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5344B1 -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5344B1
KR101835344B1 KR1020170174954A KR20170174954A KR101835344B1 KR 101835344 B1 KR101835344 B1 KR 101835344B1 KR 1020170174954 A KR1020170174954 A KR 1020170174954A KR 20170174954 A KR20170174954 A KR 20170174954A KR 101835344 B1 KR101835344 B1 KR 101835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ser
information
condi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4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정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티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티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티스트
Priority to KR1020170174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53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4Monitoring the functioning of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40/09Driving style or behavi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097Predicting future condi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2Registering or indicat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onl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28Whee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0Accelerator ped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2Brake ped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30Driving sty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OBD(On-Board Diagnostics)와 IFTTT(If This Then That)를 이용한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IFTTT가 지원하는 앱들을 통해 실시간으로 차량 상태에 대한 정보를 누구나 쉽게 수신하여 활용할 수 있는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은 차량의소유주나 정비사가 별도의 커넥터없이 자가진단시스템과 연결됨과 동시에 항상 사용하는 웹 서비스와 연동하여 자동차의 손 쉬운 관리 및 실시간 차량 모니터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IFTTT를 활용하여 어플리케이션 간의 호환을 통해 차량 소유주의 생활 패턴에 맞는 웹 서비스와 연동 가능한 효과가 있다. 더하여, 자가진단시스템의 분석결과에 따라 차량 소유주에게 필요한 차량관리 정보를 제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MONITORING VEHICLE STATUS SYSTEM}
본 발명은 OBD(On-Board Diagnostics)와 IFTTT(If This Then That)를 이용한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IFTTT가 지원하는 앱들을 통해 실시간으로 차량 상태에 대한 정보를 누구나 쉽게 수신하여 활용할 수 있는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OBD(On-Board Diagnostics)는 차량에 내장된 컴퓨터로서 차량의 운행과 관련된 제어 장치 및 시스템을 감시하고 고장이 진단되면 운전자에게 이를 알려 안전운전을 유도한다. 자동차에는 여러 가지 계측과 제어를 위한 다양한 센서들이 탑재되어 있으며 이러한 센서장치들은 ECU(Electronic Control Unit)에 의하여 제어되고 있다. ECU의 원래 개발 목적은 점화시기와 연료분사, 가변 밸브 타이밍, 공회전, 한계값 설정 등 엔진의 핵심 기능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이었으나 차량과 컴퓨터 성능의 발전과 함께 자동변속기 제어를 포함해 구동계통, 제동계통, 조향계통 등 차량의 모든 부분을 제어하는 역할까지 동시에 수행한다.
이러한 전자적인 진단 시스템은 발전을 거듭하여 최근 OBD-2라는 표준화된 진단 시스템으로 정착되었으며, 차량의 배출가스 진단 및 고장 정보를 하나의 기기로 모든 차량에서 검색할 수 있고, 안전 및 차대에 대한 고장 정보 또한 검색이 가능하여 차량의 운전자와 정비사가 고장을 더 쉽게 파악하고 접근할 수 있게 해준다. OBD 표준은 자동차에 부착된 센서들로부터 ECU로 전달된 자동차의 주요 계통에 대한 정보나 고장 등의 정보를 직렬 통신기능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콘솔이나 외부장치에서 볼 수 있도록 한 기능이다. 