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931A - 물품 분류 수단 - Google Patents

물품 분류 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931A
KR20120004931A KR1020110066304A KR20110066304A KR20120004931A KR 20120004931 A KR20120004931 A KR 20120004931A KR 1020110066304 A KR1020110066304 A KR 1020110066304A KR 20110066304 A KR20110066304 A KR 20110066304A KR 20120004931 A KR20120004931 A KR 20120004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sliding
sorting means
article support
plat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6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8031B1 (ko
Inventor
마나부 오나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03957A external-priority patent/JP5652618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120004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2Rotary or reciprocating members for direct action on articles or materials, e.g. pushers, rakes, sho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4Star-shaped wheels or devices having endless travelling belts or chains, the wheels or devices being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 B65G47/841Devices having endless travelling belts or chains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 B65G47/844Devices having endless travelling belts or chains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the article-engaging elements being pushers transversally movable on the supporting surface, e.g. pusher-sh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8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adapted to receive articles arriving in one layer from one conveyor lane and to transfer them in individual layers to more than one conveyor lane or to one broader conveyor lane, or vice versa, e.g. combining the flows of articles conveyed by more than one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36Pushing shoes on conveyors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슈의 파손을 방지하고, 소정의 물품의 분류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물품 분류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수단] 주반송 경로(40)를 따라서 배치된 한 쌍의 무단 체인(무단 회동체)(12) 사이에 복수 걸쳐진 주반송 경로(40)에 대해서 직각 방향이 길이 방향이 되는 슬랫(물품 지지체)(14)과, 슬랫(14)에, 슬랫(14)의 길이 방향으로 미끄럼동작 가능하도록 밖에서 끼워, 주반송 경로(40)에 대해서 일정 방향으로 마련된 분기 안내 부재(42)에 안내되는 슈(물품 횡압체)(16)를 구비한 물품 분류 수단(10)에 있어서, 슬랫(14)에 미끄럼동작 가능하도록 접촉하는 슈(16)의 미끄럼동작부(18)가, 슬랫(14)의 길이 방향에 대한 단면에서 보았을 때 좌우 양단 부근에 위치하는 동시에, 미끄럼동작부(18)가, 단면에서 보았을 때 하단 부근에 위치하도록 구성했다.

Description

물품 분류 수단{Means for Sorting Articles}
본 발명은, 주반송 경로상을 반송되는 물품 중의 소정 물품을, 분기 경로상으로 이동시켜서 분류하는 물품 분류 수단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주반송 경로를 따라서 배치된 한 쌍의 무단 체인(무단 회동체) 사이에 복수 걸쳐진 슬랫(물품 지지체)과, 그 슬랫에 그 길이 방향으로 미끄럼동작 가능하도록 밖에서 끼워, 주반송 경로에 대해서 일정 방향으로 마련된 분기 안내 부재로 안내되는 슈(물품 횡압체(橫壓體))를 구비한 물품 분류 수단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슈를 중량화시키지 않고 강도를 높일 수 있는 물품 분류 수단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슈로 물품을 끼워 넣지 않은 상태에서 초기의 횡압(橫壓)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물품 분류 수단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다른 물건이 걸리기 어렵고, 또한 다리판부(脚板部)의 가이드부를 보호할 수 있는 슬랫을 구비한 물품 분류 수단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4에는, 슈의 왕복 이동시에 슬랫의 가이드부가 변형되어 안정적으로 왕복 운동할 수 없는 것을 방지하는 물품 분류 수단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물품 분류 수단은, 슈가 슬랫에 대하여 슬랫의 길이 방향으로 미끄럼동작할 때의 미끄럼동작 저항에 의해서, 슈가 파손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분기 경로에 소정의 물품을 분류하기 위해서 그 물품을 슬랫의 길이 방향으로 누를 때에, 분기 안내 부재로부터의 압압력과 물품으로부터의 반력(反力)에 의해, 슈에 과대한 모멘트가 부가되어, 슈가 파손되는 경우가 있었다. 파손된 슈가 물품 분류 설비에 잔존하는 상태에서는, 슈가 주반송 경로를 따라서 반송되고 있는 상태에서 분기 안내 부재로 안내되는 상태로 변환하는 분할 수단의 걸어맞춤부재를 슈에 걸어맞춤시켜 슈를 방향 변환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기고, 소정의 물품을 분류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슈가 파손되기 때문에 슬랫의 길이 방향으로 미끄럼동작하지 않는 경우도 있어, 슈에 의해서 확실하게 소정의 물품을 슬랫의 길이 방향으로 눌러 이동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2006-27343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2006-27343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2006-27343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2006-273435호
