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795U - Psd 조립체 모듈의 도어 개폐 장치 - Google Patents

Psd 조립체 모듈의 도어 개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795U
KR20120007795U KR2020110003848U KR20110003848U KR20120007795U KR 20120007795 U KR20120007795 U KR 20120007795U KR 2020110003848 U KR2020110003848 U KR 2020110003848U KR 20110003848 U KR20110003848 U KR 20110003848U KR 20120007795 U KR20120007795 U KR 2012000779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door
closing
frame
oper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8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5445Y1 (ko
Inventor
배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성알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성알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성알앤디
Priority to KR20201100038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445Y1/ko
Publication of KR201200077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7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4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4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8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liding 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 E05F11/08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with longitudinally-moving bars guided, e.g. by pivoted links, in or on the frame
    • E05F11/10Mechanisms by which a handle moves the ba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PSD 조립체 모듈의 도어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손잡이를 당김에 의한 회전 방식에 의해 연결된 개폐 장치를 개방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PSD 조립체 모듈의 도어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PSD 조립체 모듈의 도어 개폐 장치{DOOR OPENING/CLOSING DEVICE FOR PSD MODULE}
본 고안은 PSD 조립체 모듈의 도어 개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손잡이를 당김에 의한 회전 방식에 의해 연결된 개폐 장치를 개방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PSD 조립체 모듈의 도어 개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이나 경전철 등의 전동차역사에는 선로와 함께 승객의 승, 하차를 위한 플랫폼이 설치되어 있으나, 승객의 부주의 혹은 자, 타의적 이탈에 의한 선로측으로의 추락으로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함은 물론 전동차의 운행 시 발생하는 먼지의 유입과 함께 외기에 노출되어 있음으로 인한 냉, 난방 시 에너지 효율이 지나치게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방지 및 개선하기 위해 전동차의 도어와 연계되어 슬라이딩식으로 개폐됨으로써 승객의 안정적인 승?하차를 보장하고 역사 내 공기질을 향상시킴은 물론 냉, 난방 효율을 향상시켜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플랫폼 스크린도어(Platform Screen Door; PSD)의 설치가 요구되고 있다.
상기 스크린도어는 슬라이딩 도어의 몸체인 창호부 및 스크린도어 구조체를 형성하는 수직프레임 및 수평프레임과 함께 도어 가동을 위한 구동부로 형성되어 있으며, 구조체의 양측에 수직프레임(10)이 설치되고, 상기 수직프레임 상부에 구동부인 헤더박스가 체결, 조립되며, 구동부와 연동하는 가동도어와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고정도어 및 승객의 비상탈출용 도어인 비상도어가 각각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전동차가 승강장 홈에 완전히 정차하고, 전동차의 문이 개폐된 후 상기 스크린도어의 가동도어가 슬라이딩 개폐됨으로써 승객의 안전을 확보하고, 실내 공기질을 개선함은 물론 냉, 난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PSD는 종래에 스크린 도어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품을 지하철 역사로 운반하여 개별 부품을 현장에서 조립 후 형성되기 때문에, 오픈된 공간이 아닌 지하도의 특수한 작업환경 때문에 각 스크린 도어를 구성하는 부품별 모듈화 및 이러한 부품들 간의 조립작업성이 더욱 편리할 것이 요구된다.
