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617Y1 -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 - Google Patents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617Y1
KR200465617Y1 KR2020110000667U KR20110000667U KR200465617Y1 KR 200465617 Y1 KR200465617 Y1 KR 200465617Y1 KR 2020110000667 U KR2020110000667 U KR 2020110000667U KR 20110000667 U KR20110000667 U KR 20110000667U KR 200465617 Y1 KR200465617 Y1 KR 2004656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quid
flow path
pip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06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818U (ko
Inventor
최영일
Original Assignee
최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일 filed Critical 최영일
Publication of KR201200018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8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6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6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67D3/047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with a closing element having a rotational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4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cylind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141Other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ke Industr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 음료수, 간장, 식초, 식용유 등의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용기에 사용되는 코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에 수용된 액체가 상측 및 하측으로 나뉘어진 유동로를 따라서 유입되어 배출구에 형성된 유입공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따라 코크의 배출구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밀폐된 용기에서도 수용된 액체를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Apparatus for cock use for liquid container}
본 고안은 물, 음료수, 간장, 식초, 식용유 등의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용기에 사용되는 코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에 수용된 액체가 상측 및 하측으로 나뉘어진 유동로를 따라서 유입되어 배출구에 형성된 유입공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따라 코크의 배출구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밀폐된 용기에서도 수용된 액체를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 음료수, 간장, 식초, 식용유 등의 액체를 대량으로 보관할 경우에는 이러한 액체를 수용하는 전용 액체 용기에 수용하여 보관하며, 이러한 전용 액체 용기는 대표적으로 약수통, 업소에서 사용되는 간장 등의 조미용 액체, 식용유, 청소용 락스 등을 수용하는 말통 등이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액체 용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액체를 유입시키는 입구(2)와 그 입구(2)를 개폐하는 뚜껑(3)을 가진 액체 용기(1)이다.
상기 용기(1)는 수용된 액체를 용기(1)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그 하단에 코크 마개(9)에 의하여 용기(1)에 탈부착되는 코크(cock)(4)를 구비한다.
도면 우측의 사용상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크(4)는 용기(1)의 액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5)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관(5)의 상부에는 코크를 개폐시키는 핸들(6)이 부착되며, 배출관(5)의 관로상에는 용기(1)의 액체를 유입시키는 배출공(5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배출관(5)은 연결체(7)로 내삽되며, 상기 연결체(7)에는 용기(1)로부터 액체가 유입되는 연결공(8)이 형성된다. 따라서, 핸들(6)의 위치에 따라서 연결체(7)의 연결공(8)과 배출관(5)의 배출공(5a)이 서로 치합되는 경우에는 용기(1)에 수용된 액체가 이들 연결공(8)과 배출공(5a)을 통하여 배출관(5)으로 배출되지만(개방 상태), 핸들(6)의 위치에 따라서 연결체(7)의 연결공(8)을 배출관(5)의 관로의 일부가 폐쇄시키는 경우에는 액체가 배출관(5)의 관로에 막혀서 더 이상 코크(4)를 통하여 배출되지 않게 된다(폐쇄 상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액체 용기는 입구(2)에 취부된 뚜껑(3)을 약간 개방시켜 입구(2)를 통하여 용기(1) 내로 공기를 유입시키고, 이 유입된 공기에 의하여 용기(1) 내부에 일정한 공기압을 유지시켜 주어야만 용기(1) 내의 액체가 코크(4)를 통하여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만일, 용기(1)의 뚜껑(3)을 약간 개방시켜 놓지 않는다면 코크(4)의 개방시 액체가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아 사용상의 불편함을 유발하게 된다.
