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5619A - 반사방지 필름의 제조방법, 반사방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반사방지 필름의 제조방법, 반사방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5619A
KR20120005619A KR1020100066138A KR20100066138A KR20120005619A KR 20120005619 A KR20120005619 A KR 20120005619A KR 1020100066138 A KR1020100066138 A KR 1020100066138A KR 20100066138 A KR20100066138 A KR 20100066138A KR 20120005619 A KR20120005619 A KR 20120005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ow refractive
layer
antireflection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6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거산
금동기
정유연
김홍건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6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5619A/ko
Publication of KR20120005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6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634Production of filters
    • B29D11/00644Production of filters polari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74Production of other 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B29D11/00009- B29D11/0073
    • B29D11/00788Producing optical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1Anti-reflection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which influences the bonding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e.g. release layers or pressure equalising layers
    • B32B2037/268Releas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30Fillers, e.g. particles, powders, beads, flakes, spheres, chi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사방지 필름의 제조방법, 반사방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사방지 필름의 제조방법은 투명기재 상에 표면전하를 갖는 저굴절 비드를 포함하는 반사방지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코팅하여 반사방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사방지층의 상면에 이형필름을 부착시킨 다음 잡아당겨 박리대전에 의해 상기 반사방지층의 표면으로 저굴절 비드가 배향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반사방지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저굴절 비드를 포함하는 반사방지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박리대전에 의해 표면에 저굴절 비드가 배향되도록 함으로서 종래 저굴절층에 해당되는 저굴절 코팅부와 종래 고굴절층에 해당되는 고굴절 코팅부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어 코팅 공정을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우수한 반사방지 효과를 갖는 반사방지 필름의 제조가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반사방지 필름은 편광판 및 표시 장치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반사방지 필름의 제조방법, 반사방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표시 장치{ANTI-REFLECTION FILM, M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TPOLARIZING PLAT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사방지 필름의 제조방법, 반사방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액정 디스플레이(LCD)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판(PDP)와 같은 디스플레이 산업이 발달하고, 국내의 디지털 방송의 방식이 확정되면서 디지털 TV의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모니터와 달리 TV의 경우 시인각이 다양하여 반사광에 의한 눈부심과 디스플레이 전면의 반사로 인해 화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의 반사방지 필름이 개발되었는데, 디스플레이 전면 외곽에 빛의 난반사를 이용한 방현(Anti-Glare) 필름을 부착하는 방법과, 빛의 상쇄간섭을 이용한 반사방지(Anti-Reflection) 필름을 부착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방현 필름은 헤이즈가 높아져 화질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어 그 사용 용도가 LCD로 한정된다.
반면, 상기 반사방지 필름은 반사방지 효과는 물론 내마모성과 내오염성, 대전방지성을 부여하여 그 사용 용도의 폭이 넓다. 상기 반사방지 필름은 일반적으로 투명기재 위에 하드코팅층, 고굴절층, 저굴절층을 차례로 형성한 구조를 갖는다. 특히 근래에는 좀더 우수한 반사방지성을 얻기 위하여 고굴절층과 저굴절층을 번갈아 적층한 다중층의 구조로 설계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의 다중층 구조의 반사방지 필름은 다수의 코팅공정이 실시되어 생산성이 떨어지고 단가 상승의 문제점이 있다. 특히 대형 TV의 대중화를 위해서 디스플레이의 가격 하락이 필수적이므로 단순한 구조를 가져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사방지 필름의 제조방법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간단한 공정을 통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반사방지효과를 갖는 반사방지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우수한 반사방지 효과를 갖는 반사방지 필름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반사방지 필름을 포함하여 우수한 반사방지 특성을 갖는 편광판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반사방지 필름을 포함하여 우수한 반사방지 특성을 갖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사방지 필름의 제조방법은 투명기재 상에 표면전하를 갖는 저굴절 비드를 포함하는 반사방지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코팅하여 반사방지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반사방지층의 상면에 이형필름을 부착시킨 다음 잡아당겨 박리대전에 의해 상기 반사방지층의 표면으로 저굴절 비드가 배향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반사방지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사방지층의 상면에 이형필름을 부착시킨 다음 잡아당겨 박리시 그 박리 속도는 50~500mm/sec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굴절 비드의 표면 전하는 그 절대값이 50mV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굴절 비드는 중공 실리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공 실리카는 상온에서 1.20~1.40의 굴절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공 실리카는 내부 중공부의 부피가 중공부를 포함하는 실리카 전체 부피에 대하여 20~80%의 부피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공 실리카의 입도가 10nm~150nm인 것이 좋다.
