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184A - 매장의 보안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및 매장 관리 서버 - Google Patents

매장의 보안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및 매장 관리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6184A
KR20120006184A KR1020100066775A KR20100066775A KR20120006184A KR 20120006184 A KR20120006184 A KR 20120006184A KR 1020100066775 A KR1020100066775 A KR 1020100066775A KR 20100066775 A KR20100066775 A KR 20100066775A KR 20120006184 A KR20120006184 A KR 20120006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y
store
event
video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6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효정
유현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6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6184A/ko
Priority to PCT/KR2010/007933 priority patent/WO2012008658A1/ko
Publication of KR20120006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1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78User interface
    • G08B13/19684Portable terminal, e.g. mobile phone, used for viewing video remotel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3/00Alarm indicators, e.g. bells
    • G07G3/003Anti-theft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8Alarm setting and unsetting, i.e. arming or disarming of the security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13Recognition of a predetermined image pattern or behaviour pattern indicating theft or intrusion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장의 보안 상태를 관리하는 매장 관리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포스 단말기로부터 영업과 관련된 이벤트와, 비디오 레코더로부터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며, 외부로부터 보안 필터링 조건을 수신하는 네트워크 모듈; 상기 보안 필터링 조건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수신된 이벤트가 상기 보안 필터링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보안 이벤트를 생성, 외부로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보안 이벤트에 해당하는 비디오 클립을 변환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매장 관리 서버를 이용하여 매장의 보안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매장 관리 서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매장의 보안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및 매장 관리 서버{METHOD AND SERVER FOR MANAGING SECURITY STATE OF STORE}
본 발명은 POS(Point of Sale)로부터의 정보, 매장 내 카메라의 녹화 영상, 매장에 설치된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이용하여 매장의 보안 상태을 관리하기 위한 보안 상태 관리 방법, 그를 위한 매장 관리 서버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POS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사건, 센서가 감지한 침입 신호, 카메라에 녹화된 영상이, 매장의 보안과 관련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들을 보안 이벤트로서 정의하여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에 통보할 수 있는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영업 시간이나 출근 직원과 같은 각 매장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보안과 관련되는 필터링 조건을 직접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매장의 보안 상태 관리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최근 매장의 상황을 이동 단말기를 통해 원격지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CCTV를 통해 매장의 상황을 단순 녹화한 영상만을 제공하는 등, 제공되는 서비스의 범위가 제한적이어서 실제 매장에서 발생되는 상황의 파악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매장의 매출, 거래의 취소와 같은 POS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사건, 매장에서 녹화되는 영상, 매장 내 센서가 감지한 침입 신호에 대해서 사용자가 일일이 원격지에서 그 내용을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복수의 매장별 영업 시간, 직원 정보 등과 같은 매장별 특성이 일일이 고려되지 않은 정보가 모두 사용자에게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부담이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격지에서 매장의 녹화 영상뿐만 아니라, POS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상황 등, 매장의 보안과 관련되는 모든 상황을 매장의 특성을 모두 고려하여 파악할 요구가 생긴다. 또한, 이에 해당하는 녹화 영상의 클립만을 시청할 요구도 생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POS 단말기, 매장 내 카메라 및 센서로부터 수신된 정보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격지에서도 매장의 보안에 관한 상황에 대한 파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원격지에서 매장의 보안에 관한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는 데 있어서, 매장별 특수성을 고려하여 설정된 보안 수준을 포함하는 보안 필터링 조건에 기초하여 보안에 관한 이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보안에 관한 이벤트 정보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되는 비디오 영상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장의 보안 상태를 관리하는 매장 관리 서버는, 포스 단말기로부터 영업과 관련된 이벤트 정보와, 비디오 레코더로부터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며, 외부로부터 보안 필터링 조건을 수신하는 네트워크 모듈; 상기 보안 필터링 조건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수신된 이벤트가 상기 보안 필터링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보안 이벤트를 생성, 외부로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보안 이벤트에 해당하는 비디오 클립을 변환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장의 보안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은, 포스 단말기로부터 영업과 관련된 이벤트 정보 또는 비디오 레코더로부터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외부로부터 보안 필터링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보안 필터링 조건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이벤트가 상기 보안 필터링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보안 이벤트로 생성,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보안 이벤트에 해당하는 비디오 클립을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격지에서도 매장의 보안에 관한 상황에 대한 파악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매장별 특수성을 고려하여 설정된 보안 수준을 포함하는 보안 필터링 조건에 기초하여 보안에 관한 이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격지에서도 보안에 관한 이벤트 정보와 관련되는 비디오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장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장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스 단말기 및/또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와 매장 관리 서버 사이에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이벤트의 상세 내용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벤트 녹화 비디오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에 제공되는 데이터 흐름을 나타낸다.