그런데, 뚜껑(3)을 약간 개방시켜 놓는다 하더라도 용기가 옆으로 기울어지거나 넘어진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용기(1) 내부에 있는 액체가 코크(4) 방향으로의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여 액체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간장 등의 조미용 액체, 식용유, 청소용 락스 등을 수용하는 말통에 있어서, 이러한 말통을 직접 들어서 액체를 배출시키는 경우 액체가 입구를 통하여 한꺼번에 흘러넘치면서 바닥을 지저분하게 할 우려가 많아 업소의 위생적인 환경을 조성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액체를 배출시킬 때마다 무거운 말통을 직접 들었다 놓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수반되어 주방 작업의 비효율이 초래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용기가 완전히 밀폐된 상태에서도 용기 내부에 수용된 액체를 코크를 통하여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의 구성을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의 구성은, 용기에 수용된 액체가 상측 및 하측으로 나뉘어진 유동로를 따라서 유입되어 배출구에 형성된 유입공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따라 코크의 배출구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밀폐된 용기에서도 수용된 액체를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는 상부실과 하부실로 유입된 액체가 수전부의 유입공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으므로, 종래와 달리 완전하게 밀폐된 상태의 용기에 수용된 액체도 본 고안 코크 장치를 통하여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업소에서 사용되는 간장 등의 조미용 액체, 식용유, 청소용 락스 등을 수용하는 말통을 직접 들었다가 놓는 번거로움이 없으므로, 작업상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액체가 한꺼번에 흘러넘칠 우려도 일소하여 위생적인 업소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 은 종래 액체용기용 코크 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2 는 본 고안 액체용기용 코크 장치의 사용상태의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 액체용기용 코크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 액체용기용 코크 장치의 수전부의 단면도로서, 도 4a 는 A-A' 선 단면도, 도 4b 는 B-B' 선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 액체용기용 코크 장치의 연결부의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 액체용기용 코크 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d 는 본 고안 액체용기용 코크 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의 구성 및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개시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태양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은 본 고안 액체용기용 코크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 코크 장치(10)는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1)에 취부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 코크 장치(10)가 취부될 수 있는 용기(1)로서는 간장, 식초 등의 각종 조미용 액체, 식용유 등의 각종 기름, 락스 등의 각종 액체 화학품을 수용하는 말통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본 고안 코크 장치(10)는 용기(1)에 수용된 액체를 배출하는 수전부(水栓部)(100)와, 용기(1)에 수용된 액체가 상기 수전부(100)로 흘러가는 유로를 형성하는 연결부(200)로 대분되며, 하기에서 본 고안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은 본 고안 코크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a 및 도 4b 는 본 고안 수전부(100)의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 연결부(200)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 3 의 분해사시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 코크 장치(10)는 용기(1)의 용기배출구(1a)에 취부되어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용기배출구(1a)에 취부시 본 고안 코크 장치(10)와 용기(1)와의 밀봉 상태를 보다 양호하게 조성할 수 있도록 고무 재질의 패킹(300)이 상기 연결부(200)와 용기배출구(1a)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패킹(300)은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는 비어있는 상태의 원통형 부재로서, 원형의 플렌지(310)(flange)상에 상기 연결부(200)의 삽입관(230)이 내삽될 수 있는 형상과 높이를 가진 테두리(320)가 형성되고, 테두리(320)의 상면은 개방된 상태의 개구(321)를 가진다.
상기 패킹(300)에 의하여 용기(1)의 용기배출구(1a)에 취부된 연결부(200)의 연결관(210)으로 수전부(100)의 배출관(110)이 삽입된다.
이때, 배출관(110)의 배출구(113) 부분을 막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마개부(400)가 더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마개부(400)는 링 형상의 오링(410)과 오링(410)의 일측에 연결된 띠 형상의 밴드(420)와 상기 밴드(420)의 말단에 형성된 마개(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개부(400)는 수전부(110)의 배출관(110)이 연결부(200)의 연결관(210)으로 삽입될 때, 상기 마개부(400)의 오링(410)이 배출관(110)의 하단 말단으로부터 삽입되어 연결관(210)의 상측에 거치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마개부(400)는 본 고안 코크 장치(10)를 장기간 미사용할 경우, 사용자가 오링(410)의 밴드(420)와 연결된 마개(430)를 이용하여 배출관(110)의 배출구(113) 부분을 막아둠으로써, 불필요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수전부(100)의 헤드(130)의 상면은 후술할 공기의 유입을 위하여 개방된 상태이며, 이러한 개방된 상태의 개구를 통하여 불필요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앙에 유입공(151)이 천공된 뚜껑(150)이 헤드(130)의 개구를 막게 된다.
