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7601B1 - 이송물 비산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이송물 비산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7601B1
KR101267601B1 KR1020110039411A KR20110039411A KR101267601B1 KR 101267601 B1 KR101267601 B1 KR 101267601B1 KR 1020110039411 A KR1020110039411 A KR 1020110039411A KR 20110039411 A KR20110039411 A KR 20110039411A KR 101267601 B1 KR101267601 B1 KR 101267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guide
guide plate
coupled
belt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9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1548A (ko
Inventor
이태연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9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7601B1/ko
Publication of KR20120121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1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7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7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8Preventing escape of dust
    • B65G69/185Preventing escape of dust by means of non-sealed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물 비산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벨트 컨베이어의 이송물이 제2벨트 컨베이어로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슈트부와, 슈트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가이드부 및 가이드부에 결합되고 제2벨트 컨베이어와 밀착되는 밀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물 비산 방지장치는 밀착부가 제2벨트 컨베이어와 밀착되어 이송물의 분진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송물 비산 방지장치{DEVICE FOR PREVENTING SCATTERING OF MATERIAL}
본 발명은 이송물 비산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물이 슈트를 통해 벨트 컨베이어로 낙하되는 과정에서 비산되어 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이송물 비산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쓰이는 연료나 원료와 같은 이송물은 복수개의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원하는 장소로 이송된다.
벨트 컨베이어의 길이가 무한대로 될 수 없기 때문에, 벨트 컨베이어와 벨트 컨베이어 사이에는 슈트(chute)가 구비된다.
슈트는 어느 하나의 벨트 컨베이어에서 이송된 이송물이 다른 하나의 벨트 컨베이어로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덕트 형상을 하여 벨트 컨베이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슈트와 벨트 컨베이어 사이의 틈새 생성을 억제하여 어느 하나의 벨트 컨베이어에서 다른 하나의 벨트 컨베이어로 낙하된 이송물이 비산되지 않도록 하는 이송물 비산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벨트 컨베이어의 이송물이 제2벨트 컨베이어로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슈트부; 상기 슈트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벨트 컨베이어와 밀착되는 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물 비산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슈트부는 상기 제1벨트 컨베이어가 삽입되도록 일측에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벨트 컨베이어로 이송물이 배출되도록 하단부에 배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슈트부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확장판; 및 상기 확장판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착부는 상기 가이드판에 결합되는 안내부; 상기 안내부에 내장되고, 상기 제2벨트 컨베이어의 제2이송벨트에 접촉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부는 상기 가이드판에 결합되는 제1안내판; 상기 제1안내판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안내판; 및 상기 제1안내판과 상기 제2안내판을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1안내판과 상기 제2안내판 사이에 배치되는 접촉대; 및 상기 접촉대에 결합되고, 상기 제2이송벨트와 접촉되는 고무재질의 접촉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안내판에는 가이드홀이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촉대에는 상기 가이드홀을 관통하고 상기 가이드홀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는 관통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촉대에는 상기 제1안내판과 상기 제2안내판에 각각 접촉되는 접촉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촉돌기는 상기 접촉대의 상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접촉돌기 사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이드판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절곡 형성되는 가압링크; 상기 가압링크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접촉대와 접촉되는 가압롤러; 및 상기 가압링크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가압무게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물 비산 방지장치는 밀착부가 제2벨트 컨베이어에 밀착되어 낙하되는 이송물의 분진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물 비산 방지장치는 가압부가 접촉부를 아래로 가압함으로써, 접촉패드가 마모되더라도 접촉패드가 하강하여 제2벨트 컨베이어에 밀착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물 비산 방지장치는 접촉대에 형성되는 관통돌기가 제2안내판에 형성되는 가이드홀을 관통함으로써, 접촉부는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되어 과도한 하방 이동이 제한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물 비산 방지장치는 접촉대에 형성되는 접촉돌기가 제1안내판과 제2안내판에 각각 접촉되어 접촉대의 유동을 제한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비산 방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비산 방지장치에서 안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비산 방지장치에서 접촉부와 가압부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비산 방지장치에서 접촉패드의 마모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비산 방지장치에서 접촉패드의 마모로 접촉부가 하방으로 일부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비산 방지장치에서 접촉패드의 마모로 접촉부가 최저점으로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송물 비산 방지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비산 방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비산 방지장치에서 안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비산 방지장치에서 접촉부와 가압부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비산 방지장치에서 접촉패드의 마모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비산 방지장치에서 접촉패드의 마모로 접촉부가 하방으로 일부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비산 방지장치에서 접촉패드의 마모로 접촉부가 최저점으로 이동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비산 방지장치(1)에는 슈트부(10), 가이드부(20) 및 밀착부(30)가 구비된다.