도 8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이벤트 녹화 비디오의 시청을 선택하여 조회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9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에 보안 이벤트 정보를 통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장 관리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매장 관리 시스템은 매장 관리 서버(10), POS 단말기(20),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0) 및 이동 단말기(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매장 관리 서버(10)는, 한 매장을 관리하기 위한 매장 관리 시스템의 중앙 서버로서, 개인용 컴퓨터로 구성되거나, 매장 관리 시스템의 관리를 위해 제작된 전용 단말기로 구성될 수 있다. 개인용 컴퓨터로 구성하기 위하여 컴퓨터상에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하게 할 수 있다. 매장 관리 서버(10)는 POS 단말기(20)에서 발생되는 매출 기타 정보 및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0)가 저장한 녹화 비디오 또는 센서 신호 등을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4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매장 관리 서버(10)는 POS 단말기(2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정보,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0)가 수신 또는 저장한 비디오 신호, 센서 신호가 매장의 보안과 관련되는지를 판단한다. 즉, 매장 관리 서버(10)는 이벤트가 보안 필터링 조건을 만족하는 지를 판단하여, 보안 이벤트로 생성, 이동 단말기(40)에 통보할 수 있다. 또한, 매장 관리 서버(10)는 보안 이벤트와 관련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0)의 저장 영상을 이동 단말기(4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가 운영하는 매장이 복수개인 경우 각 매장 별로 복수의 매장 관리 서버(10)가 설치, 관리될 수 있다.
POS 단말기(20)는, 매출 거래, 직원의 출퇴근, 거래의 취소, 프로그램 종료와 같은 영업 과정의 이벤트 발생시 매장 관리 서버(10)에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POS 단말기(20)는 매장 관리 서버(10)와의 네트워크 접속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네트워크 단절 상황에서 발생되는 매출 등의 정보를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POS 단말기(20)는 한 매장 관리 시스템에서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0)는, 매장의 영상을 녹화하기 위한 카메라(31)로부터 녹화 영상을 전송받아 디지털 파일로서 저장할 수 있다. 녹화 비디오는, 소정 시간 단위로 클립 및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0)는 보안 센서(32)와 연결되어 센서(32)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매장 관리 서버(10)에 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보안 센서(32)가 매장에의 침입 신호를 검출하면, 침입 신호가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0)를 통하여 매장 관리 서버(10)에 전송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40)는, 매장 관리 서버(1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다. 매장 관리 서버(10)가 유동 IP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40)는 DDNS(Dynamic Domain Name System) 서버를 통해 매장 관리 서버(10)에 접속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40)는 일반 휴대폰, 스마트폰, PDA 등 무선 통신이 가능한 임의의 이동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 이외에도, 사용자는 네트워크에 접속가능한 개인용 컴퓨터(미도시)를 통해 매장 관리 서버(10)에 접속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40)를 통하여, 수신되는 보안 이벤트의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보안 이벤트의 조건에 대해, 이하에서 '보안 필터링 조건'이라 한다. 보안 필터링 조건은, 매장별 특성, 예컨대, 매장별 영업 시간, 매장의 출근 직원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보안 필터링 조건은 상기 매장별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사용자가 해당 매장의 보안 필터링 조건에 대해 '보안 작동' 또는 '보안 해제'로써 일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장 관리 서버(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매장 관리 서버(10)는 네트워크 모듈(11), 비디오 신호 처리부(12), 제어부(13) 및 저장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매장 관리 서버(10)는 네트워크 모듈(11)을 통해 POS 단말기(20) 및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0)와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모듈(11)은 이동 단말기(40)와 매장 관리 서버(10)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비디오 신호 처리부(12)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20)로부터 수신한 비디오 파일을 이동 단말기(40)상에 재생할 수 있도록 압축, 변환할 수 있다. 비디오 신호 처리부(12)는 이를 위해 트랜스코딩부(미도시) 및 비디오 스트리밍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비디오 파일은 매장의 녹화 영상의 일부로서,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0)에 소정 시간 단위로 비디오 클립으로서 저장될 수 있다. 저장된 비디오 클립은 매장 관리 서버(10)에 전송된 후 이동 단말기(40)로 전송, 재생되기에 적합하도록 비디오 신호 처리부(12)에 의해 변환될 수 있다.
