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326A - 접이 의자 - Google Patents

접이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326A
KR20120004326A KR1020110057900A KR20110057900A KR20120004326A KR 20120004326 A KR20120004326 A KR 20120004326A KR 1020110057900 A KR1020110057900 A KR 1020110057900A KR 20110057900 A KR20110057900 A KR 20110057900A KR 20120004326 A KR20120004326 A KR 20120004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shaped
pair
rotatably mounte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7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키 시바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로고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로고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로고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20004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3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28Folding chairs with flexible coverings for the seat or back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28Folding chairs with flexible coverings for the seat or back elements
    • A47C4/286Folding chairs with flexible coverings for the seat or back elements foldable side to side and front to back, e.g. umbrella type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가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접이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성] 접이 의자는 접이 가능한 다리부(100)와, 다리부(100)에 지지된 좌면부(211), 난간 본체(310), 회동축부(320) 및 클램프부(330)를 갖는 난간(300)을 구비하고 있다. 회동축부(320)는 다리부(100)의 후방측 지지 폴(140)에 설치되어 난간 본체(310)의 길이 방향의 제 1 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하고 있다. 클램프부(330)는 난간 본체(310)의 길이 방향의 제 2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다리부(100)가 전개된 상태에서 클램프부(330)에 다리부(100)의 X자 다리(110a)의 전방측 상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감합되고, 다리부(100)가 접힌 상태에서 클램프부(330)에 후방측 지지 폴(140)의 회동축부(320)의 장착 부위의 하측 부분이 착탈 가능하게 감합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접이 의자{FOLDING CHAIR}
본 발명은 아웃도어 등에 사용되는 접이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접이 의자로서는 대략 L자 형상의 난간의 길이 방향의 제 1 단부가 다리부의 등받이부를 지지하는 후방측 지지 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것이 있다. 난간의 제 2 단부에는 원통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의자가 전개된 상태에서 난간의 오목부에 다리부의 전방측 지지 폴의 상단부가 감합된다. 이에 따라, 난간이 전방측 지지 폴과 후방측 지지 폴 사이에 현가(懸架)되어 난간 본체의 기능을 발휘한다. 한편, 상기 의자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난간의 상기 오목부로부터 전방측 지지 폴의 상단부가 분리되어 다리부의 접기의 장해가 안되도록 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09-005738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접이 의자는 집 밖으로 운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가반성(可搬性)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가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접이 의자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접이 의자는 접이 가능한 다리부, 이 다리부에 지지된 좌면부(座面部), 및 난간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난간은 난간 본체, 회동축부, 및 록킹 수단을 갖고 있다. 상기 회동축부는 상기 다리부의 후방측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난간 본체의 길이 방향의 제 1 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상기 록킹 수단은 상기 난간 본체의 길이 방향의 제 2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다리부가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록킹 수단이 상기 다리부의 전방측 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록킹되고, 상기 다리부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록킹 수단이 상기 다리부의 후방측 부분의 회동축부의 장착 부위의 상측 부분 또는 하측 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록킹된다.
이러한 형태의 발명에 의한 경우 회동축부가 다리부의 후방측 부분에 설치되어 난간 본체의 제 1 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하고 있으므로 다리부가 전개된 상태에서 회동축부를 지점(支点)으로 난간 본체를 회동시켜 난간 본체의 제 2 단부측의 록킹 수단을 다리부의 전방측 부분에 록킹시킴으로써 난간 본체를 다리부의 전방측 부분과 후방측 부분 사이에 현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난간 본체가 난간 본래의 기능을 발휘한다. 한편, 다리부가 접힌 상태에서 회동축부를 지점으로 난간 본체를 회동시켜 록킹 수단을 상기 후방측 부분의 회동축부의 장착 부위의 상측 부분 또는 하측 부분에 록킹시킴으로써 난간 본체를 상기 후방측 부분의 회동축부의 장착 부위와 그 상측 부분 또는 하측 부분 사이에 현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난간 본체를 운반용 손잡이로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의자의 가반성이 향상된다.
상기 난간 본체를 대략 U자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록킹 수단은 상기 난간 본체의 제 2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발명에 의한 경우 난간 본체가 대략 U자 형상이므로 다리부의 전방측 부분과 후방측 부분에 현가된 상태가 안정된다. 게다가, 록킹 수단이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그 록킹 수단의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다리부의 전방측 부분, 후방측 부분에 간단히 록킹시킬 수 있다.
