 당접부(36)의 하면 및 각 탄성접속부(29)의 하면이 수납공간(40)의 저면(폐쇄부(43)의 상면))에 면접촉하기 때문에, 리셉터클 컨택트(27)의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9)에 대한 하방으로의 상대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전후의 단부 걸림편(34)이 전후의 단부걸림고리(50)의 안내경사면(51)에 접촉하면서 내측(전측의 단부걸림편(34)는 후측, 후측의 단부걸림편(45)는 전측)으로 탄성변형함에 따라 단부걸림고리(50)를 하방으로 뛰어 넘어서, 전후의 단부걸림편(34)의 상단면이 대응하는 단부걸림고리(50)의 하면보다 낮은 위치까지 이동했을 때, 전후의 단부걸림편(34)이 자신의 탄성력에 의하여 자유 상태로 복귀하고, 단부걸림편(34)의 상단면이 대응하는 단부걸림고리(50)의 하면과 걸어맞추어진다(도 11참조). 또한 좌우의 중앙걸림편(37)이 좌우의 중간연결부용 걸림고리(53)의 안내경사면(54)에 당접하면서 측벽(41)을 외측(좌측의 측벽(41)은 좌측, 우측의 측벽(41)은 우측)으로 확장시키는(탄성 변형시키는) 것에 의하여 대응하는 중간연결부용 걸림고리(53)를 하방으로 뛰어 넘고, 좌우의 중앙걸림편(37)의 상단면이 대응하는 중간연결부용 걸림고리(53)의 하면보다 낮은 위치까지 이동했을 때에 좌우의 측벽(41)이 자신의 탄성력에 의하여 자유상태로 복귀하고, 중앙걸림편(37)의 상단면이 대응하는 중간연결부용 걸림고리(53)의 하면과 걸어맞추어진다(도 11 참조). 따라서 리셉터클 컨택트(27)의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9)에 대한 상방으로의 상대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전측의 단부걸림편(34)와 전측의 단부벽(42)의 내면의 클리어런스는 미소(매우 짧은) 거리가 되기 때문에(도 11 참조), 리셉터클 컨택트(27)의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9)에 대한 전후 방향의 상대이동도 실질적으로 규제된다. 한편,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탄성접속부(29)의 좌우 양측부와 각 접촉편(31)은 좌우의 측벽(41)의 내면에서부터 내측으로 이간되어 있기 때문에, 각 탄성접속부(29)의 좌우 양측부 및 각 접촉편(31)은 좌우방향에 탄성변형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로 인해 리셉터클 컨택트(27)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9)에 의하여 내부 응력이 발생하지 않는 무 부하상태로 지지된다.
이어서 도 6,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9)의 바로 위에 위치시킨 절연 커버(60)를 하방에 이동시켜 좌우의 간섭방지용 오목부(62)에 좌우의 중간연결부용 걸림고리(53)를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절연커버(60) 전체를 좌우의 측벽(41)과 각 칸막이벽(55)에 의하여 둘러싸인 공간에 삽입한다. 그러면 전후의 걸어맞춤편(61)이 전후의 커버용 걸림고리(56)의 안내경사면(57)에 당접하면서 탄성변형하는 것에 의하여 대응하는 2 개의 칸막이벽(55)을 각각 하방으로 뛰어 넘고, 전후의 걸어맞춤편(61)의 상단면이 대응하는 커버용 걸림고리(56)의 하면보다 낮은 위치까지 이동했을 때에, 전후의 걸어맞춤편(61)이 자신의 탄성력에 의하여 자유상태로 복귀해서 커버용 걸림고리(56)의 하면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도 11 참조). 이렇게 하여 절연커버(60)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9)에 장착되면, 절연커버(60)의 좌우 양 모서리부가 좌우의 중앙 걸림편(37)의 바로 위에 위치하지만, 절연커버(60)의 좌우 양 모서리부의 하면과 좌우의 중앙 걸림편(37)의 상단면의 사이, 또는(및) 전후의 걸어맞춤편(61)의 상면과 각 커버용 걸림고리(56)의 하면의 사이에는 미소(매우 작은) 클리어런스가 형성된다. 그 때문에 절연커버(60)의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9)에 대한 상하로의 상대 이동은 실질적으로 규제된다. 