제어부(13)는 POS 단말기(20)로부터 수신한 이벤트 정보,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0)에서 수신한 영상 등의 정보가 보안 필터링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상기 수신한 정보가 보안 필터링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보안 이벤트로 생성,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4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3)는 수신한 정보를, 데이터 서버, 컴퓨터 등의 외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40)를 통해 녹화 비디오를 요청하면, 제어부(13)는 전송한 이벤트 정보에 해당하는 이벤트 녹화 비디오를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0)에 요청 및 수신하고, 이동 단말기(40)에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14)는 POS 단말기(20),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0)로부터 수신한 정보가 보안과 관련되는 지를 판단하기 위한 보안 필터링 조건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는 네트워크 모듈(11)을 통해 POS 단말기(20),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0) 및 이동 단말기(40)로부터 수신한 이벤트, 영상 기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는 EEPROM, 플래시 메모리, 플로피 디스크, HDD, CD-ROM, Blue Ray Disk, DVD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스 단말기(2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포스 단말기(20)는 이벤트 검출부(21), 저장부(22), 제어부(23), 사용자 입력부(24), 인터페이스부(25) 및 디스플레이부(2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 검출부(21)는 영업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영업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벤트란, POS 단말기(20)에서 발생되는 거래 행위 기타 사건으로서, 매출의 발생, 직원의 출퇴근, 거래 취소, 매장의 개시 또는 종료, 돈통(cash drawer)의 개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 검출부(21)는 바코드 스캐너, 모니터, 돈통, 영수증 프린터, 하중계(weight scale), 고객이 핀 넘버를 입력하기 위한 핀 패드 장치(customer pin pad device), 고객의 사인을 입력받기 위한 장치(signature capture device), 신용카드 리더기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통해 영업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저장부(22)는 이벤트 검출부(21)가 검출한 영업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벤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2)는 상기 발생된 이벤트가 영업의 손실과 관련되는 경우, 영업의 손실과 관련되는 이벤트로서 저장할 수 있고, 상기 발생된 이벤트가 매장의 보안과 관련되는 경우 보안 이벤트로서 저장할 수 있다.
