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6688B1 -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 정보 활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 정보 활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6688B1
KR102086688B1 KR1020180156314A KR20180156314A KR102086688B1 KR 102086688 B1 KR102086688 B1 KR 102086688B1 KR 1020180156314 A KR1020180156314 A KR 1020180156314A KR 20180156314 A KR20180156314 A KR 20180156314A KR 102086688 B1 KR102086688 B1 KR 102086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ehicle
blockchain
block
s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여표
Original Assignee
윤여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여표 filed Critical 윤여표
Priority to KR1020180156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688B1/ko
Priority to PCT/KR2019/016919 priority patent/WO202011689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2Applying verification of the receiv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74Peer-to-peer [P2P] networks for supporting data block transmission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통해 생성 및 전달되는 정보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함과 아울러 이를 다른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정보 활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 정보 활용 시스템{Vehicle information using system using block chain}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 정보 활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록체인을 통해 생성 및 전달되는 정보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함과 아울러 이를 다른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정보 활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는 일반인이 사용하기에는 편리한 것이나, 제조기술이 복잡하여 전문가가 아니면 만드는 것이 어려운 것은 물론이고 고장이나 사고가 났을 때 수리하는 것도 전문가가 아니면 거의 할 수 없다. 자동차를 생산하는 과정에는 최상의 검사시스템과 엔지니어링 능력이 있는 관리자가 검사시스템의 운영을 모니터할 수 있기 때문에 문제가 있는 제품이 출하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자동차가 사용자에게 인도되어 운행하고 있는 도중에는 사용자 스스로 차량의 상태에 대해서 확인하고 문제가 발생한 때에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 자동차의 운행 중 발생하는 고장이나 사고에 의해 차량을 수리할 필요가 있을 때 일반 운전자는 차량의 수리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없는데, 이는 주변에 수많은 차량 정비소가 있고 차량 정비소에는 차량 수리 전문가가 있으며, 이들에게 의뢰를 하기만 하면 수리가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자동차의 소유 형태는 다양한데, 일반 가정집에서의 승용, 승객 운송 및 물건 운송을 목적으로 하는 소유형태로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개인이 소유하고 본인과 가족의 이동수단으로 사용하는 자동차는, 운송수단으로 사용하는 자동차에 비해 운행거리 및 운행시간이 짧은 것이 일반적인고, 주행하는 길도 비포장 도로보다는 포장된 도로일 경우가 더 많을 것이다. 포장도로에서 운행하는 것에 비해 비포장도로를 운행하는 것이 차량의 수명을 단축하는 요인 중 하나가 된다는 것은 쉽게 예상할 수 있다.
자동차에 대해 전문지식이 없는 보통사람은 차량의 수명을 주행거리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차량의 주행거리로 차량의 수명을 판단하는 것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동일 종류의 차량이라도, 차량의 운행시간, 운행조건 및 운전자의 성향에 따라 차량의 수명이 서로 다르게 될 것이고, 차량의 고장이나 사고에 의한 수리 후 차량의 수명은 고장이나 사고가 나지 않은 차량에 비해 줄어들게 될 것은 쉽게 예상할 수 있다.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택시 운전자의 노령화는 법으로 조정할 수 있지만, 차량의 노후 및 차량의 기능 저하에 따른 사고의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현재 도로를 주행 중인 차량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차량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표준화되고, 이를 활용이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의 모색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14127호(2016년02월11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39271호(2016년07월07일)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조 당시의 차량 제조정보, 운행 차량의 변동정보 및 차량의 운행정보 등을 수집 및 처리하여 사용중인 차량의 종합적인 상태를 판단하고 이를 제3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정보 활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종합적인 상태를 판단하는 정보를 블록체인의 블록으로 생성함으로써 타인과 공유할 수 있게 하고, 차량에 발생된 이슈들을 블록을 통해 누적하여 관리함으로써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차량의 정보 관리가 가능한 블록 체인을 이용한 차량정보 활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태 판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공급처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블록체인을 통해 생성 및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상태 판단을 위한 정보가 악의적으로 조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블록 체인을 이용한 차량정보 활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록체인을 통해 생성 및 전달되는 정보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함과 아울러 이를 다른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정보 활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정보 활용 시스템은 차량, 차량 소유자, 차량 운행자와 관련되어 발생한 이벤트에 대한 정보인 차량관련정보를 수집하는 업체서버; 상기 차량관련정보 중 상기 업체서버에서 생성되는 정보와 다른 차량관련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단말; 및 상기 사용자단말 또는 상기 업체서버로부터 상기 차량관련정보를 전달받아 기준값과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차량정보별 지수를 생성하며, 상기 지수를 이용하여 차량의 상태를 수치로 나타내는 점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지수 또는 점수를 베이스 블록체인의 블록에 기재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업체서버, 상기 사용자단말 및 상기 관리서버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베이스 블록체인의 블록을 생성하며, 상기 업체서버, 상기 사용자단말 및 상기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회원노드들 중 자신 외의 다른 상기 회원노드에서 전달된 상기 블록의 검증을 수행하되, 상기 블록에 포함된 트랜잭션 중 상기 지수 또는 점수를 추출하여 출력하거나 외부에 전달하는 블록체인 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정보 활용 시스템은 제조 당시의 차량 제조정보, 운행 차량의 변동정보 및 차량의 운행정보 등을 수집 및 처리하여 사용중인 차량의 종합적인 상태를 판단하고 이를 제3자가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정보 활용 시스템은 차량의 종합적인 상태를 판단하는 정보를 블록체인의 블록으로 생성함으로써 타인과 공유할 수 있게 하고, 차량에 발생된 이슈들을 블록을 통해 누적하여 관리함으로써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차량의 정보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정보 활용 시스템은 상태 판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공급처에서 전달되는 정보를 블록체인을 통해 생성 및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상태 판단을 위한 정보가 악의적으로 조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정보 활용 시스템은 블록체인을 통해 생성 및 전달되는 정보를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함과 아울러 이를 다른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 정보 활용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블록 체인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의 업체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블록체인 앱의 구성과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정보 활용 시스템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 정보 활용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 정보 활용 시스템은 관리서버(110), 업체서버(111) 및 사용자 단말(16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인터페이스 앱(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하 "앱"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9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관리서버(110)는 업체서버(111)로부터 차량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정보를 지수화 및 점수화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관리서버(110)는 이러한 점수, 지수, 수집된 정보 일부(또는 전부) 및 점수/지수 산출에 사용된 규정과 같은 정보를 블록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블록을 노드들에 전파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블록체인의 노드들은 관리서버(110), 사용자단말(160) 및 업체서버(111)가 기본으로 참여하고, 이와 별도로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임의의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관리서버(110)는 업체서버(111)와 사용자단말(160)만을 포함하여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관리서버(110)가 프라이빗 블록체인에 참여하는 장치 또는 서버의 인가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관리서버(110)는 회원들만을 참여시킨 프라이빗 블록체인 외에, 임의 검증용 노드의 가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좀 더 추가적으로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관리서버(110)는 업체서버(111) 또는 사용자단말(160)로부터 차량에 관련된 정보를 전달받아 수집하고, 수집된 차량관련 정보를 지수화하며, 지수화한 정보를 종합하여 점수화한다. 이를 위해, 관리서버(110)에는 수집된 차량관련정보의 지수산출 및 점수 산출을 위한 알고리즘, 기준값, 감가와 같은 정보가 저장된다.
