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8079A - 음료용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음료용 디스펜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48079A KR20150048079A KR1020140145478A KR20140145478A KR20150048079A KR 20150048079 A KR20150048079 A KR 20150048079A KR 1020140145478 A KR1020140145478 A KR 1020140145478A KR 20140145478 A KR20140145478 A KR 20140145478A KR 20150048079 A KR20150048079 A KR 2015004807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verage
- passage
- hole
- dispenser
- samp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8—Details
- B67D3/0061—Details of liquid containers, e.g. filling, emptying, closing or ope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음료용 디스펜서(10)는 음료가 공급되는 공급 통로(25)와, 상기 공급 통로에 접속된 개폐 밸브(32)와, 상기 개폐 밸브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공급 통로에 있어서 수직 하방으로 뻗은 주출 통로(39)를 구비하고, 상기 주출 통로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51)이, 상기 주출 통로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주출 통로의 중심과 상기 공급 통로의 중심선을 잇는 선분을 0°로 할 때 90°에서 270°의 사이의 각도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료를 주출하는 음료용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음료를 공급하는 디스펜서, 즉, 워터 서버는 다양한 유형이 시판되고 있는데, 음료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서, 음료의 안전성의 확보와, 음료의 관능면에서의 품질 추구가 높게 요구되고 있다. 음료의 안전성의 확보는 수도물을 공급하는 디스펜서의 경우, 수도물에 살균을 위하여 첨가하는 염소에 의하여 수도물 그 자체가 어느 정도의 살균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수도물 중에서의 미생물의 증식은 억제되어, 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미네랄 워터 등의 음료의 경우에는 음료에 살균을 위한 염소 등은 첨가되어 있지 않아서, 음료 중에서의 미생물의 증식이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음료 중에서의 미생물의 증식은 미생물이 병원성을 가진 것이라면 인체에 유해하고, 병원성이 없더라도, 음료에 이상한 맛과 이상한 냄새를 부가하거나 또는 음료가 혼탁하거나 한 경우가 있다. 디스펜서는 항상 음료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있으면, 디스펜서 내에서의 미생물의 증식이 일어나기 어렵지만, 예를 들어 오피스 등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야간 또는 주말 등에는 사용되지 않아서, 장시간에 걸쳐서 디스펜서 내에 음료가 정체하는 상태가 있으면, 미생물이 증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장시간에 걸쳐서 사용되고 있는 디스펜서 내에서 미생물의 균총을 서서히 생성하는 경우도 있다.
종래에는 디스펜서 내에서의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하여, 디스펜서 내의 배관 계통에 디스펜서의 외부로부터 살균제나 고온의 물을 주입하고 순환시켜 살균하거나, 디스펜서 내에 제균 여과 장치를 설치하거나 하였다. 그러나, 비용 및 메인터넌스의 관점에서, 음료를 채운 용기로부터 음료를 제공하는 디스펜서의 배관 계통의 특정 부위에 히터를 배치함으로써, 살균 여과 장치 등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배관 계통을 가열 살균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디스펜서의 배관 계통에는 노즐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노즐과 배관 계통 사이의 접속 부분에는 통상적으로 전자 밸브가 배치되어 있다. 사용자가 전자 밸브에 접속된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전자 밸브가 개방되어, 음료가 노즐로부터 주출된다.
이 때, 사용자가 음료의 주출 조작을 종료한 후에는, 노즐 내에 음료가 잔존하는 것이 판명되어 있다. 디스펜서의 배관 계통은 히터에 의하여 가열된 온수를 순환시킴으로써 살균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밸브보다 하류에 위치하는 노즐에는 그러한 온수가 순환하지 않아서, 노즐을 살균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음료의 노즐을 빈번하게 세정할 필요가 있어서 번잡하다. 노즐의 세정을 장시간에 걸쳐서 게을리하였을 경우에는 미생물이 노즐 내에 잔존하는 음료에 번식할 가능성이 있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11-178408호에 개시되어 있는 디스펜서의 노즐은 개폐 밸브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뻗은 굴곡부를 구비하고 있다. 음료는 굴곡부를 통과할 때에 난류 상태가 되기 때문에 공기의 정체가 굴곡부 내에 생긴다. 이 때문에, 주출 조작의 종료 후에는 상기 정체된 공기가 노즐 위쪽으로 이동하여, 노즐 선단으로부터 새로운 공기가 들어오고, 그 결과, 노즐 내에 음료가 잔존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특개 2011-178408호 공보에서는 굴곡부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통로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공기가 관통공을 통하여 노즐 내에 진입하고, 그것에 의하여, 노즐 내의 음료를 공기와 신속하게 치환할 수 있다.
