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9374B1 - 분전반용 도어 - Google Patents

분전반용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9374B1
KR100959374B1 KR1020090053172A KR20090053172A KR100959374B1 KR 100959374 B1 KR100959374 B1 KR 100959374B1 KR 1020090053172 A KR1020090053172 A KR 1020090053172A KR 20090053172 A KR20090053172 A KR 20090053172A KR 100959374 B1 KR100959374 B1 KR 100959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frame fixing
distribution pane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3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탁
Original Assignee
(주)지티일렉트로닉스
(주)엘지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티일렉트로닉스, (주)엘지산업 filed Critical (주)지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90053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93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0Wall-mounted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4Hinged covers or do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전반의 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전면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개방구와; 상기 개방구로부터 이격된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액자고정부와; 상기 개방구와 액자고정부 사이의 이격된 공간부에 삽입되는 액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용 도어를 통해 도어의 전면에 구비된 액자로 인하여 분전반의 외관이 미려한 분전반용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분전반, 도어, 액자

Description

분전반용 도어{door for cabinet panel}
본 발명은 분전반용 도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건물의 외벽에 분전반 함체가 삽입된 채 시공되는 분전반의 도어에 액자가 구비되어 외관이 미려하도록 한 분전반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부로 인입되는 전기는 분전반을 통해 옥내로 공급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분전반은 통상 건물의 외벽에 분전반 함체가 삽입되고, 건물의 외부로는 사각형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개폐가 가능한 도어가 노출된 상태로 시공되며, 상기 분전반 함체의 내부에 누전 차단기 등의 각종 내부기기가 있다.
이때 상기 분전반의 도어는 절연성능이 우수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도어는 통상 단색이기 때문에 건물의 외벽으로 노출되도록 시공되는 경우 그 외관이 미려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분전반의 도어에 액자가 구비되어 그 외관이 미려하도록 한 분전반용 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자를 용이하게 구비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액자 및 액자고정부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액자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액자의 통풍이 보다 원활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전반으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분전반의 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전면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개방구와;
상기 개방구로부터 이격된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액자고정부와;
상기 개방구와 액자고정부 사이의 이격된 공간부에 삽입되는 액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용 도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액자고정부의 공간부는 상부가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간부의 양측의 판과 후방의 판에는 다수의 통풍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간부의 후방의 판에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는 볼트에 의해 상기 공간부에 삽입된 액자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액자고정부의 양측의 폭과 전후방 폭은 액자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풍구의 내측에는 필터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전반용 도어는 도어의 전면에 액자가 구비됨에 따라 액자에 그려진 그림이나 사진으로 인해 분전반의 외관이 미려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액자고정부의 상부가 개방되어 액자를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액자를 고정시킬 수 있고, 교체 또한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액자고정부에 통풍구가 형성되어 분전반 내부와 액자고정부 내부의 공기가 유통되어 분전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이를 줄이고, 이를 통해 액자고정부 및 액자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볼트를 통해 액자의 뒷면을 눌러 도어의 내측면에 밀착시켜줌에 따라 액자가 움직이지 않고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액자고정부 내에 공기가 유통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 보다 원활하게 공기가 유통되고, 이에 따라 습기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통풍구에 필터판이 구비되어 분전반 내부로 외부의 먼지나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여 이들로 인해 내부기기의 오작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는 하나, 본 발명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용 도어가 구비된 분전반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전반용 도어만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분전반(1)의 도어(10)에 있어서, 상기 도어(10)는 전면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개방구(11)와; 상기 개방구(11)로부터 이격된 공간부(21)를 형성하며 상기 도어(10)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액자고정부(20)와; 상기 개방구(11)와 액자고정부(20) 사이의 이격된 공간부(21)에 삽입되는 액자(30); 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10)는 분전반(1)의 전방에 위치한 사각형상의 프레임(1a)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도어(10)가 회동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구비되어 분전반(1) 내부에 내장된 