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6463A - 포스(pos) 단말과 카메라를 이용한 매장의 거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포스(pos) 단말과 카메라를 이용한 매장의 거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6463A
KR20170096463A KR1020160017879A KR20160017879A KR20170096463A KR 20170096463 A KR20170096463 A KR 20170096463A KR 1020160017879 A KR1020160017879 A KR 1020160017879A KR 20160017879 A KR20160017879 A KR 20160017879A KR 20170096463 A KR20170096463 A KR 20170096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action
information
server
imag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7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송훈
김인호
한재웅
Original Assignee
제이씨스퀘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씨스퀘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씨스퀘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7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96463A/ko
Priority to PCT/KR2016/015528 priority patent/WO2017142191A1/ko
Publication of KR20170096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64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H04N5/225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매장에 설치된 포스(POS) 단말과 포스(POS) 단말의 주위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연동하여 POS 단말의 거래가 발생하면 거래내역정보와 해당 거래내역이 발생한 시점의 영상 정보를 캡쳐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POS 단말에서의 거래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고, 특히 계산대 직원의 실수나 부정행위를 원격에서 감시할 수 있는 POS 단말과 카메라를 이용한 매장의 거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포스(POS) 단말과 카메라를 이용한 매장의 거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ORNITORING TRANSACTIONS USING POS TERMINAL AND CAMERA IN STORE}
본 발명은 매장 내 포스(POS) 단말의 거래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 매장에 설치된 포스(POS) 단말과 카메라를 연동하여 매장 직원들의 실수나 부정행위를 원격에서 감시하고 예방할 수 있는, 포스(POS) 단말과 카메라를 이용한 매장의 거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쇼핑 센터나 대형 매장에서는 다음과 같은 원인에 의해 손실이 발생하는데, 구체적으로 상품이 너무 많이 보관되어 관리상의 어려움으로 발생하는 재고손실, 상품의 재고가 없어서 팔지 못하여 발생하는 기회손실, 고객의 부정이나 매장 직원의 부정에 의해 매장에서 생기는 상품분실손실, 계산대 직원의 계산 실수나 부정에 의해 발생하는 결제손실 등이 있다.
이중 재고손실이나 기회손실은 각 매장에 포스(POS) 단말을 이용하여 상품 관리 및 고객 관리를 전산화하는 시스템 도입으로 해소하였고, 상품분실손실은 매장 내 상품진열대 인근에 감시카메라를 설치함으로써 해소하고자 하고 있다.
그런데, 계산대 직원이 POS 단말에 고객이 구입한 상품코드(제조업체코드, 품목코드 등)을 입력하지 않고 대금을 가로채거나, 카드 결제를 취소하는 과정에서 해당 취소 금액의 현금을 계산대 직원이 인출하여 가로채거나, 또는 상품을 친한 고객에게 공짜로 주는 등 계산대에서 발생되는 결제손실에 대해서는 차단할 방법이 아직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15681호(발명의 명칭: POS 데이터를 이용한 디지털영상감시 시스템 및 방법, 공개일: 2003.09.26.)가 있다.
본 발명은 각 매장에 설치된 포스(POS) 단말과 포스(POS) 단말의 주위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연동하여 POS 단말의 거래가 발생하면 거래내역정보와 해당 거래내역이 발생한 시점의 영상 정보를 캡쳐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계산대 직원의 실수나 부정행위를 원격에서 감시하고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포스(POS) 단말과 카메라를 이용한 매장의 거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POS 단말과 카메라를 이용한 매장의 거래 모니터링 시스템은, 매장에 설치된 POS 단말의 주위를 촬영하는 카메라로부터 촬영 영상을 수집하고 상기 촬영 영상을 시간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영상 처리 서버; 상기 POS 단말에서 발생하는 상품 판매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는 POS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 판매에 수반되는 거래내역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거래내역정보를 상기 매장의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관리자 단말에 설치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거래내역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며 상기 거래내역정보에 포함된 거래발생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처리 서버 또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영상 정보를 요청하고 요청한 영상 정보를 전달받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POS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거래내역정보에 대하여 정상 거래인지 또는 비정상 거래인지 여부를 구분하고, 상기 비정상 거래의 거래내역정보에 대해서만 상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관리자 단말에 전송한다.