따라서, 본원 발명은, 슈의 파손을 극력 방지하고, 소정의 물품의 분류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물품 분류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물품 분류 수단은, 주반송 경로를 따라서 배치된 한 쌍의 무단 회동체 사이에 복수 걸쳐지고, 상기 주반송 경로에 대해서 직각 방향이 길이 방향이 되는 물품 지지체와, 상기 물품 지지체에 상기 길이 방향으로 미끄럼동작 가능하도록 밖에서 끼워, 상기 주반송 경로에 대해서 일정 방향으로 마련된 분기 안내 부재로 안내되는 물품 횡압체를 구비하고, 상기 물품 지지체에 미끄럼동작 가능하도록 접촉하는 상기 물품 횡압체의 미끄럼동작부가,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한 단면에서 보았을 때의 좌우 양단 부근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물품 분류 수단은, 상기 물품 분류 수단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동작부가, 상기 단면에서 보았을 때 하단 부근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물품 분류 수단은, 상기 물품 분류 수단에 있어서, 상기 물품 횡압체가, 상기 물품 지지체를 탄성적으로 눌러, 상기 물품 지지체에 대하여 미끄럼동작하는 압압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물품 분류 수단은, 상기 물품 분류 수단에 있어서, 상기 압압 부재가, 상기 단면에서 보았을 때 경사 방향으로 상기 물품 지지체를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물품 분류 수단은, 상기 물품 분류 수단에 있어서, 상기 물품 횡압체가 가진 중공부 내에 상기 물품 지지체가 걸어맞춤되는 것에 의해 상기 물품 횡압체가 상기 물품 지지체에 밖에서 끼워져, 상기 물품 횡압체의 바닥판부가, 상기 단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중공부 내로 기상하면서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동시에 상기 물품 지지체에 접촉하여 상기 미끄럼동작부를 형성하는 미끄럼동작 돌기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물품 분류 수단은, 상기 물품 분류 수단에 있어서, 상기 물품 지지체의 하단에, 안쪽을 향하여 돌출하고, 상기 물품 횡압체의 미끄럼동작 돌기부에 접촉하여 상기 미끄럼동작부를 형성하는 피미끄럼동작 돌기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물품 분류 수단은, 상기 물품 분류 수단에 있어서, 상기 물품 지지체가, 상기 피미끄럼동작 돌기부와 상기 피미끄럼동작 돌기부의 상부에 마련된 미끄럼동작 판부로 구성되는 걸어맞춤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미끄럼동작 돌기부가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 내에 미끄럼동작 가능하도록 끼워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물품 분류 수단은, 상기 물품 분류 수단에 있어서, 상기 물품 지지체가, 물품 재치판부의 하면 중간부로부터 이어지는 동시에 상기 미끄럼동작판부에 연속하는 다리판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물품 분류 수단에 의하면, 미끄럼동작부가 단면에서 보았을 때 좌우 양단 부근에 위치하기 때문에, 2개소의 미끄럼동작부의 간격을 길게 함으로써, 물품 횡압체를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미끄럼동작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물품 횡압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소정의 물품의 분류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물품 지지체와의 물품 횡압체의 미끄럼동작부가 단면에서 보았을 때 하단 부근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안내 부재 등으로부터 물품 횡압체에 외력의 부가에 의한 모멘트를 극히 적게 하여 물품 횡압체의 파손을 보다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물품 분류 수단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면 1a는 평면도이고, 도면 1b는 A-A선 절단부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물품 분류 수단을 배치한 물품 분류 설비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물품 분류 수단의 물품 횡압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물품 분류 수단을 배치한 공정보다 전공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물품 분류 수단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물품 분류 수단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A-A선 절단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물품 분류 수단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A-A선 절단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물품 분류 수단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A-A선 절단부의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분류 수단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도 2, 도 4 및 도 5에서, 부호 10은 본 발명의 물품 분류 수단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물품 분류 수단(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반송 경로(40)를 따라서 배치된 한 쌍의 무단 체인(무단 회동체)(12) 사이에 복수 걸쳐진, 주반송 경로(40)에 대해서 직각 방향이 길이 방향이 되는 슬랫(물품 지지체)(14)과, 슬랫(14)에, 슬랫(14)의 길이 방향으로 미끄럼동작 가능하도록 밖에서 끼워, 주반송 경로(40)에 대하여 일정 방향으로 마련된 분기 안내 부재(42)에 안내되는 슈(물품 횡압체)(16)를 구비하고 있다. 이 물품 분류 수단(10)은, 도시하지 않는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지령에 기초하여 복수 중의 소정의 슈(16)를, 분할부(52)에 의해서, 슬랫(14)의 길이 방향인 Y축 방향으로 미끄럼동작시키는 것에 의해, 주반송 경로(40) 상을 반송되는 물품(44) 중 소정의 물품(44)을 Y축 방향으로 눌러, 도 2에 도시한 분기 경로(46)상으로 이동시켜 분류하는 수단이다.
