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3935U - 산적화물선용 해치 코너의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산적화물선용 해치 코너의 보강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3935U
KR20120003935U KR2020100012221U KR20100012221U KR20120003935U KR 20120003935 U KR20120003935 U KR 20120003935U KR 2020100012221 U KR2020100012221 U KR 2020100012221U KR 20100012221 U KR20100012221 U KR 20100012221U KR 20120003935 U KR20120003935 U KR 201200039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tch
corner
hatch corner
support member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22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진
이동권
손상용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122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3935U/ko
Publication of KR201200039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93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63B3/54Hatch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18Arrangement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access to underwater elements, e.g. to propellers ; Externally attached cofferdam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12Hatches; Hatch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sol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70Reinforcements for carrying localised loads, e.g. propulsion plant, gu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17/0045Caps, hoods, or the like devices for protective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곡물이나 광석,석탄 등을 포장하지 않은 상태에서 그대로 싣고 수송하는 산적화물선용 해치 코너의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산적화물선의 해치 코너에 있어서, 해치 코너의 하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해치 코너의 선단과 동일한 곡면을 가지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선단에 상기 해치 코너에 비하여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보강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산적화물선의 해치 코너 보강구조에 의하면 해치 코너의 하부에 지지부재를 설치하고, 이 지지부재에 반원형 단면 바의 형태를 갖는 보강부재를 시공함으로써, 해치 코너 플레이트의 두께 증가 없이 그랩 와이어의 손상 및 그랩의 충격하중으로부터 해치 코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응력 집중 부위에 용접을 회피하는 기술을 구현하여 두께 증가에 따른 불필요한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산적화물선용 해치 코너의 보강구조{The Reinforced Structure of Hatch Corner For Bulk Carrier}
본 고안은 곡물이나 광석,석탄 등을 포장하지 않은 상태에서 그대로 싣고 수송하는 산적화물선용 해치 코너의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적화물선의 화물창 모서리부에 응력집중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해치 코너(Hatch Corner) 하부에 타원형상의 곡면으로 이루어지며 반원형 단면구조를 갖는 보강부재를 설치함으로써, 그랩 와이어(Grab Wire)의 손상 및 그랩에 의한 충격하중으로부터 해치 코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산적화물선용 해치 코너의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적화물선이나 컨테이너 운반선의 대형화는 다른 어떤 선종들의 경우 보다 급속히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대형 산적화물선의 경우 비틀림 하중에 대한 응답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고, 그 중에서도 국부적으로 심한 응력집중이 발생하는 상갑판의 해치 코너부에 대하여 상세한 연구가 필요하다.
산적화물선이 비틀림 하중을 받게 되면 좌현과 우현 사이에서 큰 상대변위가 발생하고, 이러한 변형 양상은 상갑판 해치 코너에 국부적인 응력집중을 유발하게 되는데 이러한 응력집중부의 설계구조는 선급에서 규정한 피로강도를 만족시켜야 한다.