그러나,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11-178408호에 개시되어 있는 관통공은 굴곡부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통로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먼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노즐 내의 음료를 공기와 신속하게 치환할 수 있으나, 음료의 주출 유량은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큰 폭으로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11-718408호 공보의 굴곡부는 전방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뻗어 있기 때문에, 그 만큼, 안쪽 방향으로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이 때문에, 디스펜서가 안쪽 방향으로 대형화하여, 공간 절약이 요구되는 장소에서는 그러한 디스펜서는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주출 유량이 큰 폭으로 저하하지 않고 및 대형화하지 않고, 노즐 내에 음료가 잔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료용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번째의 실시 양태에 의하면, 음료가 공급되는 공급 통로와, 이 공급 통로에 접속된 개폐 밸브와, 이 개폐 밸브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공급 통로에 대하여 수직 아래쪽으로 뻗은 주출 통로를 구비하고, 이 주출 통로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이 상기 주출 통로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추출 통로의 중심과 상기 공급 통로의 중심선을 잇는 선분을 0°로 하여, 90°에서 270° 사이의 각도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음료용 디스펜서가 제공된다.
두번째의 실시 양태에 의하면, 첫번째의 실시 양태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주출 통로의 길이 부분의 반보다 윗쪽에 있어서 상기 주출 통로에 형성되어 있다.
세번째의 실시 양태에 의하면, 첫번째 또는 두번째의 실시 양태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개폐 밸브의 바로 아래에 있어서 상기 주출 통로에 형성되어 있다.
네번째의 실시 양태에 의하면, 첫번째 내지 세번째 중 어느 하나의 실시 양태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관통공이 상기 주출 통로에 형성되어 있다.
다섯번째의 실시 양태에 의하면, 첫번째 내지 네번째 중 어느 하나의 실시 양태에 있어서, 상기 주출 통로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과, 상기 주출 통로의 기단과의 사이의 영역을 적어도 피복하는 커버 부분을 구비한다.
첫번째의 실시 양태에 있어서는 관통공이 주출 통로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주출 통로 (노즐) 내에 음료가 잔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관통공은 90°에서 270°의 사이, 즉 사용자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음료의 주출 유량은 거의 저하하지 않는다. 또한, 주출 통로가 연직 방향 아래쪽으로 뻗어 있으므로, 디스펜서가 안쪽 방향으로 대형화하는 경우도 없다.
두번째의 실시 양태에 있어서는 주출 통로 내에 잔존하는 음료를 줄일 수 있다.
세번째의 실시 양태에 있어서는 주출 통로 내에 음료가 잔존하는 것을 거의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다.
네번째의 실시 양태에 있어서는 노즐 내의 음료를 공기와 더욱 신속하게 치환할 수 있다.
다섯번째의 실시 양태에 있어서는 주출 통로 내에 음료가 잔존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사용자가 부주의 등으로 관통공에 접촉하거나 이물질이 관통공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첨부 도면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 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들, 특징 및 이점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이 한층 더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기초한 음료의 디스펜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나는 음료용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기초한 음료용 디스펜서의 부분 확대 도면이다.
도 4는 냉수용 전자 밸브 및 주출 통로의 정면도이다.
도 5는 관통공의 형성 위치와 주출 유량 등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음료용 디스펜서의 주출 통로의 선단 근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나는 음료용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기초한 음료용 디스펜서의 부분 확대 도면이다.
도 4는 냉수용 전자 밸브 및 주출 통로의 정면도이다.