이 물품 분류 수단(10)에서는, 슬랫(14)에 미끄럼동작 가능하도록 접촉하는 슈(16)의 미끄럼동작부(18)는,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랫(14)의 길이 방향에 대한 단면에서 보았을 때 좌우 양단 부근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슈(16)의 미끄럼동작부(18)는, 슬랫(14)의 길이 방향에 대한 단면에서 보았을 때 하단 부근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 쌍의 무단 체인(12)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한 복수의 슬랫(14)이 걸쳐진, 도시하지 않는 구동 수단에 의해서, 주반송 경로(40)의 반송 방향인 X축 방향으로 왕복 회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무단 체인(12)의 왕복 회동에 따라서 왕복 회동하는 복수의 슬랫(14)은, 물품 재치판부(34)에 놓여진 물품(44)을 X축 방향으로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슈(16)는, 중공부(22) 내에 슬랫(14)이 걸어맞춤되는 것에 의해, 이 슬랫 (14)에 미끄럼동작 가능하도록 밖에서 끼워 있으며, 슬랫(14)에 대하여 Y축 방향으로 미끄럼동작하는 것에 의해, 주반송 경로(40) 상을 반송되는 물품(44) 중 소정의 물품을 Y축 방향으로 누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슈(16)의 Y축 방향에의 미끄럼동작은, X축 방향으로 슬랫(14)과 함께 왕회동(往回動)하는 슈(16)의 바닥판부(24)의 하부의 안내 롤러(48)가 분기 안내 부재(42)로 안내되고, 분기 안내 부재(42)로부터 슈(16)에 압압력이 부가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분기 안내 부재(42)로 안내되지 않는 슈(16)는, 안내 롤러(48)가 주반송 안내 부재(50)로 안내되어 주반송 경로(40)를 따라서 X축 방향으로만 이동한다. 또한, 슈(16)는, 도 1(b)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슈(16)를 슬랫(14)에 밖에서 끼웠을 때에 바닥판부(24)로부터 슬랫(14)의 다리판부(36)를 따라서 위쪽경사 방향으로 이어지는 압압 부재 (20)를, 바닥판부(24)와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압압 부재(20)의 선단에는, 다리판부(36)를 향하여 돌출하고, 슬랫(14)의 다리판부(36)에 접촉하여 누르는 압압 돌기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압압 부재(20)는, 바닥판부(24)로부터 압압 돌기부 (21)까지 이어지는 접속부(23)가 단면에서 보았을 때 탄성 일그러짐이 생길 정도로 얇게 구성되어, 다리판부(36)를 탄성적으로 누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슈(16)는, 도 1(b) 및 도 6의 단면에서 보았을 때 X축 방향 성분 및 Z축 방향 성분을 포함한 경사 방향으로 슬랫(14)에 대해서 탄성력을 부가하여 탄성적으로 누르는 동시에, 슬랫(14)의 다리판부(36)에 대해서 미끄럼동작하는 압압 부재(20)를 구비하고 있다. 압압 부재(20)의 중심선 CP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슈(16)의 중심선 CL와 합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슈(16)로부터 슬랫(14)에의 중력은 중심선 CL에 대해서 선대칭으로 부가되어, 슈(16)는 슬랫(14)에 의해서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슬랫(14)에 대해서 원활하게 미끄럼동작한다.