이러한 표준의 제정으로 인하여 자동차의 진단이 손쉽게 되었으며, 향후 자동차의 자동화된 진단 시스템이라는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종래 OBD를 활용한 자가 진단 시스템은 차량의 파워드레인, 고장코드, 산소센서모니터링, 자동차정보, 외부기기의 온보드 시스템 조작과 테스트 등 여러가지 기능을 지원하지만 차량의 소유주나 정비사가 별도의 커넥터를 이용하여 별도로 체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가 진단 시스템이 작동하여 운전자에게 차량의 고장 정보를 경고등을 통해 제공하더라도, 운전 경험이 적은 초보운전자의 경우 경고등의 심각성을 쉽게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하여, 자가 진단 시스템은 차량이 고장이 난 후에 고장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운전자가 미리 차량의 문제점을 파악하지 못하므로 가족여행 및 출장과 같은 장거리 운전 중의 심각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2016-0131338호 (2016. 11. 16. 공개)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2016-0063906호 (2016. 06. 07.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차량의 소유주나 정비사가 별도의 커넥터없이 자가진단시스템과 연결됨과 동시에 자주 사용하는 웹 서비스와 연동하여 자동차의 손 쉬운 관리 및 실시간 차량 모니터링이 가능한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IFTTT를 활용하여 어플리케이션 간의 호환을 통해 차량 소유주의 생활 패턴에 맞는 웹 서비스와 연동 가능한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자가진단시스템의 분석결과에 따라 차량 소유주에게 필요한 차량관리 정보를 제안할 수 있는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은 차량으로부터 차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로부터 차량에 관한 정보와 사용자가 설정한 연동 서비스의 조건과 동작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차량 상태를 기반으로 연동서비스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별하는 판별부; 및 상기 판별부에서 연동서비스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사용자가 설정한 동작을 실행하는 동작 실행부;를 포함하고, IFTTT(If This Then That)를 실행하여 사용자로부터 연동서비스를 제공할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와 연동서비스의 조건 및 동작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판별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차량에 설치된 OBD(On-Board Diagnostics) 장치와 연결되어 차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연동서비스의 조건 및 동작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사용자가 기설정한 조건을 차량 상태와 비교하여 차량 상태가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동작 실행부는: 상기 판별부에서 차량 상태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별되면 상기 차량 모니터링 시스템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연동서비스의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차량의 실시간 GPS 정보를 측정하는 GPS부; 및 상기 차량 상태를 기반으로 차량의 고장을 예측하는 고장 예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장 예측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차량에 관한 정보로부터 자동차의 속도, 엑셀레이터 및 브레이크의 조작, 바퀴의 회전 속도, 엔진과 연료 계통의 정보, 자동차의 배기 상태, 냉각수 온도, 엔진 오일 온도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정보를 기초로 자동차의 운행기록을 포함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용자 데이터를 이용해 차량의 속도, 방향 및 자세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결과를 차량의 운행 기록 및 운행 패턴과 결합해서 차량의 고장을 예측할 수 있다.
상기 고장 예측부는: 차량의 운행 정보를 기초로 차량 운행 지역의 기상 및 지형 조건을 반영하여 차량에 가해지는 부하의 정도를 기상 부하 및 지형 부하로 나누어 등급으로 분류하거나 차량의 정비 이력을 반영하여 차량에 가해지는 부하의 정도를 정비 부하로 나누어 등급으로 분류하는 부하 분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장 예측부는 상기 부하 분류부로부터 기상 부하, 지형 부하 및 정비 부하 등급을 받아 이를 기초로 차량의 고장 예측을 할 수 있다.
차량의 급발진, 급회전, 급정지, 충돌 및 추돌의 이상 운행 정보 만을 추려 분석한 결과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이상 운행 정보를 이용해 산출된 이상 운행 점수 및 이상 운행 정보를 제외한 정상 운행 정보만을 이용해 산출된 정상 운행 점수를 기초로 사용자의 운전 습관에 대한 점수를 산출하는 점수 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별부는: 사용자가 설정한 연동 서비스의 조건이 만족되면 사용자가 설정한 동작을 하기 위해 차량이 특정장소에 위치해야 하는 경우, 상기 GPS부에서 측정된 GPS 정보 기준으로 차량의 현재 위치에서 기설정된 반경 내에 특정장소가 기설정된 개수 이상 존재하면 사용자가 설정한 연동 서비스의 조건의 수치를 조절해서 사용자가 설정한 동작의 실행을 미루고, 상기 GPS부에서 측정된 GPS 정보 기준으로 차량의 현재 위치에서 기설정된 반경 내에 특정장소가 기설정된 개수 미만 존재하면 사용자가 설정한 연동 서비스의 조건의 수치를 조절해서 사용자가 설정한 동작의 실행을 당길 수 있다.