상기 영상 처리 서버는, 상기 영상 정보의 요청이 있으면, 저장된 촬영 영상에 대하여 상기 시간 정보를 근거로 상기 거래발생시간에 대응되는 영상 정보를 캡쳐한다.
이때, 상기 영상 처리 서버는, 상기 저장된 촬영 영상에 대하여 상기 거래발생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거래발생시간보다 일정시간 전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주기 동안의 영상 정보를 캡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영상 처리 서버에 상기 거래발생시간에 대응되는 영상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영상 처리 서버는 상기 캡쳐한 영상 정보를 상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관리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상기 거래발생시간에 대응되는 영상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영상 처리 서버로부터 상기 캡쳐한 영상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거나, 상기 영상 처리 서버가 상기 캡쳐한 영상 정보를 상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도록 상기 영상 처리 서버에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POS 단말과 카메라를 이용한 매장의 거래 모니터링 방법은, 영상 처리 서버가 매장에 설치된 POS 단말의 주위를 촬영하는 카메라로부터 촬영 영상을 수집하고 상기 촬영 영상을 시간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POS 단말에서 발생하는 상품 판매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는 POS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 판매에 수반되는 거래내역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거래내역정보를 상기 매장의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 단말에 설치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거래내역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거래내역정보에 포함된 거래발생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처리 서버 또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영상 정보를 요청하고 요청한 영상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거래내역정보를 상기 매장의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POS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거래내역정보에 대하여 정상 거래인지 또는 비정상 거래인지 여부를 구분하고, 상기 비정상 거래의 거래내역정보에 대해서만 상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관리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영상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영상 처리 서버에 상기 거래발생시간에 대응되는 영상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영상 처리 서버는 상기 영상 정보의 요청에 의해 저장된 촬영 영상에 대하여 상기 시간 정보를 근거로 상기 거래발생시간에 대응되는 영상 정보를 캡쳐하고 캡쳐한 영상 정보를 상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관리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매장의 계산대에서 POS 단말의 거래가 발생하면 그 거래내역정보와 함께 거래내역이 발생한 거래발생시간과 대응되는 영상 정보를 제공하므로 관리자가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특히, POS 단말에서 거래 취소나 주문 취소, 반품 등의 비정상적인 거래가 발생한 경우 비정상적인 거래 내역을 관리자에게 푸시하여 실시간 알림은 물론,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비정상 거래가 발생한 시점의 영상 정보를 캡쳐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계산대 직원의 실수나 부정행위를 원격에서 감시하고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장의 거래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단말에서 영상 정보를 요청하는 화면을 보여주는 예시화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장의 거래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매장의 거래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장의 거래 모니터링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매장의 거래 모니터링 시스템은 각 매장의 계산대에 구비되는 POS 단말(10)과 카메라(20), POS 서버(100), 영상 처리 서버(NVR 서버; 200), 서비스 제공 서버(300), 서비스 애플리케이션(400)을 포함한다.
POS 단말(10)은 상품 판매 시점에서 상품 정보나 고객 정보를 수집, 기억, 전송하는 장치로서, 최근 결제 수단과 결합하여 판매 시점의 상품명이나 가격 등의 거래내역정보를 POS 서버(100)로 전달하여 수집 및 기록한다.
POS 단말(10)은 각 매장에 설치되거나 휴대 가능한 소형 단말기 형태로 계산대에 마련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POS 단말(10)은 상품에 찍힌 바코드를 인식하는 리더기와, 바코드 또는 상품의 가격 등 필요한 숫자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키, 리더기와 입력키에서 입력받은 정보들을 직원이 확인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포스모니터, 영수증 등을 인쇄하는 프린트 등으로 구성된다.
