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805U -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진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 - Google Patents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진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805U
KR20120008805U KR2020110005318U KR20110005318U KR20120008805U KR 20120008805 U KR20120008805 U KR 20120008805U KR 2020110005318 U KR2020110005318 U KR 2020110005318U KR 20110005318 U KR20110005318 U KR 20110005318U KR 20120008805 U KR20120008805 U KR 2012000880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ipe
liquid
discharge pipe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53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7891Y1 (ko
Inventor
최영일
Original Assignee
최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일 filed Critical 최영일
Priority to KR20201100053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891Y1/ko
Publication of KR201200088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8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8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8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67D3/047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with a closing element having a rotational movement
    • B67D3/048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with a closing element having a rotational movement and venting means operated automatically with the t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 B65D47/2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a rotational or helicoidal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 음료수, 간장, 식초, 식용유 등의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용기에 사용되는 코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에 수용된 액체가 상측 및 하측으로 나뉘어진 유동로를 따라서 유입되어 코크 장치의 배출관으로 배출되되, 배출관 내부 공간에 별도로 설치된 내측관을 통하여 공기가 계속적으로 유입됨에 따라서 배출관을 통하여 액체를 계속적으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진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Apparatus of cock used for a liquid container having a dual tube structure}
본 고안은 물, 음료수, 간장, 식초, 식용유 등의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용기에 사용되는 코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에 수용된 액체가 상측 및 하측으로 나뉘어진 유동로를 따라서 유입되어 코크 장치의 배출관으로 배출되되, 배출관 내부 공간에 별도로 설치된 내측관을 통하여 공기가 계속적으로 유입됨에 따라서 배출관을 통하여 액체를 계속적으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 음료수, 간장, 식초, 식용유 등의 액체를 대량으로 보관할 경우에는 이러한 액체를 수용하는 전용 액체 용기에 수용하여 보관하며, 이러한 전용 액체 용기는 대표적으로 약수통, 업소에서 사용되는 간장 등의 조미용 액체, 식용유, 청소용 락스 등을 수용하는 말통 등이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액체 용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액체를 유입시키는 입구(2)와 그 입구(2)를 개폐하는 뚜껑(3)을 가진 액체 용기(1)이다.
상기 용기(1)는 수용된 액체를 용기(1)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그 하단에 코크 마개(9)에 의하여 용기(1)에 탈부착되는 코크(cock)(4)를 구비한다.
도면 우측의 사용상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크(4)는 용기(1)의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5)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관(5)의 상부에는 코크를 개폐시키는 핸들(6)이 부착되며, 배출관(5)의 관로상에는 용기(1)의 액체를 유입시키는 배출공(5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배출관(5)은 연결체(7)로 내삽되며, 상기 연결체(7)에는 용기(1)로부터 액체가 유입되는 연결공(8)이 형성된다. 따라서, 핸들(6)의 위치에 따라서 연결체(7)의 연결공(8)과 배출관(5)의 배출공(5a)이 서로 치합되는 경우에는 용기(1)에 수용된 액체가 이들 연결공(8)과 배출공(5a)을 통하여 배출관(5)으로 배출되지만(개방 상태), 핸들(6)의 위치에 따라서 연결체(7)의 연결공(8)을 배출관(5)의 관로의 일부가 폐쇄시키는 경우에는 액체가 배출관(5)의 관로에 막혀서 더 이상 코크(4)를 통하여 배출되지 않게 된다(폐쇄 상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액체 용기는 입구(2)에 취부된 뚜껑(3)을 약간 개방시켜 입구(2)를 통하여 용기(1) 내로 공기를 유입시키고, 이 유입된 공기에 의하여 용기(1) 내부에 일정한 공기압을 유지시켜 주어야만 용기(1) 내의 액체가 코크(4)를 통하여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만일, 용기(1)의 뚜껑(3)을 약간 개방시켜 놓지 않는다면 코크(4)의 개방시 액체가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아 사용상의 불편함을 유발하게 된다.
