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5228U - 핫팩 - Google Patents

핫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5228U
KR20120005228U KR2020110000192U KR20110000192U KR20120005228U KR 20120005228 U KR20120005228 U KR 20120005228U KR 2020110000192 U KR2020110000192 U KR 2020110000192U KR 20110000192 U KR20110000192 U KR 20110000192U KR 20120005228 U KR20120005228 U KR 2012000522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ackaging material
wrapping paper
hermetic
breathable wra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01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6618Y1 (ko
Inventor
강상모
전병문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1100001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618Y1/ko
Publication of KR201200052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2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6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6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241Apparatus for the preparation of hot packs, hot compresses, cooling pads, e.g. heaters or refrig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65D33/24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using self-locking integral or attached closure elements, e.g. fla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88Radiating h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03Cataplasms, poultices or compresses, characterised by their contents; Bags therefor
    • A61F2007/022Bags therefor
    • A61F2007/0223Bags therefor made of tex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의 핫팩에 관한 것으로서, 포장재의 적어도 일면을 이루는 통기성 포장지를 덮도록 부착된 기밀지를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면적 분할하여, 상기한 기밀지에 의해 통기성 포장지의 개방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포장재의 통기성 포장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사용 용도에 따라 발열제의 발열 온도 및 발열 시간을 좀더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기밀지에 하나 이상의 통공부를 형성하여 상기한 통공부의 개방 정도에 따라 발열제의 발열 온도 및 발열 시간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시 필요한 최소의 발열 온도를 유지하면서 발열 시간을 최대로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통기성 포장지 상에 부착되는 제1 기밀지에 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을 덮도록 제1기밀지 상에서 제2 기밀지를 분리 가능하게 부착하여 제2 기밀지에 의한 상기 통공의 개방 정도에 따라 좀더 쉽고 편리하게 조절하여 발열제의 발열 온도 및 발열 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핫팩{HOT PACK}
본 고안은 핫팩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포장재를 이루는 통기성 포장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여 내부 수용된 발열제의 발열 온도 및 발열 시간을 좀더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핫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핫팩은 공기와 접촉하여 열을 발산하는 발열제가 통기성 부지포로 이루어지는 포장재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것으로서, 일정 시간 발열이 지속되기 때문에 신체를 따뜻하게 유지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핫팩은 겨울철 야외 활동시 방한용으로 사용하는 것 이외에도 통증을 완화시키도록 찜질하기 위한 의료용으로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사용되고 있는 핫팩은 발열 온도가 최고 63℃까지 상승하기 때문에 신체에 장시간 직접 접촉시킬 경우 화상의 위험이 있고, 발열 시간이 발열제의 사용량에 따라 대략 12시간 이내로 제한되는 단점을 갖는다.
더욱이, 상기한 종래 핫팩의 경우 상기한 발열 온도 및 발열 시간이 제조자에 의해 기설정된 상태로 제조되어 판매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사용 용도에 따라 발열 온도 및 발열 시간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어 사용상의 불편함을 가지게 되는 단점을 갖는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발열제를 담는 포장재의 통기성 포장지를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유입량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사용 용도에 따라 발열제의 발열 온도 및 발열 시간을 좀더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핫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핫팩은, 적어도 일면이 통기성 포장지로 이루어지는 포장재; 상기 포장재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통기성 포장지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와 접촉하며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제; 및 상기 포장재의 상기 통기성 포장지 상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통기성 포장지를 통해 상기 포장재 내부로 공기 유입을 차단하는 기밀지;를 포함하고, 상기 기밀지는 상기 통기성 포장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포장재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2개 이상으로 면적 분할되어 상기 부직포 상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기밀지는 하나의 시트 상에서 2개 이상으로 분리되며 상기 면적 분할 가능하게 절취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장재는 상기 통기성 포장지와 마주하는 타 일면이 기밀성 포장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밀성 포장지의 외측면 상에서 적어도 일부 면에 위치 고정을 위해 도포되는 접착제; 및 상기 접착제의 도포 부위를 덮으며 상기 기밀성 포장지 상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이형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고안의 핫팩은, 적어도 일면이 통기성 포장지로 이루어지는 포장재; 상기 포장재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통기성 포장지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와 