상기 록킹 수단은 상기 다리부의 전방측 부분 및 상기 다리부의 후방측 부분이 감합 가능한 클램프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의 발명에 의한 경우 상기 다리부의 전방측 부분 또는 다리부의 상기 후방측 부분을 상기 클램프부에 감합시키는 것만으로 그 전방측 부분 또는 후방측 부분을 클램프부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상기 다리부는 그 다리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또한 개폐 가능한 한쌍의 제 1 X자 다리, 상기 제 1 X자 다리의 후방측 하단부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한쌍의 제 1 하측 연결부, 상기 제 1 하측 연결부에 각각 세워 설치된 한쌍의 후방측 지지부, 및 상기 제 1 X자 다리의 후방측 상단부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또한 상기 후방측 지지부가 장착되는 한쌍의 제 1 상측 연결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다리부의 후방측 부분은 상기 후방측 지지부 또는 상기 제 1 X자 다리의 후방측 상단부이다. 상기 다리부의 전방측 부분은 상기 제 1 X자 다리의 전방측 상단부이다.
상기 회동축부는 상기 후방측 지지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발명에 의한 경우 난간을 손잡이로서 이용할 때에 회동축부를 이동시켜 록킹 수단을 후방측 부분의 회동축부의 장착 부위의 상측 부분 또는 하측 부분에 록킹시킴으로써 난간의 설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다리부는 그 다리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또한 개폐 가능한 한쌍의 제 1 X자 다리, 상기 제 1 X자 다리의 후방측 하단부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한쌍의 제 1 하측 연결부, 상기 제 1 X자 다리의 후방측 상단부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한쌍의 제 1 상측 연결부, 리클라이닝(reclining) 기구, 및 등받이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리클라이닝 기구는 상기 등받이부를 지지한 한쌍의 지지 부재, 및 한쌍의 회동부를 갖고 있다. 상기 회동부는 상기 제 1 X자 다리의 후방측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 1 단부, 및 상기 지지 부재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 2 단부를 갖고 있다. 상기 다리부의 후방측 부분은 상기 리클라이닝 기구의 지지 부재 또는 상기 제 1 X자 다리의 후방측 상단부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다리부의 전방측 부분은 상기 제 1 X자 다리의 전방측 상단부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발명에 의한 경우 회동부의 제 1 단부를 지점으로 그 회동부를 회동시킴으로써 지지 부재 및 등받이부의 경사각을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간단한 기구로 리클라이닝 기구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다리부는 그 다리부의 전후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개폐 가능한 한쌍의 제 2 X자 다리, 상기 제 1 X자 다리의 전방측 하단부 및 전방측의 제 2 X자 다리의 하단부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한쌍의 제 2 하측 연결부, 및 상기 제 1 X자 다리의 전방측 상단부 및 전방측의 제 2 X자 다리의 상단부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한쌍의 제 2 상측 연결부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후방측의 제 2 X자 다리의 하단부가 상기 제 1 하측 연결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후방측의 제 2 X자 다리의 상단부가 상기 제 1 상측 연결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다리부는 그 다리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또한 개폐 가능한 한쌍의 제 1 X자 다리, 및 한쌍의 현가 부재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 1 X자 다리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현가 부재가 상기 제 1 X자 다리의 전방측 상단부와 후방측 상단부에 현가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X자 다리의 전방측 하단부와 후방측 하단부에 현가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다리부의 후방측 부분이 상기 제 1 X자 다리의 후방측 상단부이다. 상기 다리부의 전방측 부분이 상기 제 1 X자 다리의 전방측 상단부이다.