산적화물선은 화물의 상?하역을 쉽고 빠르게 하기 위해 큰 개구부를 가지고 있어 선박의 단면이 개단면(Open Section)과 폐단면(Closed Section)으로 이루어져 있고, 산적화물선 메인 데크(Main Deck)상의 개방구조를 갖는 해치 코너는 타원형상의 구조로 설계되어 응력집중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이러한 구조 즉, 로프나 와이어 등과 선각부재가 간섭하는 상기 해치 코너(a)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선단(b)이 날카로운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그랩 와이어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고, 또한 해치 코너가 그랩과 같은 장비의 충격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취약한 구조를 갖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해치 코너의 하부에 타원형상의 곡면으로 이루어지며 반원형 단면구조를 갖는 보강부재를 설치함으로써, 해치 코너의 두께 증가 없이 그랩 와이어의 손상 및 그랩에 의한 충격하중으로부터 해치 코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산적화물선용 해치 코너의 보강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산적화물선의 해치 코너에 있어서, 해치 코너의 하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해치 코너의 선단과 동일한 곡면을 가지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선단에 상기 해치 코너에 비하여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보강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해치 코너의 하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해치 코너의 선단과 동일한 곡면을 가지는 지지부재는 보강부재가 부착되는 선단은 보강부재의 폭에 부응하여 폭이 좁고, 지지부재가 고정되는 해치 코너 쪽으로는 지지력을 높이기 위하여 폭이 넓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 지지부재의 선단에 해치 코너에 비하여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보강부재는 단면이 반원형상의 구조를 갖는 반원형 단면 바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적화물선용 해치 코너의 보강구조를 제시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산적화물선의 해치 코너 보강구조에 의하면 해치 코너의 하부에 지지부재를 설치하고, 이 지지부재에 반원형 단면 바의 형태를 갖는 보강부재를 시공함으로써, 해치 코너 플레이트의 두께 증가 없이 그랩 와이어의 손상 및 그랩의 충격하중으로부터 해치 코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응력 집중 부위에 용접을 회피하는 기술을 구현하여 두께 증가에 따른 불필요한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산적화물선용 해치 코너의 보강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산적화물선용 해치 코너의 보강구조를 예시한 도면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산적화물선용 해치 코너의 보강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산적화물선용 해치 코너의 보강구조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산적화물선용 해치 코너의 보강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산적화물선용 해치 코너의 보강구조는 산적화물선의 화물창 모서리부에 응력집중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해치 코너에 있어서, 상기 해치 코너(10)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보강부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부재(2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20)의 선단은 해치코너(10)의 선단과 동일한 곡면 즉, 타원형 모서리부의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한편, 보강부재가 부착되는 선단은 부착되는 보강부재의 폭에 부응하여 상/하 폭이 비교적 좁고, 지지부재(20)가 고정되는 해치 코너(10) 쪽으로는 지지력을 높이기 위하여 상/하 폭이 넓은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구조의 지지부재(20)는 상기 해치 코너(10)의 하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0)는 단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해치 코너(10)와 동일한 형태의 곡면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코너의 깊이가 깊은 모서리 부분은 지지부재(20)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모서리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갈수록 지지부재(20)의 길이 또한 짧게 형성되는 한편, 이 지지부재(20)의 선단은 적어도 상기 해치 코너(10)의 선단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하거나 해치 코너(10)의 선단에 비하여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20)의 선단에는 철강재질이며 반원형 바(bar)의 형태를 갖는 보강부재(30)를 구비한다.
상기 보강부재(30)는 해치 코너(10)의 선단에 비하여 수직선상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설치되며, 이 보강부재(30)는 단면이 반원형상의 구조를 갖는 반원형 단면 바(Half Round Bar)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화물을 선적하거나 하역시 그랩 와이어가 상기 반원형 단면 바의 형태로 이루어진 보강부재(30)에 접촉하도록 하고 직접 해치코너(10)의 선단에 접촉되는 현상을 배제시킴으로써, 그랩 와이어의 손상 및 그랩에 의한 충격하중에 의하여 해치 코너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산적화물선용 해치 코너의 보강구조에 의하면 해치 코너의 하부에 지지부재를 설치하고, 이 지지부재에 반원형 단면 바의 형태를 갖는 보강부재를 시공함으로써, 해치 코너 플레이트의 두께 증가 없이 그랩 와이어의 손상 및 그랩의 충격하중으로부터 해치 코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응력 집중 부위에 용접을 회피하는 기술을 구현하여 두께 증가에 따른 불필요한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지금까지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고안에 따른 산적화물선용 해치 코너의 보강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및 변형이 가능 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지지부재의 선단에 구비되는 보강부재를 반원형 단면 바의 형태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 보강부재를 원형 봉의 형태로의 변경적용 또한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 해치 코너 20: 지지부재
30: 보강부재

Claims (4)

  1. 산적화물선의 해치 코너에 있어서,
    해치 코너(10)의 하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해치 코너(10)의 선단과 동일한 곡면을 가지는 지지부재(20);
    상기 지지부재(20)의 선단에 상기 해치 코너(10)에 비하여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보강부재(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적화물선용 해치 코너의 보강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해치 코너(10)의 하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해치 코너(10)의 선단과 동일한 곡면을 가지는 지지부재(20)는 보강부재(30)가 부착되는 선단은 보강부재(30)의 폭에 부응하여 폭이 좁고, 지지부재(20)가 고정되는 해치 코너(10) 쪽으로는 지지력을 높이기 위하여 폭이 넓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적화물선용 해치 코너의 보강구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해치 코너(10)의 하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해치 코너(10)의 선단과 동일한 곡면을 가지는 지지부재(20)는 보강부재(30)가 부착되는 선단이 적어도 상기 해치 코너(10)의 선단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하거나 해치 코너(10)의 선단에 비하여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적화물선용 해치 코너의 보강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0)의 선단에 해치 코너(10)에 비하여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보강부재(30)는 단면이 반원형상의 구조를 갖는 반원형 단면 바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적화물선용 해치 코너의 보강구조.
