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624U - 선박용 화물 해치 커버 - Google Patents

선박용 화물 해치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624U
KR20120007624U KR2020110003609U KR20110003609U KR20120007624U KR 20120007624 U KR20120007624 U KR 20120007624U KR 2020110003609 U KR2020110003609 U KR 2020110003609U KR 20110003609 U KR20110003609 U KR 20110003609U KR 20120007624 U KR20120007624 U KR 201200076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tch cover
cargo
reinforcing member
reinforc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6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명본
강근혁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36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7624U/ko
Publication of KR201200076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62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12Hatches; Hatchways
    • B63B19/14Hatch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12Hatches; Hatchways
    • B63B19/24Hatch fastenings, e.g. clea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00Devices for securing together, 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12Hatches; Hatchways
    • B63B19/24Hatch fastenings, e.g. cleats
    • B63B2019/245Loose or removable fastening member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hatch covers to coamings, sill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30Chains
    • B65H2404/31Chains with auxiliary handling means
    • B65H2404/311Blades, lugs, plates, paddles,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선의 화물창을 덮는 화물 해치 커버에 관한 것으로, 커버 본체의 일정한 위치에 다수의 보강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화물 해치 커버에 있어서,
상기 커버 본체에 구비된 보강부재의 일정한 위치에 로프 구멍과 보강판으로 이루어지는 반전 및 이송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커버 본체에 구비된 반전 및 이송수단은 보강부재의 일정한 위치에는 로프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로프 구멍이 형성된 보강부재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는 구멍을 가진 보강판이 구비되며 상기 보강부재의 선단은 곡면부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해치 커버에 의하면 별도의 리프팅 러그를 제작할 필요가 없고 이에 따라 리프팅 러그의 별도 제작 및 제거로 인한 자재비 및 생산시수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기존의 보강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사용 후 제거할 필요 없이 영구사용이 가능하여 리프팅 러그의 설치 및 제거로 인한 해치 커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Description