상기 다리부는 상기 제 2 X자 다리 대신에 한쌍의 전방측 연결 부재, 및 한쌍의 후방측 연결 부재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한쌍의 전방측 연결 부재는 상기 제 1 X자 다리의 전방측 상단부, 전방측 하단부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상기 한쌍의 후방측 연결 부재는 상기 제 1 X자 다리의 후방측 상단부, 후방측 하단부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상기 접이 의자는 등받이부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후방측 지지부는 상기 제 1 상측 연결부를 관통하고 있다. 이 후방측 지지부의 상단부가 상기 등받이부를 지지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접이 의자의 사시도로서, (a)는 정면평면좌측면측을 나타내는 도면, (b)는 배면평면좌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상기 의자의 좌측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의자가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접이 의자의 사시도로서, (a)는 정면평면좌측면측을 나타내는 도면, (b)는 배면평면좌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상기 의자의 좌측면도로서, (a)는 리클라이닝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b)는 리클라이닝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의자가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의자의 설계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의자의 다른 설계 변형예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의한 접이 의자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접이 의자에 대해서 도 1 ~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접이 의자는 접이 가능한 다리부(100), 시트(200), 및 한쌍의 난간(300)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 접이 의자의 각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리부(100)는 한쌍의 X자 다리(110a, 110b)(제 1, 제 2 X자 다리), 한쌍의 하측 연결부(120a, 120b)(제 1, 제 2 하측 연결부), 한쌍의 상측 연결부(130a, 130b)(제 1, 제 2 상측 연결부), 및 한쌍의 후방측 지지 폴(140)(후방측 지지부)을 갖고 있다. X자 다리(110a)는 다리부(100)의 양측에 대향 배치되어 있다. X자 다리(110b)는 다리부(100)의 전후방측에 대향 배치되어 있다. X자 다리(110a)는 중심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원통 형상의 폴(111a, 112a)을 갖고 있다. 이 폴(111a, 112a)이 상기 중심부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폴(111a, 112a)의 상단부 및 하단부가 서로 이반·접근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이 X자 다리(110a)의 개폐가 되고 있다. X자 다리(110b)는 중심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원통 형상의 폴(111b, 112b)을 갖고 있다. 이 폴(111b, 112b)이 상기 중심부를 지점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폴(111b, 112b)의 상단부 및 하단부가 서로 이반·접근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이 X자 다리(110b)의 개폐가 되고 있다. 폴(112a)의 후방측의 상단부에는 수지제의 스토퍼(113a)가 외부로부터 끼워져 있다. 후방측 지지 폴(140)은 외경이 폴(111a, 112a, 111b, 112b)과 같은 원통 형상의 폴이다.
하측 연결부(120a)는 수지제의 성형품이며, 대략 직각으로 배치된 한쌍의 벽부를 갖고 있다. 한쪽의 벽부에 X자 다리(110a)의 폴(111a)의 후방측의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다른쪽의 벽부에 후방측의 X자 다리(110b)의 폴(111b, 112b)의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하측 연결부(120a)의 한쌍의 벽부 사이에는 후방측 지지 폴(140)의 하단부가 감합되는 원통부가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후방측 지지 폴(140)은 하측 연결부(120a)에 세워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측 연결부(120b)는 수지제의 성형품이며, 대략 직각으로 배치된 한쌍의 벽부를 갖고 있다. 한쪽의 벽부에 X자 다리(110a)의 폴(112a)의 전방측의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다른쪽의 벽부에 전방측의 X자 다리(110b)의 폴(111b, 112b)의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상측 연결부(130a)는 수지제의 성형품이며, 대략 직각으로 배치된 한쌍의 벽부를 갖고 있다. 한쪽의 벽부에 X자 다리(110a)의 폴(112a)의 후방측의 상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다른쪽의 벽부에 후방측의 X자 다리(110b)의 폴(111b, 112b)의 상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측 연결부(130a)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을 후방측 지지 폴(140)이 관통하여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측 연결부(130b)는 수지제의 성형품이며, 대략 직각으로 배치된 한쌍의 벽부를 갖고 있다. 한쪽의 벽부에 X자 다리(110a)의 폴(111a)의 전방측의 상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다른쪽의 벽부에 전방측의 X자 다리(110b)의 폴(111b, 112b)의 상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하측 연결부(120a, 120b)는 X자 다리(110a, 110b)의 개폐에 따라 이반·접근된다. 마찬가지로, 상측 연결부(130a, 130b)도 X자 다리(110a, 110b)의 개폐에 따라 이반·접근된다. 이때, 폴(111a, 112a, 111b, 112b)의 상단부, 하단부가 회동 하도록 되어 있다. X자 다리(110a)가 열린 상태가 다리부(100)의 전개 상태가 되고 있고(도 1 및 도 2 참조), X자 다리(110a)가 닫힌 상태가 다리부(100)의 접힌 상태가 되고 있다(도 3 참조).