일례로 부품이 차량의 출고 초기에는 지수가 100점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부품이 차량의 점수에 반영되는 비율이 10%로 책정될 수 있다. 그리고, 노후화에 의한 감가가 주행거리별로 0.01%/1000km와 같이 선정되어 지수와 점수 산출에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예를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된 것으로 이를 통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산출된 지수, 점수 정보와 지수 및 점수 산출에 사용된 알고리즘 또는 판단기준, 지수 또는 점수 산출을 위해 사용된 수집 정보를 관리서버(110)가 블록으로 생성하여 노드에 전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지수 및 점수와 관련된 전달은 두 가지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우선, 지수 및 점수, 지수 산출에 사용된 차량관련정보인 점수화 정보와, 점수화 정보를 산출하기 위한 알고리즘과 기준값을 산출정보라 할 때, 점수화 정보와 산출정보를 하나의 블록체인에 의해 구성하는 방법과 점수화 정보와 산출정보를 각각 다른 블록체인에 의해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점수화 정보와 산출정보를 하나의 블록체인에 의해 구성하는 경우 점수화 정보와 산출정보를 서로 다른 블록에 기재하여 블록당 데이터 저장 한계를 극복할 수 있으며, 차량관련정보 또는 산출정보의 용량이 큰 경우 복수의 블록에 순차적으로 기재하여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방법을 통합한 과정을 위주로 설명을 진행하고, 구분이 필요한 경우에만 블록체인을 구분하여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그리고, 정보의 갱신이 필요한 시점마다 블록에 수집된 정보 또는 산출된 정보를 추가하여 블록체인을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검증은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공개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관리서버(110)는 블록체인의 노드 중 회원 노드들에게 블록의 전파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각 노드에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업체서버(111) 또는 사용자단말(160)로부터 전달받기 위해 관리서버(110)는 블록체인의 블록으로 생성된 정보를 업체서버(111) 또는 사용자단말(160)로부터 제공받는다.
좀 더 구체적으로 업체서버(111)가 특정 차량의 정비를 수행하는 정비업체의 서버이고, 정비 수행이력을 전달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를 전달하기 위해 정비업체의 서버는 정비 수행이력, 정비에 소요된 비용, 정비일자와 같은 항목 즉, 차량관련 정보를 업체서버(111) 또는 사용자 단말(160a)로부터 전달받게 된다. 그리고, 관리서버(110)는 전달된 차량관련정보를 통해 지수와 점수를 산출하고 지수와 점수가 기록된 새로운 블록을 생성함으로써, 정비이력에 의해 변경된 지수와 점수가 반영된 블록을 블록체인에 포함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관리서버(110)와 업체서버(111), 관리서버(110)와 사용자 단말(160a) 간에 이루어지는 차량관련정보의 전달도 블록체인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점수화 정보 및 산출정보의 전달과 이용에 관한 것으로 업체서버(111), 차량단말(160a)과 관리서버(110) 간의 정보전달 수단에 대한 구체적인 한정은 하지않고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이러한 관리서버(110)는 차량의 상태를 지수 및 점수로 나타내고, 이러한 지수 및 점수를 전달하기 위한 블록체인을 이하에서는 베이스 블록체인이라고 지칭하기로 한다. 이 베이스 블록체인의 블록들에는 기본적으로 관리서버(110)에 의해 산출된 지수 및 점수 정보가 기재되며, 관리서버(110)에 의해 지수 및 정보 갱신을 위한 블록이 생성되어 연결된다. 때문에 이하에서 베이스 블록체인의 블록들에는 기본적으로 지수 및 점수 정보가 저장되며, 베이스 블록체인에 차량관련정보가 포함되도록 할 수도 있고 별도의 블록체인을 통해 전달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공개키와 개인키의 전달은 블록체인의 거래 당사자 즉, 정보를 전달하는 발신자와 수신자 간에 주고 받는 것으로 블록체인 기술에 의해 공개된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러한 블록체인의 노드에 의한 검증에 대한 상세한 설명도 생략하기로 한다.
특히, 관리서버(110)는 이러한 정보의 관리, 블록의 생성 및 갱신을 위해 블록의 생성에 사용된 트랜잭션아이디(TXID) 또는 공개키를 사용자의 정보 또는 차량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단말(160)을 통해 관리시스템(100)에 참여하고, 이 사용자의 차량에 대한 블록이 생성되면, 블록의 트랜잭션에 대한 아이디를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트랜잭션 아이디(TXID) 또는 공개키는 관리서버(110)에 등록한 사용자의 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되어, 트랜잭션 또는 블록을 생성한 사용자와 회원을 매칭하여 관리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60)을 통해 블록의 정보에 접근하거나, 블록의 내용을 갱신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정보 또는 이에 매칭된 트랜잭션 아이디(TXID) 또는 공개키 중 어느 하나만을 이용하여 인증 및 검색함으로써 정보의 접근 및 이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리서버(110)는 TXID 관리서버(185)와 연결되어 트랜잭션 아이디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업체서버(111)는 업체나 기관에 의해 차량에 적용된 행위들에 대한 정보 즉, 차량관련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서버(11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이러한 업체서버(111)는 차량 정보 활용시스템의 회원으로 참여하여 블록체인을 전파 및 검증하는 노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업체서버(111)는 전술한 차량관련정보를 수집 또는 생성하여 전달하는 정보제공서버(111a)와 관리서버(110)에 의해 산출된 점수정보를 이용하여 활용하는 정보이용서버(111b)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업체서버(111)를 정보제공서버(111a)와 정보이용서버(111b)로 구분하였지만, 정보제공서버(111a)가 정보이용서버(111b)일 수 있다. 일례로 보험회사에서 운영하는 서버는 차량관련정보로써 보험책정금액을 제공하는 정보제공서버(111a)이자, 보험료 책정을 위해 점수정보를 이용하는 정보이용서버(111b)일 수 있다. 차량정비업체서버 등과 같이 하기에서 설명하는 업체서버(111)들은 정보제공 또는 정보이용을 위해 활용 시스템에 가입하게 되어 정보이용 또는 정보제공 중 어느 하나의 그룹 또는 둘 모두에 포함된다.
사용자단말(160)은 업체서버(111)와 마찬가지로 차량관련정보를 수집 또는 생성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단말(160)은 차량에 설치되는 차량 단말(160a)과 차량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정보를 생성하는 제3자단말(160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을 소유하는 사용자의 단말장치는 제3자단말(160b)에 포함될 수 있다. 소유자의 경우 차량의 점수에 따른 이익이 증감이 발생함으로 소유자에 의해 정보가 기록되도록 하는 경우 왜곡될 가능성이 있다. 때문에 이러한 소유자의 의지가 반영될 수 있는 단말은 점수 및 지수를 전달받아 재가공할 수 있는 제3자단말(160b)에 포함되고, 차량관련정보는 차량에 설치된 차량단말(160a) 즉, 트립컴퓨터와 같은 장치가 될 수 있다. 다만, 소유자가 사용하는 단말은 외부와의 통신수단을 가지지 않는 차량단말(160a)에 대해 통신경로를 제공하는 역할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단말(160a)은 차량에 설치되어 차량의 운행정보와 센싱정보를 수집하는 장치일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데이터화하여 외부장치에 전달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일례로 차량단말(160a)은 차량에 설치되는 트립컴퓨터 또는 전자제어유닛일 수 있으나, 별도로 설치되는 단말장치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차량단말(160a)은 차량관련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서버(110)에 전달하는 차량관정보를 생산하는 주체일 수 있다. 그리고 관리서버(110)에 의해 성성된 점수정보를 확인하고 이용하는 정보의 생산과 소비를 하는 대상은 사용자가 별도로 운영하는 소유자 단말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소유자 단말은 제3자단말(160b)에 포함된다.