접촉하며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제; 및 상기 포장재의 상기 통기성 포장지 상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통기성 포장지를 통해 상기 포장재 내부로 공기 유입을 차단하는 기밀지;를 포함하고, 상기 기밀지는 상기 통기성 포장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포장재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통공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통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밀지는 하나의 시트 상에서 상기 통공부가 분리되며 상기 통공을 이루도록 절취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통기부는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통공부는 서로 같거나 또는 서로 다른 크기의 통기면을 가지고 상기 통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고안의 핫팩은, 적어도 일면이 통기성 포장지로 이루어지는 포장재; 상기 포장재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통기성 포장지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와 접촉하며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제; 상기 포장재의 상기 통기성 포장지 상에 부착되어 상기 통기성 포장지를 통해 상기 포장재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나 이상의 통공이 형성되는 제1 기밀지; 및 상기 제1 기밀지 상에서 상기 통공을 덮으며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통공의 개방 정도를 통해 상기 포장재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제2 기밀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 기밀지는 하나의 시트 상에서 상기 통공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도록 2개 이상으로 분리 가능하게 절취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기밀지는 상기 절취선이 서로 같거나 또는 서로 다른 크기로 절취되며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고안의 핫팩에 따르면, 포장재의 적어도 일면을 이루는 통기성 포장지 상에 부착된 기밀지를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면적 분할하여, 상기한 기밀지에 의해 통기성 포장지의 개방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포장재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사용 용도에 따라 발열제의 발열 온도 및 발열 시간을 좀더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한 본 고안의 또 다른 핫팩에 따르면, 상기 기밀지에 하나 이상의 통공을 이루는 통공부를 형성하여 상기한 통공부의 개방 정도에 따라 발열제의 발열 온도 및 발열 시간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시 필요한 최소의 발열 온도를 유지하면서 발열 시간을 최대로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한 본 고안의 또 다른 핫팩에 따르면, 상기 통기성 포장지 상에 부착되는 제1 기밀지에 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을 덮도록 제1기밀지 상에서 제2 기밀지를 분리 가능하게 부착하여 제2 기밀지에 의한 상기 통공의 개방 정도에 따라 좀더 쉽고 편리하게 조절하여 발열제의 발열 온도 및 발열 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핫팩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핫팩의 기밀지에 대한 분할 분리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기밀지의 분리전 제조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핫팩의 이형지에 대한 분리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핫팩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기밀지의 분리전 제조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핫팩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제2 기밀지 분리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핫팩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핫팩(1)은 포장재(10), 발열제(20) 및 기밀지(氣密紙; 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포장재(10)는 적어도 일면이 통기성 포장지(11)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상기한 발열제(20)를 담을 수 있도록 내부 수용공간을 갖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포장재(10)는 발열제(20)를 사이에 두고 시트 형태의 통기성 포장지(11)와 기밀성 포장지(12)를 서로 맞댄 상태로 가장자리 따라 압착시켜 상기 발열제를 담도록 봉지 형태로 만들어지는 것을 예시한다.
그러나, 본 고안이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기밀지(30)에 의해 포장재(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여, 발열제(20)에 의한 발열 온도 및 발열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통기성 포장지(11)는 이를 통해 포장재(10) 내부로 수용된 발열제(20)의 외부 유출을 막으면서 발열을 위해 외부 공기가 포장재(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통기성 부직포, 그물망체 및 미세 통공을 가지는 통기지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열제(20)는 상기한 포장재(10)의 통기성 포장지(11)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와 접착하며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성 물질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발열제(20)는 발열성 물질인 분말 형태의 철(Fe)과 발열 촉진 물질인 활성탄(Activ-Carbon), 염화나트륨(Nacl) 등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한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발열제(20)는 분발 형태의 철(Fe)이 통기성 포장지(11)를 통해 유입된 공기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녹스는 현상)될 때 열을 발생시키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상기한 발열 촉진 물질인 활성탄 및 염화나트륨에 의해 산화 반응을 촉진시켜 방한 및 찜질 등의 사용상 필요한 대략 25℃ 내지 65℃ 사이의 열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본 고안의 핫팩(1)에 사용되는 발열제(20)가 분말 형태의 철(Fe)을 포함하는 혼합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을 아니며, 상기한 포장재(10)의 통기성 포장지(1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한 다양한 발열성 물질들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기밀지(30)는 상기 포장재(10)의 통기성 포장지(11) 상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시트 형태로 이루어져, 핫팩의 사용전 통기성 