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4127A -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정비이력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정비이력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4127A
KR20160014127A KR1020140095501A KR20140095501A KR20160014127A KR 20160014127 A KR20160014127 A KR 20160014127A KR 1020140095501 A KR1020140095501 A KR 1020140095501A KR 20140095501 A KR20140095501 A KR 20140095501A KR 20160014127 A KR20160014127 A KR 20160014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tenance
vehicle
history
maintenance history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5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 훈 이
Original Assignee
문 훈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 훈 이 filed Critical 문 훈 이
Priority to KR1020140095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4127A/ko
Publication of KR20160014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41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정비이력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수리시 소유주가 직접 차량의 모든 정비과정을 확인하기 어렵고, 그에 따라 정비소 측에서 과도한 정비비용을 청구하거나 부품교체 내역을 허위로 기재하여 피해를 입는 경우가 발생하였던 종래의 차량정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량의 정비시 정비과정에서 발생하는 부품교체와 같은 정비이력을 기록하고 관리하며, 차량의 입고부터 정비 완료까지의 전체적인 정비 과정을 카메라로 녹화하여 차량의 소유주가 원격 위치에서도 부품교체 내역과 같은 정비이력 및 정비과정을 웹사이트나 사용자 단말 등을 통해 언제든지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정비이력 관리서비스 제공방법{Vehicle maintenance histo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ehicle maintenance history management service}
본 발명은 차량의 정비이력을 관리하기 위한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차량의 수리시 소유주가 직접 차량의 모든 정비과정을 확인하기 어렵고, 그에 따라 정비소 측에서 과도한 정비비용을 청구하거나 부품교체 내역을 허위로 기재하여 피해를 입는 경우가 발생하였던 종래의 차량정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량의 입고부터 정비 완료까지의 전체적인 정비 과정을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정비이력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차량정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량의 정비시 정비과정에서 발생하는 부품교체와 같은 정비이력을 기록하고 관리하며, 차량의 입고부터 정비 완료까지의 전체적인 정비 과정을 카메라로 녹화하여 차량의 소유주가 원격 위치에서도 부품교체 내역과 같은 정비이력 및 정비과정을 웹사이트나 사용자 단말 등을 통해 언제든지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정비이력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의 부품 교체나 수리 등의 정비를 위하여는, 차량의 소유주가 정비소로 차량을 이동하여 정비소측에 차량의 수리나 정비를 의뢰하고 의뢰를 받은 정비소측에서는 차량의 상태를 점검하여 부품교체나 수리 등의 정비를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여기서, 일반적인 운전자들의 경우 차량 정비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또한, 같은 부품이나 동일한 정비를 하더라도 정비소마다 그 가격과 공임이 각각 다르게 청구되므로, 일반적인 운전자들은 자신이 적절한 금액을 지불하고 정비를 받은 것인지 아닌지를 알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일부 비양심적인 정비소들이 부품 가격이나 공임을 적정 가격보다 높게 청구하거나, 심지어는 교체하지도 않은 부품을 교체하였다고 허위로 기재하여 과다청구를 하는 경우가 있어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는, 차량의 입고부터 출고까지의 전체적인 정비과정을 소비자가 투명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이 차량의 정비과정을 관리하기 위한 종래기술의 예로는, 예를 들면,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44928호에 제시된 바와 같은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 및 방법"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44928호의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 및 방법은, 차량의 진단업체와 정비업체를 분리하고 중계 서버를 통해 각 진단업체와 정비업체를 중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회원이 진단업체 및 정비업체를 각각 선택하여 회원 차량에 대한 정확한 진단 및 그에 적합한 정비를 개별적으로 서비스받을 수 있도록 하여 수리비 과다 청구를 방지하고 동일한 정비 내용에 대해 가장 저렴한 가격으로 정비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차량의 진단, 정비 중계 시스템 및 방법이 제시된 바 있다.