제3자단말(160b)은 회원으로 가입하여 블록의 인증을 수행하며, 점수정보를 전달받아 이용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 제3자단말(160b)은 차량관련정보의 생성에는 기여하지 않지만, 회원으로 가입하여 블록체인의 전파와 인증을 위한 노드의 역할을 함과 아울러, 점수정보를 획득하여 이용하는 소비자일 수 있다. 이러한 일례로 제3자단말(160b)은 동일한 차종을 소지하여 다른 차량의 운영상황을 자신의 차량과 비교하고 싶은 사용자, 해당 차량 또는 차종을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 예정자와 같이 해당 차량의 정보에 관심을 갖는 사용자의 단말장치일 수 있다.
블록체인 앱(90)은 관리서버(110)에 의해 제공되며 블록체인을 통해 전달되는 점수정보를 회원노드에 전달하는 중계수단을 의미한다. 여기서 회원노드는 업체서버(111) 및 사용자단말(160)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업체서버(111), 사용자단말(160)에 설치되어 운영할 수 있는 프로그램 형태의 앱(90)을 구체적인 예로 제시하고 있으나, 웹페이지 또는 웹페이지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다른 프로그램에 부가기능으로 부여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블록체인의 인증, 정보확인 및 출력이 가능한 장치를 포함한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블록체인의 정보확인, 출력 및 이용이 가능한 수단을 블록체인 앱(90)이라 통칭하여 설명을 진행하기로 하며, 프로그램 형태로 제공되는 예를 위주로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블록체인 앱(90)은 관리서버(110), 업체서버(111) 또는 차량단말(160)에 설치되거나, 이들이 접속할 수 있는 웹페이지와 같은 수단에서 구동된다. 이 블록체인 앱(90)은 차량관련정보를 블록으로 변환하는 역할과, 블록체인에 기재된 내용을 출력하거나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록체인 앱(90)은 관리서버(110)에 의해 산출되는 점수정보를 블록으로 생성하고, 이를 노드에 전파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블록체인 앱(90)은 트랜잭션의 생성, 해쉬처리, 공개키 생성, 블록의 전달 및 연결과 같이 블록체인의 성립 및 구성을 위한 일련의 과정을 진행하거나, 이러한 진행을 위한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블록체인 앱(90)이 블록체인의 구성 및 유지를 위한 일련의 과정은 생략하고 설명을 진행하기로 하며, 이러한 기능들은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참조되고 이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블록체인 앱(90)은 관리서버(110)에 의해 차량관련정보가 점수정보로 변환되어 전달되면, 해당 점수정보를 트랜잭션으로 변환하고, 이를 기입한 블록을 생성하여 전달 및 검증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이를 통해, 블록체인 앱(90)은 갱신된 점수 정보가 기록된 블록을 베이스 블록체인에 추가하여 연결하게 된다.
한편, 블록체인 앱(90)은 블록체인에 기재된 내용을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블록체인 앱(90)은 블록의 검증과정에서 확인되는 트랜잭션의 내용을 추출하고, 추출된 내용을 출력한다. 즉, 블록체인 앱(90)은 검증이 이루어져 베이스 블록체인에 연결된 블록이 확인되면, 확인된 블록의 최종 내용을 앱(90)에 의해 제공되는 출력수단 또는 출력공간을 통해 출력한다. 이러한 출력수단은 데이터의 표시가 가능한 표시장치일 수 있으며, 출력공간은 앱(90)에 의해 제공되는 웹페이지 또는 앱이 구동되는 창에 마련되는 일부의 공간일 수 있다.
블록체인 앱(90)은 이러한 점수정보를 자동으로 확인하고, 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한 출력공간에 기재하여 사용자가 블록체인 앱(90)을 사용하면서 베이스 블록체인에 접근하는 경우 최신의 점수정보가 출력되도록 하게 된다.
특히, 블록체인 앱(90)은 이러한 정보를 다른 장치에 자동으로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전달은 정보를 게시하거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고자 하는 대상에게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와 같이 목적지와 전달방법이 정의된 수단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또는 특정서버 또는 장치에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에 의해 미리 정해진 형태로 변환되어 미리 정해진 위치에 기재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는 메일, 문자메시지와 같은 형태로 변환하여 사용자단말(160)과 같은 단말장치에 전달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 블록체인 앱(90)은 블록에 기재된 최신정보를 이를 필요로 하는 타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전달하고, 이를 타사용자가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이러한 역할은 블록체인 앱(90)과 앱이 구동되는 장치에 의해 수행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러한 행위를 주도하는 블록체인 앱(90)에 의해 상기한 기능이 실행 및 실현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한편, 블록체인 앱(90)은 산출정보를 점수정보와 함께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점수산출을 위해 사용된 알고리즘, 기준값 외에도 점수정보 산출에 직접적으로 사용된 차량관련 정보를 점수정보와 함께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알고리즘과 기준값을 포함하는 산출정보는 점수정보의 산출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산출정보도 블록체인(이하 산출정보 블록체인이라 함)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블록체인 앱(90)은 이러한 산출정보 블록체인에 기록된 산출정보 중 가장 최근의 블록으로부터 산출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들이 점수정보의 산출이 이루어진 경위를 확인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이를 응용하여 자신이 필요한 형태로 가공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한편, 산출정보를 블록체인을 통해 유지함으로써 점수정보뿐만 아니라, 점수정보를 산출하는 알고리즘도 보호하고, 보호된 상태에서 다른 사용자들에 의해 참조되게 함으로써 점수정보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를 통해 베이스 블록체인에 기재되는 점수정보를 다른 회원노드에서 작성하여 추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차량관련정보를 산출정보 블록체인에 의해 전달되는 알고리즘과 기준값에 의해 산출되도록 함으로써, 차량관련정보를 점수화하는 작업을 회원노드의 어느 노드에서든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이러한 과정에서 관리서버(110)는 회원노드에 의해 산출된 정보가 정상적인 산출정보 블록체인을 참조하여 점수정보를 산출했는지, 산출정보 블록체인의 적용시 회원노드에 의해 임의 변경이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검증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블록체인의 타당성을 다른 형태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임의변경이란 회원노드가 산출정보 블록체인에 기재된 알고리즘과 기준값을 이용하여 점수정보를 산출하는 과정은 자신의 장치에서 수행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알고리즘과 기준값을 적용하는 방법 또는 기준값을 수정하여 점수정보를 산출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이전의 블록체인 값을 인용하기 때문에 블록체인 상의 검증과정에서는 오류를 발견할 수 없게되어 정상적인 블록으로 인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 점수정보를 산출하는 경우 트랜잭션으로 생성되는 데이터 자체의 오류를 검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즉, 블록체인의 블록검증을 위한 방법과 별도로 트랜잭션 자체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과정을 관리서버(110)가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서버(110)는 회원노드에 의해 임의변경이 발생하는 경우 회원노드를 회원으로부터 배제함과 아울러, 다른 노드들에 의해 배제된 노드에서 발생된 블록의 검증을 수행하지 않도록 강제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차량관련정보의 점수화 과정이 관리서버(110)에 의해서만 실행되는 경우 이러한 검증과정은 생략이 가능한 것이며, 관리서버(110)에 이외의 노드에 의해 블록이 생성되는 경우는 가용한 범위의 변형예로써 제시된 것일뿐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차량관련정보는 다양한 회원 노드에 의해 발생될 수 있으며, 종류도 다양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관련정보도 베이스 블록체인의 블록으로 추가되어 전달되거나, 별도의 블록체인을 구성하여 이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사항은 고려하지 않고 차량관련정보는 신뢰도가 확보된 형태로 전달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업체서버(111) 또는 제3자단말(160b)와 같은 정보이용서버(111b)는 블록체인 앱(90)을 통해 점수화 정보 또는 점수화정보와 함께 산출정보를 전달받는다. 