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0376B1 - 결제 단말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결제 단말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376B1
KR101850376B1 KR1020160003058A KR20160003058A KR101850376B1 KR 101850376 B1 KR101850376 B1 KR 101850376B1 KR 1020160003058 A KR1020160003058 A KR 1020160003058A KR 20160003058 A KR20160003058 A KR 20160003058A KR 101850376 B1 KR101850376 B1 KR 101850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image
guest
terminal
or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3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3772A (ko
Inventor
박일환
Original Assignee
박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일환 filed Critical 박일환
Priority to KR1020160003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376B1/ko
Publication of KR20170083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3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K9/0022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7Stream processing in response to a playback request from an end-user, e.g. for trick-play
    • H04N5/232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larm System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장의 결제용 단말기의 사용을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금 결제시 종업원이 매출을 누락시키고 횡령하는 등의 부정 행위를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감시 시스템은, 손님의 출입 여부를 감지하는 출입 감지 수단; 주문 및 결제 내역을 생성하는 결제용 단말기; 적어도 상기 결제용 단말기가 포함되는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기록 수단; 및 상기 출입 감지 수단으로부터 상기 손님의 입장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상기 손님의 퇴장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결제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손님에 대응되는 주문 및 결제 내역이 생성되지 않은 경우, 상기 손님이 머무른 시간 동안 상기 영상 기록 수단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이벤트 저장을 수행하는 제어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결제 단말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POS terminal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장의 결제용 단말기의 사용을 감시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금 결제시 종업원이 매출을 누락시키고 횡령하는 등의 부정 행위를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전에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장에서 고객으로부터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대가의 결제를 위해 현금 출납기와 카드 결제기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런데, 최근에는 주문 정보의 입력과 카드 결제, 전자식 현금 출납기 기능을 겸비한 결제용(POS: Point Of Sale) 단말기의 도입이 증가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결제용 단말기는 단순 결제 기능뿐만 아니라, 매출관리상의 데이터를 자동으로 즉시 수집, 기록한 후 각종 필요한 데이터를 분석 가공하여 매장운영에 직·간접적으로 반영하므로 효율적인 사업장 운영에 이바지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결제용 단말기가 도입되더라도 여전히 종업원의 부정 행위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거나 적발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이 현금으로 결제를 하는 경우 종업원이 결제용 단말기에 판매된 상품이나 결제 내역을 입력하지 않거나, 실제 판매된 상품 및 판매액과 다르게 결제 내역을 입력하면서 현금을 횡령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사업주는 결제용 단말기를 촬영할 수 있는 폐쇄회로 TV(CCTV) 등의 영상 기록 장치에 찍힌 영상과 결제용 단말기에 기록된 입출금 내역을 전부 조회해야만 한다. 따라서, 사업주는 횡령 적발을 위하여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하고, 지속적으로 일어난 횡령에 관해서는 증거자료를 수집하기까지 많은 어려움이 있는 현실이다.
본 발명은 보다 편리하게 결제용 단말기에 관련된 부정 행위를 확인할 수 있는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결제시 주문 및 결제 내역 입력과 관련된 의심 정황을 판단하고, 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감시 시스템은, 손님의 출입 여부를 감지하는 출입 감지 수단; 주문 및 결제 내역을 생성하는 결제용 단말기; 적어도 상기 결제용 단말기가 포함되는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기록 수단; 및 상기 출입 감지 수단으로부터 상기 손님의 입장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상기 손님의 퇴장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결제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손님에 대응되는 주문 및 결제 내역이 생성되지 않은 경우, 상기 손님이 머무른 시간 동안 상기 영상 기록 수단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이벤트 저장을 수행하는 제어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제 감시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제 1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제 1 영상을 이용하여 입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손님의 일행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제 2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제 2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손님 중 적어도 일부가 주문 및 결제 내역을 생성하는 결제용 단말기에 접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 결과 상기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결제용 단말기에 접근한 경우, 상기 접근한 동안 상기 결제용 단말기에서 생성된 주문 및 결제 내역을 상기 판단된 일행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손님이 머무르는 동안 촬영된 상기 제 1 영상, 상기 제 2 영상, 상기 생성된 주문 및 결제 내역을 이용하여 이벤트 저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편리하게 결제용 단말기에 관련된 부정 행위가 확인될 수 있다.