종래의 PSD 조립체 모듈의 도어 개폐 장치는 조작부를 옆방향으로 슬라이딩 운동을 유발시키면서 잠금장치가 해제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어, 비상시 이에 적응하지 못하는 사용자 및 긴급한 상황에서 작동시 어려움을 유발시킬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조작부를 당김에 의한 회전운동을 시킴으로 잠금장치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조작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PSD 조립체 모듈의 도어 개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PSD 조립체 모듈(1)에 제공되는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장치에 있어서, 당김에 의한 회전이 가능하고, 돌기부(121)가 제공되는 조작부(12)와, 상기 조작부(12)를 도어 프레임(3)에 고정하고, 상기 조작부(12)의 회전축(13)을 지지하는 조작부 프레임(11)과, 회전중심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된 제1 부재(151) 및 제2 부재(152)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121)로부터 상기 제1 부재(151)가 힘을 받아 회전하여 상기 제2 부재(152)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구조의 회전부재(15)와, 상기 회전부재(15)의 회전에 따라 제2 부재(152)에 의해 상측으로 밀려 올라가는 동작부재(18)와, 상기 동작부재(18)의 끝단에 제공되어 도어의 개폐를 조절하는 개폐 조절부(22)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프레임(3) 외부에는 걸림턱(23)이 제공되며, 상기 개폐 조절부(22)는 상기 동작부재(18)가 밀려 올라가기 전에는 상기 걸림턱(23)에 걸려 도어의 개방을 방지하고, 상기 동작부재(18)가 밀려 올라간 상태에는 상기 걸림턱(23)으로부터 해방되어 도어의 개방을 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동작부재(18)와 상기 개폐 조절부(22)는 편심되어 있고, 상기 개폐 조절부(22)는 보조 동작부재(20)에 연결되어 제공되고, 상기 동작부재(18)와 상기 보조 동작부재(20)는 연결부재(19)에 의해 연결되어 함께 일체로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작부재(18)는 탄성 부재(17)와 연결되어, 상기 제2 부재(152)에 힘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원위치로 복귀하고, 상기 보조 동작부재(20)는 탄성 부재(21)와 연결되어, 상기 제2 부재(152)에 힘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는 조작부를 당김에 의한 회전운동을 시킴으로 잠금장치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여 그 조작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PSD 모듈 조립체의 도어 개폐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PSD 모듈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PSD 모듈 조립체의 도어 부분의 정면도.
도 3은 PSD 모듈 조립체의 도어 부분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PSD 모듈 조립체의 도어 개폐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PSD 모듈 조립체의 도어 개폐 장치의 동작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PSD 모듈 조립체의 도어 개폐 장치의 동작 설명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PSD 모듈 조립체의 도어 개폐 장치의 동작 설명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적용되는 분야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에 의한 PSD 조립체 모듈의 구조 및 조립 공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한 쌍의 수직프레임(10)의 상측에 연결프레임(12)을 체결한다. 연결프레임(12)은 수평프레임(14) 및 하부프레임(18)이 지지되며, 수직프레임(10)에 대하여 고정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것처럼 체결 공정을 간단하게 하고 특히 체결시 하중의 분포를 분산시켜 PSD 조립체 모듈의 처짐 또는 뒤틀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수평프레임(14)의 양 끝단은 연결프레임(12)에 얹혀지는 형태로 체결되고, 하부프레임(18) 역시 연결프레임(12)에 얹혀지는 형태로 체결된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수평프레임(14)과 하부프레임(18) 사이의 공간은 모터 등의 구동부가 제공되는 헤더박스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모터 등의 부속품은 수평프레임(14)에 연결되는 헤더 커버(16b) 등에 고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하부프레임(18)은 이러한 모터 등의 부속품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하부프레임(18)은 중공형의 파이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양측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어, 연결프레임(12)에 걸쳐져서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프레임(14)과 하부프레임(18)의 사이에는 복수 개의 보강프레임(17)이 제공되어 각각 끝단이 수평프레임(14)과 하부프레임(18)에 체결된다.
수직프레임(10)의 하측에는 삽입부가 바닥면과 수평하게 제공되는 삽입부가 제공되어 있고, 이는 베이스프레임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프레임과 하부프레임(18) 사이에는 가동도어, 고정도어, 비상도어 등을 구분하기 위하여 보조프레임(19)이 제공된다. 보조프레임은 PSD 조립체 모듈이 전체적으로 뒤틀리지 않도록 잡아주는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PSD 모듈 조립체의 도어 개폐 장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PSD 모듈 조립체의 도어 부분의 정면도를,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PSD 모듈 조립체의 도어 개폐 장치가 적용되는 도어 프레임을 도시하고 있다.
도어를 형성하는 프레임의 일부에 외부로 노출되는 조작부가 제공되며, 개폐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부는 프레임의 내부에 제공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PSD 모듈 조립체의 도어 개폐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PSD 조립체 모듈(1)에 제공되는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당김에 의한 회전이 가능하고, 돌기부(121)가 제공되는 조작부(12)와, 상기 조작부(12)를 도어 프레임(3)에 고정하고, 상기 조작부(12)의 회전축(13)을 지지하는 조작부 프레임(11)을 포함한다. 조작부(12)는 사용자가 손을 안쪽으로 집어 넣은 후에 당기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당김에 의한 회전이 발생되고, 조작부(12)에 제공되는 돌기부(121, 도 4참조)가 회전에 의해 작동되는 구조이다.