시트(200)는 다리부(100)에 장착되어 있다. 이 시트(200)는 시트 본체(210) 및 장착부(220)를 갖고 있다. 시트 본체(210)는 폴리에스테르 등으로 구성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플렉시블한 직물이며, 하측의 양 모서리부가 상측 연결부(130b)에, 상측의 양 모서리부가 후방측 지지 폴(140)의 상단부에 각각 고착되어 있다. 장착부(220)는 시트 본체(210)의 이면의 중앙부에 꿰매 붙여진 폴리에스테르 등의 직사각형 형상의 직물이다. 장착부(220)의 양 모서리부에는 원형의 구멍(22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221)에 X자 다리(110a)의 후방측의 상단부[폴(112a)의 상단부]가 통과되고, 구멍(221)의 둘레 가장자리부가 X자 다리(110a)의 스토퍼(113a)에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시트(200)가 다리부(100)에 장착된 상태에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본체(210)가 측면으로부터 볼 때 대략 L자 형상이 되고, 그 시트 본체(210)의 수평부가 좌면부(211)로서, 수직부가 등받이부(212)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난간(300)은 난간 본체(310), 회동축부(320), 클램프부(330)(록킹 수단), 및 쿠션부(340)를 갖고 있다. 난간 본체(310)는 대략 U자 형상의 파이프이다. 이 난간 본체(310)의 중간부에 쿠션부(340)가 외부로부터 끼워져 있다. 회동축부(320)는 원통 형상의 수지 부재이며, 후방측 지지 폴(140)의 상측 연결부(130a)의 상측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또한 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외부로부터 끼워져 있다. 이 회동축부(320)의 외주면에는 한쌍의 편부(片部)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그 편부 사이에 난간 본체(310)의 길이 방향의 제 1 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클램프부(330)는 선단부가 단면이 대략 U자 형상인 수지 부재이며, 그 후단부에 한쌍의 편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편부 사이에 난간 본체(310)의 길이 방향의 제 2 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클램프부(330)의 선단부의 내경은 폴(111a) 및 후방측 지지 폴(140)의 외경과 같게 되어 있다. 다시 말해, 클램프부(330)의 선단부에 폴(111a) 및 후방측 지지 폴(140)이 착탈 가능하게 감합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전개 상태에서 회동축부(320)를 지점으로 난간 본체(310)를 회동시켜 클램프부(330)의 선단부에 X자 다리(110a)의 폴(111a)의 전방측의 상단부를 감합시키면 난간 본체(310)가 후방측 지지 폴(140)과 X자 다리(110a)의 전방측의 상단부 사이에 현가된다. 이에 따라, 난간 본체(310)가 난간 본래의 기능을 발휘한다. 이 때, 회동축부(320)는 상측 연결부(130a)에 접촉하여 지지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접힌 상태에서 회동축부(320)를 지점으로 난간 본체(310)를 회동시켜 클램프부(330)의 선단부에 후방측 지지 폴(140)에 있어서의 회동축부(320)의 장착 부위의 하측 부분을 감합시키면 난간 본체(310)가 후방측 지지 폴(140)에 있어서의 상측 연결부(130a)의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에 현가된다. 이 상태에서 난간 본체(310)가 본 접이 의자를 운반하기 위한 손잡이로서의 기능을 발휘한다. 따라서, 본 접이 의자의 가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회동축부(320)가 후방측 지지 폴(140)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므로 난간 본체(310)를 손잡이로서 이용할 때에 회동축부(320)의 위치를 가변함과 아울러 클램프부(330)의 감합 위치를 가변함으로써 손잡이의 위치를 각 유저에게 적합한 위치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클램프부(330)가 난간 본체(310)의 제 2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므로 그 클램프부(330)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클램프부(330)에 폴(111a) 및 후방측 지지 폴(140)을 감합시킬 때에 폴(111a)의 경사각, 후방측 지지 폴(140)의 경사각에 따라서 클램프부(330)의 각도를 각각 변경함으로써 클램프부(330)에 폴(111a), 후방측 지지 폴(140)을 간단히 감합시킬 수 있다. 또한, 난간 본체(310)가 대략 U자 형상이므로 현가된 상태가 안정된다.
[실시예 2]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접이 의자에 대해서 도 4 ~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접이 의자는 다리부(100')가 한쌍의 후방측 지지 폴(140) 대신에 리클라이닝 기구(150)를 갖고 있다는 점에서 실시예 1의 접이 의자와 상위하다. 이하, 그 상위점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고 중복하는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또한, 다리부에는 실시예 1의 다리부(100)와 구별하기 위해서 '를 붙인다.