POS 단말기(20)에서 발생되는 보안 이벤트는 매장의 영업 시간 외에 발생되는 돈통의 개방, POS 단말기(20)의 리셋(RESET), 또는 전원 오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3)는 영업의 손실과 관련되는 이벤트 또는 보안 이벤트를 생성, 매장 관리 서버(1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는 영업 과정에서 발생되는 모든 이벤트를 매장 관리 서버(1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4)는 POS 단말기(20)를 관리하는 직원이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24)는 키패드, 직원의 지문 인식기, 직원 카드 리더기, 터치 스크린 등을 포함하여 매출 거래, 출퇴근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5)는 상기 영업의 손실과 관련되는 이벤트 정보 또는 보안 이벤트를 매장 관리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6)는 사용자에게 고객별 매출 상황, 거래 및 거래의 취소 등을 처 리결과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26)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0)는, 저장부(33), 비디오 신호 처리부(34), 제어부(35), 인터페이스부(36)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33)는, 매장에 설치된 카메라(31)가 녹화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카메라(31)가 아날로그 카메라인 경우, 디지털 영상으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33)는 매장에 설치된 카메라(31)의 카메라 인식 정보와 함께 녹화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카메라 인식 정보는 카메라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카메라의 설치 위치, 카메라의 모델명, 카메라 이름, 제조사, 제조 연월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인식 정보는 카메라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예컨대, 카메라 전원 상태, 고장 유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매장 내 카메라(31)가 복수 개인 경우, 저장부(33)는 각 카메라(31)에 대응하는 카메라 인식 정보를 녹화 영상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33)는 센서(32)에서 감지한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는 매장의 보안 관리를 위해 매장의 문, 유리창, 창고, POS 단말기, 카메라 등에 센서를 설치하고, 감지되는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33)는 EEPROM, 플래시 메모리, 플로피 디스크, HDD, CD-ROM, Blue Ray Disk, DVD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비디오 신호 처리부(34)는, 카메라(31)가 녹화한 영상을 매장 관리 서버(10)에 전송하기 위해 적합한 비디오 파일로서 변환할 수 있다. 비디오 파일은 매장의 녹화 영상의 일부로서, 매장의 영상이 소정 시간 단위로 클립되어, 복수의 비디오 클립으로서 저장될 수 있다. 카메라(31)가 아날로그 카메라인 경우, 카메라(31)가 녹화한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 변환기(converter) 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5)는, 카메라(31) 및 센서(32)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변환, 처리,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디오 신호 처리부(34)에서 처리한 비디오 파일을, 녹화 카메라 인식 정보 또는 녹화 시간 등의 관련 정보와 함께 저장부(33)에 저장, 매장 관리 서버(1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영상의 전송은, 매장 관리 서버(10)로부터 수신된 녹화 비디오 요청에 기초하여 행해질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36)는, 카메라(31) 및 센서(32)로부터 비디오 신호 및 센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36)는 매장 관리 서버(1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36)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모듈을 포함하거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ZigBee 디바이스, Bluetooth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포스 단말기 및/또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와 매장 관리 서버 사이에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POS 단말기(20) 또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0)가 검출된 보안 이벤트(213)를 매장 관리 서버(10)에 송신하고, 매장 관리 서버(10)는 이에 대한 확인 응답(214)을 송신한다.
매장 관리 서버(10)와 POS 단말기(20) 또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0)는 TCP/IP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매장 관리 서버(10)는 서버로서, POS 단말기(20) 또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0)는 클라이언트로서 데이터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한편, 매장 관리 서버(10)는, 보안 이벤트(213)의 송수신이 없는 경우에도, POS 단말기(20) 또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0) 간 데이터 프레임의 주기적인 송수신을 통해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보안 이벤트의 내용을 설명한다. 도 6의 (a)는 A 매장의 특성을 예시한다. A 매장의 영업 시간을 8시 30분부터 23시 30분이라 가정하면, 영업 시간도 A 매장의 특성에 포함될 수 있다.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간대별 출근 직원은 #1 홍길동, #2 홍판서, #3 춘삼의 순서로 되어 있으며, 시간대별 출근 직원 정보도 A 매장의 특성에 포함될 수 있다. 각 시간대 별 평균 매출액도 A 매장의 특성에 포함될 수 있다.
도 6의 (b)는 A 매장의 특성에 기초하여 설정된 시간대별 A 매장의 보안 이벤트를 정의한 내용에 관한 일례를 나타낸다. A 매장의 보안 이벤트는 각 매장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A 매장의 보안 이벤트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40) 또는 매장 관리 서버(10) 상에서 입력될 수 있다. A 매장의 보안 이벤트는 수신되는 모든 이벤트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개별적으로 정의될 수 있고, 소정 보안 필터링 조건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도 6의 (b)에서 나타내는 보안 이벤트는 POS에서 발생되는 보안 이벤트 또는 DVR로부터 수신된 보안 이벤트의 일례를 나타낸다.