그런데, 뚜껑(3)을 약간 개방시켜 놓는다 하더라도 용기가 옆으로 기울어지거나 넘어진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용기(1) 내부에 있는 액체가 코크(4) 방향으로의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여 액체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간장 등의 조미용 액체, 식용유, 청소용 락스 등을 수용하는 말통에 있어서, 이러한 말통을 직접 들어서 액체를 배출시키는 경우 액체가 입구를 통하여 한꺼번에 흘러넘치면서 바닥을 지저분하게 할 우려가 많아 업소의 위생적인 환경을 조성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액체를 배출시킬 때마다 무거운 말통을 직접 들었다 놓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수반되어 주방 작업의 비효율이 초래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용기가 완전히 밀폐된 상태에서도 용기 내부에 수용된 액체를 코크를 통하여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액체용기용 코크장치의 구성을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진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의 구성은, 용기에 수용된 액체가 상측 및 하측으로 나뉘어진 유동로를 따라서 유입되어 코크 장치의 배출관으로 배출되되, 배출관 내부 공간에 별도로 설치된 내측관을 통하여 공기가 계속적으로 유입됨에 따라서 배출관을 통하여 액체를 계속적으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는 배출관과 내측관으로 이루어진 이중관 구조로 되어 있어, 내측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액체가 배출관으로 원활하게 배출되므로, 완전히 밀폐된 상태의 용기에 수용된 액체를 본 고안 코크 장치를 통하여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업소에서 사용되는 간장 등의 조미용 액체, 식용유, 청소용 락스 등을 수용하는 말통을 직접 들었다가 놓는 번거로움이 없으므로, 작업상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액체가 한꺼번에 흘러넘칠 우려도 일소하여 위생적인 업소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 은 종래 액체용기용 코크 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2 는 본 고안 액체용기용 코크 장치의 사용상태의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 액체용기용 코크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 액체용기용 코크 장치의 수전부의 단면도로서, 도 4a 는 A-A' 선 단면도, 도 4b 는 B-B' 선 단면도,
도 5a 및 도 5b 는 본 고안 액체용기용 코크 장치의 연결부의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 액체용기용 코크 장치의 결합상태의 작동상태도,
도 7 은 본 고안 액체용기용 코크 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c 는 본 고안 액체용기용 코크 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진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의 구성 및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개시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태양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은 본 고안 액체용기용 코크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 코크 장치(10)는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1)에 취부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 코크 장치(10)가 취부될 수 있는 용기(1)로서는 간장, 식초 등의 각종 조미용 액체, 식용유 등의 각종 기름, 락스 등의 각종 액체 화학품을 수용하는 말통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본 고안 코크 장치(10)는 용기(1)에 수용된 액체를 배출하는 수전부(水栓部)(100)와, 용기(1)에 수용된 액체가 상기 수전부(100)로 흘러가는 유로를 형성하는 연결부(200)로 대분되며, 하기에서 본 고안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은 본 고안 코크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a 및 도 4b 는 본 고안 수전부(100)의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 연결부(200)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 3 의 분해사시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 코크 장치(10)는 용기(1)의 용기배출구(1a)에 취부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용기배출구(1a)에 취부시 본 고안 코크 장치(10)와 용기(1)와의 밀봉 상태를 보다 양호하게 조성할 수 있도록 고무 재질의 패킹(300)이 상기 연결부(200)와 용기배출구(1a)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패킹(300)은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는 비어있는 상태의 원통형 부재로서, 원형의 플렌지(310)(flange)상에 상기 연결부(200)의 삽입관(230)이 내삽될 수 있는 형상과 높이를 가진 테두리(320)가 형성되고, 테두리(320)의 상면은 개방된 상태의 개구(321)를 가진다.
상기 패킹(300)에 의하여 용기(1)의 용기배출구(1a)에 취부된 연결부(200)의 연결관(210)으로 수전부(100)의 배출관(110)이 삽입된다.