또한, 회전중심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된 제1 부재(151) 및 제2 부재(152)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121)로부터 상기 제1 부재(151)가 힘을 받아 회전하여 상기 제2 부재(152)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구조의 회전부재(15)가 제공된다.
조작부 프레임(11)에는 돌기부(121)가 통과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개구부(11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의 구체적인 작동 원리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7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제1 부재(151) 및 제2 부재(152)는 일체로 회전하도록 제공되고, 그 연결부위에 회전중심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부재(151)의 끝단에는 돌기부(121)와 접촉하는 제1 접촉부(153)이 제공되고, 제2 부재(152)의 끝단에는 동작부재(18)의 일부와 접촉하는 제2 접촉부(154)가 제공된다. 제1 접촉부(153) 및 제2 접촉부(154)는 접촉하는 부재와 원활한 선접촉을 위하여 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면접촉을 하게 되면, 회전에 의해 불필요한 마찰력을 발생시켜 동작에 장애를 가져올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회전부재(15)의 회전에 따라 제2 부재(152)에 의해 상측으로 밀려 올라가는 동작부재(18)가 제공된다. 동작부재(18)와 제2 접촉부(154)가 접촉하는 부분에는 동작부재(18)의 직경보다 다소 큰 직경을 가지는 접촉부재(16)가 제공되고, 상기 접촉부재(16)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17)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작부재(18)는 탄성 부재(17)와 연결되어, 상기 제2 부재(152)에 힘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원위치로 복귀하고, 상기 보조 동작부재(20)는 탄성 부재(21)와 연결되어, 상기 제2 부재(152)에 힘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탄성부재(17)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부재(18)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동작부재(18) 또는 접촉부재(16)의 직선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171)가 제공되어 수직 운동을 바르게 안내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동작부재(18)의 끝단에 제공되어 도어의 개폐를 조절하는 개폐 조절부(22)가 더 제공된다. 개폐 조절부(22)는 평상시에는 걸림턱(23)에 걸리는 구조로 되어 있어 도어의 개방을 방지하게 되고, 작동시에는 동작부재(18)에 의해 상승하여 걸림턱(23)으로부터 이탈되는 구조로서 도어의 개방을 가능하게 한다.
즉, 상기 도어 프레임(3) 외부에는 걸림턱(23)이 제공되며, 상기 개폐 조절부(22)는 상기 동작부재(18)가 밀려 올라가기 전에는 상기 걸림턱(23)에 걸려 도어의 개방을 방지하고, 상기 동작부재(18)가 밀려 올라간 상태에는 상기 걸림턱(23)으로부터 해방되어 도어의 개방을 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 및 도 7에서 걸림턱(23)은 도어 개폐 장치가 설치되는 도어 프레임이 아니라 외부에 고정되는 구조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 경우, 상기 동작부재(18)와 상기 개폐 조절부(22)는 편심되어 있고, 상기 개폐 조절부(22)는 보조 동작부재(20)에 연결되어 제공되고, 상기 동작부재(18)와 상기 보조 동작부재(20)는 연결부재(19)에 의해 연결되어 함께 일체로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도어 프레임의 구조상 연결부재(18)의 끝단이 걸림턱(23)과 만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함이며,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19)에 의해 일체로 운동하도록 연결된다. 다만, 이러한 연결부재(19)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21)를 보조 동작부재(20)에 설치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부재(20)는 조작부(12)에서 힘을 제거하는 경우 원위치로 복귀되어야 하는데, 하측의 탄성부재(17) 만으로는 이러한 복귀를 안정적으로 이행할 수 없다. 따라서 개폐조절부(22)가 제공되는 상측에도 이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21)가 더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도 6 및 도 7의 구조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을 가지고 있다면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해당된다고 볼 수 있으며, 본 고안은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가 정해짐을 밝혀둔다.