그리고, 업체서버(111) 또는 제3자단말(160b)은 전달받은 정보를 자신이 활용하고자 하는 형태로 재가공하여 이용하게 된다. 여기서, 도 1에서 정보이용서버(111)와 제3자단말(160b)이 구분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설명에서와 같이 블록체인 앱(90)으로부터 데이터를 전달받아 활용하는 경우 제3자단말(160b)은 정보이용서버(111)에 포함된다. 또한, 소유자단말의 경우도 정보를 활용하는 경우에는 제3단말(160b)로 이해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정보를 블록체인 앱(90)으로부터 전달받아 재가공하는 대상은 정보이용서버(111b)에 포함된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업체서버(111)에 보험회사 서버가 포함되는 경우, 보험회사 서버는 점수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차량에 대한 보험료를 산출할 수 잇다. 이러한 점수정보는 차량의 정비, 차량의 잔존가치, 차량의 노후화 정보, 차량의 사고율, 운전자의 법규위반 사항들이 각각의 비중별로 가중치가 적용되어 지수로 산출되고 이들을 종합하여 점수로 나타낸 것일 수 있다. 때문에, 차량을 현재 가치를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점수를 이용하여 보험료의 산출이 가능하다. 특히, 이러한 점수정보의 전달 시 각 항목에 대한 점수 즉, 지수가 전달되기 때문에 지수를 이용하여 보험료를 산출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나아가, 산출정보가 점수정보와 함께 제공되는 경우 보험사의 경우 가중치를 달리하여 지수를 산출하고 이를 통해 보험료를 산출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차량의 정비 비용, 차량의 매매시 차량가액과 같은 사항들이 이러한 점수정보를 통해 산출될 수 있다. 특히, 종래와 달리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정보들이 차량관련정보의 생성에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차량과 관련된 활용정보 즉, 보험료, 차량가액과 같은 사항을 산출하는 정보이용서버(111b)에서는 실시간으로 활용정보를 산출하고, 이를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이러한 정보의 전달과 생성을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차량과 관련된 이득이 있는 사용자에 의해 데이터가 임의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고,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확보하여 새로운 정보를 창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는 블록 체인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의 업체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 정보 활용 시스템(100)은 관리서버(110), 차량 제조업체 서버(120), 차량 정기검사 서버(130), 차량 정비업체 서버(140), 부품제조회사 서버(150), 사용자 단말(160), 경찰서 서버(170), TXID 관리 서버(185), 보험회사 서버(180) 및 교통관리공단 서버(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 활용 시스템(100)의 각 서버나 단말장치들은 차량관련정보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생성자인 동시에, 정보이용서버(111b)일 수 있다.
차량 제조업체 서버(120)는 차량을 제조하는 회사에 구비된 서버로 차량의 제조 당시의 기본정보(이하 차량 기본정보)를 관리서버(110)에 제공한다. 차량 기본정보는 차량의 고유번호(차대번호, 엔진번호와 같은 차량에 부여된 주요 일련번호를 의미한다), 차량의 출고일, 차량의 제조 시 특이사항 및 출고시 차량에 추가되는 옵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차량의 제조 시 특이사항은, 예를 들며, 차량 제조 당시의 제조라인의 중지 여부, 부품 공급 업체의 변경 여부, 부품 변경 이력, 제조 라인의 변경 여부와 같은 사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에 추가되는 옵션은 주문자의 요청에 따라 출고되는 차량에 기본으로 장착되는 구성품을 타부품으로 교체하거나, 기본 사양에는 없던 것을 출고시 추가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차량 제조업체 서버(120)는 복수의 차량과 관련된 점수정보와 산출정보를 블록체인앱(90)을 통해 전달받을 수 있다. 이러한 차량 제조업체 서버(120)는 블록체인앱(90)을 통해 전달되는 정보를 누적하여, 해당 차종의 수명한도, 노후화의 진행속도, 주요 손상 부품, 사고시 차량의 상태와 같은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차량제조업체 서버(120)는 신뢰도 있는 데이터를 통해 해당 차종의 후속 차량 개발시 데이터를 반영할 수 있으며, 현재 사용되고 있는 차량들의 생산중단시 보유해야할 부품의 종류, 부품의 양을 좀 더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차량 정기검사 서버(130)는 법에 따라 차량의 정기검사를 대행하는 업체에 설치된 서버를 의미하며, 정기검사를 받은 차량의 정기검사 결과(이하 차량 정기검사 결과)를 관리서버(110)에 제공한다. 여기서, 차량 정기검사 서버(130)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는 교통관리공단 서버(190)로 전달되어 교통관리공단 서버(190)에 의해서도 관리서버(110)에 전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경우 양측에서 각각 정보를 제공받고, 관리서버(110)가 두 서버(130, 190)을 통해 전달된 내용을 대조하여 자료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다만, 어느 한 서버(130, 190)에서만 자료를 받을 수도 있는 것으로 제시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차량 정기검사 서버(130)의 경우 자동으로 전달되는 점수정보와 산출정보를 통해 차량의 노후화 정도, 공해발생정보와 같은 사항들을 판단하고, 차종 또는 차량 또는 차량이 운행되는 지역 또는 차량 운행조건에 따라 정기검사 시점을 가변하거나, 정기검사 항목을 변경하여 차량 검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 정기검사 서버(130)는 블록체인 앱(90)을 통해 전달되는 정보를 재가공하여 이러한 정보를 특정 차량 또는 유사특성이 있는 차량들에 적용하는 데이터를 생산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 정기검사 서버(130)는 생산된 데이터를 토대로, 차종별, 차량별, 지역별, 제조사별과 같이 다양한 기준에 의해 검사를 수행하되, 검사항목, 주기, 시점과 같은 사항들을 가변하여 정확한 검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차량 정비업체 서버(140)는 차량을 정비 또는 수리하는 정비업체에 설치된 서버로, 차량을 수리하고 난 후에 차량 정비업체 측에서 입력한 해당 차량의 정비정보(이하 차량 정비정보)를 관리서버(110)에 제공한다. 여기서, 차량 정비정보는 차량의 부착물 중 차량의 제조업체에서 부착한 것이 아닌 부착물(옵션)에 대한 정보, 차량의 정비일자, 차량의 운행거리, 차량 정비 내용, 교체에 사용된 부품 및 사고내용을 포함한다. 출고 차량에 추가하는 부착물은 차량을 운행하는 운전자의 입장에서는 편리할 수 있지만, 차량의 노후화 속도, 차량의 수명이나 안전성 면에서는 단점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도 차량의 노후화 및 안전성을 판단하는데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교체에 사용된 부품도 정품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연한을 넘긴 부품을 사용하는 경우, 제조업체가 추천하는 부품을 사용하거나 반대로 제조업체의 추천을 무시하고 추천받은 부품이 아닌 부품을 사용하는 경우 등도 차량의 노후화 및 안전성을 판단하는 데 반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 정비업체 서버(140)의 경우도 점수정보와 산출정보를 통해 정비 수가를 조정하거나, 특정 부품의 정보시 정비를 같이 수행해야 할 사항들을 산출하고 이를 통해 정비 효율과 정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부품제조회사 서버(150)는 차량 정비업체에 차량의 부품을 공급하는 부품제조회사의 서버로, 어떤 차량 정비업체에 어떤 부품을 언제 공급하였는가 하는 정보(이하 부품정보)를 관리서버(110)에 제공한다. 여기서, 부품정보는 부품의 제조연월일, 생산시기, 사용연한, 납품 정비업체 및 추천교체시기 등을 포함한다. 부품정보는 어느 차량 정비업체 서버(140)에, 언제, 어떤 부품 및 어느 정도 양의 부품이 제공되었는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운행차량 관리서버(110)는 부품정보와 차량 정비업체에서 입력하는 부품정보를 비교함으로써, 해당 차량 정비업체에서 사용한 부품의 정확성 또는 오류를 확인할 수 있다.