슈(16)의 바닥판부(24)는, 도 1(b)의 단면에서 보았을 때, 중공부(22)내에 위로 세워져서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동시에 슬랫(14)에 접촉하여 미끄럼동작부(18)를 형성하는 미끄럼동작 돌기부(26)를 가지고 있다. 한편, 슬랫(14)의 하단에, 안쪽을 향하여 돌출하고, 슈(16)의 미끄럼동작 돌기부(26)에 접촉하여 미끄럼동작부(18)를 형성하는 피미끄럼동작 돌기부(28)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미끄럼동작 돌기부(26) 및 피미끄럼동작 돌기부(28)에 의해서 미끄럼동작부(18)를 형성함으로써, 미끄럼동작부(18)가 단면에서 보았을 때 좌우 양단 부근에 위치하는 동시에 하단 부근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물품 분류 수단(10)에 있어서, 슬랫(14)은,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미끄럼동작 돌기부(28)와, 피미끄럼동작 돌기부(28)의 상부에 마련된 미끄럼동작 판부(30)와, 피미끄럼동작 돌기부(28) 및 미끄럼동작 판부(30)에 연속하는 중간판부(72)로 구성되는 걸어맞춤 오목부(32)를 가지며, 미끄럼동작 돌기부(26)가 걸어맞춤 오목부(32) 내에 미끄럼동작 가능하도록 끼워두고 있다. 또한, 슬랫(14)은, 물품 재치판부(34)의 하면 중간부로부터 이어지는 동시에 미끄럼동작 판부(30)에 연속하는 다리판부(36)를 가지고 있다. 또한, 슬랫(14)은, 다리판부(36)의 상면 중간부로부터 상방으로 경사 방향으로 이어지는 동시에 물품 재치판부(34)의 하면에 연속하는 보강 부재(60)를 구비하고 있다. 보강 부재(60)는 중공부를 가진 원통형상부(62)를 개재하여 다리판부(36)에 연속하고 있다. 슬랫(14)의 판두께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물품 재치판부(34)의 중앙부, 피미끄럼동작 돌기부(28), 및 중간판부(72)가,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구성되어 있다. 물품 재치판부(34)의 중앙부를 두껍게 한 것은, 그 물품측 돌기부(70C)에 물품(44)으로부터 중력 JC가 부가되기 때문이다. 피미끄럼동작 돌기부(28)를 두껍게 한 것은, 슈(16)로부터의 중력 GL 또는 GR가, 슈(16)의 미끄럼동작 돌기부(26)로부터 부가되기 때문이다. 단면에서 보았을 때 좌측의 중간판부(72)를 두껍게 한 것은, 슈(16)가 분기 안내 부재(42)로 안내될 때의 물품(44)으로부터 슈(16)에의 반력에 의해, 슬랫(14)의 단면에서 보았을 때 좌측의 미끄럼동작 돌기부(26)로부터 압압력 FL가 부가되기 때문이다. 단면에서 보았을 때 우측의 중간판부(72)를 두껍게 한 것은, 슈(16)가 분기 안내 부재(42)로 안내될 때의 분기 안내 부재(42)로부터 슈(16)에의 압압력 F(X)에 의해, 슬랫(14)의 단면에서 보았을 때 우측의 미끄럼동작 돌기부(26)로부터 압압력 FR(=F(X))가 부가되기 때문이다. 한편, 물품 재치판부(34)의 물품측 돌기부(70L 및 70R)에도, 물품(44)으로부터의 중력 JL 및 JR가 부가되기 때문에, 물품측 돌기부(70L 및 70R)의 하부에 보강 부재(60)를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물품 분류 수단(10)의 작용 및 효과를, 이하에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반송 경로(40) 상을 따라서 반송하면서 소정의 물품(44)을 분기 경로(46)에 분류하고자 하는 물품(44)이, 복수의 슬랫(14) 상에 놓여진다. 도시하지 않은 구동 수단에 의해서 무단 체인(12)이 왕복 회동함으로써, 무단 체인(12)에 걸쳐진 복수의 슬랫(14)이, 놓여진 물품(44)을 X축 방향으로 후속 공정으로 반송한다. 이 때, 슈(16)는, 안내 롤러(48)가 주반송 안내 부재(50)로 안내되기 때문에, X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후속 공정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된 물품(44)이 분기 경로(46)로 분류하는 소정의 물품(44)인 경우에는, 그 물품(44)에 인접한 슈(16)는, 분할부(52)에서, 슈(16)의 안내 롤러(48)가 주반송 안내 부재(50)에 안내되고 있는 상태에서 분기 안내 부재(42)에 안내되는 상태로 변환된다. 분할부(52)의 분할수단의 구성은, 종래의 분할수단(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2006-273436호에 부호 132A 및 132B로 나타낸 분할수단)과 동일하다. 안내 롤러(48)가 분기 안내 부재(42)에 안내되는 슈(16)는, 분기 안내 부재(42)로부터의 압압력에 의해, 슬랫(14)의 길이 방향으로 미끄럼동작하면서 분기 안내 부재(42)를 따라서 이동한다. 분기 안내 부재(42)를 따라서 슈(16)가 이동함으로써, 그 슈(16)는 인접하는 물품(44)에 접촉하여 눌러, 물품(44)을 분기 안내 부재(42)를 따라서 이동시켜, 분기 경로(46)까지 유도한다.