특히, 결제가 예상되거나 발생한 시점에 이상 정황이 판단되는 관련 정보가 영상 기록과 연관하여 저장되기 때문에 부정 행위 적발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서 얻은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a는 일반적인 매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이 매장에 배치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감지 수단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제어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제어 과정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단말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에서 수행될 수 있는 의심 정황 조치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장에서 발생되는 매출이라 함은, 손님이 들어와서 직원에게 대금을 지불하고 직원은 결제용 단말기에 그 내역을 입력한 뒤 영수증을 건네주면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행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매출이 발생되는 과정에서 횡령은 주로 현금 매출 손님의 구매 내역을 결제용 단말기에 입력을 하지 않고 직원이 숨김으로써 일어나는 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결제용 단말기(이하, 편의상 "POS 단말기" 또는 "포스 단말기"라 칭함)와 관련하여 발생될 수 있는 부정 행위를 감시하기 위하여, 고객의 출입, 결제 여부 및 결제 내역을 연동하여 의심 정황 여부가 판단되도록 할 것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 고객이 매장으로 입장한 후 떠날 때까지 결제용 단말기에 결제 내역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상품 구매가 현금으로 이루어졌으나 종업원이 이를 횡령한 것으로 의심될 수 있는 정황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둘 이상의 손님이 일행으로 입장했으나, 결제용 단말기에 입력된 상품이나 서비스의 수량이 손님의 수와 상이한(특히, 더 적은) 경우 역시 의심 정황으로 볼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을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감시 시스템은 손님(고객)의 출입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출입 감지수단(110), 매장 상황을 영상으로 기록하기 위한 영상 기록 수단(120), 주문 정보 및 결제 정보가 입력되는 결제용 단말기(130) 및 상술한 구성 요소들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의심 상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대응되는 조치를 취하는 제어 단말기(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는 및 명칭은 예시적인 것으로, 감시 시스템은 이보다 더 많거나 적은 구성 요소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자명하며,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포함되거나 그 기능의 일부를 대신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 각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출입 감지수단(110)은 손님의 출입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출입문 주변에 배치되거나, 출입문의 일부를 구성하거나 또는 출입문을 감시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출입 감지수단(110)은 단순히 출입문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고, 손님의 이동 방향(즉, 입장인지 퇴장인지 여부) 및 숫자까지 감지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으며 손님을 서로 구분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아울러, 출입 감지수단(110)은 영상 기록 수단(120)에 의해 그 기능이 대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출입 감지수단(110)의 구체적인 예는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영상 기록 수단(120)은 일반적인 폐쇄회로 TV(CCTV)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적어도 디지털화된 기록 수단(예를 들어, DVR: Digital Video Recorder)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영상의 탐색과 편집의 편의를 고려한 것이다. 또한, 영상 기록 수단(120)은 서로 다른 범위를 촬영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카메라를 구비하여 각각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카메라 별로 저장할 수도 있다.
