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528A - 치간 브러시 - Google Patents

치간 브러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528A
KR20120007528A KR1020117026444A KR20117026444A KR20120007528A KR 20120007528 A KR20120007528 A KR 20120007528A KR 1020117026444 A KR1020117026444 A KR 1020117026444A KR 20117026444 A KR20117026444 A KR 20117026444A KR 20120007528 A KR20120007528 A KR 201200075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interdental
brush
filament
degre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6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스케 하카마타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07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5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3/0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 A46B3/18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the bristles being fixed on or between belts or wir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A46B2200/108Inter-dental toothbrush, i.e. for cleaning interdental spaces specifical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치간부에의 삽입성이 좋고, 또한, 치간부의 청소성이 좋은 치간 브러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비틀어 꼬은 와이어(2)의 각 사이에 복수의 필라멘트(3)가 끼여 지지되어 이루어지는 브러시부(4)와, 상기 와이어(2)의 기단부(2a)를 지지하는 네크부(5)와, 상기 네크부(5)를 통하여 상기 브러시부(4)와 연결된 핸들부(6)를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2)의 축선에 대해 상기 필라멘트(3)가 상기 와이어(2)의 기단부(2a)측을 향하여 경사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의 기단부(2a)측에서, 상기 와이어(2)의 축선에 대해 상기 필라멘트(3)가 이루는 각도가, 20도 이상 60도 이하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간 브러시{INTERDENTAL BRUSH}
본 발명은, 치간(齒間) 부분을 청소할 때에 사용하는 치간 브러시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09년 5월 8일에 일본에 출원된 특원2009-113736호에 의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치간 브러시는, 통상의 칫솔에 의한 브러싱으로는 제거하기 어려운 치간 부분에 끼인 음식 잔사(殘渣)나 플라그를,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구강 내 청소용구이고, 칫솔과 병용함으로써, 치주병의 예방에 매우 유효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치간 브러시는, 브러시부(部)에 복수의 필라멘트가 식모된 구성으로 되어 있는데, 치간으로의 삽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라멘트의 개수를 감소(식모 밀도를 저하)하거나, 필라멘트로서, 부드러운 재료의 털이나 지름이 가는 털을 이용하거나 하는 수법이 고려되고 있다(특허 문헌 1, 2).
또한, 치간 청소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치간 삽입부를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한 치간 청소용구도 제공되어 있다(특허 문헌 3).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8-266336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허 제3704749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개2004-209242호 공보
그러나, 필라멘트는, 좁은 치간(齒間)에 무리하게 삽입하고, 반복하여 청소 운동을 하기 때문에, 필라멘트로서, 부드러운 재료의 털이나 지름이 가는 털을 이용하면, 필라멘트의 주저앉음이 빨라, 내구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필라멘트의 내구성이 나쁘기 때문에, 청소력이 약하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치간 삽입부를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한 치간 청소구에서는, 치간부에의 삽입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배경하에서, 치간 삽입성이 높고, 또한 치간 청소력이 높은 치간 브러시가 요망되고 있지만, 양자의 양립은 곤란하여, 유효 적절한 것이 제공되지 않은 것이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치간 삽입성이 높으며, 또한, 치간 청소력이 높은 치간 브러시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채용하였다.
본 발명에 관한 치간 브러시는, 비틀어 꼬은 와이어의 각 사이에 복수의 필라멘트가 끼여 지지되어 이루어지는 브러시부와, 상기 와이어의 기단부를 지지하는 네크부와, 상기 네크부를 통하여 상기 브러시부와 연결된 핸들부를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의 축선(軸線)에 대해 상기 필라멘트가 상기 와이어의 기단부측을 향하여 경사하여 배치되어 있는 치간 브러시이다. 상기 와이어의 기단부측에서, 상기 와이어의 축선에 대해 상기 필라멘트가 이루는 각도는, 20도 이상 60도 이하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와이어의 축선에 대해 필라멘트가 와이어의 기단부측을 향하여 경사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치간 삽입성 및 치간 청소력이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필라멘트가 와이어의 기단부측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 방향에 대해 예각으로 삽입되게 된다. 그 결과, 삽입할 때의 저항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치간 브러시를 인출할 때에, 필라멘트는, 인출 방향의 역방향으로 쓰러지는 것이 적어지고, 필라멘트의 선단(先端)이 치간에 걸림으로써 오물을 효율적으로 긁어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와이어의 기단부측에서, 와이어의 축선에 대해, 필라멘트가 이루는 각도가, 20도 이상 60도 이하의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치간 브러시의 치간 삽입성 및 치간 청소력이 더 높아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인 치간 브러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치간 브러시의 브러시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a는, 브러시부의 형성 방법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3b는, 브러시부의 형성 방법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3c는, 브러시부의 형성 방법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인 치간 브러시의 브러시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치간 브러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치간 브러시(1)는, 비틀어 꼬은 와이어(2)의 사이에 필라멘트(3)가 끼여 지지되어 이루어지는 브러시부(4)와, 와이어(2)의 기단부(2a)를 지지하는 네크부(5)와, 네크부(5)를 통하여 브러시부(4)와 연결된 핸들부(6)로 개략 구성되어 있다.
