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772U - 터치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772U
KR20120007772U KR2020110008985U KR20110008985U KR20120007772U KR 20120007772 U KR20120007772 U KR 20120007772U KR 2020110008985 U KR2020110008985 U KR 2020110008985U KR 20110008985 U KR20110008985 U KR 20110008985U KR 20120007772 U KR20120007772 U KR 201200077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touch
light guide
light gu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89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9169Y1 (ko
Inventor
차오-밍 우
친-쿠안 린
Original Assignee
실리텍 일렉트로닉스(광저우) 코오., 엘티디.
라이트온 테크놀러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실리텍 일렉트로닉스(광저우) 코오., 엘티디., 라이트온 테크놀러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실리텍 일렉트로닉스(광저우) 코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200077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7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91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91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45Proximity switches
    • H03K17/95Proximity switches using a magnetic detector
    • H03K17/9505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45Proximity switches
    • H03K2217/95Proximity switches using a magnetic detector

Landscapes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발광 터치 유닛의 각각으로부터의 빛의 상호 간섭이 없고, 발광 터치 유닛의 각각의 발광 또는 발광색의 변경을 독립하여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식별해 조작할 수 있는 터치 장치를 제공한다.
입광면, 출광면 및 저면을 가진 복수의 도광블록을 가지며 인접한 2개의 도광블록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이간 간격을 가지는 도광부재와 대응하는 도광블록의 입광면 근방에 각각 설치되어 발생한 빛이 도광블록에 도입함과 동시에 그 출광면으로부터 도출하는 복수의 발광 모듈과 대응하는 도광블록의 저면에 각각 설치되어 대응하는 도광블록 중 한쪽이 터치 된 것을 감지했을 경우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써 대응하는 발광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터치 감지 모듈을 가진다.

Description

터치 장치{Touch Apparatus}
본 고안은 터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누르는 버튼 백라이트 기술을 개량한 터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이테크의 진보에 따라 일상생활에 있어서 가전제품의 요구는 높아지고 있으며, 가전제품에 대응하는 제어 인터페이스, 예를 들면 텔레비전, 에어콘에 사용되는 리모콘, 또는 냉장고, 세탁기에 사용되는 제어 패널은 다양해지고 있다.
그렇지만, 가전제품의 기능은 더욱더 증가하고 있으며 터치 장치상의 표시도 보다 복잡 해지고 있다. 복수의 누르는 버튼 아이콘이 하나의 도광판을 공용하면 단일의 누르는 버튼 아이콘을 독립하여 표시시키지 못하고, 누르는 버튼 아이콘의 식별도가 저하하는 일이 있다. 또, 터치 장치상의 누르는 버튼 아이콘을 각각 독립하여 발광시키기 위해 누르는 버튼 아이콘의 바로 밑에 광원을 마련한 직하형 발광으로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러한 직하형 발광은 빛이 균일해지도록 광혼합 거리를 일정하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광혼합 거리에 의해 터치 장치의 두께가 두꺼워져 터치 센서의 감도가 저하해 버리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발광 터치 유닛의 각각으로부터의 빛의 상호 간섭이 없고, 발광 터치 유닛의 각각의 발광 또는 발광색의 변경을 독립적으로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용이하게 식별해 조작할 수 있는 터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입광면, 출광면 및 저면이 구비되는 복수의 도광블록을 가지며 2개의 인접한 도광블록의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이간 간격을 가지는 도광부재와 복수의 도광블록의 각각의 입광면 근방에 설치되어 도광블록에 도입하고 출광면으로부터 도출하도록 발광하는 복수의 발광 모듈과 복수의 도광블록의 각각의 저면에 설치되어 대응하는 도광블록이 터치된 것을 감지했을 경우 대응하는 발광 모듈을 발광시키도록 제어하는 구동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복수의 터치 감지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고안은 복수의 발광 터치 유닛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발광 터치 유닛는 적어도 하나의 입광면, 출광면 및 저면을 가지는 도광블록과 상기 입광면에 인접하고 생성된 빛이 상기 입광면을 통해 상기 도광블록에 입사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출광면을 개입시켜 상기 도광블록으로부터 도출되는 발광 모듈과 상기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도광블록이 터치된 것을 감지했을 경우,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써 상기 발광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감지 모듈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발광 터치 유닛에 있어서의 도광블록은 각각 도광부재에 대해서 소정의 이간 간격을 두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과 관련된 터치 장치에 의하면, 도광부재에 있어서의 도광블록의 광 발사 방향을 이간 간격에 의해 제한하고 있어 각각의 도광블록으로부터 발사된 빛의 상호 간섭이 없고, 사용자가 조작할 때에 각각의 터치 유닛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어 리모콘 또는 제어 패널을 원활히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터치 장치에 있어서의 빛을 측면으로부터 도광부재에 도입시키기 때문에 발광 모듈을 도광부재에 설치할 필요가 없고 터치 장치의 두께를 저감시켜 터치의 감도가 향상한다.