이때, 배출관(110)의 배출구(113) 부분을 막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마개부(400)가 더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마개부(400)는 링 형상의 오링(410)과 오링(410)의 일측에 연결된 띠 형상의 밴드(420)와 상기 밴드(420)의 말단에 형성된 마개(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개부(400)는 수전부(110)의 배출관(110)이 연결부(200)의 연결관(210)으로 삽입될 때, 상기 마개부(400)의 오링(410)이 배출관(110)의 하단 말단으로부터 삽입되어 연결관(210)의 상측에 거치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상기 마개부(400)는 본 고안 코크 장치(10)를 장기간 미사용할 경우, 사용자가 오링(410)의 밴드(420)와 연결된 마개(430)를 이용하여 배출관(110)의 배출구(113) 부분을 막아둠으로써, 불필요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수전부(100)의 상측은 헤드(130)에 의하여 폐쇄되며, 헤드(130)의 일측에는 본 고안 코크 장치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킬 경우 사용자에 의하여 파지되는 핸들(140)이 취부된다.
다만, 상기 패킹(300) 및 마개부(400)는 본 고안 코크 장치의 기능 및 위생 성을 보다 양호하게 만들기 위하여 사용되는 부속물로서, 본 고안 코크 장치가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서는 반드시 이들을 포함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도 4a 와 4b 를 참조하여 본 고안 수전부(100)를 설명한다.
도 4a 는 A-A' 선 단면도, 도 4b 는 B-B' 선 단면도로서 각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기 수전부(100)는 하측에 배출구(113)를 형성한 원통 형상의 배출관(110)과, 상기 배출관(110)의 상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상측에 형성된 헤드(130)와, 상기 헤드(130)의 일측에 형성된 핸들(140)을 포함한다.
상기 배출관(110)의 외주면 일측에 상부공(111)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상부공(111)이 형성된 지점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상부공(111)과 나란하게 하부공(112)이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공(112)의 개구된 면적은 상기 상부공(111)의 개구된 면적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이는 하부공(112)을 통하여 보다 많은 액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배출관(110)의 최하단에는 개구된 상태의 배출구(113)를 가지며, 배출관(110)의 내부의 빈공간은 배출관로(114)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배출관(110)의 내부 공간에 이 배출관(110)과 별도로 내측관(12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내측관(120)은 그 입구(121)가 배출관(110)의 상부공(111)과 연결되며 몸체가 배출관(110)의 배출관로(114)를 따라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말단에 내측관 출구(122)가 형성된 속이 빈 튜브(tube) 형상의 관체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수전부(100)는 그 배출관(110) 부분이 연결부(200)의 연결관(21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고, 용기(1)에 수용된 액체는 연결부(200)를 통하여 수전부(100)로 유입된다. 이하, 상기 연결부(2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 는 본 고안 코크 장치의 연결부(200)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200)는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연결관(210)과, 상기 연결관(210)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관(210)의 외주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유동관(220)과, 상기 유동관(220)의 후단에 형성된 원통 형상의 삽입관(230)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관(210)의 내부 공간은 상기 수전부(100)가 상기 연결관(210) 내부로 내삽되었을 경우, 상기 수전부(100)의 상부공(111)이 위치되는 지점에서의 가상의 기준선(R)을 중심으로 기준선(R)의 상측은 상부 공간(211)을 형성하고, 기준선(R)의 하측은 하부 공간(212)를 형성한다.
상기 유동관(220)의 내부 공간은 상기 연결관(210)의 기준선(R)에 대응되는 지점에 유동관(220)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시키는 분리벽(225)이 형성된다.
상기 유동관(220)은 상기 분리벽(225)에 의하여 내부 공간이 구획되어 상기 분리벽(225)의 상부 공간은 상부 유동로(221)가 형성되고, 상기 분리벽(225)의 하부 공간은 하부 유동로(22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관(210)의 상부 공간(211)과 상기 유동관(220)의 상부 유동로(221) 사이에 유동로 상부구멍(223)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210)의 하부 공간(212)과 상기 유동관(220)의 하부 유동로(222) 사이에 유동로 하부구멍(224)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유동로상부구멍(223)과 상기 유동로하부구멍(224)은 상기 유동관(220)이 상기 연결관(210)과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부위상의 벽체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유동로(221)로 유입된 액체는 상기 유동로 상부구멍(223)을 통하여 연결관(210)의 상부 공간(211)으로 진입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유동로(222)로 유입된 액체는 상기 유동로 하부구멍(224)을 통하여 연결관(210)의 하부 공간(212)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유동관(220)의 상부 유동로(221)와 하부 유동로(222)는 상기 삽입관(230) 내부의 빈공간인 유로(231)와 연결된다. 따라서, 후술할 용기(1)의 액체(W)가 삽입관(230)의 유로(231)을 거쳐서 상부유동로(221)와 하부유동로(222)를 통하여 상기 연결관(210)의 상부공간(211) 및 하부공간(212)로 각각 유입되게 된다.