또한 절연커버(60)의 상면은 칸막이벽(55)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리셉터클 컨택트(27),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9) 및 절연커버(60)를 일체화하여 리셉터클 커넥터(25)를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어서 커넥터(10)(플러그 컨택트(15), 리셉터클 커넥터(25))를 이용해서 각 회로기판(CB)을 서로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전후 방향으로 뻗어있는 박판 형상을 이루면서 표면에 다수의 암 나사구멍이 형성된 고정판(도시 생략)의 표면을 상측으로 향하게 한 후에, 표면에 LED 유닛(102) 및 플러그 컨택트(15)가 실장(고정)된 다수의 회로기판(CB)의 뒷면(LED 유닛(102) 및 플러그 컨택트(15)와 반대측의 면)을 하방으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나란하게 상기 고정판의 표면에 올려놓는다. 또한, 전단에 위치하는 회로기판(CB)에는 후단부에만 2개의 플러그 컨택트(15)가 고정되어 있고, 후단에 위치하는 회로기판(CB)에는 전단부에만 2개의 플러그 컨택트(15)가 고정되어 있으나, 그 외의 회로기판(CB)은 전후 양단부에 합계 4개(전단부와 후단부에 2개씩)의 플러그 컨택트(15)가 고정되어 있다.
이어서 회로기판(CB)에 형성된 관통구멍(도시 생략)에 고정나사를 삽입하고 각 고정나사의 나사홈을 상기 고정판의 대응되는 암 나사구멍에 나사 결합하여 각 회로기판(CB)을 고정판에 고정한다.
그 다음,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CB)의 대향하는 단부에 각각 고정된 전후 방향에 대향하는 2개의 플러그 컨택트(15)의 바로 위에 도시된 상태와는 상하를 반대로 하여 리셉터클 커넥터(25)를 위치시키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25)를 하방(회로기판(CB)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도 1 및 도 10 내지 도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납공간(40)의 전부가 전측의 플러그 커넥터(15)로 덮어 씌워지고 수납공간(40)의 후부가 후측의 플러그 컨택트(15)로 덮어 씌워지게 된다. 좌우에 대향하는 2개의 경사안내부(33)의 선단(접속작업시에는 하단)끼리의 좌우 간격이 파트 접속부(22)의 좌우 길이보다 크기 때문에, 그 때 파트 접속부(22)는 좌우에 대향하는 2개의 경사안내부(33)의 사이로 원활하게 진입하게 된다. 그리고 전측에 위치하는 한 쌍(좌우)의 접촉편(31) 및 후측에 위치하는 한 쌍(좌우)의 접촉편(31)의 접촉돌출부(32)가, 대응하는 플러그 컨택트(15)의 좌우의 끌어들임 면(21)에 각각 접촉함으로 인해, 좌측의 접촉편(31) 및 각 탄성접속부(29)의 좌측부가 좌측으로 조금 탄성변형하고, 우측의 접촉편(31) 및 각 탄성접속부(29)의 우측부가 우측으로 조금 탄성변형된다. 그리고 좌우의 접촉돌출부(32)가 빠짐방지부(20)(경사부(20A), 일정경부(20B))를 하방으로 타고 넘어가면, 좌우의 접촉편(31)의 탄성변형량이 작아지면서 각 접촉돌출부(32)가 좌우의 접촉부(19)에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각 접촉돌출부(32)가 접촉부(19)에 접촉될 때, 플러그 컨택트(15)와 리셉터클 커넥터(25)의 접속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작업자는 클릭감을 체감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리셉터클 커넥터(25)가 전후의 플러그 컨택트(15)에 접속되면,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컨택트(15)의 대부분(실장부(17)의 회로기판(CB)측의 단부를 제외한 부분)이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9)의 수납공간(40)에 완전히 수납되고, 플러그 컨택트(15) 및 리셉터클 컨택트(27)의 주위 전체가 회로기판(CB)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9)에 의하여 보호된다. 또한 측벽(41) 및 단부벽(42)과 회로기판(CB)의 사이에 매우 작은 클리어런스가 형성되고, 측면에서 볼 때 수평면(46)이 회로기판(CB)와 평행이 된다. 또한 도피용 오목부(45)가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CB)의 대향단부와 회로기판(CB)의 두께방향으로 대향하게 된다.