상기 판별부는: 사용자가 설정한 연동 서비스의 조건의 수치를 조절해서 사용자가 설정한 동작의 실행을 미루는 경우에 기설정된 반경 내에 특정장소의 개수가 많을수록 차등적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동작의 실행을 미루고, 사용자가 설정한 연동 서비스의 조건의 수치를 조절해서 사용자가 설정한 동작의 실행을 당기는 경우에 기설정된 반경 내에 특정장소의 개수가 적을수록 차등적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동작의 실행을 당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은 차량의소유주나 정비사가 별도의 커넥터없이 자가진단시스템과 연결됨과 동시에 항상 사용하는 웹 서비스와 연동하여 자동차의 손 쉬운 관리 및 실시간 차량 모니터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은 IFTTT를 활용하여 어플리케이션 간의 호환을 통해 차량 소유주의 생활 패턴에 맞는 웹 서비스와 연동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은 자가진단시스템의 분석결과에 따라 차량 소유주에게 필요한 차량관리 정보를 제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이상 경고등이 들어왔을 때 스마트폰 알림을 받는 시나리오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름이 일정량 남았을 때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에 일정이 추가되는 시나리오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설정한 연동 서비스의 조건 및 동작이 특정장소와 관련이 있는 경우에 상기 조건의 수치를 조절하는 것을 설명하기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10)은 차량에 설치된 OBD(On-Board Diagnostics)와 스마트폰 간의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종래에는 OBD 장치(20)를 통해 차량의 상태 정보를 알 수 있지만, 이는 사용자가 별도로 체크해야 한다. 그러나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10)을 이용하면 사용자가 평소에 사용하는 서비스(애플리케이션)와 IFTTT(If This Then That)를 통해 연동되어 차량을 쉽게 모니터링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10)은 IFTTT를 실행하여 사용자로부터 연동서비스를 제공할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와 연동서비스의 조건 및 동작을 입력받는다.
여기서,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10)은 컴퓨팅 장비로서, 일 예로는 스마트폰, PC(데스크탑 PC, 노트북 등)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10)은 PC, 스마트폰으로 제한되지 않고, 태블릿 PC, 서버, 워크스테이션 등 각종 전자장치일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10)은 통신부(100), 판별부(200), 동작 실행부(300), 저장부(400), GPS부(500), 고장 예측부(600)를 포함한다.
더 상세하게는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10)은 스마트폰과 차량에 설치된 OBD 장치(20)를 블루투스로 연결한 후 실시간으로 차량에 대한 정보(예를 들면, 촉매기, 촉매기 히터, 공기비센서, 기관 실화 감시 시스템, EGR-시스템, 연료탱크 환기시스템, 2차공기 시스템 및 배기가스 관련 부품의 전기회로 등)를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10)의 통신부(100)를 통해서 수신한다. 그 뒤,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10)은 스마트폰의 캘린더, 리마인더, 웹드라이브 등의 연동 서비스와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을 주고, 데이터를 상용 애플리케이션에 등록한다.
상기 통신부(100)는 차량으로부터 차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 이 때 통신부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이용해서 차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정보를 교환한다. 통신부(100)의 통신방식의 일 예로는 블루투스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NFC, RFID, 비콘 등 각종 다양한 통신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차량 상태 정보는 차량의 센서로부터 측정된 파워트래인 진단 정보, 고장 코드 정보(DTC), OBD 컨트롤 및 자동차 정보이며, 상기 파워트래인 진단 정보는 엔진, 변손
상기 저장부(400) 통신부(100)로부터 차량에 관한 정보와 사용자가 설정한 연동서비스의 조건과 동작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IFTTT는 인터넷과 컴퓨터에 존재하는 여러가지 별개의 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을 임의로 연동시켜주는 서비스이다. 누구나 쉽게 IFTTT가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연동을 할 수 있다. IFTTT는 메신저, 일정, 메일, SNS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과 연동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판별부(200)는 차량 상태를 기반으로 연동 서비스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별한다. 판별부(200)는 상기 통신부(100)을 통해 차량에 설치된 OBD 장치(20)와 연결되어 차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400)에 저장하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연동서비스의 조건 및 동작을 저장부(400)에 저장한다.
더해서, 판별부(200)는 사용자가 기설정한 조건을 차량 상태와 비교하여 차량 상태가 해당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상기 동작 실행부(300)는 판별부(200)에서 연동서비스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사용자가 설정한 동작을 실행한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동작 실행부(300)은 상기 판별부(200)에서 차량 상태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별되면 상기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1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연동서비스의 동작을 실행한다.
상기 GPS부(500)는 차량의 실시간 GPS 정보를 측정한다.