리클라이닝 기구(150)는 도 4(a), 도 4(b),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지지 폴(151)(지지 부재) 및 한쌍의 회동부(152)를 갖고 있다. 회동부(152)는 한쌍의 타원형의 판이며, 그 판의 길이 방향의 제 1 단부[즉, 회동부(152)의 제 1 단부] 사이에 X자 다리(110a)의 폴(111a)의 후방측의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판의 길이 방향의 제 2 단부[즉, 회동부(152)의 제 2 단부] 사이에는 지지 폴(151)의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지지 폴(151)은 외경이 후방측 지지 폴(140)과 같으며, 상측 연결부(130a)의 관통 구멍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지지 폴(151)의 상측 연결부(130a)의 상측에는 회동축부(320)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또한 둘레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외부로부터 끼워져 있다. 또한, 지지 폴(151)의 상단부는 시트(200)의 시트 본체(210)의 상측의 양 모서리부에 고착되어 그 시트 본체(210)의 등받이부(212)를 소정 각도로 지지하고 있다. 가동부(152)의 제 1 단부를 지점으로 가동부(152)를 제 1 X자 다리(110a)의 중심부측으로 회동시키면,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폴(151)이 상기 소정 각도로부터 더욱 경사진다. 이에 따라, 등받이부(212)도 더욱 경사진다.
이러한 구성의 접이 의자도 상술한 전개 상태[도 4(a), 도 4(b), 도 5(a) 및 도 5(b) 참조]에서 회동축부(320)를 지점으로 난간 본체(310)를 회동시켜 클램프부(330)의 선단부에 X자 다리(110a)의 폴(111a)의 전방측의 상단부를 감합시키면 난간 본체(310)가 지지 폴(151)과 X자 다리(110a)의 전방측의 상단부 사이에 현가된다. 이에 따라, 난간 본체(310)가 난간 본래의 기능을 발휘한다. 이때, 회동축부(320)는 상측 연결부(130a)에 접촉하여 지지되어 있다. 클램프부(330)는 X자 다리(110a)의 전방측의 상단부에 외부로부터 끼워진 스토퍼(114a)에 의해 그 스토퍼(114a)보다 하측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지지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접힌 상태(도 6 참조)에서 회동축부(320)를 지점으로 난간 본체(310)를 회동시켜 클램프부(330)의 선단부에 지지 폴(151)에 있어서의 회동축부(320)의 장착 부위의 하측 부분을 감합시키면 난간 본체(310)가 지지 폴(151)에 있어서의 상측 연결부(130a)의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에 현가된다. 이 상태에서 난간 본체(310)가 본 접이 의자를 운반하기 위한 손잡이로서의 기능을 발휘한다. 따라서, 본 접이 의자의 가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회동축부(320)가 지지 폴(151)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므로 난간 본체(310)를 손잡이로서 이용할 때에 회동축부(320)의 위치를 가변함과 아울러 클램프부(330)의 감합 위치를 가변함으로써 손잡이의 위치를 각 유저에게 적합한 위치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클램프부(330)가 난간 본체(310)의 제 2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므로 그 클램프부(330)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클램프부(330)에 폴(111a) 및 지지 폴(151)을 감합시킬 때에 폴(111a)의 경사각, 지지 폴(151)의 경사각에 따라서 클램프부(330)의 각도를 각각 변경함으로써 클램프부(330)에 폴(111a), 지지 폴(151)을 간단히 감합시킬 수 있다. 또한, 난간 본체(310)가 대략 U자 형상이므로 현가된 상태가 안정된다.