결제용 단말기(130)는 일반적인 POS 단말기의 기본적인 구성에 주문 내역 및 결제 내역 정보를 제어 단말기(140)로 유/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일반적인 POS 단말기의 구성은 당업자에 자명한 바,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하여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 단말기(14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구성 요소들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의심 정황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대응되는 조치(이하, 편의상 "의심 정황 조치"라 칭함)를 취할 수 있다. 여기서 의심 정황 조치는 해당 정황이 발생한 상황에 앞서 설명한 구성 요소들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하나의 이벤트로 저장하도록 수행될 수도 있고, 저장 후 이에 관련된 정보를 기 설정된 연락처로 전송하도록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제어 단말기(140)는 일반적인 개인용 PC나 서버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에 따른 감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하드웨어를 구비한 단말기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각 구성요소는 서로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및 제어 신호를 교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 방식은 Wi-Fi (또는 Wi-Fi direct),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IrDA)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이 이용될 수도 있고, IP 기반의 유선 통신이 수행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은 어떠한 통신 방식에도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시스템 구성을 바탕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이 배치될 수 있는 매장 환경을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a는 일반적인 매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a를 참조하면, 결제용 단말기(130)는 일반적으로 출입문(210)이 보이는 위치의 카운터에 설치되어, 카운터에서 손님 출입 상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매장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은 도 2b와 같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이 매장에 배치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b를 참조하면, 매장 내부와 매장 외부는 출입문(210)을 경계로 구분되며, 매장 내부에 본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가 배치된다. 보다 상세히, 출입 감지수단은 문(210)을 포함하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11) 및 문(210) 주변에 배치되는 센서(112)일 수 있다.
결제용 단말기(130)는 문(210)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으나, 매장 구성에 따라 문(210)이 보이지 않는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영상 기록 수단(120)은 도 2a와 같이 카운터에서 출입문이 보이는 상황이라면 결제용 단말기(130)와 출입문(210)을 함께 촬영 가능한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영상 기록 수단(120)이 카메라(111)의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매장의 내부 배치 상태에 따라 반드시 하나의 영상 기록 수단(120)이 카운터와 출입문을 함께 촬영할 필요는 없으나, 적어도 카운터의 결제용 단말기(130)는 촬영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 단말기(140)는 그 기능의 특성상 위치의 제약을 거의 받지 않기 때문에 도 2b에서의 도시는 생략되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출입 감지 수단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감지 수단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출입 감지수단은 출입문(210) 주변에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먼저, 출입문(310) 측면에 적외선 센서(310)가 배치되어 손님의 출입이 감지될 수 있다. 이때, 적외선 센서(310)에 복수의 센서홀들(sensor holes: 311, 312, 313)이 일렬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센서홀의 감지 순서에 따라 손님이 입장하는지 또는 나가는지 여부가 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11에서 313 순서로 센서홀의 변화가 감지된 경우 나가는 손님으로 볼 수 있고, 그 반대 순서의 경우 입장하는 손님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일정 시간 내에 입장하는 손님이 복수회 감지되는 경우 후술할 일행의 숫자가 판단될 수도 있다.
또한, 출입문(210) 상단의 자동문 개방을 위한 적외선 센서(320)가 출입 감지 수단으로 이용될 수도 있고, 출입문 개폐 버튼(330)이 출입 감지 수단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만일 센서(320)나 버튼(330)이 문을 기준으로 매장 내부와 매장 외부 각각에 배치되는 경우 손님이 들어오는지 또는 나가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센서홀(341)이 출입문 앞 바닥에 2차원 어레이(array)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340) 한 번에 감지되는 센서홀을 인접한 정도에 따라 클러스터링하는 방법으로 손님의 출입 여부는 물론 일행의 숫자까지 감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구현에 따라, 이러한 적외선 센서 어레이는 바닥을 향하도록 천장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시스템 구조 및 배치 상태를 바탕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제어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출입 감지수단(110)은 손님의 입장이 감지되면, 이를 제어 단말기(140)에 알린다. 이때, 출입 감지수단(110)은 구성에 따라 한 번에 입장한 손님의 숫자도 함께 제어 단말기(140)에 알릴 수도 있다.
제어 단말기(140)는 손님의 입장 이후 기 설정된 시간(N 분)이 경과하거나(S420), 해당 시간이 경과하지 않더라도 해당 손님의 퇴장이 감지되는 경우(S430), 손님이 매장 내에 머무르는 동안 결제용 단말기(130)로부터 수신된 결제 내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40).