도1a는 본 고안과 관련된 제1 실시예의 터치 장치의 분해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1b는 도1a의 터치 장치의 국소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2는 본 고안과 관련된 실시 예의 터치 감지 모듈의 동작 원리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3은 본 고안과 관련된 제2실시예의 터치 장치의 분해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4는 본 고안과 관련된 제3실시예의 터치 장치의 분해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5는 본 고안과 관련된 제4의 실시예의 터치 장치의 분해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6은 본 고안과 관련된 제5실시예의 터치 장치의 국소 입체 모식도를 나타낸다.
[제1의 실시예]
도1a 및 도1b를 참조하면 도1a는 본 고안과 관련된 제1의 실시 예의 터치 장치의 분해 모식도, 도1b는 도1a의 국소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본 고안과 관련된 터치 장치(1)는 도광부재(10)와 복수의 발광 모듈(12)과 복수의 터치 감지 모듈(14)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발광 모듈(12) 및 상기 복수의 터치 감지 모듈(14)은 동일한 기판(16)상에 설치되어도 좋다. 도광부재(10)는 기판(16)상에 적층되는 경우, 발광 모듈(12)로부터의 빛은 도광부재(10)에 원활히 입사될 수 있다. 이하에서 터치 장치(1)의 각 부의 소자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광부재(10)는 도광부재(10)를 복수의 도광블록(104)에 구획하기 위한 적어도 1개의 이간 간격(102)을 가진다. 즉, 도광부재(10)에 있어서의 어느 것이든 2개의 인접한 도광블록(104)의 사이에는 적어도 1개의 이간 간격(102)이 설치된다. 복수의 도광블록(104)은 각각 입광면(104a), 출광면(104b) 및 저면(104c)을 구비한다. 도광부재(10)는 대응하는 발광 모듈(12)을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홈(106)을 더 구비한다. 도광부재(10)가 기판(16)상에 적층되었을 경우 발광 모듈(12)을 이간 간격(102) 또는 홈(106)에 수용되어도 좋다
입광면(104a)은 발광 모듈(12)에 근접되어 발광 모듈(12)로부터의 빛을 도광블록(104)에 도입시킨다. 출광면(104b)은 입광면(104a)에 인접되어 산광 패턴층(104d)을 구비하고, 산광 패턴층(104d)은 발광 모듈로부터의 빛을 도광블록(104)으로부터 도출시킨다. 실제로 실시할 때, 도광부재(10)는 평판 모양의 도광구조이며, 출광면(104b) 및 저면(104c)은 평판 도광 구조의 상하 평면이며, 출광면(104b) 및 저면(104c)은 서로 거의 평행이다. 입광면(104a)은 평판 도광 구조의 상하 평면간에 있어서의 측면이기 때문에, 출광면(104b) 및 저면(104c)에 각각 인접할 수 있다. 입광면(104a)은 발광 모듈(12)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여 이간 간격(102) 또는 홈(106)의 근방에 형성되어 발광 모듈(12)로부터의 빛을 받도록 구성되어 빛이 도광부재(10)에 있어서 각각의 도광블록(104)에 원활히 들어갈 수 있는 동시에 도광부재(10)에 있어서 전반사에 의해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각 발광 모듈(12)과 이에 대응하여 배치된 도광블록(104) 및 터치 감지 모듈(14)은 단일의 발광 터치 유닛(도 5의 발광 터치 유닛(3) 참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발광 터치 유닛(3)은 대응하는 발광 모듈(12)의 발광을 터치 감지 모듈(14)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광부재(10)상에는 각 도광블록(104)이 이간 간격(102)에 의해 이간되어 형성되지만, 각 발광 터치 유닛(3)의 도광블록(104)은 적어도 일부가 인접한 발광 터치 유닛(3)의 도광블록(104)에 접속되기 때문에, 도광부재(10)는 단일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조 프로세스에 있어서 단일의 공정에 의해 기판(16)에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각각의 터치 감지 모듈(14)에 도광블록(104)이 용이하게 위치할 수 있다.
