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283U - 착탈가능한 하부그릴이 구비된 환기유닛 - Google Patents

착탈가능한 하부그릴이 구비된 환기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283U
KR20120004283U KR2020100012625U KR20100012625U KR20120004283U KR 20120004283 U KR20120004283 U KR 20120004283U KR 2020100012625 U KR2020100012625 U KR 2020100012625U KR 20100012625 U KR20100012625 U KR 20100012625U KR 20120004283 U KR20120004283 U KR 201200042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ventilation unit
fixed
fixing
fix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26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5217Y1 (ko
Inventor
정재덕
Original Assignee
(주)이림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림전자 filed Critical (주)이림전자
Priority to KR20201000126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217Y1/ko
Publication of KR201200042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2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2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2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착탈가능한 하부그릴이 구비된 환기유닛은 유닛본체의 저면에 고정설치되며 중앙에 사각형의 빈공간이 형성된 고정테와, 상기 고정테의 빈공간을 차폐하며 상기 고정테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그릴판을 포함하는 하부그릴이 구비되어, 하부그릴의 그릴판을 완전히 분리하고 다시 고정시킬 수 있게 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됨은 물론이고 하부그릴의 주연부에 단단한 구조의 고정테가 설치되어 장기간의 사용에도 파손이 되지 않아 사용수명이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착탈가능한 하부그릴이 구비된 환기유닛{ A ventilation unit with detachable under grill }
본 고안은 착탈가능한 하부그릴이 구비된 환기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건물이나 아파트의 천정에 저면이 노출되게 설치되고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며 신선한 외부의 공기를 실내에 유입시키면서 교환되는 공기의 열손실을 방지하는 전열교환부가 설치된 환기유닛의 노출된 하부그릴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환기유닛의 유지보수가 편리하게 되며 노출된 하부그릴의 주연부에 단단한 구조의 고정테가 설치되어 장기간의 사용에도 파손이 되지 않아 사용수명이 연장되는 것이 가능한 착탈가능한 하부그릴이 구비된 환기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이나 아파트의 천정에 저면이 노출되게 설치되는 천정 노출형 환기유닛(A)은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며 신선한 외부의 공기를 실내에 유입시키면서 교환되는 공기의 열손실을 방지하는 전열교환부가 설치된 상태에서 작동을 하여 실내외 공기를 교환시키는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미 공지된 것이며 청구의 대상이 아니므로 여기에서는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천정 노출형 환기유닛(A)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유닛(A)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하부덮개(1)가 일측이 경첩과 같은 힌지고정부(2)에 의하여 힌지고정되고 다른 측은 체결잠금부(3)가 설치되어, 유지보수시 하부덮개(1)를 열고서 수리하는 형태로 된 것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환기유닛(A)은 노출되는 하부덮개(1)가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므로 주로 붙박이장이 설치된 협소한 공간이나 다른 사람들의 눈에 잘 띄지 않는 창고와 같은 은밀한 부분에 설치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환기유닛(A)을 수리하기 위하여 하부덮개(1)를 개방하고자 할 경우에는 붙박이장이 설치된 협소한 공간에서 수행되어야 하므로 유지보수작업이 대단히 불편하게 되고 하부덮개(1)의 개방시에도 잠금체결부(3)가 풀려서 개방된 하부덮개(1)가 힌지고정부(2)에 의하여 하부로 늘어지게 되면서 하부덮개(1)가 수직으로 배치되므로 유지보수작업시에 이러한 수직으로 늘어진 하부덮개(1)에 의하여 유지보수작업이 방해를 받게 되어 유지보수작업에 대한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은 물론이고 대단히 번거롭게 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방식으로 여러번의 유지보수작업이 수행되게 되면 하부덮개(1)의 무게에 의하여 힌지고정부(2)가 파손되게 되어 환기유닛(A) 자체를 교환하여야 하는 문제점도 추가로 발생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천정 노출형 환기유닛의 하부그릴의 그릴판을 완전히 분리하고 다시 고정시킬 수 있게 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됨은 물론이고 하부그릴의 주연부에 단단한 구조의 고정테가 설치되어 장기간의 사용에도 