카메라(20)는 POS 단말(10)과 POS 단말(10)을 조작하는 직원을 감시하기 위한 것으로, POS 단말(10)의 주위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이하 촬영 영상)을 영상 처리 서버(200)로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카메라(20)는 POS 단말(10)과 1:1 로 설치될 수 있으며, 촬영 영상을 영상 처리 서버(200)로 전달할 때 카메라(20)의 관리번호도 함께 전달할 수 있다. 카메라(20)의 관리번호는 IP(Internet Protocol) 주소가 될 수 있다.
POS 서버(100)는 각 매장의 POS 단말(10)에서 발생하는 상품 판매에 대한 결제를 처리한다.
특히, POS 서버(100)는 POS 결제정보 저장부(110)에서 POS 단말(10)로부터 상품 판매에 수반하는 거래내역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거래내역 전송부(120)에서 POS 결제정보 저장부(110)에 저장된 거래내역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한다. 거래내역 전송부(120)는 POS 단말(10)로부터 수신된 거래내역정보를 POS 단말(10)의 관리번호와 함께 전송한다.
영상 처리 서버(200)는 카메라(10)의 촬영 영상을 전달받아 녹화, 검색 및 재생을 지원해주는 장치이다.
일 예로, 영상 처리 서버(200)는 NVR(Network Video Recoder)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NVR 시스템은 IP 네트워크에서 직접 디지털 이미지 신호를 받아 처리하기 때문에 네트워크가 존재하는 곳이라면 어디든 설치가 가능하고 카메라 설치 장소에서 크게 벗어날 수 없는 DVR 시스템과는 큰 장점이 있다. 또한, NVR 시스템은 네트워크 대역폭 범주 내에 무한 개의 카메라 설치가 가능하고, 네트워크 연결만 되어 있으면 카메라의 정보 등록만으로 자동 연결이 가능하여 시스템의 설치 및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영상 처리 서버(200)는 영상 저장부(210)에서 카메라(20)로부터 촬영 영상을 수집하고 수집한 촬영 영상을 시간 정보와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DB; 230)에 저장한다. 시간 정보는 촬영 영상에 포함되어 있으며 추후 원하는 시점의 촬영 영상을 검색할 수 있도록 시간 정보를 추출하여 매칭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처리 서버(200)는 영상 캡쳐부(220)에 저장된 촬영 영상에 대하여 영상 정보의 요청이 수신되면 시간 정보를 근거로 원하는 시점의 영상 정보를 캡쳐한다. 이를 테면, 거래내역정보에 포함된 거래발생시간과 대응되는 영상 정보가 요청되면 요청된 거래발생시간이 포함되도록, 거래발생시간 보다 일정시간 전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주기 동안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여 캡쳐한다.
이때, 영상 처리 서버(200)는 영상 정보의 요청을 관리자 단말(410)의 서비스 애플리케이션(400) 또는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POS 서버(200)로부터 POS 단말(10)에서 발생된 거래내역정보를 전달받고 거래내역정보를 관리자 단말(410)에게 제공한다. 거래내역정보에는 상품명, 가격, 결제 금액, 결제 유형뿐만 아니라, 거래 종류(주문취소, 거래취소, 반품 등), 거래발생시간의 정보가 포함된다.