여기서 일정 시간은 매장의 특성(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손님이 입장해서 카운터로 와서 주문 및 결제를 수행하는 시간)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만일, 해당 시간 동안 결제 내역이 없는 경우, 제어 단말기(140)는 이를 의심 정황으로 판단하여 의심 정황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S450).
이때, 단순히 결제 내역이 없는 경우 외에, 결제용 단말기에 주문 내역이 입력된 후 적어도 일부가 주문 취소된 경우에도 제어 단말기(140)는 이를 의심 정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제어 과정은, 손님이 입장하면 대부분 단시간 내 주문을 하여 상품을 바로 제공받고 매장을 떠나는 형태의 매장에 특히 효과적이다.
한편, 손님 입장시 손님에 대하여 안면 인식이 수행된다면,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의심 정황이 판단될 수도 있다. 이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제어 과정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에서는 출입 감지수단에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가 포함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여기서 카메라는 영상 기록 수단(120)에 포함되는 카메라일 수도 있고, 그와 별도로 출입문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비된 카메라일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출입 감지수단을 통해 손님의 입장이 감지된다(S510). 손님의 입장이 감지되면, 손님 일행 수가 판단될 수 있다(S520).
이때, 카메라를 포함하는 출입 감지수단은 손님 입장시의 영상(동영상 또는 정지 영상)을 바로 제어 단말기(140)에 전송할 수도 있고, 안면 인식을 수행한 후 그 결과와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안면 인식을 통해 일정 시간 동안 일정 거리 이상을 인접하여 함께 이동하는 다수의 손님이 인식되는 경우, 이들은 하나의 일행으로 판단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출입 감지 수단은 일행에 포함되는 손님의 숫자 및 일행에 포함되는 각 손님의 안면 인식 정보(예를 들어, 안면인식을 위해 영상에서 추출된 특징점 정보 등)도 제어 단말기(140)에 전송할 수 있다.
영상만이 전달되는 경우 안면 인식 및 그를 통한 일행 수 판단은 제어 단말기(14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일행 수가 판단되면, 매장에 입장한 손님이 결제용 단말기(130)가 배치된 카운터에서 감지되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S530).
여기에는 영상 기록 장치(120)가 촬영한 영상이 이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제어 단말기(140)는 영상 기록장치(120)가 촬영한 카운터의 영상에서 안면 인식을 수행하여, 입장한 손님 중 적어도 일부가 카운터로 접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영상 기록장치(120)에서 안면 인식까지 수행되는 경우에는 감지된 손님의 안면 인식 정보가 영상과 함께 제어 단말기(140)로 전송될 수 있다.
만일 입장한 손님 중 어느 누구도 카운터에서 감지되지 않고 해당 일행이 모두 퇴장하는 것이 감지된 경우(S540), 부정 행위의 여지가 없기 때문에 해당 일행과 관련된 부정 행위의 감시가 종료될 수 있다.
반대로, 입장한 손님 중 적어도 일부가 카운터에서 감지된 후 결제용 단말기에 주문 및 결제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제어 단말기(140)는 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일행 전체가 결제한 수량이 일행 수와 같거나 많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S550), 판단 결과에 따라 의심 정황 조치가 수행될 수 있다(S560).
일례로, 4명의 일행이 결제한 상품이 2개인 경우(즉, 결제수량<일행 수), 의심 정황으로 판단될 수 있다.