상기 고장 예측부(600)는 차량 상태를 기반으로 차량의 고장을 예측한다. 고장 예측부(600)는 저장부(400)에 저장된 차량에 관한 정보로부터 자동차의 속도, 엑셀레이터 및 브레이크의 조작, 바퀴의 회전 속도, 엔진과 연료 계통의 정보, 자동차의 배기 상태, 냉각수 온도, 엔진 오일 온도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기초로 자동차의 운행기록을 포함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기초로 차량의 속도, 방향 및 자세를 분석한다. 그리고, 분석된 결과를 차량의 운행기록과 사용자의 운행 패턴과 결합하여 차량의 고장을 예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차량 상태를 모니터링 하기 위해서는 차량에 설치된 OBD 장치(20)와 스마트폰과 블루투스 페어링을 통해 연결한다(S1000). 연결이 되면 차량에 설치된 OBD 장치(20)로부터 차량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이 때 차량 정보는 차량의 계측장치(센서)로부터 측정되는 차량의 엔진장치, 구동장치, 제동장치 및 조향장치 등의 차량 상태 정보이다(S1100).
그리고 저장부(400)에 저장된 연동 서비스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통신부(100)를 통해 얻은 차량 상태 정보와 비교해서 판별한다(S1200). 만약,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조건을 만족되면 사용자가 설정한 동작을 실행한다(S130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이상 경고등이 들어왔을 때 스마트폰 알림을 받는 시나리오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IFTTT 서비스를 통해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에서 엔진 이상 신호를 받으면(조건), 알림(동작)이 활성화되도록 설정한다(S2000). 그 후,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에서 차량에 설치된 OBD 장치(20)로부터 엔진 이상 정보를 수신하면(S2100), IFTTT에서 엔진 이상 정보(조건)가 수신되었음을 감지한다(S2200). 그렇게 되면 스마트폰에서 알림(동작)이 활성화된다(S230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름이 일정량 남았을 때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에 일정이 추가되는 시나리오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IFTTT 서비스를 통해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에서 기름량이 10% 이하가 되면(조건),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에 일정이 추가되도록(동작) 설정한다(S3000). 그 후,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에서 차량에 설치된 OBD장치(20)로부터 남은 기름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S3100). 그 뒤, IFTTT로 수신된 기름량이 10% 이하가 되면(조건)(S3200), 캘린더 애플리케이션에 퇴근하면서 주유를 하는 일정이 추가된다(동작)(S33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장 예측부(600)는 부하 분류부(620)을 더 포함한다. 부하 분류부(620)은 차량의 운행 정보를 기초로 차량 운행 지역의 기상 및 지형 조건을 반영하여 차량에 가해지는 부하의 정도를 기상 부하 및 지형 부하로 나누어 등급을 분류하거나 차량의 정비 이력을 반영하여 차량에 가해지는 부하의 정도를 정비 부하로 나누어 등급으로 분류할 수 있다.
고장 예측부(600)는 부하 분류부(620)로부터 기상 부하, 지형 부하 및 정비 부하 등급을 받아 이를 기초로 차량의 고장 예측을 한다.
예를 들면, 부하 분류부(620)가 기상 부하의 등급을 정하는데 있어서, 차량의 운행 정보와 날씨 정보를 매칭하여 차량이 비 또는 눈이 오는 지역을 운행한 경우와 차량이 비 또는 눈이 오지 않는 지역을 운행한 경우를 구분하여 등급을 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부하 분류부(620)가 지형 부하의 등급을 정하는데 있어서, 차량의 운행정보와 지형의 특성 정보를 매칭하여 차량이 바닷가 근처의 염분이 많이 지역을 자주 운행하는 경우, 정비되지 않은 농로를 자주 운행하는 경우에는 등급을 낮게 주어 지형 부하의 등급을 조절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부하 분류부(620)가 정비 부하의 등급을 정하는데 있어서, 차량의 각각의 부품은 권장 교체 주기가 있다. 각각의 부품의 교체 주기를 기준으로 차량의 정비 이력을 확인하여 차량의 정비 부하의 등급을 차등하여 분류할 수 있다.