그리고, 삽입관(230)의 말단의 바닥면은 개방된 상태로서, 후술할 도 8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관(230) 내부로 용기(1)의 용기배출구(1a)가 결합되어 용기(1)에 수용된 액체(W)가 유입될 수 있다.
한편, 미설명부호 240 은 통공(240)으로서, 본 고안 코크장치가 폐쇄 상태일 경우에도 배출관(110)의 상부공(111) 및 하부공(112)과 연결되어 공기를 배출관(110)으로 유입시키는 부분이며, 이 통공(240)의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6 은 본 고안 액체용기용 코크 장치의 결합상태의 작동상태도, 도 7 은 본 고안 액체용기용 코크 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로서, 상술한 수전부(100)가 연결부(200)의 연결관(210) 내부로 내삽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전부(100)의 배출관(110) 부분을 연결관(210)의 내부로 결합시키게 되면 핸들(140)이 연결관(210) 내부에서 좌우측으로 자유롭게 회동되며, 핸들(140)이 회동된 위치에 따라서 본 고안 코크 장치의 개방 또는 폐쇄 상태가 이루어지게 된다.
도 7 은 본 고안 코크 장치가 핸들(140)이 폐쇄 위치로 회동된 상태에서의 결합상태 단면도로서, 이러한 상태에서는 연결부(200)의 유동관(220)의 유동로 상부구멍(223)과 유동로 하부구멍(224)이 수전부(100)의 배출관(110)의 벽체에 의하여 폐쇄되므로, 유로(231) 및 이 유로(231)와 연결된 상부유동로(221)와 하부유동로(222)로 유입된 액체(W)가 수전부(100)의 상부공(111)과 하부공(112)으로 진입할 수 없게 된다.
반면, 본 고안 코크 장치가 핸들(140)이 개방 위치로 회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유동로 상부구멍(223)과 유동로 하부구멍(224)이 개방 상태로 회동된 수전부(100)의 상부공(111)과 하부공(112)과 대향하면서 유로가 개방되어, 상부유동로(221)와 하부유동로(222)로 유입된 액체(W)가 수전부(100)의 상부공(111)과 하부공(112)로 각각 진입하면서 본 고안 코크 장치에 의하여 용기(1) 내의 액체(W)가 배출되게 되는데, 이하, 이와 같은 본 고안 코크 장치의 작동을 도 8 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도 7 의 좌상측 부분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코크 장치가 핸들(140)이 폐쇄 위치로 회동된 상태에서도, 통공(240)의 일부분(P)이 배출관(110)에 형성된 상부공(111)의 하부 부분과 하부공(112)의 상부부분과 상호 중첩되어 통공(240)의 일부분(P)을 통하여 배출관(110)으로 공기가 진입될 수 있다.
만일, 코크 장치의 폐쇄 상태에서 배출관(110)으로 전혀 공기가 유입될 수 없다면 배출관(110)과 외부 공기와의 기압차에 의하여 배출관(110) 내부 벽체에 남아있는 공기가 쉽게 배출구(113)를 통하여 배출될 수 없을 것이므로, 코크 장치가 폐쇄 상태에서도 중첩된 일부분(P)을 통하여 공기가 배출관(110)의 내부로 진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출관(110)의 내부 벽체에 남아있는 물기가 배출구(113)를 통하여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 는 본 고안 액체용기용 코크 장치의 작동상태도이며, 본 고안의 코크 장치는 용기(1)에 장착된 상태이고,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의 입구(2)는 뚜껑(3)에 의하여 폐쇄된 상태임을 상정하여 설명한다.