특정 기간에 제조된 특정 부품의 안전성 평가가 해당 부품이 판매 후에 변동되었을 때 이를 소급하여 해당 부품의 안전성에 대해 할당되어 있는 평가점수를 변동시킨다. 예를 들면, 해당 부품의 제조 및 판매 시에는 확인할 수 없었는데, 사고가 난 차량을 분석하던 도중에 해당 부품의 결함을 발견한 경우이다.
또한, 평가점수가 높은 것이 평가점수가 낮은 경우에 비해 안전성이 높은 것으로 가정할 때, 경찰이나 해당 당국의 검사 결과 특정 기간, 특정 업체에서 생산한 특정 제품에 하자가 있는 것으로 판명이 났을 때, 해당 부품에 적용된 평가점수를 감소시키도록 하고, 이후, 특정 차량이 해당 부품을 정상적인 부품으로 교체한 경우에는 해당 차량의 안전성에 대한 평가점수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160) 더 구체적으로는 차량에서 설치된 차량단말(160a)은 차량의 운행정보 또는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감지정보를 관리서버(110)에 전달한다. 여기서, 감지정보 중 차량의 상태에 영향을 주는 정보 즉, 타이어 공기압과 같은 정보는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효율적인 데이터에 유리하지만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개인 차량의 용도는, 개인이 소유한 차량의 사용 태양 즉 출퇴근용, 여행용 및 개인영업용 중 하나가 그 예가 될 것이고, 영업차량의 운행정보는 차량의 운영용도(승용, 화물 운송), 운행노선, 운행거리, 운행 운전자의 이력 등이 될 것이다. 운행노선은 영업차량이 이동하는 노선으로, 노선 중 비포장 도로, 공사 여부 등과 같은 노선의 특이사항을 포함한다.
이러한 사용자단말(160)은 블록체인의 차량정보 블록을 생성하기 위해 다른 서버들과 마찬가지로 정보를 수집하여 관리 서버(110)에 전달하는 역할과 함께, 관리 서버(110)에 의해 생성된 블록을 검증하고 전파하는 노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노드의 역할을 서버들에 의해서도 수행된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관리서버(110)를 설명하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사용자단말(160)은 정보이용서버(111b)에 포함되어, 블록체인앱을 통해 전달되는 정보를 재활용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단말(160)의 사용자는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차량의 정비, 사고와 같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중고차량 가격의 확인을 통해 매매시점을 결정하는 것과 같은 활용이 가능해진다.
경찰서 서버(170)는 차량의 사고 정보와 단속 정보를 관리 서버(110)에 전달한다. 여기서, 단속 정보에는 과속이나 신호위반 등이 포함될 것이다.
보험회사 서버(180)는 차량의 사고 중 경찰서에 신고하지 않고 합의를 보는 차량의 사고를 관리 서버(110)에 전달한다. 차량의 사고는 경찰에 접수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인사사고 아닌 경미한 사고는 가해자와 피해자 간에 합의를 보고 경찰에 신고하지 않을 수가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보험회사를 통해 합의금이 지금되는 때에는 그 기록을 관리 서버(110)에 전달함으로써, 이러한 상황도 차량의 안전성을 판단하는 자료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차량의 보험처리 또는 경찰에 신고되지 않은 사고의 경우 정비업체 서버(140)의 수리 이력을 통해 조회 또는 분석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방법으로 실제 사고 발생정보를 판단 자료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보험회사 서버(180)의 정보 이용 사례에 대해서는 전술한 도 1에서 언급한 바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관리서버(110)는 차량 제조업체 서버(120), 차량 정기검사 서버(130), 차량 정비업체 서버(140), 부품제조회사 서버(150), 사용자 단말(160), 경찰서 서버(170), 보험회사서버(180) 및 교통관리공단서버(190)로부터 차량관련정보를 수신하고, 차량관련정보를 산출정보를 이용하여 대상차량에 대한 점수정보를 산출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관리서버(110)는 대상차량과 관련된 회원들로부터 전달되는 차량관련정보를 산출정보에 의해 가중치가 적용된 지수로 생성하고, 생성된 지수를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합산하여 점수로 산출하게 된다. 이러한 점수는 차량의 현재 상태를 단적으로 나타내는 지표의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관리서버(110)는 한 점수정보를 블록으로 생성하고, 전파하여 블록에 연결되게 한다. 여기서 노드들은 관리서버(110)에 접속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정보를 이용하기 위해 접속하는 장치들과 이와 별도로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임의의 장치들을 포함한다. 다만, 관리서버(110)는 노드들은 관리서버(110)에 접속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정보를 이용하기 위해 접속하는 장치들만을 노드로 한정하여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관리서버(110)가 이러한 프라이빗 블록체인에 참여하는 장치들의 인가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제시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관리서버(110)는 수집된 정보를 지수화하고, 지수화한 정보를 종합하여 점수화 한다. 이를 위해 관리서버(110)에는 수집된 정보를 지수화하고 차량의 각 지수를 점수화하기 위한 알고리즘, 기준값, 감가와 같은 정보가 포함된다.