도 5는 관통공의 형성 위치와 주출 유량 등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음료용 디스펜서의 주출 통로의 선단 근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였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이들 도면은 축척을 적절하게 변경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기초한 음료의 디스펜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음료의 일례로서 음료수를 채운 음료수 용기(12)는 백 인 박스(in-box)형 용기이며, 백 인 박스(in-box)형 용기의 안쪽 백(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성형되어 있는 주출용 튜브의 일단을 꺼내어 디스펜서(10)에 장착하였다. 음료수가 채워진 용기는 가열에 의한 음료수의 용적 팽창분을 흡수할 수 있고, 밀봉성이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으나, 백 인 박스형 용기에서, 예컨대 안쪽 백에 스파우트가 설치되어 있는 유형의 것이면, 그 스파우트와 접속 기구를 통하여 디스펜서측과 접속시키면 좋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료수 용기(12)로부터 뻗어 있는 공통 배관(21)은 분기관(22) 및 분기관(28)에 분기되어 있고, 이들 분기관(22, 28)은 2 종류의 저류 탱크인 온수 탱크(13) 및 냉수 탱크(14)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음료수 용기(12)로부터 온수 탱크(13)로 공급된 음료수는 온수 탱크(13)에 설치된 가열 장치(15)에 의하여 적절한 온도, 예를 들면 약 70°이상으로 가열된다. 마찬가지로 음료수 용기(12)로부터 냉수 탱크(14)로 공급된 음료수는 냉수 탱크(14)에 설치된 냉각 장치(16)에 의하여 약 4° 내지 10° 정도로 냉각된다. 또한, 온수 탱크(13)에 접속된 배관(23)에 설치된 온수용 전자 밸브(31)를 조작함으로써 주출 통로(38)의 선단으로부터 온수가 주출되고, 또한, 냉수 탱크(14)에 접속된 배관(25)에 설치된 냉수용 전자 밸브(32)를 조작함으로써 주출 통로(39)의 선단으로부터 냉수가 주출된다. 또한, 이들 전자 밸브(31, 32) 대신에, 주출 코크 또는 주출 레버를 채용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온수 탱크(13)에 음료수를 주입하는 분기관(22)은 온수 탱크(13)의 깊은 층, 예를 들면 75%를 초과하는 깊이까지 뻗어있고, 한편, 온수 탱크(13)로부터 음료수를 주출하는 배관(23)은 온수 탱크(13)의 얕은 층, 예를 들면 25%를 넘지 않는 깊이까지만 뻗어있다. 온수는 온수 탱크(13)의 정부(頂部) (도 1에 있어서의 위쪽)를 향하여 대류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온수 탱크(13)로부터 온수를 주출할 수 있다.
또한, 냉수 탱크(14)에 음료수를 주입하는 분기관은 냉수 탱크(14)의 얕은 층, 예를 들면 25%를 넘지 않는 깊이까지만 뻗어있고, 한편, 냉수 탱크(14)로부터 음료수를 주출하는 배관(25)은 냉수 탱크(14)의 깊은 층, 예를 들면 75%를 초과하는 깊이까지 뻗어 있다. 냉수는 냉수 탱크(14)의 바닥부 (도 1에 있어서의 아래쪽)를 향하여 대류하기 때문에, 효율 좋게 냉수 탱크(14)로부터 냉수를 주출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온수 탱크(13)로부터 뻗은 연통 배관(24)이 배관(25)의 냉수용 전자 밸브(32)에 접속되어 있고, 연통 배관(24)에는 순환 밸브(35) 및 순환 펌프(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순환 밸브(35)는, 예컨대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작동하는 전자 밸브이다. 또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드레인 밸브(33)을 구비한 배관(26)이 연통 배관(24)로부터 뻗어 있고, 똑같이 드레인 밸브(34)를 구비한 배관(27)이 냉수 탱크(14)로부터 뻗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예컨대 야간에 있어서 순환 밸브(35)를 개방하는 동시에 순환 펌프(40)을 구동함으로써, 온수 탱크(13) 내의 온수를 연통 배관(24), 냉수 탱크(14), 배관(22) 및 배관(28)에 통과시켜 순환시킴으로써, 이들을 가열 살균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음료용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스펜서(10)의 하우징(11)의 전면(11a)에는 컵(C)를 배치할 수 있는 오목부(4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45)의 윗면으로부터 커버(44)가 아래쪽을 향하여 뻗어있고, 또한 주출 통로(38, 39)가 커버(44)의 하단을 넘어 아래쪽으로 뻗어 있다.