도 8a 는 본 고안 코크 장치가 폐쇄된 상태일 경우로서, 도 7 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200)의 유동관(220)의 유동로 상부구멍(223)과 유동로 하부구멍(224)이 수전부(100)의 배출관(110)의 벽체에 의하여 폐쇄되므로, 유로(231) 및 이 유로(231)와 연결된 상부유동로(221)와 하부유동로(222)로 유입된 액체(W)가 수전부(100)의 상부공(111)과 하부공(112)으로 진입할 수 없게 되면서, 액체(W)가 배출관(110)의 배출구(113)로 배출되지 않는다.
그러나, 도 8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전부(100)의 헤드(130)에 장착된 핸들(140)이 조작되어 본 고안 코크 장치가 개방되면, 유동로 상부구멍(223)이 배출관(110)의 상부공(111)과 연결되고, 유동로 하부구멍(224)은 하부공(112)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배출관(110)의 상부공(111)에는 배출관(110) 내부 공간에 설치된 내측관(120)의 입구(121)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결국, 내측관(120)의 입구(121)와 배출관(110)의 상부공(111)과, 연결부(200)의 유동로상부구멍(223)이 동일선상에 정렬되어 상호 연결되게 된다.
그러면, 용기(1) 내부의 액체(W)가 유로(231)를 통하여 유입되면서 유동관(220)의 상부유동로(221)를 경유하여 유동로 상부구멍(223)과 상부공(111)을 통하여 내측관(120)으로 유입되며, 내측관(120)으로 유입된 액체(W)는 내측관(120)을 따라서 하방향으로 유동되어 출구(12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동시에, 유로(231)로 유입된 액체(W)는 유동관(220)의 하부유동로(222)를 경유하여 유동로 하부구멍(224)을 통하여 배출관(110)의 하부공(112)으로 유입되며, 유입된 액체(W)는 하방향으로 유동되어 배출구(113)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도 8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40)의 개방상태에서 최초에 액체(W)가 내측관(120)을 통하여 배출되면, 상기 내측관(120)의 출구(122)로부터 그 입구(121) 방향으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된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하부공(112)으로 배출되는 액체(W)가 배출구(113)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면 입구(2)가 폐쇄된 용기(1) 내부의 공기압이 하강하게 되며, 용기(1)의 내부와 외부의 공기압이 같아져 내외부의 공기압의 압력차가 없어질때까지 용기(1)의 외부 방향으로부터 용기(1)의 내부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려고 하기 때문이다.
그러면, 상부공(111)으로는 내측관(120)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면서 유동로 상부구멍(223)을 통하여 상부유동로(211)와 유로(231)를 거쳐서 빠져나가게 되며, 빠져나간 공기는 용기(1) 내부에 수용된 액체(W) 중으로 진입되어 액체(W)중에 공기 방울(기포)(V)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관(120)을 통하여 공기가 용기(1)의 내부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유입되면서 용기(1) 내부에 충분한 공기압을 제공하게 되므로, 용기(1)의 입구(2)가 뚜껑(3)에 의하여 폐쇄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유동로 하부구멍(224)으로 진입한 액체(W)는 하부공(112)을 경유하여 배출구(113)를 통하여 계속적으로 원활하게 배출되게 된다.