상기 패킹(300), 마개부(400) 및 뚜껑(150)은 본 고안 코크 장치의 기능 및 위생 상태를 보다 양호하게 만들기 위하여 사용되는 부속물로서, 본 고안 코크 장치가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서는 반드시 이들을 포함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도 4a 와 4b 를 참조하여 본 고안 수전부(100)를 설명한다.
도 4a 는 A-A' 선 단면도, 도 4b 는 B-B' 선 단면도로서 각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기 수전부(100)는 하측에 배출구(113)를 형성한 원통 형상의 배출관(110)과, 상기 배출관(110) 상측에 부착되며 일측에 핸들(140)이 부착되고 상면은 개구된 원통 형상의 헤드(130)와, 상기 배출관(110)과 헤드(130)의 사이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관(110)과 헤드(130)를 분리시키는 원형 평판 형상의 격막(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격막(120)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배출관(110)의 내부 공간은 하부실(111)을 형성하고, 상기 헤드(130)의 내부 공간은 상부실(131)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격막(120)은 상기 상부실(131)의 바닥면을 이루면서 동시에 상기 하부실(111)의 천정면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배출관(110)의 외주면 일측에 하부공(112)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헤드(130)의 외주면상에 상기 하부공(112)이 형성된 지점의 상측으로 상기 하부공(112)과 나란하게 상부공(132)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하부공(112)은 상기 격막(120)을 기준으로 격막(120) 하단에 근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공(132)는 상기 격막(120)을 기준으로 격막(120) 상단에 근접하게 형성된다.
이때,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막(120)은 도 7d 에서 후술할 용기(1)의 액체(W)를 상기 상부실(131)로부터 상기 하부실(111)로 배출시키기 위한 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공(132)의 형성 지점으로부터 우측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헤드(130)의 천정면은 상기 상부실(131)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된 상태이며, 필요에 따라서 헤드(130)의 천정면을 유입공(151)이 형성된 뚜껑(150)으로 막아둘 수 있다. 상기 유입공(151)도 외부로부터 공기를 상기 상부실(131)로 유입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 고안의 수전부(100)의 헤드(130)의 내경(b)이 배출관(110)의 내경(a)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본 고안 작동에서 후술할 코크 개방시 헤드(130)의 상부실(131)로 충분한 양의 액체를 수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수전부(100)의 배출관(110) 부분이 연결부(200)의 연결관(21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고, 용기(1)에 수용된 액체는 연결부(200)를 통하여 수전부(100)로 유입된다. 이하, 상기 연결부(2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는 본 고안 코크 장치의 연결부(200)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200)는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연결관(210)과, 상기 연결관(210)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관(210)의 외주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유동관(220)과, 상기 유동관(220)의 후단에 형성된 원통 형상의 삽입관(230)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관(210)의 내부 공간은 상기 수전부(100)가 상기 연결관(210) 내부로 내삽되었을 경우, 상기 수전부(100)의 격막(120)이 위치되는 지점에서의 가상의 기준선(240)을 중심으로 기준선(240)의 상측은 상부 공간(211)을 형성하고, 기준선(240)의 하측은 하부 공간(212)를 형성한다.
상기 유동관(220)의 내부 공간은 상기 연결관(210)의 기준선(240)에 대응되는 지점에 유동관(220)의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시키는 분리벽(225)이 형성된다.
상기 유동관(220)은 상기 분리벽(225)에 의하여 내부 공간이 구획되어 상기 분리벽(225)의 상부 공간은 상부 유동로(221)가 형성되고, 상기 분리벽(225)의 하부 공간은 하부 유동로(22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관(210)의 상부 공간(211)과 상기 유동관(220)의 상부 유동로(221) 사이에 유동로 상부공(223)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210)의 하부 공간(212)과 상기 유동관(220)의 하부 유동로(222) 사이에 유동로 하부공(224)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유동로상부공(223)과 상기 유동로하부공(224)은 상기 유동관(220)이 상기 연결관(210)과 일체로 연결되는 연결부위상의 벽체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유동로(221)로 유입된 액체는 상기 유동로 상부공(223)을 통하여 연결관(210)의 상부 공간(211)으로 진입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유동로(222)로 유입된 액체는 상기 유동로 하부공(224)을 통하여 연결관(210)의 하부 공간(212)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유동관(220)의 상부 유동로(221)와 하부 유동로(222)는 상기 삽입관(230) 내부의 빈공간인 유로(231)와 연결된다. 따라서, 후술할 용기(1)의 액체(W)가 삽입관(230)의 유로(231)을 거쳐서 상부유동로(221)와 하부유동로(222)를 통하여 상기 연결관(210)의 상부공간(211) 및 하부공간(212)로 각각 유입되게 된다.