또한, 상술한 접이 의자는 상기 실시예 1 및 2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 범위 내에 있어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 1에서 다리부(100)는 X자 다리(110a, 110b), 하측 연결부(120a, 120b), 상측 연결부(130a, 130b), 및 후방측 지지 폴(140)을 구비한다고 하였지만, 접이 가능한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점은 다리부(100')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다리부(100'')와 같이, X자 다리(110b) 대신에 한쌍의 후방측 연결 부재(160a) 및 한쌍의 전방측 연결 부재(160b)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쪽의 후방측 연결 부재(160a)는 X자 다리(110a)의 후방측의 상단부끼리를 연결하고 있고, 다른쪽의 후방측 연결 부재(160a)는 X자 다리(110a)의 후방측의 하단부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한쪽의 전방측 연결 부재(160b)는 X자 다리(110a)의 전방측의 상단부끼리를 연결하고 있고, 다른쪽의 전방측 연결 부재(160b)는 X자 다리(110a)의 전방측의 하단부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이 경우에도, X자 다리(110a)를 닫음으로써 다리부(100'')를 판 형상으로 접을 수 있다. 이 점은 다리부(100')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스토퍼(114a)는 실시예 1의 X자 다리(110a)나 상술 또는 후술한 변형예의 다리부의 X자 다리(110a)에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난간(300)의 회동축부(320)는 상기 실시예 1에서는 후방측 지지 폴(140)에, 실시예 2에서는 지지 폴(151)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또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회동축부는 접이 가능한 다리부의 후방측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회동축부(320)는 실시예 1 및 2의 X자 다리(110a)의 후방측 상단부[폴(112a)의 후방측의 상단부]에 고착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회동축부는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리부(100''')가 한쌍의 X자 다리(110a), 및 전개 상태에서 X자 다리(110a)의 전방측의 상단부와 후방측의 상단부에 현가된 한쌍의 현가 부재(170)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회동축부(320')는 X자 다리(110a)의 후방측의 상단부에 고착되어 있다. 이 경우, 후방측 지지 폴(140)[또는 리클라이닝 기구(150)] 및 X자 다리(110b)는 생략되어 있다. X자 다리(110a)의 전방측 상단부끼리, X자 다리(110a)의 후방측 상단부끼리, X자 다리(110a)의 전방측 하단부끼리 및/또는 X자 다리(110a)의 후방측 하단부끼리가 연결 부재(한쌍의 전방측 연결 부재 및 후방측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는, X자 다리(110a)의 중심부끼리가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현가 부재(170)는 X자 다리(110a)가 열린 상태에서 X자 다리(110a)의 전방측의 하단부와 후방측의 하단부에 현가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는 난간(300)의 록킹 수단으로서 전개 상태에서 X자 다리(110a)의 전방측의 상단부가, 접힌 상태에서 후방측 지지 폴(140) 또는 지지 폴(151)이 감합 가능한 클램프부(330)를 사용한다고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록킹 수단은 전개 상태에서 록킹 수단이 다리부의 전방측 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록킹되고, 접힌 상태에서 록킹 수단이 다리부의 후방측 부분의 회동축부의 장착 부위의 상측 부분 또는 하측 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록킹되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록킹 수단은 난간 본체의 제 2 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상기 제 2 단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술한 난간(300)의 난간 본체(310)는 대략 U자 형상인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술한 회동축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길이 방향의 제 1 단부, 및 상기 록킹 수단이 설치된 길이 방향의 제 2 단부를 갖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좌면부(211)는 시트 본체(210)의 수평부이며, 등받이부(212)는 시트 본체(210)의 수직부인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후방측 지지 폴(140) 또는 리클라이닝 기구(150)가 생략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8에 나타낸 시트(200')의 시트 본체(210')와 같이, 등받이부(212)를 생략하고 좌면부(211')만으로 할 수 있다. 등받이부(212)를 생략하는 경우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좌면부(211')의 4개의 모서리부를 X자 다리(110a)의 전후방측의 상단부에 고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좌면부는 다리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인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는 X자 다리가 원통 형상의 폴을 갖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폴 대신에 판 형상의 프레임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후방측 지지 폴(140), 지지 폴(15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판 형상의 프레임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클램프부(330)의 선단부의 내부 형상은 감합 대상의 형상에 따라서 적절히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 1에서는 후방측 지지 폴(140)이 상측 연결부(130a)를 관통하고, 상기 실시예 2에서는 지지 폴(151)이 상측 연결부(130a)를 관통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후방측 지지 폴(140)은 상측 연결부(130a)에, 지지 폴(151)은 상측 연결부(130a)에 연결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 접이 의자의 각 부를 구성하는 소재, 형상, 치수, 수 및 배치 등은 그 일례를 설명한 것이며, 같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100: 다리부 110a: X자 다리(제 1 X자 다리)