포장지(11)를 통해 상기한 발열제(20)가 수용된 포장재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핫팩(1) 사용시 기밀지(30)를 통기성 포장지(11)로부터 분리하여, 통기성 포장지(11)를 통해 포장재(1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발열제(20)와 접촉하여 상기한 발열 과정(산화 과정)을 통해 열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한 기밀지(30)는 상기한 통기성 포장지(11)를 통해 상기 포장재(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면적 분할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2는 도 1의 핫팩의 기밀지에 대한 분할 분리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기밀지의 분리전 제조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 기밀지(30)는 3개가 동일 면적을 가지고 서로 나란하게 상기 통기성 포장지(11)의 통기면을 면적 분할하며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여기서, 면적 분할된 각각의 기밀지들(31, 32, 33)은 사용자의 사용 용도에 따라 서로 독립적이게 통기성 포장지(11)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분리된 기밀지(31, 32, 33)의 개수에 따라 상기한 통기성 포장지(11)를 통해 포장재(3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3개의 상기 기밀지들(31, 32, 33) 중에서 하나의 기밀지(31) 만을 분리하여 제거한 경우, 핫팩(1)의 발열 온도는 최대 발열 온도(대략 63℃)의 1/3 정도로 낮출 수 있는 반면에 발열 시간을 최대 발열 시간(대략 12시간)의 대략 1/3정도를 더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기밀지(30)는 핫팩의 제조 과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도록 하나의 시트 상에서 2개의 절취선(35)을 형성하여 면적 분할된 각각의 기밀지(31, 32, 33)들이 절취선을 따라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기밀지(30)는 3개로 면적 분할하며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고안이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사용 용도에 따라 더욱더 세밀하게 발열 온도 발열 시간의 조절을 위해 기밀지가 더 많은 개수로 같거나 서로 다른 면적을 가지고 면적 분할하며 독립적으로 분리가능하게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포장재(10)는 핫팩 사용시 사용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기밀성 포장지(12)의 외측면 상에서 접착제(15)를 도포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핫팩의 이형지에 대한 분리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 접착제(15)는 상기 기밀성 포장지(12)의 외측면 상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기설정된 폭을 가지며 띠 형태로 도포되는 것을 예시한다.
그리고, 핫팩(1) 사용전 상기한 접착제(15)에 의한 오부착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부분을 덮는 이형지(離型紙; 40)가 추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핫팩(1) 사용시 이형지(40)를 기밀성 포장지(12)로부터 분리하여 상기한 접착제(15)가 도포된 부분을 노출시킨 후, 접착제(15)의 접착력에 의해 사용하고자 하는 위치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핫팩(1)은 포장재(10)의 적어도 일면을 이루는 통기성 포장지(11)를 덮도록 부착된 기밀지(30)를 2개 이상으로 면적 분할하여 각각의 분할된 기밀지(31, 32, 33)들에 의해 통기성 포장지(11)의 개방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포장재(10)의 통기성 포장지(1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사용 용도에 따라 적정 발열 온도 및 발열 시간을 좀더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다.
이하,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핫팩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고, 상기한 제1 실시예와 동일 및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하였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핫팩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기밀지의 분리전 제조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핫팩(100)은, 상기한 제1 실시예의 핫팩(1)과 비교하여, 상기 기밀지(130)에 상기 포장재(1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통공(136)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통공부(131)를 포함하는 구성의 차이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통공부(131)는 기밀지 상에서 5개가 1mm 또는 2mm의 동일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통공(136)을 이루도록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그러나 본 고안이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을 아니며 상기한 통공부(131)는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같거나 또는 서로 다른 크기의 통기면(직경)을 가지며, 원형을 포함한 다양한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통공부(131)는 기밀지(130)를 이루는 하나의 시트 상에서 분리 가능하게 절취선(135)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핫팩(100)은 기밀지(130)에 형성된 통공부(131)를 절취하여 만들어지는 통공(136)을 통해 포장재(1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며, 이때 개방되는 통공부(131)의 면적과 개수에 따라 발열제(20)의 발열 온도 및 발열 시간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일례로, 본 실시예의 핫팩(100)의 경우 1mm 직경의 통공부(131) 1개소만을 개방할 경우 발열 시간을 최장 5일까지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핫팩(100)은 기밀지(130)로부터 통공부(131)의 개방 개소를 조절하여, 사용시 필요한 최소의 발열 온도를 유지하면서 발열 시간을 최대로 연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핫팩을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고, 상기한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 및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하였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핫팩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제2 기밀지 분리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핫팩(200)은, 상기한 제1 및 제2 실시예의 핫팩(1 도는 100)과 비교하여, 상기 통기성 포장지(11) 상에 부착되어 상기 통기성 포장지(11)를 통해 포장재(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상기 기밀지가 제1 기밀지(230) 및 제2 기밀지(235)로 이루어지는 구성의 차이를 갖는다.