그리고, 삽입관(230)의 말단의 바닥면은 개방된 상태로서, 후술할 도 7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관(230) 내부로 용기(1)의 용기배출구(1a)가 결합되어 용기(1)에 수용된 액체(W)가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관(210)의 외주면 일측에 본 고안 코크 장치가 폐쇄 상태일 경우 수전부(100)의 상부실(131)에 남아있던 액체(W)를 하부실(111)로 유입시키는 누출공(213)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누출공(213)은 평판 형상의 차폐부재(250)에 의하여 차폐된다.
도 6 은 본 발명 액체용기용 코크 장치의 결합상태 단면도로서, 상술한 수전부(100)가 연결부(200)의 연결관(210) 내부로 내삽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수전부(100)의 배출관(110) 부분이 연결관(210)의 내부로 결합되면, 수전부(100)의 핸들(140)의 (도 6 에서는 미도시) 위치에 따라서 본 고안 코크 장치의 개방 또는 폐쇄 상태가 이루어지는데, 도 6 는 이러한 상태중 폐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 코크 장치의 폐쇄 상태에서는 연결부(200)의 유동관(220)의 유동로 상부공(223)과 유동로 하부공(224)이 수전부(100)의 배출관(110)의 벽체에 의하여 폐쇄되면서 유로(231) 및 이 유로(231)와 연결된 상부유동로(221)와 하부유동로(222)로 유입된 액체(W)는 더 이상 수전부(100)의 상부실(131)과 하부실(111)로 진입할 수 없게 된다.
반면, 본 고안 코크 장치의 개방 상태에서는 상기 유동로 상부공(223)과 유동로 하부공(224)이 수전부(100)의 상부공(132)과 하부공(112)과 대향하면서 유로가 개방되어, 상부유동로(221)와 하부유동로(222)로 유입된 액체(W)가 수전부(100)의 상부실(131)과 하부실(111)로 각각 진입하면서 본 고안 코크 장치에 의하여 용기(1) 내의 액체(W)가 배출되게 되는데, 이하, 이와 같은 본 고안 코크 장치의 작동을 도 7 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a 내지 도 7d 는 본 고안 액체용기용 코크 장치의 작동상태도로서, 도 7a 내지 도 7c 는 핸들(140)의 위치에 따라서 본 고안 코크 장치가 개방 상태인 경우이고, 도 7d 는 핸들(140)의 위치에 따라서 본 고안 코크 장치가 폐쇄 상태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며, 본 고안의 코크 장치는 용기(1)에 장착된 상태이고, 용기(1)의 입구(2)는 뚜껑(3)에 의하여 폐쇄된 상태임을 상정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 코크 장치가 개방 상태일 경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수전부(100)의 헤드(130)에 장착된 핸들(140)이 조작되어 본 고안 코크 장치가 개방되면, 도 7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로 상부공(223)이 수전부(100)의 상부공(132)과 대향되면서 상부 유동로(221)와 상부실(131)이 상호 연결된 상태에 있게되고, 마찬가지로 유동로 하부공(224)이 수전부(100)의 하부공(112)과 대향되면서 하부 유동로(222)와 하부실(111)이 상호 연결된 상태에 있게 된다.
그러면, 용기(1) 내부의 액체(W)가 유로(231)를 통하여 유입되면서 유동관(220)의 상부유동로(221)를 경유하여 유동로 상부공(223)을 통하여 수전부(100)의 상부실(131)로 유입된다. 동시에, 유로(231)로 유입된 액체(W)는 유동관(220)의 하부유동로(222)를 경유하여 유동로 하부공(224)을 통하여 수전부(100)의 하부실(111)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상부실(131)로 진입한 액체(W)는 도 7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실(131)의 내부공간의 상단까지 상승하다가 일시적으로 진입이 정지되게 된다.