또한 쌍을 이루는 전후의 탄성접속부(29)의 전후 간격이 플러그 컨택트(15)의 전후 길이보다 길기 때문에, 리셉터클 컨택트(27)(리셉터클 커넥터(25))는 플러그 컨택트(15)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가 자유롭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15)의 좌우의 접촉부(19)의 단면 형상이 원호 형상이기 때문에, 플러그 컨택트(15)의 접촉부(19)를 좌우로부터 끼워서 고정하는 한 쌍(좌우)의 접촉편(31)은 해당 플러그 컨택트(15)에 대하여(플러그 컨택트(15)의 상하 방향에 뻗어있는 중심축 둘레로) 상대회전 가능하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편(31)의 선단(도 13에서는 상단)과 실장부(17)의 사이에는 상하 방향의 틈이 존재하고, 또 경사부(20A)와 일정경부(20B)의 경계선(능선)과 접촉편(31)의 내면(의 접촉돌출부(32)보다 탄성접속부(29)측에 위치하는 부분)과의 사이에도 상하 방향의 틈이 생기기 때문에, 리셉터클 컨택트(27)(리셉터클 커넥터(25))는 플러그 컨택트(15)에 대하여 해당 틈의 합계 분 만큼 상하 방향에 슬라이드가 자유롭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쌍을 이루는 좌우의 접촉편(31)의 접촉돌출부(32)의 좌우 간격보다 플러그 컨택트(15)의 좌우의 빠짐방지부(20)(경사부(20A), 일정경부(20B))끼리의 좌우 간격 쪽이 크기 때문에 리셉터클 커넥터(25)를 회로기판(CB)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의도적으로 이동시키지 않는 한 플러그 컨택트(15)와 리셉터클 컨택트(27)의 접속 상태가 해제되는 일은 없다.
이렇게 해서 리셉터클 커넥터(25)를 2개의 플러그 컨택트(15)에 걸친 상태에서 접속하면, 리셉터클 컨택트(27)의 각 접촉편(31)(접촉돌출부(32))가 전후의 플러그 컨택트(15)와 접촉하기 때문에,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CB)끼리가 2개의 플러그 컨택트(15)와 1개의 리셉터클 컨택트(27)를 사이에 두고 서로 전기적으로 도통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일체화된 상기 고정판, 복수의 회로기판(CB) 및 커넥터(10)(플러그 컨택트(15), 리셉터클 커넥터(25))를 상하 반대로 한 상태에서(도 1에 도시된 상태로 해서) 투명관(101)의 내부에 삽입하고, 양단의 회로기판(CB)의 사이로 전류를 흐르게 하면 각 회로기판(DB)에 설치한 LED(103)가 발광하여 투명관(101)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조사된다.
또한 상기 고정판의 각 암 나사구멍이나 회로기판(CB)의 관통구멍의 형성 위치가 설계위치에서 좌우 방향이나 전후 방향으로 어긋나 있거나, 혹은 고정판의 표면이 평탄하지 않은 경우에는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CB)끼리가 서로 좌우 방향이나 전후 방향으로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게 된다.
그러나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CB)끼리가 좌우 방향에 위치 어긋남을 일으킨 경우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접촉편(31)이 플러그 컨택트(15)에 대해서(플러그 컨택트(15)의 상하 방향에 뻗어있는 중심축 둘레에) 상대회전함에 따라 이 좌우 방향의 위치 어긋남을 흡수한다.