POS에서 발생되는 보안 이벤트는, POS 단말기(20)에서 검출한 영업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일부일 수 있다. 영업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벤트는, POS 단말기(20)에서 발생되는 거래 행위 기타 사건으로서, 매출의 발생, 직원의 출퇴근, 거래 취소, 매장의 개시 또는 종료, 돈통(cash drawer)의 개방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영업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중, 매장의 보안에 관계되는 이벤트를 수신하기 위해 보안 필터링 조건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영업 시간 이외에 POS 단말기(20)상에서 이벤트가 발생되는 경우, 이는 매장의 보안과 관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영업 시간 이외의 모든 POS 이벤트에 대해 보안 이벤트로 정의, 전송받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영업 시간 이외, 매장 직원의 출근 시간에 해당하는 경우는 보안 수준을 좀더 낮추어 보안 이벤트로 정의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매장의 영업 개시 전 매장 직원의 영업 개시 준비 시간인 경우, POS 단말기(20)에서 처리하는 정산, 직원의 출퇴근, 매장의 개시 작업 등은 보안 이벤트에서 제외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영업 시간 중이더라도, 매장 개시 시간 대인 오전 8시 이후, POS 단말기(20)의 shutdown 상태가 되는 경우 매장의 보안에 관계될 수 있다. 또한, 매장 개시 시간 대인 오전 8시 이후라서 거래 횟수가 적음에도, POS 단말기의 돈통 개방 횟수가 소정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매장의 보안에 관계될 수 있다. 또한, 매출 거래가 많은 20시 대에 일정 시간 동안 매출 거래가 없는 경우에도 매장의 보안에 관계될 수 있다. POS 직원의 부재, 매장 이탈에 관련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용자는 이를 통보받아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매장의 영업 시간, 시간 대별 출근 직원 정보, 시간 대별 평균 매출액과 같은 매장의 특성에 기초하여 보안 이벤트를 통보받을 수 있다. 즉, 보안 이벤트를 정의할 보안 필터링 조건을 매장의 특성에 기초하여 설정할 수 있다. 보안 필터링 조건은 매장의 특성에 기초한 보안 강도 또는 보안 수준을 나타낼 수 있다. 도 6의 (b)에서 나타내는 POS 보안 이벤트는 영업 과정에서 발생되는 모든 이벤트를 시간별로 구체적으로 고려하여 보안 이벤트로 설정하고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이와 달리 사용자는, 단순히, 영업 시간 이외에 발생된 모든 POS 이벤트에 대해서만 보안 이벤트로 설정할 수 있다.
DVR로부터 수신된 보안 이벤트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0)로부터 수신한 센서 신호와 관련될 수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직원의 출근 시간 이외에 매장문, 창문 창고의 출입에 대해 보안 이벤트로 설정되고 있고, 직원의 출근 시간 중 창고의 출입에 대해서만 보안 이벤트로 설정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보안 필터링 조건은 보안 강도 또는 보안 수준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한 매장에 대해 특정 영업 시간, 특정 직원의 출근 시대에 강도있는 매장 관리를 할 필요성이 생길 수 있다. 즉, 매장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시간대별 보안 수준을 설정해 놓으면 보안 수준에 따라 설정된 보안 이벤트가 사용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보안 필터링 조건은 매장의 '보안 설정' 또는 '보안 해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순히 직원의 출근 시간, 매장의 영업 시간에 기초하여 일률적으로 보안 설정 또는 보안 해제를 설정하여둘 수 있다. 이 경우, 보안 설정된 상태에서 발생하는 모든 POS 이벤트, 센서의 신호 검출 등은 보안 이벤트로 전송될 수 있다. 보안 해제된 상태에서는 일부 센서의 신호 검출, 일부 POS 이벤트만이 보안 이벤트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보안 해제된 상태에서는 모든 이벤트를 수신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보안 설정 또는 보안 해제된 상태에서의 보안 이벤트의 정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고,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도 6의 (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매장의 보안 이벤트로 설정된 사건이 발생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매장 관리 서버(10)는 보안 이벤트를 생성,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4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벤트 녹화 비디오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40)에 제공되는 데이터 흐름을 나타낸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40)를 통해 영업의 보안과 관련되는 이벤트를 확인한 후, 이벤트가 발생된 시간의 매장 상황을 녹화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40)를 통해 이벤트 녹화 비디오의 요청(215)을 하면, 매장 관리 서버(10)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0)에 녹화 비디오를 요청(216)할 수 있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0)는 저장된 녹화 비디오(217)를 전송할 수 있다. 매장 관리 서버(10)는 수신한 녹화 비디오(217)를 이동 단말기(40)상에서 재생 가능한 형태의 비디오 포맷으로 변환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수 있는 형태로 압축할 수 있다. 이렇게 압축, 변환된 이벤트 녹화 비디오(218)는 이동 단말기(40)에 전송될 수 있다.