110b: X자 다리(제 2 X자 다리) 120a: 하측 연결부(제 1 하측 연결부)
120b: 하측 연결부(제 2 하측 연결부) 130a: 상측 연결부(제 1 상측 연결부)
130b: 상측 연결부(제 2 상측 연결부) 140: 후방측 지지 폴(후방측 지지부)
200: 시트 210: 시트 본체
211: 좌면부 212: 등받이부
220: 장착부 300: 난간
310: 난간 본체 320: 회동축부
330: 클램프부 340: 쿠션부

Claims (11)

  1. 접이 가능한 다리부,
    이 다리부에 지지된 좌면부, 및
    난간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난간은 난간 본체, 회동축부, 및 록킹 수단을 갖고 있으며,
    상기 회동축부는 상기 다리부의 후방측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난간 본체의 길이 방향의 제 1 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고,
    상기 록킹 수단은 상기 난간 본체의 길이 방향의 제 2 단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다리부가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록킹 수단이 상기 다리부의 전방측 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록킹되고,
    상기 다리부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록킹 수단이 상기 다리부의 후방측 부분의 회동축부의 장착 부위의 상측 부분 또는 하측 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록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 본체가 대략 U자 형상이고,
    상기 록킹 수단이 상기 난간 본체의 제 2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 의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수단은 상기 다리부의 전방측 부분 및 상기 다리부의 후방측 부분이 감합 가능한 클램프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 의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그 다리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또한 개폐 가능한 한쌍의 제 1 X자 다리,
    상기 제 1 X자 다리의 후방측 하단부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한쌍의 제 1 하측 연결부,
    상기 제 1 하측 연결부에 각각 세워 설치된 한쌍의 후방측 지지부, 및
    상기 제 1 X자 다리의 후방측 상단부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또한 상기 후방측 지지부가 장착되는 한쌍의 제 1 상측 연결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다리부의 후방측 부분은 상기 후방측 지지부 또는 상기 제 1 X자 다리의 후방측 상단부이고,
    상기 다리부의 전방측 부분은 상기 제 1 X자 다리의 전방측 상단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 의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부는 상기 후방측 지지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 의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그 다리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또한 개폐 가능한 한쌍의 제 1 X자 다리,
    상기 제 1 X자 다리의 후방측 하단부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한쌍의 제 1 하측 연결부,
    상기 제 1 X자 다리의 후방측 상단부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한쌍의 제 1 상측 연결부,
    리클라이닝 기구, 및
    등받이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리클라이닝 기구는,
    상기 등받이부를 지지한 한쌍의 지지 부재, 및
    한쌍의 회동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회동부는,
    상기 제 1 X자 다리의 후방측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 1 단부, 및
    상기 지지 부재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제 2 단부를 갖고 있고,
    상기 다리부의 후방측 부분은 상기 리클라이닝 기구의 지지 부재 또는 상기 제 1 X자 다리의 후방측 상단부이며,
    상기 다리부의 전방측 부분은 상기 제 1 X자 다리의 전방측 상단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 의자.
  7. 제 4 항, 제 5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그 다리부의 전후방측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개폐 가능한 한쌍의 제 2 X자 다리,
    상기 제 1 X자 다리의 전방측 하단부 및 전방측의 제 2 X자 다리의 하단부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한쌍의 제 2 하측 연결부, 및
    상기 제 1 X자 다리의 전방측 상단부 및 전방측의 제 2 X자 다리의 상단부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한쌍의 제 2 상측 연결부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후방측의 제 2 X자 다리의 하단부가 상기 제 1 하측 연결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후방측의 제 2 X자 다리의 상단부가 상기 제 1 상측 연결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 의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그 다리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또한 개폐 가능한 한쌍의 제 1 X자 다리, 및
    한쌍의 현가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X자 다리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현가 부재가 상기 제 1 X자 다리의 전방측 상단부와 후방측 상단부에 현가되거나 또는 상기 제 1 X자 다리의 전방측 하단부와 후방측 하단부에 현가되어 있고,
    상S기 다리부의 후방측 부분은 상기 제 1 X자 다리의 후방측 상단부이고,
    상기 다리부의 전방측 부분은 상기 제 1 X자 다리의 전방측 상단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 의자.
  9.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또는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제 1 X자 다리의 전방측 상단부, 전방측 하단부끼리를 연결하는 한쌍의 전방측 연결 부재, 및
    상기 제 1 X자 다리의 후방측 상단부, 후방측 하단부끼리를 연결하는 한쌍의 후방측 연결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 의자.
