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7892Y1 - 액체 용기용 누름형 코크 장치 - Google Patents

액체 용기용 누름형 코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7892Y1
KR200467892Y1 KR2020110006721U KR20110006721U KR200467892Y1 KR 200467892 Y1 KR200467892 Y1 KR 200467892Y1 KR 2020110006721 U KR2020110006721 U KR 2020110006721U KR 20110006721 U KR20110006721 U KR 20110006721U KR 200467892 Y1 KR200467892 Y1 KR 2004678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discharge pipe
pipe
open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7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758U (ko
Inventor
최영일
Original Assignee
최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일 filed Critical 최영일
Priority to KR20201100067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892Y1/ko
Publication of KR201300007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7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8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8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67D3/043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with a closing element having a linear movem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2Liquid-dispensing valves having operating members arranged to be pressed upwards, e.g. by the rims of receptacles held below the delivery orif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2Pivoting levers, e.g. single-si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141Other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 음료수, 간장, 식초, 식용유 등의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용기에 사용되는 코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에 수용된 액체가 상측 및 하측으로 나뉘어진 유동로를 따라서 유입되어 코크 장치의 배출관으로 배출되되, 배출관 내부 공간에 별도로 설치된 측관을 통하여 공기가 계속적으로 유입됨에 따라서 배출관을 통하여 액체를 계속적으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액체 용기용 누름형 코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체 용기용 누름형 코크 장치{Press type cock apparatus use for a liquid container}
본 고안은 물, 음료수, 간장, 식초, 식용유 등의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용기에 사용되는 코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에 수용된 액체가 상측 및 하측으로 나뉘어진 유동로를 따라서 유입되어 코크 장치의 배출관으로 배출되되, 배출관 내부 공간에 별도로 설치된 측관을 통하여 공기가 계속적으로 유입됨에 따라서 배출관을 통하여 액체를 계속적으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액체 용기용 누름형 코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 음료수, 간장, 식초, 식용유 등의 액체를 대량으로 보관할 경우에는 이러한 액체를 수용하는 전용 액체 용기에 수용하여 보관하며, 이러한 전용 액체 용기는 대표적으로 약수통, 업소에서 사용되는 간장 등의 조미용 액체, 식용유, 청소용 락스 등을 수용하는 말통 등이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액체 용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액체를 유입시키는 입구(2)와 그 입구(2)를 개폐하는 뚜껑(3)을 가진 액체 용기(1)이다.
상기 용기(1)는 수용된 액체를 용기(1)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그 하단에 코크 마개(9)에 의하여 용기(1)에 탈부착되는 코크(cock)(4)를 구비한다.
도면 우측의 사용상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크(4)는 용기(1)의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5)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관(5)의 상부에는 코크를 개폐시키는 핸들(6)이 부착되며, 배출관(5)의 관로상에는 용기(1)의 액체를 유입시키는 배출공(5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배출관(5)은 연결체(7)로 내삽되며, 상기 연결체(7)에는 용기(1)로부터 액체가 유입되는 연결공(8)이 형성된다. 따라서, 핸들(6)의 위치에 따라서 연결체(7)의 연결공(8)과 배출관(5)의 배출공(5a)이 서로 치합되는 경우에는 용기(1)에 수용된 액체가 이들 연결공(8)과 배출공(5a)을 통하여 배출관(5)으로 배출되지만(개방 상태), 핸들(6)의 위치에 따라서 연결체(7)의 연결공(8)을 배출관(5)의 관로의 일부가 폐쇄시키는 경우에는 액체가 배출관(5)의 관로에 막혀서 더 이상 코크(4)를 통하여 배출되지 않게 된다(폐쇄 상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액체 용기는 입구(2)에 취부된 뚜껑(3)을 약간 개방시켜 입구(2)를 통하여 용기(1) 내로 공기를 유입시키고, 이 유입된 공기에 의하여 용기(1) 내부에 일정한 공기압을 유지시켜 주어야만 용기(1) 내의 액체가 코크(4)를 통하여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만일, 용기(1)의 뚜껑(3)을 약간 개방시켜 놓지 않는다면 코크(4)의 개방시 액체가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아 사용상의 불편함을 유발하게 된다.