슈트부(10)는 제1벨트 컨베이어(100)의 이송물이 제2벨트 컨베이어(200)로 낙하되도록 유도한다.
가이드부(20)는 슈트부(10)의 하부에 연결되고, 밀착부(30)는 가이드부(20)에 결합된다. 밀착부(30)는 제2벨트 컨베이어(200)와 밀착되어 낙하되는 이송물의 분진을 억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부(10)는 덕트 형상을 한다. 이러한 슈트부(10)는 일측에 삽입홀(11)이 형성되어 제1벨트 컨베이어(100)가 삽입되고, 하단부에 배출홀(12)이 형성되어 이송물이 배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20)에는 확장판(21) 및 가이드판(22)이 구비된다.
확장판(21)은 슈트부(10)의 하단부에서 결합된다. 이러한 확장판(21)은 슈트부(10)의 하단부에서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판(22)은 확장판(21)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가이드판(22)의 단면공간은 배출홀(12) 보다 크게 형성되어, 배출홀(12)을 통해 배출되는 이송물을 분산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착부(30)에는 안내부(31), 접촉부(32) 및 가압부(33)가 구비된다.
안내부(31)는 가이드판(22)에 결합되고, 접촉부(32)는 안내부(31)에 내장된다. 이러한 접촉부(32)는 하단부가 제2벨트 컨베이어(200)에서 낙하된 이송물을 실어 나르는 제2이송벨트(201)에 접촉된다.
가압부(33)는 접촉부(32)를 가압한다. 이러한 가압부(33)는 접촉부(32)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접촉부(32)를 제2이송벨트(201)에 밀착시킨다.
따라서, 접촉부(32)와 제2이송벨트(201) 사이의 틈새가 제거되어 낙하된 이송물의 분진이 비산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부(31)에는 제1안내판(311), 제2안내판(312) 및 연결대(313)가 구비된다.
제1안내판(311)은 가이드판(22)에 결합되고, 제2안내판(312)은 제1안내판(311)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연결대(313)는 제1안내판(311)과 제2안내판(312)을 연결한다.
이때, 가압부(33)가 안내부(31)에 삽입되도록 안내부(31)의 상단부는 개구된 형상을 한다. 그리고, 접촉부(32)가 제2이송벨트(201)와 밀착되도록 안내부(31)의 하단부는 개구된 형상을 한다.
제1안내판(311)은 가이드판(22)이 되어도 무방하다. 만일, 제1안내판(311)이 가이드판(22)이 되면, 제2안내판(312)은 가이드판(22)과 이격되며, 연결대(313)는 가이드판(22)과 제2안내판(312)을 연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32)에는 접촉대(321) 및 접촉패드(322)가 구비된다.
접촉대(321)는 제1안내판(311)과 제2안내판(312) 사이에 배치되고, 접촉패드(322)는 접촉대(321)에 결합된다. 이러한 접촉패드(322)는 접촉대(321)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접촉대(321)의 아래에 위치된다.
접촉패드(322)는 고무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제2이송벨트(201)와 밀착된다. 이때, 제2이송벨트(201)가 무한궤도 이동을 하면, 접촉패드(322)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마모된다.
제2안내판(312)에는 가이드홀(314)이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접촉대(321)에는 관통돌기(324)가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돌기(324)는 가이드홀(314)을 관통한다.