내부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도어(10)의 개방구(11)는 추후 설명하는 액자(30)에 그려진 사진 또는 그림 등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개방구(11)는 도어(10)의 전면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방구(11)는 도어(10)의 중심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추후 본 발명에 따른 분전반용 도어를 설치하였을 때 보다 미려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액자고정부(20)는 액자(30)가 특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도어(10)의 개방구(11)를 통해 액자(30)가 분전반(1) 외부로 잘 보여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액자고정부(20)는 절연성이 우수한 판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액자고정부(20)는 분전반(1)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개방구(11)로부터 이격된 공간부(21)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21)의 둘레에는 상기 도어의 내측면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판(22)이 공간부(21)의 둘레에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판(22)은 도어(10)의 내측면과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판(22)은 도어(10)의 개방구(11) 둘레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결합되도록 하여 추후 삽입되는 액자가 개방구(11)의 둘레와 결합판(22)사이에 발생하는 이격공간에 걸려 액자(30)가 개방구(11)측으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액자고정부(20)의 공간부(21)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다. 이는 상기 액자고정부(20)로 액자(30)를 용이하게 삽입하고 꺼낼 수 있도록 하여 액자(30)의 구비 및 교체가 간편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 부(21)의 상부가 개방되어 액자(30)를 상기 액자고정부(20)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함으로써 액자(30)를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고, 액자(30)의 교체시에는 공간부(21)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기존의 액자(30)를 꺼냄으로써 용이하게 교체가 가능하다.
상기 액자(30)는 그림 또는 사진 등이 그려진 것으로, 상기 액자(30)는 액자고정부(20)가 함몰되어 형성된 공간인 공간부(21)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액자(30)는 상기 개방구(11)의 크기보다 큰 것을 사용하여 액자고정부(20)에 액자(30)를 삽입하였을 때 개방구(11)의 둘레에 액자(30)의 테두리가 걸려 탈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분전반용 도어는 도어의 전면에 액자가 구비됨에 따라 액자에 그려진 그림이나 사진으로 인해 분전반의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으며, 상기 액자를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액자를 고정시킬 수 있고, 액자의 교체가 용이하다.
한편, 상기 공간부(21)의 양측의 판(211)과 후방의 판(211)에는 다수의 통풍구(212)가 형성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통풍구(212)는 액자고정부(20) 내측과 분전반(1) 내부의 공기가 유통될 수 있도록 하여 액자(30) 및 액자고정부(20)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통풍구(212)는 공간부(21)의 양측의 판(211)과 후방의 판(211)에 둘 이상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자고정부 내의 미세한 틈을 통해 유통되는 공기가 상기와 같은 통풍구를 통해 분전반 내부 및 액자고정부 내부의 공기가 서로 유통될 수 있도록 하여 분전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이를 줄이고, 이를 통해 액자고정부 및 액자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간부(21)의 후방의 판(211)에는 결합공(213)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213)에 결합되는 볼트(40)에 의해 상기 공간부(21)에 삽입된 액자(30)가 고정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액자(30)가 보다 견고하게 액자고정부(20) 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결합공(213)은 공간부(21)의 후방의 판(211)에 하나 혹은 둘 이상이 형성되어 지며, 액자(30)가 상기 공간부(21)에 삽입된 후 후방의 판(211)으로부터 액자(30)측으로 볼트를 체결하여 상기 볼트의 끝단이 액자(30)의 뒷면을 눌러 액자(30)를 도어(1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결합공(213)은 액자(30)의 양측을 균일하게 고정시켜주기 위하여 후방의 판(211)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하나씩 혹은 그 이상이 형성되는 것이 액자(30)가 한쪽으로 치우지지 않고 고정시킬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볼트를 통해 액자의 뒷면을 눌러 도어의 내측면에 밀착시켜줌에 따라 액자가 움직이지 않고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액자고정부(20)의 양측의 폭과 전후방 폭은 액자(30)보다 큰 것 이 바람직하다.
이는 공기의 유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액자고정부(20)와 액자(30)사이에 공기가 유통될 수 있는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도록 하여 공간부(21)의 양측의 판(211) 및 후방의 판(211)에 형성된 통풍구(212)를 통해 공기가 보다 잘 유통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공기유통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에 따라 습기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용 도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풍구(212)의 내측에는 필터판(50)이 구비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판(50)의 분전반(1) 외부의 먼지나 이물질이 분전반(1)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필터판(50)은 메쉬망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용접 등에 의해 통풍구(212)의 내측 즉, 공간부(21)의 양측의 판(211)과 후방의 판(211)의 내측에 고정되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필터판(50)을 통해 분전반 내부로 외부의 먼지나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여 이들로 인해 내부기기의 오작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용 도어가 구비된 분전반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전반용 도어만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용 도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 분전반 1a: 프레임
10: 도어
11: 개방구
20: 액자고정부
21: 공간부 211: 판
212: 통풍구 213: 결합공
22: 결합판
30: 액자
40: 볼트
50: 필터판