그런데, 뚜껑(3)을 약간 개방시켜 놓는다 하더라도 용기가 옆으로 기울어지거나 넘어진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용기(1) 내부에 있는 액체가 코크(4) 방향으로의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여 액체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간장 등의 조미용 액체, 식용유, 청소용 락스 등을 수용하는 말통에 있어서, 이러한 말통을 직접 들어서 액체를 배출시키는 경우 액체가 입구를 통하여 한꺼번에 흘러넘치면서 바닥을 지저분하게 할 우려가 많아 업소의 위생적인 환경을 조성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액체를 배출시킬 때마다 무거운 말통을 직접 들었다 놓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수반되어 주방 작업의 비효율이 초래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용기가 완전히 밀폐된 상태에서도 용기 내부에 수용된 액체를 코크를 통하여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액체용기용 누름형 코크장치의 구성을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진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의 구성은, 용기에 수용된 액체가 상측 및 하측으로 나뉘어진 유동로를 따라서 유입되어 코크 장치의 배출관으로 배출되되, 배출관 내부 공간에 별도로 설치된 측관을 통하여 공기가 계속적으로 유입됨에 따라서 배출관을 통하여 액체를 계속적으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 액체 용기용 누름형 코크 장치는 배출관과 측관으로 이루어진 이중관 구조로 되어 있어, 상기 측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액체가 배출관으로 원활하게 배출되므로, 완전히 밀폐된 상태의 용기에 수용된 액체를 본 고안 코크 장치를 통하여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업소에서 사용되는 간장 등의 조미용 액체, 식용유, 청소용 락스 등을 수용하는 말통을 직접 들었다가 놓는 번거로움이 없으므로, 작업상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액체가 한꺼번에 흘러넘칠 우려도 일소하여 위생적인 업소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 은 종래 액체용기용 코크 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2 는 본 고안 액체용기용 누름형 코크 장치의 사용상태의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 액체용기용 누름형 코크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 액체용기용 누름형 코크 장치의 개폐부의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 액체용기용 누름형 코크 장치의 수전부의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 액체용기용 누름형 코크 장치의 결합상태의 단면도로서, 도 6a 는 수전부 폐쇄시의 단면도, 도 6b 는 수전부 개방시의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c 는 본 고안 액체용기용 코크 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 액체 용기용 누름형 코크 장치의 구성 및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개시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태양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은 본 고안 액체용기용 누름형 코크 장치의 사용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 누름형 코크 장치(10)는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1)에 취부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 누름형 코크 장치(10)가 취부될 수 있는 용기(1)로서는 간장, 식초 등의 각종 조미용 액체, 식용유 등의 각종 기름, 락스 등의 각종 액체 화학품을 수용하는 말통이나 야외에서 식수를 취수하는 약수통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본 고안 누름형 코크 장치(10)는 크게 두 부분으로 구분되는데, 용기(1)에 수용된 액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개폐부(100)와, 상기 개폐부(100)의 제어에 따라서 용기(1)에 수용된 액체를 배출하는 수전부(水栓部)(200)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 누름형 코크 장치(1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은 본 고안 누름형 코크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 개폐부(100)의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 수전부(200)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누름형 코크 장치(10)는 용기(1)의 용기배출구(1a)에 취부되어 사용되며, 개폐부(100)의 하부에 수전부(200)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도 3 의 분해사시도 및 도 4 의 단면도를 참조하면, 상기 개폐부(100)는 용기(1)에 수용된 액체가 수전부(200)를 통하여 유입될 경우 유입되는 액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손잡이(110)가 헤드(120)의 상면에 거치되며 상기 헤드(120)의 내부 공간으로 상기 손잡이(110)와 힌지 결합된 연결핀(140)이 삽입되고, 연결핀(140)의 하부가 액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개폐구(150)와 부착되는 구성이다.