파손이 되지 않아 사용수명이 연장되는 것이 가능한 착탈가능한 하부그릴이 구비된 환기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은,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며 신선한 외부의 공기를 실내에 유입시키는 천정 노출형 환기유닛에 있어서, 전열교환기 및 공기유입 및 유출구가 설치되고 저면의 가장자리에 복수의 조립공이 형성된 유닛본체와, 상기 유닛본체의 저면의 조립공에 삽입되는 연결구가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조립공에 고정설치되며 중앙에는 사각형의 빈공간이 형성된 고정테와, 상기 고정테의 빈공간을 차폐하며 상기 고정테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그릴판과, 상기 그릴판을 상기 고정테에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나사를 포함하는 하부그릴이 구비된 본 고안에 따른 착탈가능한 하부그릴이 구비된 환기유닛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착탈가능한 하부그릴이 구비된 환기유닛은 유닛본체의 저면에 고정설치되며 중앙에 사각형의 빈공간이 형성된 고정테와, 상기 고정테의 빈공간을 차폐하며 상기 고정테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그릴판을 포함하는 하부그릴이 구비되어, 하부그릴의 그릴판을 완전히 분리하고 다시 고정시킬 수 있게 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됨은 물론이고 하부그릴의 주연부에 단단한 구조의 고정테가 설치되어 장기간의 사용에도 파손이 되지 않아 사용수명이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a,1b 는 종래의 환기유닛의 사시도 및 하부덮개의 개방시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천정 노출형 환기유닛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I-I선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
도 4는 하부그릴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천정 노출형 환기유닛이 설치된 천정의 상향 사시도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탈가능한 하부그릴이 구비된 환기유닛(A)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외 공기가 유입 및 유출되는 공기흡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된 유닛본체(10)와, 상기 유닛본체(10)의 저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하부그릴(20)을 포함한다.
상기 유닛본체(10)의 저면의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조립공(11)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그릴(20)이 고정된다.
상기 하부그릴(20)은 상기 유닛본체(10)의 하부에 고정설치되며 중앙에 사각형의 빈공간이 형성된 고정테(21)와, 상기 고정테의 빈공간을 차폐하며 상기 고정테(2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그릴판(22)과, 상기 그릴판(22)을 고정테(21)상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나사(2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테(21)는 본 실시예에서 4개의 결합테(210)가 조립돌기(210a)에 의하여 조립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기술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라고 할 것이다. 상기 고정테(21)의 상부에는 상기 유닛본체(10)의 조립공(11)에 삽입고정되는 연결구(211)가 복수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211)는 상향경사지는 경사면(211a)이 형성되어 목부분(211b)이 휘어지면서 상기 유닛본체(10)의 조립공(11)에 스냅조립되게 되어 있다.
상기 그릴판(22)의 합성수지, 금속 또는 목재로 제조될 수 있으며, 외부로 드러나는 표면에는 실크인쇄를 통한 다양한 무늬를 형성시킬 수가 있게 되므로 실내의 분위기를 색다르게 변환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그릴판(22)의 모서리부분에는 고정공(221)이 형성되어 있어 고정나사(23)에 의하여 상기 고정테(21)에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나사(23)는 상기 고정테(21)상에 고정된 고정볼트(231)와 상기 그릴판(22)의 저면에서 그릴판(22)을 고정시키는 고정너트(232)로 구성되어 상기 그릴판(22)을 고정테(21)상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착탈가능한 하부그릴이 구비된 환기유닛(A)은 그릴판(22)의 표면에 다양한 무늬면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실내의 눈에 띠는 곳에 실내의 장식을 할 수 있는 부분에 설치되게 되며, 환기유닛(A)의 점검과 같은 수리시에는, 고정너트(232)를 풀고서 그릴판(22)을 분리시키면 환기유닛(A)의 내부를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게 되어 그릴판(22)이 환기유닛(A)에서 완전하게 분리되어 걸리적거리지 않게 되므로 점검과 수리가 대단히 용이하게 되고, 그릴판(22)의 노출면을 원하는 무늬와 색상으로 장식할 수 있으므로 실내장식의 효과도 아울러 누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착탈가능한 하부그릴이 구비된 환기유닛은 일반적인 환기유닛의 제조공장에서 동일한 제품을 반복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고안이라고 할 것이다.
10. 유닛본체 11. 조립공 20. 하부그릴
21. 고정테 22. 그릴판 23. 고정나사