출광면(104b)상의 산광 패턴층(104d)은 대응하는 도광블록(104)내의 전반사 조건을 변경시키는 것으로, 빛이 출광면(104b)으로부터 도광블록(104)을 투과할 수 있는 잉크 패터닝층, 샌드 블레스트 패터닝층 또는 인쇄 도트 패터닝층일 수 있다. 덧붙여 산광 패턴층(104d)의 제조 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산광 패턴층(104d)의 출광면(104b)에 있어서의 피복 면적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서 도광부재(10)상에는 도시(圖示) 플레이트(20)를 더 설치해도 좋고 도광부재(10), 도시 플레이트(20) 및 기판(16)은 적층된 터치 장치(1)의 외표면이 평활하게 되도록 치수가 거의 동일하도록 구성된다. 도시 플레이트(20)는 심볼 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한 적어도 1개의 광투과 영역(202)을 가진다. 표현하고자 하는 심볼 아이콘이 큰 경우는, 산광 패턴층(104d)의 출광면(104b)에 있어서의 피복 면적을 대응해서 크게 함으로써, 발광 모듈(12)로부터의 빛을 출광면(104b)을 경유하고 도시 플레이트(20)상에 있어서의 광투과 영역(202)으로부터 투과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상술한 심볼 아이콘이 표시된다. 또한, 도시 플레이트(20)는 두께가 아주 얇다(예를 들면 0. 2 mm). 패턴 테이프(pattern tape)여도 좋으며, 그 접착면을 도광부재(10)에 직접 붙일 수 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이간 간격(102)은 2개의 인접한 도광블록(104)에 있어서의 빛을 구획할 수 있는 점이다. 구체적으로는 이간 간격(102)은 굴절률이 약 1인 공기 매체여도 좋다. 도광부재(10)는 빛의 진행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도광부재(10)의 굴절률은 통상적으로 1보다 충분히 크다. 즉, 도광부재(10)에 있어서의 몇 개의 도광블록(104)으로부터 빛이 이간 간격(102)에 전달된 경우, 고밀도 매체로부터 저밀도 매체에 들어가는 것에 상당하기 때문에, 빛은 출사면의 접선으로부터 빗나가 굴절한다. 즉, 이간 간격(102)을 가지는 경우, 도광블록(104)으로부터 투과 되는 빛은 출사면에 있어 주위를 향해 굴절되어 수평에 인접한 도광블록(104)에 들어가는 것이 아주 적다. 따라서, 도광블록(104)에 있어서의 빛을 적당한 폭을 가지는 이간 간격(102)(일례로, 이간 간격(102)의 폭은 3~5 mm)에 의해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고안은 이간 간격(102)의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2개의 인접한 도광블록(104)에 있어서의 빛의 상호 간섭이 없고, 도광부재(10)와 이간 간격(102)의 조합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면 좋고, 상술에 적합한 범위 내에서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발광 모듈(12)은 주로 발광 모듈(12)에 대응하는 각각의 도광블록(104)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발광하는 것이다. 인접한 어느 2개의 도광블록(104)에 있어서의 발광 모듈(12)은 서로 정반대에 배치되어 있지 않고, 각 발광 모듈(12)간의 상대 거리는 가능한 한 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 모듈(12)은 발광 다이오드 또는 그 외의 적당한 발광소자가 좋고 특별히 제한은 없다. 일례로서 발광 모듈(12)은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며, 그러한 발광 다이오드는 파장이 다른 광을 발할 수 있다. 또한, 단일 또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에 의해 소정의 파장의 빛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터치 감지 모듈(14)은 각각 도광부재(10)의 저면(104c)에 접촉하며 각 터치 감지 모듈(14)은 몇 개의 도광블록(104)에 대응하고 있다. 