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776A - 가축용 사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축용 사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776A
KR20120008776A KR1020100069877A KR20100069877A KR20120008776A KR 20120008776 A KR20120008776 A KR 20120008776A KR 1020100069877 A KR1020100069877 A KR 1020100069877A KR 20100069877 A KR20100069877 A KR 20100069877A KR 20120008776 A KR20120008776 A KR 20120008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rice
sake
gour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9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호
Original Assignee
김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호 filed Critical 김종호
Priority to KR1020100069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8776A/ko
Publication of KR20120008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77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7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waste material
    • A23K10/38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waste material from distillers' or brewers' was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20Inorganic substances, e.g. oligoelements
    • A23K20/28Silicates, e.g. perlites, zeolites or bentoni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쌀막걸리를 제조하고나서 남겨지는 주박을 활용하여 일라이트분말을 포함하는 추가적인 첨가재료와 혼합하여 가축용 사료로 제조하여 가축이 다양한 영양성분을 섭취하도록 하기 위한 가축용 사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축용 사료는 쌀눈을 제거한 백미 또는 쌀눈과 쌀겨(미강)를 포함하는 현미를 사용하여 막걸리를 제조하고 남겨지는 주박을 회수하고, 상기 주박을 물로 씻어서 알콜 도수가 1%이하, 바람직하게는 거의 0%에 이르도록 씻고 물기를 배출시키고나서 건조시키며, 상기 건조된 주박을 분말화하고, 상기 분말화된 주박에 일라이트분말을 상기 주박의 대략 2?10%의 범위로 혼합하여서 제조된다.

Description

가축용 사료의 제조방법{METHOD FOR FABRICATING FEEDSTUFF}
본 발명은 가축용 사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술지게미'로 칭해지는 주박(酒粕)과 일라이트성분을 함유하는 가축용 사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막걸리는 일예로 현미를 도정한 백미라든지 미강(즉, 쌀겨와 쌀눈)이 포함된 현미를 소정 시간 동안 물에 불리고, 그 불린 쌀에서 물기를 완전히 빠지도록 하고나서 예컨대 찜통을 사용하여 고두밥으로 쪄내고, 상기 고두밥의 20%에 해당하는 누룩을 적절한 크기로 잘게 부순 다음 고두밥과 함께 발효조 또는 항아리에 넣고서 쌀의 대략 150%정도의 물을 부어 넣고 초기 2?3일 동안은 하루에 2회씩 저어주고나서 대략 5?6일 정도 발효시켜 체로 걸러냄으로써 제조된다.
다른 예로, 막걸리는 적량의 백미를 잘 씻어서 소정 시간 동안 물에 불려서 그 불린 쌀에서 물기가 완전히 빠지면 찜통 또는 찜기에 적량의 물을 채우고 소정 시간(예컨대 1시간)동안 찌고나서 약 20분에 걸쳐 뜸을 들이며, 그 찐 쌀을 천 위에 골고루 펴서 식혀서 고두밥을 준비하는 한편 쌀 100g 대비 개량누룩 20g을 물 100ml에 섞고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7ml를 50ml의 물에 섞어주고나서 뚜껑을 덮고 대략 23℃ 항온기에 저장하여 단양주를 완성하고, 필요에 따라 덧술(고두밥과 누룩)(밑술의 2배되는 양)을 2 내지 3회 더 넣어섞어서 대략 6일 정도 발효시킴으로써 이양주 또는 삼양주로서 완성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쌀막걸리의 알코올 도수는 6~8%정도이고, 통상적으로 다른 주류(酒類)와는 달리 쌀에 포함된 영양성분, 즉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는 유기산(인체의 피로물질 제거에 탁월한 젖산, 구연산, 사과산, 주석산 등)이라든지, 인체에 필요한 소화 효소 및 무기물 공급이 원활하도록 하는 활성효모, 비타민 B복합체와 단백질(필수 아미노산; 체내 조직의 합성에 유요한 라이신; 발육과 체중 유지에 중요한 작용을 함과 더불어 식용증진, 조혈, 젖의 분비촉진에도 유효한 트립토판; 페닐알라닌; 인지질(燐脂質)합성을 촉진해서 간의 지방을 적절히 운반하여 지방간이나 간경화를 예방하는 기능을 갖는 메치오닌 등) 및 무기질 등을 함유하게 된다.