특히,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POS 서버(100)로부터 전달받은 거래내역정보에 대하여 정상 거래인지 또는 비정상 거래인지 여부를 구분하고, 관리자의 설정에 따라 비정상 거래의 거래내역정보에 대해서만 해당 관리자 단말(410)의 서비스 애플리케이션(4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정상 거래는 상품 판매 시점에서 정상적인 결제가 이루어진 거래를 말하며, 비정상 거래는 주문취소, 거래 취소(환불), 반품 등의 거래를 포함한다. 이러한 거래 종류는 거래내역정보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400)로부터 거래내역정보에 포함된 거래발생시간과 대응되는 영상 정보에 대하여 영상 재생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영상 처리 서버(200)로 거래내역정보에 포함된 거래발생시간을 전달하여 해당 영상 정보를 요청하고, 영상 처리 서버(200)로부터 요청한 거래발생시간에 대응되는 캡쳐 영상 정보를 전달받아 서비스 애플리케이션(400)을 통해 해당 관리자 단말(4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영상 처리 서버(200)가 거래발생시간에 대응되는 캡쳐 영상 정보를 서비스 애플리케이션(400)을 통해 해당 관리자 단말(410)에게 전송하도록 영상 처리 서버(200)에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처리 서버(200)에는 데이터베이스(230)에 관리자 단말에 대한 정보가 사전에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서비스 애플리케이션(400)은 관리자 단말(400)에 설치되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POS 단말(10)에 발생된 거래내역정보를 수신하여 관리자 단말(410)의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서, 관리자 단말(410)은 매장의 관리자가 소지한 단말로, 실시간 확인이 가능한 스마트 폰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서버간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고 영상 정보를 재생할 수 있는 단말이라면 그 종류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매장의 관리자는 매장의 사장, 점주 등이 될 수 있다.
서비스 애플리케이션(400)은 화면에 표시된 거래내역정보에 대하여 거래내역이 발생한 시점 즉, 거래발생시간에 기초하여 영상 처리 서버(200) 또는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영상 정보를 요청하고, 요청한 영상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400)은 매장에 설치된 POS 단말(10)에 대하여 모든 거래내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지만, 선택적으로 비정상 거래의 거래내역정보에 대해서만 수신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400)은 POS 단말(10) 별로 모든 거래내역 또는 비정상 거래내역을 선택하여 선별적으로 수신하도록 개별 설정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400)은 거래내역 수신 설정 화면을 제공하며, 거래내역 수신 설정 화면에서 POS 단말(10)별 개별 설정이 요청되면 POS 단말(10)의 등록을 위한 POS 단말 사전 등록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는 관리자 단말(410)에서 비정상 거래내역에 대한 영상 정보를 요청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관리자 단말(410)의 화면(411)에는 기본적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거래내역정보(411a)가 표시되고, 거래내역이 발생한 시점의 영상 정보를 요청하는 '영상요청' 버튼(411b), '확인' 버튼(411c)이 포함된다. 거래내역정보(411a)에는 상호명, 사업자 번호, 주소, 전화번호, 일시(거래발생시간), 거래 종류, POS 번호(POS 단말의 관리번호임) 등의 정보들이 포함되며, 화면(411)에서 '영상요청' 버튼(411b)이 선택되면 화면에 표시된 거래내역정보(411a)에 대한 영상 정보를 요청한다. 또, 화면(411)에서 '확인' 버튼(411c)이 선택되면 거래내역정보(411a)이 표시된 화면을 종료한다.
영상 정보의 요청 시, 관리자 단말(410)의 서비스 애플리케이션(400)은 거래내역정보(411a)에 포함된 거래발생시간을 비롯하여 영상 정보의 캡쳐에 필요한 정보들을 서비스 제공 서버(300) 또는 영상 처리 서버(410)로 전송하여 요청하고, 이후 요청한 서비스 제공 서버(300) 또는 영상 처리 서버(410)로부터 해당 영상 정보를 제공받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상품 판매 시점에 POS 단말(10)에서 발생한 거래내역정보를 서비스 애플리케이션(400)을 통해 관리자 단말(410)에게 실시간 제공하고, 관리자 단말(410)의 요청에 따라 거래내역이 발생한 거래발생시간과 대응되는 영상 정보를 캡쳐하여 제공함으로써 관리자가 용이하게 실시간 확인이 가능하다.