브러시부(4)는, 도 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둘로 접어서 비틀어 꼬은 와이어(2)의 각 사이(7)에, 복수 개의 필라멘트(3)의 다발을 선단(2b)측으로부터 연속적 또는 일정 간격으로 간헐적으로 끼워 넣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필라멘트(3)는,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2)의 축선에 대해, 와이어(2)의 기단부(2a)측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α)로 경사하여 배치되어 있다.
특히, 와이어(2)의 축선에 대해, 필라멘트(3)가 이루는 각도(α)가, 20도 이상 60도 이하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브러시부(4)는, 예를 들면,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2)를 둘로 접고, 개략 V자형으로 형성된 필라멘트(3)를, 둘로 접은 와이어(2) 사이에 끼워 넣고, 와이어(2)를 꼬음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 우선, 직선형상의 필라멘트(3)를, 둘로 접은 와이어(2)에 끼워 넣고, 와이어(2)를 꼬음으로써 브러시부(4)를 제조하고, 그 후, 도시 생략된 원추형상 또는 원통형상의 통(筒)을 브러시부(4)에 씌워, 필라멘트(3)에 각도를 붙여, 열(熱)세트를 시행함으로써 형상을 고정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필라멘트(3)에 각도를 붙이는 것은, 브러시부(4)를 핸들부(6)에 매설하기 전이라도 후라도 상관없다.
와이어(2)로는,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것,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Co 합금 등의 금속 와이어를 이용하면 좋다. 와이어(2)의 두께도, 종래의 치간 브러시와 같이 직경 0.23 내지 0.35㎜ 정도로 하면 좋다.
필라멘트(3)로는,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하면 되고, 예를 들면, 나일론,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PTT(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수지 필라멘트나, 수모(獸毛) 등의 천연모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필라멘트(3)의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재질을 바꿀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수지에, 열이나 빛에 대한 안정화제, 난연제, 필러, 표면 윤활제, 대전 방지제, 살균 소재(항균 소재) 등의 개질제, 다른 경질 수지나 일래스토머 등을 1종 또는 2종 이상 적절히 배합하거나, 모노 필라멘트에 도포하거나 하여도 좋다.
필라멘트(3)의 굵기는, 0.03 내지 0.13㎜(1.2 내지 5mil)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 내지 0.09㎜(2 내지 3.5mil)의 범위 내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치간 브러시(1)는, 치간 공극의 크기에 의해 사이즈가 한정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그 사이즈에 맞추어 필라멘트(3)를 구분하여 사용하지만, 사용성, 쇄소성, 청소 효과,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하나의 치간 브러시(1)에, 두께가 다른 복수의 필라멘트(3)를 조합시켜도 좋다.
또한, 굵기 이외에 재질, 길이, 색, 단면(斷面) 형상을 바꿀 수도 있다.
필라멘트(3)의 단면 형상은, 라운드(원형) 이외에 타원형이나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각형, 성형(星型), 3엽(葉)이나 4엽의 클로버형 등 직선끼리, 곡선끼리, 나아가서는 직선과 곡선을 조합시킨 부정형으로 하여도 좋다.
치간 브러시(1)의 모절(毛切)(또는 프로파일) 형상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필라멘트(3)의 길이가, 각각 같은 길이로 구성되어 있고, 필라멘트(3)가, 각각 와이어의 기단부(2a)측에서, 와이어(2)의 축선에 대해 같은 각도(α)로 경사하여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네크부(5) 및 핸들부(6)는, 일체 형성되어 있다. 네크부(5)는, 핸들부(6)와 브러시부(4) 사이를 연결하는 부분이고, 핸들부(6)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이다.
네크부(5) 및 핸들부(6)의 재질로서는, 폴리스티렌 수지(PS), 폴리프로필렌 수지(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ABS), 셀룰로오스프로피오네이트 수지(CP),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PCTA, PCTG), 폴리카보네이트 수지(PC),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수지(AS), 폴리아세탈 수지(POM),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생분해성 수지 등의 소재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수지끼리나 열가소성 일래스토머, 실리콘 수지 등과 조합시킨 다색 성형 핸들로 하여도 좋다. 단, 이들의 재질로 한정될 필요는 없고, 네크부(5) 및 핸들부(6)로서 이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떤 재질이라도 상관없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갖는 치간 브러시(1)에서는, 와이어(2)의 축선에 대해, 필라멘트(3)가 와이어(2)의 기단부(2a)측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α)로 경사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치간 삽입성 및 치간 청소력이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필라멘트(3)가 와이어(2)의 기단부(2a)측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α)로 경사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 방향에 대해 예각으로 삽입되게 된다. 그 결과, 삽입할 때의 저항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치간 브러시(1)를 인출할 때에, 필라멘트(3)는, 인출 방향의 역방향으로 쓰러지는 일이 적어지고, 필라멘트(3)의 선단이 치간에 걸림으로써 오물을 효율적으로 긁어낼 수 있다.