즉, 어떤 도광블록(104)의 하부에도 터치 감지 모듈(14)이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본 고안과 관련된 실시 예의 터치 감지 모듈의 동작 원리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내듯이 각 터치 감지 모듈(14)은 터치 감지 도체(142)와 터치 감지 소자(144)를 구비한다. 실제로 실시할 때, 터치 감지 소자(144)를 제어 칩(146)에 통합할 수 있으며, 대응하는 도광블록(104)이 터치 되었을 경우, 터치 감지 소자(144)는 검지된 터치 감지 도체(142)의 등가 용량치 변화량에 근거하여 구동 신호를 발광 모듈(12)에 출력하고 발광 모듈(12)의 점등 방식을 결정한다. 또, 제어 칩(146)은 더욱이 터치 장치(1)에 있어서의 각각의 터치 감지 모듈(14)의 터치 감지 소자(144)를 통합할 수 있고 다른 도광블록(104)이 터치 되었을 경우, 제어 칩(146)은 내부의 터치 감지 소자(144)를 검지하는 것으로 어느 발광 모듈(12)을 대응적으로 구동시킬까를 판단한다. 이와 같이, 제어 칩(146)의 공용에 의해 회로 소자의 사용을 절약할 수 있다. 실제로 실시할 때에 도광부재(10)의 위쪽에 도시 플레이트(20)를 설치하면 사용자가 도시 플레이트(20)상의 심볼 아이콘에 터치했을 경우, 터치 감지 모듈(14)이 도시 플레이트(20), 도광블록(104) 및 그 외의 주변 소자의 등가 용량치 변화량에 근거하여 도광블록(104)이 터치 되었는가 어떤가를 판단한다. 도광블록(104)이 터치 되었다고 판단될 경우 대응하는 터치 감지 모듈(14)은 구동 신호를 발광 모듈(12)에 출력하고 발광 모듈(12)에 의한 발광의 필요와 불필요를 제어 하거나, 또는 발광 모듈(12)에 의한 빛의 파장 범위를 변경한다. 이것에 의해, 터치 감지 모듈(14)은 발광 모듈(12)의 점등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실제로 실시할 때에, 터치 감지 모듈(14)의 터치 감지 도체(142)는 사용자의 터치 영역을 효과적으로 감지 가능한 감지 범위(142a)(도1a참조)를 가진다. 하나의 예로서 감지 범위(142a)의 치수는 직경 약 10 mm의 범위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용량 감지 기술을 응용했을 경우, 전체의 두께를 큰 폭으로 감소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동일한 감지 범위(142a)를 보다 작은 터치 감지 모듈(14)에 의해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터치 감지 모듈(14)의 감지 감도를 효과적으로 향상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도광부재(10)가 터치 되었는지 어떤지를 판단하는 경우, 터치 감지 모듈(14)이 감지한 등가 용량치 변화량이 13pF에 이른 것을 표준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터치 감지 모듈(14)이 감지한 등가 용량치 변화량이 13pF에 이르지 않은 경우, 터치 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며, 반대로 터치 감지 모듈(14)이 감지한 등가 용량치 변화량이 13pF보다 크면 터치 되었다고 판단한다. 또, 종래의 터치 감지 모듈에 있어서의 터치 감지 도체는 상술한 등가 용량치 변화량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직경 10mm이상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렇지만, 도광부재(10)에 본 고안이 적용되었을 경우, 터치 감지 모듈(14)에 있어서의 터치 감지 도체(142)의 직경이 8mm이면 동일한 등가 용량치 변화량을 감지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은 터치 감지 도체(142)의 배치 면적을 36%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품의 비용 저감 효과를 가진다.