특히, POS 단말(10)에서 거래 취소나 주문 취소, 반품 등의 비정상적인 거래가 발생한 경우, 비정상적인 거래 내역을 서비스 애플리케이션(400)을 통해 관리자 단말(410)에게 푸시하여 실시간 알림은 물론, 관리자 단말(410)의 요청에 따라 비정상 거래가 발생한 시점의 영상 정보를 캡쳐하여 제공함으로써 계산대 직원의 실수나 부정행위를 원격에서 감시하고 사전에 예방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 기초하여 매장의 거래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장의 거래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참고로, 도 3은 관리자 단말(410)이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통해 영상 정보를 요청하고 제공받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S100 단계에서, POS 서버(100)는 각 매장의 POS 단말로부터 발생된 거래내역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S101 단계에서, 영상 처리 서버(200)는 POS 단말의 주위를 촬영하는 카메라로부터 촬영 영상을 수집하고 수집한 촬영 영상을 시간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함으로써 영상의 검색 및 재생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위 S100 단계 및 S101 단계는 시간의 흐름상 어느 것이 먼저 수행되고 연동되는 것이 아니라, 각 POS 단말 및 카메라에서 발생되는 여부에 따라 개별적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저장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다음 S102 단계에서, POS 서버(100)가 POS 단말로부터 발생된 거래내역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고, 이러한 과정에 의해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거래내역정보를 수신하고 기 저장되어 있는 관리자 정보에서 해당 매장의 관리자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다음 S103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POS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거래내역정보에 대하여 정상 거래인지 또는 비정상 거래인지 여부를 구분할 수 있다.
다음 S104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비정상 거래의 거래내역정보에 대해서만 해당 관리자 단말의 서비스 애플리케이션(400)으로 전송(push)한다. 또는, 비정상 거래와 관계없이 POS 단말로부터 발생된 모든 거래내역에 대하여 해당 관리자 단말의 서비스 애플리케이션(4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 S105 단계에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400)은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거래내역정보를 관리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고, 거래내역정보에 포함된 거래발생시간에 기초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영상 정보를 요청한다.
다음 S106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거래내역정보에 포함된 거래발생시간을 영상 처리 서버(200)에 전달하면서 해당 영상 정보를 요청한다.
다음 S107 단계에서, 영상 처리 서버(200)가 저장된 촬영 영상에서 시간 정보를 근거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전달받은 거래발생시간에 대응되는 영상 정보를 캡쳐한다. 캡쳐 시,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전달받은 거래발생시간이 포함되도록 상기 거래발생시간보다 일정시간 전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주기 동안의 영상 정보를 수집하여 캡쳐한다. 예컨대, 거래내역이 발생한 시간 30초 전 시점으로부터 50초 이상 촬영된 영상을 캡쳐할 수 있다.
다음 S108 및 S109 단계에서, 영상 처리 서버(200)가 거래발생시간과 대응되는 캡쳐 영상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달하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영상 처리 서버(200)로부터 전달받은 캡쳐 영상 정보를 해당 관리자 단말의 서비스 애플리케이션(400)으로 전송한다.
또는, S108 단계에서, 영상 처리 서버(200)가 거래발생시간과 대응되는 캡쳐 영상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거치지 않고 해당 관리자 단말의 서비스 애플리케이션(400)으로 직접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위 S106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영상 처리 서버(200)로 영상 정보를 요청할 때 영상 처리 서버(200)가 캡쳐 영상 정보를 서비스 애플리케이션(400)을 통해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도록 영상 처리 서버(200)에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관리자 단말은 거래내역이 발생한 거래발생시간과 대응되는 영상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300) 또는 영상 처리 서버(200)로부터 제공받고 재생하여 실시간 확인이 가능하다.