일례로 부품이 차량의 출고 초기에는 지수가 100점으로 정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부품이 차량의 점수에 반영되는 비율이 10%로 책정될 수 있다. 그리고, 노후화에 의한 감가과 주행거리별로 0.01%/1000km와 같이 선정되어 지수와 점수 산출에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예를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된 것으로 이를 통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형태로 산출된 점수정보는 관리서버(110)에 의해 새로운 차량관리정보가 생성될 때마다 새로운 블록으로 생성되어 베이스 블록체인에 부가된다. 여기서,점수정보의 산출을 위해 사용된 알고리즘, 기준값, 규칙은 산출정보 블록체인의 블록으로 생성되어 전파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 블록체인은 전술한 바와 같이 관리서버(110) 이외의 노드들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나, 이 경우 블록에 기록되는 트랜잭션의 타당성, 적법성의 검토가 필요하ㅕ 이는 관리서버(1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특히, 관리서버(110)는 이러한 정보의 관리, 블록의 생성 및 갱신을 위해 블록의 생성에 사용된 트랜잭션아이디(TXID)를 사용자의 정보 또는 차량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용자단말(160)을 통해 관리시스템(100)에 참여하고, 이 사용자의 차량에 대한 블록이 생성되면, 블록의 트랜잭션에 대한 아이디를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트랜잭션 아이디(TXID)사용자가 시스템에 참여하면서 관리서버(110)에 등록한 사용자의 정보에 대응되게 저장된다. 이후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60)을 통해 블록의 정보에 접근하거나, 블록의 내용을 갱신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정보 또는 이에 매칭된 트랜잭션 아이디(TXID) 중 어느 하나만을 이용하여 인증함으로써 정보의 접근 및 이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리서버(110)는 TXID 관리서버(185)와 연결되어 트랜잭션 아이디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의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사용자들은 각자의 사용자 단말(110)을 통해 블록의 트랜잭션을 확인하여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관리서버(110)는 이를 차량의 안정성을 판단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관리서버(110)는 블록체인을 구분할 수 있는 공개키를 회원정보와 매칭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트랜잭션ID를 회원정보와 매칭할 수도 있고 공개키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도 있으며, 둘 모두를 회원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관리서버(110)는 공개키나 트랜잭션ID를 차량번호와 같이 일반 회원들이 확인하기 용이한 정보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회원정보와 공개키(또는 트랜잭션ID)가 매칭되어 저장되며, 이 때 공개키(또는 트랜잭션ID)를 차량번호와 매칭하여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찾고자 하는 회원의 이름 또는 차량번호를 통해 블록체인의 정보에 접근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리서버(110)는 제3자에 의해 회원의 이름, 차량번호가 입력되면, 해당되는 공개키(또는 트랜잭션ID)를 통해 블록체인을 확인하고, 요청이 발생한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는 특정 차량 또는 복수의 차량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다른 정보로 재생성하고자 하는 경우, 블록체인의 정보 주체가 되는 차량에 대한 관리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들이 이미 알고 있는 정보(예를 들어 차량의 소유주 또는 차량의 번호)와 같은 정보를 통해 블록체인에 접근하고, 블록에 기재된 트랜잭션을 확인하여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관리서버(110)는 공개키를 차량번호와 같이 일반 회원들이 확인하시 용이한 정보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회원정보와 공개키가 매칭되어 저장되며, 이 때 공개키를 차량번호와 매칭하여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들이 찾고자 하는 회원의 이름 또는 차량번호를 통해 블록체인의 정보에 접근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리서버(110)는 제3자에 의해 회원의 이름, 차량번호가 입력되면, 해당되는 공개키를 통해 블록체인을 확인하고, 요청이 발생한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리시스템(100)에 참여하는 노드들 즉, 회원들은 이웃노드의 정보 저장시, 관리시스템(100)에 노드의 정보를 대조하여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에 참여한 노드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관리시스템(100)의 각 서버 또는 단말들은 이웃노드의 순서를 수정하여 관리시스템(100)의 회원 간의 블록 공유 및 검증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나, 이는 일례로써 제시된 것일 뿐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전달 순서외에 검증리스트의 검증 순위를 변경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관리시스템에 참여한 회원 노드들에 대해서는 블록체인에 의해 전달된 블록들 중 회원들에 의해 발생되는 블록의 검증이 우선시 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관리서버(110)가 회원들에 의해 발생되는 블록의 정보 예를 들어, 트랜잭션 아이디, 공개키를 전달하여 검증리스트의 검증 순위를 회원노드들이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블록체인 앱의 구성과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블록체인 앱은 블록생성부(71)와 블록검증부(73)를 포함하는 신규블록 처리부(70a)와, 블록확인부(74), 표시부(75), 트랜잭션 추출부(76), 변환부(77) 및 전달부(78)를 포함하는 정보제공부(7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구성의 구분은 블록체인 앱(90)은 기능과 역할을 이해하기 용이하도록 구분된 것으로, 실제 앱에서는 이와 동일하게 구분되지 않을 수 있다.
신규블록 처리부(70a)는 새로 생성되는 블록의 생성과 전달 및 이를 검증하는 블록체인의 일반적인 처리를 수행한다. 이 신규블록 처리부(70a)는 앱이 설치된 장치를 통해 차량관련정보에 의해 산출된 점수와 지수가 전달되면 이를 포함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트랜잭션에 개인키를 적용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쳐 블록을 생성한다. 그리고 블록 생성부(70a)는 생성된 블록을 이웃 리스트에 기재된 회원노드들에 전달하게 된다. 또한, 회원노드들로부터 블록체인에 추가될 블록이 전달되면 전달된 공개키에 의해 블록을 연산하여 검증하고 검증결과를 회원노드에 리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앱이 설치된 장치는 관리서버(110) 또는 차량단말(160a)일 수 있으며, 신규블록 처리부(70a)에 의해 처리되는 블록은 베이스 블록체인의 블록 또는 산출정보 블록체인의 블록일 수 있다. 추가로, 차량관련 정보가 기재된 블록체인(이하 "패밀리 블록체인") 별도로 생성되어 운영되는 경우 패밀리 블록체인의 처리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신규블록 처리부(70a)는 블록생성부(71)와 블록검증부(7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블록생성부(71)는 앱이 설치된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에 전자서명을 적용하여 트랜잭션으로 변환하고, 블록에 기재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블록생성부(71)는 베이스 블록체인 또는 산출정보 블록체인의 이전 블록에 대한 정보를 부가하여 블록을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블록생성부(71)는 블록이 생성되면 검증을 위해 이웃리스트에 저장된 회원노들에 생성된 블록을 전달하여 검증이 이루어지게 한다.
블록검증부(73)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른 회원노드들로부터 검증이 필요한 블록이 전달되면, 이를 검증하고 검증결과를 블록을 전달한 회원노드에 반환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블록검증부(73)는 차량정보 활용 시스템에 가입된 회원노드로부터 전달된 블록인 경우 다른 블록에 앞서 검증이 이루어지도록 검증대상 블록의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블록검증부(73)는 차량정보 활용시스템에 가입된 회원들로부터의 블록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블록체인의 블록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활용 시스템의 회원노드로부터 발생된 블록의 검증을 우선하여 검증하게 된다.
정보제공부(70b)는 블록체인에 의해 전파되는 블록에 기재된 트랜잭션 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하거나 외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외부는 다른 장치일 수도 있고 같은 장치에서 구동되는 다른 프로그램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정보제공부(70b)는 블록확인부(74), 표시부(75), 트랜잭션 추출부(76), 변환부(77) 및 전달부(7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블록확인부(74)는 정보를 추출할 대상인 블록을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이 블록확인부(74)는 블록검증부(73)에 검증 대상인 블록이 전달되면 전달된 블록이 활용 시스템의 회원 노드로부터 생성된 블록인지를 확인한다. 그리고 회원노드로부터 생성된 블록인 경우, 베이스 블록체인, 산출정보 블록체인 또는 패밀리 블록체인의 블록인지를 확인하게 된다. 이러한 확인은 미리 전달된 공개키를 통해 확인하거나, 블록체인의 검증과정에서 확인되는 트랜잭션 아이디, 트랜잭션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이 가능하다. 블록확인부(74)는 전달된 블록이 회원노드로부터 전달되고 베이스 블록체인, 산출정보 블록체인 및 패밀리 블록체인 중 어느 하나의 블록인 경우 트랜잭션 추출부(76)에 해당 블록이 추출대상 블록임을 전달하게 된다.
