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965A - 고해상도 저잡음 디지털 제어 발진기 - Google Patents

고해상도 저잡음 디지털 제어 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965A
KR20120008965A KR1020100070437A KR20100070437A KR20120008965A KR 20120008965 A KR20120008965 A KR 20120008965A KR 1020100070437 A KR1020100070437 A KR 1020100070437A KR 20100070437 A KR20100070437 A KR 20100070437A KR 20120008965 A KR20120008965 A KR 20120008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differential
electric current
signal
controlled oscil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7430B1 (ko
Inventor
이승우
최광천
최우영
이범철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70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7430B1/ko
Publication of KR20120008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7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7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BGENERATION OF OSCILLATIONS, DIRECTLY OR BY FREQUENCY-CHANGING, BY CIRCUITS EMPLOYING ACTIVE ELEMENTS WHICH OPERATE IN A NON-SWITCHING MANNER; GENERATION OF NOISE BY SUCH CIRCUITS
    • H03B5/00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 H03B5/0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 H03B5/12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 H03B5/1228Generation of oscillations using amplifier with regenerative feedback from output to input with frequency-determining element comprising lump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active element in amplifier being semiconductor device the amplifier comprising one or more field effect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3/00Circuits for generating electric pulses; Monostable, bistable or multistable circuits
    • H03K3/02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 H03K3/027Generat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ircuit or by the means used for producing pulses by the use of logic circuits, with internal or external positive feedback
    • H03K3/03Astable circuits
    • H03K3/0315Ring oscilla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99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controlled oscillator of the loop
    • H03L7/0995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controlled oscillator of the loop the oscillator comprising a ring oscillat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66Digital/analogue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ductance-Capacitance Distribution Constants And Capacitance-Resistance Oscillators (AREA)
  • Oscillators With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AREA)