그런데, 쌀막걸리를 대량으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고두밥과 누룩이 포함된 소위 '술지게미'로 칭해지는 주박이 다량으로 남겨지게 되는 바, 그 다량의 주박을 그대로 폐기처리하지 않고 적절한 활용방안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토양이 산성화되는 경향에서 재배되는 곡류라든지 목초, 특히 저급한 사료의 경우에는 가축에게 칼슘결핍증에 걸릴 우려가 높아지는 바, 가축의 병해를 예방하고 고급 육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칼슘을 필수적으로 섭취시켜야만 할 뿐 아니라 칼슘성분을 포함하는 계란의 생산을 위해서는 반드시 칼슘을 섭취시켜야만 된다.
따라서, 다양한 영양성분을 함유하면서도 비교적 저가의 경제적인 가축용 사료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쌀막걸리를 제조하면 남는 주박을 일라이트분말을 포함하는 추가적인 첨가재료와 혼합하여 가축용 사료로 제조하여 가축이 다양한 영양성분을 섭취하도록 하기 위한 가축용 사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쌀눈을 제거한 백미 또는 쌀눈과 쌀겨(미강)를 포함하는 현미를 사용하여 막걸리를 제조하고 남겨지는 주박을 회수하고, 상기 주박을 물로 씻어서 알콜 도수가 1%이하, 바람직하게는 거의 0%에 이르도록 씻고 물기를 배출시키고나서 건조시키며, 상기 건조된 주박을 분말화하고, 상기 분말화된 주박에 일라이트분말을 상기 주박의 대략 2?10%의 범위로 혼합하여서 제조된 가축용 사료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주박에 대해서는 누룩성분에 의한 발효를 차단하기 위해 저온살균을 실행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주박의 분말과 상기 일라이트분말의 혼합물에 액체를 첨가하여 액상화하여 액상의 사료를 제조하는 과정 또는 상기 주박의 분말과 상기 일라이트분말의 혼합물을 물로 반죽하여 고형화하는 과정이 선택적으로 추가된다.
상기 액상화 과정에 사용되는 액체는 상기 주박을 씻어낸 물을 가열하여 알콜성분이 제거된 상태로 사용되면 바람직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주박의 분말과 상기 일라이트 분말의 혼합물에 귤껍질분말이 더 혼합된다.
그에 더하여, 상기 주박의 분말과 상기 일라이트 분말의 혼합물에 더덕잎과 더덕줄기로부터의 더덕추출물이 더 혼합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사료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쌀막걸리를 빗는 경우에 남겨지는 주박(술지게미)을 활용하여 일라이트성분을 적량 혼합하여 얻어지는 사료는 주박에 의한 영양성분(예컨대, 단백질이라든지 유기산, 비타민B복합체, 무기질 등)과 일라이트분말에 의한 육질의 개선이라든지 질병이 감소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주박과 일라이트성분의 혼합물에 주박과 일라이트분말 및 귤껍질분말을 혼합한 사료는 상기 주박에 의한 영양성분(예컨대, 단백질이라든지 유기산, 비타민B복합체, 무기질 등)과 일라이트분말 및 귤껍질분말에 의한 육질의 개선이라든지 질병의 감소가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주박과 일라이트성분의 혼합물에 더덕잎과 더덕줄기로부터의 더덕추출물을 혼합한 사료는 상기한 주박과 일라이트성분에 의한 유리함에 더하여 상기 더덕추출물에 의해 가축의 주요 면역세포인 호중구의 각종 활성과 싸이토카인 생성을 증강시키고 병원성세균의 공격접종에 대한 비특이적인 방어능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증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에 따르면 쌀눈을 제거한 백미 또는 쌀눈과 쌀겨(미강)를 포함하는 현미를 씻어서 물기를 제거하고 소정 시간 동안 쪄서 고두밥을 짓고, 상기 쌀의 대략 20%정도의 누룩을 잘게 부순 다음 상기 고두밥과 누룩을 발효조 또는 항아리에 넣고서 그 발효조 또는 항아리에 물을 쌀의 대략 150%정도 부어서 소정 기간에 걸쳐 발효시켜 쌀막걸리를 제조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과정에 의해 얻어진 쌀막걸리를 단양주로 하여 덧술(고두밥과 누룩)을 2회 내지 3회 추가하면 이양주 또는 삼양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단양주나 이양주 또는 삼양주를 제조하고 남겨지는 주박(즉, 술지게미)의 알콜도수는 쌀막걸리에 대응(6?7%)하는 바, 가축에 악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주박을 물로 씻어서 알콜도수가 1%이하, 바람직하게는 거의 0%에 이르도록 씻어준다.