또한, 필라멘트(3)의 재료를 부드러운 재질으로 변경하는 일없이, 종래의 재질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치간 청소력이 저하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와이어의 기단부(2a)측에서, 와이어(2)의 축선에 대해, 필라멘트(3)가 이루는 각도(α)가, 20도 이상 60도 이하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치간 브러시(1)의 치간 삽입성 및 치간 청소력이 더 높아진다. 즉, 각도(α)가 20도 이상이기 때문에, 치간 브러시(1)를 인출할 때에, 필라멘트(3)가 치간에 걸리고, 오물을 보다 효율 좋게 긁어낼 수 있다. 또한, 각도(α)가 60도 이하이기 때문에, 삽입시의 저항이 보다 적고, 인출시에 인출 방향의 반대측으로 필라멘트(3)가 쓰러지는 일이 더 적어지고, 치간 청소력이 더 높아진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 형태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네크부(5)가 직선형상이고, 핸들부(6)의 길이 방향과 개략 평행하게 브러시부가 형성된 I자형 치간 브러시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네크부가 개략 L자형으로 되어 있고, 핸들부의 길이 방향과 거의 수직으로 브러시부가 형성된 L자형 치간 브러시라도 상관없다.
또한, 치간 브러시(1)의 모절 형상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2)의 각 사이에 끼여 지지된 필라멘트(3)가, 와이어(2)의 선단(2b)측부터 기단부(2a)측을 향하여 차례로 모장(毛丈)이 길어지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필라멘트(3)가, 와이어(2)의 선단(2b)측 및 기단부(2a)측부터, 중간을 향하여 차례로 모장이 길어지거나 짧아지거나 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효과를 더 명확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4로서,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한 치간 브러시를 실제로 제작하고, 비교예 1 내지 4로서, 각도(α)가 15도 이하, 90도 이상으로 한 치간 브러시를 실제로 제작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재질 SUS304이고 지름 0.24㎜의 와이어에, 지름 0.25㎜의 나일론용모(필라멘트)를 300개 꼬아서 식모(植毛)하고, 테이퍼형상으로 모절하였다. 그 후, 식모된 필라멘트에 원추형상의 통을 씌우고, 열 세트를 시행하여 형상을 고정하고, 브러시부를 완성시켰다. 마지막으로, 이 브러시부를 비트윈 치간 브러시 핸들(라이온(주))에 매설하여 치간 브러시를 제작하였다. 또한, 표 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의 축선에 대해 필라멘트가 이루는 각도(α)를 15도 내지 120도의 범위로 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치간 브러시에 대해, 「삽입성」, 「청소성」 및 「사용감」에 관해 실험을 실시하여, 표 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평가가 얻어졌다.
<실험 방법>
또한, 실험은, 20명의 패널러에 의해, 구강 내의 적절한 치간에서 전후 10번 왕복 사용하는 형식으로 행하였다.
<평가 방법>
「삽입성」에 관해서는, 치간 삽입시의 삽입하기 쉬움을 패널러의 관능으로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삽입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1점, 「어느 것이라고 말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2점, 「삽입하기 쉬운」 경우에는 3점으로 하여 평가하였다.
「청소성」에 관해서는, 치간 브러시의 사용 전에 플라그 염색액(DENT. liquid plaque tester : 라이온(주))으로 치간를 물들이고, 치간 브러시를 사용한 후의 오염의 제거의 정도를, 패널러의 관능으로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치간의 오물이 거의 남아 있는」 경우에는 1점, 「치간의 오물이 조금 남은」 경우에는 2점, 「치간의 오물이 거의 없는」 경우에는 3점으로 하여 평가하였다.
「사용감」에 관해서는, 삽입시, 전후의 쇄소(刷掃) 운동시의 잇몸에의 자극, 잇몸의 통증의 유무·정도를 패널러의 관능으로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잇몸에의 자극이 강한」 경우에는 1점, 「잇몸의 자극이 약간 있는」 경우에는 2점, 「잇몸에의 자극이 거의 없는」 경우에는 3점으로 하여 평가하였다.