상기 손잡이(110)는, 사용자가 본 고안 코크 장치(10)를 통하여 액체를 배출시킬 경우 사용자에 의하여 파지되어 회동되는 평판 형상의 누름판(111)이 형성되고, 이 누름판(111)의 하부에 상기 헤드(120)의 상면과 접촉되는 다각형 모양의 한쌍의 받침편(112)이 형성되고, 각각의 받침편(112)의 내측 방향으로 상기 연결핀(140)과 결합하는 힌지돌기(113)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헤드(120)는 상면의 중앙에 연결핀(140)이 관통될 수 있도록 홀(121)이 천공되며, 헤드(120)의 내부 벽면은 수전부(200)와의 결합을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은 나사산(122)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핀(140)은 바닥면(141)의 상부에 봉체(142)가 형성하고, 상기 봉체(142)의 말단 부분에 상기 손잡이(110)의 받침편(112)에 돌출 형성된 힌지돌기(113)가 요입되는 삽입구(143)가 형성된다.
상기 개폐구(150)는 수전부(200)의 배출관(220)으로 유입되는 액체의 출입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원통 형상의 암(151)과 상기 암(151)의 상면에 테두리 형상의 프렌지(153)가 형성된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암(151)의 상면과 상기 프렌지(153) 사이에는 중공 상태의 공간부가 형성되며, 이 공간부에 상기 연결핀(140)이 거치되되 상기 연결핀(140)의 바닥면(141)이 상기 암(151)의 상면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연결핀(140)과 개폐구(150)가 상호 결합된다.
또한, 상기 암(151)의 외측 주연 부분에는 후술할 측관(230)을 계폐하는 링 형상의 탭(15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암(151)의 직경은 적어도 배출관(220)의 배출구 직경(L)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연결핀(140)의 봉체(142)에 탄성부재(13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봉체(142)에 삽입된 탄성부재(130)는 상기 암(151)의 상부와 헤드(120)의 천정면 사이에 게재됨으로써, 후술할 도 6a 와 도 6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10)의 누름판(111)이 헤드(120)에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회동될 때 누름판(111)과 힌지결합된 연결핀(140)의 상승과 하강 운동에 적정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상기 탄성부재(130)는 누름판(111)이 헤드(120)에 수평 방향으로 회동된 경우에 연결핀(140)의 하부에 결합되는 암(151)에 하방으로의 탄성력을 추가적으로 부여하여 후술할 배출관(220)을 통한 액체의 배출을 보다 공고하게 폐쇄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부재(130)로서 통상의 강철 재질의 스프링을 채용한다.
다음으로, 상기 수전부(2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의 분해사시도 및 도 5 의 단면도를 참조하면, 상기 수전부(200)는 이에 결합되는 개폐부(100)의 작동에 따라서 용기(1)에 수용된 액체를 배출관(220)을 통하여 배출하거나 그 배출을 중지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용기(1)의 용기배출구(1a)에 취부되어 용기(1)에 수용된 액체를 공급받는 결합관(201)과, 이 결합관(201)과 일체로 형성되어 결합관(201)으로부터 유입된 액체를 배출관(220) 방향으로 유동시키는 연결관(210)과, 연결관(210)을 통하여 유입된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2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결합관(201)은 내부에 액체가 유동되는 결합관로(201a)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210)은 상기 배출관(220) 측과 연결되는 연결관 전단(212)과 상기 결합관(201) 측으로 연결되는 연결관 후단(21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출관(220)은 상부 및 하부가 모두 개구된 상태이며, 상부의 개구로부터 상기 개폐부(100)의 헤드(120)에 결합된 개폐구(150)가 내삽되고, 하부의 개구는 배출관(220)의 배출구를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배출관(220)은 상기 개폐부(100)와의 결합을 위하여 배출관의 상구부 개구 부분의 외주면에 상기 개폐부(100)의 헤드(120)의 내벽에 형성된 나사산(122)과 치합되는 결합면(2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개폐부(100)의 누름판(111)이 헤드(120)에 수평 방향으로 회동된 경우에 개폐구(150)의 암(151)의 바닥면에 접촉되어 상기 암(151)을 거치시키는 받침면(222)이 상기 배출관(220)의 내벽면 상에서 계단 형상으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 수전부(200)의 내부에 수전부(200)의 연결관(210)의 관로와 평행한 방향으로 평판 형상의 구획판(240)이 설치된다.