KR2020100012221U 2010-11-26 2010-11-26 산적화물선용 해치 코너의 보강구조 KR2012000393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221U KR20120003935U (ko) 2010-11-26 2010-11-26 산적화물선용 해치 코너의 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221U KR20120003935U (ko) 2010-11-26 2010-11-26 산적화물선용 해치 코너의 보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935U true KR20120003935U (ko) 2012-06-05

Family

ID=46613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221U KR20120003935U (ko) 2010-11-26 2010-11-26 산적화물선용 해치 코너의 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393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72689A (zh) * 2021-02-08 2021-03-30 江苏扬子鑫福造船有限公司 一种大型集装箱船艏货舱舱口角隅结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72689A (zh) * 2021-02-08 2021-03-30 江苏扬子鑫福造船有限公司 一种大型集装箱船艏货舱舱口角隅结构
CN112572689B (zh) * 2021-02-08 2021-09-28 江苏扬子鑫福造船有限公司 一种大型集装箱船艏货舱舱口角隅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88065B (zh) 用於貨櫃船之拉繫橋台
EP2408692B1 (en) Transport arrangement
KR101186288B1 (ko) 두 선박 사이의 상대운동 감소 장치
KR101258929B1 (ko) 용접 파형격벽을 구비한 선박
KR102130177B1 (ko) 화물선의 갑판 위에서 운송되는 컨테이너들을 지지하기 위한 장치
KR20120003935U (ko) 산적화물선용 해치 코너의 보강구조
KR20130129642A (ko) 컨테이너선 상부 스툴의 수직웨브
CN102046459A (zh) 用于分段船舶坡道的装置
JP2008110739A (ja) 耐衝突船体構造、船舶及び船体の耐衝突性能向上方法
KR101372278B1 (ko) 컨테이너선의 래싱 브리지 진동 저감장치
KR102432768B1 (ko) 횡동요 저감 탱크가 구비된 컨테이너선
KR101132621B1 (ko) 양현 하역 선박
KR101422469B1 (ko) 해양구조물용 완충장치
KR102179904B1 (ko) 컨테이너선
KR102658220B1 (ko) 초대형 컨테이너선 연료 저장탱크의 최적화 배치구조
KR20140069465A (ko) 컨테이너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808871B1 (ko) 컨테이너선의 보강구조
KR102605872B1 (ko) 래싱 브리지
CN209889064U (zh) 一种绑扎装置及具有其的工程船组、工程船运输系统
KR20140044012A (ko) 산적화물선
KR20120007624U (ko) 선박용 화물 해치 커버
EP2158121B1 (en) Ship
KR20110056013A (ko) 밸러스트 탱크의 횡방향 보강구조체 및 그것을 구비한 선박
KR20130129640A (ko) 컨테이너선의 이중저 거더
KR20150000890U (ko) 안벽계류선박의 화물 선적 및 하역용 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