한편, 이 과정에서 제어 단말기(140)는 결제한 상품 수량과 일행 수를 비교함에 있어 상품의 특성을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명의 일행이 2인용 세트 메뉴 2개를 결제한 경우 제어 단말기(140)는 결제수량과 일행 수의 대응관계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과정에서 결제용 단말기(130)와 연동된 현금 출납기의 서랍이 열렸는지 여부도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문된 상품이 모두 카드 결제 되었으나 현금 서랍이 열린 경우에도 의심 정황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현금 출납기에는 현금 서랍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센서의 센싱 결과는 결제용 단말기를 거쳐 제어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단말기의 구조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단말기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 단말기(140)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른 구성 요소와 유/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유선 통신부(141) 및 무선 통신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에 따라 어느 한 통신부를 통하여 나머지 모든 구성 요소와의 통신이 가능한 경우 해당 통신부만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 단말기(140)는 의심 정황에 관련된 정보, 설정 정보, 운영체제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143) 및 제어 단말기의 동작 상태나 의심 정황에 관련된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144)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 단말기(140)는 전술한 각 구성요소의 기능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감시 시스템의 제어 과정을 수행하는 제어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5)는 출입 감지 수단(11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손님의 출/입 여부, 그에 따른 포스기(130) 결제 여부, 출입 감지 수단이나 영상 기록 수단 등을 통해 촬영된 영상의 안면 인식, 의심 정황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의심 정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의심 정황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45)에는 수신된 영상에서 안면 인식을 수행하는 안면 인식부, 일행 전체의 결제 내역과 일행 수의 상관 관계를 판단하는 결제 판단부 및 의심 정황이 발생한 시점의 영상을 바로 확인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하는 영상 편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안면 인식부는 출입 감지 수단 및 영상 기록 장치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각각으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안면 인식을 수행하여 각 영상 내에서 인식된 안면들 간의 간격, 이동 방향 등을 검출하고, 이를 통해 일정 간격 이내의 안면들이 유사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해당 안면들이 일행이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영상 편집부의 가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영상별로 각 인물이 등장/퇴장한 시점이나 프레임 번호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하거나 영상 편집부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결제 판단부는 결제 내역과 일행 수의 상관 관계 판단을 위해 해당 매장에서 판매되는 상품이나 서비스의 목록과, 각 상품/서비스별 인원 매칭 관계를 미리 알고 있거나, 매칭 관계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143)에서 조회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영상 편집부는 의심 정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었을 때, 해당 정황이 발생한 기간(예를 들어, 손님이 카운터에서 감지되는 기간이나 손님이 입장한 후 나갈 때까지의 기간) 동안 영상 기록부 및/또는 출입 감지 수단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바로 확인 가능한 상태로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편집부는 해당 정황이 발생한 기간동안 촬영된 각 영상의 시각 시간 및 종료 시간, 시작프레임 및 종료 프레임 정보를 동영상 바로가기 형태로 저장해둘 수도 있고, 해당 기간동안 촬영된 각 영상을 별도의 파일로 편집하여 저장해둘 수도 있다.
물론, 이는 기능에 따른 구분으로 각 부는 실제로 각각이 하드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고,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연산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의심 정황 조치를 설명한다.
제어 단말기(140)에서 의심 정황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단말기는 해당 정황이 발생한 기간에 촬영된 영상을 확인 가능한 형태로 가공하고, 해당 정황과 관련된 주문/결제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하나의 이벤트로 연관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설정에 따라 제어 단말기는 해당 정황 발생시 그에 대한 정보를 가공하여 미리 설정된 기기로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아울러, 제어 단말기는 그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의심 정황에 관련된 정보를 이벤트 단위로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에서 수행될 수 있는 의심 정황 조치의 일례를 나타낸다.
제어 단말기(140)에서 이벤트 단위로 저장된 영상, 결제 정보 및 시간 정보는 도 7의 (a)와 같이 해당 단말기의 디스플레이(144) 상으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이벤트 리스트(710), 의심 정황 당시의 영상 재생기(720) 및 주문/결제 상세 정보(7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이벤트 리스트(710)에는 발생한 의심 정황 이벤트가 시간별 리스트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리스트에서 특정 이벤트가 선택되면 해당 이벤트에 대응되어 저장된 영상 및 결제 정보가 영상 재생기(720) 및 상세 정보(730) 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영상 재생기(720)에는 해당 기간 동안의 영상이 표시될 수 있으며, 재생 상태를 변경하기 위한 재생/일시 정지 버튼, 프로그레스 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세 정보(730)에는 출입 감지 수단을 통해 판단된 일행의 숫자, 주문 상품의 리스트, 결제 방식(현금/카드), 영수증 번호(및/또는 카드 승인 번호 등)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도 7의 (a)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메뉴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 제어 단말기(140)에 저장된 정보의 범위 내에서 이보다 적거나 이보다 많은 메뉴들이 제공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자명하다. 예를 들어, 일행으로 판단된 안면 인식된 손님의 얼굴이 별도의 영역에서 대조를 돕기 위해 표시될 수도 있다.