이러한 이유는 상기 상부실(131)로 진입한 액체(W)의 중력에 의한 낙하하려는 힘이 상승하려는 힘보다 본질적으로 더 크게 작용될 뿐만 아니라, 하부실(111)로 진입한 액체(W)가 배출구(113)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면 입구(2)가 폐쇄된 용기(1) 내부의 공기압이 하강하여 용기(1)의 내부와 외부의 공기압이 같아져 내외부의 공기압의 압력차가 없어질때까지 용기(1)의 외부 방향으로부터 용기(1)의 내부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려고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7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30)의 상부실(131)에 부착된 뚜껑(150)의 유입공(151)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어 상부실(131)에 진입한 액체(W)의 수위가 점차 낮아지게 된다.
그러면, 도 7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W)의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서 수전부(100)의 상부공(132)를 통하여 상부실(131)로 유입된 공기가 유동로 상부공(223)을 통하여 상부유동로(211)와 유로(231)를 거쳐서 빠져나가게 되며, 빠져나간 공기는 용기(1) 내부에 수용된 액체(W) 중으로 진입되어 액체(W)중에 공기 방울(기포)(V)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본 고안 코크 장치가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지속되면서, 결과적으로 유동로 하부공(224)으로 진입한 액체(W)는 수전부(100)의 하부실(111)을 통하여 배출구(113)로 계속하여 배출되어, 본 고안의 코크 장치를 통하여 용기(1)의 액체(W)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7d 와 같이 핸들(140)이 조작되어 본 고안 코크 장치가 폐쇄상태가 되면, 연결부(200)의 유동관(220)의 유동로 상부공(223)과 유동로 하부공(224)이 수전부(100)의 배출관(110)의 벽체에 의하여 폐쇄되면서 유로(231) 및 이 유로(231)와 연결된 상부유동로(221)와 하부유동로(222)로 유입된 액체(W)는 더 이상 수전부(100)의 상부실(131)과 하부실(111)로 진입할 수 없게 되고, 그럼으로써 수전부(100)의 상부실(131) 및 하부실(111)로의 액체(W)의 유입이 차단되면서 액체(W)의 배출이 중지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코크 장치는 폐쇄 상태시, 수전부(100)의 상부공(132)과 하부공(112)이 연결관(210)의 누출공(213)과 대향하게 되는데, 이 누출공(213)의 상면에 부착된 차폐부재(250)와 수전부(100)의 배출관(110)의 벽체 사이에 협소한 폭을 가진 오리피스가 형성되면서, 상부실(131)에 남아있던 잔여 분량의 액체(W)가 경사진 격막(120)을 타고 흘러 내려가 누출공(213) 부분에 형성된 오리피스를 통하여 하부실(111)로 유입되어 배출구(113)를 통하여 모두 배출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고안의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의 구성 및 작동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용기 1a; 용기배출구
2; 입구 3; 뚜껑
4; 코크 5; 배출관
5a; 배출공 6; 핸들
7; 연결체 8; 연결공
9; 코크 마개
10; 본 고안 액체용기용 코크 장치
100; 수전부
110; 배출관
111; 하부실 112; 하부공
113; 배출구
120; 격막
130; 헤드
131; 상부실 132; 상부공
140; 핸들
150; 뚜껑 151; 유입공
200; 연결부
210; 연결관
211; 상부 공간 212; 하부 공간
213; 누출공
220; 유동관
221; 상부 유동로 222; 하부 유동로
223; 유동로 상부공 224; 유동로 하부공
225; 분리벽
230; 삽입관 231; 유로
240; 기준선
250; 차폐부재
300; 패킹
310; 플렌지 320; 테두리
321; 개구
400; 마개부
410; 오링 420; 밴드
430; 마개

Claims (6)

  1. 용기(1)에 수용된 액체를 배출하는 코크 장치에 있어서,
    하측에 배출구(113)를 가지며 그 내부 공간은 하부실(111)을 형성한 배출관(110)과, 상기 배출관(110) 상측에 부착되며 일측에 핸들(140)이 부착되고 상면은 개구되어 그 내부 공간은 상부실(131)을 형성한 헤드(130)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관(110)과 헤드(13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관(110)과 헤드(130)를 분리시키는 격막(120)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관(110)의 외주면 일측에 하부공(112)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헤드(130)의 외주면상에 상부공(132)이 관통 형성된 수전부(100);