한편, 관리자 단말(410)이 직접 영상 처리 서버(300)를 통해 영상 정보를 요청하고 제공받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도시한 S200 단계 내지 S204 단계는 도 3의 S100 단계 내지 S104 단계와 동일하다.
즉, POS 서버(100)가 POS 단말에서 발생된 거래내역정보를 수집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제공하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거래내역정보를 해당 관리자 단말의 서비스 애플리케이션(400)으로 전송하며, 영상 처리 서버(200)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촬영 영상을 수집 및 저장한다.
이후 S205 단계에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400)이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거래내역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고, 거래내역정보에 포함된 거래발생시간의 영상 정보를 영상 처리 서버(200)로 직접 요청한다.
이러한 요청은 관리자 단말에서 요청 시 선택할 수 있는 사항이 아니며, 관리자 단말(410)의 화면에 표시된 '영상 요청' 버튼이 선택되어지면 서비스 정책 또는 기 설정된 설정 여부에 따라 서비스 애플리케이션(400)이 영상 처리 서버(200) 또는 앞서 도 3에 설명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되어 영상 정보의 요청이 이루어진다.
다음 S206 단계에서, 영상 처리 서버(200)가 저장된 촬영 영상에서 시간 정보를 근거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400)으로부터 전달받은 거래내역정보의 발생시간시간과 대응되는 영상 정보를 캡쳐한다.
다음 S207 단계에서, 영상 처리 서버(200)가 거래발생시간에 대응되는 캡쳐 영상 정보를 관리자 단말(410)에게 제공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 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 POS 단말 20: 카메라
100: POS 서버 110: POS 결제정보 저장부
120: 거래내역 전송부 200: 영상 처리 서버
210: 영상 저장부 220: 영상 캡쳐부
230: DB 300: 서비스 제공 서버
400: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410: 관리자 단말

Claims (9)

  1. 매장에 설치된 POS 단말의 주위를 촬영하는 카메라로부터 촬영 영상을 수집하고 상기 촬영 영상을 시간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영상 처리 서버;
    상기 POS 단말에서 발생하는 상품 판매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는 POS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 판매에 수반되는 거래내역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거래내역정보를 상기 매장의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관리자 단말에 설치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거래내역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며 상기 거래내역정보에 포함된 거래발생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처리 서버 또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영상 정보를 요청하고 요청한 영상 정보를 전달받는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을 포함하는 POS 단말과 카메라를 이용한 매장의 거래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POS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거래내역정보에 대하여 정상 거래인지 또는 비정상 거래인지 여부를 구분하고, 상기 비정상 거래의 거래내역정보에 대해서만 상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단말과 카메라를 이용한 매장의 거래 모니터링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 서버는,
    상기 영상 정보의 요청이 있으면, 저장된 촬영 영상에 대하여 상기 시간 정보를 근거로 상기 거래발생시간에 대응되는 영상 정보를 캡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단말과 카메라를 이용한 매장의 거래 모니터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 서버는,
    상기 저장된 촬영 영상에 대하여 상기 거래발생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거래발생시간보다 일정시간 전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주기 동안의 영상 정보를 캡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단말과 카메라를 이용한 매장의 거래 모니터링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영상 처리 서버에 상기 거래발생시간에 대응되는 영상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영상 처리 서버는 상기 캡쳐한 영상 정보를 상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단말과 카메라를 이용한 매장의 거래 모니터링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상기 거래발생시간에 대응되는 영상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영상 처리 서버로부터 상기 캡쳐한 영상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거나, 상기 영상 처리 서버가 상기 캡쳐한 영상 정보를 상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도록 상기 영상 처리 서버에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단말과 카메라를 이용한 매장의 거래 모니터링 시스템.