Abstract

디지털 제어 발진기는 N 비트의 디지털 코드 신호를 입력으로 수신하고, 상기 디지털 코드 신호에 대응하는 제1 차동 전류 신호 및 제2 차동 전류 신호를 생성하는 차동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및 상기 제1 차동 전류 신호 및 상기 제2 차동 전류 신호 사의 차이에 따라 적응적으로 조절되는 발진 주파수를 생성하는 차동 전류 제어 발진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해상도 저잡음 디지털 제어 발진기{HIGH RESOLUTION LOW NOISE DIGITAL CONTOLLED OSCILLATOR}
본 발명은 디지털 코드로 제어할 수 있는 주파수 발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9-S-043-01, 과제명: Scalable 마이크로 플로우 처리 기술 개발].
디지털 제어 발진기(Digitally Controlled Oscillator)는 발진 주파수의 제어를 위한 신호로 아날로그 전압 혹은 전류를 사용하지 않고, 디지털코드를 사용하여 발진 주파수를 제어한다. 디지털 코드를 사용하는 디지털 제어 발진기는 잡음에 강하여 널리 사용된다.
발진기의 주파수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저 이득 디지털 제어 발진기의 구조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디지털 제어 발진기 내에 포함하고 있는 구조이고, 다른 하나는 외장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사용하는 구조이다.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내재하는 구조를 사용하는 예들은 다양하게 존재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한 쌍의 차동 전류 신호들을 이용하여 발진 주파수를 제어하는 디지털 제어 발진기 및 그 디지털 제어 발진기를 위한 차동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제어 발진기는 N 비트의 디지털 코드 신호를 입력으로 수신하고, 상기 디지털 코드 신호에 대응하는 제1 차동 전류 신호 및 제2 차동 전류 신호를 생성하는 차동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및 상기 제1 차동 전류 신호 및 상기 제2 차동 전류 신호 사의 차이에 따라 적응적으로 조절되는 발진 주파수를 생성하는 차동 전류 제어 발진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차동 전류 제어 발진기는 입력으로 들어오는 제1 차동 전류 신호 및 제2 차동 전류 신호의 크기의 차이에 따라 변화하는 발진 주파수를 생성함으로써, 선형성을 잘 유지할 수 있으며, 외부 잡음에 의한 영향을 덜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는 기준 전류원으로부터 전류를 복사한 후, 디지털 코드에 따라서 크기를 달리 하는 두 개의 차동 전류 신호들을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전류원의 전류를 둘로 분배되므로, 두 개의 전류들의 크기의 합은 항상 일정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전류 분배기를 이루는 트랜지스터의 크기 조절 만으로 간단히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의 해상도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전압 제어 발진기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사용하는 디지털 제어 발진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제어 발진기에서 아날로그 전압 신호에 따른 발진 주파수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디지털 제어 발진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회로의 등가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차동 전류 제어 발진기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차동 전류 제어 발진기에 포함된 지연 셀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차동 전류 제어 발진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차동 전류 제어 발진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디지털 제어 발진기 내부에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가 포함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첫째, 스위치드 캐패시터 어레이를 사용해서 인덕터에 병렬 연결되는 캐패시턴스의 양을 조절하여 LC 탱크의 공진주파수를 변화시켜 발진주파수를 제어하는 방식이 있다.
둘째, 일반적인 ring 타입의 발진기에 병렬로 스위치드 캐패시터 어레이를 연결하여 RC 시정수(time constant)를 변화시켜 발진주파수를 제어하는 방식이 있다.
상술한 방식들을 사용하는 경우, 해상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온-오프 시킬 수 있는 최소 단위 캐패시터의 크기가 매우 작아야 한다. 공정이 발달함에 따라 최소 단위 캐패시터의 크기가 점점 작아지고 있지만, 해상도를 높이기 위한 복잡한 추가 회로를 설계하지 않으면 수 ppm 이내의 고해상도를 내기는 어렵다. 반대로 해상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최소 단위 캐패시터의 크기가 커져야 하는데, 이에 비례하게 칩 면적을 많이 차지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위 구조들을 사용할 경우 디지털 제어 발진기의 주파수 해상도(resolution), 즉 주파수 이득을 원하는 대로 설계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셋째, 일반적인 ring 타입의 발진기에 병렬로 3-상태(tri-state) 버퍼를 연결하고, 버퍼의 상태를 디지털코드로 온-오프 시켜서 각 단의 출력 저항을 바꿔주어 RC 시정수를 변화시켜 발진주파수를 제어하는 방식이 있다.
세 번째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주파수 해상도를 낮추는 설계는 쉽지만, 반대로 해상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병렬 연결된 3-상태 버퍼의 크기가 매우 작아야 한다. 65nm 이하의 미세 공정을 사용해도 수십 ppm 이내의 고해상도를 내기가 매우 어렵다.
상기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장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사용해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전압 신호로 바꾼 후 이를 아날로그 전압 제어 발진기에 인가하는 구조를 사용한다. 그 이유는 전압 제어 발진기의 주파수 이득(Hz/volt)을 낮추는 설계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의 해상도를 높이는 설계는 비교적 어렵지 않고, 이 두 가지 방법을 통해 쉽게 디지털 제어 발진기의 해상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아날로그 전압 제어 발진기는 1 개의 전압 신호로 주파수를 제어하는데, 회로를 이루는 소자들의 비선형성으로 인해 도2와 같이 제어 전압에 따른 발진주파수 곡선이 매우 비선형적이다. 이 비선형성은 디지털 제어 발진기를 위상 동기 루프 등의 궤환(feed-back) 시스템에 사용할 때에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앞 단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의 출력 전압 영역의 크기를 작게 설계하여 제어 전압의 영역을 좁게 가져가면, 예를 들어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의 출력이 도2의 Vcont . min와 Vcont . max 사이의 값만을 가질 수 있도록 설계한다면 좁은 영역 안에서 선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 전압 제어 발진기를 칩으로 구현했을 때에는 공정과 전원전압, 그리고 온도에 따라서 회로의 주파수 특성이 큰 폭으로 변하게 되고, 도2에서 도시된 4가지 변수(Vcont . min, Vcont . max, fmin, fmax) 값을 예측하기가 매우 어렵다. 설계상에서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의 출력 전압 영역이 도2와 같이 Vcont . min와 Vcont . max 사이, 즉 선형적인 영역에만 포함되도록 해서 선형성을 확보하도록 설계를 하더라도, 실제로 칩으로 구현되면 Vcont . min와 Vcont . max 값이 바뀌어 선형 영역이 변하게 되고, 제어 전압 영역이 선형 영역을 벗어나게 되어 선형성이 깨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특성 변화가 심한 경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의 출력 전압 영역이 선형 영역을 완전히 벗어나게 되면, 가능한 발진주파수 범위(fmin ~ fmax)가 너무 좁아져서 원하는 주파수에서 결코 발진하지 못할 수도 있다.
상기 문제가 발생하는 가장 큰 원인은 제어 전압이 너무 낮거나 높을 때에는 회로를 이루는 일부 트랜지스터들이 포화 영역(saturation region)을 벗어나게 되어, 제어 전압이 바뀌어도 더 이상 발진기를 이루는 지연 셀 회로에 흐르는 전류의 양이 바뀌지 않고 발진주파수가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출력으로 전압 신호가 아닌 전류 신호를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와 전류 제어 발진기를 사용할 수 있다. 전류 제어 발진기의 경우 지연 셀을 이루는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threshold voltage)과 무관하게 지연 셀에 흐르는 전류의 양이 제어되므로, 트랜지스터가 포화 영역을 벗어날 일이 없고, 앞서 기술한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어 선형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하지만 1개의 제어 신호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원전압 잡음 등에 취약하고, 제어 신호에 유입된 잡음으로 인해 발진기의 위상 잡음 성능이 좋지 않은 문제가 여전히 남아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디지털 제어 발진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지털 제어 발진기(300)는 디지털 코드를 수신하여 두 개의 차동 전류 신호들을 생성하는 차동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10) 및 두 개의 차동 전류 신호들을 이용하여 발진 주파수를 생성하는 차동 전류 제어 발진기(320)를 포함한다. 여기서, N 비트의 디지털 코드는 온도계 코드라고 가정한다.
차동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10)가 이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차동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310)로부터 출력되는 두 개의 차동 전류 신호들(제1 차동 전류 신호 및 제2 차동 전류 신호)은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code'는 디지털 코드의 값을 나타내며, 디지털 코드는 C0~CN -1의 N비트로 이루어진 온도계 코드이다. 따라서, 디지털 코드의 값은 C0~CN -1의 N비트 중 1의 값을 가지는 비트의 개수와 같다. I0는 차동 전류 신호들의 공통 모드 전류이며,
Figure pat00002
는 디지털 코드가 1만큼 변할 때에 차동 전류 신호들의 크기가 변하는 양으로서, 변환기 이득이다.
이상적인 차동 전류 제어 발진기(320)의 발진 주파수는 하기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at00003