접촉부(32)는 안내부(31) 내부에서 상하 이동되며, 가이드홀(314)을 따라 이동되는 관통돌기(324)에 의해 접촉부(32)의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접촉패드(322)의 과도한 마모로 접촉대(321)의 하단부가 노출되더라도, 이러한 접촉대(321)가 제2이송벨트(201)와 접촉되지 않도록 접촉부(32)의 이동이 제한된다.
접촉대(321)에는 제1안내판(311)과 제2안내판(312)의 내측면에 각각 접촉되도록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접촉돌기(325)가 구비된다.
접촉돌기(325)는 접촉대(321)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어, 접촉대(321)가 상하 이동되는 과정에서의 유동을 억제한다.
예를 들어, 접촉돌기(325)는 접촉대(321)의 상단부에 위치되고, 접촉대(321) 보다 높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접촉돌기(325) 사이에는 삽입홈(326)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33)에는 가압링크(331), 가압롤러(332) 및 가압무게추(333)가 구비된다.
가압링크(331)는 가이드판(22)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절곡된 형상을 한다. 이러한 가압링크(331)는 중앙부는 가이드판(22)에 힌지 또는 핀 결합되어 회전되고, 중앙부에서 양단부가 연장 형성된다.
가압롤러(332)는 가압링크(331)의 일단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가압롤러(332)는 삽입홈(326)에 삽입되어 접촉대(321)와 접촉된다.
가압무게추(333)는 가압링크(331)의 타단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가압무게추(333)의 무게에 의해 가압링크(331)는 회전되고, 가압롤러(332)는 접촉대(321)를 가압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물 비산 방지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슈트부(10)의 하단부에 가이드부(20)가 연결되고, 가이드부(20)에는 밀착부(30)가 장착된다.
제1벨트 컨베이어(100)는 슈트부(10)의 삽입홀(11)에 삽입되고, 제2벨트 컨베이어(200)의 제2이송벨트(201)는 밀착부(30)와 밀착된다.
따라서, 제1벨트 컨베이어(100)를 통해 이송된 이송물이 제2벨트 컨베이어(200)로 낙하되며, 밀착부(30)가 제2벨트 컨베이어(200)와 가이드부(20) 사이의 틈새를 제거함으로써, 낙하된 이송물의 비산이 방지된다.
한편, 밀착부(30)에는 가이드부(20)에 장착되는 안내부(31)와, 안내부(31)에 내장되어 상하 이동되고 제2이송벨트(201)와 밀착되는 접촉부(32) 및 접촉부(32)를 하방으로 가압하여 접촉부(32)와 제2이송벨트(201)의 밀착상태를 유지시키는 가압부(33)가 구비된다(도 4 참조).
상기한 상태에서, 접촉부(32)와 제2이송벨트(201)의 지속적인 마찰에 의해 접촉부(32)의 접촉패드(322)가 일부 마모되면, 가압무게추(333)의 하중에 의해 가압롤러(332)가 회전되면서 아래에 위치되는 접촉대(321)를 가압한다(도 5 참조).
따라서, 가압무게추(333)에 의해 접촉대(321)는 지속적으로 아래로 향하려는 성향을 가지게 되며, 접촉패드(322)는 마모되더라도 아래로 이동되어 제2이송벨트(201)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접촉대(321)에는 관통돌기(324)가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이러한 관통돌기(324)는 안내부(31)의 제2안내판(312)에 형성되는 가이드홀(314)을 관통한다.