<판정 기준>
어느 항목에 대해서도, 평균점이 2.5점 이상인 경우에는, 「A」로 판정하고, 평균점이 2점 이상 2.5점 미만인 경우에는, 「B」로 판정하고, 평균점이 2점 미만인 경우에는, 「C」로 판정하는 3단계에 의해 판정하였다.
Figure pct00001
표 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삽입성에 관해서는, 와이어의 기단부측에서, 와이어의 축선에 대해 필라멘트가 이루는 각도(α)가, 15도 이상 90도 이하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5도 이상 60도 이하의 범위에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청소성에 관해서는, 와이어의 기단부측에서, 와이어의 축선에 대해 필라멘트가 이루는 각도(α)가, 20도 이상 90도 이하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30도 이상 60도 이하의 범위에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사용감에 관해서는, 와이어의 기단부측에서, 와이어의 축선에 대해 필라멘트가 이루는 각도(α)가, 15도 이상 70도 이하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와이어의 기단부측에서, 와이어의 축선에 대해 필라멘트가 이루는 각도(α)는, 90도 이상의 경우와 비교하면, 90도 미만인 쪽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20도 이상 60도 이하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치간 브러시는 치간 삽입성 및 치간 청소력이 높기 때문에, 치주병의 예방에 유용한다.
1 : 치간 브러시 2 : 와이어
2a : 와이어의 기단부 3 : 필라멘트
4 : 브러시부 5 : 네크부
6 : 핸들부 7 : 와이어의 사이

Claims (2)

  1. 비틀어 꼬은 와이어의 각 사이에 복수의 필라멘트가 끼여 지지되어 이루어지는 브러시부와,
    상기 와이어의 기단부를 지지하는 네크부와,
    상기 네크부를 통하여 상기 브러시부와 연결된 핸들부를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의 축선에 대해 상기 필라멘트가 상기 와이어의 기단부측을 향하여 경사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브러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기단부측에서, 상기 와이어의 축선에 대해 상기 필라멘트가 이루는 각도가, 20도 이상 60도 이하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브러시.
KR1020117026444A 2009-05-08 2010-04-30 치간 브러시 KR201200075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13736 2009-05-08
JPJP-P-2009-113736 2009-05-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528A true KR20120007528A (ko) 2012-01-20

Family

ID=43050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6444A KR20120007528A (ko) 2009-05-08 2010-04-30 치간 브러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323182B2 (ko)
KR (1) KR20120007528A (ko)
CN (1) CN102421326A (ko)
WO (1) WO20101285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44756S1 (en) * 2012-08-30 2015-12-08 Sunstar Suisse Sa Interdental cleaning tool
USD756125S1 (en) * 2015-03-20 2016-05-17 Welter's Co., Ltd. Toothpick brush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1331U (ja) * 1984-07-13 1986-02-07 花王株式会社 歯ブラシ
US5347675A (en) * 1990-02-06 1994-09-20 John O. Butler Company, Inc. Toothbrush
JPH04241805A (ja) * 1991-01-14 1992-08-28 Katerun:Kk 歯間ブラシ
CN1219496C (zh) * 2001-07-30 2005-09-21 高桥淳 自由转动角度的电动口腔清洁器具
JP2007037791A (ja) * 2005-08-03 2007-02-15 Okamura:Kk 歯間ブラシ
JP5324877B2 (ja) * 2008-09-30 2013-10-23 小林製薬株式会社 歯間ブラシ
JP5316166B2 (ja) * 2009-03-31 2013-10-16 サンスター株式会社 歯間ブラ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0128591A1 (ja) 2012-11-01
WO2010128591A1 (ja) 2010-11-11
CN102421326A (zh) 2012-04-18
JP5323182B2 (ja) 201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1932B2 (en)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US10376039B2 (en) Head for an oral care implement
JP6854824B2 (ja) 新規の装置
TWI548364B (zh) 牙刷
KR20140009292A (ko) 칫솔
RU2567786C2 (ru) Интердентальный чистящий элемент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20120007528A (ko) 치간 브러시
JP2007006938A (ja) 歯ブラシ
JP5879071B2 (ja) 歯間ブラシ
KR20140000248U (ko) 치간 청소 구조체
JP2610879B2 (ja) 歯間擦り棒
JP2006180973A (ja) 歯ブラシ
JP5316166B2 (ja) 歯間ブラシ
JP2005211383A (ja) 歯ブラシ用ブリッスル
JP2014204788A (ja) 歯ブラシ
JP5690558B2 (ja) 歯間ブラシ
KR101937739B1 (ko) 칫솔
JP2005218555A (ja) 混毛ブラシ
AU749135B2 (en) Toothbrush
JP3121238U (ja) 歯ブラシ
JP3094726U (ja) 歯間ブラシ構造
JP2006297145A (ja) 歯ブラシ
JP2011125582A (ja) 歯ブラシ用毛材および歯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