또, 본 고안과 관련된 기판(16)은 인쇄 회로판(PCB)이며, 그 외의 기능의 회로 소자가 설치되어도 좋다. 하나의 예로서 터치 장치(1)가 제어 스위치로서 이용되었을 경우, 기판(16)을 상기 제어 스위치에 대응하는 기능성 회로와 조합할 수 있다. 실제로 실시할 때, 상기 회로판은 소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 통상 지식을 가지는 사람이 자유롭게 교환할 수 있어 가효성의 플렉서블 인쇄 회로판 또는 비가효성의 경성(rigid) 인쇄 회로판이어도 좋다.
특히 주목해야 할 점은 본 고안과 관련된 발광 모듈(12)은 도광부재(10) 아래가 아니고 도광부재(10)의 일측(즉 각각의 발광 모듈(12)이 도광블록(104)의 입광면(104a) 근방에 위치한다)에 설치되기 때문에, 전체의 두께가 큰 폭으로 감소한다는 점이다. 종래의 발광 모듈을 도광부재 아래에 마련했을 경우, 도광부재와 발광 모듈의 두께의 합계는 약 2. 8 mm가 된다. 그렇지만, 본 고안은 발광 모듈(12)을 도광부재(10)의 일측에 설치하기 때문에 도광부재(10)(약 0.6mm)와 도시 플레이트(20)(약 0.2mm) 두께의 합계는 0.8mm 으로 큰 폭으로 감소한다. 또, 터치 감지 모듈(14)의 두께는 0. 356 mm ~ 0. 0712 mm에 지나지 않고, 기판 2의 두께로 합할 필요도 없다.
또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는 홈(106)에 설치되어도 좋고 이간 간격(102)에 설치되어도 좋고, 홈(106) 및 이간 간격(102)에 설치되어도 좋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각의 발광 다이오드는 하나의 도광블록(104)에 각각 대응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도 좋다. 또한 실시예에 있어서 홈(106)은 도광부재(10)의 주위에 설치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하는 대로 적당히 설계하면 좋다.
본 고안과 관련된 터치 장치(1)르 리모콘에 적용했을 경우, 사용자가 도시 플레이트(20)에 대응하는 심볼 아이콘을 터치하면 터치된 심볼 아이콘의 광표시를 바꿀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소정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고안과 관련된 터치 장치(1)를 에어콘 리모콘에 적용했을 경우, 심볼 아이콘은 에어콘의 개폐, 제습의 개폐, 온도의 승강 또는 온도의 표시등의 기능에 대응한다. 사용자가 에어콘 개폐의 심볼 아이콘을 터치한 후, 심볼 아이콘은 색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에어콘의 개폐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에어콘의 현재의 사용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즉, 본 고안과 관련된 터치 장치(1)를 종래의 리모콘 또는 제어 패널과 조합하는 것과 함께 리모콘 또는 제어 패널상의 각 기능 키의 표시 방식을 개량하는 것으로 사용자는 리모콘 또는 제어 패널상의 각 기능을 보다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다.
[제2의 실시예]
빛이 인접한 도광블록(104)에 전송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인접한 도광블록(104)의 입광면(104a)을 서로 대향 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광면(104a)의 사이에는 이간 간격(102)에 있어서의 공기 매체뿐만이 아니라 그 외의 광 차단 구조가 개재되어도 좋다. 도 3은 본 고안과 관련된 제2의 실시 예의 터치 장치의 분해 모식도를 나타낸다. 제1의 실시예와의 가장 큰 차이점은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터치 장치(1a)의 도광부재(10)의 측면(10a)에 광차단 부재(18)가 더 설치된다는 점이다.
실제로 실시할 때, 광차단 부재(18)는 빛이 각 도광블록(104)의 출광면(104b)만으로부터 방출되도록 도광부재(10) 주위의 측면(10a)을 피복하기 위한 광차단 테이프여도 좋다. 또, 광차단 부재(18)는 발광 모듈(12)로부터 빛이 도광부재(10)의 도광블록(104)에 입사되도록 발광 모듈(12)에 응하여 복수의 슬릿이 형성되어도 좋다.