  7. 영상 처리 서버가 매장에 설치된 POS 단말의 주위를 촬영하는 카메라로부터 촬영 영상을 수집하고 상기 촬영 영상을 시간 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POS 단말에서 발생하는 상품 판매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는 POS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 판매에 수반되는 거래내역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거래내역정보를 상기 매장의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관리자 단말에 설치된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거래내역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거래내역정보에 포함된 거래발생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 처리 서버 또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에 영상 정보를 요청하고 요청한 영상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POS 단말과 카메라를 이용한 매장의 거래 모니터링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거래내역정보를 상기 매장의 관리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POS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거래내역정보에 대하여 정상 거래인지 또는 비정상 거래인지 여부를 구분하고, 상기 비정상 거래의 거래내역정보에 대해서만 상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단말과 카메라를 이용한 매장의 거래 모니터링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영상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영상 처리 서버에 상기 거래발생시간에 대응되는 영상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영상 처리 서버는,
    상기 영상 정보의 요청에 의해 저장된 촬영 영상에 대하여 상기 시간 정보를 근거로 상기 거래발생시간에 대응되는 영상 정보를 캡쳐하고 캡쳐한 영상 정보를 상기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OS 단말과 카메라를 이용한 매장의 거래 모니터링 방법.
KR1020160017879A 2016-02-16 2016-02-16 포스(pos) 단말과 카메라를 이용한 매장의 거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9646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879A KR20170096463A (ko) 2016-02-16 2016-02-16 포스(pos) 단말과 카메라를 이용한 매장의 거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CT/KR2016/015528 WO2017142191A1 (ko) 2016-02-16 2016-12-29 포스 단말과 카메라를 이용한 매장의 상품거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879A KR20170096463A (ko) 2016-02-16 2016-02-16 포스(pos) 단말과 카메라를 이용한 매장의 거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097A Division KR20180109807A (ko) 2018-09-28 2018-09-28 포스(pos) 단말과 카메라를 이용한 매장의 거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6463A true KR20170096463A (ko) 2017-08-24

Family

ID=59758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7879A KR20170096463A (ko) 2016-02-16 2016-02-16 포스(pos) 단말과 카메라를 이용한 매장의 거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964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112B1 (ko) * 2017-10-30 2018-06-15 주식회사 에이씨큐 매장 관리를 위한 포스 영상 검색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112B1 (ko) * 2017-10-30 2018-06-15 주식회사 에이씨큐 매장 관리를 위한 포스 영상 검색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4330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and characterizing data from multiple electronic systems
US9396622B2 (en) 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tagged item validation prior to deactivation
US20150208043A1 (en)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store aisle
US20100234986A1 (en) Method and systems for collecting inventory and marketing data, providing data and video services
US20100325020A1 (en) Systems and/or methods for globally tracking items and generating active notifications regarding the same
US20040111324A1 (en) Integrated point-of-sale and surveillance system
US20110231316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media containing a program for identifying whether a product is genuine
US202102012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petual inventory management
TW200817929A (en) Intelligent video verification of point of sale (POS) transactions
KR102244430B1 (ko) Pc방 무인 관제 시스템, 서버 및 방법
CN105654618A (zh) 自动售货机及自动售货系统
JP2006245686A (ja) 画像記録装置及び画像記録再生方法
US20190318334A1 (en) Cloud-based point-of-sale system
KR20180109807A (ko) 포스(pos) 단말과 카메라를 이용한 매장의 거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96463A (ko) 포스(pos) 단말과 카메라를 이용한 매장의 거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14127A (ko)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정비이력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JP2003217028A (ja) Pos端末装置の運用状況監視システム
JPWO2018198385A1 (ja) デジタルレジスタ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709761B (zh) 动产销售情况监管系统
KR102107533B1 (ko) Pos 단말과 카메라를 이용한 매장의 금전통 모니터링 시스템
EP4047538A1 (en) Self-checkout system and method
US20130024320A1 (en) System for managing interaction of customer with vendor
US20110166967A1 (en) Transaction monitor
JP7369369B2 (ja) 接客支援装置、接客支援システム及び接客支援方法
KR20120105885A (ko) 매장 감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