상기 저굴절 비드는 반사방지층 형성용 코팅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20중량부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반사방지층 형성용 조성물은 광중합성 화합물, 저굴절 비드, 광개시제 및 용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사 방지 필름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반사방지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반사방지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저굴절 비드를 포함하는 반사방지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박리대전에 의해 표면에 저굴절 비드가 배향되도록 함으로서 종래 저굴절층에 해당되는 저굴절 코팅부와 종래 고굴절층에 해당되는 고굴절 코팅부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어 코팅 공정을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우수한 반사방지 효과를 갖는 반사방지 필름의 제조가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반사방지 필름은 편광판 및 표시 장치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방지 필름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반사방지 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반사방지 필름의 단면을 촬영한 FE-SEM(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사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반사방지 필름의 단면을 촬영한 FE-SEM(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방지 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반사방지 필름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반사방지 필름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반사방지 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 내지 도 1c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사방지 필름(100)의 제조방법은 투명기재(110) 상에 표면전하를 갖는 저굴절 비드를 포함하는 반사방지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코팅하여 반사방지층(120)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반사방지층(120)의 상면에 이형필름(210)을 부착시킨 다음 잡아당겨 박리대전에 의해 상기 반사방지층(120)의 표면으로 저굴절 비드가 배향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반사방지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방지 필름(100)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기재(110) 상에 표면전하를 갖는 저굴절 비드를 포함하는 반사방지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코팅하여 반사방지층(120)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상기 투명기재(110)로서는 투명성이 있는 플라스틱 필름이면 어떤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 투명기재(110)로는 예를 들면, 노르보넨이나 다환 노르보넨계 단량체와 같은 시클로올레핀을 포함하는 단량체의 단위를 갖는 시클로올레핀계 유도체, 셀룰로오스(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아세틸셀룰로오스부틸레이트, 이소부틸에스테르셀룰로오스, 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부티릴셀룰로오스, 아세틸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크릴,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술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술폰,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에폭시 중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미연신 1축 또는 2축 연신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예시한 투명기재(110) 중에서도 투명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1축 또는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나, 투명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면서 필름의 대형화에 대응할 수 있는 시클로올레핀계 유도체 필름 또는 투명성 및 광학적으로 이방성이 없다는 점으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투명기재(110)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8~1000㎛이고, 바람직하게는 40~100㎛이다. 상기 투명기재(110) 필름의 두께가 8㎛ 미만이면 필름의 강도가 저하되어 가공성이 떨어지게 되고, 1000㎛ 초과이면 투명성이 저하되거나 편광판의 중량이 커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반사방지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은 표면 전하를 갖는 저굴절 비드를 포함하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광중합성 화합물, 표면전하를 갖는 저굴절 비드, 광개시제 및 용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중합성 화합물은 경화층의 형성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광과 후술하는 광개시제에 의해 중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화합물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광중합성 화합물은 (메타)아크릴레이트기 등의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레이트계의 올리고머, 프리폴리머 또는 모노머를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또는 프리폴리머는 비교적 저분자량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알키드 수지, 스피로아세탈 수지, 폴리부타디엔 수지, 폴리티올폴리엔 수지, 다가 알코올 등의 다관능 화합물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올리고머 또는 프리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관능 화합물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올리고머 또는 프리폴리머는 구체적으로 비스페놀A알킬렌옥사이드 부가체의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비스페놀A형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노볼락형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등), 폴리에스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예를 들면 지방족 폴리에스테르형 (메타)아크릴레이트, 방향족 폴리에스테르형 (메타)아크릴레이트 등), (폴리)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형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형 우레탄(메타)아크릴레이트), 실리콘(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예시된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올리고머 또는 프리폴리머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구체적으로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릭에스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롤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디(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덱실(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퍼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에서 예시한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의 올리고머, 프리폴리머 또는 모노머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메타)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필요에 