트랜잭션 추출부(76)는 블록확인부(74)에서 확인된 블록의 트랜잭션에 기재된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 트랜잭션 추출부(76)는 블록확인부(74)에 의해 확인된 블록을 블록검증부(73)에서 검증하는 과정에서 공개키를 적용하여 해제되는 블록의 정보를 추출하여 가져오거나, 디코딩하여 트랜잭션으로 기록된 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그리고, 추출된 정보를 표시부(75)와 변환부(77)에 전달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블록검증부(73)는 해쉬의 일치여부를 검증하기 때문에 트랜잭션 추출을 위해서는 트랜잭션 추출부가 복호화를 위한 키를 보유하거나, 일련의 디코딩과정을 거쳐서 트랜잭션을 추출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트랜잭션 추출부(76)가 점수정보 또는 산출정보를 추출하는 경우 점수정보 또는 산출정보의 작성일 또는 이를 기록한 트랜잭션의 기록일을 확인하여 추출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트랜잭션 기록일이 자신이 최근에 추출한 점수정보 또는 산출정보 보다 이전 시점인 경우 추출을 진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시간정보의 비교를 통해 점수정보와 산출정보의 시점을 비교하여 어느 한 쪽이 다른 한쪽에 비해 오래된 데이터인 경우 해당데이터의 출력을 중지하도록 표시부(75)에 요청할 수 있다.
표시부(75)는 트랜잭션 추출부(76)에 의해 추출된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를 위해 표시부(75)는 앱에 의해 실행되는 실행창 형태로 제공되거나, 다른 프로그램에 의해 제공되는 일영역을 할당받아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75)는 트랜잭션 추출부(76)에 의해 추출된 점수정보를 출력하여 제공한다. 트랜잭션 추출부(76)는 점수정보와 함께 점수정보를 산출할 때 사용된 산출정보를 추출하여 전달하는 경우 표시영역을 구분하여 점수정보와 산출정보를 함께 표시하거나, 산출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차량관련정보가 블록체인 형태로 전달되는 경우 해당 정보도 점수정보 및 산출정보의 출력방법을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으나, 이는 반드시 출력되어야 하는 정보는 아니며, 제시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변환부(77)는 전달된 트랜잭션 즉, 트랜잭션에 기록된 데이터를 외부에 전달 가능한 데이터 또는 쿼리 형태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일례로 점수정보를 SQL의 데이터 형태로 전달해야 하는 경우 전달을 위한 쿼리와 명령 구문을 추가하는 과정을 변환부(77)에서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변환부(77)와 전달부(78)를 구분하여 기재하였으나 이러한 변환부(77)는 전달부(78)와 함께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전달부(78)에서 수행하는 데이터 변환은 데이터를 전달받는 외부 즉,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 또는 프로그램에 구비되어 필요한 데이터 형태로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트랜잭션 추출부(76)에 의해 추출된 데이터가 전달부(78)에 바로 전달될 수 있다.
전달부(78)는 미리 저장된 링크 또는 전달 방법을 이용하여 변환부(77)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외부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전달부(78)는 API와 같은 방법에 의해 외부장치가 특정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공지의 다양한 방법에 의해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정보 활용 시스템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정보 활용 방법은 베이스 블록 생성 단계(S10), 차량관련정보 발생 단계(S20), 점수정보 생성 단계(S30), 점수정보 블록 생성/전파 단계(S40), 트랜잭션 추출 단계(S50) 및 표시/전달 단계(S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점수정보 블록 생성/전파 단계(S40)에 병행하여 산출정보 블록 생성/전파 단계(S4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 블록 생성 단계(S10)는 차량의 종합적인 상태를 점수화하여 관련정보를 이용하고자 하는 대상차량에 대한 블록체인의 초기 블록들이 생성되는 단게이다. 이 베이스 블록 생성 단계(S10)의 초기 블록들은 블록체인의 시작이 되는 제네시스 블록과 제네시스 블록에 연결되어 대상차량 및 소유자에 대한 기본정보가 기록되는 블록을 포함한다. 이러한 베이스 블록은 관리서버(110)와 대상차량 차량단말(160a)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블록에 기재되는 차량 소유자의 정보는 소유자단말에 의해서도 생성될 수 있으나, 소유자단말에 의해 생성될 수 있는 정보는 관리서버(110) 또는 업체서버(111)에 의해 생성이 가능하므로 차량단말(160a)에 기록된 정보가 초기 블록에 포함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베이스 블록 생성 단계(S10)에서 생성된 블록은 회원노드를 중심으로 하는 검증노드들에 전파되어 검증이 이루어지게 된다.
차량관련정보 발생 단계(S20)는 베이스 블록 생성 단계(S10)에서 대상차량에 대한 블록체인이 생성된 대상차량의 차량관련정보가 발생되는 단계이다. 즉, 대상차량이 보험에 가입하거나, 정비를 받거나, 법규 위반을 하거나, 소유자가 변경되는 것과 같은 차량관련정보가 생성된다. 그리고, 차량관련정보 발생 단계(S20)에서는 대상차량의 상기한 행위들을 진행한 업체서버(111) 또는 차량단말(160a)에 의해 차량에 대해 발생된 행위를 정보화한 차량관련정보가 관리서버(110)에 전달된다. 여기서, 차량관련정보는 대상차량에 대한 부가정보를 전달하도록 생성되는 패밀리 블록체인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블록체인을 통해 차량관련정보를 전달하는 경우 회원노드들은 블록체인 앱(90)을 통해 블록을 생성하게 된다. 즉, 블록체인 앱(90)의 블록생성부(71)에 차량관련정보를 입력하면, 블록생성부(71)가 개인키를 이용하여 트랜잭션을 생성하고, 여기에 해쉬를 적용하여 블록을 생성한 후 전파하게 된다.
점수정보 생성 단계(S30)는 차량관련정보를 전달받은 관리서버(110)가 차량관련정보를 이용해서 지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지수를 이용하여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이다.
점수정보 블록 생성/전파 단계(S40)는 관리서버(110)가 생성된 점수정보 블록을 회원노드에 전달하여 검증받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관리서버(110)는 블록체인 앱(90)을 통해 전 단계(S30)에서 생성된 점수정보를 블록으로 생성하고, 이를 회원노드에 전파하여 검증받는 과정을 통해 베이스 블록체인의 블록으로 추가하게 된다.
이 점수정보 블록 생성/전파 단계(S40)에서 각 회원노드는 전달받은 블록을 다른 블록에 비해 우선하여 검증함으로써 빠른 검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회원노드들은 검증을 위한 예비블록 중 회원노드의 정보가 기재되거나, 회원노드의 정보와 함께 전달된 블록을 확인하여 검증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점수정보 생성 단계(S40)와 병행하여 점수산출에 이용된 기준값, 알고리즘, 규칙과 같은 산출정보가 산출정보 블록체인의 블록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산출정보 블록체인은 차량마다 생성되지 않고 다수의 차량에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나의 블록체인이 생성되고, 규칙, 알고리즘, 기준값의 변동이 발생되는 경우 이를 반영한 블록이 생성되어 블록체인에 추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산출정보 블록체인도 블록체인 앱(9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트랜잭션 추출 단계(S50)는 검증을 위해 전달된 블록으로 점수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이다. 트랜잭션 추출 단계(S50)에서 검증을 수행하는 회원노드들에서 구동되는 블록체인 앱(90)은 블록이 전달되면, 전달된 블록이 베이스 블록체인의 블록 또는 산출정보 블록체인의 블록인지 판단하게 된다.