Claims (1)

  1. 환기유닛에 있어서,
    상기 환기유닛은, 전열교환기 및 공기유입 및 유출구가 설치되고 저면의 가장자리에 복수의 조립공이 형성된 유닛본체와, 상기 유닛본체의 하부에 고정되는 하부그릴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그릴은, 상기 유닛본체의 저면의 조립공에 삽입되는 연결구가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조립공에 고정설치되며 중앙에는 사각형의 빈공간이 형성된 고정테와,
    상기 고정테의 빈공간을 차폐하며 상기 고정테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그릴판과,
    상기 그릴판을 상기 고정테에 고정시키는 복수의 고정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가능한 하부그릴이 구비된 환기유닛
KR2020100012625U 2010-12-07 2010-12-07 착탈가능한 하부그릴이 구비된 환기유닛 KR2004652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625U KR200465217Y1 (ko) 2010-12-07 2010-12-07 착탈가능한 하부그릴이 구비된 환기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625U KR200465217Y1 (ko) 2010-12-07 2010-12-07 착탈가능한 하부그릴이 구비된 환기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283U true KR20120004283U (ko) 2012-06-15
KR200465217Y1 KR200465217Y1 (ko) 2013-02-28

Family

ID=51359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625U KR200465217Y1 (ko) 2010-12-07 2010-12-07 착탈가능한 하부그릴이 구비된 환기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21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812B1 (ko) * 2018-08-02 2019-08-12 주식회사 티아이씨 환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33032B2 (ja) 2003-10-22 2009-03-04 日東工業株式会社 水冷式熱交換器の漏水検出システム
KR100887935B1 (ko) * 2007-08-20 2009-03-12 고모텍주식회사 천장 카세트형 환기유닛의 프론트 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812B1 (ko) * 2018-08-02 2019-08-12 주식회사 티아이씨 환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5217Y1 (ko) 2013-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43453B2 (ja) 天井埋込み形空気調和機
JP4582817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2010169355A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KR200465217Y1 (ko) 착탈가능한 하부그릴이 구비된 환기유닛
US6422935B1 (en) Air vent covering assembly
JP6573068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CN207334926U (zh) 空调室内机
JP2021517227A (ja) 空調室内機及び空気調和機
JP4194811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5693434B2 (ja) 換気扇
JP6451516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2018091564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04225939A (ja) 空気調和機
CN220506917U (zh) 壁挂式空调器及应用其的空调
JP6772361B2 (ja) 天井パネルおよび空気調和機
JP5953814B2 (ja) 一体型空気調和機
CN210425279U (zh) 通风结构及设有该通风结构的通风单元
CN210399468U (zh) 一种全热交换新风机的滤芯锁定装置
JP2022100794A (ja) 換気ユニットおよび換気システム
CN214582138U (zh) 便于装拆的风扇网
JPH0616009Y2 (ja) 玄関ドア
KR100959374B1 (ko) 분전반용 도어
JP2005226949A (ja) フィルター付き換気グリル
JPH08178345A (ja) 天井カセット形空気調和機
JP4360435B2 (ja) 浴室暖房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