또한, 하우징(11)의 전면(11a)에는 조작 패널(41)이 배치되어 있다. 조작 패널(41)의 주출 버튼(48, 49)을 누르면, 대응하는 전자 밸브(31, 32)가 구동하고, 주출 통로(38, 39)의 선단으로부터 온수 또는 냉수가 주출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기초한 음료용 디스펜서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에 있어서는 냉수 탱크(14) 및 이에 대응하는 냉수용 전자 밸브(32) 및 주출 통로(39)가 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또한, 간결하게 하기 위한 목적에서, 도 3에서는 연통 배관(24)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온수 탱크(13) 및 이에 대응하는 온수용 전자 밸브(31) 및 주출 통로(38)도 후술하는 바와 같은 구성의 것으로 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수 탱크(14)와 냉수용 전자 밸브(32)를 접속하는 배관(25)은 수평 방향으로 뻗어 냉수용 전자 밸브(32)에 접속하고 있다. 또한, 냉수용 전자 밸브(32)로부터 뻗은 주출 통로(39)는 대략 연직 방향 아래쪽으로 뻗어 있다. 즉, 배관(25)과 주출 통로(39)는 서로 거의 수직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주출 통로(39)에 관통공(5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51)은 배관(25)으로부터 먼 곳에 위치하는 주출 통로(39)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관통공(51)은 하우징(11)의 전면(前面)(11a)의 가까운 측, 즉, 사용자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주출 통로(39)의 내경이 8.5 mm이고, 관통공(51)의 직경은 1.5 mm 내지 2.0 mm이다. 다만, 주출 통로(39) 및 관통공(51)의 치수가 전술한 것과 달라도 된다.
냉수용 전자 밸브(32)를 정지하여 주출 통로(39)의 선단으로부터 음료가 공급되지 않게 되면, 음료가 주출 통로(39)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잔존한다. 본 발명에서는 외부로부터의 공기가 관통공(51)을 통하여 주출 통로(39)에 진입하므로, 주출 통로(39) 내에 잔존하고 있던 음료는 주출 통로(39)의 선단으로부터 배출된다. 즉, 주출 통로(39) 내의 음료는 관통공(51)으로부터 진입한 공기에 의하여 치환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주출 통로(39) 내에 음료는 거의 잔존하지 않고, 따라서, 미생물이 주출 통로(39) 내에서 번식하는 경우도 없다.
도 4는 냉수용 전자 밸브 및 주출 통로의 정면도이다. 도 4에 있어서는 세 개의 관통공(51, 52, 53)이 주출 통로(39) 상에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어느 하나의 관통공만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관통공(51)은 냉수용 전자 밸브(32) 바로 아래의 위치(P1)에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53)은 주출 통로(39)의 선단 근방의 위치(P3)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통공(52)은 냉수용 전자 밸브(32)로부터 뻗은 주출 통로(39)의 길이 부분의 약 반의 위치(P2)에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냉수용 전자 밸브(32)로부터 뻗어 있는 주출 통로(39)의 길이는 28.5 mm이다.
또한, 표 1은 관통공의 형성 위치와 주출 유량 등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표 1에 있어서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샘플 번호 0의 주출 통로(39)를 기준으로 하여, 높이 위치 P1, P2, P3에 형성된 관통공을 가진 주출 통로(39)(샘플 번호 1 내지 3)와 비교하고 있다.
표 1에는 음료의 주출을 정지한 후에 있어서의 주출 통로(39) 내의 음료의 잔량이 나타나 있다. 샘플 번호 0을 기준으로 하면, 관통공의 높이 위치 P1의 경우 (샘플 번호 1)에는 주출 통로(39) 내의 잔량은 마이너스 87%까지 저하되어, 음료는 거의 잔존하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미생물이 주출 통로(39) 내에서 번식할 일도 없다. 그러므로, 주출 통로를 세정하는 빈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관통공의 높이 위치 P2, P3의 경우 (샘플 번호 2, 3)에는 주출 통로(39) 내의 잔량은 마이너스 82%이다. 즉, 이 경우에는 관통공의 높이 위치 P1의 경우보다 다량의 음료가 주출 통로(39) 내에 잔존하고 있다.
이 때문에, 관통공의 높이 위치 P1의 경우 (샘플 번호 1)에는 액체가 흘러내리지 않지만, 관통공의 높이 위치 P2, P3의 경우 (샘플 번호 2, 3)에는 소량의 액체가 흘러내릴 수 있다 (1.0 ㎖ 또는 1.5 ㎖).