한편, 핸들(140)이 조작되어 본 고안 코크 장치가 다시 폐쇄상태가 되면, 연결부(200)의 유동관(220)의 유동로 상부구멍(223)과 유동로 하부구멍(224)이 수전부(100)의 배출관(110)의 벽체에 의하여 폐쇄되면서 도 8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W)가 수전부(100)의 상부공(111)과 하부공(112)으로 진입할 수 없게 되어, 배출관(110)을 통한 액체(W)의 배출이 중지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고안의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진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의 구성 및 작동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용기 1a; 용기배출구
2; 입구 3; 뚜껑
4; 코크 5; 배출관
5a; 배출공 6; 핸들
7; 연결체 8; 연결공
9; 코크 마개
10; 본 고안 액체용기용 코크 장치
100; 수전부
110; 배출관
111; 상부공 112; 하부공
113; 배출구 114; 배출관로
120; 내측관
121; 내측관 입구 122; 내측관 출구
130; 헤드
140; 핸들
200; 연결부
210; 연결관
211; 상부 공간 212; 하부 공간
R; 기준선
220; 유동관
221; 상부 유동로 222; 하부 유동로
223; 유동로 상부구멍 224; 유동로 하부구멍
225; 분리벽
230; 삽입관 231; 유로
240; 통공
300; 패킹
310; 플렌지 320; 테두리
321; 개구
400; 마개부
410; 오링 420; 밴드
430; 마개

Claims (3)

  1. 용기(1)에 수용된 액체를 배출하는 코크 장치에 있어서,
    하측에 배출구(113)를 형성한 배출관(110)과, 상기 배출관(110)의 상부를 폐쇄하는 헤드(130)와, 상기 헤드(130)의 일측에 형성된 핸들(140)과, 상기 배출관(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부공(111)과, 상기 배출관(110)의 외주면에 상기 상부공(111)과 종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되되 상기 상부공(111) 보다 더 큰 개구 면적을 가진 하부공(112)과, 상기 배출관(11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그 입구(121)가 배출관(110)의 상부공(111)과 연결되면서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말단에 출구(122)를 형성한 내측관(120)으로 이루어진 수전부(100);
    상기 수전부(100)의 배출관(110)이 내부로 결합되며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된 연결관(210)과, 상기 연결관(210)과 일체로 형성되되 분리벽(225)에 의하여 상부유동로(221)와 하부유동로(222)로 구획된 유동관(220)과, 상기 유동관(220)의 후단에 형성되되 용기(1)와 결합되어 액체가 유입되는 유로(231)를 형성하는 삽입관(23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동관(220)과 상기 연결관(210)의 연결부위상의 벽체에 유동로상부구멍(223)과 유동로하부구멍(224)를 형성한 연결부(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에 취부시 밀봉 상태를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200)와 용기(1)의 용기배출구(1a) 사이에 패킹(300)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110)의 배출구(113)를 막는 마개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
KR2020110005318U 2011-06-15 2011-06-15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진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 KR2004678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318U KR200467891Y1 (ko) 2011-06-15 2011-06-15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진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318U KR200467891Y1 (ko) 2011-06-15 2011-06-15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진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805U true KR20120008805U (ko) 2012-12-26
KR200467891Y1 KR200467891Y1 (ko) 2013-07-10

Family

ID=51392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318U KR200467891Y1 (ko) 2011-06-15 2011-06-15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진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89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8079A (ko) * 2013-10-25 2015-05-06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음료용 디스펜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9812B2 (ja) 2002-04-10 2007-06-13 大澤ワックス株式会社 流体用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8079A (ko) * 2013-10-25 2015-05-06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음료용 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891Y1 (ko) 201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43738B (zh) 容器和容器封盖
US20150014367A1 (en) Bottle Stopper With A Dispensing Mechanism
CA2455150A1 (en) Self-venting spout
ATE445546T1 (de) Verschüttsicherer verschluss
US20170101209A1 (en) Growler
KR20080015392A (ko) 용기로부터 유체를 분배하는 도우징 헤드
US20160038959A1 (en) Dual Compartment Dispensing Device
KR200467891Y1 (ko)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진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
KR20140033147A (ko) 용기 청소장치
KR200465617Y1 (ko)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
WO2015010050A2 (en) Liquid handling system with reduced exposure to air
KR20090114295A (ko) 이중용기
KR200419676Y1 (ko) 액상 식품용 용기 뚜껑
KR200467892Y1 (ko) 액체 용기용 누름형 코크 장치
JP6332694B2 (ja) 吐出兼用噴出容器
KR101213047B1 (ko) 에어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KR20170001498U (ko) 휴대용 소변기
AU2018266554A1 (en) Liquid-dispensing apparatus
WO2013167277A3 (de) Vorrichtung zum mischen von flüssigkeiten
JP2020050399A (ja) 吐出キャップ
CN104843302A (zh) 可扳动柱子式吸嘴盖
JP2001019011A (ja) 容器の蓋
KR20110006896U (ko) 찌꺼기가 분리되는 음용용기
AU2010299809A1 (en) Disposable cask with disposable tap
CN105109809B (zh) 一种吸水不漏瓶嘴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