도 8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이벤트 녹화 비디오를 선택, 시청하는 일례를 나타낸다.
도 8 (a)는 이동 단말기(40) 상에서 수신한 보안 이벤트를 확인하는 화면을 나타낸다.
이벤트 메인 화면(41)은 새마을 식당 내 어느 매장에서 감지한 침입 신호에 대한 보안 이벤트의 수신 사실 및 간략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메인 화면(41)은 이벤트가 발생한 매장의 주소 및 수신된 이벤트의 전체 개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벤트 비디오 화면(42)은 수신된 이벤트에 해당하는 매장의 녹화 영상 파일이 있음을 나타내고, 이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 버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40)의 액정이 터치 스크린 방식인 경우 사용자는 이벤트 비디오 화면(42)의 재생 버튼을 터치하여 수신된 이벤트에 해당하는 이벤트 녹화 비디오를 시청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재생 버튼을 선택하면, 도 6에서처럼 이동 단말기(40)는 매장 관리 서버(10)에 이벤트 녹화 비디오를 요청(215)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 녹화 비디오는, 수신된 보안 이벤트에 해당하거나 관련되는 매장의 녹화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된 보안 이벤트에 해당 또는 관련되는 녹화 영상인 지에 대해서는, 보안 이벤트가 발생한 시간, 발생 위치와 관련하여, 매장 관리 서버(10)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보안 이벤트의 발생 위치는 보안 이벤트가 발생한 센서(32), 또는 POS 단말기(20)의 위치와 관련될 수 있다.
이벤트 상세 화면(43)은 보안 이벤트의 내용 및 발생 시간을 구체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도 7의 (a)에서 예시되는 이벤트는 매장의 침입에 관한 보안 이벤트이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새마을 식당'에서 검출된 침입 신호에 대해 보안 이벤트로 판단하여 이동 단말기(40)에 전송, 디스플레이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사용자는 이벤트 상세 화면(43) 내의 '내역 확인'을 선택함으로써, 보안 이벤트의 상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보안 이벤트의 상세 내용은, 침입 신호가 발생된 위치, 해당 매장의 영업 시간, 출근 직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40)의 사용자는 이전 이벤트(44) 또는 다음 이벤트(45)를 선택하면, 다른 이벤트를 조회할 수 있다.
도 7의 (b)는 이벤트 녹화 비디오의 요청이 있은 후, 이벤트 녹화 비디오가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비디오 메인 화면(46) 상에서 이벤트 녹화 비디오가 디스플레이되고, 프로그레시브바(47)가 이벤트 녹화 비디오의 전체 길이 및 현재 재생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예시되는 이벤트 녹화 비디오는 보안 이벤트가 발생된 시각 전후에 녹화된 비디오 파일을 매장 관리 서버(10)가 전송받아 이동 단말기(40)에 전송한 영상이다. 보안 이벤트가 발생된 시각은 보안 이벤트를 검출한 POS 단말기(20) 또는 센서(32) 등의 매장내 기기에서 측정된 시각일 수 있다. 매장 관리 서버(10)는 보안 이벤트가 발생된 시각에 해당하는 비디오 클립을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0)에 요청하여 녹화 비디오를 전송받을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3분 길이의 이벤트 녹화 비디오가 재생되고 있다. 3분 길이의 녹화 비디오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0)에서 클립, 저장되었다가 이동 단말기(40)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매장 관리 서버(10)가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0)로부터 수신한 녹화 비디오를 다시 클립, 변환하여 3분 길이의 녹화 비디오로 생성한 후, 이동 단말기(40)에 전송될 수 있다.