또한, 주출 유량에 대하여는 샘플 번호 O를 기준으로 하면, 관통공의 높이 위치 P2(샘플 번호 2)의 경우에는 주출 유량은 마이너스 1.1%이고, 관통공의 높이 위치 P3(샘플 번호 3)의 경우에는 주출 유량은 플러스 0.2%이다. 또한 관통공의 높이 위치 P1(샘플 번호 1)의 경우에는 주출 유량은 마이너스 2.8%이다. 그러나, 샘플 번호 0과 비교하면, 관통공의 높이 위치 P1(샘플 번호 1)의 경우의 주출 유량의 저하는 극히 적다. 바꾸어 말하면, 관통공의 높이 위치 P1(샘플 번호 1)의 경우에도, 주출 유량은 거의 저하하지 않는다.
또한, 도 5는 관통공의 형성 위치와 주출 유량 등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나는 샘플 번호 0 내지 샘플 번호 7에 있어서는 관통공(51)이 높이 위치 P1에 있어서 주출 통로(39)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5에 있어서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샘플 번호 0의 주출 통로(39)가 기준이 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나는 「관통공의 각도 위치」는 주출 통로(39)의 단면에 있어서 주출 통로(39)의 중심과 배관(25)의 중심선을 잇는 선분을 0°으로 하였을 경우에, 윗쪽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에 있어서의, 관통공(51)의 각도 위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각도 0°의 경우 (샘플 번호 1)에 있어서는 관통공(51)은 배관(25)으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는 주출 통로(39)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도 180°의 경우 (샘플 번호 4)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공(51)은 배관(25)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위치하는 주출 통로(39)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있어서, 관통공(51)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한 주출 통로(39) 내의 잔량은 샘플 번호 1 내지 7에 있어서, 마이너스 82% 내지 마이너스 87%의 사이이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도 위치가 0°인 경우 (샘플 번호 1)에는 관통공(51)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주출 유량은 마이너스 13%까지 저하된다. 각도 위치가 45°인 경우 (샘플 번호 2)에 있어서도, 주출 유량은 마이너스 12%까지 저하된다.
그러나, 각도 위치가 90°인 경우 (샘플 번호 3)에는 주출 유량의 저하는 마이너스 3.2%에 그친다. 또한, 각도 위치가 180°인 경우 (샘플 번호 3)에는 주출 유량의 저하는 마이너스 2.8%로, 주출 유량의 저하가 가장 작다. 또한, 주출 통로(39)의 단면은 원형이므로, 각도 위치가 270°인 경우 (도시하지 않음)에는 각도 위치가 90°의 경우 (샘플 번호 3)와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런데, 도 3에 있어서는 주출 통로(39)의 상단측에서 그리고 배관(25)측에 위치하는 부위(39a)로부터, 주출 통로(39) 내부로 포물선 상으로 이어진 파선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주출 통로(39)의 내부는 이 파선에 의하여, 2 개의 영역(Z1, Z2)으로 구분되어 있다.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영역 Z1은 배관(25)으로부터 먼 위치에 위치하는 주출 통로(39) 내의 영역이고, 영역 Z2는 배관(25)으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는 주출 통로(39) 내의 영역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배관(25)은 주출 통로(39)에 대해서 수직이고, 주출 통로(39)는 연직 방향 아래쪽으로 뻗어 있다. 이 때문에, 영역 Z1에 있어서의 음료의 유속은 영역 Z2에 있어서의 유속보다 크다. 즉, 주출 통로(39)에 있어서의 음료의 유속은 주출 통로(39)의 상단 근방에서 그리고 배관(25)로부터 먼 위치에 있어서 크고, 이 위치로부터 이간함에 따라 점차 작아진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영역 Z1에 있어서 관통공(51)이 주출 통로(39)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이유에 의하여, 관통공(51)의 각도 위치가 180°에 있는 경우, 즉, 관통공(51)이 사용자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음료의 주출 유량은 거의 저하하지 않는다. 또한, 관통공(51)의 각도 위치가 90°에서 270°의 사이에 있는 경우에도, 음료의 주출 유량은 아주 조금 저하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주출 통로(39)는 연직 방향 아래쪽으로만 뻗어 있으므로, 디스펜서(10)가 안쪽 방향으로 대형화하지도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주출 유량이 큰 폭으로 저하하지 않고 및 대형화하지 않고, 주출 통로(39) 내에 음료가 잔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있어서의 샘플 번호 5 내지 7은 서로 대향하는 2 개의 관통공이 주출 통로(39)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들 2 개의 관통공은 모두 주출 통로(39)에 있어서의 높이 위치 P1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개의 관통공(51)의 각도 위치가 0° 및 180°인 경우 (샘플 번호 5)에는 관통공(51)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면, 주출 유량은 마이너스 13%까지 저하된다. 