이때, 블록체인 앱(90)은 블록이 다른 블록체인의 블록인 경우 트랜잭션 추출의 진행없이 검증만 수행하고, 검증결과를 회신한다. 반면에 검증 대상이 블록인 베이스 블록체인 또는 산출정보 블록체인의 블록인 경우, 블록에 기재된 트랜잭션을 추출하고, 이를 데이터로 복원하게 된다.
표시/전달 단계(S60)는 복원된 데이터를 블록체인 앱(90)에 의해 할당되는 영역에 출력하여 전달하거나, 이를 외부로 전달하는 단계이다. 이때, 출력을 위해 출력 공간 또는 출력수단이 할당되어 블록체인 앱(90)을 통해 사용자들이 점수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산출정보도 함께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를 재가공하여 이용하고자 하는 정보이용서버(111b)의 경우 전달되는 정보를 이용하고자 하는 형태로 가공하여 활용하게 된다. 이러한 활용을 위해 정보이용서버(111b)는 검증을 수행하는 블록체인 앱(111b)을 통해 전달방법과 데이터 형태를 구체화하고, 새로운 데이터가 확인될 때마다 전달받아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차량정보 활용 시스템 110: 관리서버
111: 업체서버 111a: 정보제공서버
111b: 정보이용서버 160: 사용자단말
120: 차량제조업체 서버 130: 검사업체 서버
140: 정비업체 서버 150: 부품회사 서버
170: 경찰서 180: 보험회사 서버
185: TXID 관리서버 190: 교통관리공단 서버
90: 블록체인 앱 70a: 신규블록 처리부
70b: 정보제공부 71: 블록 생성부
73: 블록 검증부 74: 블록 확인부
75: 표시부 76: 트랜잭션 추출불
77: 변환부 78: 전달부

Claims (8)

  1. 차량, 차량 소유자, 차량 운행자와 관련되어 발생한 이벤트에 대한 정보인 차량관련정보를 수집하는 업체서버;
    상기 업체서버로부터 상기 차량관련정보를 전달받아 기준값과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차량정보별 지수를 생성하며, 상기 지수를 이용하여 차량의 상태를 수치로 나타내는 점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지수 또는 점수를 베이스 블록체인의 블록에 기재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업체서버 및 상기 관리서버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베이스 블록체인의 블록을 생성하며, 상기 업체서버 및 상기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회원노드들 중 자신 외의 다른 상기 회원노드에서 전달된 상기 블록의 검증을 수행하되, 상기 블록에 포함된 트랜잭션 중 상기 지수 또는 점수를 추출하여 출력하거나 외부에 전달하는 블록체인 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블록체인 앱은 상기 회원노드 외의 노드로부터 전달되는 블록의 검증도 수행하며, 검증을 위한 예비블록 중 상기 회원노드의 상기 블록이 확인되면, 다른 상기 예비블록에 비해 먼저 검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정보 활용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지수 또는 점수 산출을 위한 기준값, 알고리즘 및 규칙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산출정보를 산출정보 블록체인으로 생성하여 자신 외의 다른 상기 회원노드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정보 활용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앱은
    상기 산출정보 블록체인의 검증을 위해 블록이 전달되면, 상기 블록에 포함된 트랜잭션을 추출하여 상기 지수 또는 점수와 함께 출력 또는 상기 외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정보 활용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앱은 상기 블록체인에 포함되는 복수의 블록 중 가장 최근에 생성되어 검증된 블록의 상기 트랜잭션을 추출하여 표시 또는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정보 활용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수 또는 점수를 전달받은 제3자단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업체서버 또는 상기 제3자단말은 상기 지수 또는 상기 점수를 재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정보 활용 시스템.
  6. 삭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앱은
    상기 산출정보 블록체인의 블록으로부터 추출된 산출정보와 상기 베이스 블록체인으로부터 전달된 블록으로부터 추출된 지수 또는 점수 정보의 트랜잭션 기록시점이 불일치되는 경우, 상기 산출정보와 상기 지수 또는 점수 정보 중 오래된 정보의 출력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정보 활용 시스템.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앱은
    상기 외부에 추출된 상기 트랜잭션을 전달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데이터 형태로 가공하거나, 미리 저장된 링크를 통해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정보 활용 시스템.
KR1020180156314A 2018-12-06 2018-12-06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 정보 활용 시스템 KR102086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314A KR102086688B1 (ko) 2018-12-06 2018-12-06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 정보 활용 시스템
PCT/KR2019/016919 WO2020116895A1 (ko) 2018-12-06 2019-12-03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 정보 활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314A KR102086688B1 (ko) 2018-12-06 2018-12-06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 정보 활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6688B1 true KR102086688B1 (ko) 2020-04-20

Family

ID=70467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314A KR102086688B1 (ko) 2018-12-06 2018-12-06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 정보 활용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86688B1 (ko)
WO (1) WO202011689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7151A (ko) * 2021-07-05 2023-01-1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네트워크 확장성을 고려한 블록체인 합의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43116A (zh) * 2021-07-14 2021-10-22 泰安北航科技园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ota升级的区块链追溯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4127A (ko) 2014-07-28 2016-02-11 문 훈 이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정비이력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KR101639271B1 (ko) 2014-10-07 2016-07-13 이승수 정비소 공유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101717134B1 (ko) * 2015-12-09 2017-03-16 강성구 온라인 중고자동차 평가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36593B2 (en) * 2016-03-31 2022-09-06 Bitflyer Blockchain, Inc. Transaction processing device, transac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or same
KR20180107339A (ko) * 2017-03-16 2018-10-02 주식회사 케이뱅크은행 블록 체인을 이용한 자동차 정보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101835344B1 (ko) * 2017-12-19 2018-04-19 주식회사 알티스트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4127A (ko) 2014-07-28 2016-02-11 문 훈 이 차량 정비이력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정비이력 관리서비스 제공방법
KR101639271B1 (ko) 2014-10-07 2016-07-13 이승수 정비소 공유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101717134B1 (ko) * 2015-12-09 2017-03-16 강성구 온라인 중고자동차 평가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VL(Mass Vehicle Ledger) WHITEPAPER (2018.04.), https://mvlchain.io/papers/mvl_white_paper_ko.pdf?t=5acde*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7151A (ko) * 2021-07-05 2023-01-1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네트워크 확장성을 고려한 블록체인 합의 시스템 및 방법
KR102534411B1 (ko) * 2021-07-05 2023-05-1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네트워크 확장성을 고려한 블록체인 합의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16895A1 (ko) 202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6061B1 (en) Using a distributed ledger for tracking VIN recordkeeping
US1165260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otal loss handling via blockchain
KR102086688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 정보 활용 시스템
US11599390B2 (en) Tracking and managing resource performance and maintenance via distributed ledgers
KR102167461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
KR20220111235A (ko) 사고 성향에 기반하여 운전자를 평가하는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102086684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
US20210303349A1 (en) System for tracking a resource maintenance and resource capabilities
KR102517282B1 (ko) 자동차 매니지먼트 시스템 및 방법
JP2023553245A (ja) 輸送手段の使用の判定
IT201900000106A1 (it) Sistema per la determinazione del valore effettivo di un veicol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