Claims (6)

  1. 전면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개방구(11)와; 상기 개방구(11)로부터 이격된 공간부(21)를 형성하며 도어(10)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액자고정부(20)와; 상기 개방구(11)와 액자고정부(20) 사이의 이격된 공간부(21)에 삽입되는 액자(30);로 구성된 분전반의 도어(10)에 있어서,
    상기 액자고정부(20)의 공간부(21)는 상부가 개방되며,
    상기 공간부(21)의 양측의 판(211)과 후방의 판(211)에는 액자(30) 및 액자고정부(20)에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의 통풍구(212)가 형성되고,
    상기 통풍구(212)의 내측에는 외부의 먼지나 이물질이 분전반(1)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판(5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용 도어.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21)의 후방의 판(211)에는 결합공(213)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213)에 결합되는 볼트(40)에 의해 상기 공간부(21)에 삽입된 액자(30)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용 도어.
  5. 청구항 1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고정부(20)의 양측의 폭과 전후방 폭은 액자(30)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용 도어.
  6. 삭제
KR1020090053172A 2009-06-16 2009-06-16 분전반용 도어 KR100959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172A KR100959374B1 (ko) 2009-06-16 2009-06-16 분전반용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172A KR100959374B1 (ko) 2009-06-16 2009-06-16 분전반용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9374B1 true KR100959374B1 (ko) 2010-05-24

Family

ID=42281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3172A KR100959374B1 (ko) 2009-06-16 2009-06-16 분전반용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93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879B1 (ko) 2011-12-28 2012-03-09 (주)경민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보호와 실내장식이 가능한 배전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601Y1 (ko) * 2008-04-15 2008-06-20 아남르그랑 주식회사 분전반용 커버의 도어 지지구조
KR20080002267U (ko) * 2006-12-26 2008-07-01 씨앤디아이(주) 전자액자가 전면에 위치되는 주택용 분전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2267U (ko) * 2006-12-26 2008-07-01 씨앤디아이(주) 전자액자가 전면에 위치되는 주택용 분전반
KR200440601Y1 (ko) * 2008-04-15 2008-06-20 아남르그랑 주식회사 분전반용 커버의 도어 지지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879B1 (ko) 2011-12-28 2012-03-09 (주)경민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보호와 실내장식이 가능한 배전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49797C1 (ru) Фильтрующий вентилятор с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быстрого крепления
GB2312099A (en) Shielding and ventilation of cabinets
CN204616242U (zh) 一种防护柜
KR101347806B1 (ko) 문에 구비된 환기장치
KR100959374B1 (ko) 분전반용 도어
CN108110657A (zh) 一种固定式金属密封开关柜
CN205609985U (zh) 一种带有标签槽的多功能防尘配电柜
CN207179963U (zh) 格栅风口及通风系统
CN212462471U (zh) 一种配电箱
JPH10126908A (ja) 分電盤
CN101603707A (zh) 半嵌式通信专用机柜空调器
CN216281660U (zh) 一种取暖器
JP3048578U (ja) 量水器ボックス
JP2016208679A (ja) スイッチギヤの換気装置
CN218955150U (zh) 一种导风装置
KR102087431B1 (ko) 방수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09167643A (ja) 浴室用ドア
JP6488099B2 (ja) 住宅用分電盤ケースの排熱構造
CN215222810U (zh) 表箱散热结构及表箱
CN210861599U (zh) 用于现有结构上改造的便装式风口防护装置
RU2008149914A (ru) Духовка или печь с системой охлаждения двери
CN209929738U (zh) 户外电柜
CN208143655U (zh) 防水机柜
CN207425341U (zh) 音乐盒、音乐装置及空调器
JP2010255290A (ja) フィルタ体及びそれを有する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