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601Y1 - 분전반용 커버의 도어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분전반용 커버의 도어 지지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40601Y1 KR200440601Y1 KR2020080004967U KR20080004967U KR200440601Y1 KR 200440601 Y1 KR200440601 Y1 KR 200440601Y1 KR 2020080004967 U KR2020080004967 U KR 2020080004967U KR 20080004967 U KR20080004967 U KR 20080004967U KR 200440601 Y1 KR200440601 Y1 KR 20044060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cover
- door member
- guide
- distribution pan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6—Accessories, e.g. window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전반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커버의 전면에 장착되어 분전반에 설치된 각종 차단기의 점검시 상부방향으로 개방되는 도어를 지지하기 위한 분전반용 커버의 도어 지지구조에 있어서, 이 분전반용 커버의 도어 지지구조를 별도 부품의 추가 없이 효과적으로 구현하여 상부방향으로 개방된 도어부재가 중력에 의해 처지는 것을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조립편의성 및 비용절감효과를 누릴 수 있어 생산자 및 구매자의 만족도를 동시에 높이기 위한 분전반용 커버의 도어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물, 주택용, 분전반, 커버, 도어, 지지, 일체형, 후크
Description
본 고안은 분전반용 커버의 도어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전반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커버의 전면에 장착되어 분전반에 설치된 각종 차단기의 점검시 상부방향으로 개방되는 도어를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분전반용 커버의 도어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전반(分電盤)은 간선(幹線)으로부터 각 분기회로(分岐回路)로 갈라지는 건물의 옥내외에 설치하여 건물에 공급되는 전력을 부하의 용량에 맞게 배분하고 있다.
이러한 분전반의 내부에는 배선용 차단기, 누전차단기를 포함하는 회로차단기를 설치하여 과전류 또는 단락사고 발생시 회로를 주 모선으로부터 차단하여 전기적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분전반은 주로 건물의 벽면에 매립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전면에는 별도의 커버(Cover)를 설치하여 부주의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있다.
즉, 상기 커버를 벽면에 매립된 분전반의 전면에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외부 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하고, 필요시에는 개방하여 회로차단기를 점검토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 커버는 주로 벽면에 볼트 장착하여 개폐하고 있으나, 이 개폐에 따른 불편함으로 인하여 별도의 도어(Door)를 장착하여 회로차단기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 도어는 대부분 상부방향으로 회동하여 개폐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의 개방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회로차단기를 점검하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있어야 하나, 이는 상기 회로차단기의 점검시 매우 불편함을 유발하고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문헌 1]에서는 '분전반 도어의 지지구조'를 게재하고 있는바, 이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커버의 양측에 회동 가능한 지지봉을 설치하고 있으며, 도어의 양측에는 상기 지지봉의 단부가 걸려 고정되는 걸림턱을 형성하여 상부방향으로 개방된 도어가 중력에 의해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고 있다.
[문헌 1] KR 20-0346923 2004.04.03.
그러나, 상기 [문헌 1]은 상부방향으로 개방된 도어가 중력에 의해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별도의 부품인 지지봉을 사용하고 있어 이 지지봉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비용 및 부품비용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전체적인 단가의 상승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부품수의 증가에 의한 전체적인 조립의 난해함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아울러, 상기 [문헌 1]에 따른 지지봉은 맞은편 도어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려 고정되는 방식으로 도어를 지지하고 있어 회로차단기의 점검시 상기 지지봉을 건드리게 되면 순간적으로 도어가 중력에 의해 처져 작업자의 머리, 손을 포함하는 신체 일부분을 타격할 수 있어 안전성이 극히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상부방향으로 개방되는 도어를 별도 부품의 추가 없이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전체적인 제작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나아가 안정적인 도어의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커버의 전면에 설치되어 상부방향으로 개방되는 도어가 중력에 의해 처지는 것을 별도 부품의 추가 없이 지지할 수 