  10.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등받이부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후방측 지지부는 상기 제 1 상측 연결부를 관통하고 있고, 그 후방측 지지부의 상단부가 상기 등받이부를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 의자.
  11. 제 7 항에 있어서,
    등받이부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후방측 지지부는 상기 제 1 상측 연결부를 관통하고 있고, 그 후방측 지지부의 상단부가 상기 등받이부를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 의자.
KR1020110057900A 2010-07-06 2011-06-15 접이 의자 KR201200043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53714A JP5558234B2 (ja) 2010-07-06 2010-07-06 折り畳み椅子
JPJP-P-2010-153714 2010-07-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326A true KR20120004326A (ko) 2012-01-12

Family

ID=45423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7900A KR20120004326A (ko) 2010-07-06 2011-06-15 접이 의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558234B2 (ko)
KR (1) KR20120004326A (ko)
CN (1) CN102309169A (ko)
TW (1) TW2012017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9835A (ko) * 2020-04-21 2021-10-29 최홍준 낚시의자용 착탈식 운반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72779A (zh) * 2013-05-27 2014-12-03 浙江泰普森休闲用品有限公司 一种折叠椅
CN204654310U (zh) * 2015-03-31 2015-09-23 浙江泰普森创意设计有限公司 带扶手的折叠椅
JP7233293B2 (ja) * 2019-04-24 2023-03-06 タカノ株式会社 作業用昇降椅子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8419U (ja) * 1996-02-26 1996-09-03 オカモト株式会社 折り畳み椅子
JP3083957U (ja) * 2001-08-08 2002-02-22 仲 森 呉 折畳み椅子の構造
CN2561282Y (zh) * 2002-06-29 2003-07-23 厦门革新塑胶制品有限公司 一种带扶手的便携式折叠椅
CN2569648Y (zh) * 2002-09-13 2003-09-03 常州市侨裕集团有限公司 折叠式沙滩椅
CN2676745Y (zh) * 2004-01-15 2005-02-09 班杰明·P·瑞斯 一种可调整椅背的折叠式躺椅
TWM261121U (en) * 2004-05-17 2005-04-11 Ting Chin Ind Co Ltd Arm adjustment structure for foldable chair and desk
CN201088303Y (zh) * 2007-05-24 2008-07-23 浙江泰普森休闲用品有限公司 折叠椅
JP5079403B2 (ja) * 2007-06-26 2012-11-21 株式会社ロゴスコーポレーション 折り畳み椅子
US20090174230A1 (en) * 2008-01-03 2009-07-09 Kao-San Chen Foldable chair fr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9835A (ko) * 2020-04-21 2021-10-29 최홍준 낚시의자용 착탈식 운반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201745A (en) 2012-01-16
JP2012016375A (ja) 2012-01-26
JP5558234B2 (ja) 2014-07-23
CN102309169A (zh) 201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148454A (ja) 折り畳み可能なベビーカー
GB2526678A (en) Infant stroller apparatus
US20120032418A1 (en) Stroller with Articulating Structure
KR20120004326A (ko) 접이 의자
CN110667679B (zh) 座椅框架组件、婴儿推车及其折叠方法
JP2015532849A (ja) マットレスカバー組立体及び方法
WO2011077888A1 (ja) 車両用シート
WO2008006255A1 (fr) Chaise pliante pour enfant
KR20240042015A (ko) 프레임 접힘 고정 장치, 및 유아 캐리어
JP3822158B2 (ja) ベビー用バスチェアー
TWI623293B (zh) 移動式馬桶
JP2003225133A (ja) 折り畳み座席
KR200431465Y1 (ko) 절첩식 의자
JP2008154764A (ja) 椅子
JP6517995B1 (ja) テーブル
KR20140005339U (ko) 다중좌석벤치
JP2004135695A (ja) 幕板付き折り畳みテーブル
KR101303245B1 (ko) 의자 메모대
JP2010240169A (ja) ポータブルトイレの蓋部構造
CN211032714U (zh) 用于婴儿推车的座椅框架组件和婴儿推车
KR100910850B1 (ko) 절첩식 의자
JP3784006B2 (ja) 跳上げシートの構造
WO2004086908A1 (ja) 折り畳み椅子
JP4947444B2 (ja) 収納式多目的シート
KR20150012699A (ko) 용도에 따른 가변형 벤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