따라서 상기 광중합성 화합물은 금속 산화물 표면을 (메타)아크릴레이트로 치환한 유-무기 하이브리드 타입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금속 산화물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표면에 수산화기를 가지면 쉽게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는 실리카, 안티모니 도프 산화 주석(ATO), 인듐 도프 산화 주석(ITO), 인 도프 산화 주석(PTO), 오산화안티몬, 지르코늄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중합성 화합물은 제한되지는 않지만 상기 반사방지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60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중합성 화합물의 함량이 상기의 기준으로 5중량부 미만일 경우 충분한 강도를 갖는 경화층의 형성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60중량부 초과일 경우 반사방지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저굴절 비드는 표면으로 배향된 후 굴절률을 낮추어 반사방지 특성을 높여주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저굴절 비드를 표면으로 배향시키기 위하여 박리대전을 이용하게 되는데, 그에 따라 상기 저굴절 비드의 표면 배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저굴절 비드는 표면에 전하를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굴절 비드의 표면 전하는 그 절대값이 50mV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굴절 비드의 표면 전하의 절대값이 50mV 미만일 경우 표면 전하량이 너무 적어 박리대전에 의해 저굴절 비드의 표면 배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상기 저굴절 비드는 중공 실리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공 실리카는 상온에서의 굴절률이 1.20∼1.4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공 실리카의 상온에서의 굴절률이 1.20보다 작은 경우 중공 실리카의 강도가 약해져 반사방지 필름(100)의 내스크래치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1.40보다 큰 경우 충분한 반사방지 효과를 발휘하기 어렵다. 여기서 굴절률은 실리카의 굴절률, 즉 중공 입자를 형성하는 외곽의 굴절률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입자 전체의 굴절률을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중공 실리카 입자의 굴절률은 Abbe 굴절률계(ATAGO사 제품)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중공 실리카는 입도가 10nm~15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공 실리카의 입도가 10nm보다 작을 경우 내부의 실리카 내부의 중공부가 너무 적어 충분한 저굴절 효과를 발휘하기 어려우며, 150nm보다 큰 경우 산란에 의한 백화현상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중공 실리카의 중공부의 부피는 중공부를 포함하는 실리카의 전체 부피에 대하여 20~80%의 부피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공 실리카의 부피비가 상기의 기준으로 20% 미만인 경우 굴절률 저하가 크지 않아 반사방지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80%를 초과할 경우 중공 실리카의 강도가 약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저굴절 비드는 반사방지층 형성용 코팅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20중량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굴절 비드의 함량이 상기의 기준으로 5중량부 미만인 경우 저굴절 비드가 표면에 배향되더라도 그 함량이 충분하지 않아 반사방지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20중량부 초과인 경우 박리대전에 의해 저굴절 비드의 표면 배향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본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구체적으로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폴린프로판온-1, 디페닐케톤벤질디메틸케탈, 2-히드록시-2-메틸-1-페닐-1-온, 4-히드록시시클로페닐케톤, 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안트라퀴논, 플루오렌, 트리페닐아민, 카바졸, 3-메틸아세토페논, 4-클로로아세토페논, 4,4-디메톡시아세토페논, 4,4-디아미노벤조페논,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예시된 광개시제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가 벤조페논과 같은 수소 탈환형 광개시제를 포함할 경우 산소장애 효과를 억제하여 표면 경도를 향상 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광개시제는 벤조페논계 수소 탈환형 광개시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벤조페논계 수소 탈환형 광개시제로는 벤조페논, 2,4,6-트리메틸벤조페논, 4-메틸벤조페논, 4-(4-메틸페닐티오)페닐메탄논, 3,3'-디메틸-4-메톡시벤조페논, 메틸2-벤조일벤조레이트, 4-페닐-벤조페논, 4,4'-비스(디메릴아미노)-벤조페논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로 벤조페논계 수소 탈환형 광개시제를 사용하는 경우 광 중합과정에서 발생하는 휘발성의 문제와 산소 장애 문제를 최대한 억제시키기 위하여 상기 광개시제와 함께 광증감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광증감제는 구체적으로 아민(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트리에틸아민, 디에틸아민, 메틸디에탄올아민, 에탄올아민, 이소아밀4-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제한되지는 않지만, 상기 반사방지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가 상기의 기준으로 0.1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경화속도가 느려지는 단점이 있고, 1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과경화에 의해 반사방지층(120)의 표면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용제는 당해 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구체적으로 알코올계(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메틸셀루소브, 에틸솔루소브 등), 케톤계(메틸에틸케톤, 메틸부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디에틸케톤, 디프로필케톤, 시클로헥사논 등), 헥산계(헥산, 헵탄, 옥탄 등), 벤젠계(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예시된 용제들은 각각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반사방지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 전체100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80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용제가 상기 기준으로 30중량부 미만이면 점도가 높아 코팅이 힘들고, 8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경화 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성분들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반사방지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에는 당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 예를 들어 대전방지제, 항산화제, UV 흡수제, 광안정제, 열적고분자화 금지제, 레벨링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방오제 등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조성을 갖는 반사방지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투명기재(110)에 코팅하여 반사방지층(12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반사방지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의 코팅은 다이코터, 에어 나이프, 리버스 롤, 스프레이, 블레이드, 캐스팅, 그라비아, 마이크로 그라비아 또는 스핀코팅 등의 적당한 방식으로 도공(Coating Process)이 가능하다.