아울러, 차량의 정비과정을 관리하기 위한 종래기술의 다른 예로는, 예를 들면, 한국 공개특허공보 특2002-0065464호에 제시된 바와 같은 "네트웍 시스템을 이용한 공정관리 보고시스템 및 그 방법"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특2002-0065464호의 네트웍 시스템을 이용한 공정관리 보고시스템 및 그 방법은, 전송모듈에서 제공받은 정보를 가공하여 유/무선을 통해 고객 차량의 정비공정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작업공정에 대한 내용이 실시간으로 자동으로 입력, 저장, 관리되어 정비내역 및 재고파악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며, 작업공정, 공정에 따른 진척도, 가격에 대한 정보, 정비완료시점에 대한 내용이 고객에게 실시간으로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하여 제공되도록 구성되는 네트웍 시스템을 이용한 공정관리 보고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차량의 정비이력을 관리하기 위한 여러 가지 기술내용이 제시된 바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단순히 정비업체의 작업 내역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에 그치는 것으로, 즉, 차량 정비에 대한 전문 지식이 없는 사용자가 제시된 내역만 가지고 적절한 정비가 이루어진 것인지 아닌지를 파악하기 어렵고, 또한, 단순히 작업내역을 전달하는 것만으로는 여전히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정보에 허위나 과장된 부분이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없다는 점에서 그 한계가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는, 차량의 입고에서 출고까지의 전 과정에 걸쳐 사용자가 언제든지 실시간으로 정비과정 및 부품교체 내역을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새로운 구성의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아직까지 그러한 요구를 모두 만족시키는 장치나 방법은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44928호 (2013.05.03.)
2. 한국 공개특허공보 특2002-0065464호 (2002.08.13.)
3.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71321호 (2012.07.31.)
4.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9321호 (2009.09.2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수리시 차량의 소유주가 직접 차량의 모든 정비과정을 일일이 확인하기 어렵고, 또한, 그에 따라 정비소에서 제시하는 부품교체 및 정비 내역을 그대로 믿을 수밖에 없음으로 인해, 정비소 측에서 실제 비용에 비해 과도한 정비비용을 청구하거나 부품교체 내역을 허위로 기재하여 피해를 입는 경우가 발생하였던 종래의 차량정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량의 입고부터 정비 완료까지의 전체적인 정비 과정을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정비이력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차량정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량의 정비시 정비과정에서 발생하는 부품교체와 같은 정비이력을 기록하고 관리하며, 차량의 입고부터 정비 완료까지의 전체적인 정비 과정을 카메라로 녹화하여, 차량의 소유주가 원격 위치에서도 부품교체 및 정비 내역과 같은 정비이력 및 전체적인 정비과정을 웹사이트나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 등을 통해 언제든지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정비이력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수리시 소유주가 직접 차량의 모든 정비과정을 확인하기 어려움으로 인해 정비소 측에서 과도한 정비비용을 청구하거나 부품교체 내역을 허위로 기재하여 피해를 입는 경우가 발생하였던 종래의 차량정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량의 입고부터 정비 완료까지의 전체적인 정비 과정을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정비하고자 하는 차량이 거치되어 해당 차량의 정비가 행해지는 차량정비부; 상기 차량정비부를 통해 상기 차량의 정비시 사용되는 자재나 교체한 부품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정비정보 입력부; 상기 차량에 대한 정비의 시작부터 종료까지의 전체 과정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차량에 대한 정비의 시작시부터 종료시까지 상기 차량정비부와 상기 정비정보 입력부 전체를 촬영하는 영상기록부; 상기 정비정보 입력부와 상기 영상기록부 통하여 얻어진 정비이력 및 정비영상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정비이력 제공부; 및 상기 정비이력 제공부로부터 상기 정비이력 및 상기 정비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여, 상기 차량의 정비시에 사용된 물품에 대한 정보 및 정비 시작시부터 종료시까지의 전체적인 정비 작업을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언제든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정비 이력의 허위 기재나 조작 및 과다청구를 방지하고 성실한 정비가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차량정비부는, 정비소에서 차량 정비를 위해 사용되는 차량용 리프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비정보 입력부는, 바코드 리더기를 포함하는 정보인식수단을 상기 차량정비부의 일측 또는 외부 위치에 설치하여 구성되며, 차량 정비를 위해 부품을 교체하거나 자재를 사용하여야 할 때 해당 물품을 개봉하기 전에 상기 물품에 표시된 바코드를 인식시킨 후에 사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정비이력 제공부에서 정비시에 사용된 