조작부 프레임(11), 조작부(12), 회전축(13), 회전부재(15), 동작부재(18), 개폐 조절부(22), 걸림턱(23)

Claims (3)

  1. PSD 조립체 모듈에 제공되는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장치에 있어서,
    당김에 의한 회전이 가능하고, 돌기부가 제공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를 도어 프레임에 고정하고, 상기 조작부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조작부 프레임과,
    회전중심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된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로부터 상기 제1 부재가 힘을 받아 회전하여 상기 제2 부재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구조의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라 제2 부재에 의해 상측으로 밀려 올라가는 동작부재와,
    상기 동작부재의 끝단에 제공되어 도어의 개폐를 조절하는 개폐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프레임 외부에는 걸림턱이 제공되며, 상기 개폐 조절부는 상기 동작부재가 밀려 올라가기 전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려 도어의 개방을 방지하고, 상기 동작부재가 밀려 올라간 상태에는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해방되어 도어의 개방을 가능케 하는,
    PSD 조립체 모듈의 도어 개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재와 상기 개폐 조절부는 편심되어 있고,
    상기 개폐 조절부는 보조 동작부재에 연결되어 제공되고,
    상기 동작부재와 상기 보조 동작부재는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함께 일체로 운동하는,
    PSD 조립체 모듈의 도어 개폐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동작부재는 탄성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제2 부재에 힘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원위치로 복귀하고,
    상기 보조 동작부재는 탄성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제2 부재에 힘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 원위치로 복귀하는,
    PSD 조립체 모듈의 도어 개폐 장치.
KR2020110003848U 2011-05-04 2011-05-04 Psd 조립체 모듈의 도어 개폐 장치 KR2004654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848U KR200465445Y1 (ko) 2011-05-04 2011-05-04 Psd 조립체 모듈의 도어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848U KR200465445Y1 (ko) 2011-05-04 2011-05-04 Psd 조립체 모듈의 도어 개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795U true KR20120007795U (ko) 2012-11-14
KR200465445Y1 KR200465445Y1 (ko) 2013-02-19

Family

ID=47511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848U KR200465445Y1 (ko) 2011-05-04 2011-05-04 Psd 조립체 모듈의 도어 개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44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488B1 (ko) 2020-01-08 2021-07-09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플랫폼 스크린도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0522A (ja) 1999-11-15 2001-05-22 Nippon Signal Co Ltd:The 駅ホームドア、及び駅ホームドアの手動解錠方法
KR200435056Y1 (ko) 2006-09-30 2007-01-04 장복규 승강장의 스크린 도어 수동 개방장치
KR100776334B1 (ko) 2006-09-30 2007-11-16 장복규 승강장의 스크린 도어 수동 개방장치
KR100984073B1 (ko) 2009-11-30 2010-09-28 주식회사 피에쓰링크 승강장 스크린 도어 시스템의 록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5445Y1 (ko) 2013-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71653B1 (en) Railway vehicle with sliding doors
US20130341972A1 (en) Roller blind apparatus for panoramic sunroofs
KR20100011520A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슬라이드 도어 구조
JP5500670B2 (ja) ホームドア装置
JP4837491B2 (ja) 非常解錠装置及び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KR200465445Y1 (ko) Psd 조립체 모듈의 도어 개폐 장치
KR101263564B1 (ko) Psd 조립체 모듈용 보강프레임
US6637803B2 (en) Motor vehicle door drive mechanism, with corresponding door, carriage and vehicle
KR101466467B1 (ko) 선루프용 개폐장치
EP3795395B1 (en) Support mechanism for an open-roof assembly in a vehicle roof
KR101044446B1 (ko) 스크린 도어의 개폐도어를 수동으로 개방하는 장치
KR101303408B1 (ko) 전동식 도어용 잠금장치
JP2010173517A (ja) プラットホーム用ドア装置の扉体
KR101234884B1 (ko) 피에스디 조립체 모듈의 천장 밀봉 구조
CN114174143A (zh) 站台屏蔽
KR20210008721A (ko) 스크린도어 가이드 장치
JP2003020843A (ja) 鉄道車両用側引き戸のロック解除構造
KR200464708Y1 (ko) Psd 조립체 모듈의 프레임 연결 구조
KR101705737B1 (ko) 탈부착이 용이한 전철 게이트용 플랩도어 프레임
JP2015013576A (ja) 車両用サッシュドアおよび車両用サッシュドア組立方法
JP6517543B2 (ja) プラットホームドア
JP5969213B2 (ja) 窓の開閉装置
JPH02186087A (ja) 窓と窓上昇アームとの間の連結装置
JP2020012242A (ja) 建具
CN220886625U (zh) 一种电梯轿厢结构以及电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