여기에서
Figure pat00004
는 발진기의 기본 발진주파수이며,
Figure pat00005
는 전류 제어 발진기의 이득이고 단위는
Figure pat00006
이다. 두 전류 신호 크기의 차이에 따라서 주파수가 제어되기 때문에, 이상적으로는 차동 전류 신호들의 공통 모드 값이 발진기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두 개의 차동 전류 신호들에 공통으로 영향을 주는 외부 잡음(전원전압 잡음 등)이 발진기에 주는 영향이 줄어들고, 그에 따라 위상 잡음 성능이 좋아진다.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조합하면 디지털 제어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는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pat00007

따라서,
Figure pat00008
의 값이 디지털 제어 발진기의 이득이 되고, 이 값이 작을수록 디지털 제어발진기의 해상도가 높아질 수 있다.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회로의 등가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차동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는 도 4a에 도시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수학식 1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4a에 도시된 회로의 목적은 C0~CN -1의 N비트로 이루어진 디지털 코드의 값에 비례하게 차동 전류 신호들을 출력하는 것이다.
도 4a에 도시된 회로의 구조를 보면, 일정한 크기의 전류를 흘려주는 고정 전류원에서 나온 전류 IT는 두 개의 경로로 나뉘어서 흐르며, 각 경로에는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N+1개의 PMOS 트랜지스터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왼쪽 경로에 있는 N개의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의 너비(width)는 W0이다. 그리고, N 개의 디지털 코드(C0~CN -1)는 게이트로 입력됨으로써, 트랜지스터를 턴-온 또는 턴-오프 시킬 수 있다. 나머지 1개의 트랜지스터는 너비가 WS이고, 그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그라운드에 접지되어 있어서 항상 턴-온 상태에서 동작한다. 그리고, 나머지 1개의 트랜지스터는 NMOS 트랜지스터로 전류 복사 회로를 만들어서 경로에 흐르는 전류 신호를 전압 신호로 바꾸어 출력한다. 반대쪽 경로는 동일하게 설계되고, 디지털 코드는 반전된 채로 입력된다. 따라서, 두 개의 경로 각각에서 턴-온 상태에 있는 트랜지스터들의 개수의 합은 일정하다.
이 때, 턴-오프 상태에 있는 트랜지스터를 제외한 나머지 병렬로 연결된 모든 트랜지스터들은 동일한 소스 노드와 드레인 노드, 게이트 노드를 공유하며, 따라서 N+1개의 트랜지스터들은 도4b와 같이 합쳐서 하나의 트랜지스터로 모델링할 수 있다. 도4b에서, 왼쪽의 트랜지스터의 너비를 W1, 오른쪽 트랜지스터의 너비를 W2라고 하면, 수학식 4가 성립될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pat00009