관통돌기(324)는 가이드홀(314)을 따라 이동되어 하방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접촉패드(322)가 과도하게 마모되어 접촉대(321)가 노출되더라도, 접촉대(321)의 하방 이동이 제한되어 접촉대(321)와 제2이송벨트(201)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관통돌기(324)가 가이드홀(314)의 최저점에 근접되거나 위치되면, 작업자는 접촉패드(322)를 교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슈트부 20 : 가이드부
21 : 확장판 22 : 가이드판
30 : 밀착부 31 : 안내부
32 : 접촉부 33 : 가압부
311 : 제1안내판 312 : 제2안내판
313 : 연결대 321 : 접촉대
322 : 접촉패드 324 : 관통돌기
325 : 접촉돌기 331 : 가압링크
332 : 가압롤러 333 : 가압무게추

Claims (10)

  1. 제1벨트 컨베이어의 이송물이 제2벨트 컨베이어로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슈트부;
    상기 슈트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벨트 컨베이어와 밀착되는 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는 안내부;
    상기 안내부에 내장되고, 상기 제2벨트 컨베이어의 제2이송벨트에 접촉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되는 제1안내판;
    상기 제1안내판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안내판; 및
    상기 제1안내판과 상기 제2안내판을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제1안내판과 상기 제2안내판 사이에 배치되는 접촉대; 및
    상기 접촉대에 결합되고, 상기 제2이송벨트와 접촉되는 고무재질의 접촉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안내판에는 가이드홀이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접촉대에는 상기 가이드홀을 관통하고 상기 가이드홀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는 관통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물 비산 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부는
    상기 제1벨트 컨베이어가 삽입되도록 일측에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벨트 컨베이어로 이송물이 배출되도록 하단부에 배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물 비산 방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슈트부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확장판; 및
    상기 확장판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물 비산 방지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대에는 상기 제1안내판과 상기 제2안내판에 각각 접촉되는 접촉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물 비산 방지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돌기는 상기 접촉대의 상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접촉돌기 사이에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물 비산 방지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절곡 형성되는 가압링크;
    상기 가압링크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접촉대와 접촉되는 가압롤러; 및
    상기 가압링크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가압무게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물 비산 방지장치.
KR1020110039411A 2011-04-27 2011-04-27 이송물 비산 방지장치 KR101267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411A KR101267601B1 (ko) 2011-04-27 2011-04-27 이송물 비산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411A KR101267601B1 (ko) 2011-04-27 2011-04-27 이송물 비산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548A KR20120121548A (ko) 2012-11-06
KR101267601B1 true KR101267601B1 (ko) 2013-05-24

Family

ID=47507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9411A KR101267601B1 (ko) 2011-04-27 2011-04-27 이송물 비산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76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091B1 (ko) * 2018-06-19 2019-10-16 김민수 벨트 컨베이어용 낙광 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69897B (zh) * 2020-01-07 2021-11-19 南京蹑波物联网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疏通功能的送料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3091B1 (ko) * 2018-06-19 2019-10-16 김민수 벨트 컨베이어용 낙광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548A (ko) 2012-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0660B1 (ko) 벨트컨베이어
KR101267601B1 (ko) 이송물 비산 방지장치
JP5652618B2 (ja) 物品仕分け手段
KR101424427B1 (ko)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너장치
JP2752579B2 (ja) ベルトコンベヤ乗継部の支持装置
KR101299048B1 (ko) 트리퍼
CN208560593U (zh) 一种圆弧刮板输送机
KR101399884B1 (ko) 벨트컨베이어용 슈트
KR101803962B1 (ko) 원료 및 부원료 컨베이어용 벨트 뒤집기 방법
KR101277576B1 (ko) 벨트 컨베이어용 낙광 방지장치
KR101498892B1 (ko) 벨트컨베이어용 슈트
KR102177865B1 (ko) 벨트컨베이어용 손상감지장치
JP5817599B2 (ja) コンベアラインにおける搬送物の振り分け装置
KR101277537B1 (ko) 벨트 사행 방지장치
ATE76619T1 (de) Trogketten-steilfoerderer fuer maessig trockenes schuettgut.
KR101295744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KR102110673B1 (ko) 벨트컨베이어
CN206278648U (zh) 一种皮带输送机用临时卸料装置
KR101928178B1 (ko)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방지장치
KR101553151B1 (ko)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KR20200043651A (ko) 슈트 막힘 방지장치
JP2003034426A (ja) スクレーパ装置
KR101388037B1 (ko) 누적광 제거장치
KR101291548B1 (ko) 벨트 컨베이어
KR102299560B1 (ko) 벨트컨베이어용 화재 확산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