상기 반사방지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의 코팅 두께는 경화 후의 두께가 0.5~10㎛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팅시의 두께가 10㎛ 초과일 경우 표면배향이 원활하게 일어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경화 후 표면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코팅시의 두께가 0.5㎛ 미만일 경우 필름의 강도가 떨어져 표면 손상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반사방지 성능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투명기재(110) 상에 표면전하를 갖는 저굴절 비드를 포함하는 반사방지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코팅한 다음에는 도 1b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사방지층(120)의 상면에 이형필름(210)을 부착시킨 다음 잡아당겨 박리대전에 의해 상기 반사방지층(120)의 표면으로 저굴절 비드가 배향되도록 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여기서 박리대전이라 함은 서로 밀착되어 있는 물체가 떨어질 때 전하분리가 일어나 정전기가 발생하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서, 접촉면적, 밀착력, 박리속도에 의해 정전기의 발생량이 변한다.
본 발명에서는 표면전하를 갖는 저굴절 비드를 표면으로 배향시키기 위하여 반사방지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코팅하여 형성된 반사방지층(120) 상면에 이형필름(210)을 밀착시킨 후 떼어내어 박리대전을 형성시키는 방법을 이용한다.
상기 이형필름(210)은 박리시 대전이 가능한 것이라면 어떤 것이든 사용가능하나, 대전서열에 의해 전하량의 차이가 발생하고 박리하는 속도에 의해 대전량이 달라지므로 이형필름(210)은 이를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형필름(210)은 반사방지층(120)보다 상대적으로 (-)로 대전되기 쉬운 재질의 필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분자 합성섬유, 폴리우레탄,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실리콘 및 테프론 등의 재질로 된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즉 반사방지층(120) 보다 상대적으로 (-)로 대전되기 쉬운 재질의 이형필름(210)을 사용하여 박리시키는 경우 이형필름(210)에는 (-)전하가 대전되고, 반사방지층(120) 표면에는 (+) 전하가 대전되어 표면에 (-) 전하를 가지는 저굴절 비드가 표면으로 배향하게 된다. 물론, 이형필름(210)으로 반사방지층(120) 보다 상대적으로 (+)로 대전되기 쉬운 것을 사용할 경우 이형필름(210)에 (+)전하가 대전되고, 반사방지층(120) 표면에는 (-) 전하가 대전되어 표면에 (+) 전하를 갖는 저굴절 비드가 표면으로 배향될 수도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이형필름(210)의 박리시 박리속도에 따라 대전량이 달라지므로, 박리속도가 매우 중요하다. 상기 박리 속도는 50~500mm/sec인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속도가 500mm/sec보다 빠르면, 표면의 코팅층이 손상되어 반사방지 성능을 발현하기 어려우며, 50mm/sec 보다 느린 경우 코팅층에 충분한 정전기를 형성하기 어려워 표면 전하를 갖는 저굴절 비드의 표면 배향이 어려워진다.