도 9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에 보안 이벤트 정보를 통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계(S11)에서, 포스 단말기 또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로부터 영업과 관련된 이벤트 정보, 비디오 신호 또는 센서 신호를 수신한다. 포스 단말기(20) 또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0)는 이벤트가 발생될 때 실시간으로 매장 관리 서버(1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포스 단말기(20) 또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30)는 발생된 이벤트를 저장하여 두었다가 매장 관리 서버(1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S12)에서, 매장 관리 서버(10)는 이벤트를 전송한 매장의 영업 시간과 현재 시간을 대비할 수 있다.
단계(S13)에서, 매장 관리 서버(10)는 이벤트가 발생된 시간에 출근한 직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S12) 및 단계(S13)은 매장의 운영 시간과 직원 정보, 즉, 매장의 특성을 확인하고, 이에 기초한 보안 필터링 조건을 참조하기 위한 과정이다.
단계(S14)에서, 매장 관리 서버(10)는 수신된 이벤트가 보안 필터링 조건을 만족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S15)에서, 매장 관리 서버(10)는 수신된 이벤트가 보안 필터링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보안 이벤트를 생성,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40)에 통보할 수 있다.
단계(S15)이후에 사용자가 보안 이벤트와 관련되는 비디오의 조회를 요청하면, 매장 관리 서버(10)는 상기 보안 이벤트에 해당하는 비디오 클립을 요청 및 수신하여 이동 단말기(4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상, POS 단말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중 매장의 보안과 관련되는 이벤트를 매장 관리 서버에 전송, 통보하는 일례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에서 예시되는 이벤트, 보안 이벤트, 보안 필터링 조건 등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매장의 보안 상태 관리 방법 등에 의하면, 사용자가 소유 매장들의 보안 상태를 이동 단말기를 통해 원격지에서 모니터링할 수 있고, 통보되는 보안 이벤트에 대한 보안 필터링 조건, 즉, 보안 수준을 직접 설정할 수 있으며, 녹화 비디오의 시청을 통해 보안 상태의 파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장의 보안 상태를 관리하는 매장 관리 서버, 보안 상태 관리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핵심적인 내용을 포함하는 시스템, 그 시스템을 포함한 프로그램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대해서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해석에 의해 정해진다. 전술한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이들 변형예들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2)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장의 보안 상태를 관리하는 매장 관리 서버에 있어서,
    포스 단말기로부터 영업과 관련된 이벤트와, 비디오 레코더로부터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며, 외부로부터 보안 필터링 조건을 수신하는 네트워크 모듈;
    상기 보안 필터링 조건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수신된 이벤트가 상기 보안 필터링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보안 이벤트를 생성, 외부로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보안 이벤트에 해당하는 비디오 클립을 변환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매장 관리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필터링 조건은 각 매장의 특성에 기초하여 설정된 보안 수준을 포함하는 매장 관리 서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매장의 특성은 각 매장의 영업 시간, 출근 직원 정보, 시간대별 평균 매출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매장 관리 서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필터링 조건은, 사용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장 각각에 대해 지정한 보안 작동 상태 또는 보장 해제 상태를 포함하는 매장 관리 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모듈은, 매장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와 연결된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로부터 센서 신호를 수신하는 매장 관리 서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비디오 조회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보안 이벤트에 해당하는 비디오 클립을 요청 및 수신하는 매장 관리 서버.