[제3의 실시예]
도 4는 본 고안과 관련된 제 3의 실시 예의 터치 장치의 분해 모식도를 나타낸다. 제2의 실시예와의 가장 큰 차이점은 제3의 실시 예의 터치 장치(1b)에 대하여 광선이 각 도광블록(104)의 출광면(104b)만으로부터 출사되도록 광차단 부재(18)를 도광부재(10)에 직접 접촉시키지 않고 이간 간격(102)에 설치하는 점이다. 실제로 실시할 때 제3의 실시 예의 터치 장치(1b)의 광차단 부재(18)는 기판(16)에 설치된 비투광재료이며 각 도광블록(104)을 통과한 일부의 빛을 차단하기 위한 것이어도 좋다. 즉, 광차단 부재(18)는 빛의 전송을 소정의 영역(예를 들면 단일의 도광블록(104))에 제한시키는 것으로 빛이 출광면(104b)에 의해 소정의 영역만에서 출사된다. 물론, 본 고안에서는 터치 장치(1b)를 포장한 케이스를 광차단 부재(18)의 일부로 함으로써 광차단 부재(18)의 제조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제4의 실시예]
도 5는 본 고안과 관련된 제4의 실시 예의 터치 장치의 일부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제4의 실시 예의 터치 장치(1c)와 제1의 실시 예의 터치 장치(1)와의 차이점은 터치 장치(1c)의 각 도광블록(104')이 서로 접속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도광부재(10')가 서로 분산한 복수의 도광블록(104')을 가지는 점이다. 제4의 실시 예의 그 외의 소자의 위치 및 기능은 제1의 실시예와 같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 이간 간격(102)은 도광블록(104')에 연신되는 것과 동시에 발광 다이오드를 수용하기 위한 연신부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 대해, 도면에 나타낸 홈(106)을 형성하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원하는 대로 적당히 설계하면 좋다.
또, 제1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대로, 도광블록(104'), 발광 모듈(12) 및 터치 감지 모듈(14)(도1a참조)을 단일의 발광 터치 유닛(3)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도광부재(10')의 도광블록(104')이 서로 독립하고 있기 때문에, 각 발광 터치 유닛(3)을 독립한 개체로 할 수 있어 제조 프로세스에 대하여 도광블록(104')을 미리 터치 감지 모듈(14)에 결합시키고 나서 기판(16)상에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제5의 실시예]
또, 도 6에 나타내듯이 발광 모듈(12)을 수용하기 위한 홈(106)은 소정의 형태을 가져도 좋다. 하나의 예로서 발광 모듈(12)이 홈(106)에 대응해 배치되도록 도광블록(104")의 가장자리(edge)에는 홈(106)이 요입 형성된다. 제5의 실시 예의 터치 장치(1d)와 제4의 실시예와의 차이점은 각 도광블록(104") 형태가 발광 모듈(12)에 응하여 대응하는 도광블록(104")을 가져도 좋다는 점이다. 발광 모듈(12)로부터의 대부분의 빛이 도광블록(104")에 원활히 들어가도록 입광면(104a)에는 발광 모듈(12)을 둘러싸는 또는 피복하기 위한 홈(106)을 미리 설치해도 좋다. 즉, 홈(106)은 발광 모듈(12)을 수용할 뿐만 아니라 입광면(104a)의 수광에 기여할 수 있다.
본 고안은 홈(106)의 형태에 제한을 두지 않고 입광면(104a)의 수광에 기여하는 것이면 방형, 반원형, 삼각형 또는 그 외의 적당한 형태여도 좋다.
본 고안과 관련된 터치 장치에 의하면 발광 모듈을 도광부재의 측면에 설치하는 것으로 터치 장치 전체의 두께를 큰 폭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용량 감지 기술을 응용했을 경우, 터치 감지 모듈의 감지 감도를 효과적으로 향상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은 소정의 이간 간격을 두는 것으로 각 도광블록에 있어서의 빛의 출사 방향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도광블록으로부터 출사된 빛의 상호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다.
사용자가 조작할 때 도광블록으로부터의 빛을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고 본 고안을 응용한 리모콘 또는 그 외의 종류의 콘트롤러를 원활히 조작할 수 있다.