마찬가지로 2 개의 관통공(51)의 각도 위치가 45° 및 225°인 경우 (샘플 번호 6)에는 관통공(51)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주출 유량은 마이너스 11%까지 저하된다. 또한, 2 개의 관통공(51)의 각도 위치가 90° 및 270°인 경우 (샘플 번호 7)에는 관통공(51)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주출 유량의 저하는 마이너스 3.7%이다.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샘플 번호 5 내지 7의 각각의 주출 유량의 결과는 샘플 번호 1 내지 3의 각각의 결과와 같다. 예를 들면, 2 개의 관통공(51)이 0° 및 180°의 각도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샘플 번호 5에 있어서의 주출 유량은 하나의 관통공(51)이 0°의 각도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 (샘플 번호 0)와 다르지 않다. 다른 샘플 번호 6, 7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것은 주출 유량의 저하가 주출 유량을 저하시키는 관통공의 각도 위치에 의존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2 개의 관통공(51)을 주출 통로(39)에 형성하였을 경우에는 주출 유량을 더 저하시키는 관통공의 각도 위치 (예를 들면 샘플 번호 5에 있어서의 각도 위치 0°)에 따라서, 주출 유량은 저하된다. 도 5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셋 이상의 관통공(51)을 동일한 높이 위치에 형성하는 경우에도 같다. 다만, 복수의 관통공을 주출 통로(39)의 동일 높이에 형성하였을 경우에는 단일의 관통공(51)만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보다, 주출 조작의 정지 후에 있어서 주출 통로(39) 내의 음료를 공기와 신속하게 치환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음료용 디스펜서의 주출 통로의 선단 근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디스펜서(10)의 오목부(45)를 아래쪽에서 본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버(44)는 주출 통로(38, 39)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커버(44)의 내면은 주출 통로(38, 39)로부터 어느 정도 이간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주출 통로(39)의 관통공(51)은 커버(44)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억세스할 수 없게 피복되어 있다. 커버(44)는 관통공(51)과 주출 통로(39)의 기단과의 사이를 적어도 피복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구성이므로, 사용자가 부주의 등으로 인하여 관통공(51)에 접촉하거나, 이물질이 관통공(51)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44)의 내면은 주출 통로(38, 39)로부터 이간되어 있으므로, 공기가 관통공(51)을 통하여 주출 통로(39) 내에 진입할 수 있고, 따라서, 주출 통로(39) 내에 음료가 잔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음료수 용기(12) 내의 물을 주출 통로(38, 39)의 선단으로부터 주출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디스펜서(10)가 물 이외의 음료, 예를 들면 차음료, 쥬스 등을 주출하는 경우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분명하다 할 것이다.
전형적인 실시 형태를 들어서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전술한 변경 및 여러 가지 다른 변경, 생략, 추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 음료가 공급되는 공급 통로와,
상기 공급 통로에 접속된 개폐 밸브와,
상기 개폐 밸브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공급 통로에 대하여 수직 아래쪽으로 뻗어 있는 주출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주출 통로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이 상기 주출 통로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주출 통로의 중심과 상기 공급 통로의 중심선을 잇는 선분을 0°로 하여, 90°에서 270°의 사이의 각도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음료용 디스펜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주출 통로의 길이 부분의 반보다 윗쪽에 있어서 상기 주출 통로에 형성되어 있는 음료용 디스펜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개폐 밸브의 바로 아래에 있어서 상기 주출 통로에 형성되어 있는 음료용 디스펜서.