상기 구획판(240)의 일측은 후술할 측관(230)의 입구(232)와 근접한 하측 부분에 부착되며, 타측은 상기 연결관(210)의 관로 내부까지 연장되되,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관(201)의 관로 내부까지 연장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구획판(240)은 수전부(200)의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도 좋다.
상기 배출관(220)에 후술할 측관(230)으로부터 원활하게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며, 편의상 도시된 기준선(R)까지의 연결관(210)의 내부 공간을 구획판(240)을 기준으로 그 상부 공간을 상부 연결관로(210a)로 지칭하고, 그 하부 공간을 하부 연결관로(210b)라 지칭한다.
이때, 상기 상부 연결관로(210a)의 천정면으로부터 상기 구획판(240)까지의 내부 공간의 직경(p1)은 하부 연결관로(210b)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구획판(240)까지의 내부 공간의 직경(p2)보다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후술하겠지만 본 고안의 코크 장치(10)의 개방 작동시 용기(1) 내의 액체(W)의 대부분이 상기 하부 연결관로(210b)을 통하여 유동되는데, 이러한 하부 연결관로(210b)를 통한 액체(W)의 유동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함이다.
또한, 편의상 상기 배출관(220)의 내부 공간을 상기 구획판(240)을 기준으로 그 상부 공간을 상부 배출관로(220a)로 지칭히고, 그 하부 공간을 하부 배출관로(220b)로 지칭한다.
아울러, 상기 구획판(240)의 일측 부분은 상기 개폐부(100)의 개폐구(150)의 암(151)이 관통되는 관통구(24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출관(220)의 몸체의 내부 또는 외부에 이 배출관(220)과 별도로 측관(230)이 형성된다.
상기 측관(230)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튜브(tube) 또는 오리피스(orifice) 형상의 관로로서, 상기 측관(230)의 일측은 상기 구획판(240)이 배출관(220)에 부착된 지점의 상측 부분으로 관통되어 측관 입구(232)를 이루게 되고, 이 측관 입구(232)는 상부 배출관로(220a)와 연결되게 된다.
또한, 상기 측관(230)의 타측은 상기 배출관(220)의 몸체를 따라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배출관(220)의 외부로 배출되는 측관 출구(231)를 이루고 있다.
본 고안 코크 장치(10)는 상기의 측관(230)을 통하여 공기가 계속적으로 유입됨에 따라서 배출관(220)을 통하여 액체를 계속적으로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되며, 이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6 은 본 고안 액체용기용 누름형 코크 장치의 결합상태의 단면도로서, 도 6a 는 수전부 폐쇄시의 단면도, 도 6b 는 수전부 개방시의 단면도이다.
도 6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100)의 헤드(120) 내부에 개폐구(150)가 연결핀(140)에 의하여 결합된 후, 개폐부(100)의 몸체 전체가 헤드(120)에 형성된 나사산(122)에 의하여 상기 수전부(200)의 결합면(221)과 치합되면서 상기 개폐부(100)와 상기 수전부(200)가 상호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개폐부(100)와 수전부(200)가 상호 결합되면, 손잡이(110)의 누름판(111)은 헤드(120)의 상면에서 연결핀(140)에 의하여 힌지결합된 상태에 놓이게 되므로, 손잡이(110)의 누름판(111)이 헤드(120)에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6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10)의 누름판(111)이 헤드(120)와 수평 방향으로 회동된 위치에 있게 되면, 개폐구(150)의 암(151)이 상기 구획판(240)의 관통구(241)를 관통하여 배출관(220)의 내벽에 단차지게 형성된 받침면(222)에 거치되고, 받침면(222)에 거치된 암(151)에 의하여 배출관(220)의 하부 배출관로(220b)가 폐쇄된 상태에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배출관로(220b)가 암(151)에 의하여 폐쇄된 상태에서는 상기 암(151)의 외주면에 형성된 탭(142)에 의하여 측관(230)의 입구(232)도 폐쇄된 상태에 있게 된다.