있도록 한 분전반용 커버의 도어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체적인 비용절감효과를 누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편의성이 향상으로 생산자 및 구매자의 만족도를 동시에 높일 수 있도록 한 분전반용 커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분전반의 전면에 장착되는 커버부재의 상부 전면에는 안내부가 라운드 형성되고, 이 안내부의 전면에는 후크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재의 전면에 장착되어 상부방향으로 개폐되는 도어부재의 상면에는 결합유도부가 라운드 형성되고, 이 결합유도부의 상부에는 상기 후크부에 걸려 단속되는 홈 또는 구멍을 포함하는 고정부가 형성되어 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커버부재에 후크부를 포함하는 안내부가 형성되고, 도어부재에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결합유도부가 형성되어 제공됨으로써, 힌지를 통해 상부방향으로 개방된 도어부재가 중력에 의해 처지는 것을 별도 부품의 추가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변형유도부 및 변형유도공간을 통해 고정부가 후크부에 걸려 단속되는 것을 용이 유도함으로써, 도어부재의 지지를 위한 편의성을 높이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지지구조를 통해 전체적인 비용절감효과를 누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성의 향상으로 생산자 및 구매자의 만족도를 동시에 높일 수 있어 제품의 신뢰도 및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전반용 커버의 실시 예를 분해 사시도로 보인 것으로, 분전반용 커버의 전체적인 구성을 분해하여 보이고 있으며, 커버부재의 상부에 안내부 및 후크부가 형성된 것을 일부 확대하여 보이고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부재의 실시 예를 배면 사시도로 보인 것으로, 도어부재의 상부에 결합유도부 및 고정부가 형성된 것을 배면에서 사시도를 보이고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부재의 회동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단면도로 보인 것으로, 분전반이 설치된 벽면에 커버부재 및 도어부재가 장착된 것을 보이고 있으며, 상기 도어부재가 힌지를 중심으로 상부방향으로 개방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지지구조를 통한 도어의 개방유지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단면도로 보인 것으로, 도어부재의 개방시 후크부에 고정부가 걸려 단속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즉, 도 1 내지 도 3에서 보인 것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커버부재(10)는 옥내외의 벽면에 매립된 분전반(1)의 외부노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분전반(1)이 매립된 옥내외의 벽면에 주로 볼트 장착된다.
이러한 커버부재(10)의 중앙부분은 개방되어 분전반(1)의 내부에 설치된 각종 차단기(2)는 외부로 노출토록 하되, 상기 차단기(2) 외의 다른 부분은 외부로 노출하지 않도록 보조커버(11)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널 리 알려진 자명한 사항이다.
이와 같은 커버부재(10)는 주로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게 되는 안내부(12)를 용이하게 형성토록 하게 되나, 그 재질을 반드시 합성수지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안내부(12)는 커버부재(10)의 상부 전면에 형성하되, 반원형으로 라운드 형성되어 도어부재(20)의 개방시 불필요한 간섭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게 되며, 이 안내부(12)는 반드시 필요에 의한 것이 아니면 주로 상기 커버부재(10)에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반드시 필요에 의한" 이라는 의미는 상기 안내부(12)를 분리형으로 커버부재(10)에 구비하여도 일체형에 비해 제작비용의 상승이 크지 않아야 하며, 이로 인한 안내부(12)의 내마모성 저하 등이 추가로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반드시 필요에 의한 것이 아니라면 상기 안내부(12)는 주로 커버부재(10)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공되며, 이를 통해 별도 부품의 추가 없이 도어부재(20)의 상부개방상태가 중력에 의해 처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제작공수를 최소화하는 근거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커버부재(10)의 상부 전면에 라운드 형성되어 도어부재(20)의 개방을 안내하는 안내부(12)의 전면에는 개방된 도어부재(20)의 개방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후크부(Hook)가 돌출 형성되며, 이 후크부(13)는 주로 모서리가 있는 각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모서리가 없는 둥근 형상에 비해 모서리가 있는 각진 형상이 도어부재(20)의 지지에 있어서 더욱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본 고안에 따른 도어부재(20)는 커버부재(10)의 전면에 장착되어 개폐되며, 분전반(1)에 설치된 차단기(2)의 점검시 상부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차단기(2)를 외부로 노출하게 된다.
즉, 상기 도어부재(20)는 도 3에서 보인 것과 같이, 공지의 힌지(Hinge)를 통해 상부방향으로 개방되어 차단기(2)를 외부로 노출하여 점검토록 하게 되고, 점검 후에는 상기 힌지(14)를 이용하여 하강되어 커버부재(10)를 덮어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의 침투 및 부주의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게 된다.