이 때, 도 5,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슈(16)로부터 슬랫(14)에 중력 G가 부가되어, 분기 안내 부재(42)로부터 안내 롤러(48)에 압압력 F가 부가된다. 중력 G는 2개소의 미끄럼동작부(18)로부터 부가되지만, 그 2개소의 미끄럼동작부(18)가, 슬랫(14)의 길이 방향에 대한 단면에서 보았을 때 좌우 양단 부근에 위치하기 때문에, 2개소의 미끄럼동작부(18)의 간격 W를 극히 크게 함으로써, 슈(16)를 흔들리게 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미끄럼동작시켜 원활하게 미끄럼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압압력 F에 의해, 중심 C의 주위의 모멘트가 슈(16)에 부가되지만, 미끄럼동작부(18)가 단면에서 보았을 때 하단 부근에 위치함으로써, 압압력 F의 중심 C 주위의 반지름 r를 극히 작게 하여 모멘트 F×r를 극히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슈(16)의 파손을 극력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모멘트 F×r를 극히 작게 하는 작용 및 효과는, 분할부(52) 등에서 롤러축(54)에 압압력이 부가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물품 분류 수단(10)은, 미끄럼동작 돌기부(26)가 걸어맞춤 오목부(32) 내에 미끄럼동작 가능하도록 끼워져 있기 때문에, 슈(16)가 슬랫(14)에 대해서 X축 또는 Z축 방향으로 어긋남이 없이, 슈(16)를 슬랫(14)에 대해서 Y축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미끄럼동작시킬 수 있다. 특히, 물품 분류 수단(10)의 하부 부근에서의, 슈(16)와 슬랫(14)의 위치 관계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미끄럼동작 돌기부(26)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미끄럼동작 돌기부(28)에 대해서 미끄럼동작하는 볼록부(74)와, 중간판부(72)에 대해서 미끄럼동작하는 볼록부(76)와, 미끄럼동작 판부(30)에 대해서 미끄럼동작하는 볼록부(78)를 구비하고, 빈틈(80 및 82)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빈틈(80 및 82)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미끄럼동작 돌기부(26)가 걸어맞춤 오목부(32)의 각부(84 및 86)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마찰력을 극히 감소시켜 슈(16)를 슬랫(14)에 대해서 원활하게 미끄럼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분기 안내 부재(42)를 따라서 슈(16)가 이동하고, 분기 안내 부재(42)로부터의 압압력 F에 의해, 중심 C의 주위의 모멘트가 슈(16)에 부가되었을 때에는, 슈(16)를 도 7의 단면에서 보았을 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이 부가되지만,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미끄럼동작 판부(30)로부터 미끄럼동작 돌기부(26)에의 반력 NR에 의해, 그 회전은 규제되고, 게다가 미끄럼동작 돌기부(26)가 미끄럼동작 판부(30)에 대해서 미끄럼동작하기 때문에, 슈(16)가 Z축 방향으로 흔들림 없이, 슈(16)를 분기 안내 부재(42)를 따라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으로, 슈(16)가 슬랫(14)의 다리판부(36)를 경사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누르는 압압 부재 (20)를 구비한 것에 의해, 미끄럼동작부(18)보다 상방에서도 슈(16)와 슬랫(14)의 위치 관계를 안정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슈(16)와 슬랫(14)의 위치 관계를 물품 분류 수단(10) 전체적으로 안정시키고, 슈(16)를 슬랫(14)에 대해서 Y축방향으로 원활하게 미끄럼동작시킬 수 있다.