또한 이 경우에는 플러그 컨택트(15)가 회로기판(CB)에 고정됨과 동시에 거의 탄성변형하지 않고(자세가 바뀌지 않고), 접촉편(31)이 탄성변형하면서 플러그 컨택트(15)에 대해 회전하기 때문에, 리셉터클 컨택트(27)(및 플러그 컨택트(15))에는 플러그 컨택트(15)와 접촉편(31)의 접촉부위를 중심으로 한 비트는 힘(회전 모멘트)이 거의 생겨나지 않는다. 또한 플러그 컨택트(15)와의 접동에 의하여 리셉터클 컨택트(27)에 발생한 매우 작은 응력은 접촉편(31)이 탄성변형하는 것에 의하여 효율 좋게 분산, 흡수된다. 더욱이 리셉터클 컨택트(27)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9)에 대하여 자유도를 가지고 걸어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좌우로의 위치 어긋남과 더불어 발생되는 내부 응력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고, 마찰 등으로 생기는 매우 작은 응력을 효율 좋게 분산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CB)끼리가 좌우에 위치 어긋남을 일으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판에 계속해서 고정되어 있다 하더라도, 중간연결부(35)가 변형되거나 파손될 우려는 거의 없다. 그 때문에 중간연결부(35)의 변형이나 파손에 기인해서 플러그 컨택트(15)와 리셉터클 컨택트(27)의 사이의 접촉 신뢰성이 저하될 우려가 거의 없고,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CB)끼리를 확실히 도통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플러그 컨택트(15)와 리셉터클 컨택트(27)(리셉터클 커넥터(25)에 의하여 흡수 가능한 좌우 방향의 위치 어긋남 양은 플러그 인슐레이터(30)의 수납공간(40)과 플러그 컨택트(15)와의 클리어런스 양을 변경하는 것으로 조정 가능하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CB)끼리가 전후 방향에 위치 어긋남을 일으킨 경우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컨택트(27)(리셉터클 커넥터(25))가 플러그 컨택트(15)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함에 따라 해당 위치 어긋남을 흡수하기 때문에, 이 경우에도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B)끼리를 확실하게 도통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CB)끼리가 상하 방향에 위치어긋남을 일으켰을 경우에는, 도 17,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컨택트(27)(리셉터클 커넥터(25))가 플러그 컨택트(15)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함에 따라(접촉돌출부(32)의 접촉부(19)에 대하여 접촉 위치가 상하로 변화함에 따라), 해당 위치 어긋남을 흡수한다. 또한 리셉터클 컨택트(27)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9)에 대하여 자유도를 가지고 걸어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상하로의 위치 어긋남과 더불어 생겨나는 내부 응력의 발생도 저감시킬 수 있고, 또 상하로의 위치 어긋남에 기인한 마찰등으로 생겨나는 매우 작은 응력을 효율 좋게 분산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CB)끼리가 상하에 위치어긋남을 일으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판에 계속해서 고정되어 있다 하더라도 중간연결부(35)가 변형되거나 파손될 우려가 거의 없다. 따라서, 이 경우도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CB)끼리를 확실히 도통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때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9)가 각 회로기판(CB)에 대하여 측면에서 볼 때 경사져 있기 때문에 인접하는 회로기판(CB)에 대하여 하방에 위치한 회로기판(CB)(도면 중의 전측의 회로기판(CB))의 단부로는 측벽(41)의 상단면이 접근하지만,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CB)의 해당 단부는 도피용 오목부(45)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회로기판(CB)의 해당 단부는 측벽(41)과 간섭되지는 않는다. 또한 측벽(41)의 각 외측경사면(47)과 각 내측경사면(48)은, 인접하는 회로기판(CB)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할 때에는 측면에서 볼 때 각 회로기판(CB)에 대하여 경사져 있기 때문에,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CB)끼리가 상하 방향에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의 내측 경사단면(48)과 후방의 외측경사단면(47)이 회로기판(CB)과 대략 평행이 되면서 전후의 회로기판(CB)과 대략 평행한 상태로 전후의 회로기판(CB)에 각각 접근한다. 