한편, 의심 정황 이벤트 발생시 도 7의 (b)와 같은 형태의 경고 메시지(740)가 기 설정된 기기(예를 들어, 업주의 스마트 폰)로 전송될 수도 있다. 경고 메시지는 이미지 파일 포맷으로 SMS/MMS/IMS의 첨부파일로 전달될 수도 있고, 스마트 기기에서 구동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표시될 수도 있다. 경고 메시지(740)에는 이벤트 발생 시각, 발생시 이미지나 동영상(720'), 주문/결제 내역(73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1)

  1. 결제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손님의 출입 여부를 감지하는 출입 감지 수단;
    주문 및 결제 내역을 생성하는 결제용 단말기;
    적어도 상기 결제용 단말기가 포함되는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기록 수단; 및
    상기 출입 감지 수단으로부터 상기 손님의 입장을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상기 손님의 퇴장을 지시하는 정보가 수신되고, 상기 결제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손님에 대응되는 주문 및 결제 내역이 생성되지 않은 경우, 상기 손님이 머무른 시간 동안 상기 영상 기록 수단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이벤트 저장을 수행하는 제어 단말기를 포함하는, 결제 감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말기는,
    상기 머무른 시간 동안 촬영된 영상의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 또는 시작 프레임 번호와 종료 프레임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결제 감시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말기는,
    상기 머무른 시간 동안 촬영된 영상을 별도의 영상 파일로 저장하는, 결제 감시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말기는,
    상기 머무른 시간 동안 상기 결제용 단말기에 주문 내역이 입력된 후 적어도 일부가 주문 취소된 경우, 상기 머무른 시간 동안 촬영된 영상을 상기 일부가 취소된 주문 내역을 함께 이벤트 저장하는, 결제 감시 시스템.
  5. 결제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손님의 출입 여부를 감지하는 출입 감지 수단, 주문/결제 내역을 생성하는 결제용 단말기 및 적어도 상기 결제용 단말기가 포함되는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기록 수단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통신부;
    메모리;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출입 감지 수단으로부터 상기 손님의 입장을 지시하는 정보가 수신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거나 상기 손님의 퇴장을 지시하는 정보가 수신되고, 상기 결제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손님에 대응되는 주문 및 결제 내역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손님이 머무른 시간 동안 상기 영상 기록 수단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에 이벤트 저장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결제 감시 시스템.
  6. 결제 감시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 1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제 1 영상을 이용하여 입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손님의 일행 정보를 판단하는 단계;
    제 2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제 2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손님 중 적어도 일부가 주문 및 결제 내역을 생성하는 결제용 단말기에 접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 결과 상기 적어도 일부가 상기 결제용 단말기에 접근한 경우, 상기 접근한 동안 상기 결제용 단말기에서 생성된 주문 및 결제 내역을 상기 판단된 일행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손님이 머무르는 동안 촬영된 상기 제 1 영상, 상기 제 2 영상, 상기 생성된 주문 및 결제 내역을 이용하여 이벤트 저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영상 및 상기 제 2 영상에 안면 인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일행 정보는,
    상기 제 1 영상에 대하여 수행된 안면 인식 결과 및 일행의 숫자를 포함하며,
    상기 비교하는 단계는,
    상기 일행의 숫자와 상기 생성된 주문 및 결제 내역의 수량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결제 감시 시스템의 제어 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일행의 숫자는,
    상기 제 1 영상에 대하여 수행된 안면 인식 결과 인식된 적어도 하나의 안면 간의 간격 및 이동 방향을 고려하여 산출되는, 결제 감시 시스템의 제어 방법.