여기서, 제1 기밀지(230)는 상기 포장재(10)의 상기 통기성 포장지(11) 상에 부착되어 상기 통기성 포장지(11)를 통해 상기 포장재(1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나 이상의 통공(2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 기밀지(235)는 상기 제1 기밀지(230) 상에서 상기 통공(231)을 덮으며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분리시 상기 통공(231)의 개방 정도를 통해 상기 포장재(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제1 기밀지(230)에 형성되는 통공(231)은 하나의 장공 형태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포장재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통해 발열 온도 및 발열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한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아울러 제2 실시예와 같이 원형을 포함한 서로 다른 크기의 다각형 통공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제2 기밀지(235)는 상기한 장공 형태의 통공(231)을 덮으며 밀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통공(231)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면에는 제1 기밀지(230)에 분리 가능하게 탈부착될 수 있게 접착제가 도포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핫팩(200)은 제1 기밀지(230)의 상기 통공(2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2 기밀지(235)를 분리하여 상기 통공(231)의 개방 정도 및 2개 이상인 경우 분리된 제2 기밀지(235)의 개수에 따라 포장재(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제1 기밀지(230)로부터 제2 기밀지(231)가 분리되며 개방된 통공(231) 부분을 다시 붙여 다시 폐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2 기밀지(235)는 하나의 시트 상에서 상기 통공(231)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도록 2개 이상으로 분리 가능하게 절취선(236)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절취선(236)에 의해 서로 같거나 또는 서로 다른 크기로 절취되며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핫팩(200)은 사용시 제1 기밀지(230)에 형성된 통공(231)을 덮도록 부착된 제2 기밀지(235)의 뜯어 상기 통공(231)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발열 온도 및 발열 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2 기밀지(235)의 개방부는 절취선(236)이 형성된 부분을 따라 절취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100, 200: 핫팩 10: 포장재
11: 통기성 포장지 12: 기밀성 포장지
15: 접착제 20: 발열제
30(31, 32, 33): 기밀지 35: 절취선
40: 이형지 130: 기밀지
131:통공부 135: 절취선
136: 통공 230: 제1 기밀지
231: 통공 235: 제2 기밀지
236: 절취선

Claims (9)

  1. 적어도 일면이 통기성 포장지로 이루어지는 포장재;
    상기 포장재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통기성 포장지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와 접촉하며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제; 및
    상기 포장재의 상기 통기성 포장지 상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통기성 포장지를 통해 상기 포장재 내부로 공기 유입을 차단하는 기밀지;를 포함하고,

    상기 기밀지는,
    상기 통기성 포장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포장재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2개 이상으로 면적 분할되어 상기 부직포 상에 부착되는 핫팩.
  2. 제1항에서,
    상기 기밀지는,
    하나의 시트 상에서 2개 이상으로 분리되며 상기 면적 분할 가능하게 절취선이 형성되는 핫팩.
  3. 제1항에서,
    상기 포장재는,
    상기 통기성 포장지와 마주하는 타 일면이 기밀성 포장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밀성 포장지의 외측면 상에서 적어도 일부 면에 위치 고정을 위해 도포되는 접착제; 및
    상기 접착제의 도포 부위를 덮으며 상기 기밀성 포장지 상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이형지;를 더 포함하는 핫팩.
  4. 적어도 일면이 통기성 포장지로 이루어지는 포장재;
    상기 포장재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통기성 포장지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와 접촉하며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제; 및
    상기 포장재의 상기 통기성 포장지 상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통기성 포장지를 통해 상기 포장재 내부로 공기 유입을 차단하는 기밀지;를 포함하고,

    상기 기밀지는,
    상기 통기성 포장지로부터 일부가 분리되어 상기 포장재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통공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통공부가 형성되는 핫팩.
  5. 제4항에서,
    상기 기밀지는,
    하나의 시트 상에서 상기 통공부가 분리되며 상기 통공을 이루도록 절취선이 형성되는 핫팩.
  6. 제4항에서,
    상기 통기부는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통공부는 서로 같거나 또는 서로 다른 크기의 통기면을 가지고 상기 통공을 형성하는 핫팩.
  7. 적어도 일면이 통기성 포장지로 이루어지는 포장재;
    상기 포장재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통기성 포장지를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와 접촉하며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제;
    상기 포장재의 상기 통기성 포장지 상에 부착되어 상기 통기성 포장지를 통해 상기 포장재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나 이상의 통공이 형성되는 제1 기밀지; 및
    상기 제1 기밀지 상에서 상기 통공을 덮으며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어, 상기 통공의 개방 정도를 통해 상기 포장재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제2 기밀지;를 포함하는 핫팩.
  8. 제7항에서,
    상기 제2 기밀지는,
    하나의 시트 상에서 상기 통공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도록 2개 이상으로 분리 가능하게 절취선이 형성되는 핫팩.