이때 저굴절 비드가 표면 배향되어 형성되는 저굴절 코팅부(121)는 대략 100 내지 150nm 정도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두께에서 우수한 반사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형필름(210)의 박리에 의해 상기 반사방지층(120)의 표면으로 저굴절 비드가 배향되면 반사방지층은 그 표면에 저굴절 비드가 배향되어 형성된 저굴절 코팅부 및 상기 저굴절 코팅부의 하부에 형성된 고굴절 코팅부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저굴절 코팅부와 고굴절 코팅부는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반사방지층(120)의 저굴절 비드 표면 배향이 완료되면 상기 반사방지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반사방지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의 경화를 위하여 먼저 30 내지 150℃의 온도에서 10초 내지 2시간 동안,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초 내지 1시간 동안 휘발물을 증발시켜 건조시킨다. 이후 UV광을 조사하여 경화시킨다. 상기 UV광의 조사량은 약 0.01 내지 10J/㎠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내지 2J/㎠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실시하여 경화가 완료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본 발명에 따른 반사방지 필름(100)이 얻어진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반사방지 필름(100)의 제조방법은 하나의 코팅공정 후 박리대전을 통해 간단히 표면전하를 갖는 저굴절 비드를 표면으로 배향시켜 저굴절 코팅부(121)와 고굴절 코팅부(122)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적어도 두개의 코팅 공정을 거쳐야 하는 것에 비하여 간단하게 반사방지 필름(100)을 제조할 수 있어 생산성의 향상과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반사방지 필름(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기재(110)와 상기 투명기재(110)상에 형성된 반사방지층(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반사방지층(120)은 저굴절 코팅부(121) 및 상기 저굴절 코팅부(121)와 일체로 형성되는 고굴절 코팅부(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저굴절 코팅부(121)는 표면에 저굴절 비드가 배향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굴절 코팅부(122)는 상기 저굴절 코팅부(121)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저굴절 코팅부(121)와 고굴절 코팅부(122)를 포함하는 반사방지층(1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저굴절 비드를 포함하는 반사방지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되며, 상기 저굴절 비드가 표면으로 배향되어 저굴절 코팅부(121)를 이룸에 따라 상기 저굴절 코팅부(121)의 하면에는 자연스럽게 상기 저굴절 코팅부(121)와 일체로 형성된 고굴절 코팅부(122)가 형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반사방지 필름(100)은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우수한 반사방지 특성을 나타낸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반사방지 필름(100)은 반사방지를 필요로 하는 물품, 특히 이하에 언급되는 편광판(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이나 각종의 표시 장치(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에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은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반사방지 필름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편광판은 본 발명에 따른 방사방지 필름을 일반적인 편광자 또는 상기 일반적인 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판의 적어도 일면에 적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반적인 편광자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나 2색성 염료 등의 2색성 물질을 흡착시켜 1축 연신한 필름, 폴리비닐 알코올의 탈수처리물이나 폴리염화비닐의 탈염산처리물 등 폴리엔계 배향 필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과 요오드 등의 2색성 물질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이들 편광자의 두께는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5~80㎛ 정도이다.
상기 일반적인 편광판은 상기 일반적인 편광판의 적어도 일면에 보호필름이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은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차폐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보호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계 필름;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필름;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필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또는 노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필름,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필름; 폴리이미드계 필름; 폴리에테르술폰계 필름; 술폰계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예시한 보호필름 중에서 투명성이 우수하면서 광학적으로 이방성이 없다는 점에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8 내지 1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내지 1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반사방지 필름을 포함한다. 