다음에, 물품 분류 수단(10)에 의하면, 슬랫(14)의 다리판부(36)가, 물품 재치판부(34)의 하면 중간부로부터 이어지는 동시에 미끄럼동작 판부(30)에 연속하기 때문에, 슬랫(14)이, 아래를 향함에 따라서 넓어져 슈(16)의 바닥판부(24)를 수납하는 공간(56)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끄럼동작부(18)가 단면에서 보았을 때 좌우 양단 부근에 위치하는 동시에 하단 부근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다리판부(36)가 미끄럼동작 판부(30)에 일체적으로 연속하기 때문에, 다리판부(36) 및 미끄럼동작 판부(30)에 의해서 슬랫(14)을 보강할 수 있어, 슬랫(14) 전체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즉, 다리판부(36)가 미끄럼동작 판부(30)에 일체적으로 연속하는 하나의 판부가, 걸어맞춤 오목부(32) 형성을 위한 부재, 및 슬랫(14)의 보강을 위한 부재를 겸용할 수 있다. 또한, 슬랫(14)이, 중공부가 있는 원통형상부(62)를 개재하여 물품 재치판부(34)로부터 다리판부(36)에 연속하여 구성되는 보강 부재(60)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보다 강고하게 슬랫(14)을 보강하면서도, 슬랫(14)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기타 형태로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물품(44)을 누르는 슈(16)를 슬랫(14)에 대해서 미끄럼동작시켜, 도 2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물품(44)을 X축 방향에 대해서 경사 방향을 향하게 하면서, 물품(44)을 분기 경로(46)까지 유도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물품(44)을 누르는 슈(16)를 슬랫(14)에 대해서 미끄럼동작시켜, 물품(44)을 X축 방향에 대해서 평행 방향을 향하게 하면서, 물품(44)을 분기 경로 (46)까지 유도하는 경우에 대하여 본원 발명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주반송 경로(40)로부터, 그 반송 방향에 대해서 한쪽의 하나의 분기 경로(46)에 물품(44)을 분류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그 반송 방향에 대해서 양쪽의 분기 경로 (46)에 물품(44)을 분류하는 경우에 대하여 본원 발명을 이용하여도 좋다. 반송 방향에 대해서 양쪽의 분기 경로(46)로 물품(44)을 분류하는 경우는, 반송 방향에 대해서 양쪽의 하나의 분기 경로(46)로 물품(44)을 분류하는 경우, 반송 방향에 대해서 양쪽의 복수의 분기 경로(46)로 물품(44)을 분류하는 경우, 및, 반송 방향에 대해서 한쪽의 하나의 분기 경로(46)로 물품(44)을 분류하는 동시에 다른 쪽의 복수의 분기 경로(46)로 물품(44)을 분류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주반송 경로(40)의 반송 방향에 대해서 한쪽의 복수의 분기 경로(46)에 물품(44)을 분류하는 경우에 대하여 본원 발명을 이용하여도 좋다. 기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는,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당업자의 지식에 기초하여 다양한 개량, 수정, 변형을 가한 형태도 포함된다. 또한, 동일한 작용 또는 효과가 발생하는 범위 내에서, 몇가지 발명 특정 사항을 다른 기술로 치환한 형태로 실시해도 좋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물품 분류 수단에 의하면, 물품 횡압체를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미끄럼동작시켜, 물품 횡압체의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소정의 물품의 분류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품, 농산물, 또는 용기 등의 소정의 물품의 분류를 행하는 물품 분류 수단으로서 널리 이용할 수 있다.