선박용 화물 해치 커버{Cargo Hatch Cover For Ship}
본 고안은 화물선의 화물창을 덮는 화물 해치 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치 커버의 보강부재가 커버의 보강기능과 반전 및 이송용 리프팅 러그(Lifting Lug) 기능을 겸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용 화물 해치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 해치 커버란 화물의 적재 및 하역을 위한 화물창의 상부 갑판 또는 중갑판에 만들어진 창구를 폐쇄하는 장치를 이르는 말로서, 이러한 화물 해치 커버는 항해중 파랑, 풍우가 카고 홀드(Cargo Hold) 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고, 창구 상부에도 화물을 적재할 수 있게 하여 적재량을 증가시키며, 카고 홀드 내의 화물이 화물창의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화물 해치 커버를 제작할 때에는 상/하를 뒤집는 반전(Turn Over)과정을 여러 번 수행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는 크레인 등에 의하여 해치 커버를 들어올릴 때 해치 커버에 부착되어 하중을 분담하는 역할을 하는 몇 가지 형태의 리프팅 러그가 필요하다.
이 경우 현재의 방법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별도의 리프팅 러그(b)를 제작하여 해치 커버(a)의 소정된 위치에 용접 등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설치하고 사용 후에는 이를 제거하는 과정을 반복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자재비 및 생산비가 증가하고 용접 및 절단으로 인하여 해치 커버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해치 커버의 보강부재가 커버의 보강과 반전 및 이송용 리프팅 러그 기능을 겸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리프팅 러그를 제거하지 않고 영구히 겸용하도록 하여 설치 및 제거로 인한 커버의 손상을 방지하고 자재비 및 생산시수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용 화물 해치 커버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하에 제안된 본 고안은 커버 본체의 일정한 위치에 다수의 보강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화물 해치 커버에 있어서, 상기 커버 본체에 구비된 보강부재의 일정한 위치에 로프 구멍과 보강판으로 이루어지는 반전 및 이송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보강부재가 커버 본체의 구조적 보강기능과 리프팅 러그의 기능을 겸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해치 커버를 제시한다.
본 고안은 상기 커버 본체에 구비된 반전 및 이송수단은 보강부재의 일정한 위치에는 로프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로프 구멍이 형성된 보강부재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는 구멍을 가진 보강판이 구비되며 상기 보강부재의 선단은 곡면부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해치 커버를 제시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해치 커버에 의하면 별도의 리프팅 러그를 제작할 필요가 없고 이에 따라 리프팅 러그의 별도 제작 및 제거로 인한 자재비 및 생산시수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기존의 보강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사용 후 제거할 필요 없이 영구사용이 가능하여 리프팅 러그의 설치 및 제거로 인한 해치 커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리프팅 러그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해치 커버의 전체적인 구성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해치 커버의 주요 구성요소인 반전 및 이송수단의 구성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해치 커버의 주요 구성요소인 반전 및 이송수단의 구성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4의 A - A부분 단면도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화물 해치 커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해치 커버의 전체적인 구성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해치 커버의 주요 구성요소인 반전 및 이송수단의 구성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해치 커버의 주요 구성요소인 반전 및 이송수단의 구성상태를 예시한측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화물 해치 커버(1)는 커버 본체(10)와 상기 커버 본체(10)의 강도를 구조적으로 보강하는 다수의 보강부재(20)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해치 커버(1)를 제작하기 위한 공정에 있어서는 커버 본체(10)의 형상이나 크기 등을 결정하고, 이 커버 본체(10)에 보강부재나 기타 부재들을 설치하기 위하여 크레인과 로프(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한 여러 번의 반전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를 위해 종래의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크레인의 로프를 묶을 수 있도록 하는 반전 및 이송수단 즉, 리프팅 러그를 용접 등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별도로 구비하게 되는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반전 및 이송수단인 리프팅 러그의 별도 설치를 배제하고 커버 본체(10)에 구비된 보강부재(20)의 일정한 위치에 로프구멍(30a)과 보강판(30b)으로 이루어지는 반전 및 이송수단(30)을 보강부재(20)와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이 보강부재(20)가 커버 본체(10)의 보강기능과 함께 리프팅 러그의 기능 또한 겸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반전 및 이송수단(30)의 구성요소이며 보강부재(20)에 형성되는 로프 구멍(30a)은 보강부재(20)의 강성을 고려하여 1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보강부재(20)의 강도만 허용한다면 무게 중심의 조절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를 구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크레인의 로프를 묶을 수 있도록 하는 로프 구멍(30a)은 다수의 보강부재들 중에서 해치 커버(1)의 무게 중심 등을 감안하여 소정된 위치에 위치하는 보강부재를 선택적으로 결정하며, 이 로프 구멍(30a)이 형성되는 보강부재(20)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는 도 5의 단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로프 구멍(30a)의 직경과 동일 직경의 구멍을 가진 보강판(30b)이 용접 등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반전 및 이송수단(30)의 구성요소로서 로프 구멍(30a)이 형성되는 보강부재(20)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용접 등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부착되는 보강판(30b)은 커버 본체(10)의 중량이나 이 커버 본체(10)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부재(20)의 두께 등을 감안하여 소정된 강도 및 두께를 갖도록 제작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20)의 선단은 로프를 걸 때 선단의 예리함으로 인하여 로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곡면부(30c)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화물 해치 커버 제작시 부재의 설치를 위하여 커버 본체(10)를 반전 또는 이송시키고자할 때는 상기 반전 및 이송수단(30)의 구성요소인 로프구멍(30a)에 크레인의 로프를 묶어 커버 본체(10)를 들어올려 반전 또는 이송시키면 되는데, 이때 상기 로프구멍(30a)이 형성된 보강부재(20)의 양측으로는 보강판(30b)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이 보강판(30b)이 보강부재(20)의 강도를 보강함에 의하여 커버 본체(10)의 중량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물 해치 커버에 의하면 별도의 리프팅 러그를 제작할 필요가 없고 이에 따라 리프팅 러그의 별도 제작 및 제거로 인한 자재비 및 생산시수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본 고안은 기존의 보강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사용 후 제거할 필요 없이 영구사용이 가능하여 리프팅 러그의 설치 및 제거로 인한 해치 커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지금까지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화물 해치 커버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및 변형이 가능 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크레인의 로프를 걸기 위한 리프팅 러그의 로프 구멍을 보강부재의 한곳에만 형성한 것으로 예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무게 중심의 조절을 위하여 하나의 보강부재에 다수의 로프 구멍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변경하여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1: 해치 커버 10: 커버 본체
20: 보강부재 30: 반전 및 이송수단
30a: 로프구멍 30b: 보강판
30c: 곡면부