물품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고 기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정비정보 입력부는, RF 태그나 NFC 태그 리더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영상기록부는, 정비 시작부터 종료시까지 상기 차량정비부와 상기 정비정보 입력부를 통해 이루어지는 전체적인 정비 작업을 촬영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상기 정비영상은 상기 정비이력 제공부에 저장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가 언제든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정비이력 제공부는, 상기 차량정비부와 상기 정비정보 입력부를 통하여 취득된 정비이력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영상기록부를 통해 취득된 정비영상을 저장하여 두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정보서버에 로그인하여 자신의 차량에 대한 정비이력 요청을 보내면, 상기 차량정비부와 상기 정비정보 입력부를 통하여 취득된 상기 정비이력 및 상기 영상기록부를 통해 취득된 상기 정비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정보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정비이력 제공부로부터 상기 정비이력 및 상기 정비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개인용 컴퓨터나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정비이력 제공부로부터 상기 정비이력 및 상기 정비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전용의 개인용 단말장치, 또는, 태블릿 PC나 스마트폰 및 다른 단말장치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정비이력은, 정비의 시작부터 종료까지 수행된 정비 내역과 정비중 사용 및 교체된 물품이 있는 경우 해당 물품에 대한 제품명, 단가, 제조일, 사용 또는 교체시간을 포함하는 세부정보가 함께 순차적으로 리스트 되어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정비영상은, 정비중인 차량의 전후좌우의 영상이 각각 표시되고, 상기 정비영상을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에 기재된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량의 입고부터 정비 완료까지의 전체적인 정비 과정을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차량 정비이력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정비를 위한 차량이 입고되면 해당 차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의 정비이력 제공부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의 차량정비부를 통하여 상기 차량에 대한 정비가 행해지는 동안 상기 차량의 정비 시작시부터 종료시까지 상기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의 정비정보 입력부와 영상기록부를 통하여 정비이력 및 정비영상을 취득하여 상기 정비이력 제공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정비이력 제공부에 사용자로부터의 상기 정비이력 및 상기 정비영상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정비이력 제공부에서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정비이력 및 상기 정비영상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정비이력 및 상기 정비영상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상기 정비이력 및 상기 정비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차량의 정비시에 사용된 물품에 대한 정보 및 정비 시작시부터 종료시까지의 전체적인 정비 작업을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언제든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정비 이력의 허위 기재나 조작 및 과다청구를 방지하고 성실한 정비가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비이력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정비시 정비과정에서 발생하는 부품교체와 같은 정비이력을 기록하고 관리하며, 차량의 입고부터 정비 완료까지의 전체적인 정비 과정을 카메라로 녹화하여, 차량의 소유주가 원격 위치에서도 부품교체 및 정비 내역과 같은 정비이력 및 전체적인 정비과정을 웹사이트나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 등을 통해 언제든지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정비이력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의 입고부터 정비 완료까지의 전체적인 정비 과정을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정비이력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이 제공됨으로써, 차량 수리시 차량의 소유주가 직접 차량의 모든 정비과정을 일일이 확인하기 어렵고, 또한, 그에 따라 정비소에서 제시하는 부품교체 및 정비 내역을 그대로 믿을 수밖에 없음으로 인해, 정비소 측에서 실제 비용에 비해 과도한 정비비용을 청구하거나 부품교체 내역을 허위로 기재하여 피해를 입는 경우가 발생하였던 종래의 차량정비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정비이력 관리화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차량 정비이력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정비이력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이하에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의 내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에 유념해야 한다.