10:물품 분류 수단
12:무단 체인(무단 회동체)
14:슬랫(물품 지지체)
16:슈(물품 횡압체)
18:미끄럼동작부
20:압압 부재
22:중공부
24:바닥판부
26:미끄럼동작 돌기부
28:피미끄럼동작 돌기부
30:미끄럼동작 판부
32:걸어맞춤 오목부
34:물품 재치판부
36:다리판부
40:주반송 경로
42:분기 안내 부재
44:물품
46:분기 경로
48:안내 롤러
50:주반송 안내 부재
52:분할부

Claims (17)

  1. 주반송 경로를 따라서 배치된 한 쌍의 무단 회동체 사이에 복수 걸쳐진 상기 주반송 경로에 대하여 직각 방향이 길이 방향이 되는 물품 지지체와,
    상기 물품 지지체에 상기 길이 방향으로 미끄럼동작 가능하도록 밖에서 끼워, 상기 주반송 경로에 대해서 일정 방향으로 마련된 분기 안내 부재에 안내되는 물품 횡압체를 구비하고,
    상기 물품 지지체에 미끄럼동작 가능하도록 접촉하는 상기 물품 횡압체의 미끄럼동작부가,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한 단면에서 보았을 때 좌우 양단 부근에 위치하는 물품 분류 수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동작부가, 상기 단면에서 보았을 때 하단 부근에 위치하는 물품 분류 수단.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횡압체가, 상기 물품 지지체를 탄성적으로 눌러, 상기 물품 지지체에 대해서 미끄럼동작하는 압압 부재를 구비한 물품 분류 수단.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 부재가, 상기 단면에서 보았을 때 경사 방향에 상기 물품 지지체를 누르는 물품 분류 수단.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 부재가, 상기 단면에서 보았을 때 경사 방향에 상기 물품 지지체를 누르는 물품 분류 수단.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횡압체가 가지는 중공부 내에 상기 물품 지지체가 걸어맞춤되는 것에 의해 상기 물품 횡압체가 상기 물품 지지체에 밖에서 끼워지고,
    상기 물품 횡압체의 바닥판부가, 상기 단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중공부 내에 위로 세워져서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동시에 상기 물품 지지체에 접촉하여 상기 미끄럼동작부를 형성하는 미끄럼동작 돌기부를 가지는 물품 분류 수단.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횡압체가 가지는 중공부 내에 상기 물품 지지체가 걸어맞춤되는 것에 의해 상기 물품 횡압체가 상기 물품 지지체에 밖에서 끼워지고,
    상기 물품 횡압체의 바닥판부가, 상기 단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중공부 내에 위로 세워져서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동시에 상기 물품 지지체에 접촉하여 상기 미끄럼동작부를 형성하는 미끄럼동작 돌기부를 가지는 물품 분류 수단.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횡압체가 가지는 중공부 내에 상기 물품 지지체가 걸어맞춤되는 것에 의해 상기 물품 횡압체가 상기 물품 지지체에 밖에서 끼워지고,
    상기 물품 횡압체의 바닥판부가, 상기 단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중공부 내에 위로 세워져서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동시에 상기 물품 지지체에 접촉하여 상기 미끄럼동작부를 형성하는 미끄럼동작 돌기부를 가지는 물품 분류 수단.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지지체의 하단에, 안쪽을 향하여 돌출하고, 상기 물품 횡압체의 미끄럼동작 돌기부에 접촉하여 상기 미끄럼동작부를 형성하는 피미끄럼동작 돌기부를 가지는 물품 분류 수단.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지지체의 하단에, 안쪽을 향하여 돌출하고, 상기 물품 횡압체의 미끄럼동작 돌기부에 접촉하여 상기 미끄럼동작부를 형성하는 피미끄럼동작 돌기부를 가지는 물품 분류 수단.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지지체의 하단에, 안쪽을 향하여 돌출하고, 상기 물품 횡압체의 미끄럼동작 돌기부에 접촉하여 상기 미끄럼동작부를 형성하는 피미끄럼동작 돌기부를 가지는 물품 분류 수단.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지지체가, 상기 피미끄럼동작 돌기부와 상기 피미끄럼동작 돌기부의 상부에 마련된 미끄럼동작 판부로 구성되는 걸어맞춤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미끄럼동작 돌기부가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 내에 미끄럼동작 가능하도록 끼워둔 물품 분류 수단.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지지체가, 상기 피미끄럼동작 돌기부와 상기 피미끄럼동작 돌기부의 상부에 마련된 미끄럼동작 판부로 구성되는 걸어맞춤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미끄럼동작 돌기부가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 내에 미끄럼동작 가능하도록 끼워둔 물품 분류 수단.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지지체가, 상기 피미끄럼동작 돌기부와 상기 피미끄럼동작 돌기부의 상부에 마련된 미끄럼동작 판부로 구성되는 걸어맞춤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미끄럼동작 돌기부가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 내에 미끄럼동작 가능하도록 끼워둔 물품 분류 수단.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지지체가, 물품 재치판부의 하면 중간부로부터 이어지는 동시에 상기 미끄럼동작 판부에 연속하는 다리판부를 가지는 물품 분류 수단.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지지체가, 물품 재치판부의 하면 중간부로부터 이어지는 동시에 상기 미끄럼동작 판부에 연속하는 다리판부를 가지는 물품 분류 수단.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지지체가, 물품 재치판부의 하면 중간부로부터 이어지는 동시에 상기 미끄럼동작 판부에 연속하는 다리판부를 가지는 물품 분류 수단.