고장 예측부(600)는 기상 부하, 지형 부하 및 정비 부하의 등급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차량의 고장을 예측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차량의 상태를 쉽게 확인 할 수 있고, 정비소에서는 차량의 상태를 객관적인 데이터로 확인할 수 있어 차량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10)은 차량의 급발진, 급회전, 급정지, 충돌 및 추돌의 이상 운행 정보 만을 추려 분석한 결과를 저장부(400)에 저장하고, 이상 운행 정보를 이용해 산출된 이상 운행 점수 및 이상 운행 정보를 제외한 정상 운행 정보만을 이용해 산출된 정상 운행 점수를 기초로 사용자의 운전 습관에 대한 점수를 산출하는 점수 산출부(7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점수 산출부(700)는 차량의 특별한 이벤트인 사고로 예상되는 급발진, 급회전, 급정지, 충돌 및 추돌 등의 상황을 제외하고, 정상 운행 정보만을 이용해 사용자의 운전 습관에 대한 점수를 산출한다. 산출된 점수는 보험사에 제공하여 사용자의 보험료를 할인해주거나, 사용자에게 상기 산출된 점수를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안전운전에 대한 경각심 및 만족감을 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설정한 연동 서비스의 조건 및 동작이 특정장소와 관련이 있는 경우에 상기 조건의 수치를 조절하는 것을 설명하기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판별부는(200)는 사용자가 설정한 연동 서비스 조건이 만족되면 사용자가 설정한 동작을 하기 위해 차량이 특정장소에 위치해야하는 경우, GPS부(500)에서 측정된 GPS정보를 기준으로 차량의 현재 위치에서 기설정된 반경(R) 내에 특정장소가 기설정된 개수 이상 존재하면 사용자가 설정한 연동 서비스의 조건의 수치를 낮추고, GPS부(500)에서 측정된 GPS 정보를 기준으로 차량의 현재 위치에서 기설정된 반경 내에 특정장소가 기설정된 개수 미만으로 존재하면 사용자가 설정한 연동 서비스의 조건의 수치를 높인다.
나아가, 사용자가 설정한 연동 서비스의 조건의 수치를 낮추고 높이는데 있어서, 기설정된 반경 내에 특정장소가 기설정된 개수보다 많고 적음에 따라 비례하여 가중치를 부여하여 조건의 수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설정한 연동 서비스 조건과 동작이 "차량에 휘발유가 10%이하가 되면(조건), 알림을 줘(동작)"였다면, 상기 조건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차량이 주유소 라는 특정장소에 위치해야 한다. 그러므로,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연동 서비스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바로 사용자가 설정한 동작을 하기 전에 현재 차량의 위치를 기준으로 반경 10km 내의 주유소를 검색하고 주유소가 10개 이상이 검색되면 사용자는 언제든지 휘발유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5%이하가 되면 알림을 주고, 현재 차량의 위치를 기준으로 반경 10km 내에 주유소가 10개 미만으로 검색되면 15%일 때 알림을 주도록 할 수 있다.
더해서, 사용자가 설정한 연동 서비스의 조건의 수치를 낮추고 높이는데 있어서, 기설정된 차량의 반경을 기준으로 하지 않고 차량의 이동경로를 기준으로 하여 차량의 이동경로 상의 주유소를 검색해서 차량의 이동경로에 위치하는 주유소 총 개수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여 조건의 수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100 : 통신부
200 : 판별부
300 : 동작 실행부
400 : 저장부
500 : GPS부
600 : 고장 예측부
620 : 부하 분류부
700 : 점수 산출부

Claims (7)

  1. 차량으로부터 차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로부터 차량에 관한 정보와 사용자가 설정한 연동 서비스의 조건과 동작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차량의 실시간 GPS 정보를 측정하는 GPS부;
    상기 차량 상태를 기반으로 연동서비스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판별하되, 사용자가 설정한 연동 서비스의 조건이 만족되면 사용자가 설정한 동작을 하기 위해 차량이 특정장소에 위치해야 하는 경우, 상기 GPS부에서 측정된 GPS 정보 기준으로 차량의 현재 위치에서 기설정된 반경 내에 특정장소가 기설정된 개수 이상 존재하면 사용자가 설정한 연동 서비스의 조건의 수치를 조절해서 사용자가 설정한 동작의 실행을 미루고, 상기 GPS부에서 측정된 GPS 정보 기준으로 차량의 현재 위치에서 기설정된 반경 내에 특정장소가 기설정된 개수 미만 존재하면 사용자가 설정한 연동 서비스의 조건의 수치를 조절해서 사용자가 설정한 동작의 실행을 당기는 판별부; 및
    상기 판별부에서 연동서비스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사용자가 설정한 동작을 실행하는 동작 실행부;를 포함하고,
    IFTTT(If This Then That)를 실행하여 사용자로부터 연동서비스를 제공할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와 연동서비스의 조건 및 동작을 입력 받는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차량에 설치된 OBD(On-Board Diagnostics) 장치와 연결되어 차량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연동서비스의 조건 및 동작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사용자가 기설정한 조건을 차량 상태와 비교하여 차량 상태가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동작 실행부는:
    상기 판별부에서 차량 상태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조건을 만족한다고 판별되면 상기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서 연동서비스의 동작을 실행하는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상태를 기반으로 차량의 고장을 예측하는 고장 예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장 예측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차량에 관한 정보로부터 자동차의 속도, 엑셀레이터 및 브레이크의 조작, 바퀴의 회전 속도, 엔진과 연료 계통의 정보, 자동차의 배기 상태, 냉각수 온도, 엔진 오일 온도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정보를 기초로 자동차의 운행기록을 포함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사용자 데이터를 이용해 차량의 속도, 방향 및 자세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결과를 차량의 운행 기록 및 운행 패턴과 결합해서 차량의 고장을 예측하는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예측부는:
    차량의 운행 정보를 기초로 차량 운행 지역의 기상 및 지형 조건을 반영하여 차량에 가해지는 부하의 정도를 기상 부하 및 지형 부하로 나누어 등급으로 분류하거나 차량의 정비 이력을 반영하여 차량에 가해지는 부하의 정도를 정비 부하로 나누어 등급으로 분류하는 부하 분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장 예측부는 상기 부하 분류부로부터 기상 부하, 지형 부하 및 정비 부하 등급을 받아 이를 기초로 차량의 고장 예측을 하는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차량의 급발진, 급회전, 급정지, 충돌 및 추돌의 이상 운행 정보 만을 추려 분석한 결과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이상 운행 정보를 이용해 산출된 이상 운행 점수 및 이상 운행 정보를 제외한 정상 운행 정보만을 이용해 산출된 정상 운행 점수를 기초로 사용자의 운전 습관에 대한 점수를 산출하는 점수 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부는:
    사용자가 설정한 연동 서비스의 조건의 수치를 조절해서 사용자가 설정한 동작의 실행을 미루는 경우에 기설정된 반경 내에 특정장소의 개수가 많을수록 차등적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동작의 실행을 미루고,
    사용자가 설정한 연동 서비스의 조건의 수치를 조절해서 사용자가 설정한 동작의 실행을 당기는 경우에 기설정된 반경 내에 특정장소의 개수가 적을수록 차등적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동작의 실행을 당기는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70174954A 2017-12-19 2017-12-19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35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954A KR101835344B1 (ko) 2017-12-19 2017-12-19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954A KR101835344B1 (ko) 2017-12-19 2017-12-19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5344B1 true KR101835344B1 (ko) 2018-04-19

Family

ID=62087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4954A KR101835344B1 (ko) 2017-12-19 2017-12-19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534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6894A1 (ko) * 2018-12-06 2020-06-11 윤여표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
WO2020116893A1 (ko) * 2018-12-06 2020-06-11 윤여표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
WO2020116895A1 (ko) * 2018-12-06 2020-06-11 윤여표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 정보 활용 시스템
KR20220058373A (ko) * 2020-10-30 2022-05-09 주식회사 비엔씨테크 라스트 마일 모빌리티의 고장 예측 장치 및 방법
CN115339283A (zh) * 2022-07-18 2022-11-15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燃油车空调自动预热控制系统及方法
US11556354B2 (en) 2019-02-01 2023-0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xt-based user-personalized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0050A (ja) * 1997-03-19 1998-09-29 Jatco Corp 情報報知装置
KR20160063906A (ko) * 2014-11-27 2016-06-07 주식회사 케이티 차량 상태 분석 방법, 이를 구현하는 차량 정보 수집 장치 및 스마트 디바이스
KR20160136139A (ko) * 2015-05-19 2016-11-29 동아전장주식회사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699884B1 (ko) * 2016-05-18 2017-01-26 유비씨엔(주) Obd와 gps 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차량정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769102B1 (ko) * 2016-11-25 2017-08-17 주식회사 오복소프트 Obd와 스마트폰을 사용한 보험사 서버와 연동된 자동차 운행기록 분석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0050A (ja) * 1997-03-19 1998-09-29 Jatco Corp 情報報知装置