  9. 제8항에서,
    상기 제2 기밀지는,
    상기 절취선이 서로 같거나 또는 서로 다른 크기로 절취되며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는 핫팩.
KR2020110000192U 2011-01-07 2011-01-07 핫팩 KR2004666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192U KR200466618Y1 (ko) 2011-01-07 2011-01-07 핫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192U KR200466618Y1 (ko) 2011-01-07 2011-01-07 핫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228U true KR20120005228U (ko) 2012-07-17
KR200466618Y1 KR200466618Y1 (ko) 2013-04-26

Family

ID=46853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192U KR200466618Y1 (ko) 2011-01-07 2011-01-07 핫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618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223A (ko) * 2014-08-21 2016-03-03 유미 주식회사 발열포가 포함된 아이 마스크
KR20170004321A (ko) 2015-07-02 2017-01-11 주식회사 피플파이 훈증 및 아로마테라피 효과가 있는 핫팩
KR101871689B1 (ko) * 2017-07-18 2018-06-27 주식회사 핫앤핫 발열시간이 길고 발열강도가 우수한 고품질 핫팩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해 발열제의 공기노출을 차단하는 수단이 구비된 핫팩의 제조장치
KR20180002722U (ko) 2017-03-09 2018-09-19 변동수 발열부재 수용 및 인출이 가능한 손난로 인형
KR20190137365A (ko) * 2018-06-01 2019-12-11 이치윤 발열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배달용 포장용기
KR102076083B1 (ko) * 2019-01-30 2020-02-12 엄성길 발열 다이어트 패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34812A (ko) * 2021-03-25 2022-10-06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체온조절이 가능한 응급시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1876B1 (ko) * 2015-11-06 2017-07-26 (주)세종헬스케어 온도조절이 가능한 체온유지용 보호시트
KR200489953Y1 (ko) 2018-12-04 2019-09-02 김관기 이종의 열전달부를 갖는 핫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87076B2 (en) 2003-08-21 2006-08-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Reflective heat patch
US20050049662A1 (en) * 2003-08-27 2005-03-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djustable temperature heat patch
KR20110008149U (ko) * 2010-02-11 2011-08-18 변준식 지퍼백 핫팩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3223A (ko) * 2014-08-21 2016-03-03 유미 주식회사 발열포가 포함된 아이 마스크
KR20170004321A (ko) 2015-07-02 2017-01-11 주식회사 피플파이 훈증 및 아로마테라피 효과가 있는 핫팩
KR20180002722U (ko) 2017-03-09 2018-09-19 변동수 발열부재 수용 및 인출이 가능한 손난로 인형
KR101871689B1 (ko) * 2017-07-18 2018-06-27 주식회사 핫앤핫 발열시간이 길고 발열강도가 우수한 고품질 핫팩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해 발열제의 공기노출을 차단하는 수단이 구비된 핫팩의 제조장치
KR20190137365A (ko) * 2018-06-01 2019-12-11 이치윤 발열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배달용 포장용기
KR102076083B1 (ko) * 2019-01-30 2020-02-12 엄성길 발열 다이어트 패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34812A (ko) * 2021-03-25 2022-10-06 중부대학교 산학협력단 체온조절이 가능한 응급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6618Y1 (ko) 201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6618Y1 (ko) 핫팩
KR102182158B1 (ko) 증기 온열구 및 그 사용 방법
JP6859116B2 (ja) 蒸気温熱具及びその使用方法
JP2008295779A (ja) アイマスク
JP2011206222A (ja) 水蒸気発生具
JP2011136060A (ja) マスク用鼻部温熱具
JP4675114B2 (ja) 発熱具
JP2018086202A (ja) 耳用温熱具
WO2017061459A1 (ja) 水蒸気発生体および温熱具
JP5348583B2 (ja) 発熱体及び発熱体の製造方法
JP5377611B2 (ja) マスク
JP2011188947A (ja) 水蒸気発生具
JP5290716B2 (ja) 目用温熱具
JP7321706B2 (ja) マスク
KR101705020B1 (ko) 온열 안대 및 온열 안대의 온도 조절재 제조 방법
KR102138912B1 (ko) 다용도 핫팩
JP4660294B2 (ja) 香り放散貼付材
JP7126440B2 (ja) マスク
JP3140728U (ja) 使い捨てカイロ及び発熱調整シート
JP7261582B2 (ja) マスク
JP2006346122A (ja) 水蒸気発生体
KR101749799B1 (ko) 통기성이 향상된 핫 팩
JP4845778B2 (ja) 発熱具
KR200479869Y1 (ko) 온도 조절이 가능한 좌훈용 발열팩
KR102665906B1 (ko) 온열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