그 때문에 서로 이웃하는 2매의 회로기판(CB)의 하면이 전방의 내측경사단면(48)과 후방의 외측경사단면(47)에 접촉하는 일은 없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회로기판(CB)끼리가 좌우 방향,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의 각 방향에 복합적으로 위치 어긋남을 일으킨 경우도 상기와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플러그 컨택트(15)는 제 1 파트(16A)와 제 2 파트(16B)의 사이에 슬릿을 형성시켜 기능상 불필요한 부위가 (거의) 없도록 한 구조이므로 플러그 컨택트(15)의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플러그 컨택트(15) 및 리셉터클 컨택트(27)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9)(수납공간(40))에 수납되고, 플러그 컨택트(15) 및 리셉터클 컨택트(27)의 주위 전체는 회로기판(CB)와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9)에 의하여 보호된다. 그 때문에 플러그 컨택트(15)와 리셉터클 컨택트(27)의 끼워 맞춤 작업시 뿐만 아니라 끼워 맞춘 후에도 리셉터클 컨택트(27)과 플러그 컨택트(15)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9)의 폐쇄부(43)에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9)의 형성 시에 금형을 빼기 위한 4 개의 구멍이 형성되지만(도 1, 도 6, 도 9 등을 참조), 이들 구멍은 작고 또 LED 조명기구(100)을 조립할 때에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9)의 하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들 구멍으로부터 피지나 이물이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9)의 내부로 침입해서 리셉터클 컨택트(27)이나 플러그 컨택트(15)에 부착될 우려가 적고, 접촉 불량이나 스파크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걸어맞춘 후에는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부분(리셉터클 컨택트(27)와 플러그 컨택트(15), 회로기판(CB)의 실장부)이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9) 및 회로기판(CB)에 의하여 덮어 씌워지고, 게다가 절연 커버(60)에 의하여 리셉터클 컨택트(27)의 중간연결부(35)와 회로기판(CB)의 사이가 절연되므로, 매우 양호한 절연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컨택트(27)의 상하 치수를 플러그 컨택트(15)보다 작게(얇게) 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커넥터(10)의 저배화가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각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19 내지 도 26에 도시된 각 변형예의 상태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9에 도시된 제 1 변형예의 플러그 컨택트(15')는 실장부(17')의 형상이 플러그 컨택트(15)의 실장부(17)과는 다르다. 즉, 실장부(17')는 실장부(17)에 상당하는 부분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하는 연장부(17A)를 구비하고 있으며, 연장부(17A)의 상면(회로기판(CB)과의 실장면)에는 연장부(17B)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연장부(17A)를 회로기판(CB)에 대하여 납땜하여 플러그 컨택트(15')를 회로기판(CB)에 실장하는 경우, 납땜의 일부는 연장부(17A)(실장부(17A')를 타고 접촉부(19)측으로 이동하려고 한다. 그러나 실장부(17A')는 실장부(17)보다 길기 때문에 납땜이 실장부(17')의 기단부까지 이동할 우려가 적다. 또한 실장부(17')의 기단부로 이동하려고 하는 납땜의 일부는 납땜 도피용 오목부(17B)로 향하기 때문에, 접촉부(19)측으로 향하는 납땜의 양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납땜 상승 방지부(18)(낮은 젖음성 영역(18A))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도 납땜이 접촉부(19)측으로 뻗어나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된 제 2 변형예의 플러그 컨택트(65)는, 도전성을 가진 금속선재(예를 들면 인청동, 베릴륨동, 티탄동 등의 동합금이나 코르손계 합금 선재)를 압축 가공한 후, 표면에 니켈 도금으로 하지를 형성한 후, 니켈 도금의 표면을 주석 도금이나 금 도금으로 감싼 것이다. 플러그 컨택트(65)는 상하 방향으로 뻗어있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대칭 형상의 중실 구조(내부에 중공부가 존재하지 않는 구조)이며, 실장부(66), 납땜 상승 방지부(67), 접촉용 원주부(68), 빠짐방지부(69), 테이퍼 면(70) 및 단부(71)를 구비하고 있다. 실장부(66)는 원판 형상이다. 접촉용 원주부(68)는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 형상이며, 실장부(66)보다 작은 직경이다. 접촉용 원주부(68)의 좌우 양측부가 각각 접촉부(68A)를 구성하고 있다. 실장부(66)과 접촉용 원주부(68)의 단부를 접속하는 환형의 납땜 상승 방지부(67)는 접촉용 원주부(68)보다 아주 조금 큰 직경이며, 그 표면은 상기 도금(주석 도금이나 금 도금)을 벗겨내어 상기 니켈 도금을 노출시킨 낮은 젖음성 영역(67A)이다. 빠짐방지부(69)의 상부는 하방에 향함에 따라 서서히 경사가 확장되는 경사부(69A)이며, 경사부(69A)를 제외한 부분은 어느 상하 위치에 있어서도 곡율이 일정한 일정 경부(69B)로 되어 있다. 테이퍼 면(70)은 하방을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경사가 축소되는 형상이며, 테이퍼 면(70)의 좌우 양측부가 각각 끌어들임 면(70A)(경사면)을 구성하고 있다. 단부(71)의 하단면은 수평면으로 된 수평당접면(72)로 되어 있다.