이러한 도어부재(20)의 원활한 개폐를 위하여 커버부재(10) 및 도어부재(20)에는 원터치 잠금장치(15)가 설치되어 자동방식으로 상기 도어부재(20)가 개폐되는 것을 실시 예로 보이고 있으나, 수동방식으로 도어부재(20)가 개폐되어도 무방하다.
아울러, 상기 도어부재(20)에는 필요에 따라 사진 또는 그림 등을 넣어 분전반(1)이 설치되어 있는 옥내외의 분위기를 자유롭게 연출하게 되며, 이를 위해 도어부재(20)의 중앙부분은 개방된 상태로 후면에는 액자걸이(21)가 장착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결합유도부(22)는 도어부재(20)의 상면에 형성하되, 안내부(12)의 곡면과 동일하게 라운드 형성되어 상기 도어부재(20)의 개방시 상기 안내부(12)와의 간섭을 피하도록 하게 되고, 이로 인해 도어부재(20)의 부드러운 개폐 를 유도하고, 불필요한 소음의 발생은 예방하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유도부(22)의 상면에는 후크부(13)에 걸려 단속되는 고정부(23)가 형성되어 도어부재(20)의 개방시 상기 결합유도부(22)를 따라 고정부(23)가 회동하여 후크부(13)에 걸려 단속됨으로써, 상기 도어부재(20)의 개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고정부(23)를 포함하는 결합유도부(2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필요에 의한 것이 아니라면 주로 도어부재(2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23)의 실시 예는 결합유도부(22)에 홈이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고, 다른 실시 예로는 결합유도부(22)에 구멍(미도시)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부재(20)의 개방시 고정부(23)로 홈이 형성될 경우 구멍에 비해 지지력은 다소 떨어지나 상기 도어부재(20)의 하강시 후크부(13)로부터 쉽게 이탈되어 작동편의성이 우수하고, 상기 고정부(23)로 구멍이 형성될 경우에는 도어부재(20)의 하강시 후크부(13)로부터의 이탈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으나 지지력은 높아 안정성이 우수하다.
이와 같이 고정부(23)로 홈 또는 구멍이 제공되는 것은 사용용도 및 구매자의 기호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폭을 넓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에 따른 변형유도부(24)는 결합유도부(22)의 끝 부분에 형성되어 도어부재(20)의 개방시 후크부(13)를 간섭하게 되고, 이를 통해 안내부(12)를 커버부재(10)의 바깥쪽으로 탄성 변형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고정부(23)가 상기 후크부(13)에 쉽게 걸리게 된다.
이를 위한 실시 예로 상기 결합유도부(22)의 끝 부분에 변형유도부(24)를 형성하되, 쐐기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으며, 이로 인해 도어부재(20)의 개방시 후크부(13)를 용이 간섭하여 안내부(12)를 탄성 변형시키게 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안내부(12)의 하부에는 변형유도공간(16)이 뚫어진 것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도어부재(20)의 개방과정에서 후크부(13)가 변형유도부(24)에 간섭될 경우 상기 안내부(12)의 탄성 변형을 더욱 쉽게 유도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도 4에서 보인 것과 같이, 도어부재(20)의 개방시 고정부(23)가 후크부(13)가 걸려 단속되기 전에 변형유도부(24)가 상기 후크부(13)를 우선 간섭할 경우 안내부(12)는 변형유도공간(16)을 바탕으로 커버부재(10)의 바깥쪽으로 탄성 변형되고, 이에 따라 상기 후크부(13)에 고정부(23)가 더욱 쉽게 걸리게 되어 상기 도어부재(20)의 개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안내부(12) 및 결합유도부(22)는 커버부재(10)의 전체크기에 따라 그 수를 증감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개방된 도어부재(20)의 처짐 방지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전반용 커버의 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부재의 실시 예를 보인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부재의 회동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지지구조를 통한 도어부재의 개방유지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분전반 10 - 커버부재
12 - 안내부 13 - 후크부
20 - 도어부재 22 - 결합유도부
23 - 고정부 24 - 변형유도부
Claims (3)