KR20110066304A 2010-07-07 2011-07-05 물품 분류 수단 KR1015080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54480 2010-07-07
JPJP-P-2010-154480 2010-07-07
JP2011103957A JP5652618B2 (ja) 2010-07-07 2011-05-09 物品仕分け手段
JPJP-P-2011-103957 2011-05-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931A true KR20120004931A (ko) 2012-01-13
KR101508031B1 KR101508031B1 (ko) 2015-04-06

Family

ID=45611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66304A KR101508031B1 (ko) 2010-07-07 2011-07-05 물품 분류 수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08031B1 (ko)
CN (1) CN1023721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43361B1 (ja) * 2014-09-24 2015-07-01 オークラ輸送機株式会社 仕分装置およびスラット
CN109516151B (zh) * 2018-12-24 2020-12-11 潘湘武 物流分拣转向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9408B2 (ja) * 1993-11-30 1999-08-03 トーヨーカネツ株式会社 仕分装置
JP2000118699A (ja) * 1998-10-07 2000-04-25 Daifuku Co Ltd 搬送装置
JP4433256B2 (ja) * 2001-03-15 2010-03-17 オークラ輸送機株式会社 搬送仕分け装置
JP4215017B2 (ja) * 2005-03-28 2009-01-28 株式会社ダイフク 転換設備
JP4274141B2 (ja) * 2005-03-28 2009-06-03 株式会社ダイフク 転換設備
KR101237315B1 (ko) * 2006-03-15 2013-02-28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반송설비
JP4983314B2 (ja) * 2007-03-05 2012-07-25 株式会社ダイフク コンベ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72161A (zh) 2012-03-14
CN102372161B (zh) 2015-05-06
KR101508031B1 (ko) 201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52618B2 (ja) 物品仕分け手段
WO2008152245A3 (fr) Navette avec plateau pour entrepot de stockage et /ou de preparation logistique
EP2671823A1 (en) Chain conveyor with magnets
KR20130072121A (ko) 물품 반송 설비
KR20120004931A (ko) 물품 분류 수단
DE50302593D1 (de) Fördersystem für Güter, insbesondere Behälter für Gepäckstücke, und Steuerverfahren für das Fördersystem
JP5743156B2 (ja) 物品載置具
CN112566855B (zh) 运输设备
CN102633083B (zh) 机头环形挡边装置
CN105480646B (zh) 输送装置以及输送系统和分配系统
CN103582603B (zh) 机头挡边皮带运输机及其制造方法
WO2008098785A3 (de) Fördereinrichtung zum transport von fördergutträgern längs einer förderstrecke
ATE291528T1 (de) Einrichtung zum transport von backwaren
US10710768B2 (en) Pallet
CN207450563U (zh) 一种组合式物流托盘
KR101267601B1 (ko) 이송물 비산 방지장치
CN202529488U (zh) 机头挡边皮带运输机
CN102633085B (zh) 机头挡边皮带在皮带运输机的应用
CN211337522U (zh) 一种胶带输送机转载点耐磨抗压缓冲滑床
KR960010529B1 (ko) 물품 분류 컨베이어 장치
KR101291548B1 (ko) 벨트 컨베이어
US6679183B2 (en) Overhead conveying apparatus, in particular for items hanging on hooks
JP2008115004A (ja) 搬送設備
WO2019006876A1 (zh) 一种防掉落货物托盘
KR101645985B1 (ko) 컨베이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