그러나, 도 6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10)의 누름판(111)이 헤드(120)와 수직 방향으로 회동된 위치에 있게 되면, 개폐구(150)의 암(151)이 손잡이(110)의 회동에 따른 연결핀(140)의 상승으로 인하여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배출관(220)의 하부 배출관로(220b)를 개방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배출관로(220b)가 암(151)에 의하여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암(151)의 외주면에 형성된 탭(142)도 상기 암(151)과 함께 상승되면서 측관(230)의 입구(232)를 개방된 상태에 놓이게 한다.
본 발명의 코크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암(151)에 의한 하부 배출관(220)및 측관(230)의 개폐 작용으로 용기(1) 내의 액체를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되며, 이하, 이러한 본 고안 코크 장치의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a 내지 도 7c 는 본 고안 액체용기용 코크 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코크 장치는 용기(1)에 장착된 상태이고,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의 입구(2)는 뚜껑(3)에 의하여 폐쇄된 상태임을 상정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7a 는 용기(1)의 용기배출구(1a)에 결합된 상태의 본 고안 코크 장치(10)의 개폐부(100)의 손잡이(110)의 누름판(111)이 헤드(120)와 수평 방향으로 회동된 위치에 놓인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개폐구(150)의 암(151)이 상기 구획판(240)의 관통구(241)를 관통하여 배출관(220)의 내벽에 단차지게 형성된 받침면(222)에 거치되고, 받침면(222)에 거치된 암(151)에 의하여 배출관(220)의 하부 배출관로(220b)가 폐쇄된 상태에 있게 되며,상기 암(151)의 외주면에 형성된 탭(142)에 의하여 측관(230)의 입구(232)도 폐쇄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헤드(120)와 개폐구(150) 사이에 게재된 탄성부재(130)가 연결핀(140)의 하부에 결합되는 암(151)에 하방으로의 탄성력을 추가적으로 부여하면서 상기 배출관(220)을 공고하게 폐쇄하고 있게 된다.
그러나, 도 7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10)의 누름판(111)이 헤드(120)와 수직 방향으로 회동된 위치에 놓이게 되면, 개폐구(150)의 암(151)이 손잡이(110)의 회동에 따른 연결핀(140)의 상승으로 인하여 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배출관(220)의 하부 배출관로(220b)를 개방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배출관로(220b)가 암(151)에 의하여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암(151)의 외주면에 형성된 탭(142)도 상기 암(151)과 함께 상승되면서 측관(230)의 입구(232)를 개방시키게 된다.
그러면, 용기(1)의 액체(W)가 상기 배출관(220)의 하부 배출관로(220b)를 통하여 배출관(220)의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용기(1)의 액체(W)가 배출관(220)의 상부 배출관로(220a)를 경유하여 측관(230)의 입구(232)를 통하여 그 출구(231)로 배출되어 배출관(220)의 외부로 배출된다.