플러그 컨택트(65)는 실장부(66)를 회로기판(CB)에 대하여 납땜하는 것으로 인해 회로기판(CB)에 실장할 수 있다. 이때 납땜의 일부가 접촉용 원주부(68)측으로 뻗어나가려고 하지만, 납땜의 뻗어나감은 납땜 상승 방지부(67)에 의하여 방지된다.
또한 리셉터클 컨택트(27)가 자유상태에 있을 때, 쌍을 이루는 좌우의 접촉편(31)의 접촉돌출부(32)끼리의 좌우 간격은, 플러그 컨택트(65)의 단부(71)의 직경보다 길고, 또 플러그 컨택트(65)의 접촉용 원주부(68)의 직경 및 빠짐방지부(69)(경사부(69A), 일정경부(69B))의 직경보다 짧다. 그리고 접촉용 원추부(68)(접촉부(68A)의 상하 길이는 접촉부(19)와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플러그 컨택트(65)와 리셉터클 커넥터(25)를 구비하는 본 변형예의 커넥터는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은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압축 가공에 의하여 플러그 컨택트(65)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스탬핑 성형에 의한 형성물인 플러그 컨택트(15, 15')에 비해서 생산 비용을 적게 들이는 것이 가능하다.
도 23에 도시된 제 3 변형예의 플러그 컨택트(65')의 기본 구조 및 제조 방법은 플러그 컨택트(65)와 같으며, 실장부(66)에 한 쌍의 연장부(17A)를 돌출되게 설치한 것이다. 그 때문에, 플러그 컨택트(65')와 리셉터클 커넥터(25)를 구비한 본 변형예의 커넥터는 제 1, 제 2 변형예와 같은 작용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제 4 변형예의 플러그 컨택트(65'')의 기본 구조 및 제조 방법은 플러그 컨택트(65)와 같으며, 실장부(66)의 상면에 원형의 납땜 도피용 오목부(73)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 플러그 컨택트(65'')와 리셉터클 커넥터(25)를 구비한 본 변형예의 커넥터도 제 1, 제 2 변형예와 같은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25, 도 26에 도시된 제 5 변형예의 플러그 컨택트(75)의 기본 구조 및 제조 방법은 플러그 컨택트(65)와 같으며, 압축 가공에 의하여 형성된 것이다. 단, 테이퍼 면(76)(좌우 양측부가 각각 끌어들임 면(76A;경사면)을 구성하고 있다)의 상하 길이가 테이퍼 면(70)에 비해 크다는 점이 플러그 컨택트(65)와 다르다. 이 플러그 컨택트(75)와 리셉터클 커넥터(25)를 구비한 본 변형예의 커넥터가 제 2 변형예와 같은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플러그 컨택트(75)에 대하여, 제 3 변형예나 제 4 변형예와 같은 변형을 실시해서 실시해도 좋다.