일례로, 표시 장치는 상술한 반사방지 필름이 부착된 편광판을 부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반사방지 필름은 표시 장치의 윈도우에 부착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반사방지 필름은 예를 들면, Twisted Nematic(TN), Super Twisted Nematic(STN), Vertical Alignment(VA), In-Plane Switching(IPS) 또는 Opically Compensated Bend Cell(OCB) 등의 모드의 투과형, 반사형, 또는 반투과형의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투과형, 반사형, 및 반투과형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액정 셀의 전면에 공기를 통하여 아크릴 판 등의 전면판을 배치하는 경우에는, 액정 셀 표면측의 편광판 뿐만 아니라, 전면판의 내측 및/또는 외측에 점착제 등으로 반사방지 필름을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왜냐하면 그렇게 함으로써 전면판과 액정 셀 사이의 계면에서의 반사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반사방지 필름이 λ/4 필름과 결합된다면, 반사형 또는 반투과형의 LCD 또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용 표면 보호판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반사방지 필름이 PET, PEN 등의 투명기재상에 부착된다면 PDA, 휴대 전화의 표면 보호판, 터치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이나 음극관표시 장치(CRT) 와 같은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화될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거나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공영사사, PE-3A) 40중량부,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I-184, 시바사) 0.5중량부, 메틸에틸케톤 25중량부, 메틸이소부틸케톤 29.5중량부를 배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에 중공 실리카 입자(촉매화성)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반사방지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되, 상기 중공 실리카 입자(표면전하량 -109.83mV, 입도 40nm, 굴절률 1.3)가 반사방지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하기 표1에 나타낸 범위로 포함되도록 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반사방지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투명기재(두께 80㎛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필름)에 바코팅한 다음, 그 표면에 이형필름(폴리프로필렌 필름)을 부착한 다음 하기 표 1에 나타낸 속도로 박리하고, 이후 80 ℃ 에서 1분 동안 건조시키고, UV 조사(고압수은, 400mJ/㎠ )에 의해 경화시켜, 두께가 5㎛인 반사방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공영사사, PE-3A) 35중량부,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I-184, 시바사) 0.5중량부, 메틸에틸케톤 25중량부, 메틸이소부틸케톤 29.5중량부를 배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에 중공 실리카 입자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반사방지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되, 상기 중공 실리카 입자(표면전하량 -109.83mV, 입도 40nm, 굴절률 1.3)가 반사방지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하기 표1에 나타낸 범위로 포함되도록 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반사방지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반사방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펜타에리스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공영사사, PE-3A) 25중량부,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I-184, 시바사) 0.5중량부, 메틸에틸케톤 25중량부, 메틸이소부틸케톤 29.5중량부를 배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에 중공 실리카 입자를 첨가하고 교반하여 반사방지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되, 상기 중공 실리카 입자(표면전하량 -109.83mV, 입도 40nm, 굴절률 1.3)가 반사방지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하기 표1에 나타낸 범위로 포함되도록 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반사방지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반사방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중공실리카
중량(%)
박리속도
(mm/sec)
실시예1 5 50
실시예2 5 100
실시예3 5 300
실시예4 5 500
실시예5 5 10
실시예6 5 1000
실시예7 10 50
실시예8 20 50
비교예1 5 X
<실험예 1> 대전압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로 반사방지 플름 제조시 박리대전압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형필름을 떼어내면서 대전압 측정기(STATIRON-DZ3)로 이형필름 쪽의 대전압을 측정하였다.
<실험예 2> 반사율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반사방지 필름을 검은색 아크릴판에 접합하여 후면 반사를 제거한 후 반사율 측정기(UV-2450, 시마즈 사제)로 반사율을 측정하여 최소반사율을 취하였다.
<실험예 3> 연필경도 측정
연필경도 시험기(PHT, 한국 석보과학 사제)를 이용하여 500g 하중을 걸고 연필경도를 측정하였다. 연필은 미쯔비시 제품을 사용하고 한 연필 경도당 5회 실시하였다. 흠집이 2개 이상 발생하면 불량으로 판정하였으며, 불량이 발생하기 이전의 연필로 연필경도를 표시하였다.
기스: 0 OK
기스: 1 OK
기스: 2 이상 NG
<실험예 4> 표면 외관확인
제조된 반사방지 필름을 점착제를 이용하여 검은색 아크릴판에 접합하여 후면 반사를 제거한 후 암실에서 3파장 스탠드를 이용하여 표면 외관 결함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대전압
(kV)
반사율(%) 연필경도 표면외관
실시예1 0.10 1.1 2H 결함없음
실시예2 0.13 1.4 2H 결함없음
실시예3 0.56 1.5 2H 결함없음
실시예4 0.94 1.8 2H 결함없음
실시예5 0 3.8 2H 결함없음
실시예6 2.23 3.5 2H 전면 점형 표면 불량 발생
실시예7 0.11 1.4 2H 결함없음
실시예8 0.11 1.7 2H 결함없음
비교예1 X 4.1 2H 결함없음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저굴절 비드를 포함하는 반사방지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박리대전에 의해 표면에 저굴절 비드가 배향되도록 한 실시예 1 내지 8의 경우 표면으로 저굴절 비드를 배향하지 않은 비교예 1에 비하여 우수한 반사율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5와 6의 경우 박리속도가 본원발명의 바람직한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다른 실시예들에 비하여 반사율이 다소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7과 8의 경우 저굴절 비드의 함량을 변화시킨 경우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같은 박리 조건인 실시예 1과 비교하여 반사율이 떨어지기는 하지만 저굴절 비드의 함량과 상관없이 이형필름을 코팅층에 붙였다 박리하는 과정만으로 저굴절 비드가 표면으로 배향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단면 분석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반사방지 필름의 표면 배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그 단면을 FE-SEM(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을 이용하여 촬영하고, 그 사진을 각각 도 3a, 도 3b,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었다.