또한,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종래기술의 내용과 동일 또는 유사하거나 당업자의 수준에서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설명을 간략히 하기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념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차량 수리시 차량의 소유주가 직접 차량의 모든 정비과정을 일일이 확인하기 어렵고, 또한, 그에 따라 정비소에서 제시하는 부품교체 및 정비 내역을 그대로 믿을 수밖에 없음으로 인해, 정비소 측에서 실제 비용에 비해 과도한 정비비용을 청구하거나 부품교체 내역을 허위로 기재하여 피해를 입는 경우가 발생하였던 종래의 차량정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량의 입고부터 정비 완료까지의 전체적인 정비 과정을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정비이력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차량정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량의 정비시 정비과정에서 발생하는 부품교체와 같은 정비이력을 기록하고 관리하며, 차량의 입고부터 정비 완료까지의 전체적인 정비 과정을 카메라로 녹화하여, 차량의 소유주가 원격 위치에서도 부품교체 및 정비 내역과 같은 정비이력 및 전체적인 정비과정을 웹사이트나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 등을 통해 언제든지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정비이력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계속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10)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10)은, 크게 나누어, 정비하고자 하는 차량이 거치되어 해당 차량의 정비가 행해지는 차량용 리프트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정비부(11)와, 상기한 차량정비부(11)의 일측에 설치되어 정비시 사용 및 교체되는 자재나 부품을 확인하기 위해 정비시 사용되는 자재나 교체한 부품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는 정비정보 입력부(12)와, 정비의 시작부터 종료까지의 전체 과정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한 차량정비부(11)와 정비정보 입력부(12) 전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영상기록부(13)와, 상기한 정비정보 입력부(12)와 영상기록부(13) 통하여 얻어진 정비이력 및 정비영상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인터넷이나 이동통신망 등을 통하여 원격에 위치한 해당 차량의 정비 의뢰인이나 소유주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이하, 간단히 '사용자'라 함)에게 제공하기 위한 정보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정비이력 제공부(14) 및 상기한 정비이력 제공부(14)로부터 제공되는 정비이력 정보 및 정비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개인용 컴퓨터나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 등과 같은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사용자 단말(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차량정비부(11)는, 일반적인 정비소에서 차량 정비를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차량용 리프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정비정보 입력부(12)는, 예를 들면, 바코드 리더기 등과 같은 정보인식수단을 차량용 리프트의 일측 또는 그 밖의 적당한 위치에 설치하여, 차량 정비를 위해 부품을 교체하거나 기타 자재를 사용하여야 할 때 해당 물품을 개봉하기 전에 각 물품에 표시된 바코드를 인식시킨 후에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정비이력 제공부(14)에서 정비시에 사용된 물품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고 기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영상기록부(13)는, 정비 시작부터 종료시까지 상기한 차량정비부(11)와 정비정보 입력부(12)를 통해 이루어지는 전체적인 정비 작업을 촬영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촬영된 영상은 정비이력 제공부(14)에 저장되고 사용자 단말(15)을 통해 사용자가 언제든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정비소 측에서 정비 이력의 허위 기재나 조작 및 과다청구를 방지하고 성실한 정비가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정비이력 제공부(14)는, 상기한 차량정비부(11)와 정비정보 입력부(12)를 통하여 취득된 부품 교체 내역과 같은 정비이력에 대한 정보 및 영상기록부(13)를 통해 취득된 정비영상을 저장하여 두고, 사용자 단말(15)로부터의 요청이 있을 경우 해당 요청에 부합하는 정보를 사용자 단말(15)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10)에 의해 제공되는 정비이력 관리화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5)을 통해 정비이력 제공부(14)의 서버에 로그인하여 자신의 차량에 대한 정비이력 요청을 보내면, 정비이력 제공부(14)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차량정비부(11)와 정비정보 입력부(12)를 통하여 취득된 정비이력에 대한 정보와 영상기록부(13)를 통해 취득된 정비영상을 사용자 단말(15)로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15)의 화면에 