- 분전반의 전면에 장착되는 커버부재의 상부 전면에는 안내부가 라운드 형성되고, 이 안내부의 전면에는 후크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재의 전면에 장착되어 상부방향으로 개폐되는 도어부재의 상면에는 결합유도부가 라운드 형성되고, 이 결합유도부의 상부에는 상기 후크부에 걸려 단속되는 홈 또는 구멍을 포함하는 고정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용 커버의 도어 지지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유도부의 끝 부분에는 후크부를 간섭하여 안내부를 탄성 변형시키는 변형유도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용 커버의 도어 지지구조.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의 하부에는 변형유도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용 커버의 도어 지지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4967U KR200440601Y1 (ko) | 2008-04-15 | 2008-04-15 | 분전반용 커버의 도어 지지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4967U KR200440601Y1 (ko) | 2008-04-15 | 2008-04-15 | 분전반용 커버의 도어 지지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40601Y1 true KR200440601Y1 (ko) | 2008-06-20 |
Family
ID=43658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80004967U KR200440601Y1 (ko) | 2008-04-15 | 2008-04-15 | 분전반용 커버의 도어 지지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40601Y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59374B1 (ko) * | 2009-06-16 | 2010-05-24 | (주)지티일렉트로닉스 | 분전반용 도어 |
KR200455582Y1 (ko) * | 2009-04-29 | 2011-09-15 | 주식회사 스필 | 개폐가 용이한 커버를 갖는 분전반 |
KR20180041884A (ko) * | 2016-10-17 | 2018-04-25 |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 슬라이딩 도어가 구비된 세대 분전반 |
CN112867306A (zh) * | 2019-11-28 | 2021-05-28 | 中车永济电机有限公司 | 变流柜 |
-
2008
- 2008-04-15 KR KR2020080004967U patent/KR20044060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5582Y1 (ko) * | 2009-04-29 | 2011-09-15 | 주식회사 스필 | 개폐가 용이한 커버를 갖는 분전반 |
KR100959374B1 (ko) * | 2009-06-16 | 2010-05-24 | (주)지티일렉트로닉스 | 분전반용 도어 |
KR20180041884A (ko) * | 2016-10-17 | 2018-04-25 |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 슬라이딩 도어가 구비된 세대 분전반 |
KR101877877B1 (ko) * | 2016-10-17 | 2018-08-07 |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 슬라이딩 도어가 구비된 세대 분전반 |
CN112867306A (zh) * | 2019-11-28 | 2021-05-28 | 中车永济电机有限公司 | 变流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40601Y1 (ko) | 분전반용 커버의 도어 지지구조 | |
US6438800B1 (en) | Door hinge assembly for an electrical appliance enclosure | |
US8899432B2 (en) | Load dispersing member for while-in-use electrical box cover | |
JP2010252561A (ja) |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 |
JP6014857B2 (ja) | 電気機器収納用箱の扉保持部材 | |
JP5263971B2 (ja) | 電気機器収納箱 | |
ES2364533T3 (es) | Casete para montaje en el suelo para aparatos de instalación eléctricos. | |
CN208257148U (zh) | 一种开关柜及其柜体 | |
JP2011106180A (ja) | 屋外盤の筐体構造 | |
KR101071126B1 (ko) | 전기계량기 보호함 | |
PL182448B1 (pl) | Urządzenie do zabezpieczania pokrywy na korpusie wyłącznika | |
KR102616882B1 (ko) | 공동 주택용 배전반 | |
US9882448B2 (en) | Drive for an actuating unit | |
KR102061945B1 (ko) | 신발장후면판에 매입 설치하는 전기통신함 깊이조절 문틀연결장치 | |
JP2010273465A (ja) | 分電盤 | |
JP2014009881A (ja) | 配線カバーの装着構造 | |
JP5657241B2 (ja) | 機器収納キャビネット | |
JP2005150295A (ja) | 両開き扉を持つ電気機器収納用箱の防水構造 | |
CN214899492U (zh) | 一种电气设备柜门防下垂装置 | |
CN201620682U (zh) | 保险箱的门铰链结构 | |
KR20210150733A (ko) | 배전반 잠금 장치 | |
JPS5934862Y2 (ja) | 電気冷蔵庫 | |
JP2006217676A (ja) | 配電盤用化粧パネルの支持構造 | |
CN205510606U (zh) | 一种应用于多媒体设备的防尘翻盖机构 | |
KR200274770Y1 (ko) | 배전함 커버의 스위치도어 결합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30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