1, 1a, 1b, 1c, 1d 터치 장치
3 발광 터치 유닛
10, 10' 도광부재
12 발광 모듈
10a 도광부재의 측면
14 터치 감지 모듈
16 기판
18 광차단 부재
102 이간 간격
104, 104', 104" 도광블록
104a 입광면
104b 출광면
104c 저면
104d 산광 패턴층
106 홈
142 터치 감지 도체
142a 감지 범위
144 터치 감지 소자
146 제어 칩
20 도시 플레이트
202 광투과 영역
9 터치 장치
90 광원
92 도광판
94 누르는 버튼 아이콘
96 터치 센서

Claims (7)

  1. 입광면, 출광면 및 저면을 구비한 복수의 도광블록을 포함하며 인접한 2개의 도광블록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이간 간격을 가지는 도광부재;
    상기 각 도광블록에 대응하여 상기 각 도광블록의 상기 입광면의 근방에 설치되어 상기 도광블록에 도입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출광면으로부터 도출되도록 발광하는 복수의 발광 모듈; 그리고,
    상기 각 도광블록에 대응해 상기 각 도광블록의 각각의 저면에 설치되어 대응하는 도광블록중 한쪽이 터치 된 것을 감지했을 경우, 대응하는 발광 모듈을 발광시키도록 제어하는 구동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복수의 터치 감지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장치.
  2. 복수의 발광 터치 유닛를 포함하는 터치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발광 터치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입광면, 출광면 및 저면을 가지는 도광블록;
    상기 입광면에 인접하고 생성된 빛이 상기 입광면을 개입시켜 상기 도광블록에 입사함과 동시에 상기 출광면을 개입시켜 상기 도광블록으로부터 도출하는 발광 모듈;
    상기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도광블록이 터치 된 것을 감지했을 경우,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발광 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 감지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발광 터치 유닛의 상기 도광블록은 도광부재에 대해서 소정의 이간 간격을 두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광면은 상기 발광 모듈로부터의 빛을 상기 도광부재로부터 도출시키기 위한 산광 패턴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간 간격 내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발광 터치 유닛에 있어서의 도광블록으로부터 도출된 빛을 차단하기 위한 광차단 부재를 더 가지며 및/또는 상기 광차단 부재는 상기 이간 간격내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도광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부착할 수 있는 광차단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각 터치 감지 모듈은
    대응하는 도광블록이 조작자에게 터치 되고 있는지 어떤지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감지 도체;
    대응하는 도광블록이 조작자에게 터치 되었을 경우에 상기 터치 감지 도체의 등가 용량치 변화량을 감지함과 동시에 상기 등가 용량치 변화량에 근거하여 상기 대응하는 발광 모듈의 점등 방식을 결정하는 상기 구동 신호를 상기 대응하는 발광 모듈에 출력하는 터치 감지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심볼 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광투과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도광부재상에 설치된 도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광투과 영역은 상기 각 도광블록에 대응해 배치되어 대응하는 상기 발광 모듈로부터의 빛은 대응하는 상기 도광블록의 상기 출광면을 통하여 상기 복수의 광투과 영역에 있어서 대응하는 광투과 영역으로부터 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장치.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블록은 상기 입광면에 형성된 홈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발광 모듈이 상기 홈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장치.