그 후, 주박을 건져내어 물기를 배출시키고나서 건조대에 균일하게 펼쳐서 자연풍 또는 인위적인 열풍에 의해 건조시키고나서 입경 50?100㎛의 크기(이 크기는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로 분말화하게 된다.
여기서, 필요한 경우 상기 주박에서 누룩성분에 의해 발효가 진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저온살균을 실행하고나서 건조시키고 분말화해도 된다.
상기 건조된 주박에 대해서는 대략 0.1?10㎛의 크기(이 크기는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의 일라이트분말을 상기 주박의 대략 2?10%의 범위로 혼합하여 분말형상의 사료를 제조하게 된다.
그에 대해, 상기 주박과 일라이트분말의 혼합물을 예컨대 적량의 일라이트 암반수를 첨가하여 반죽하여 펠릿형태로 고형화하여 건조시킴으로써 과립형태의 가축용 사료를 제조하거나, 적정한 액체를 혼합하여 액상의 사료로서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액상의 사료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주박을 씻어낸 물을 사용하여 알콜성분이 휘발되도록 가열처리하여 사용해도 되는 바, 그 경우에는 주박을 씻는 동안에 배출되는 영양성분을 회수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주박과 일라이트분말을 혼합한 사료를 가축에게 제공하게 되면 주박에 의한 영양성분(예컨대, 단백질이라든지 유기산, 비타민B복합체, 무기질 등)과 일라이트분말에 의한 육질의 개선이라든지 질병이 감소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한 단양주나 이양주 또는 삼양주를 제조하고 남겨지는 주박(즉, 술지게미)의 알콜도수는 쌀막걸리에 대응(6?7%)하는 바, 가축에 악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주박을 물로 씻어서 알콜도수가 1%이하, 바람직하게는 거의 0%에 이르도록 씻어준다.
그 후, 주박을 건져내어 물기를 배출시키고나서 건조대에 균일하게 펼쳐서 자연풍 또는 인위적인 열풍에 의해 건조시키고나서 입경 50?100㎛의 크기(이 크기는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로 분말화하게 된다.
여기서, 필요한 경우 상기 주박에서 누룩성분에 의해 발효가 진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저온살균을 실행하고나서 건조시키고 분말화해도 된다.
상기 건조된 주박에 대해서는 대략 0.1?10㎛의 크기(이 크기는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의 일라이트분말을 상기 주박의 대략 2?10%의 범위로 혼합함과 더불어 칼슘성분의 보강을 위해 귤껍질을 대략 입경 50?100㎛의 크기로 분말화하여 대략 2?5%의 범위로 혼합하여 분말형상의 사료를 제조하게 된다.
그에 대해, 상기 주박과 일라이트분말 및 귤껍질분말의 혼합물을 예컨대 적량의 일라이트 암반수를 첨가해서 반죽하여 펠릿형태로 고형화하여 건조시킴으로써 과립형태의 가축용 사료를 제조하거나, 적정한 액체를 혼합하여 액상의 사료로서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액상의 사료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주박을 씻어낸 물을 사용하여 알콜성분이 휘발되도록 가열처리하여 사용해도 되는 바, 그 경우에는 주박을 씻는 동안에 배출되는 영양성분을 회수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주박과 일라이트분말 및 귤껍질분말을 혼합한 사료를 가축에게 제공하게 되면 주박에 의한 영양성분(예컨대, 단백질이라든지 유기산, 비타민B복합체, 무기질 등)과 일라이트분말 및 귤껍질분말에 의한 육질의 개선이라든지 질병이 감소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칼슘성분에 대해서는 귤껍질분말로 한정되지는 않고 가축들의 보다 양호한 흡수를 위해 이온화된 상태로 혼합되도록 하면 더욱 바람직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박과 일라이트분말에 더덕잎과 더덕줄기에서 추출된 더덕추출물을 분말, 액상, 고형 상태로 2?5%정도로 혼합해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더덕추출물이 함유되는 경우에는 가축의 주요 면역세포인 호중구의 각종 활성과 싸이토카인 생성을 증강시키고 병원성세균의 공격접종에 대한 비특이적인 방어능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증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예로 한정되지는 않고 발명의 기술적 요지 및 요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5)

  1. 쌀눈을 제거한 백미 또는 쌀눈과 쌀겨(미강)를 포함하는 현미를 사용하여 막걸리를 제조하고 남겨지는 주박을 회수하고,
    상기 주박을 물로 씻어서 알콜 도수가 1%이하, 바람직하게는 거의 0%에 이르도록 씻고 물기를 배출시키고나서 건조시키며,
    상기 건조된 주박을 분말화하고,