도 4a와 도 4b는 비교예 1에 따라 표면 배향을 실시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4b는 중공 실리카 층을 확대한 사진이고, 도 3a와 도 3b는 실시예 1에 따라 표면배향을 시킨 것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3b는 중공 실리카 층을 확대한 사진이다. 도 3a, 도 3b, 도 4a 및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표면 배향을 시킨 경우 그 상면에 저굴절 비드인 중공 실리카 층이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경우 하나의 코팅에 의해 종래 저굴절층에 해당되는 저굴절 코팅부와 종래 고굴절층에 해당되는 고굴절 코팅부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어 코팅 공정을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 반사방지 필름
110 : 투명기재
120 : 반사방지층
121 : 저굴절 코팅부
122 : 고굴절 코팅부
210 : 이형필름

Claims (12)

  1. 투명기재 상에 표면전하를 갖는 저굴절 비드를 포함하는 반사방지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코팅하여 반사방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사방지층의 상면에 이형필름을 부착시킨 다음 잡아당겨 박리대전에 의해 상기 반사방지층의 표면으로 저굴절 비드가 배향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반사방지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방지 필름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층의 상면에 이형필름을 부착시킨 다음 잡아당는 과정에서 그 박리 속도는 50~500mm/se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방지 필름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굴절 비드의 표면 전하는 그 절대값이 50mV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방지 필름의 제조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저굴절 비드는 중공 실리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방지 필름의 제조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중공 실리카는 상온에서 1.20~1.40의 굴절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방지 필름의 제조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중공 실리카는 내부 중공부의 부피가 중공부를 포함하는 실리카 전체 부피에 대하여 20~80%의 부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방지 필름의 제조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중공 실리카의 입도가 10nm~15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방지 필름의 제조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굴절 비드는 반사방지층 형성용 코팅조성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20중량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방지 필름의 제조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사방지층 형성용 조성물은 광중합성 화합물, 저굴절 비드, 광개시제 및 용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방지 필름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방지 필름.
  11. 청구항 10의 반사방지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
  12. 청구항 10의 반사방지 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100066138A 2010-07-09 2010-07-09 반사방지 필름의 제조방법, 반사방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1200056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138A KR20120005619A (ko) 2010-07-09 2010-07-09 반사방지 필름의 제조방법, 반사방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138A KR20120005619A (ko) 2010-07-09 2010-07-09 반사방지 필름의 제조방법, 반사방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619A true KR20120005619A (ko) 2012-01-17

Family

ID=45611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6138A KR20120005619A (ko) 2010-07-09 2010-07-09 반사방지 필름의 제조방법, 반사방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56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68688A (ja) * 2015-03-11 2016-09-23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離型フィル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68688A (ja) * 2015-03-11 2016-09-23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離型フィル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51573B2 (ja) 光学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前面板、並びに画像表示装置
US2016020954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KR101350372B1 (ko) 광학 적층체
KR20210143822A (ko) 반사 방지용 원편광판 및 그것을 이용한 화상 표시 장치
KR101725995B1 (ko) 반사방지 필름, 그 제조방법, 반사방지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160037117A (ko) 광학 필름 및 그것을 구비한 편광판, 액정 표시 장치, 및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JP6081244B2 (ja) 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7164124B2 (ja) 偏光板、液晶パネル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3105178A (ja) 帯電防止防眩性反射防止コーティング組成物、これを用いた帯電防止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偏光板及び表示装置
JP2011081118A (ja) 防眩フィルム
KR20160150335A (ko) 부착력이 우수한 반사방지필름
KR101351625B1 (ko) 반사 방지 필름
KR20120005619A (ko) 반사방지 필름의 제조방법, 반사방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표시 장치
JP2011065045A (ja) 防眩フィルム
KR20110027283A (ko) 방현 필름, 이를 구비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130141967A (ko) 방현성 코팅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현성 필름
CN108983342B (zh) 光学膜的制造方法
KR101978876B1 (ko)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120009674A (ko) 방현 필름, 이를 구비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CN114555327A (zh) 熔融挤出式偏光膜
KR20100138109A (ko) 방현 필름, 이를 구비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150109684A (ko) 광학 필름
KR20130051230A (ko) 방현성 조성물, 이를 이용한 방현필름,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120128739A (ko) 반사 방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표시 장치
JP2013025310A (ja) 防眩性ハードコーティングフィルム、これを備えた偏光板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