KR2020110008985U 2011-05-03 2011-10-07 터치 장치 KR20046916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1201350964U CN202050396U (zh) 2011-05-03 2011-05-03 触控装置
CN201120135096.4 2011-05-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772U true KR20120007772U (ko) 2012-11-13
KR200469169Y1 KR200469169Y1 (ko) 2013-09-25

Family

ID=44990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8985U KR200469169Y1 (ko) 2011-05-03 2011-10-07 터치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3172080U (ko)
KR (1) KR200469169Y1 (ko)
CN (1) CN202050396U (ko)
DE (1) DE202011050761U1 (ko)
IT (1) ITMI20120133U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787A (ko) * 2017-10-13 2019-04-23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차량용 터치 스위치 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0833B1 (ko) * 2011-12-30 2019-02-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2568397B (zh) * 2012-02-17 2017-06-06 海尔集团公司 冰箱显示屏的显示方法
EP2645571B1 (de) * 2012-03-27 2019-01-23 RAFI GmbH & Co. KG Kapazitive Schaltvorrichtung
CN102628945B (zh) * 2012-03-30 2013-10-16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光距传感装置的制作方法
DE102012019603A1 (de) * 2012-10-05 2014-04-10 Ziehl-Abegg Ag Vorrichtung zum Steuern bzw. Regeln von Elektromotoren, Frequenz- bzw. Spannungswandlern
JP6079469B2 (ja) * 2013-06-21 2017-02-15 トヨタ紡織株式会社 照明付タッチスイッチ装置
JP6373653B2 (ja) * 2013-06-25 2018-08-15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CN105737024A (zh) * 2014-12-08 2016-07-06 上海松下微波炉有限公司 操作面板的背光模块
KR102293599B1 (ko) 2014-12-23 2021-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제품
CN104749688A (zh) * 2015-04-16 2015-07-01 上海向隆电子科技有限公司 具遮光效果的导光板及其制造方法
KR102383723B1 (ko) * 2017-05-19 2022-04-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장치
CN109871063B (zh) * 2017-12-01 2023-03-31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轨迹触控感测模块
CN108388381A (zh) * 2018-04-17 2018-08-10 上海楹格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触摸模组
CN109388293A (zh) * 2018-09-29 2019-02-26 苏州达方电子有限公司 具有发光功能的触控板及电子设备
EP3760918B1 (en) * 2019-07-02 2021-06-02 Axis AB Lightguide assembly
KR102243171B1 (ko) * 2019-11-27 2021-04-22 주식회사 엔씨엠 비데 리모콘의 오터치 방지구조
CN111035346A (zh) * 2019-12-31 2020-04-21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家用电器的显控板和具有其的家用电器
CN111332219A (zh) * 2020-01-17 2020-06-26 东风延锋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一种带智能触控的内饰件
CN113641249B (zh) * 2020-05-11 2024-04-02 重庆达方电子有限公司 触控键盘及其键盘触控电极模块
CN111674336A (zh) * 2020-06-05 2020-09-18 宁波均胜群英汽车饰件有限公司 汽车智能真木饰件
TWI817150B (zh) * 2020-10-27 2023-10-01 達方電子股份有限公司 鍵盤複合電極模組及發光觸控鍵盤
CN114661185B (zh) * 2022-03-22 2023-08-15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触控模组和智能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08601A (ja) * 2008-10-28 2010-05-13 Citizen Electronics Co Ltd 面状光源及び液晶表示装置
KR101007342B1 (ko) * 2009-01-21 2011-01-13 오우연 Lgf 터치 키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787A (ko) * 2017-10-13 2019-04-23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차량용 터치 스위치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72080U (ja) 2011-12-01
KR200469169Y1 (ko) 2013-09-25
CN202050396U (zh) 2011-11-23
DE202011050761U1 (de) 2011-09-30
ITMI20120133U1 (it) 2012-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9169Y1 (ko) 터치 장치
US9088283B2 (en) Touch device
CN109031782B (zh) 显示屏组件、电子设备及电子设备的控制方法
US9077345B2 (en) Capacitive sensing apparatus
JP4513918B2 (ja) 照明装置及び電気光学装置
JP5481469B2 (ja) タッチセンシング表示装置
US7843516B2 (en) LCD touchscreen panel with scanning backlight
WO2013183286A1 (ja) タッチスライダーユニットおよびタッチスライダーユニットを備える電子レンジ
US20100208953A1 (en) Illuminated Fingerprint Sensor and Method
KR20140047071A (ko) 가전 기기용 작동 및 표시 장치와 가전 기기
US9058937B2 (en) Touch panel
KR20130027371A (ko) 표시장치용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N208654681U (zh) 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JP2002297317A (ja) 操作パネル入力装置
CN109792243B (zh) 用于提供用于家用器具的操作元件的层复合结构
US8847921B2 (en) Electronic device with invisible light touch panel
TWI472964B (zh) Touch panel
KR100858737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버튼 모듈
TWI483147B (zh) Touch panel
KR20080009962A (ko) 터치 키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
WO2019127169A1 (zh) 电子设备
TWM419989U (en) Touch panel
TWM412410U (en) Touch device
KR100991217B1 (ko) 터치 센서 디바이스
JP2009224112A (ja) 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