  10. 삭제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저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수량을 비교한 경과, 상기 일행의 숫자보다 상기 수량이 더 적은 경우 수행되는, 결제 감시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160003058A 2016-01-11 2016-01-11 결제 단말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850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058A KR101850376B1 (ko) 2016-01-11 2016-01-11 결제 단말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058A KR101850376B1 (ko) 2016-01-11 2016-01-11 결제 단말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772A KR20170083772A (ko) 2017-07-19
KR101850376B1 true KR101850376B1 (ko) 2018-04-19

Family

ID=59427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058A KR101850376B1 (ko) 2016-01-11 2016-01-11 결제 단말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3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5326A (ko) 2020-10-26 2022-05-03 주식회사 이볼케이노 결제담당자 별 결제 매출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890B1 (ko) * 2017-12-06 2020-01-08 롯데정보통신 주식회사 안면 인식형 카페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620264B1 (ko) * 2021-08-09 2024-01-02 양주섭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된 무인 매장 고객 행동 분석 결과를 표현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06018A (ja) * 2012-03-28 2013-10-07 Oki Electric Ind Co Ltd 人数集計サーバ、通行人数集計装置、及び通行人数集計システム
KR101511496B1 (ko) * 2014-09-30 2015-04-13 주식회사 포인트시스템 Pos단말기에서의 부정행위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
JP2015090579A (ja) * 2013-11-06 2015-05-11 株式会社日立ソリューションズ 行動分析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06018A (ja) * 2012-03-28 2013-10-07 Oki Electric Ind Co Ltd 人数集計サーバ、通行人数集計装置、及び通行人数集計システム
JP2015090579A (ja) * 2013-11-06 2015-05-11 株式会社日立ソリューションズ 行動分析システム
KR101511496B1 (ko) * 2014-09-30 2015-04-13 주식회사 포인트시스템 Pos단말기에서의 부정행위 감시 시스템 및 감시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5326A (ko) 2020-10-26 2022-05-03 주식회사 이볼케이노 결제담당자 별 결제 매출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772A (ko) 2017-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7135B2 (en)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s for use in retail environments
US10846971B2 (en) Investigation generation in an observation and surveillance system
CN104660979B (zh) 用于基于云的事件分析和模式检测的动态关联视图的系统和方法
JP5086260B2 (ja) 対象追跡と警報
US74031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rveillance of suspects of automated banking machine fraud
EP258188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ed monitoring of remote sites
CN107992779A (zh) 一种顾客行为监督方法、系统及无人商店
US20200349820A1 (en) Theft monitoring and identification system for self-service point of sale
JP2016018361A (ja) 施設管理支援装置、施設管理支援システムおよび施設管理支援方法
JP2008257488A (ja) 顔認証応用インストアマーケティング分析システム
KR101850376B1 (ko) 결제 단말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19368A (ko) 매장 관리 및 출입 통제 시스템
JP2017040983A (ja) 警備システム、及び人物画像表示方法
KR101203705B1 (ko) 고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81846B1 (ko) 스마트 프론트 시스템
CA2520350C (en) System and method for surveillance of suspects of automated banking machine fraud
KR101958417B1 (ko) 횡령 사고 방지를 위해 pos 단말기의 조작을 감시하는 pos 보안시스템
JP2021009488A (ja) 盗難抑止装置
WO2022034881A1 (ja) 店舗システム、店舗管理装置、店舗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3013605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recording medium
KR20120009540A (ko) 영업의 손실을 관리하는 방법, 시스템, 그를 위한 매장 관리 서버 및 포스 단말기
KR101266942B1 (ko) 현금도난방지를 위한 매립금고형 영상보안관제 단말시스템
EP2085937A1 (en) Improved security system
TW201201149A (en) Access security system with video surveillance and method for the same
JP2017040982A (ja) 警備システム、及びレポート生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