이 때 양 쪽에 흐르는 기본적인 전류의 양이 디지털코드에 따라서 전류의 양이 변하는 크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다면, 즉 Icont +과 Icont -의 차이가 크지 않다면, 양쪽 NMOS의 드레인 노드에 걸리는 전압(V1, V2)은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하기 수학식 5가 성립할 수 있다.
[수학식 5]
Figure pat00010

Icont +과 Icont - 각각은 하나의 고정 전류원으로부터 갈라져 나오는 전류이므로, 두 전류의 크기의 합은 IT로 항상 일정하다. 따라서 하기 수학식 6이 성립할 수 있다.
[수학식 6]
Figure pat00011

상기 수학식 4 내지 상기 수학식 6을 조합하면, 하기 수학식 7이 성립할 수 있다.
[수학식 7]
Figure pat00012

상기 수학식 1 내지 상기 수학식 7을 참조하면,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이득인
Figure pat00013
, 즉 해상도는 트랜지스터의 너비인 W0과 WS의 비율에 의해서 결정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회로를 설계할 때에 트랜지스터의 너비를 바꾸어주는 것만으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의 해상도를 간단히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학식 6에서 나타났듯이 출력되는 두 개의 차동 전류 신호들의 합은 일정하므로, 외부 잡음의 영향을 덜 받고, 디지털 제어 발진기의 위상 잡음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도3을 이루는 나머지 블록인 차동 전류 제어 발진기는 크게 두 가지 구조로 설계될 수 있는데, 하나는 차동 보간기 회로를 사용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래치 회로를 사용해서 음수 저항을 차동 증폭기의 출력 노드에 병렬로 연결하는 것이다.
도 5는 차동 전류 제어 발진기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여러 단의 지연 셀을 직렬로 연결하여 링형 발진기를 설계하는데, 각 단의 지연 셀의 내부는 버퍼가 1개인 경로(빠른 경로)와 2개인 경로(느린 경로)로 나뉘어있다. 하나의 지연 셀에 입력으로 펄스가 들어오면 빠른 경로를 통해서는 작은 지연을 가지고 펄스가 전달되고, 느린 경로를 통해서는 큰 지연을 가지고 펄스가 전달된다. 그리고 두 경로의 가중치를 달리하여 덧셈기를 통해서 신호를 더하는데, 만약 빠른 경로의 가중치가 더 크다면 지연 셀의 지연 시간은 작을 것이고, 반대의 경우엔 지연 시간이 커질 것이다. 링형 발진기는 링을 이루는 지연 셀의 지연시간에 따라 발진주파수가 변하므로 각각의 지연 셀의 보간기를 조절하는 가중치 변수인 α값에 따라서 발진 주파수가 변하게 된다.
도 6a 및 도 6b는 차동 전류 제어 발진기에 포함된 지연 셀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두 쌍의 차동 NMOS 쌍이 1쌍의 저항을 공유하는 보간기 회로는 2개의 지연버퍼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각각의 차동 NMOS 쌍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서 입력에 대한 가중치가 바뀌는 덧셈기 역할을 한다. 전류 신호로 보간기의 가중치를 조절하고, 또한 두 가중치의 합은 항상 일정하므로, 차동 전류 제어 발진기를 이루는 지연 셀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차동 전류 제어 발진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7은 보간기를 이용하여 다른 방식으로 링형 발진기를 설계하는 실시 예를 보이고 있다. 앞서의 구조와 원리는 비슷하지만, 모든 지연 셀에서 보간기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이 다르다. 링형 발진기를 이루는 링의 중간에 하나의 보간기를 두어 N단의 지연 셀을 거친 신호와 추가로 M단의 지연 셀을 더 통과하여 N+M단을 거친 신호를 입력으로 받고, 가중치를 달리하여 두 신호를 더한다. N단을 거친 신호에 대한 가중치가 더 크다면 발진 주파수는 그에 따라 커진다.
도 8은 차동 전류 제어 발진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8은 보간기를 사용하지 않고 차동 전류 제어 발진기를 설계하는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이고 있다. 일반적인 차동 증폭기에 래치를 추가로 병렬 연결하면, 이 래치는 소신호 등가회로로 분석하면 저항 값이 음수인 저항이 병렬 연결된 것과 같은 역할을 한다. 이 때 증폭기 본체(도8의 좌측)에 흐르는 전류와 래치(도8의 우측)에 흐르는 전류의 비율에 따라서 전체 출력 저항 값이 바뀌게 되고, RC 시정수가 변하여 지연 시간이 바뀌게 된다. 이 지연 셀을 조합해서 링형 발진기를 설계하면, 발진주파수는 래치에 흐르는 전류와 증폭기 본체에 흐르는 전류의 비율에 따라 제어되므로, 차동 전류 제어 발진기로 동작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310: 차동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320: 차동 전류 제어 발진기