-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관통공이 상기 주출 통로에 형성되어 있는 음료용 디스펜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 통로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과 상기 주출 통로의 기단과의 사이의 영역을 적어도 피복하는 커버 부분을 구비하는 음료용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3-222730 | 2013-10-25 | ||
JP2013222730A JP6210373B2 (ja) | 2013-10-25 | 2013-10-25 | 飲料用ディスペンサ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48079A true KR20150048079A (ko) | 2015-05-06 |
KR102288480B1 KR102288480B1 (ko) | 2021-08-10 |
Family
ID=53047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45478A KR102288480B1 (ko) | 2013-10-25 | 2014-10-24 | 음료용 디스펜서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6210373B2 (ko) |
KR (1) | KR10228848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005240B1 (ja) * | 2015-10-14 | 2016-10-12 |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 鍵付きウォーターサーバー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125800U (ko) * | 1986-01-31 | 1987-08-10 | ||
JP2002362692A (ja) * | 2001-06-08 | 2002-12-18 | Hoshizaki Electric Co Ltd | 発泡飲料注出コック |
JP2005263327A (ja) * | 2005-05-12 | 2005-09-29 | Hoshizaki Electric Co Ltd | 発泡飲料注出コック |
KR20120008805U (ko) * | 2011-06-15 | 2012-12-26 | 최영일 |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진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 |
JP2013216377A (ja) * | 2012-03-16 | 2013-10-24 | Masahiro Hanada | 飲料用サーバー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4315656Y1 (ko) * | 1964-08-27 | 1968-06-29 | ||
DE9301038U1 (de) * | 1993-01-26 | 1993-05-27 | Till, Rudolf, 7573 Sinzheim | Zapfhahn zum Ausschank von Getränken, insbesondere Bier |
JP5601448B2 (ja) * | 2010-02-26 | 2014-10-08 | 株式会社ノーリツ | 飲料水供給装置 |
-
2013
- 2013-10-25 JP JP2013222730A patent/JP6210373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4
- 2014-10-24 KR KR1020140145478A patent/KR10228848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125800U (ko) * | 1986-01-31 | 1987-08-10 | ||
JP2002362692A (ja) * | 2001-06-08 | 2002-12-18 | Hoshizaki Electric Co Ltd | 発泡飲料注出コック |
JP2005263327A (ja) * | 2005-05-12 | 2005-09-29 | Hoshizaki Electric Co Ltd | 発泡飲料注出コック |
KR20120008805U (ko) * | 2011-06-15 | 2012-12-26 | 최영일 |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진 액체 용기용 코크 장치 |
JP2013216377A (ja) * | 2012-03-16 | 2013-10-24 | Masahiro Hanada | 飲料用サーバ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5083488A (ja) | 2015-04-30 |
KR102288480B1 (ko) | 2021-08-10 |
JP6210373B2 (ja) | 2017-10-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386907B1 (en) | Hybrid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 substantially non-foaming and foaming gas-infused beverages | |
JP5572099B2 (ja) | リザーバシステムおよび多岐水栓を有する水ディスペンサ | |
AU2011292451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 sanitizable mixing nozzle | |
KR20150127130A (ko) | 워터 서버 | |
BR112013002967B1 (pt) | sistema para dispensar um aditivo em uma corrente de líquido, porta de geladeira, e, método para dispensar um aditivo em uma corrente de líquido | |
WO2006038445A1 (ja) | 飲料水のディスペンサ | |
US20150101670A1 (en) | Water heater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TW201621192A (zh) | 飲料供給裝置的電磁閥 | |
JP5980375B2 (ja) | 液体注出装置、開閉弁、及び遮断部材 | |
KR20150048079A (ko) | 음료용 디스펜서 | |
WO2006123199A1 (en) | Multiple chilled alcoholic beverages dispenser system | |
JP2011178408A (ja) | 飲料水供給装置 | |
JP2007062746A (ja) | 飲料ディスペンサ | |
JP2017081600A (ja) | 飲料ディスペンサ | |
KR101772163B1 (ko) | 급속 고온멸균 기능이 있는 직수냉온수기 | |
KR102025672B1 (ko) | 음료 냉각 장치 | |
KR20190041763A (ko) | 음료 분배 라인 교체 장치 | |
KR101533962B1 (ko) | 냉온수기 | |
KR101772162B1 (ko) | 고온멸균 기능이 있는 직수냉온수기 | |
JP2014240280A (ja) | 冷水タンク及びこれを利用した飲料水サーバ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