Claims (2)

  1. 커버 본체의 일정한 위치에 다수의 보강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화물 해치 커버에 있어서,
    상기 커버 본체에 구비된 보강부재의 일정한 위치에 로프 구멍과 보강판으로 이루어지는 반전 및 이송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보강부재가 커버 본체의 구조적 보강기능과 리프팅 러그의 기능을 겸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해치 커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 본체에 구비된 반전 및 이송수단은 보강부재의 일정한 위치에는 로프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로프 구멍이 형성된 보강부재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는 구멍을 가진 보강판이 구비되며 상기 보강부재의 선단은 곡면부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해치 커버.
KR2020110003609U 2011-04-27 2011-04-27 선박용 화물 해치 커버 KR2012000762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609U KR20120007624U (ko) 2011-04-27 2011-04-27 선박용 화물 해치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609U KR20120007624U (ko) 2011-04-27 2011-04-27 선박용 화물 해치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624U true KR20120007624U (ko) 2012-11-06

Family

ID=47510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609U KR20120007624U (ko) 2011-04-27 2011-04-27 선박용 화물 해치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762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3867A (ko) * 2020-09-10 2022-03-17 유금범 부유식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3867A (ko) * 2020-09-10 2022-03-17 유금범 부유식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6236B2 (en) Container including object-supporting chute and pivot mechanism
JP6113832B2 (ja) クレーンと、ハッチカバーを支持し積み重ねるクレーンの本体に設置されたベースとを備える、港湾作業時に積み下ろしを行うためのシステム
WO2011087230A3 (ko) 트럭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
KR101201685B1 (ko) 테트라포드
KR101599325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고정 장치
CN105752277A (zh) 运输船用凹陷型箱脚位组件
KR20120007624U (ko) 선박용 화물 해치 커버
JP2009269708A (ja) パレットハンガー
KR101372278B1 (ko) 컨테이너선의 래싱 브리지 진동 저감장치
WO2015018968A1 (en) Arrangement for supporting containers to be transported on the deck of a cargo ship
US7278546B2 (en) Removable cover assembly with pivoting covers and hoisting pins
KR101344140B1 (ko) 벌크 화물선의 쉐딩 플레이트 취부 구조 및 취부 방법
CN205574223U (zh) 运输船用凹陷型箱脚位组件
JP2016216059A (ja) パレット
KR101110728B1 (ko) 선박의 해치커버 탑재 구조
KR20140069465A (ko) 컨테이너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454388B1 (ko) 컨테이너 선박
JP5351732B2 (ja) グラップルバケット
KR101836898B1 (ko) 화물 고정 장치
KR20140000352U (ko) 셀가이드 운반용 후크
KR101573736B1 (ko) 크레인용 케이블 트렌치
KR20120077938A (ko) 선박용 해치커버 조립부재 리프팅 지그
KR101372868B1 (ko) 컨테이너 선박의 선체 구조물 손상방지 시스템
KR20120003935U (ko) 산적화물선용 해치 코너의 보강구조
JP6571479B2 (ja) 滑車及び該滑車を備えたデッキクレー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