(도면에는 상기 상부 배출관로(220a)가 상승한 암(151)에 의하여 폐쇄되는 것처럼 도시되었으나, 배출관(220) 내부는 상기 상부 배출관로(220a)와 암(151) 사이에 공간부가 존재함)
다음으로, 도 7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관(220)의 개방상태에서 최초에 액체(W)가 측관(230)을 통하여 배출되면, 상기 측관(230)의 출구(231)로부터 그 입구(232) 방향으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된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배출관(220)을 통하여 액체(W)가 외부로 배출되면 입구(2)가 폐쇄된 상태에서의 용기(1) 내부의 공기압이 하강하게 되며, 용기(1)의 내부와 외부의 공기압이 같아져 내외부의 공기압의 압력차가 없어질때까지 용기(1)의 외부 방향으로부터 용기(1)의 내부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려고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측관(230)으로부터 상부배출관로(220a)에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상부 연결관로(210a)와 결합관로(201a)를 거쳐서 용기(1)의 내부로 진입하게 되며, 공기가 용기(1) 내부에 수용된 액체(W) 중으로 진입하면서 액체(W)중에 공기 방울(기포)(V)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측관(230)을 통하여 공기가 용기(1)의 내부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유입되면서 용기(1) 내부에 충분한 공기압을 제공하게 되므로, 용기(1)의 입구(2)가 뚜껑(3)에 의하여 폐쇄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액체(W)가 하부연결관로(210b)와 하부 배출관로(220b)를 통하여 계속적으로 원활하게 배출되게 된다.
한편, 손잡이(110)의 누름판(111)이 조작되어 본 고안 코크 장치가 도 7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폐쇄상태가 되면, 암(151)에 의하여 배출관(220)의 하부 배출관로(220b)가 폐쇄되고, 상기 암(151)의 외주면에 형성된 탭(142)에 의하여 측관(230)의 입구(232)가 폐쇄되면서 하부배출관로(220b)로의 액체의 유입이 중단되면서 배출관(220)을 통한 액체(W)의 배출이 중지되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고안의 액체 용기용 누름형 코크 장치의 구성 및 작동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 고안 액체용기용 코크 장치
100; 개폐부
110; 손잡이
111; 누름판 112; 받침편
113; 힌지돌기
120; 헤드
121; 홀
130; 탄성부재
140; 연결핀
141; 바닥면 142; 봉체
143; 삽입구
150; 개폐구
151; 암 152; 탭
153; 프렌지
200; 수전부
201; 결합관 201a; 결합관로
210; 연결관
210a; 상부 연결관로
210b; 하부 연결관로
211; 연결관 후단 212; 연결관 전단
220; 배출관
220a; 상부 배출관로
220b; 하부 배출관로
221; 결합면 222; 받침면
230; 측관
231; 측관 출구 232; 측관 입구
240; 구획판 241; 관통구
R: 기준선 W; 액체
V; 기포

Claims (6)

  1. 용기(1)에 수용된 액체를 배출하는 코크 장치에 있어서,
    손잡이(110)가 헤드(120)의 상면에 거치되며 상기 헤드(120)의 내부 공간으로 상기 손잡이(110)와 힌지 결합된 연결핀(140)이 삽입되고, 연결핀(140)의 하부가 액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개폐구(150)와 부착된 개폐부(100);
    상기 용기(1)에 취부되어 용기(1)에 수용된 액체를 공급받는 결합관(201)과, 상기 결합관(201)과 일체로 형성되어 결합관(201)으로부터 유입된 액체를 배출관(220) 방향으로 유동시키는 연결관(210)과, 상기 연결관(210)을 통하여 유입된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되 상부는 상기 개폐구(150)가 내삽되고 하부는 액체의 배출구를 이루며 연결관(210)의 관로와 평행한 방향으로 구획판(240)이 설치된 배출관(220)과, 상기 배출관(220)의 몸체에 내부 또는 외부에 형성되되 일측은 상기 구획판(240)이 배출관(220)에 부착된 지점의 상측 부분으로 관통되어 측관 입구(232)를 이루고, 타측은 배출관(220)의 외부로 배출되는 측관 출구(231)를 이루는 측관(230)으로 이루어진 수전부(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용 누름형 코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100)의 손잡이(110)는,
    평판 형상의 누름판(111)이 형성되고, 이 누름판(111)의 하부에 상기 헤드(120)의 상면과 접촉되는 다각형 모양의 한쌍의 받침편(112)이 형성되고, 각각의 받침편(112)의 내측 방향으로 상기 연결핀(140)과 결합하는 힌지돌기(113)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100)의 연결핀(140)은,
    바닥면(141)의 상부에 봉체(142)가 형성하고, 상기 봉체(142)의 말단 부분에 상기 손잡이(110)의 받침편(112)에 돌출 형성된 힌지돌기(113)가 요입되는 삽입구(14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용 누름형 코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100)의 개폐구(150)는, 상기 배출관(220)의 배출구 직경(L)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진 원통 형상의 암(151)과 상기 암(151)의 상면에 테두리 형상의 프렌지(153)가 형성되고,