표시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한 정비이력 제공부(14) 및 사용자 단말(15)은, 예를 들면, 한 화면에 정비이력만을 표시하거나 영상만을 표시하는 것과 같이, 표시되는 정보의 종류를 선택 및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또한, 영상을 확대하거나, 특정 부품을 선택하면 해당 부품에 대한 세부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정비이력은, 예를 들면, 정비의 시작부터 이루어진 정비 내역과 이때 사용 및 교체된 물품이 있는 경우는 해당 물품의 제품명, 단가, 제조일, 사용(교체)시간 등이 시간순으로 리스트되어 표시되고, 상기한 정비영상은, 정비중인 차량의 전후좌우의 영상을 각각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정비이력 제공부(14)의 서버에 접속하여 자신의 차량에 대한 작업진행 상황을 정비영상을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항상 성실한 정비서비스를 기대할 수 있고, 또한, 정비이력 정보를 확인하여 이상이 있거나 의심되는 부분이 발견되면 즉시 문의나 확인요청을 할 수 있으므로 정비이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정비정보 입력부(12)가 바코드 리더기인 경우를 예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즉, 본 발명은, 상기한 바코드 리더기 이외에, 예를 들면, RF 태그나 NFC 태그 리더기 등과 같이, 해당 물품에 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것이면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 있는 것임에 유념해야 한다.
아울러,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사용자 단말(15)이 사용자의 개인용 컴퓨터나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인 경우를 예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즉, 본 발명은, 상기한 컴퓨터나 스마트폰 이외에, 예를 들면, 정비이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용의 개인용 단말장치를 통해 제공되거나, 또는, 태블릿 PC나 스마트폰 및 그 밖의 다른 단말장치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임에 유념해야 한다.
계속해서,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차량 정비이력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을 이용한 차량 정비이력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은, 크게 나누어, 정비를 위한 차량이 입고되면 해당 차량에 대한 정보를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의 정비이력 제공부에 등록하는 단계(S31)와,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의 차량정비부를 통하여 상기 차량에 대한 정비가 행해지는 동안 정비 시작시부터 종료시까지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의 정비정보 입력부와 영상기록부를 통하여 정비이력 및 정비영상을 취득하여 정비이력 제공부에 저장하는 단계(S32)와, 정비이력 제공부에 사용자로부터의 정비이력 및 정비영상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정비이력 제공부에서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정비이력 및 정비영상을 전송하는 단계(S33)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정비이력 및 정비영상이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정비이력 및 정비영상을 표시하는 단계(S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정비이력 및 정비영상이 취득되는 구체적인 내용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아울러, 정비이력 및 정비영상을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 또한 도 2를 참조하여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정비이력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정비이력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을 구현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정비시 정비과정에서 발생하는 부품교체와 같은 정비이력을 기록하고 관리하며, 차량의 입고부터 정비 완료까지의 전체적인 정비 과정을 카메라로 녹화하여, 차량의 소유주가 원격 위치에서도 부품교체 및 정비 내역과 같은 정비이력 및 전체적인 정비과정을 웹사이트나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 등을 통해 언제든지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의 입고부터 정비 완료까지의 전체적인 정비 과정을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정비이력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이 제공됨으로써, 차량 수리시 차량의 소유주가 직접 차량의 모든 정비과정을 일일이 확인하기 어렵고, 또한, 그에 따라 정비소에서 제시하는 부품교체 및 정비 내역을 그대로 믿을 수밖에 없음으로 인해 정비소 측에서 실제 비용에 비해 과도한 정비비용을 청구하거나 부품교체 내역을 허위로 기재하여 피해를 입는 경우가 발생하였던 종래의 차량정비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정비이력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의 상세한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설계상의 필요 및 기타 다양한 요인에 따라 여러 가지 수정, 변경, 결합 및 대체 등이 가능한 것임은 당연한 일이라 하겠다.