또한 좌우의 접촉부(19, 68A)는 도시된 단면 형상일 필요는 없고, 회로기판(CB)와 평행한 평면으로 절단한 단면 형상이 서로 반대측을 향해 돌출하는 볼록 곡선을 이루는 형상이라면, 다른 단면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접촉편(31)은 전체가 대략 “く”자 형상의 단면형상을 하고 있으나, 접촉편(31)의 일부만(예를 들면 길이 방향의 중앙부만) 대략 “く”자 형상의 단면으로 하고(해당 부분에만 접촉돌출부(32)를 형성하여), 그 외 부위의 단면 형상을 다른 형상(단면을 대략 “く”자 형상보다 탄성변형하기 쉬운 형상)으로 해도 좋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25)는 절연 커버(60)를 구비하지 않는 모양으로 실시해도 좋다.
또한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9)의 재료의 반사율을 최적화하거나, 리셉터클 인슐레이터(39)의 표면에 빛 흡수 방지 코팅을 실시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 커넥터에 의한 빛 흡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 및 각 변형예에서는 커넥터(10)을 LED 조명기구(100)에 적용하였지만, LED 조명기구(100)와는 다른 전자 기기나 전기 기기에 적용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커넥터
15, 15' : 플러그 컨택트(플러그 커넥터)
16A : 제 1 파트 16B : 제 2 파트
17, 17' : 실장부 17A : 연장부
17B : 납땜 도피용 오목부 18 : 납땜 상승 방지부
18A : 낮은 젖음성 영역 19 : 접촉부
20 : 빠짐방지부 20A : 경사부
20B : 일정경부 21 : 끌어들임 면(경사면)
22 : 파트 접속부 23 : 수평당접면
25 : 리셉터클 커넥터 27 : 리셉터클 컨택트
28 : 끼워맞춤 접속부 29 : 탄성접속부
31 : 접촉편 32 : 접촉돌출부
33 : 경사안내부 34 : 단부걸림편
35 : 중간연결부(연결부) 36 : 당접부
37 : 중앙걸림편 39 : 리셉터클 인슐레이터
40 : 수납공간 41 : 측벽(둘러싸는 벽)
42 : 단부벽(둘러싸는 벽) 43 : 폐쇄부
45 : 도피용 오목부 46 : 수평면
47 : 외측경사단면(경사단면) 48 : 내측경사단면(경사단면)
50 : 단부걸림고리 51 : 안내경사면
53 : 중간연결부용 걸림고리 54 : 안내경사면
55 : 칸막이 벽 56 : 커버용 걸림고리
57 : 안내경사면 60 : 절연 커버
61 : 걸어맞춤편 62 : 간섭방지용 오목부
65, 65', 65'' : 플러그 컨택트(플러그 커넥터)
66 : 실장부 67 : 납땜 상승 방지부
67A : 낮은 젖음성 영역 68 : 접촉용 원주부
68A : 접촉부 69 : 빠짐방지부
69A : 경사부 69B : 일정경부
70 : 테이퍼 면 71 : 단부
72 : 수평당접면 73 : 납땜 도피용 오목부
75 : 플러그 컨택트(플러그 커넥터) 76 : 테이퍼 면
76A : 끌어들임 면(경사면) 100 : LED 조명기구
101 : 투명관 102 : LED 유닛
103 : LED(반도체 발광소자) CB : 회로기판

Claims (8)

  1. 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회로기판의 표면에 각각 고정되는 플러그 커넥터와,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회로기판에 고정된 2개의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접속시키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회로기판의 표면에 실장되는 실장부와,
    상기 실장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회로기판과 반대측에 위치되며, 또 상기 회로기판과 평행한 평면으로 절단한 단면형상이 서로 반대측을 향해 돌출되는 볼록선으로 된 한 쌍의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회로기판과 반대측에 위치되며, 한 쌍의 상기 접촉부끼리의 간격보다 넓은 폭으로 된 빠짐방지부
    를 가지는 플러그 컨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서로 평행을 이루면서 직선적으로 뻗어 있고 외측에서 쌍을 이루는 2개의 상기 접촉부와 접촉되는 2 쌍의 접촉편과, 쌍을 이루는 상기 접촉편끼리를 접속시키면서 쌍을 이루는 상기 접촉편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한 2개의 탄성접속부와, 2개의 상기 탄성접속부끼리를 접속시키는 연결부를 가지는 리셉터클 컨택트와,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와 상기 접촉편에 접속되는 상기 플러그 컨택트의 주위를 둘러싸면서 상기 회로기판과의 대향면이 개구된 둘러싸는 벽과, 상기 둘러싸는 벽의 상기 회로기판과 반대측의 단부를 가로막는 폐쇄부를 가지면서,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를 지지하는 리셉터클 인슐레이터를 구비하며,
    상기 실장부의 상기 회로기판과의 대향면에는 납땜 도피용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컨택트가,
    상기 빠짐방지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접촉부와 반대측에 위치하면서 상기 빠짐방지부로부터 상기 접촉부와 반대측으로 갈수록 서로 접근하는 2 개의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컨택트가,
    서로 분리되어 있으면서 각각 상기 접촉부를 구비한 제 1 파트 및 제 2 파트와,
    상기 제 1 파트 및 제 2 파트를 접속시키는 파트 접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컨택트가,