KR20160063906A (ko) * 2014-11-27 2016-06-07 주식회사 케이티 차량 상태 분석 방법, 이를 구현하는 차량 정보 수집 장치 및 스마트 디바이스
KR20160136139A (ko) * 2015-05-19 2016-11-29 동아전장주식회사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차량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699884B1 (ko) * 2016-05-18 2017-01-26 유비씨엔(주) Obd와 gps 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차량정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769102B1 (ko) * 2016-11-25 2017-08-17 주식회사 오복소프트 Obd와 스마트폰을 사용한 보험사 서버와 연동된 자동차 운행기록 분석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계영 외 2명, IFTTT 서비스를 위한 사물인터넷 실시간 이벤트 처리 룰 관리 시스템, 2017.02. *
이코노믹리뷰, 2017년03월31일자 기사, 「아마존 에코가 있다면 해보고 싶은 것 8가지」. *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16894A1 (ko) * 2018-12-06 2020-06-11 윤여표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 정보 관리 시스템
WO2020116893A1 (ko) * 2018-12-06 2020-06-11 윤여표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
WO2020116895A1 (ko) * 2018-12-06 2020-06-11 윤여표 블록체인을 이용한 차량 정보 활용 시스템
US11556354B2 (en) 2019-02-01 2023-0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xt-based user-personalized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KR20220058373A (ko) * 2020-10-30 2022-05-09 주식회사 비엔씨테크 라스트 마일 모빌리티의 고장 예측 장치 및 방법
KR102476870B1 (ko) * 2020-10-30 2022-12-13 주식회사 비엔씨테크 라스트 마일 모빌리티의 고장 예측 장치 및 방법
CN115339283A (zh) * 2022-07-18 2022-11-15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燃油车空调自动预热控制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5344B1 (ko) 차량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US11625958B2 (en) Assessing historical telematic vehicle component maintenance records to identify predictive indicators of maintenance events
US1186173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a distributed ledger of transactions pertaining to an autonomous vehicle
US10460394B2 (en) Autonomous or partially autonomous motor vehicles with automated risk-controlled systems and corresponding method thereof
US9142142B2 (en) In-car driver tracking device
CN103043057B (zh) 基于车辆位置信息的异常驾驶判定和警报系统
CN113348111A (zh) 车辆安全监视装置、方法以及程序
KR20180105850A (ko) 차량 고장 진단 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US20170011562A1 (en) System for performing driver and vehicle analysis and alerting
US2012024579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ing mixed problems with vehicle
KR20190122298A (ko) 차량 진단 시스템
US1155336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essing vehicle data transmission capabilities
US11210870B2 (en) On-board diagnostic monitor planning and execution
US20220383421A1 (en) Electronic System for Forward-looking Measurements of Frequencies and/or Probabilities of Accident Occurrences Based on Localized Automotive Device Measurements, And Corresponding Method Thereof
JPWO2005057519A1 (ja) 車両情報収集管理方法、車両情報収集管理システム、その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情報管理基地局装置および車両
CN109952600A (zh) 一种用于基于车辆的状态的确定来估计车辆的行驶时间的方法
KR101934857B1 (ko) 차량 배터리 상태 진단 장치
CN108281025A (zh) 用于运行车辆的方法
Khanapuri et al. On road: A car assistant application
KR20160124044A (ko) 차량운행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umar et al. Connected Vehicle Data–Prognostics and Monetization Opportunity
Chapman PUBLISHED PROJECT REPORT PPR2017
SE1451083A1 (sv) A system and method for road quality evaluation
ATKINS et al. HIGH-FIDELITY IN-SERVICE PERFORMANCE EVALUATION OF HEAVY GOODS VEHICLES IN SOUTH AFRIC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