    상기 수전부(100)의 배출관(110)이 내부로 결합되며 상부 및 하부가 개구된 연결관(210)과, 상기 연결관(210)과 일체로 형성되되 분리벽(225)에 의하여 상부유동로(221)와 하부유동로(222)로 구획된 유동관(220)과, 상기 유동관(220)의 후단에 형성되되 용기(1)와 결합되어 액체가 유입되는 유로(231)를 형성하는 삽입관(23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동관(220)과 상기 연결관(210)의 연결부위상의 벽체에 유동로상부공(223)과 유동로하부공(224)를 형성한 연결부(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격막(120)은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연결관(210)의 외주면 일측에 수전부(100)의 상부실(131)에 남은 액체를 하부실(111)로 유입시키는 누출공(213)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누출공(213)은 평판 형상의 차폐부재(250)에 의하여 차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에 취부시 밀봉 상태를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200)와 용기(1)의 용기배출구(1a) 사이에 패킹(300)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110)의 배출구(113)를 막는 마개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130)의 상면에 유입공(151)이 천공된 뚜껑(15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체 용기용 코크 장치.
KR2020110000667U 2010-09-01 2011-01-24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 KR20046561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09204 2010-09-01
KR2020100009204 2010-09-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818U KR20120001818U (ko) 2012-03-09
KR200465617Y1 true KR200465617Y1 (ko) 2013-02-28

Family

ID=46606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667U KR200465617Y1 (ko) 2010-09-01 2011-01-24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61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606Y1 (ko) * 2016-01-20 2018-06-11 주식회사 제이엠티 유체저장박스용 실링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2792A (ja) * 1995-04-12 1996-10-29 Yoshino Kogyosho Co Ltd 液体注出栓
JP2007297112A (ja) * 2006-05-01 2007-11-15 Puratekku Kogyo Kk 栓部材、及び同栓部材を備えた液体収容容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2792A (ja) * 1995-04-12 1996-10-29 Yoshino Kogyosho Co Ltd 液体注出栓
JP2007297112A (ja) * 2006-05-01 2007-11-15 Puratekku Kogyo Kk 栓部材、及び同栓部材を備えた液体収容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818U (ko) 2012-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8108B2 (en) Closeable self-venting spout
RU2009107011A (ru) Картридж для дисперсных материалов
KR20080015392A (ko) 용기로부터 유체를 분배하는 도우징 헤드
PL198160B1 (pl) Zespół zaworu, zespół obejmujący zespół zaworu i element łączący, pojemnik oraz sposób stosowania pojemnika
RU2007129250A (ru) Герметичный стакан для подачи краски, включающий вкладыш и нижний воздушный впускной клапан
CA2455150A1 (en) Self-venting spout
DE602006009830D1 (de) Verschüttsicherer verschluss
CA2457586A1 (en) Closeable self-venting spout
KR101796531B1 (ko) 생활 하수 다단 유수 분리 여과조
RU2014147698A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хранения насыпью и погрузочно-разгрузочный узел
KR200465617Y1 (ko)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
KR20140033147A (ko) 용기 청소장치
US10947019B2 (en) Portable beverage container
WO2015010050A2 (en) Liquid handling system with reduced exposure to air
KR200467891Y1 (ko)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진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
JP4699801B2 (ja) 気液分離器
JPH0796756A (ja) タンク密閉蓋
KR200419676Y1 (ko) 액상 식품용 용기 뚜껑
WO2019227833A1 (zh) 加湿器
US7011754B2 (en) Filtering device having filter bag seal
KR200467892Y1 (ko) 액체 용기용 누름형 코크 장치
KR200471869Y1 (ko) 내용물의 배출을 용이토록 하는 액체용기
JP4674719B2 (ja) 注出容器
AU2018266554A1 (en) Liquid-dispensing apparatus
CN217271929U (zh) 一种真空管道的自动排气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