Claims (1)

  1. N 비트의 디지털 코드 신호를 입력으로 수신하고, 상기 디지털 코드 신호에 대응하는 제1 차동 전류 신호 및 제2 차동 전류 신호를 생성하는 차동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및
    상기 제1 차동 전류 신호 및 상기 제2 차동 전류 신호 사의 차이에 따라 적응적으로 조절되는 발진 주파수를 생성하는 차동 전류 제어 발진기
    를 포함하는 디지털 제어 발진기.
KR1020100070437A 2010-07-21 2010-07-21 고해상도 저잡음 디지털 제어 발진기 KR101747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437A KR101747430B1 (ko) 2010-07-21 2010-07-21 고해상도 저잡음 디지털 제어 발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437A KR101747430B1 (ko) 2010-07-21 2010-07-21 고해상도 저잡음 디지털 제어 발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965A true KR20120008965A (ko) 2012-02-01
KR101747430B1 KR101747430B1 (ko) 2017-06-15

Family

ID=45833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437A KR101747430B1 (ko) 2010-07-21 2010-07-21 고해상도 저잡음 디지털 제어 발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74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44472B2 (en) 2013-08-28 2016-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ly controlled oscilla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44472B2 (en) 2013-08-28 2016-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ly controlled oscilla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800250B2 (en) 2013-08-28 2017-10-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gitally controlled oscillato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7430B1 (ko) 201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4352B2 (en) Oscillating circuit
US7737795B2 (en)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US9048849B2 (en) Supply regulated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including active loop filter and phase locked loop using the same
KR102409326B1 (ko) 샘플링 위상 검출기를 갖는 위상-고정 루프
JP2002353781A (ja) 内部クロック発生回路
US9954503B2 (en) Differential amplification circuit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JP2009260607A (ja) 電圧制御発振器及び位相同期回路
JP2011142382A (ja) プリエンファシス機能を含む出力回路と半導体装置
US20030117202A1 (en) Delay circuit with current steering output symmetry and supply voltage insensitivity
KR20100047983A (ko) 동작영역이 넓은 디지털제어발진기
KR20050113969A (ko) 전원 전압의 노이즈에 둔감한 딜레이 셀
US7403057B2 (en) CML delay cell with linear rail-to-rail tuning range and constant output swing
WO2020105182A1 (ja) 電圧制御発振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pll回路
KR101183738B1 (ko) 공급 전원 변동에 의한 지터 제거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지털 제어 발진 회로
EP3152858B1 (en) Improving linearity of phase interpolators using capacitive elements
US5994968A (en) VCO having a low sensitivity to noise on the power supply
Zhang et al. Process variation compensated voltage controlled ring oscillator with Subtraction-based Voltage Controlled Current Source
KR20120008965A (ko) 고해상도 저잡음 디지털 제어 발진기
US20040160265A1 (en) Mixer system
KR20100073948A (ko) 광대역 출력 주파수를 갖는 링 발진기
US20110148540A1 (en) Delay circuit and voltage controlled oscillation circuit
JP2001094418A (ja) 電圧制御発振器
KR20090063629A (ko) 디지털 제어 발진기
US9479144B2 (en) Extended range ring oscillator using scalable feedback
Tikka et al. A 1.2–6.4 GHz clock generator with a low-power DCO and programmable multiplier in 40-nm CM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