    상기 분말화된 주박에 일라이트분말을 상기 주박의 대략 2?10%의 범위로 혼합하여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사료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박에 대해서는 누룩성분에 의한 발효를 차단하기 위해 저온살균을 실행하는 과정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사료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박의 분말과 상기 일라이트분말의 혼합물에 액체를 첨가하여 액상화하는 과정과, 상기 주박의 분말과 상기 일라이트분말의 혼합물을 물로 반죽하여 고형화하는 과정이 선택적으로 추가되고,
    상기 액상화 과정에 사용되는 액체는 상기 주박을 씻어낸 물을 가열하여 알콜성분이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사료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박의 분말과 상기 일라이트 분말의 혼합물에 귤껍질분말이 더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사료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박의 분말과 상기 일라이트 분말의 혼합물에 더덕잎과 더덕줄기로부터의 더덕추출물이 더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용 사료의 제조방법.









KR1020100069877A 2010-07-20 2010-07-20 가축용 사료의 제조방법 KR201200087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877A KR20120008776A (ko) 2010-07-20 2010-07-20 가축용 사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877A KR20120008776A (ko) 2010-07-20 2010-07-20 가축용 사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776A true KR20120008776A (ko) 2012-02-01

Family

ID=45833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9877A KR20120008776A (ko) 2010-07-20 2010-07-20 가축용 사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877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9516A (ko) 2014-03-19 2015-10-02 주식회사 전남사료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사료물
KR20160023278A (ko) 2014-08-22 2016-03-03 주식회사 자연제국 쌀 누룩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9516A (ko) 2014-03-19 2015-10-02 주식회사 전남사료 발효사료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사료물
KR20160023278A (ko) 2014-08-22 2016-03-03 주식회사 자연제국 쌀 누룩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57337A (zh) 一种草亲鱼用发酵中药微生物制剂及其制备方法
CN105130565A (zh) 一种优质绿色平菇培养基
CN105624249A (zh) 一种水产蛋白-植物蛋白复合型活性肽的制备方法
CN107319148A (zh) 一种促生长生态免疫型梅花鹿专用饲料及其制备方法
CN107279460A (zh) 南美白对虾发酵饲料
CN103525663A (zh) 紫薯保健酒的制作方法
CN104726285A (zh) 富含原花青素保健酒及其制备方法
CN106148116A (zh) 猕猴桃水果健康酒的酿造方法
CN106962919A (zh) 一种增强抗氧化性功能的高营养食品及其制备方法
CN102010242B (zh) 一种生物有机肥的制备方法
CN109232116A (zh) 一种油茶种植用有机肥及其制备方法
CN107822107A (zh) 一种海鲜菇咀嚼片及其制备方法
CN105273919B (zh) 一种竹酒的制备方法
CN104041692A (zh) 一种增强免疫力的鲤鱼饲料及其制备方法
KR20120008776A (ko) 가축용 사료의 제조방법
CN103468507A (zh) 一种玛咖黄酒及其制备方法
CN104041690B (zh) 一种提高鲤鱼肉质的饲料及其制备方法
CN103540512B (zh) 鳄鱼肝养生保健酒及其制备方法
CN105265837A (zh) 一种胡萝卜中华鳖饲料及其制备方法
CN102337190A (zh) 一种蜂蜜保健酒的制作方法
KR20110109105A (ko) 쌀을 이용한 먹는 누룩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누룩
CN104286384A (zh) 一种大豆秸秆羔羊饲料及其制备方法
CN104171507A (zh) 一种使肉质鲜嫩的养成期草鱼饲料及制备方法
CN107333992A (zh) 一种公猪饲料及其制备方法
CN109619294A (zh) 一种使用八月瓜制作的肉牛饲料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