  7.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장의 보안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포스 단말기로부터 영업과 관련된 이벤트 또는 비디오 레코더로부터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외부로부터 보안 필터링 조건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보안 필터링 조건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이벤트가 상기 보안 필터링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보안 이벤트로 생성, 외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보안 이벤트에 해당하는 비디오 클립을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안 상태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필터링 조건은 각 매장의 특성에 기초하는 보안 수준을 포함하는 보안 상태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 매장의 특성은, 각 매장의 영업 시간, 출근 직원 정보, 시간대별 평균 매출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매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장 각각에 대응하여 보안 작동 상태 또는 보장 해제 상태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안 상태 관리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로부터 매장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보안 상태 관리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비디오 조회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보안 이벤트에 해당하는 비디오 클립을 요청 및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보안 상태 관리 방법.
KR1020100066775A 2010-07-12 2010-07-12 매장의 보안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및 매장 관리 서버 KR2012000618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775A KR20120006184A (ko) 2010-07-12 2010-07-12 매장의 보안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및 매장 관리 서버
PCT/KR2010/007933 WO2012008658A1 (ko) 2010-07-12 2010-11-11 매장의 보안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및 매장 관리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775A KR20120006184A (ko) 2010-07-12 2010-07-12 매장의 보안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및 매장 관리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184A true KR20120006184A (ko) 2012-01-18

Family

ID=45469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6775A KR20120006184A (ko) 2010-07-12 2010-07-12 매장의 보안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및 매장 관리 서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20006184A (ko)
WO (1) WO201200865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529A (ko) * 2017-12-01 2018-01-04 에스지생활안전 주식회사 매장 관리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7028A (ja) * 2002-01-24 2003-07-31 Tonfuu:Kk Pos端末装置の運用状況監視システム
KR100468590B1 (ko) * 2002-03-22 2005-01-31 (주)태성엠아이에스 Pos 데이터를 이용한 디지털영상감시 시스템 및 방법
JP2004171241A (ja) * 2002-11-20 2004-06-17 Casio Comput Co Ltd 不正監視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40046768A (ko) * 2002-11-28 2004-06-05 (주)태성엠아이에스 Dvr이 내장된 pos 시스템 및 그 데이터 처리방법
US20060001537A1 (en) * 2003-11-20 2006-01-05 Blake Wilbert L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access to security event information
KR20090051287A (ko) * 2007-11-19 2009-05-22 한국정보통신서비스 주식회사 가맹점 모니터링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529A (ko) * 2017-12-01 2018-01-04 에스지생활안전 주식회사 매장 관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08658A1 (ko) 201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02978A1 (en) Out-of-band monitoring and managing of self-service terminals
KR101868112B1 (ko) 매장 관리를 위한 포스 영상 검색 방법 및 시스템
JP6483754B2 (ja) 取引管理システム、取引管理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TWI416435B (zh) 多功能商用保全系統
JP694323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40046768A (ko) Dvr이 내장된 pos 시스템 및 그 데이터 처리방법
KR20120006184A (ko) 매장의 보안 상태를 관리하는 방법 및 매장 관리 서버
KR101850376B1 (ko) 결제 단말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09540A (ko) 영업의 손실을 관리하는 방법, 시스템, 그를 위한 매장 관리 서버 및 포스 단말기
US11928951B2 (en) Point-of-sale terminal with integrated emergency services request capability
JP2000151823A (ja) ビル遠隔管理装置
KR101281846B1 (ko) 스마트 프론트 시스템
KR20060047799A (ko) Cctv와 pos 통합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상처리방법
JP6853973B2 (ja) 電子決済端末を利用した監視システム
KR20210070745A (ko) 매장 포스 영상 검색 시스템
KR20200012474A (ko) 기록매체
KR102107533B1 (ko) Pos 단말과 카메라를 이용한 매장의 금전통 모니터링 시스템
US20130169810A1 (en) System and method of fraud detection
JP2009116812A (ja) 不正利用検出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20180109807A (ko) 포스(pos) 단말과 카메라를 이용한 매장의 거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20392A (ko) 횡령 사고 방지를 위해 pos 단말기의 조작을 감시하는 pos 보안시스템
JP2003346067A (ja) 電子決済方法、電子決済用サーバ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15097946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記憶媒体
JP2008129960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セキュリティ装置、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
KR20170096463A (ko) 포스(pos) 단말과 카메라를 이용한 매장의 거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