10.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 11. 차량정비부
12. 정비정보 입력부 13. 영상기록부
14. 정비이력 제공부 15. 사용자 단말

Claims (11)

  1. 차량의 수리시 소유주가 직접 차량의 모든 정비과정을 확인하기 어려움으로 인해 정비소 측에서 과도한 정비비용을 청구하거나 부품교체 내역을 허위로 기재하여 피해를 입는 경우가 발생하였던 종래의 차량정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량의 입고부터 정비 완료까지의 전체적인 정비 과정을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정비하고자 하는 차량이 거치되어 해당 차량의 정비가 행해지는 차량정비부;
    상기 차량정비부를 통해 상기 차량의 정비시 사용되는 자재나 교체한 부품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정비정보 입력부;
    상기 차량에 대한 정비의 시작부터 종료까지의 전체 과정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차량에 대한 정비의 시작시부터 종료시까지 상기 차량정비부와 상기 정비정보 입력부 전체를 촬영하는 영상기록부;
    상기 정비정보 입력부와 상기 영상기록부 통하여 얻어진 정비이력 및 정비영상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정비이력 제공부; 및
    상기 정비이력 제공부로부터 상기 정비이력 및 상기 정비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여,
    상기 차량의 정비시에 사용된 물품에 대한 정보 및 정비 시작시부터 종료시까지의 전체적인 정비 작업을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언제든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정비 이력의 허위 기재나 조작 및 과다청구를 방지하고 성실한 정비가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정비부는,
    정비소에서 차량 정비를 위해 사용되는 차량용 리프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비정보 입력부는,
    바코드 리더기를 포함하는 정보인식수단을 상기 차량정비부의 일측 또는 외부 위치에 설치하여 구성되며,
    차량 정비를 위해 부품을 교체하거나 자재를 사용하여야 할 때 해당 물품을 개봉하기 전에 상기 물품에 표시된 바코드를 인식시킨 후에 사용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정비이력 제공부에서 정비시에 사용된 물품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고 기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비정보 입력부는,
    RF 태그나 NFC 태그 리더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기록부는,
    정비 시작부터 종료시까지 상기 차량정비부와 상기 정비정보 입력부를 통해 이루어지는 전체적인 정비 작업을 촬영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카메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상기 정비영상은 상기 정비이력 제공부에 저장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가 언제든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비이력 제공부는,
    상기 차량정비부와 상기 정비정보 입력부를 통하여 취득된 정비이력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영상기록부를 통해 취득된 정비영상을 저장하여 두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정보서버에 로그인하여 자신의 차량에 대한 정비이력 요청을 보내면, 상기 차량정비부와 상기 정비정보 입력부를 통하여 취득된 상기 정비이력 및 상기 영상기록부를 통해 취득된 상기 정비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표시하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정보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정비이력 제공부로부터 상기 정비이력 및 상기 정비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개인용 컴퓨터나 태블릿 PC 또는 스마트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정비이력 제공부로부터 상기 정비이력 및 상기 정비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전용의 개인용 단말장치, 또는, 태블릿 PC나 스마트폰 및 다른 단말장치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비이력은,
    정비의 시작부터 종료까지 수행된 정비 내역과 정비중 사용 및 교체된 물품이 있는 경우 해당 물품에 대한 제품명, 단가, 제조일, 사용 또는 교체시간을 포함하는 세부정보가 함께 순차적으로 리스트 되어 표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비영상은,
    정비중인 차량의 전후좌우의 영상이 각각 표시되고,
    상기 정비영상을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
  11. 청구항 1항 내지 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량의 입고부터 정비 완료까지의 전체적인 정비 과정을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차량 정비이력 관리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정비를 위한 차량이 입고되면 해당 차량에 대한 정보를 상기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의 정비이력 제공부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의 차량정비부를 통하여 상기 차량에 대한 정비가 행해지는 동안 상기 차량의 정비 시작시부터 종료시까지 상기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의 정비정보 입력부와 영상기록부를 통하여 정비이력 및 정비영상을 취득하여 상기 정비이력 제공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정비이력 제공부에 사용자로부터의 상기 정비이력 및 상기 정비영상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정비이력 제공부에서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정비이력 및 상기 정비영상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정비이력 및 상기 