    상기 암(151)의 상면과 상기 프렌지(153) 사이에는 중공 상태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이 공간부에 상기 연결핀(140)이 거치되되 상기 연결핀(140)의 바닥면(141)이 상기 암(151)의 상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용 누름형 코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암(151)의 외측 주연 부분에는 상기 측관(230)의 입구(232)를 계폐하는 링 형상의 탭(15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용 누름형 코크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140)의 봉체(142)에 탄성부재(130)가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130)가 상기 암(151)의 상부와 헤드(120)의 천정면 사이에 게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용 누름형 코크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220)은, 배출관의 상부 개구 부분의 외주면에 개폐부(100)의 헤드(120)의 내벽에 형성된 나사산(122)과 치합되는 결합면(221)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구(150)의 암(151)의 바닥면을 거치시키는 받침면(22)이 상기 배출관(220)의 내벽면 상에서 계단 형상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용 누름형 코크 장치.
KR2020110006721U 2011-07-22 2011-07-22 액체 용기용 누름형 코크 장치 KR2004678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721U KR200467892Y1 (ko) 2011-07-22 2011-07-22 액체 용기용 누름형 코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721U KR200467892Y1 (ko) 2011-07-22 2011-07-22 액체 용기용 누름형 코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758U KR20130000758U (ko) 2013-01-30
KR200467892Y1 true KR200467892Y1 (ko) 2013-07-10

Family

ID=51392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721U KR200467892Y1 (ko) 2011-07-22 2011-07-22 액체 용기용 누름형 코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89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54706A (zh) * 2022-08-09 2022-10-11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第二医学中心 一种用于老年患者的引流护理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0547A (ja) 2002-04-10 2003-10-21 Osawa Wax Kk 流体用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0547A (ja) 2002-04-10 2003-10-21 Osawa Wax Kk 流体用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758U (ko)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0524B2 (en) Bottle with multi-fold protective cover and leak-proof closure device
WO2006047108A3 (en) Dispenser assembly
US8561852B2 (en) Dosing head for dispensing a fluid from a container
US8827117B2 (en) Easily operated liquid dispenser
TWI623485B (zh) 飲料配送器
KR200467892Y1 (ko) 액체 용기용 누름형 코크 장치
CN113086930A (zh) 一种新型井式分配器
US20140101878A1 (en) Damp mop tool with hand activated liquid dispenser
FR2954805B1 (fr) Clapet pour circuit de mise a l'air d'un reservoir a liquide
US6973937B1 (en) Valve device for faucet or spray gun
KR200467891Y1 (ko)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진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
JP6139321B2 (ja) 2剤混合容器
JP6332694B2 (ja) 吐出兼用噴出容器
KR200465617Y1 (ko)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
CN211795802U (zh) 液体容器快速更换装置、炒锅装置及炒菜机
CA2506145A1 (en) Pump bottle flow control apparatus
KR20170001498U (ko) 휴대용 소변기
WO2017181307A1 (zh) 一种喷枪
KR20180093275A (ko) 샴푸용기용 펌프
US20130009085A1 (en) Ball Valve With Anti-Backflow Device
JP3245398U (ja) 可動ノズルを備えたポンプディスペンサ
NL2005312C2 (en) Dispensing device for soap or detergent.
US11187331B2 (en) Valve assembly
KR101713048B1 (ko)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CN111938413A (zh) 液体容器快速更换装置、炒锅装置及炒菜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