    상기 실장부와 상기 접촉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에, 상기 실장부와 상기 회로기판의 사이에 실시한 납땜이 상기 접촉부 측으로 뻗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납땜 상승 방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둘러싸는 벽의 상기 회로기판과의 대향 단면에는 상기 회로기판과 비평행한 경사단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둘러싸는 벽의 상기 회로기판과의 대향면에는, 인접하는 2개의 상기 회로기판의 인접단부와 상기 회로기판의 두께 방향에 대향하는 도피용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 1항의 커넥터 및 상기 회로기판을 복수로 구비하고,
    상기 회로기판에 LED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기구.
KR1020120026374A 2011-11-29 2012-03-15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이용한 엘이디 조명기구 KR1013390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60737A JP2013114933A (ja) 2011-11-29 2011-11-29 コネクタ、及び、該コネクタを利用したled照明器具
JPJP-P-2011-260737 2011-1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0100A KR20130060100A (ko) 2013-06-07
KR101339029B1 true KR101339029B1 (ko) 2013-12-10

Family

ID=48710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6374A KR101339029B1 (ko) 2011-11-29 2012-03-15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이용한 엘이디 조명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3114933A (ko)
KR (1) KR1013390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49948A (ja) * 2013-01-31 2014-08-21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組立体
JP6840594B2 (ja) 2017-03-27 2021-03-10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組立体
JP6899496B2 (ja) * 2018-04-09 2021-07-07 シグニファイ ホールディング ビー ヴィSignify Holding B.V. 多基板電力コネク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26681A (ja) 2007-03-14 2008-09-25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2010232155A (ja) 2009-03-06 2010-10-14 Fujitsu Component Ltd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26681A (ja) 2007-03-14 2008-09-25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2010232155A (ja) 2009-03-06 2010-10-14 Fujitsu Component Ltd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114933A (ja) 2013-06-10
KR20130060100A (ko) 201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8734B1 (ko)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이용한 엘이디 조명기구
US10879635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674998B1 (ko) 커넥터
US9647361B2 (en) Connector
US7128607B2 (en) Socket connector with reliable shielding member
US20120300403A1 (en) Receptacle Heat Sink Connection
WO2016004895A1 (zh) 电连接器及具有该电连接器的线缆连接器
US20100136841A1 (en) Electrical connector
US9577385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a cable
US11677192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metallic cage having elastic grounding fingers around the mounting portion
US20100291798A1 (en) Connector
JP2011040225A (ja) シールドケース、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KR101184357B1 (ko) 커넥터 조립체 및 이 커넥터 조립체에 이용되는 커넥터
US9425558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outer shielding covered by a cover with a resilient plate extending upward and rearward
JP6045953B2 (ja) コネクタ
US20120184126A1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cover
JP2018200850A (ja) 電気コネクタ
KR101339029B1 (ko)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이용한 엘이디 조명기구
US20050124198A1 (en) Socket connector for integrated circuit
JP2009252725A (ja) シールドケース及び基板アッセンブリ
JP6582083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US20150050835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series
WO2015045623A1 (ja) コネクタ
US20080232741A1 (en) Connector receptacle for use with optical elements
WO2021020459A1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