정비영상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상기 정비이력 및 상기 정비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차량의 정비시에 사용된 물품에 대한 정보 및 정비 시작시부터 종료시까지의 전체적인 정비 작업을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언제든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정비 이력의 허위 기재나 조작 및 과다청구를 방지하고 성실한 정비가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정비이력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KR1020140095501A 2014-07-28 2014-07-28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정비이력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KR201600141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501A KR20160014127A (ko) 2014-07-28 2014-07-28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정비이력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501A KR20160014127A (ko) 2014-07-28 2014-07-28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정비이력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127A true KR20160014127A (ko) 2016-02-11

Family

ID=55351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5501A KR20160014127A (ko) 2014-07-28 2014-07-28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정비이력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1412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3242A (ko) * 2017-12-18 2019-06-26 김영대 동영상 기반의 설비운영 및 오버홀에 대한 통합 관리 방법
KR102086688B1 (ko) 2018-12-06 2020-04-20 윤여표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 정보 활용 시스템
KR102086684B1 (ko) 2018-12-06 2020-04-24 윤여표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
KR20200069128A (ko) 2018-12-06 2020-06-16 윤여표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3242A (ko) * 2017-12-18 2019-06-26 김영대 동영상 기반의 설비운영 및 오버홀에 대한 통합 관리 방법
KR102086688B1 (ko) 2018-12-06 2020-04-20 윤여표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 정보 활용 시스템
KR102086684B1 (ko) 2018-12-06 2020-04-24 윤여표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
KR20200069128A (ko) 2018-12-06 2020-06-16 윤여표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66559B2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店内通路を管理する方法
US9723251B2 (en) Technique for image acquisition and management
JP5958723B2 (ja) 待ち行列管理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50206200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laiming residual value of personal electronic devices
US20150142256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service at service centers
US110317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connected and secure mobile device charging stations
JP2018525762A (ja) 規制商品の遠隔販売のための自動販売機及び方法
CN108898200B (zh) 智能拆单系统、生产进度管理系统及其实现方法、操作方法
CN105678524A (zh) 一种4s店综合服务管理方法及装置
JP2020181605A (ja) 顧客とセルフサービスシステムとのインタラクション方法
US20180144301A1 (en) Systems and methods to process product return requests
US20140032422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service at service centers
KR102274107B1 (ko) 무인 키오스크 플랫폼과 이를 이용한 드라이브 스루 주문 방법
US20200140256A1 (en) Pump monitoring system
US20180144295A1 (en) Loss prevention tracking system and methods
KR20160014127A (ko)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정비이력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US11062332B2 (en) Display monitoring system
US2020024267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data related to vehicle(s)
JP6241666B2 (ja) 利用者管理装置、利用者管理システムおよび利用者管理方法
JP2017027374A (ja) 車両情報取得システム
KR101788812B1 (ko) 공유경제를 이용한 큐레이팅 타이어 교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170193522A1 (en)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dynamic customer/provider data pairing
KR20160100189A (ko) 투명성이 확보된 차량 정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479327B1 (ko)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이브리드 앱을 이용한 제품 및 고객 관리시스템
US20090192646A1 (en) Combined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